[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1108A -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 Google Patents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108A
KR20160021108A KR1020157034786A KR20157034786A KR20160021108A KR 20160021108 A KR20160021108 A KR 20160021108A KR 1020157034786 A KR1020157034786 A KR 1020157034786A KR 20157034786 A KR20157034786 A KR 20157034786A KR 20160021108 A KR20160021108 A KR 2016002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air
composition
mass
surfac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스케 미요시
유미 야마구치
나오유키 야마자키
료스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10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193Mixed ethers, i.e. ethers with two or more different etherify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02Alkyl or cycloalkyl ethers
    • C08B11/0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8B11/1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20Post-etherification treatments of chemical or physical type, e.g. mixed etherification in two steps, including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5Derivative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s or sulfur
    • C08B15/06Derivative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s or sulfur containing nitrogen,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8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nitrogen-containing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헹굼시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을 부여할 수 있고, 양호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고,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세정 및 건조 후의 피부에 우수한 수분감을 제공할 수 있는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며,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며, 하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2]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3]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

Description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CATIONIC GROUP-CONTAINING CELLULOSE ETHER}
본 발명은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생활 환경 (태양광으로부터의 UV 및 열, 건조함), 일상의 머리손질 행동 (세발, 브러싱, 드라이어에 의한 열), 및 화학적 처리 (컬러링, 파마 등) 에 의해 손상을 입으며, 모발이 젖은 상태로 서로 스치면 표면이 큰 마찰력을 받아 세발시 뻑뻑함이나 뒤얽힘을 느낀다. 헤어-케어 조성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발로부터 오염을 씻어내는 기본 기능을 확보하는 것에 가세해, 헹굼시 손가락 빗질성, 매끄러움 및 양호한 매끄러움 지속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전형적으로 양이온화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혼입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소수물질-치환된 수용성 양이온성 다당류를 개시하고, 그 실시예에서는 셀룰로오스-유형 출발 물질과 글리시돌을 반응시킨 후 4 급화/알킬화함으로써 제조된 수용성 양이온성 다당류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또한 양이온성 다당류의 수용액은 강력한 점도 상승 및 포밍 (forming) 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샴푸, 헤어 컨디셔너 등과 같은 헤어 케어 조성물로서 유용하다고 말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1 몰 당 0.0003 내지 0.08 몰 범위의, 8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아릴알킬기를 함유하는 치환기 및 4 급 질소 함유 치환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샴푸 등의 헤어 케어 조성물을 개시하고, 추가로 습윤시 및 건조시의 모발의 빗통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허문헌 3 은 양이온성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0.2 내지 0.5 이고, 글리세롤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 내지 2.58 인, 양이온화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세정시 모발의 빗통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JP-A 61-181801 JP-T 2006-527785 독일 특허 3301667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10] 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며,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며, 하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n 은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며, 100 내지 12000 의 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이고;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글리세롤기이고; 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이다. R4 내지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각각 음이온을 나타내고; r 및 s 는 각각 0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내고,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2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2)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에 있어서,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와 또는 상기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와 결합한다)
[2] 상기 [1]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3] 상기 [1]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4] 상기 [1]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5] 상기 [1]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유제 (oily agent), 및 물을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6] 상기 [1]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그리고 염모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
[7] 상기 [3] 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세정 방법.
[8] 상기 [4] 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피부를 세정한 후, 피부를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
[9] 세정제를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상기 [5] 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조절 방법.
[10] 상기 [6] 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처리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고, 상기한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및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시, 헹굼시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을 제공하고, 양호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는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모발 세성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시,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양호한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시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그 조성물에 의해 세정하고 건조시킨 피부에 대해 우수한 수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배합하면, 그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했을 때에 우수한 존재감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 후에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 세정시의 모발 부드러움이 우수하고, 헹굼시에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시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그 조성물로 세정하고 건조한 피부에 우수한 수분감을 부여할 수 있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에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 뛰어난 존재감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 후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처리한 후 헹굼시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추가로 컨디셔너로 처리한 후 헹굼시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하, "CCE" 라고도 함) 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고, 하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일반식 (1)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n 은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며 100 내지 12000 의 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이고;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글리세롤기이고; 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이다. R4 내지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각각 음이온을 나타내고; r 및 s 는 각각 0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2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2) 내지 (7)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에 있어서,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와 또는 상기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CCE 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본 발명의 CCE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를 갖는 것에 따라, 선형 탄화수소기-함유 기를 갖는 CCE 에 비해, 적당히 소수성이 증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기 탄화수소기-함유 기를 갖는 본 발명의 CCE 는 석출되기 쉬워져, 모발 및 피부에 적당히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CCE 를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조성물은 헹굼시에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시에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조성물은 조성물로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의 피부에 우수한 수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배합하면, 조성물은 모발에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의 뛰어난 존재감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조성물은 헹굼시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우수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치환기 R1, R2 및 R3)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치환기 R1 이,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 치환기 R1 은,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일 수 있거나, 또는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오직 1 개의 구조 단위의 산소 원자에 수소 원자가 결합하는 치환기일 수 있다.
치환기 R1 이 식 (2) 내지 (7) 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 구조 단위는 하나의 구조 단위의 산소 원자 및 다른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를 통해 서로 결합하고, 그 경우, 다른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지 않는 산소 원자, 예를 들어 치환기의 말단에 위치하는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와 결합한다.
구조 단위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동일 식의 복수 구조 단위가 함께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2 내지 7 종의 상이한 유형의 구조 단위가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일반식 (1) 중, R1 이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 글리세롤기,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상이한 기를 갖는 치환기인 경우, 결합 방식은 블록 결합, 랜덤 결합, 또는 교호 결합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블록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기 R1 이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치환기인 경우, 그 말단의 탄소 원자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히드록실기의 산소 원자에 결합한다.
치환기 R2 가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 그 치환기의 구현예는, 전술한 치환기 R1 이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의 구현예와 같다.
치환기 R3 이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 그 치환기의 구현예는, 전술한 치환기 R1 이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경우의 구현예와 같다.
치환기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이며,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치환기 R1 은 식 (2) 내지 (8) 의 구조 단위 이외의 임의의 다른 구조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
상기 식 (2) 또는 (3) 에 있어서, R4 내지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반응제의 입수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및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 (2) 및 (3) 에 있어서, X- 및 Y- 는 각각 4 급 암모늄 이온의 카운터 이온인 음이온을 나타낸다. X- 및 Y- 는 음이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예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 의 알킬 술페이트 이온, 술페이트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탄소수 1 내지 3 의 지방산 이온, 및 할로겐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탄소수 1 내지 3 의 알킬 술페이트 이온, 술페이트 이온 및 할로겐화물 이온이 바람직하고, 할로겐화물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로겐화물 이온으로서는, 불화물 이온,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및 요오드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CCE 의 수용성 및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염화물 이온 및 브롬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염화물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r 및 s 는 각각 0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원료의 입수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r 및 s 는 각각 1 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란, 상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를 말한다. 분기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이다.
본 발명의 CCE 는 상기한 구조 단위를 갖기 때문에, 특히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그에 더하여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헹굼시의 코팅감이란, 모발의 표면이 겔 모양의 윤활제 성분으로 코팅된 것 같은 감촉을 갖는 것을 말하며, 세정된 모발이 우수한 코팅감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는, 모발이 본 발명의 효과인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성을 보다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식 (6) 및 (7) 에 있어서,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탄화수소기이며, 따라서 식 (6) 및 (7) 은,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가진다. R10 및 R11 의 구체예로서는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메틸펜틸기, 2-메틸헥실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2-메틸헵틸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2-메틸옥틸기, 2-에틸옥틸기, 이소데실기, 이소트리데실기, 이소테트라데실기, 이소헥사데실기, 이소헥세닐기, 이소옥테닐기, 이소데세닐기, 이소트리데세닐기, 이소테트라데세닐기, 이소헥사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CCE 의 수용성, 및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코팅감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R10 및 R11 은 각각 탄소수 6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식 (8) 에 있어서, R12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원료의 입수성의 관점에서, 치환기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R12 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헵틸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2-메틸옥틸기, 2-에틸옥틸기, 이소데실기, 이소트리데실기, 이소테트라데실기, 이소헥사데실기, 이소옥타데실기, 이소옥테닐기, 이소데세닐기, 이소트리데세닐기, 이소테트라데세닐기, 이소헥사데세닐기, 이소옥타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CCE 의 수용성, 및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코팅감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R12 는 탄소수 8 내지 16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4 이하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코팅감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R12 는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기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CCE 의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p 는 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식 (8) 은,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이다.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는, 특히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코팅감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는, 특히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코팅감 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8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기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 (이하, "MS(N+)" 라고도 함) 란, CCE 의 분자 중에 존재하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수의, 분자의 주사슬을 구성하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1 개에 대한 평균치를 말한다. MS(N+) 는,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에 있어서의 MS(N+) 는 0.01 내지 1.0 이다. MS(N+) 가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MS(N+) 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이다.
(글리세롤기의 치환도)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세롤기의 치환도 (이하, "MS(Gly)" 라고도 함) 란, CCE 분자 중에 존재하는 글리세롤기의 수의, 분자의 주사슬을 구성하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1 개에 대한 평균치를 말한다. MS(Gly) 는,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MS(Gly) 는 0.5 내지 5.0 이다. MS(Gly) 가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MS(Gly) 가 이 범위이면, CCE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기 때문에, 조성물에 배합이 용이하다. 이들 관점에서, MS(Gly) 는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상기 관점 및 본 발명의 CCE 의 비용의 관점에서, MS(Gly) 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다.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 (이하, "MS(HC)" 라고도 함) 란, CCE 분자 중에 존재하는, 상기 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수의, 분자의 주사슬을 구성하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1 개에 대한 평균치를 말한다. MS(HC)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MS(HC) 는 0.001 내지 0.2 이다. MS(HC) 가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MS(HC) 는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다. 상기의 관점 및 본 발명의 CCE 의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MS(HC) 는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이며, 상기의 양호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을 얻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이다.
(양이온 전하 밀도)
본 발명의 CCE 중,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양이온 전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mmo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mmol/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mmol/g 이상이며, 상기의 양호한 매끄러움감 및 지속감을 얻는 관점에서,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mmol/g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양이온 전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 mmo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mmol/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ol/g 이하이며, 상기의 양호한 매끄러움감 및 지속감을 얻는 관점에서,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mol/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ol/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mmol/g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 전하 밀도란, CCE 1 g 당 포함되는, 양이온성기의 몰수를 의미하며, 하기 수학식에 따라 산출된다.
양이온 전하 밀도 (mmol/g) = 질소 함유량 (%) / 14 × 10
(식 중, 질소 함유량 (%) 은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CCE 의 평균 중합도)
본 발명의 CCE 는,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여,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 글리세롤기,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를 원료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들 치환기의 도입 반응을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존재 하에서 실시했을 경우, 셀룰로오스의 해중합은 진행하지 않고, 따라서 원료 셀룰로오스와 CCE 의 평균 중합도를 동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CCE 의 원료인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를 CCE 의 평균 중합도 n 과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란, 셀룰로오스의 점도 평균 중합도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중합도 n 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1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다. 또한, 상기의 관점 및 본 발명의 CCE 및 CCE 를 배합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상기 평균 중합도 n 은 12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이다.
(1 질량% 수용액의 점도)
본 발명의 CCE 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25℃ 에 있어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상이다. 한편, 본 발명의 CCE, 및 CCE 를 배합한 조성물의 취급성 향상의 관점에서, 25℃ 에 있어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mPa·s 이하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이다. CCE 의 수용액 점도는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CCE 의 제조]
본 발명의 CCE 는, 셀룰로오스를, 본 발명의 CCE 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에 대응하는 양이온화제 (이하, 단순히 "양이온화제" 라고 함), 글리세롤화제,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 (이하, 단순히 "탄화수소기-함유 기" 라고도 함) 의 도입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양이온화 반응, 글리세롤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 중 어느 것을 먼저 해도 되고,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도 된다.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 또는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셀룰로오스에 대한 도입을 먼저 실시한 경우, 글리세롤화제 기반의 글리세롤화 반응의 수율은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먼저 글리세롤화 반응을 실시하고, 그 후에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는 높은 결정성을 갖기 때문에, 반응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반응 전에 그 결정성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반응성 증가를 위한 전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CCE 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 (i) 내지 (iii) 를 들 수 있다.
방법 (i):
이것은 일반적으로 알세르화 (alcerlization) 또는 머서화 (mercerization) 로 불리는 활성화 방법으로, 셀룰로오스와 대량의 물, 및 대과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얻은 후,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와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방법 (ii):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함유 디메틸 술폭시드, 파라포름알데히드-함유 디메틸 술폭시드, 염화리튬-함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Cellulose Dictionary", edited by the Cellulose Society of Japan, published by Asakura Publishing, "Macromol. Chem. Phys . 201", 627-631 (2000) 에 기재된 것을 이용하여, 원료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고, 그 후 원료 셀룰로오스와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를 반응시킨다.
방법 (iii):
상기한 방법 (i) 및 (ii) 와 같이, 과잉의 알칼리 용매 또는 셀룰로오스를 용해가능한 특수한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다. 분말상, 또는 면상 (floc) 의 원료 셀룰로오스와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를 알칼리 존재 하에 반응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CCE 의 제조용 원료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 및 활성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원료 셀룰로오스>
본 발명의 CCE 의 원료 셀룰로오스로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이하, "원료 셀룰로오스" 라고도 함) 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셀룰로오스 순도, 중합도, 및 입수성의 관점에서, 각종 목재 칩; 목재로부터 제조되는 우드 펄프, 면 종자의 주위의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코튼 린터 펄프 등의 펄프류가 바람직하다.
원료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며, 상기의 관점, 및 본 발명의 CCE, 및 CCE 를 배합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이다.
원료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란,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구리-암모니아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점도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원료 셀룰로오스의 형상은, 제조 장치 내에 대한 도입에 지장이 없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급성의 관점에서, 시트상, 펠릿상, 칩상, 면상 또는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칩상, 면상 또는 분말상 셀룰로오스가 보다 바람직하고, 면상 또는 분말상 셀룰로오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칩상 셀룰로오스는, 예를 들어 원료 셀룰로오스를 재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면상 또는 분말상 셀룰로오스는 원료 셀룰로오스를 재단한 후 임의로 건조시키고, 이후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재단 처리)
원료 셀룰로오스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서는, 분쇄 처리 이전의 전처리로서 재단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셀룰로오스를 재단하는 방법은, 원료 셀룰로오스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레더 (Shredder), 슬리터 커터 및 로터리 커터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재단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시트상 원료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 재단기로서 슈레더 또는 슬릿터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의 관점에서, 슬리터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슬릿터 커터는 시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기계 방향으로 시트를 롤 커터로 세로로 절단하여, 훌쭉한 긴 스트립을 얻고, 이렇게 절단한 슬립을 이후 추가로 고정날과 회전날로 짧은 스트립으로 횡단 절단하는 재단기이다. 이와 같은 슬릿터 커터를 이용하면, 원료 셀룰로오스를 미세한 펠릿으로 촙핑 (chopping) 할 수 있다. 슬릿터 커터로서는, Horai 사제의 시트 펠릿타이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장치를 사용하면, 시트상 원료 셀룰로오스를 사방 약 1 내지 20 mm 의 펠릿으로 재단할 수 있다.
간벌재, 전정 가지, 건축 폐재 등의 목재류, 또는 시트상 이외의 원료 셀룰로오스를 재단하는 경우에는, 로터리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 커터는, 회전날과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로터리 커터를 사용하면, 회전날에 의해 스크린 메쉬 이하의 크기로 재단된 원료 셀룰로오스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날을 커터에 배치할 수 있어, 회전날과 고정날 둘 모두에 의해 물질을 재단할 수 있다.
로터리 커터를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거칠게 재단된 물질의 크기는, 스크린 메쉬를 바꾸어 제어할 수 있다.
재단 처리 후에 얻어지는 원료 셀룰로오스의 크기로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사방 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방 2 mm 이상이며, 후속 분쇄 처리에 있어서의 분쇄시 부하를 경감하는 관점 및 후술하는 후속 건조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사방 7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방 50 mm 이하이다.
(건조 처리)
원료 셀룰로오스를 분쇄 처리할 때의 물 함량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처리시의 물 함량의 하한은, 원료 셀룰로오스 에 대해 0 질량% 일 수 있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그의 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다. 한편, 원료 셀룰로오스의 분쇄 효율의 관점에서, 그의 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펄프류, 종이류, 목재류, 식물 경엽류, 식물 껍질류 등의 원료 셀룰로오스는, 5 질량% 초과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있고, 통상 5 내지 30 질량% 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원료 셀룰로오스, 바람직하게는 재단 처리 후에 얻어지는 원료 셀룰로오스의 건조에 의해, 본원에 사용되는 원료 셀룰로오스의 물 함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건조 수단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풍 수열 건조법, 전도 수열 건조법, 제습 공기 건조법, 냉풍 건조법, 마이크로파 건조법, IR 건조법, 태양열 건조법, 진공 건조법, 동결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공지된 건조기를 적절히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troduction to Powder Technology" (edited by the Society of Powder Technology, Japan, published by the Information Center of Particle Technology, Japan, 1995), page 176 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 건조기가 본원에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건조 방법 및 건조기는 1 종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 처리는 배치 처리 또는 연속 처리 중 어느 방식이어도 되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연속 처리가 바람직하다.
연속 건조기로서는, 전열 효율의 관점에서 전도 수열형의 횡형 교반 건조기가 바람직하다. 게다가, 미분이 발생하기 어렵고, 연속 배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2 축의 횡형 교반 건조기가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2 축의 횡형 교반 건조기로서는, Nara Machinery's 2 축 패들 건조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건조 처리에 있어서의 온도는 건조 수단, 건조 시간 등에 따라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온도는 2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처리 시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시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시간 이하이다. 필요에 따라, 감압 하에서 건조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 k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k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20 k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kPa 이하이다.
(분쇄 처리)
분쇄 처리에 사용되는 분쇄기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원료 셀룰로오스를 분말화 또는 면상화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장치여도 된다.
분쇄기의 구체예로서는, 고압 압축 밀, 롤 회전 밀 등의 롤 밀; 링 롤러 밀, 롤러 레이스 밀, 볼 레이스 밀 등의 세로형 롤러 밀; 전동 볼 밀, 진동 볼 밀, 진동 로드 밀, 진동 튜브 밀, 유성 볼 밀, 원심 유동화 밀 등의 용기-구동 매체 밀; 타워식 분쇄기, 교반조식 밀, 유통조식 밀, 환형 밀 등의 매체 교반식 밀; 고속 원심 롤러 밀, 옹밀 (angmill) 등의 압밀 전달 밀; 그리고 유발, 스톤 밀, 매스 콜로이더 (mass-colloider), 프렛 밀 (fret mill), 엣지 러너 밀, 나이프 밀, 핀 밀, 커터 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셀룰로오스의 분쇄 효율, 생산성, 및 후속 글리세롤화 등의 도입제의 효율의 관점에서, 용기 구동식 매체 밀 및 매체 교반식 밀이 바람직하고; 용기 구동식 매체 밀이 보다 바람직하다. 진동 볼 밀, 진동 로드 밀 또는 진동 튜브 밀 등의 진동 밀이 더욱 바람직하고; 진동 로드 밀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분쇄 방법으로서는 배치 처리 또는 연속 처리 중 어느 방식이어도 된다.
분쇄 처리에 사용하는 장치의 재질 및 매체의 재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탄화규소, 질화규소,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원료 셀룰로오스의 분쇄 효율의 관점에서, 철, 스테인리스, 지르코니아, 탄화규소 및 질화규소가 바람직하고; 공업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특히 철 또는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다.
원료 셀룰로오스의 분쇄 효율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장치가 진동 밀이고 매체가 로드인 경우에는, 로드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다.
로드의 충전율은, 진동 밀의 기종에 따라 바람직한 범위가 상이하다. 셀룰로오스의 분쇄 효율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충전율이 이 범위내이면, 셀룰로오스와 로드와의 접촉 빈도가 증가될 수 있고 매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분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율이란 진동 밀의 교반 부위의 용적에 대한 로드의 체적을 의미한다.
분쇄 처리시의 온도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셀룰로오스의 분해 억제의 관점 및 조작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분쇄 처리 시간은, 원료 셀룰로오스가 분말화 또는 면상화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분쇄 처리 시간은, 사용하는 분쇄기, 에너지량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통상 10 초 내지 12 시간이다. 원료 셀룰로오스를 충분히 분말화 또는 면상화하는 관점에서, 분쇄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 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분 이상이며,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시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분 이하이다.
<글리세롤화제>
본 발명의 CCE 의 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세롤화제는, 글리시돌; 3-클로로-1,2-프로판디올, 3-브로모-1,2-프로판디올 등의 3-할로-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글리세린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염이 부생하지 않는 것 및 반응성의 관점에서, 글리시돌이 바람직하다.
이들 글리세롤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글리세롤화제의 양은, 원하는 MS(Gly) 를 고려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양은, CCE 의 수용성, 및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 중의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이하, "AGU" 라고도 함)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몰 이상이며, 상기의 관점 및 또한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하이다.
글리세롤화제의 첨가 방법은, 일괄, 간헐 또는 연속일 수 있다. 원료 셀룰로오스에 대한 글리세롤화제의 반응 수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연속 첨가가 바람직하다.
<양이온화제>
본 발명의 CCE 의 제조에 사용되는 양이온화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9) 또는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일반식 (9) 및 (10) 에서, R13 내지 R18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일반식 (2) 및 (3) 의 R4 내지 R9 와 같다. t 및 u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식 (2) 의 r 및 상기 식 (3) 의 s 와 같다. Q- 및 W-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식 (2) 의 X-, 및 상기 식 (3) 의 Y- 와 같다. Z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13 내지 R18 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9) 및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 및 글리시딜트리프로필암모늄의 염화물, 브롬화물 또는 요오드화물;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프로필암모늄의 염화물;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프로필암모늄의 브롬화물;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프로필암모늄의 요오드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원료의 입수의 용이성 및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또는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의 염화물 또는 브롬화물;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또는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또는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 암모늄의 브롬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염화물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양이온화제의 양은, 원하는 MS(N+) 및 반응 수율을 고려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CCE 의 수용성, 및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몰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이며, 상기의 관점 및 CCE 의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이다.
양이온화제의 첨가 방법은 일괄, 간헐 또는 연속일 수 있다.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
본 발명의 CCE 의 제조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는, 상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도입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6) 또는 (7)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도입하는 도입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11) 또는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일반식 (11) 및 (12) 에 있어서, R19 및 R20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일반식 (6) 의 R10 및 상기 일반식 (7) 의 R11 과 같다. A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2-에폭시-5-메틸헵탄, 1,2-에폭시-6-메틸헵탄 등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1,2-에폭시알칸 또는 1,2-에폭시알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클로로-5-메틸헵탄-2-올, 1-클로로-6-메틸헵탄-2-올 등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1-할로-2-알칸올 또는 1-할로-2-알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반응시에 염의 부생이 없는 관점, 및 원료의 입수의 용이성 및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도입할 수 있는 도입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13), (14) 또는 (15)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일반식 (13), (14) 및 (15) 에 있어서, R21, R22, R23 및 R24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일반식 (8) 의 R12 와 같다. q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일반식 (8) 의 p 와 같다. B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일반식 (15) 에 있어서, R23 및 R24 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일반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및 상기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 (단, p 는 0 임) 를 동시에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헵틸 할라이드, 2-에틸헥실 할라이드, 3-에틸헥실 할라이드, 2-메틸옥틸 할라이드, 2-에틸옥틸 할라이드, 이소데실 할라이드, 이소트리데실 할라이드, 이소테트라데실 할라이드, 이소헥사데실 할라이드, 이소옥타데실 할라이드, 이소옥테닐 할라이드, 이소데세닐 할라이드, 이소트리데세닐 할라이드, 이소테트라데세닐 할라이드, 이소헥사데세닐 할라이드, 이소옥타데세닐 할라이드 등의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할로겐화물;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헵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3-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2-메틸옥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옥틸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데실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트리데실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테트라데실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헥사데실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옥타데실 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옥테닐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데세닐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트리데세닐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테트라데세닐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헥사데세닐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옥타데세닐 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케닐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원료의 입수의 용이성 및 얻어지는 CCE 의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일반식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CCE 의 수용성, 및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가 더욱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및 이소데실 글리시딜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양은, 원하는 MS(HC) 및 반응 수율을 고려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CCE 의 수용성, 및 본 발명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몰 이상이며, 상기의 관점 및 CCE 의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이다.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 방법은 일괄, 간헐 또는 연속일 수 있다.
<알칼리 화합물>
본 발명의 CCE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 처리를 통해 제조된 분말상 셀룰로오스 또는 면상 셀룰로오스와 상기의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를 반응시켜,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반응은, 모두 알칼리 화합물 존재 하에서 실시한다. 이들 반응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3 급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의 반응 속도의 관점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이 바람직하고,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칼리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화합물의 첨가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괄, 분할 또는 연속 첨가일 수 있다. 알칼리 화합물은 고체 상태로 첨가해도 되고, 수용액으로서 첨가해도 된다.
상기 방법 (i)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글리세롤화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의 양은, 알칼리 화합물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분자 중에 1 개의 3 급 아민을 갖는 화합물 등의 1 가 염기 화합물인 경우, 셀룰로오스의 반응 활성의 향상, 및 글리세롤화 반응제의 반응 선택성의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몰 이상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하이다.
상기 방법 (i)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 함유기의 도입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의 양은, 알칼리 화합물이 1 가 염기 화합물의 경우에는, 반응제의 반응 선택성의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하이다.
또한,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 함유기의 도입 반응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도, 상기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 함유기의 도입 반응에 있어서 각자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의 양과 같다.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또는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이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등의 다가 염기인 경우,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의 양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각각의 반응에 있어서의 알칼리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의 범위를, 그 다가 염기 가수로 나눈 범위이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알칼리 화합물이 수산화 칼슘 (2 가 염기) 인 경우, 글리세롤화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산화칼슘의 양은, 상기 방법 (i)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셀룰로오스의 반응 활성의 향상, 및 글리세롤화 반응제의 반응 선택성의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몰 이상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몰 이하이다.
본 발명의 CCE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 처리를 통해 제조된 분말상 셀룰로오스 또는 면상 셀룰로오스와 상기의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를 반응시켜,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하,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을 총칭해, "CCE 제조시의 반응" 이라고 할 수 있다.
CCE 제조시의 각 반응에 있어서, 각각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시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가 액체 상태인 경우는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물이나 비수계 용매등의, 글리세롤화제나 양이온화제의 양용제로 희석한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희석에 사용하는 비수계 용매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2 급 또는 3 급의 탄소수 3 내지 4 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탄소수 3 내지 6 의 케톤; 테트라 히드로푸란, 1,4-디옥산,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다른 비프로톤성 극성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 (ii) 에 있어서 CCE 제조시의 각 반응은, 셀룰로오스의 용해가능한 용매를 이용해 원료 셀룰로오스를 용해시켜 반응을 실시하고, 또한 방법 (i) 및 (iii) 에 있어서도,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반응 수율의 관점에서, 비수계 용매의 존재 하에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비수계 용매로서는 상기와 같은 비수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비수계 용매의 사용량은, 비수계 용매의 첨가 효과의 관점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질량% 이상이며, 생산성 및 반응 수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질량% 이하이다.
상기 CCE 제조시의 각 반응에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교반가능한 Ledige 믹서 등의 믹서; 및 분체, 고점도 물질, 수지의 혼련에 사용되는, 이른바 니더 등의 혼합기를 들 수 있다.
CCE 제조시의 각 반응시의 온도는, 반응 속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분해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CCE 제조시의 각 반응의 반응 시간은,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반응 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통상 0.1 시간 내지 72 시간이며, 반응 수율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시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시간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시간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6 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시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시간 이하이다.
또한, CCE 제조시의 각 반응은, 착색, 및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분자량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후에는, 산을 이용해 알칼리 화합물을 중화할 수 있다. 글리세롤화 반응,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 반응을 별개로 실시하려면, 각 반응시 화합물을 중화할 수 있지만, 중화 염의 생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모든 반응의 종료 후에 중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으로서는, 황산, 염산, 인산 등의 무기 산, 또는 아세트산, 락트산 등의 유기 산을 사용할 수 있다.
CCE 제조시의 모든 반응 종료 후에 얻어진 CCE 는, 필요에 따라, 여과 등에 의해 분별시킬 수 있거나, 또는 열수, 함수 이소프로필 알코올, 함수 아세톤 등의 용매로 세정하여 미반응의 양이온화제, 글리세롤화제,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 그리고 이들의 반응제 유래의 부생물, 및 중화 등에 의해 부생된 염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제 방법으로서는, 재침전성 정제, 원심분리, 투석 등의 일반적인 정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CE 는, 본 발명의 CC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또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CE 를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한 경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시의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CE 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적용한 경우에는, 모발 도포시의 우수한 존재감을 부여할 수 있고,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후의 코팅감이란, 모발이 조절 성분으로 코팅되는 것으로 느껴지는, 손상 없는 건강한 모발의 감촉에 가까워지는 느낌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의 CCE는, 염모제 조성물, 모발 탈색제 조성물, 영구 웨이브제조성물, 스트레이트 파마제 조성물, 지속성 모발 세트제 조성물, 축모 교정제 조성물 등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응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CE 를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적용한 경우에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조성물로 처리 후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 더욱 컨디셔너로 처리한 후의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조성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CC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한다.
<CCE>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CCE 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다. 한편,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이들 관점에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 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함유 되는 CCE 는,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3 내지 0.9, MS(Gly) 가 0.5 내지 3.0, MS(HC) 가 0.001 내지 0.1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0.5 내지 2.5, MS(HC) 가 0.001 내지 0.06 이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로서는, 통상,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료, 토일레트리, 잡화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소수성 부위를 갖는 황산 에스테르 염, 술폰산염, 카르복실산 염, 인산 에스테르 염, 및 아미노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킬 황산염, 알케닐 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케닐 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염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황산 에스테르 염; 술포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염, 폴리옥시알킬렌술포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염, 알칸 술폰산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타우레이트, 및 후술하는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술폰산염; 탄소수 8 내지 16 의 고급 지방산염, 하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알킬 에테르 아세트산염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카르복실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염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인산 에스테르 염; 아실글루탐산염, 알라닌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아르기닌 유도체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R-O-(CH2CH2O)a-CH2-COOM (I)
(식 중, R 은 탄소수 4 내지 2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4 내지 16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2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을 나타냄)
전술한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제외하고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성, 기포성 및 기포질의 관점 및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소수성 부위로서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이하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1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2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라우르산 칼륨 등의 탄소수 8 내지 16 의 고급 지방산염; 라우레스-4,5 아세트산 나트륨 등의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알킬 에테르 아세트산염; 라우레스-2 술포숙신산 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염; N-아실-L-글루탐산 나트륨 (코코일 글루탐산 나트륨) 등의 아실 글루탐산염; 및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 타우레이트, 및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황산염 및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환경에 대한 안정성 및 저자극성 등의 관점, 세정력 향상, 기포질 향상, 양호한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의 향상, 및 모발 세정시, 조성물의 손가락-빗질성, 모발 헹굼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및 건조 후의 모발에 양호한 수분감, 균일성, 및 정돈성을 부여하는 관점, 및 또한 조성물로 처리한 피부에 양호한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이하, 단순히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이라고 함) 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이란, 원료인 내부 올레핀 (이중 결합을 올레핀 사슬의 내부에 갖는 올레핀) 을 술폰화한 후, 중화 및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술폰산염이다. 또한, 이러한 내부 올레핀이란, 이중 결합이 탄소 사슬의 1-위치에 위치하는, 이른바 α-올레핀을 미량 함유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다. 즉, 내부 올레핀을 술폰화하면, 정량적으로 β-술톤이 형성되고, β-술톤의 일부는 γ-술톤 및 올레핀술폰산으로 변화하고, 추가로, 이들은 중화/가수분해 공정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염과 올레핀 술폰산염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J. Am. Oil Chem. Soc. 69, 39(1992)). 여기서 얻어지는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염의 히드록실기는, 알칸 사슬의 내부에 존재하고, 올레핀술폰산염의 이중 결합은 올레핀 사슬의 내부에 존재한다. 얻어지는 생성물은, 주로 이들의 혼합물, 및 그 일부에는, 탄소 사슬의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염, 또는 탄소 사슬의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술폰산염이 미량 함유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생성물 및 그들의 혼합물을 총칭해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이라고 한다. 또한,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염을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하이드록시체 (이하, HAS 라고도 함) 라고도 하고, 올레핀 술폰산염을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올레핀체 (이하, IOS 라고도 함) 라고도 한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탄소수는, 기포성,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을 향상시켜,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다. 또한,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및 매끄러움감 지속성,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이들 여러 가지의 탄소수를 갖는 하이드록시체 및 올레핀체는, 원료로서 사용하는 내부 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것이며, 본원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상기의 것과 상이한 탄소수를 갖는 임의의 다른 하이드록시체 및 올레핀체를 함유할 수 있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포성,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을 향상시켜,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건조 후의 수분감이나 균일성, 정돈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과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과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는, 상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99/1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95/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90/1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90/10 이며,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85/15 이며,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78/22 내지 85/15 이다.
상기 질량비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 (이하, "HPLC-MS" 라고 약칭함)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또는 얻어지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부터, HPLC 에 의해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과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분리하고, 그 둘을 추가로 MS 로 분석하여 동정한다. HPLC-MS 피크 면적으로부터 목적하는 질량비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총량에 대한, 술폰산기가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은, 기포성,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을 향상시키고,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을 향상시키고, 건조 후의 수분감, 균일성, 및 정돈성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수분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질량% 이하이며, 생산 비용의 저감, 생산성 증가, 및 기포의 지속성 및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이다.
술폰산기가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은,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기의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은, 하이드록시체와 올레핀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하이드록시체의 함유량과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올레핀체의 함유량의 질량비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 는, 생산성 향상과 불순물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95/5 이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하이드록시체의 함유량과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올레핀체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또는 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부터, HPLC 에 의해 하이드록시체와 올레핀체를 분리한 후,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은 탄소수 12 내지 24 의 원료 내부 올레핀을 술폰화한 후, 중화하고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술폰화, 중화 및 가수분해의 조건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1633184호 및 제2625150호, 및 Tenside Surf. Det. 31(5) 299(1994) 에 기재된 조건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료 내부 올레핀이란, 상기와 같이, 실질적으로 이중 결합을 올레핀 사슬의 내부에 갖는 올레핀을 의미한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탄소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기포성,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을 향상시켜,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및 지속되는 매끄러움감,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다. 또한,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및 매끄러움감 지속성,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원료로서 사용되는 내부 올레핀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원료 내부 올레핀 중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기포성, 기포의 지속성 및 헹굼성을 향상시켜, 모발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및 매끄러움 지속감, 건조 후의 수분감, 균일성, 정돈성, 및 피부의 수분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이며; 생산 비용의 저감과 생산성 향상의 관점 및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을 조성물에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
원료 내부 올레핀 중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의 분포는, 예를 들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 (이하, "GC-MS" 로 약기함)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계 (이하, "GC" 로 약기함) 에 의해 탄소 사슬 길이 및 이중 결합 위치가 서로 상이한 각 성분을 정확하게 분리하고, 각 성분을 질량 분석계 (이하, "MS" 로 약기함) 에 걸어 그 이중 결합 위치를 동정할 수 있다. GC 피크 면적으로부터 각 성분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술폰화 반응은, 원료 내부 올레핀 1 몰에 대해 삼산화황 가스를 1.0 내지 1.2 몰 반응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 내지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는, 생성물 중의 술폰산기의 이론치에 대해 1.0 내지 1.5 몰 배량의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2-아미노에탄올 등의 알칼리 수용액을 반응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가수분해 반응은 물의 존재 하에 90 내지 200 ℃ 에서 30 분 내지 3 시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에는, 추출, 세정 등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제조시, 12 내지 24 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 원료 내부 올레핀을 이용해 술폰화, 중화 및 가수분해할 수 있거나; 또는 단일의 탄소수를 갖는 원료 내부 올레핀을 이용해 술폰화, 중화 및 가수분해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별도로 제조한 상이한 탄소수를 갖는 여러 가지 종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혼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원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글루코시드 등의 다가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소수성 부위로서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및 알킬 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및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 지방산 N-메틸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이미다졸린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알킬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등의 아민 옥사이드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이미다졸린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라우릴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이미다졸륨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및 라우릴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로 임의로 분단되는 탄소수 12 내지 28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4 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또는 3 급 아민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염,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염, 옥타데실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의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디이소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염 등의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염; 스테아릴디메틸아민, 베헤닐디메틸아민, 옥타데실옥시프로필디메틸아민, 디메틸아미노프로필스테아르아미드 염산염, 시트르산염 또는 락트산염 등의 모노-장쇄 알킬디메틸아민 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6 질량% 의 범위이다.
(CCE 와 계면활성제의 질량비)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계면활성제] 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0.00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CCE/계면활성제] 는 0.0002 내지 10 이 바람직하고, 0.0002 내지 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5 내지 3 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10 내지 99.5 질량% 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99.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부드러움, 매끄러움의 지속감 및 코팅감의 관점, 헹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 및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 또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헹굼시 또는 타올 드라이 후의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능력의 관점,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수분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사용시의 조건 하에서 양이온이 될 수 있는 치환기 (양이온성기) 를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양이온성기로서는, 예를 들어 4 급 암모늄 기, 및 1 급 내지 3 급 아미노 기를 들수 있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로서는,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전분, 및 라디칼 중합을 통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갈락토만난은 갈락토만난 다당에 양이온성기를 도입하여 제조한 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4 급 질소-함유기를 도입하여 제조한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양이온성 갈락토만난은 갈락토만난 다당과 양이온화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양이온성 갈락토만난으로서는, Catinal CTR-100 (Toho Chemical 사제) 등의 양이온화 타라 검 (Caesalpinia gum); Catinal CLB-100 (Toho Chemical 사제) 등의 양이온화 로커스빈 검; Catinal CG-100 (Toho Chemical 사제) 등의 양이온화 페누그릭 검; Rhodia 사제의 Jaguar C-13S, Jaguar C-14S, Jaguar C-17, Jaguar C-500, Jaguar C-162 및 Jaguar EXCEL, Ashland 사제의 N-Hance BF17, N-Hance 3215, N-Hance CCG450, N-Hance 3196, N-Hance BF13, N-Hance CG13, N-Hance CCG45, N-Hance 3000, AquaCat PF618, AquaCat CG518 및 N-Hance HPCG1000 등의 양이온화 구아 검; Lubrizol 사제의 Sensomer CT-250 중합체 및 Sensomer ST-400 중합체 등의 양이온화 계피 검; 양이온화 허니 로커스트 검; 및 양이온화 벽오동 나무 검 (Chinese parasol-tree gum)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및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성 및 코팅감의 관점,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피부를 세정 및 건조한 후의 수분감의 관점에서, 양이온화 타라 감,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 양이온화 페누그릭 검, 양이온화 구아 검, 및 양이온화 계피 검이 바람직하고, 양이온화 타라 검,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 양이온화 구아 검, 양이온화 계피 검이 더욱 바람직하고, 양이온화 구아 검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로서는,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이하, "C-HEC" 라고도 함),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에 양이온성기와 알킬렌옥시기를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양이온성기로서는 4 급 암모늄 기가 바람직하다.
C-HEC 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Dow Chemical 에서 판매되는 UCARE JR125, UCARE JR4.00, UCARE JR30M, UCARE LR400, UCARE LR30M, SOFTCAT SL-5, SOFTCAT SL-30, SOFTCAT SL-60, SOFTCAT SL-100, SOFTCAT SX-400X, SOFTCAT SX-1300H, SOFTCAT SX-1300X, SOFTCAT SK-H and SOFTCAT SK-MH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에 양이온화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상세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WO2012/091072 을 참조할 수 있다.
양이온화 전분이란, 전분에 4 급 질소 함유기를 도입한 전분이다. 양이온화 전분은 전분을 양이온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양이온성기로서는 4 급 암모늄 기가 바람직하다. 양이온화 전분의 시판품으로서는 Lubrizol 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Sensomer CI-50 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Merquat 5 (Lubrizol 사제) 등의 메타크릴옥시알킬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Merquat 550, Merquat 740, Merquat 2200 및 Merquat S (모두 Lubrizol 사제) 등의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Merquat 280 및 Merquat 295 (모두 Lubrizol 사제) 등의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산 공중합체; Merquat 3330DRY (Lubrizol 사제) 등의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Merquat 2001 (Lubrizol 사제)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4 급 암모늄염-아크릴산-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Merquat 2003 (Lubrizol 사제)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4 급 암모늄염-아크릴산-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Luviquat Sensation (BASF 사제) 등의 디알릴 4 급 암모늄염-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 공중합체; 및 Sofcare KG-301W (Kao 사제 ), Sofcare KG-101W (Kao 사제) 등의 상기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의 가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및 모발 헹굼시에 있어서의 매끄러움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성 및 코팅감의 관점에서,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4 급 암모늄염-아크릴산-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4 급 암모늄염-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디알릴 4 급 암모늄염-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에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및 모발 헹굼시에의 매끄러움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성, 및 코팅감의 관점에서,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양이온화 구아 검, 양이온화 계피 검,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양이온화 구아 검,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이 더욱 바람직하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및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성 및 코팅감의 관점,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피부 세정 후의 수분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및 부드러움, 및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성 및 코팅감의 관점,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피부 세정 후의 수분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과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이다.
<유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제를 함유하는 할 수 있다.
유제로서는, 통상,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료, 토일레트리, 잡화 등에 사용되는 유성 성분으로서, 20 ℃ 에 있어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 g 내지 1 g 인 난수용성 또는 비수용성의 유제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제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본 발명의 효과, 특히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양호한 균일성 및 우수한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20 ℃ 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5 g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제로서는, 상기의 관점에서,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되는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 에스테르 오일)
에스테르 오일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본 발명의 효과, 특히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양호한 균일성 및 우수한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기 일반식 (16), (17) 또는 (19)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소수성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 및 하기 일반식 (20) 으로 나타내는 디알킬 카보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6) 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R25-COO-R26 (16)
(식 중, R25 는 탄소수 8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6 은 탄소수 1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냄)
일반식 (16) 의 R25 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R25 의 탄소수는, 상기의 관점에서, 10 내지 20 이 바람직하고, 12 내지 18 이 보다 바람직하다.
R26 의 탄소수는, 상기의 관점에서,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R26 의 탄소수는, 상기의 관점에서, 1 내지 20 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8 이 보다 바람직하다. R26 은, 페닐기로 임의로 분단되어 있는 탄소수 1 이상 18 이하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6) 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의 구체예로서는, 밀랍,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옥틸 도데실 에스테르, 카프릴릴 에이코세노에이트, 미리스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 옥타노에이트, 라우릴 옥타노에이트, 미리스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옥틸 프로필헵타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메틸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옥틸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메틸 올레에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부틸 올레에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에루세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6) 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중에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옥틸 라우레이트, 옥틸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및 이소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옥틸 라우레이트, 옥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17)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R27, R28 및 R2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 (18) 로 나타내는 기이며, 모두가 동시에 수소이지는 않음)
-CO-R30 (18)
(식 중, R30 은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 기로 임의로 분단되고,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되는, 탄소수 8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18) 에 있어서, R30 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8 내지 20 이 바람직하고, 8 내지 18 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7)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의 구체예로서는, 피마자유, 카카오유, 밀크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동백유, 행인유, 아몬드유, 밀배아유, 테오브로마 그란디플로룸씨 버터, 포도씨유, 바바수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넛유, 유차나무씨유, 시어 버터, 당동백씨유, 메도우폼유, 글리세릴 트리베헤네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7)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중에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넛유 및 시아 버터가 바람직하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넛유 및 시아 버터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9)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R31O-(AO)m-COR32 (19)
(식 중, R31 은 적어도 1 개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탄소수 6 내지 20 의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2 는 탄소수 1 내지 25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AO 는, 탄소수 2 내지 4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 은 1 내지 50 의 수이다. m 이 2 이상인 경우, m 개의 AO 기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일반식 (19) 의 R31 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6 내지 12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벤질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32 는, 상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 이상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 이하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 이하의 알킬기이다. R32 는, 탄소수 7 내지 21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1 내지 15 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AO 기는, 상기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옥시기가 바람직하고, m 은 1 내지 10 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9)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 옥사이드 (3 몰) 부가체와 미리스트산의 에스테르 (Croda 사의 상품명, Crodamol STS),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 옥사이드 (3 몰) 부가체와 2-에틸헥실산의 에스테르 (Croda 사의 상품명, Crodamol SFX) 등을 들 수 있다.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소수성 카르복실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소수성 카르복실레이트란 디펜타에리트리톨과 1 개 이상의 소수성 카르복실산의 탈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며, 여기서 소수성 카르복실산이란, 하이드록실기를 임의로 갖는 탄소수 15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이다. 소수성 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로진산 등을 들 수 있다.
입수성의 관점에서,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및 로진산의 혼합 산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0) 으로 나타내는 디알킬 카보네이트 화합물]
R33-O-(CH2CH2O)v-CO-(OCH2CH2)w-OR34 (20)
(식 중, R33 및 R34 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v 및 w 는 각각 0 또는 1 내지 50 의 수이다)
일반식 (20) 의 R33 및 R34 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8 이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 이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2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33 및 R34 는 각각, 상기의 관점에서, 탄소수 6 내지 18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v 및 w 는 각각, 상기의 관점에서, 0 또는 1 내지 5 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20) 으로 나타내는 디알킬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디옥틸 카보네이트 (Cognis' Cetiol C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에스테르 오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카르복실산과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글리세린,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당류를 제외한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당류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디이소프로필 다이머산 에스테르, 프로판디올 디카프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메톡시에틸 숙시네이트,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폴리-소이빈 지방산 수크로오스, 폴리수크로오스 베헤네이트, 수크로오스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록시알킬 (C16-18) 하이드록시다이머 디리놀레일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ii) 실리콘 오일)
실리콘 오일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치콘올 (말단에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 (분자에 아미노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글리세릴 변성 실리콘, 아미노 유도체 실리콘, 실리콘 왁스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오일의 25 ℃ 에 있어서의 점도는, 상기의 관점 및 계면활성제 조성물 제조시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10 mm2/s 내지 15,000,000 mm2/s 이 바람직하다.
((iii) 에테르 오일)
에테르 오일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하기 일반식 (21) 로 나타내는 디알킬 에테르 화합물, 또는 하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1) 로 나타내는 디알킬 에테르 화합물]
R35-O-R36 (21)
(식 중, R35 및 R36 은 각각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21) 의 R35 및 R36 은 각각,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8 이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 이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2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35 및 R36 은,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각각 탄소수 6 내지 18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21) 로 나타내는 디알킬 에테르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디옥틸 에테르 (Cognis' CETIOL OE)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화합물]
R37-O-(PO)r(EO)s-H (22)
(식 중, R37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PO 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EO 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PO 의 평균 부가 몰수 r 은 0.1 내지 15 의 수이고, EO 의 평균 부가 몰수 s 는 0 내지 10 의 수이다. s 가 0 이 아닌 경우, PO 및 EO 의 부가 방식은 랜덤 방식 또는 블록 방식일 수 있고, PO 와 EO 의 부가 순서도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다)
일반식 (22) 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R37 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R37 의 탄소수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R37 의 탄소수는 6 내지 20 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8 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12 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r 은, 상기의 관점에서,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r 은 13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s 는, 상기의 관점에서, 5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 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 r 이 1 내지 15 인, 폴리옥시프로필렌 헥실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옥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2-에틸헥실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데실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이소데실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펄 팔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이소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옥틸데실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에이코실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베헤닐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상기의 관점에서, 폴리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 r 이 3 내지 10 인 폴리옥시프로필렌 옥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데실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iv) 탄화수소 오일)
탄화수소 오일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20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오일의 구체예로서는, 스쿠알렌, 스쿠알란, 액체 파라핀, 액체 이소파라핀, 중질 액체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시클로파라핀, 폴리부텐, 바셀린,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세레신을 들 수 있다. 모발의 정돈감의 관점에서, 스쿠알란, 스쿠알렌, 액체 파라핀, 바셀린, 파라핀 왁스가 바람직하고, 스쿠알란, 액체 파라핀, 바셀린, 및 파라핀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v)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그 알킬기 또는 그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그 알킬기 또는 그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8 내지 2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내지 18 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헥실 알코올, 2-에틸헥실 알코올, 옥틸 알코올, 데실 알코올, 이소데실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에이코실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상기의 관점에서,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2-옥틸도데칸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탄소수 17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스테아르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베헨산, 로진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상기의 관점에서, 스테아르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베헨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제로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17)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디메틸폴리실록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탄소수 12 내지 18 의 고급 알코올, 탄소수 20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이다.
(유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 특히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사용 후의 달라붙는 느낌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은, 상기의 관점에서, 0.01 내지 3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2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1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유제] 는, 본 발명의 효과, 특히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6 이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통상,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또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글리세린, 보습제, 다당류, 폴리펩티드, 펄화제, 용제, 염료, 향료, 분사제, 에데트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아연 피리티온, 피로크톤 올라민 등의 항비듬제, 모발 염색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케라틴-환원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 및 계면활성제를 가온 하에 혼합한 후, 용해를 확인하고, 그후 CCE 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CCE 및 계면활성제의 첨가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CCE 는, 필요에 따라, 미리 분산 또는 용해시킨 후에 첨가할 수 있다.
오일, 양이온성 중합체,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그리고 펄화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그 밖의 성분이 필요에 따라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지만, 첨가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 및 CCE 의 혼합 전후에 첨가할 수 있거나 혼합과 동시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액체, 포움, 페이스트, 크림, 고체,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을 액체로 하는 경우에는, 액체 매체로서 물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CC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한다.
<CCE>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는, 모발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코팅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0, MS(Gly) 가 0.6 내지 2.4, MS(HC) 가 0.001 내지 0.06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6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3, MS(HC) 가 0.002 내지 0.0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이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 유제를 포함하는 경우, CCE 는, 모발 세정시의 우수한 손가락-빗질성, 모발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1.8 내지 2.4, MS(HC) 가 0.001 내지 0.06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1 내지 0.35, MS(Gly) 가 1.8 내지 2.2, MS(HC) 가 0.002 내지 0.0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8 내지 0.32,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05 내지 0.04 이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CCE 는, 모발 세정시의 우수한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및 코팅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1.6 내지 2.4, MS(HC) 가 0.005 내지 0.0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3, MS(HC) 가 0.005 내지 0.03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이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로서는, 통상,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료, 토일레트리, 잡화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우수한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기포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코팅감,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의 관점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N-메틸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및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등의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우수한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및 기포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부드러움 및 코팅감, 및 건조시의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5 내지 3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계면활성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매끄러운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및 기포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부드러움 및 코팅감, 및 건조시의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의 관점에서, 상기 비는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상기 비는 0.005 내지 0.3 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내지 0.05 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매끄러운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및 기포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부드러움 및 코팅감, 및 건조시의 우수한 수분감 및 균일성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상이고, 7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60 내지 95 질량% 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9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했을 때의,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모발의 매끄러운 손가락-빗질성, 모발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우수한 부드러움 및 코팅감의 관점, 및 헹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 헹굼 및 타올 드라이 후의 우수한 모발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들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유제>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세정시의 모발의 매끄러운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말하는 균일성이란, 모근으로부터 모발 끝의 부분까지 감촉이 균일한 것을 의미한다.
유제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세정 후의 모발에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는 실리콘 오일 및 에테르 오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세정 후의 모발에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의 함유량은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유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와 같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통상,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글리세린, 보습제, 다당류, 폴리펩티드, 펄화제, 용제, 염료, 향료, 에데트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아연 피리티온, 피로크톤 올라민 등의 항비듬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pH 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pH 2 내지 12 가 바람직하고, pH 3 내지 1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액체, 포움, 페이스트, 크림, 고체,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발 세정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모발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모발 세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CCE,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한다.
<CCE>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계면활성제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는, 건조 후에 우수한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0, MS(Gly) 가 0.5 내지 2.4, MS(HC) 가 0.002 내지 0.03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5, MS(Gly) 가 0.5 내지 2.2, MS(HC) 가 0.002 내지 0.02 이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로서는, 통상,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료, 토일레트리, 잡화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탄소수 8 내지 16 의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염; 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 타우레이트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술폰산염;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등의 소수성 부위를 갖는 아미노산염;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N-메틸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라우릴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이미다졸륨 베타인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과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뛰어난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건조 후의 뛰어난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5 내지 36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36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계면활성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피부 세정 후의 보습감의 관점에서,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피부 세정 후의 보습감의 관점에서, 0.005 내지 0.3 이 바람직하고, 0.005 내지 0.05 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피부 세정 후의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피부 세정 후의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40 내지 95 질량% 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9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세정 및 건조 후의 보습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는 양이온화 구아 검 및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들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유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 후의 수분감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제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세정 후의 수분감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로서는, 에스테르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해바라기유 및 바셀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유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다. 또한,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유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질량% 이다.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유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와 같다. 건조 후의 우수한 수분감 및 보습감의 관점에서,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이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통상,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글리세린, 보습제, 다당류, 폴리펩티드, 펄화제, 용제, 염료, 향료, 에데트산염, 시트르산 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pH 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pH 2 내지 12 가 바람직하고, pH 3 내지 1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액체, 포움, 페이스트, 크림, 고체,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피부 세정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피부를 세정한 후, 피부를 헹굼 및 건조하는 피부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피부 세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구체예로서는, 보디 샴푸, 핸드 워시, 세안제, 및 메이크업 리무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고려하면, 보디 샴푸, 핸드 워시, 또는 세안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로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은 본 발명의 CCE, 계면활성제, 유제 및 물을 함유한다.
<CCE>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을 부여하고,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을 부여하고, 건조 후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CCE 는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5, MS(Gly) 가 0.5 내지 2.5, MS(HC) 가 0.005 내지 0.0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4, MS(HC) 가 0.01 내지 0.03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후의 코팅감이란 모발의 표면에 막으로 된 물질로 코팅된 것 같은 감촉을 의미한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로서는, 통상,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료, 토일레트리, 잡화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의 관점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더욱이,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매끄러움 지속성, 및 부드러움,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의 관점에서, 그 함유량은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0.1 내지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계면활성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의 관점에서, 0.05 이상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에서, 0.05 내지 1 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0.5 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70 질량% 이상이고, 8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그리고 부드러움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70 내지 99.5 질량% 가 바람직하고, 80 내지 99.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은, 건조 후의 모발에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를 함유한다. 유제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건조 후의 모발의 수분감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유제는, 실리콘 오일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메틸폴리실록산, 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의 함유량)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유제의 함유량은, 건조 후의 모발에 수분감, 균일성 및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질량% 이다.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있어서,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유제] 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의 유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와 같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통상,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글리세린, 보습제, 다당류, 폴리펩티드, 펄화제, 용제, 염료, 향료, 에데트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pH>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의 pH 는,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했을 때의 존재감,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및 그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코팅감의 관점에서, pH 1 이상이 바람직하고, pH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pH 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pH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pH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pH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관점에서, pH 는 1 내지 10 이 바람직하고, 2 내지 8 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6 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액체, 포움, 페이스트, 크림, 고체,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발 조절 방법]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에 의한 모발 조절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를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세정된 모발에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세제로서는, 공지된 모발 세정 및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의 구체예로서는, 헤어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씻어내지 않는 타입 (leave-in) 의 헤어 컨디셔너, 헤어 크림, 컨디셔너 젤, 컨디셔너 포움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란, 염모제 조성물, 모발용 탈색제 조성물,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 스트레이트 파마제 조성물, 지속성 모발 세트제 조성물, 축모 교정제 조성물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처리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은, CCE, 그리고 염모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CCE 를 함유하면,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대표적인 구현예로서는, 모발 염모제 조성물 및 파마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발 염모제 조성물" 이란, 염료-함유 모발 염색제 조성물, 및 염료-무함유 모발 탈색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모발을 탈색함과 함께 염색하는 조성물도 포함한다. "파마제 조성물" 이란,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 스트레이트 파마제 조성물 및 축모 교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CCE>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CCE 는,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서 사용한 경우의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2, MS(Gly) 가 0.6 내지 2.3, MS(HC) 가 0.001 내지 0.0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1 내지 0.32, MS(Gly) 가 0.7 내지 2.0, MS(HC) 가 0.002 내지 0.03 이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서 사용한 경우,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은, 상기의 관점에서, 0.01 내지 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1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2 제 이상을 혼합해 사용하는 다제형인 경우에는, 모발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제 1 제에 CCE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처리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처리제] 는,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의한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0.00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염모용 염료>
염모용 염료는 모발 염모제 조성물 등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염모용 염료에는 직접 염료와 산화 염료 중간체가 포함된다.
직접 염료로서는, 통상,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니트로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산성 염료, 유용성 염료, 염기성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료의 구체예로서는, WO2011/040632 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직접 염료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직접 염료의 함유량은, 모발에 대한 염색성의 관점에서,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 0.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직접 염료의 함유량은, 모발에 대한 염색성의 관점에서, 0.005 내지 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 염료 중간체로서는, 통상 염모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프리커서 (precursor) 및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프리커서 및 커플러의 구체예로서는, WO2011/040632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산화 염료 중간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 염료 중간체의 함유량은, 모발에 대한 염색성의 관점에서,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제>
산화제는 모발 염모제 조성물, 파마제 조성물 등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산화제로서는, 과산화수소, 그리고 과산화수소 또는 산소의 발생제, 예컨대 과산화우레아, 과산화멜라민,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등의 과탄산염, 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등의 브롬산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모발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한 경우의 모발 염모성, 모발 탈색성의 관점, 및 파마제 조성물에 사용한 경우의 절단 된 모발 케라틴 내의 디술피드 결합을 효율적으로 재결합시키는 관점에서, 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산화제의 함유량은, 모발 손상 및 두피 자극의 저감의 관점에서,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칼리제>
알칼리제는 모발 염모제 조성물, 파마제 조성물 등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알칼리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및 그 염; 모노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2-아미노부탄올 등의 알칸올아민 및 그 염; 1,3-프로판디아민 등의 알칸디아민 및 그 염; 탄산구아니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제로서는,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서 사용했을 때의, 모발의 염모성 및 모발의 탈색성의 관점, 및 파마제 조성물로서 사용했을 때의 케라틴 환원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서 사용했을 때의, 모발의 염모성 및 탈색성의 관점, 파마제 조성물로서 사용했을 때의 케라틴 환원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 처리 후의 컬 지속성의 관점 및 모발 손상과 두피 자극의 저감의 관점에서, 0.1 질량% 내지 1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케라틴-환원제>
케라틴-환원제는 파마제 조성물 등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케라틴-환원제는,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의 디술피드 결합을 개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케라틴-환원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은, 파마제 조성물 중, 영구 웨이브 제 1 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케라틴-환원제로서는, 티오글리콜산 및 그 유도체, 티오락트산 및 그 유도체,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하기 식 (23) 의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하기 식 (24) 의 메르캅토알킬아미드 또는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R38OCH2CH(OH)CH2SH (23)
(식 중, R38 은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H-(CHOH)x-(CH2)y-CONH(CH2)z-SH (24)
(식 중, x 는 0 내지 5 의 수이며, y 는 0 내지 3 의 수이며, z 는 2 내지 5 의 수이다; 단, y 와 z 는 동시에 0 은 아니다)
케라틴-환원제의 구체예로서는,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L-시스테인, D-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이들 시스테인의 암모늄염; 이들 시스테인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에탄올아민 염; 에톡시하이드록시프로판티올, 메톡시에톡시하이드록시프로판티올, 이소프로폭시에톡시하이드록시프로판티올 등의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메르캅토에틸프로판아미드, 메르캅토에틸글루콘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케라틴-환원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케라틴-환원제의 함유량은,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의 디술피드 결합을 개열시켜 마무리시 양호한 파마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 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케라틴-환원제의 함유량은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은, CCE, 및 처리제의 용매 또는 분산매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은 10 질량% 내지 99.5 질량% 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은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및 그들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처리 후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유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은,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유제의 종류, 유제의 함유량 및 그들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2 제 이상을 혼합해 사용하는 다제형 조성물인 경우, CCE, 처리제, 계면활성제 또는 유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이란,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든 제형 내 각각의 제의 합계량에 대한, CCE, 처리제, 계면활성제 또는 유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을 의미한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통상,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글리세린, 보습제, 다당류, 폴리펩티드, 펄화제, 용제, 염료, 향료, 분사제, 에데트산 및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아연 피리티온, 피로크톤 올라민 등의 항비듬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 CCE,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제외한 처리제, 및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고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용해 확인 후,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첨가해 추가로 혼합한다.
CCE 는, 필요에 따라, 미리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후에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펄화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등을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액체, 포움, 페이스트, 크림, 고체,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발 처리 방법]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의한 모발 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모발에 접촉시켜 처리한 후, 헹굼 및 건조함으로써 목적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CCE, 및 염모용 염료, 산화제 및 알칼리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의 구현예에 대해 기재한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a) 및 (b) 의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과 하기 (c) 및 (d) 의 다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a) 염모용 염료 및 임의적으로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b)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지 않고 산화제를 함유하는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c) 알칼리제 및/또는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는 제 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로 이루어지는 2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d) 알칼리제 및/또는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는 제 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 및 산화 촉진제를 함유하는 제 3 제로 이루어지는 3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상기 2 제형 염모제 조성물 (c) 에 있어서는, 제 1 제와 제 2 제의 함유량 비 (질량비) [제 1 제/제 2 제] 는 2/8 내지 6/4 가 바람직하고, 3/7 내지 5/5 가 보다 바람직하고, 3.5/6.5 내지 4.5/5.5 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사용되는 것, 또는 가온하여 사용하는 것 중 임의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CCE)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처리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처리제] 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처리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와 같다.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의한 모발 처리 후의 헹굼시에,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처리제에 대한 CCE 의 질량비 [CCE/처리제] 는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염모용 염료)
모발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염모용 염료의 구체예, 함유량, 및 그들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염모용 염료의 구체예, 함유량 및 그들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모발의 탈색을 위한 경우,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산화제)
모발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구체예, 함유량 및 그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구체예, 함유량 및 그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의 염색성의 관점에서, 산화제로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또는 산소의 발생제인 과산화 우레아, 과산화 멜라민, 과붕산 나트륨, 과붕산 칼륨, 과탄산나트륨 또는 과탄산칼륨이 보다 바람직하고, 과산화수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산화제의 함유량은, 모발 손상 및 두피 자극의 저감의 관점에서, 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발의 염색성의 관점에서, 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칼리제)
본 발명의 모발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의 염모성 및 탈색성의 관점에서, 알칼리제로서는,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및 그들의 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도,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헹굼시의 모발의 향상된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2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로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유제)
본 발명의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유제의 종류,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향상의 관점에서, 유제로서는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2-옥틸도데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유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유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유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향상의 관점에서, 유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pH)
본 발명의 모발 염모제 조성물의 pH 는, 피부 및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1 제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pH 3 내지 9 가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2 제형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제 1 제의 pH 는 pH 8 내지 13 이 바람직하고, 제 2 제의 pH 는 pH 2 내지 5 가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3 제형 염모제 조성물인 경우, 제 1 제의 pH 는 pH 8 내지 13 이 바람직하고, 제 2 제의 pH 는 pH 2 내지 5 가 바람직하다. pH 의 조정은 공지된 pH 조정제를 사용해 실시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모발 염모제 조성물은, 그 밖의 성분으로서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그 밖의 성분에 기재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파마제 조성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파마제 조성물인 경우, 파마제 조성물은 CCE 를 함유하고 또한 처리제로서 케라틴-환원제,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파마제 조성물인 경우의 구현예를 기재한다.
파마제 조성물은, 케라틴-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로 이루어지는 2 제형이다.
파마제 조성물 중, 제 1 제와 제 2 제의 사용량비 (질량비)[제 1 제/제 2 제] 는 3/7 내지 7/3 이 바람직하고, 4/6 내지 6/4 가 보다 바람직하고, 4.5/5.5 내지 5.5/4.5 가 더욱 바람직하다.
파마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사용하는 것, 가온하에 사용하는 것, 웨이브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 축모 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 등 임의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CCE)
파마제 조성물 중의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CCE 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CCE 는,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에 매끄러움성, 양호한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제 1 제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라틴-환원제)
파마제 조성물 중의 케라틴-환원제의 종류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 및 조성물 중의 케라틴-환원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것과 같다.
(산화제)
파마제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제는 제 2 제에 배합된다. 파마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와 같다.
모발 케라틴 내 절단된 디술피드 결합을 충분히 재결합시키는 관점에서, 산화제로서는, 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파마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 케라틴 내 절단된 디술피드 결합을 충분히 재결합시키는 관점, 및 모발 손상 및 두피 자극의 저감의 관점에서, 파마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칼리제)
파마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제의 구체예 및 그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파마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모발 손상 및 두피 자극의 저감의 관점에서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pH)
파마제 조성물의 pH 는, 피부나 모발의 손상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제 1 제의 pH 는 pH 6 내지 12 가 바람직하고, 제 2 제의 pH 는 pH 3 내지 9 가 바람직하다. pH 의 조정은, 공지된 pH 조정제를 사용해 실시할 수 있다.
(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파마제 조성물인 경우도,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계면활성제)
파마제 조성물은, 처리 후의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그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헹굼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성,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향상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2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파마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그 밖의 성분)
파마제 조성물은, 유제 외에, 상기 모발 처리제 조성물의 그 밖의 성분의 부분에 기재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구현예와 관련해, 본 발명은 이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그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개시 한다.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며,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하이며, 하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n 은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며, 100 내지 12000 의 수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중, 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이고,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글리세롤기이고; 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이다. R4 내지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각각 음이온을 나타내고; r 및 s 는 각각 0 내지 3 의 정수이다.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2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2)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에 있어서,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와 또는 상기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다)
<2> 양이온 전하 밀도가 바람직하게는 0.05 mmo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mmol/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mmol/g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mmol/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mmo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mmol/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ol/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mol/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ol/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mmol/g 이하인, 상기 <1> 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3>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 (MS(N+))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4>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글리세롤기의 치환도 (MS(Gly)) 가,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5>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 (MS(HC)) 가,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6> 평균 중합도 n 이,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7> 상기 식 (2) 및 (3) 에 있어서, R4 내지 R9 가 각각,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또는 이소프로필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8> 상기 식 (2) 및 (3) 에 있어서, X- 및 Y- 가 각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 의 알킬 술페이트 이온, 술페이트 이온, 포스페이트 이온, 탄소수 1 내지 3 의 지방산 이온, 및 할로겐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 의 알킬 술페이트 이온, 술페이트 이온 및 할로겐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물 이온,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 및 브롬화물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9>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 가 0 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10> 상기 식 (8) 에 있어서, R12 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6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11> 상기 식 (6) 및 (7) 에 있어서, R10 및 R11 이 각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12>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갖는 기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또는 분기 알케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13> 25 ℃ 에 있어서의 1 질량% 수용액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mPa·s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14> 원료 셀룰로오스를, 양이온화제, 글리세롤화제,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와 반응시켜, 바람직하게는, 먼저 글리세롤화 반응을 실시한 후, 양이온화 반응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 반응이 순서대로 이어지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15> 이하의 방법 (i) 내지 (iii) 중 어느 것인, 상기 <14> 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방법 (i): 원료 셀룰로오스와 대량의 물, 및 대과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얻은 후,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와 반응시키는 방법.
방법 (ii):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함유 디메틸 술폭시드, 파라포름알데히드-함유 디메틸 술폭시드, 염화리튬-함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에 원료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고, 그 후 원료 셀룰로오스와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를 반응시키는 방법.
방법 (iii): 과잉의 알칼리 용매 또는 셀룰로오스를 용해가능한 특수한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분말상 또는 면상의 원료 셀룰로오스와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를 알칼리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방법.
<16> 글리세롤화제가 글리시돌, 3-할로-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글리세린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돌인, 상기 <14> 또는 <15> 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17> 사용하는 글리세롤화제의 양이 원료 셀룰로오스의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하인, 상기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18> 양이온화제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9) 또는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 및 글리시딜트리프로필암모늄의 염화물, 브롬화물 및 요오드화물,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트리프로필암모늄의 염화물, 3-브로모-2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3-브로모-2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브로모-2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프로필암모늄의 브롬화물,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및 3-요오도-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프로필암모늄의 요오드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및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브롬화물,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및 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의 브롬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 및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인, 상기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19> 사용하는 양이온화제의 양이,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몰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인, 상기 <14>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20>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1) 및 (12)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상기 <14>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21>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3), (14) 및 (15)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글리시딜 에테르,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및 이소데실 글리시딜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인, 상기 <14>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22>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도입제의 양이, 원료 셀룰로오스의 AGU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인, 상기 <14>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 방법.
<23>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24>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23>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25>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3 내지 0.9, MS(Gly) 가 0.5 내지 3.0 이하, MS(HC) 가 0.001 내지 0.1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0.5 내지 2.5, MS(HC) 가 0.001 내지 0.06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23> 또는 <24>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26>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상기 <23>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27>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탄소수 8 내지 16 의 고급 지방산염, 하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알킬 에테르 아세트산염, 술포숙신산 알킬 에스테르염, 아실글루탐산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타우레이트 및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황산염 및 탄소수 12 내지 24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26>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R-O-(CH2CH2O)a-CH2-COOM (I)
(식 중, R 은 탄소수 4 내지 2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4 내지 16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2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을 나타낸다)
<28>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알킬 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및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26>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29>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민 옥사이드형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린계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민 아세테이트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라우릴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이미다졸륨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및 라우릴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26>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로 임의로 분단되어 있는 탄소수 12 내지 28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4 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및 3 급 아민의 광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염, 모노-장쇄 알킬디메틸아민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인, 상기 <26>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31>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인, 상기 <23>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2>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상기 <23>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3>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인, 상기 <23>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4>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상기 <23>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5>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전분,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이온화 구아 검, 양이온화 계피 검,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34>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6>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인, 상기 <34> 또는 <35>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7>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상기 <33>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8>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23>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39> 유제의 20 ℃ 에 있어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 g 이상이고 1 g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 이하인, 상기 <38>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40>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17)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오일, 디메틸폴리실록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탄소수 12 내지 18 의 고급 알코올, 또는 탄소수 20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인, 상기 <38> 또는 <39> 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41>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인, 상기 <38>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42> 유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유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인, 상기 <38>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43> 모발 세정제 조성물, 피부 세정제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또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상기 <23>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계면활성제 조성물.
<4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45>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0, MS(Gly) 가 0.6 내지 2.4, MS(HC) 가 0.001 내지 0.06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6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3, MS(HC) 가 0.002 내지 0.05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44>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46>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44> 또는 <45>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47>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및 알킬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44>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48>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인, 상기 <44>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49>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계면활성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인, 상기 <44>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0>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인, 상기 <44>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1>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상기 <44>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2>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전분,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갈락토만난,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이온성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이온화 구아 검, 양이온화 계피 검, 양이온화 로커스트빈 검,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51>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3>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1.6 내지 2.4, MS(HC) 가 0.005 내지 0.05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3, MS(HC) 가 0.005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51> 또는 <52>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4>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44>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5> 유제의 20 ℃ 에 있어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 g 이상이며, 1 g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 이하인, 상기 <54>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6>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 및 에테르 오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54> 또는 <55> 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7>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54>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8> 유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유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인, 상기 <54>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59>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7, MS(Gly) 가 1.8 내지 2.4, MS(HC) 가 0.001 내지 0.06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1 내지 0.35, MS(Gly) 가 1.8 내지 2.2, MS(HC) 가 0.002 내지 0.05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8 내지 0.32,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05 내지 0.04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54> 내지 <5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
<60>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61>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0, MS(Gly) 가 0.5 내지 2.4, MS(HC) 가 0.002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5, MS(Gly) 가 0.5 내지 2.2, MS(HC) 가 0.002 내지 0.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60> 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2>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60> 또는 <61> 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3>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황산염, 탄소수 8 내지 16 의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소수성 부위를 갖는 술폰산염, 소수성 부위를 갖는 아미노산염,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및 이미다졸린계 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60>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4>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인, 상기 <60>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5>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계면활성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인, 상기 <60> 내지 <6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6>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인, 상기 <60>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7>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고, 양이온화 구아 검 및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60>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8>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60>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69> 유제의 20 ℃ 에 있어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 g 이상이며, 1 g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 이하인, 상기 <68> 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70>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바라기유 및 바셀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68> 또는 <69> 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71>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인, 상기 <68>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72> 유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유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인, 상기 <68>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73>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보디 샴푸, 핸드 워시, 세안제, 및 메이크업 리무버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보디 샴푸, 핸드 워시, 및 세안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60> 내지 <7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7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유제 및 물을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75>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5, MS(Gly) 가 0.5 내지 2.5, MS(HC) 가 0.005 내지 0.05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28, MS(Gly) 가 1.8 내지 2.4, MS(HC) 가 0.01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MS(N+) 가 0.20 내지 0.25, MS(Gly) 가 2.0 내지 2.2, MS(HC) 가 0.01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74> 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76>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74> 또는 <75> 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77>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로 임의로 분단된 탄소수 12 내지 28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4 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및 3 급 아민의 광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염, 및 모노-장쇄 알킬디메틸아민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74>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78>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인, 상기 <74>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79>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인, 상기 <74>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0>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인, 상기 <74> 내지 <7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1> 유제의 20 ℃ 에 있어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0 g 이상이며, 1 g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 이하인, 상기 <74> 내지 <8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2>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74> 내지 <8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3>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인, 상기 <74> 내지 <8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4> 유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유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인, 상기 <74> 내지 <8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5>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pH 가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인, 상기 <74> 내지 <8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6>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이 헤어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씻어내지 않는 타입 (leave-in) 의 헤어 컨디셔너, 헤어 크림, 컨디셔너 젤, 또는 컨디셔너 포움인, 상기 <74>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87>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함유하고, 염모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
<88>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게는 MS(N+) 가 0.05 내지 0.32, MS(Gly) 가 0.6 내지 2.3, MS(HC) 가 0.001 내지 0.05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MS(N+) 가 0.11 내지 0.32, MS(Gly) 가 0.7 내지 2.0, MS(HC) 가 0.002 내지 0.03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상기 <87>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89>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87> 또는 <88>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0> 2 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다제형 조성물이며,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제 1 제에 배합되는, 상기 <87> 내지 <8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1> 처리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처리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인, 상기 <87> 내지 <9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2> 염모용 염료가 직접 염료 및 산화 염료 중간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87> 내지 <9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3> 직접 염료가 니트로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산성 염료, 유용성 염료, 및 염기성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92>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4> 직접 염료의 함유량이 0.0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92> 또는 <93>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5> 산화 염료 중간체가 프리커서 및 커플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92> 내지 <9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6> 산화 염료 중간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92> 내지 <9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7> 산화제가,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과산화멜라민,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탄산염 및 브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87> 내지 <9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8> 산화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인, 상기 <87> 내지 <9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99> 알칼리제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알칸디아민 및 그 염, 그리고 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87> 내지 <9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0> 알칼리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10 질량% 이하인, 상기 <87> 내지 <9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1> 케라틴-환원제가,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리콜산 및 그 유도체, 티오락트산 및 그 유도체,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 상기 식 (23) 으로 나타내어지는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또는 그 염, 및 상기 식 (24) 로 나타내어지는 메르캅토알킬아미드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L-시스테인, D-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이들 시스테인의 암모늄염 및 에탄올아민염,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메르캅토에틸프로판아미드, 및 메르캅토에틸글루콘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87>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2> 케라틴-환원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인, 상기 <87> 내지 <10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3> 추가로 물을 함유하고,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상기 <87>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4> 추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87>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5>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87> 내지 <10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6>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05>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7>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인, 상기 <105> 또는 <106>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8> 유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유제] 가,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인, 상기 <105>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09>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 및 파마제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87> 내지 <10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0>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모발 염모제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염모제 조성물 및 모발용 탈색제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09>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1>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염모용 염료, 산화제 및 알칼리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함유하는, 상기 <110>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2>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하기 (a) 및 (b) 의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및 하기 (c) 및 (d) 의 다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10> 또는 <111>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a) 염모용 염료 및 임의적으로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b)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지 않고, 산화제를 함유하는 1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c) 알칼리제 및/또는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는 제 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로 이루어지는 2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d) 알칼리제 및/또는 염모용 염료를 함유하는 제 1 제,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 및 산화 촉진제를 함유하는 제 3 제로 이루어지는 3 제형 모발 염모제 조성물.
<113> 상기 2 제형 염모제 조성물 (c) 중의 제 1 제와 제 2 제의 함유량비 (질량비)[제 1 제/제 2 제] 가,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6/4,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5/5,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5 내지 4.5/5.5 인, 상기 <112>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4>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110>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5>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염모용 염료가, 바람직하게는 직접 염료 및 산화 염료 중간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11> 내지 <1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6>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가,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과산화멜라민,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탄산염 및 브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과산화멜라민,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탄산나트륨 및 과탄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인, 상기 <111>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7>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하인, 상기 <111> 내지 <1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8>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알칸디아민 및 그 염, 그리고 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및 그 염,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11> 내지 <1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19>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10 질량% 이하인, 상기 <111>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0>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추가로 물을 함유하고, 물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상기 <111> 내지 <1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1>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추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상기 <111> 내지 <1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2>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부위를 갖는 황산 에스테르 염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21> 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3>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인, 상기 <121> 또는 <122>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4> 모발 염모제 조성물이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111> 내지 <1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5>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 에스테르 오일, (ii) 실리콘 오일, (iii) 에테르 오일, (iv) 탄화수소 오일, (v) 고급 알코올, 및 (vi) 하이드록실기가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7 내지 23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2-옥틸도데칸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24>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6> 모발 염모제 조성물 중의 유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124> 또는 <125>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7>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파마제 조성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 스트레이트 파마제 조성물, 지속성 모발 세트제 조성물, 및 축모 교정제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09>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8> 파마제 조성물이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처리제로서, 케라틴-환원제,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상기 <127>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29> 파마제 조성물이 케라틴-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 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 제로 이루어지는 2 제형이며, 제 1 제와 제 2 제의 사용량비 (질량비) [제 1 제/제 2 제] 가,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7/3, 보다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6/4, 더욱 바람직하게는 4.5/5.5 내지 5.5/4.5 인, 상기 <127> 또는 <128>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0> 파마제 조성물 중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인, 상기 <128> 또는 <129> 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1> 파마제 조성물 중의 케라틴-환원제가,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리콜산 및 그 유도체, 티오락트산 및 그 유도체,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 상기 식 (23) 의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및 그 염, 및 상기 식 (24) 의 메르캅토알킬아미드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L-시스테인, D-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이들 시스테인의 암모늄염 및 에탄올아민염, 티오글리세릴 알킬 에테르, 메르캅토에틸프로판아미드, 및 메르캅토에틸글루콘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28> 내지 <13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2> 파마제 조성물 중의 케라틴-환원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인, 상기 <128>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3> 파마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가,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과산화멜라민,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탄산염 및 브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브롬산 칼륨, 브롬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28> 내지 <13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4> 파마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128> 내지 <13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5> 파마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알칸디아민 및 그 염, 그리고 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및 그 염, 알칸올아민 및 그 염,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28> 내지 <13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6> 파마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상기 <128> 내지 <13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발 처리제 조성물.
<137> 상기 <44> 내지 <59> 중 어느 하나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세정 방법.
<138> 상기 <60> 내지 <73> 중 어느 하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피부를 세정한 후, 피부를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
<139> 세정제를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상기 <74> 내지 <86> 중 어느 하나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조절 방법.
<140> 상기 <87> 내지 <136> 중 어느 하나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처리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처리 방법.
<141>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142> 조성물이 추가로 유제를 함유하는, 상기 <141> 에 따른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143> 조성물이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상기 <141> 또는 <142> 에 따른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14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부 세정제로서의 용도.
<145>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유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모발 컨디셔너로서의 용도.
<146>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그리고 염모제,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모발 처리제로서의 용도.
[실시예]
이하의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 는 "질량%" 를 의미한다. 또한, 각종 물성 등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1) 셀룰로오스의 점도 평균 중합도의 측정 (구리 암모니아법)
(i) 측정용 용액의 제조
메스 플라스크 (100 mL) 에 염화제1구리 0.5 g, 및 25% 암모니아수 20 내지 30 mL 를 첨가하여 완전하게 용해한 후에, 수산화제2구리 1.0 g, 및 25% 암모니아수를 플라스크의 표선까지 추가한 후,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3 시간 교반하였다.
(ii) 샘플의 제조
메스 플라스크 (25 mL) 에 측정 샘플을 25 mg 첨가하고, 플라스크의 표선과 메니스커스가 일치할 때까지 상기에서 제조한 용액을 첨가했다. 이것을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6 시간 교반했다.
(iii) 점도 평균 중합도의 측정
얻어진 구리 암모니아 수용액을 우벨로데 점도계에 넣어 항온조 (20±0.1℃) 에서 1 분 동안 정치한 후, 액의 유하 속도를 측정했다. 여러 가지의 시료 농도 (g/L) 의 구리 암모니아 용액의 유하 시간 (t (초)) 및 시료 무첨가의 구리 암모니아 수용액의 유하 시간 (t0 (초)) 으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상대 점도 ηr 를 구했다.
ηr = t/t0
다음으로, 각각의 농도에 있어서의 환원 점도 (ηsp/c) 를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했다.
ηsp/c = (ηr - 1)/c
(c: 시료 농도 (g/dL))
또한, 환원 점도를 c=0 로 외삽하여, 고유 점도〔η〕를 구하고, 이하의 식에 따라 점도 평균 중합도 (n) 를 구했다.
n = 2000 ×〔η〕
실시예에 있어서, CCE 의 평균 중합도 및 양이온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C-HPC) 의 평균 중합도는, 제조에 사용한 원료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
(2) CCE 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치환도, MS 의 산출
CCE 의 글리세롤기의 치환도 (MS(Gly)),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 (MS(N+)),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 (MS(HC)) 는 이하의 계산식 (1) 내지 (3) 의 연립 방정식에 의해 산출했다.
-a ×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 × MS(HC) + (74.1 - 74.1 ×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 × MS(Gly) - b ×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 × MS(N+) = 162.1 ×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1)
-a × (질소 함유량 (%)) × MS(HC) - 74.1 × (질소 함유량 (%)) × MS(Gly) + (b - b × 질소 함유량 (질량%)) × MS(N+) = 162.1 × (질소 함유량 (%))···(2)
(a - a ×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 (%))) × MS(HC) - 74.1 ×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 (%)) × MS(Gly) - b ×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 (%)) × MS(N+) = 162.1 ×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 (%))···(3)
(식 중, a 는 탄화수소기-함 기의 분자량을, b 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연립 방정식 중,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질소 함유량,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은 각각 글리세롤기,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를 구성하는 질소 및 탄화수소기-함유기의 질량% 를 나타내며, 하기 방법에 따라 산출했다.
〔글리세롤기 및 탄화수소기-함유기의 함유량 (질량%) 의 측정〕
CCE 중에 함유되는,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 (질량%) 는 Analytical Chemistry, Vol.51, No.13, 2172(1979), "15 차 개정 일본 약국방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분석 방법의 섹션)" 등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알콕시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알려진 Zeisel 법에 따라 산출했다. 이하에 순서를 나타낸다.
(i) 25 mL 메스 플라스크에 n-테트라데칸 1 mL 를 첨가한 후, o-자일렌을 액의 메니스커스 아래쪽 면이 메스 플라스크의 표선 상측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하고, 교반하여 내부 표준 용액을 제조했다.
(ii) 정제 및 건조를 실시한 CCE 65 mg, 및 아디프산 65 mg 을 10 mL 바이알병에 정밀 칭량하고, (i) 에서 제조한 내부 표준 용액 2 mL, 및 요오드화수소산 2 mL 를 첨가해 밀봉했다.
(iii) 상기 바이알병 중의 혼합물을, 스터러 팁으로 교반하면서, 150 ℃ 의 블록 히터로 1 시간 동안 가열했다.
(iv) 바이알병 중의 2 상으로 분리된 혼합물의 상층 (o-자일렌 층) 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해, 글리세롤기 유래의 요오드화이소프로필, 및 탄화수소기-함유기 유래의 탄화수소기의 요오드화물 (예를 들어, 탄화수소기-함유기가 2-에틸헥실기의 경우에는, 요오드화 2-에틸헥실) 을 정량하여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글리세롤기의 함유량 (질량%),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함유량 (질량%) 을 산출했다.
분석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
칼럼: Agilent 사제 HP-1 (길이: 30 m, 내경: 0.32 mm, 막두께: 0.25 mm, 고정상: 100% 메틸실록산)
칼럼 온도: 40 ℃ (5 min) → 10 ℃/min → 230 ℃(5 min)
인젝터 온도: 210 ℃,
검출기: 수소 불꽃 이온 검출기 (FID)
검출기 온도: 230 ℃
주입량: 1 μL
캐리어 가스 유량: 헬륨 3.0 mL/min
〔질소 함유량 (질량%) 의 측정〕(Kjeldahl 법)
정제 및 건조한 CCE 100 mg 을 정밀 칭량하여, 여기에 황산 10 mL 및 분해 촉진제 "KJELATABS" (Nakayama Rika Seisakusho 사제) 1 정을 첨가하고; Kjeldahl분해 장치 "K-432" ("BUCHI" 사제) 를 이용해, 250 ℃ 에서 30 분, 300 ℃ 에서 30 분, 420 ℃ 에서 80 분 동안 순서대로 가열하여 완전 분해를 실시했다. 분해 반응 후, 샘플에 이온 교환수 30 mL 를 첨가하고; 자동 Kjeldahl 증류/적정 장치 "K-370" (BUCHI 사제) 을 이용해,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 mL 를 첨가하여 알칼리성으로 한 후, 증류에 의해 유리된 암모니아를 1% 붕산 수용액 중에 수집하고, 이후 이를 0.01 N 황산 (Wako Pure Chemicals 사제, 정량 분석용) 을 이용해 적정함으로써, CCE 중의 질소 함유량 (질량%) 을 구했다.
(3) C-HPC 내 치환도, MS 의 산출
C-HPC 중의 프로필렌옥시기의 치환도 및 양이온화 옥시에틸렌기의 치환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산출했다.
제조예에서 얻어진 C-HPC 를 투석막 (분획 분자량: 1000) 으로 정제 후, 수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정제 C-HPC 를 얻었다. 얻어진 정제 C-HPC 의 염소 함유량 (%) 을 원소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C-HPC 중의 양이온화 옥시에틸렌기의 수를 카운터 이온인 염화물 이온의 수와 동일하다고 근사하여, 하기 계산식 (4) 로부터, C-HPC 단위 질량 중의 양이온화 에틸렌옥시기의 양 (a (몰/g)) 을 구했다.
a (몰/g) = (원소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염소 함유량 (%) / (35.5 × 100)···(4)
분석 대상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는 아니고 정제 C-HPC 인 것을 제외하고는,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분석법" 에 따라,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함유량 (%) 을 측정했다. 하기 계산식 (5) 로부터,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함유량〔식량(OC3H6OH) = 75.09〕(b (몰/g)) 을 구했다.
b (몰/g)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얻어진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함유량 (%) / (75.09 × 100)···(5)
얻어진 a 및 b 로부터 하기 계산식 (6) 및 (7) 에 따라, 양이온화 에틸렌옥시기의 치환도 (k) 및 프로필렌옥시기의 치환도 (m) 를 산출했다.
a = k / (162 + k × K + m × 58)···(6)
b = m / (162 + k × K + m × 58)···(7)
〔식 중, k 및 K 는 각각 양이온화 에틸렌옥시기의 치환도 및 식량을 나타내고, m 은 프로필렌옥시기의 치환도를 나타낸다〕
(4) 수용성의 평가
직경 32 mm 의 원주상의 50 mL 바이알에, 정제 및 건조를 실시한 CCE 등의 각종 중합체 0.5 g, 및 이온 교환수 49.5 g 을 넣고, 6 시간 동안 교반하여 1% 수용액 또는 1%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1% 수용액 또는 1% 분산액을 용해성에 관해 육안 평가하였다.
A : 용해성 높음 (투명)
B : 용해성 낮음 (조금 탁함이 생김)
C : 불용 (겔)
(5) 수용액 점도의 측정
직경 32 mm 의 원주상의 50 mL 바이알에, 정제 및 건조를 실시한 CCE 등의 각종 중합체 0.5 g 및 이온 교환수 49.5 g 을 넣고, 6 시간 동안 교반하여 CCE 등의 중합체의 1 질량% 수용액 또는 1 질량% 분산액을 수득했다.
얻어진 1 질량% 수용액 또는 1 질량% 분산액을 항온 수조 중에서 25 ℃ 에서 조절한 후, B 형 점도계 "TVB-1 M" (Toki Sangyo 사제) 을 이용해, 측정 온도: 25 ℃, 회전수: 30 rpm, 로터: 1, 2, 3, 또는 4 로 점도를 측정했다.
사용하는 로터는, 측정 결과가 사용 로터에 대한 점도의 측정 범위의 상한치의 20 내지 90% 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했다.
(6) 물 함유량의 측정
펄프, 면상 셀룰로오스 및 분말상 셀룰로오스의 물 함유량은, 전자식 수분계 "MOC-120H" (Shimadzu 사제) 를 이용해, 측정 온도 120 ℃ 에서 측정했다. 약 1 g 의 샘플을 이용해 30 초 내 중량 변화율이 0.1% 이하가 되는 지점을 측정의 종점으로 했다.
(7) 원료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위치의 측정
원료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위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이하, "GC" 라고 함) 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올레핀을 디메틸디술피드와 반응시킴으로써 디티오화 유도체를 얻은 후, 구성 성분을 GC 로 분리했다. 각각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위치를 구했다.
또한, 측정에 사용한 장치 및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GC 장치: "HP6890" (HEWLETT PACKARD 사제)
칼럼: "Ultra-Alloy-1HT 캐필러리 칼럼" 30 m×250 μm×0.15 μm (Frontier Labo 사제)
검출기: 수소 불꽃 이온 검출기 (FID)
인젝션 온도: 300 ℃
검출기 온도: 350 ℃
He 유량: 4.6 mL/분
(8)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의 측정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는, HPLC-MS 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HPLC 에 의해 하이드록시체과 올레핀체를 분리하여, 각 성분을 MS 에 의해 동정했다. 각 성분의 HPLC-MS 피크 면적으로부터 각 성분의 비율을 구했다.
측정에 사용한 장치 및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HPLC 장치: "Agilent Technology 1100" (Agilent Technology 사제)
칼럼: "L-column ODS" 4.6×150 mm (Chemicals Evaluation and Research Institute, Japan)
샘플 제조: 메탄올로 1/1000 희석
용리액 A: 10 mM 아세트산 암모늄 첨가 물
용리액 B: 10 mM 아세트산 암모늄 첨가 메탄올
구배: 0분 (A/B=30/70%)→10분 (30/70%)→55분 (0/100%)→65분 (0/100%)→66분 (30/70%)→75분 (30/70%)
MS 장치: "Agilent Technology 1100MS SL(G1946D)"
MS 검출기: 음이온 검출기 m/z 60-1600, UV 240 nm
(9)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중의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의 측정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중의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GC 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수용액에 에탄올과 석유 에테르를 첨가한 후, 추출해 석유 에테르 상 중에 원료 내부 올레핀을 분리했다. 그 GC 피크 면적으로부터 올레핀량을 정량했다.
또한, 측정에 사용한 장치 및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GC 장치: "Agilent Technology 6850" (Agilent Technology 사제)
칼럼: "Ultra-Alloy-1HT 캐필러리 칼럼 "15 m×250 μm×0.15 μm (Frontier Labo 사제)
검출기: 수소 불꽃 이온 검출기 (FID)
인젝션 온도: 300 ℃
검출기 온도: 350 ℃
He 유량: 3.8 mL/분
(10)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중의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의 측정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중의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위차 적정 및 중화 적정에 의해 측정했다. Na2SO4 의 함유량은 술페이트 라디칼 (SO4 2-) 을 전위차 적정에 의해 정량했다. NaOH 의 함유량은 희염산으로 중화 적정하여 정량했다.
(11) 술폰산기가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의 측정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술폰산기의 결합 위치는 GC 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을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과 반응시킴으로써 메틸에스테르화 유도체를 수득한 후, 구성 성분을 GC 로 분리했다. 각 성분의 피크 면적 질량비에 기초하여, 술폰산기가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또한, 측정에 사용한 장치 및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GC 장치: "Agilent Technology 6850" (Agilent Technology 사제)
칼럼: "HP-1 캐필러리 칼럼" 30 m×320 μm×0.25 μm (Agilent Technology 사제)
검출기: 수소 불꽃 이온 검출기 (FID)
인젝션 온도: 300 ℃
검출기 온도: 300 ℃
He 유량: 1.0 mL/min
오븐: 60 ℃ (0 min.)→10 ℃/min.→300 ℃ (10 min.)
제조예 1 (CCE (1) 의 제조)
(1)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공정
원료 셀룰로오스로서 시트상 목재 펄프 (Tembac's BioflocHV+, 평균 중합도 1550) 를 이용하고, 이를 슈레더 "MSX2000-IVP440F" (Meiko Shokai 사제) 를 이용해 칩상으로 잘게 썰었다. 그 후, 80 ℃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물 함유량 0.18% 의 칩상의 건조 펄프를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칩상의 건조 펄프 920 g 을, 배치식 진동 밀 "FV-10" (Chuo Kakohki 사제: 용기 전체 용적 33 L, 로드 φ 30 mm 및 길이 510 mm, 단면 형상이 원형인 SUS304 제 로드 63 개, 충전율 70 체적%) 에 투입했다. 진동수 20 Hz, 전진폭 8 mm, 온도 10 내지 40 ℃의 범위에서 10 분 동안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분말 890 g (평균 중합도 1233) 을 얻었다.
(2) 글리세롤화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디메틸 술폭시드 (Wako Pure Chemicals 사제) 162.0 g,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TBAF, Kanto Chemical 사제) 33.2 g 을 투입하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것에, 상기에서 얻어진 분말상 셀룰로오스 3.0 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또한, 미분말화한 수산화칼륨 1.0 g (1.0 몰/AGU 1 몰) 을 첨가하고, 잘 분산시켰다. 70 ℃ 로 가열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반응액을 교반을 계속하면서, 글리시돌 6.1 g (4.4 몰/AGU 1 몰) 과 디메틸 술폭시드 6.1 g 을 혼합하여 미리 제조한 용액을 5 시간 들여 첨가했다. 첨가 후, 추가로 7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 후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 후, 아세트산 1.2 g (반응 전에 첨가한 KOH 에 대해 1.1 당량) 을 첨가해 중화하고, 이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 얻어진 상청액을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2/4/4(체적 비) 의 혼합 용매 (3 L, 25 ℃) 중에 투입했다.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상기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 혼합 용매 1 L 로 세정한 후,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3.5 g 을 얻었다.
(3)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부가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70% 디메틸 술폭시드 수용액 67.0 g 을 투입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1.0 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그 후,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07 g (0.2 몰/AGU 1 몰) 을 첨가해 실온에서 교반했다. 그 후, 양이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Sakamoto Chemical Industry 사제, 물 함유량 20 질량%, 순도 80%) 0.43 g (0.5 몰/AGU 1 몰)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0.04 g (0.05 몰/AGU 1 몰) 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용액에 교반하에 첨가한 후, 50 ℃ 로 가열하고, 5 시간 동안 반응했다. 그 후, 반응액을 반응 전에 첨가한 NaOH 에 대해 1.1 당량의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500 mL 의 에탄올/이소프로판올 (7/3 체적비) 중에 투입하고,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상기 에탄올/이소프로판올 혼합 용매 500 mL 로 세정하고,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CCE (1) 0.9 g 을 얻었다.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 및 얻어진 CCE (1) 의 치환도, 1% 수용액 점도 및 수용성 평가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 (CCE (2) 의 제조)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2) 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3 (CCE (3) 의 제조)
(1)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공정
이것은 제조예 1 의 (1)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공정과 동일하다.
(2) 글리세롤화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부가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디메틸 술폭시드 (Wako Pure Chemicals) 111.0 g,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TBAF" (Kanto Chemical 사제) 22.1 g 을 투입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것에, 상기에서 얻어진 분말상 셀룰로오스 2.0 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해시켰다. 추가로, 미분말화한 수산화칼륨 0.69 g (1.0 몰/AGU 1 몰) 을 첨가하고, 잘 분산시켰다. 70 ℃ 로 가열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반응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미리 글리시돌 7.0 g (7.7 몰/AGU 1 몰) 및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Tokyo Chemical 사제) 0.09 g (0.04 몰/AGU 1 몰) 을 디메틸 술폭시드 7.09 g 에 용해시킨 용액을 5 시간 들여 첨가했다. 첨가 후, 추가로 7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해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 후, 아세트산 0.8 g (반응 전에 첨가한 KOH 에 대해 1.1 당량) 을 첨가해 중화하고, 이후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원심분리를 실시해, 이후 얻어진 상청액을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2/4/4(체적 비) 의 혼합 용매 (10 L, 25 ℃) 중에 투입했다.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상기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 혼합 용매 1 L 로 세정한 후,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2.1 g 을 얻었다.
(3) 양이온화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70% 디메틸 술폭시드 수용액 67.0 g 을 투입해,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세롤화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 1.0 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그 후,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07 g (0.2 몰/AGU 1 몰)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했다. 그 후, 양이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Sakamoto Chemical industry 사제, 물 함유량 20 질량%, 순도 80%) 0.48 g (0.59 몰/AGU 1 몰) 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용액에 교반하에 첨가해, 50 ℃ 로 가열하고, 5 시간 동안 반응했다. 그 후, 반응액을 반응 전에 첨가한 NaOH 에 대해 1.1 당량의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500 mL 의 에탄올/이소프로판올 (7/3 체적비) 중에 투입해,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상기 에탄올/이소프로판올 혼합 용매 500 mL 로 세정하고,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CCE (3) 0.9 g 을 얻었다.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 및 얻어진 CCE (3) 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4 내지 7 (CCE (4) 내지 (7) 의 제조)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3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4) 내지 CCE (7)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8 (CCE (8) 의 제조)
(1)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시트상 목재 펄프 (Tembac's, Biofloc XV18, 평균 중합도 1977) 를 시트 펠릿타이저 "SGG-220" (Horai 사제) 를 이용해 칩으로 펠릿화했다. 그 후, 80 ℃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물 함유량 0.18% 의 칩상의 건조 펄프를 얻었다. 얻어진 칩상의 셀룰로오스를 익스트림 밀 "MX-1200 XTM Model" (Waring 사제, 총 체적 150 mL) 에 투입하고, 회전수 24000 rpm 에서 20 ℃ 에서 30 초 동안 분쇄시켜 면상 셀룰로오스 (평균 중합도 1977) 를 얻었다.
(2) 글리세롤화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디메틸 술폭시드 (Wako Pure Chemicals) 584 g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TBAF" (Kanto Chemical 사제) 116.2 g 을 투입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것에, 상기에서 얻어진 면상 셀룰로오스 7.0 g 을 첨가해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해 용해시켰다. 추가로, 미분말화한 수산화칼륨 2.4 g (1.0 몰/AGU 1 몰) 을 첨가해 잘 분산시켰다. 70 ℃ 로 승온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반응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미리 글리시돌 124.1 g (38.8 몰/AGU 1 몰) 과 디메틸 술폭시드 124.1 g 을 혼합한 용액을 5 시간 들여 첨가했다. 첨가 후, 추가로 7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해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 후, 아세트산 2.8 g (반응 전에 첨가한 KOH 에 대해 1.1 당량) 을 첨가해 중화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 얻어진 상청액을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2/4/4(체적비) 의 혼합 용매 (10 L, 25 ℃) 중에 투입했다.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상기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 혼합 용매 1 L 로 세정한 후,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13.0 g 을 얻었다.
(3) 양이온화 반응,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부가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70% 디메틸 술폭시드 수용액 99.0 g 을 투입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1.0 g 을 첨가해, 실온에서 교반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그 후,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15 g (0.25 몰/AGU 1 몰) 을 첨가해 실온에서 교반했다. 그 후, 양이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Sakamoto Chemical industry 사제, 물 함유량 20 질량%, 순도 80%) 1.96 g (3.51 몰/AGU 1 몰)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0.04 g (0.07 몰/AGU 1 몰) 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용액에 교반하에 첨가한 후, 50 ℃ 로 승온하여 5 시간 동안 반응했다. 그 후, 반응액을 반응 전에 첨가한 NaOH 에 대해 1.1 당량의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500 mL 의 에탄올/이소프로판올 (7/3 체적비) 중에 투입해, 석출한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상기 에탄올/이소프로판올 혼합 용매 500 mL 로 세정하고, 감압 건조 (80 ℃, 0.03 kPa, 12 시간) 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CCE (8) 0.9 g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9 내지 13 (CCE (9) 내지 (13) 의 제조)
시트상 목재 펄프,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공정을 제조예 1 에서의 방법으로 바꾼 것, 및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제조예 8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9) 내지 CCE (13)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14 내지 17 (CCE (14) 내지 (17) 의 제조)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제조예 3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14) 내지 CCE (17)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18 내지 20 (CCE (18) 내지 (20) 의 제조)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제조예 8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18) 내지 CCE (20)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0 에서 사용한 이소데실 글리시딜 에테르는, 원료로서 도데실 알코올 167.4 g 대신에 이소데실 알코올 167.4 g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일본 특허 제3544134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제조예 21 (CCE (21) 의 제조)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 염화 n-옥틸 (Wako Pure Chemicals 사제) 을 사용한 것, 및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3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21) 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2 (CCE (22) 의 제조)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 스테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Kao 사제) 를 사용한 것, 및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3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22) 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3 (CCE (23) 의 제조)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로서 염화 n-도데실 (Kanto Chemical 사제) 을 사용한 것, 및 글리세롤화제, 양이온화제, 및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표 1 에서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3 과 마찬가지로 하여 CCE (23) 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4 (CPGC (1) 의 제조)
(1) 셀룰로오스의 재단 처리, 건조 처리 및 분쇄 처리 공정
제조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셀룰로오스 분말 (평균 중합도 1233) 을 얻었다.
(2) 글리세롤화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디메틸 술폭시드 (Wako Pure Chemicals 사제) 389.2 g,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TBAF" (Kanto Chemical 사제) 77.5 g 을 투입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것에, 상기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분말 7.0 g 을 첨가해 실온으로 1 시간 동안 교반해, 용해시켰다. 추가로, 미분말화한 수산화칼륨 2.42 g (1.0 몰/AGU 1 몰) 을 첨가해 잘 분산시켰다. 70 ℃ 로 가열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반응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미리 글리시돌 25.6 g (8.0 몰/AGU 1 몰) 과 디메틸 술폭시드 25.6 g 을 혼합한 용액을 5 시간 들여 첨가했다. 첨가 후, 추가로 7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해 반응을 종료시켰다.
계속해서, 아세트산으로 중화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원심분리를 실시해, 얻어진 상청액을 이온 교환수/아세톤/메탄올=2/4/4(체적 비) 의 혼합 용매 중에 투입해, 석출한 중합체를 회수, 감압 건조하는 것으로 백색의 고형물로서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8.82 g 을 얻었다.
(3) 양이온화 반응 공정
3 구 환저 플라스크에, 50% 디메틸 술폭시드 수용액 166.7 g 을 투입해,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세롤화된 셀룰로오스 2.5 g 을 첨가해, 실온에서 교반해,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그 후,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4 g (0.2 몰/AGU 1 몰) 을 첨가해 실온에서 교반했다. 그 후, 양이온화제로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Sakamoto Chemical industry 사제, 물 함유량 20 질량%, 순도 80%) 1.46 g (0.8 몰/AGU 1 몰) 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0 ℃ 로 가열하여 5 시간 동안 반응을 실시했다. 그 후, 반응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해, 에탄올 중에 투입하고, 석출한 중합체를 수집하고, 감압 건조하여 백색의 고형물로서 CPGC (1) 을 1.9 g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5 (CPGC (2) 의 제조)
글리시돌, 및 양이온화제의 도입제의 첨가량을 각각 표 1 에 나타낸 양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해서는, 제조예 24 와 마찬가지로 하여 CPGC (2) 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조예 26 (C-HPC 의 제조)
(1) 칩화 공정
시트상 목재 펄프〔Tembac's BioflocHV+, 평균 중합도 1770, 결정화도 74%, 수분 함량 7.0%〕를 시트 펠릿타이저 "SGG-220" (Horai 사제) 를 이용하여 사방 3 내지 5 mm 의 칩으로 펠릿화했다.
(2) 양이온화 공정
상기 (1) 에서 얻어진 칩상 펄프 100 g 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 (Sakamoto Chemical industry 사제, 물 함유량 20%, 순도 80%) 60.8 g〔0.65 몰/AGU 1 몰〕을 유발로 혼합한 후, 배치식 진동 밀 "MB-1" (Chuo Kakohki 사제: 용기 총 체적 3.5 L, 로드 φ 30 mm, 길이 218 mm, 단면 형상이 원형인 SUS304 제 로드 13 개, 충전율 57%) 에 투입했다. 12 분 동안 분쇄 (진동수 20 Hz, 진폭 8 mm, 온도 30 내지 70 ℃) 를 실시해, 셀룰로오스와 GMAC 의 분말상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상 혼합물에,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4.8 g (0.2 몰/AGU 1 몰) 을 유발로 혼합한 후, 상기 배치식 진동 밀에 투입했다. 동일한 조건에서 120 분 동안 분쇄하여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175.6 g 을 얻었다.
(3) 하이드록시프로필화 공정
숙성 후에 얻어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100 g (미중화/미정제품) 이 들어있는 니더를 70 ℃ 로 가열하고, 산화프로필렌 40.8 g (2.0 몰/AGU 1 몰, Kanto Chemical 사제, 특급 시약) 을 교반하에 적가하고, 산화 프로필렌이 소비되고 환류가 멈출 때까지 8 시간 동안 반응했다.
반응 후, 혼합물을 니더로부터 꺼내, 담갈색의 미정제 C-HPC 분말 140.8 g 을 얻었다. 이 미정제 C-HPC 분말 10.0 g 을 샘플 채취해 아세트산으로 중화했다. 프로필렌옥시기 및 양이온화 에틸렌옥시기의 치환도를 구하기 위해, 중화물을 투석막 (분획 분자량 1000) 에 의해 정제 후, 수용액의 동결 건조를 실시하여 정제 C-HPC 를 얻었다.
원소 분석에 의해 측정된, 수득한 정제 C-HPC 중의 염소 함유량은 3.0% 였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분석법" 에 의해 측정된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함유량은 32.5% 였다. 양이온화 에틸렌옥시기의 치환도, 및 프로필렌옥시기의 치환도는, 각각 0.22 및 1.10 이었다.
Figure pct00011
제조예 A (원료 내부 올레핀 A 의 제조)
교반기 부착 플라스크에 1-헥사데칸올 (Kalcol 6098, Kao 사제) 7000 g (28.9 몰), 및 고체산 촉매로서 γ-알루미나 (STREM Chemicals, Inc. 사제) 700 g (원료 알코올에 대해 10 질량%) 을 투입하고, 교반하에, 280 ℃ 에서 계내에 질소 (7000 mL/분) 를 순환시키면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알코올 전환율은 100%, C16 내부 올레핀 순도는 99.7% 였다. 얻어진 미정제 내부 올레핀을 증류용 플라스크로 옮겨, 136 내지 160 ℃/4.0 mmHg 로 증류하여 올레핀 순도 100% 의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을 얻었다. 얻어진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분포는, C1 에서 0.5 질량%, C2 에서 16.5 질량%, C3 에서 15.4 질량%, C4 에서 16.4 질량%, C5 에서 17.2 질량%, C6 에서 14.2 질량%, C7 과 C8 에서 합계 19.8 질량% 였다.
제조예 B (원료 내부 올레핀 B 의 제조)
교반기 부착 플라스크에 1-옥타데칸올 (Kalcol 8098, Kao 사제) 7000 g (25.9 몰), 및 고체산 촉매로서 γ-알루미나 (STREM Chemicals, Inc. 사제) 1050 g (원료 알코올에 대해 15 질량%) 을 투입하고, 교반하에, 285 ℃ 에서 계내에 질소 (7000 mL/분) 를 순환시키면서 1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알코올 전환율은 100%, C18 내부 올레핀 순도는 98.5% 였다. 얻어진 미정제 내부 올레핀을 증류용 플라스크로 옮겨, 148 내지 158 ℃/0.5 mmHg 로 증류하여 올레핀 순도 100% 의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을 얻었다. 얻어진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분포는, C1 에서 0.7 질량%, C2 에서 16.9 질량%, C3 에서 15.9 질량%, C4 에서 16.0 질량%, C5 에서 14.7 질량%, C6 에서 11.2 질량%, C7 에서 10.2 질량%, C8 및 C9 에서 합계 14.6 질량% 였다.
제조예 C (원료 내부 올레핀 C 의 제조)
교반기 부착 플라스크에 1-도데센 (Linealene 12, Idemitsu Kosan 사제) 6000 g (35.6 몰) 및 고체산 촉매로서 β-제올라이트 (Zeolyst 사제) 180 g (원료 1-도데센에 대해 3.0 질량%) 을 투입하고, 교반하에, 120 ℃ 에서 계내에 질소 (200 mL/분) 를 순환시키면서 12.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α-올레핀의 내부 이성화율은 98.4%, C12 내부 올레핀 순도는 92.1% 였다. 얻어진 미정제 내부 올레핀을 증류용 플라스크로 옮겨, 134 내지 138 ℃/75.0 내지 78.8 mmHg 로 증류하여 올레핀 순도 100% 의 탄소수 12 의 내부 올레핀을 얻었다. 얻어진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분포는, C1 에서 0.5 질량%, C2 에서 33.1 질량%, C3 에서 23.7 질량%, C4 에서 21.2 질량%, C5 에서 15.0 질량%, C6 에서 6.8 질량% 였다.
제조예 D (원료 내부 올레핀 D 의 제조)
교반기 부착 플라스크에 1-헥사데칸올 (Kalcol 6098: Kao 사제) 7000 g (28.9 몰), 및 고체산 촉매로서 γ-알루미나 (STREM Chemicals, Inc. 사제) 700 g (원료 알코올에 대해 10 질량%) 을 투입하고, 교반하에, 280 ℃ 에서 계내에 질소 (7000 mL/분) 를 순환시키면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알코올 전환율은 100%, C16 내부 올레핀 순도는 99.6% 였다. 얻어진 미정제 내부 올레핀을 증류용 플라스크로 옮겨, 136 내지 160 ℃/4.0 mmHg 로 증류하여 올레핀 순도 100% 의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을 얻었다. 얻어진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분포는, C1 에서 1.8 질량%, C2 에서 30.4 질량%, C3 에서 23.9 질량%, C4 에서 16.8 질량%, C5 에서 12.0 질량%, C6 에서 7.4 질량%, C7 과 C8 에서 합계 7.8 질량% 였다.
제조예 E (원료 내부 올레핀 E 의 제조)
교반기 부착 플라스크에 1-옥타데칸올 (Kalcol 8098: Kao 사제) 7000 g (25.9 몰), 및 고체산 촉매로서 γ-알루미나 (STREM Chemicals, Inc. 사제) 700 g (원료 알코올에 대해 10 질량%) 을 투입하고, 교반하에, 280 ℃ 에서 계내에 질소 (7000 mL/분) 를 순환시키면서 1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알코올 전환율은 100%, C18 내부 올레핀 순도는 98.2% 였다. 얻어진 미정제 내부 올레핀을 증류용 플라스크로 옮겨, 내온 148 내지 158℃/0.5 mmHg 로 증류하여 올레핀 순도 100% 의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을 얻었다. 얻어진 내부 올레핀의 이중 결합 분포는, C1 에서 0.8 질량%, C2 에서 31.3 질량%, C3 에서 22.9 질량%, C4 에서 15.5 질량%, C5 에서 10.8 질량%, C6 에서 7.2 질량%, C7 에서 5.3 질량%, C8 및 C9 에서 합계 6.2 질량% 였다.
제조예 27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1) 의 제조)
제조예 A 에서 얻어진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을, 박막식 술폰화 반응기 (내경 14 mmφ, 길이 4 m) 를 사용해 SO3 농도 2.8 체적% 의 삼산화황 가스를 이용하고, 반응기 외부 재킷에 20 ℃ 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술폰화하였다. SO3/내부 올레핀 반응 몰비는 1.09 로 설정했다.
얻어진 술폰화물을, 이론산가 (AV) 의 1.2 몰 배가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한 알칼리 수용액에 첨가하고, 3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에 중화했다. 중화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160 ℃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의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미정제 생성물 300 g 을 분액 깔때기로 옮겨, 에탄올 300 mL 를 첨가하고, 매회 석유 에테르 300 mL 를 첨가하여 유용성의 불순물을 추출 제거했다. 이 때, 에탄올의 첨가에 의해 유수 계면에서 석출된 무기 화합물 (주성분은 망초) 도, 유수 분리 조작에 의해 수상으로부터 분리 제거했다. 이 조작을 3 회 반복했다. 수상을 증발 건고하여,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1)) 을 얻었다.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 및 술포네이트 라디칼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표 2 에 나타낸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100 ppm 미만 (GC 검출 하한 미만),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1.3 질량% 였다.
제조예 28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2) 의 제조)
제조예 B 에서 얻어진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을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27 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2)) 을 얻었다.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 및 술포네이트 라디칼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표 2 에 나타낸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100 ppm 미만 (GC 검출 하한 미만),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1.7 질량% 였다.
제조예 29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3) 의 제조)
제조예 C 에서 얻어진 탄소수 12 의 내부 올레핀을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27 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 탄소수 12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3)) 을 얻었다.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 및 술포네이트 라디칼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표 2 에 나타낸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100 ppm 미만 (GC 검출 하한 미만),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0.2 질량% 였다.
제조예 30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4) 의 제조)
제조예 D 에서 얻어진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을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27 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 탄소수 16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4)) 을 얻었다.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 및 술포네이트 라디칼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표 2 에 나타낸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100 ppm 미만 (GC 검출 하한 미만),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1.9 질량% 였다.
제조예 31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5) 의 제조)
제조예 E 에서 얻어진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을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27 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 탄소수 18 의 내부 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 (5)) 을 얻었다. 하이드록시체/올레핀체의 질량비, 및 술포네이트 라디칼이 2-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올레핀 술폰산염의 함유량을 표 2 에 나타낸다. 원료 내부 올레핀의 함유량은 100 ppm 미만 (GC 검출 하한 미만),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0.9 질량% 였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1 내지 14 (헤어 샴푸의 제조 및 평가)
(제조)
CCE (1) 내지 (13) 및 (20) 중 어느 것, 및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황산 나트륨 (Kao 사제 "Emal 170J" (70% 수용액,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 1, 알킬 사슬 길이; C10-16),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카르보베타인 (Kao 사제 "Amphitol 55AB" (30% 수용액)),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Kawaken Fine Chemical 사제 "Amizol CME") 를 이용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각 성분의 활성 성분이 표 3 에서와 같이 되도록 헤어 샴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CCE 를 물에 용해시켜 2% 중합체 용액을 제조했다. 별도로, 중합체 이외의 성분을 비커에 취해, 80 ℃ 에서 가열한 후, 교반하여 균일 용해하고, 2% 중합체 용액을 첨가해 균일 혼합, 냉각하고, 마지막으로, 가열에 의해 증발해 버린 수분을 보충하여 헤어 샴푸를 얻었다.
(평가)
하기 언급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비커에 취해, 80 ℃ 에서 가열하고, 혼합하여, 균일 용해를 확인한 후, 냉각하여 플레인 샴푸를 얻었다. 얻어진 플레인 샴푸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세정했다. 세정한 모발 다발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신 후, 표 3 에 나타낸 조성의 헤어 샴푸 (0.5 g) 로 다시 세정하고, 온수 (35 내지 40 ℃) 로 헹구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이하의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에 의해, 모발 헹굼시에 있어서의, 매끄러움감, 매끄러움 지속감 및 코팅감을 평가했다. 또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로서의 헤어 샴푸의 종합 평가를 동일하게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플레인 샴푸의 조성)
(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11.3
(Kao 사제 "Emal E-27 C" (활성 성분 27%) 로서 42.0%)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3.0
(Kao 사제 "Aminone C-11S")
시트르산 0.2
메틸파라벤 0.3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평가 기준)
매끄러움성:
7: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마찰감이 없음
6: 매끄러움이 양호하고,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마찰감이 매우 적음
5: 매끄러움이 양호하고,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마찰감이 적음
4: 매끄러움이 비교적 양호하고,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마찰감이 비교적 적음
3: 평균 (후술하는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2: 매끄러움이 나쁘고,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뻑뻑함
1: 전혀 매끄럽지 않고, 비교예 5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뻑뻑함이 심함
매끄러움 지속감:
7: 매끄러움이 50 초 이상 지속함
6: 매끄러움이 30 초 이상 50 초 미만 지속함
5: 매끄러움이 20 초 이상 30 초 미만 지속함
4: 매끄러움이 10 초 이상 20 초 미만 지속함
3: 매끄러움이 5 초 이상 10 초 미만 지속함
2: 매끄러움이 1 초 이상 5 초 미만 지속함
1: 매끄러움이 1 초 미만 지속함
헹굼시의 코팅감:
7: 헹굼시의 코팅감이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우수함
6: 헹굼시의 코팅감이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우수함
5: 헹굼시의 코팅감이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보다 양호함
4: 헹굼시의 코팅감이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보다 비교적 양호함
3: 평균 (후술하는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코팅감)
2: 헹굼시의 코팅감이 비교예 4 의 헤어 샴푸보다 나쁨
1: 헹굼시의 코팅감이 없음
(평가 방법)
5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 결과를 평균하여 평점을 구했다.
비교예 1 내지 5 (헤어 샴푸의 제조 및 평가)
제조예 21 내지 23 에서 얻어진 CCE (21) 내지 (23) 중 어느 것, 제조예 24 에서 얻어진 CPGC (1), 및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C-HEC, Kao 사제 "POIZ C-80M") 를 이용해 실시예 1 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 3 에서와 같은 헤어 샴푸를 제조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표 3 으로부터, 본 발명의 CCE (1) 내지 (13) 및 (20) 중 어느 것을 사용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헹굼시에 있어서의 우수한 매끄러움성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양호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피부 세정제; 보디 샴푸)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양손을 적시고, 수득한 보디 샴푸 0.5 mL 를 양손에 도포하고, 기포 발생시킨 후, 그 양손을 10 초 동안 흐르는 물에 헹구고, 타올로 물방울을 닦아내고, 건조 후의 피부 감촉을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보디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보습감을 가졌다.
(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1 6.2
코코일이세티온산 나트륨 *2 5.8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 3.7
글리세린 3.2
라우르산 4.0
미리스트산 0.5
팔미트산 1.5
스테아르산 1.5
CCE (1) 0.2
수산화칼륨 적당량*4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270J" (유효 성분 7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환산치임)
*2: NOF 사제 "Diapon CI" (유효 성분 100%)
*3: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4: 보디 샴푸의 pH 를 7.3 으로 조정했다.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실시예 16 (세안제)
하기 조성의 세안제를 제조하고,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세안제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보습감을 가졌다.
(성분) (%)
코코일 글리신 나트륨 *1 9.4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2 2.5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 1.7
라우르산 2.0
글리세린 6.0
CCE (1) 0.3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4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Ajinomoto 사제 "AMILITE GCS-11" (유효 성분 100%)
*2: Nikko Chemical 사제 "NIKKOL AM-101" (유효 성분 4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환산치임)
*3: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4: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세안제의 pH 를 9.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17 (세안제)
하기 조성의 세안제를 제조하고,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세안제로 세정 및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보습감을 가졌다.
(성분) (%)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1 1.4
라우르산 28.2
미리스트산 2.8
팔미트산 3.1
PEG-32 *2 2.0
글리세린 16.0
CCE (1) 0.3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3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Nikko Chemical 사제 "NIKKOL CMT-30"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로 환산치임)
*2: NOF 사제 "PEG#1500"
*3: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세안제의 pH 를 9.0 로 조정했다.
실시예 18 내지 29, 비교예 6 (유제를 함유하는 헤어 샴푸의 제조 및 평가)
CCE (2), (3), (8) 내지 (13), (17) 내지 (20), 및 CPGC (2) 중 어느 것을 이용해, 표 4 에 나타낸 조성을 가지도록 헤어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CCE 또는 CPGC 를 물에 용해 또는 균일 분산시켜, 적당량의 물 및 계면활성제를 비커에 취해, 60 ℃ 에서 가열하에 균일 혼합한 후, 50 ℃ 로 냉각했다. 여기에 유제를 첨가해 균일 혼합하고, 40 ℃ 로 냉각했다. 여기에 펄화제를 첨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 유화하고 냉각했다. 마지막으로, 가열에 의해 증발해 버린 수분을 보충하고, 조성물의 pH 를 측정했다. pH 조정제 (50% 시트르산 수용액) 로 pH 를 5 로 조정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세정 한 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신 후, 실시예 18 내지 29 및 비교예 6 의 샴푸 0.5 g 을 도포해, 모발 다발을 1 분 동안 샴푸질했다. 그 후, 온수로 30 초 동안 헹구고 타올로 물을 닦아 낸 후, 빗으로 모발 다발을 빗고 헤어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키고 빗질하여 마무리하였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이하에 나타낸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에 의해,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건조 후의 균일성이란, 모발 다발의 모근으로부터 모발 끝 부분까지 감촉이 균일한 것을 의미한다.
(평가 기준, 평가 방법)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5: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2: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나쁨
1: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나쁨
헹굼시의 매끄러움
5: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2: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나쁨
1: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나쁨
매끄러움 지속감
5: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의 매끄러러움 지속감)
2: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나쁨
1: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나쁨
건조 후의 수분감
5: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의 건조 후의 수분감)
2: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나쁨
1: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매우 나쁨
건조 후의 균일성
5: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균일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균일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의 건조 후의 균일성)
2: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모발 끝이 흩어짐
1: 비교예 6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모발 끝이 뚜렷하게 흩어짐
Figure pct00014
표 4 에서 사용한 성분의 상세내용을 이하에 나타낸다.
*1: Kao 사제 "Emal 170J" (유효 성분 70%)
*2: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3: Kawaken Fine Chemical 사제 "Amizol CME"
*4: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29" (유효 성분 50%)
*5: Kao 사제 "Pearl Concentrate SA-M2" (유효 성분 20%)
표 4 로부터, 실시예 18 내지 29 의 헤어 샴푸는,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성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0 (보디 샴푸)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보디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1 6.2
나트륨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2 5.8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 3.7
글리세린 3.2
라우르산 4.0
미리스트산 0.5
팔미트산 1.5
스테아르산 1.5
해바라기유 13.2
CCE (8) 0.2
수산화칼륨 적당량*4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270J" (유효 성분 7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환산치임)
*2: NOF 사제 "Diapon CI" (유효 성분 100%)
*3: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4: 보디 샴푸의 pH 를 7.3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31 (세안제)
하기 조성의 세안제를 제조하여,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세안제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코코일 글리신 나트륨 *1 9.4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2 2.5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 1.7
라우르산 2.0
글리세린 6.0
바셀린 9.0
CCE (8) 0.3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4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Ajinomoto 사제 "AMILITE GCS-11" (유효 성분 100%)
*2: Nikko Chemical 사제 "NIKKOL AM-101" (유효 성분 4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환산치임)
*3: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4: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세안제의 pH 를 9.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32 (세안제)
하기 조성의 세안제를 제조해,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세안제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1 1.4
라우르산 28.2
미리스트산 2.8
팔미트산 3.1
PEG-32 *2 2.0
글리세린 16.0
바셀린 5.0
CCE (8) 0.3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3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Nikko Chemical 사제 "NIKKOLCMT-30"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환산치임)
*2: NOF 사제 "PEG#1500"
*3: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세안제의 pH 를 9.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33 내지 50 (CCE 이외의 양이온화 중합체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헤어 샴푸의 제조 및 평가), 비교예 7
CCE 로서 CCE (2) 내지 (4), (8) 내지 (13), (17) 내지 (19) 를 이용해, 표 5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헤어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실시예 33 내지 50). 또한, CCE 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헤어 샴푸를 표 5 에 나타낸 조성을 가지도록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비교예 7).
구체적으로는, CCE, 및 상기 CCE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물에 용해 또는 균일 분산시켜, 적당량의 물 및 계면활성제를 비커에 취해, 60 ℃ 에서 가열하에 균일 혼합한 후, 50 ℃ 까지 냉각했다. 마지막으로, 가열에 의해 증발해 버린 수분을 보충하고, 조성물의 pH 를 측정했다. pH 조정제 (50% 시트르산 수용액) 를 이용해 pH 를 5 로 조정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세정해,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시고, 실시예 33 내지 50 의 샴푸 0.5 g 을 도포하고, 1 분 동안 샴푸질했다. 그 후, 모발 다발을 온수로 30 초 동안 헹구고, 타올로 물을 닦아 내고, 모발 다발을 빗질하고 헤어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키고, 빗질하여 마무리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이하에 나타낸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에 의해, 모발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의 부드러움, 헹굼시의 매끄러움,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감 및 코팅감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부드러움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부드러움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딱딱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딱딱함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세정시의 모발의 손가락-빗질성)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나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나쁨
세정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부드러움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부드러움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세정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딱딱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딱딱함
헹굼시의 매끄러움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나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나쁨
헹굼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부드러움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부드러움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딱딱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우 딱딱함
매끄러움 지속감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지속감)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나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나쁨
헹굼시의 코팅감
5: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코팅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코팅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코팅감)
2: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코팅감이 나쁨
1: 비교예 7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코팅감이 매우 나쁨
Figure pct00015
표 5 에서 사용한 성분의 상세내용을 이하에 나타낸다.
*1: Rhodia 사제 "Jaguar C-13S"
*2: Dow Chemical 사제 "UCARE LR30M"
*3: 제조예 25
*4: Dow Chemical 사제 "SOFTCAT SL-100"
*5: Lubrizol 사제 "Sensomer CT400 Polymer"
*6: Toho Chemical 사제 "Catinal CLB100"
*7: Lubrizol 사제 "Merquat 550"
*8: Kao 사제 "Emal 170J" (유효 성분 70%)
*9: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10: Kawaken Fine Chemical 사제 "Amizol CME"
*11: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29" (유효 성분 50%)
*12: Kao 사제 "Pearl Concentrate SA-M2" (유효 성분 20%)
표 5 로부터, 실시예 33 내지 50 의 헤어 샴푸는,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의 부드러움, 및 헹굼시의 매끄러움, 부드러움, 매끄러움 지속감 및 코팅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1 (헤어 샴푸)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세정한 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시고, 상기의 헤어 샴푸 0.5 g 을 도포하여 1 분 동안 세정했다. 그 후, 모발을 온수로 30 초 동안 헹구고, 타올로 닦아 내고, 빗질하고, 추가로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했다. 마지막으로 모발을 빗질했다. 이 헤어 샴푸로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의 모발은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라우레스-1 황산 나트륨 *1 13.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2 2.0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3 1.0
CCE (20) 0.3
양이온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4 0.1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5 0.1
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6 2.0
아미노 변성 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7 1.0
PPG-3 카프릴릴 에테르 *8 0.5
펄화제 *9 1.0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170J" (유효 성분 70%)
*2: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3: Kao 사제 "Aminone C-11S"
*4: Kao 사제 "POIZ C-80M"
*5: Lubrizol 사제 "Merquat 550" (유효 성분 9%)
*6: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29" (유효 성분 50%)
*7: Toray Dow Corning 사제 "SM8904" (유효 성분 40%)
*8: Kao 사제 "Kao Sofcare GP-1"
*9: Kao 사제 "Pearl Concentrate SA-M2"
실시예 52 (헤어 샴푸)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8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이 헤어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모발은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라우레스-1 황산 나트륨 *1 13.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2 1.5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3 1.0
CCE (20) 0.3
C-HPC 0.1
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4 2.0
PPG-3 카프릴릴 에테르 *5 1.0
펄화제 *6 1.0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170J" (유효 성분 70%)
*2: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3: Kao 사제 "Aminone C-11S"
*4: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29" (유효 성분 50%)
*5: Kao 사제 "Kao Sofcare GP-1"
*6: Kao 사제 "Pearl Concentrate SA-M2"
실시예 53 (보디 샴푸)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해,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보디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라우르산 8.6
미리스트산 8.4
팔미트산 2.5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1 2.9
글리세린 1.9
프로필렌글리콜 1.2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2 0.9
CCE (4) 0.2
양이온화 구아 검 *3 0.1
수산화칼륨 (pH 9.6 으로 하는 양) 적당량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270J" (유효 성분 7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환산치임)
*2: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3: Rhodia 사제 "Jaguar C-13S" (유효 성분 100%)
실시예 54 (보디 샴푸)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해,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보디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1 10.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2 1.5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1.0
글리세린 2.0
염화나트륨 1.0
CCE (4) 0.2
폴리쿼터늄-10 *3 0.1
향료,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Kao 사제 "Emal 270J" (유효 성분 7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환산치임)
*2: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3: Kao 사제 "POIZ C-80M" (유효 성분 100%)
실시예 55 (보디 샴푸)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해,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보디 샴푸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칼륨 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1 6.0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2 3.3
프로필렌글리콜 3.2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3 2.8
디스테아르산 글리콜 1.0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0.7
CCE (4) 0.2
폴리쿼터늄-10 *4 0.1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5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Nikko Chemical 사제 "NIKKOL SARCOSINATE LK-30"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칼륨 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환산치임)
*2: Kao 사제 "Emal 270J" (유효 성분 7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 환산치임)
*3: Kao 사제 "Amphitol 55AB"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환산치임)
*4: Kao 사제 "POIZ C-80M" (유효 성분 100%)
*5: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보디 샴푸의 pH 를 6.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56 (세안제)
하기 조성의 세안제를 제조해, 실시예 15 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이 세안제로 세정, 건조 후의 피부는 우수한 수분감을 가졌다.
(성분) (%)
Na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1 1.4
라우르산 28.2
미리스트산 2.8
팔미트산 3.1
PEG-32 *2 2.0
글리세린 16.0
CCE (4) 0.2
폴리쿼터늄-10 *3 0.1
향료, 방부제 적당량
pH 조정제 적당량*4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Nikko Chemical 사제 "NIKKOLCMT-30" (유효 성분 3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환산치임)
*2: NOF 사제 "PEG#1500" (유효 성분 100%)
*3: Kao 사제 "POIZ C-80M" (유효 성분 100%)
*4: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세안제의 pH 를 9.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57 내지 71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 비교예 8
CCE (2) 내지 (4), (8) 내지 (19), 및 CPGC (2) 중 어느 것을 이용해, 표 6 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컨디셔너) 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CCE 또는 CPGC, 적당량의 물, 및 적당량의 pH 조정제 (50% 시트르산 수용액) 를 비커에 취해, 80 ℃ 에 가열하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80 ℃ 에서 녹인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50 ℃ 로 냉각하고, 유제를 첨가해 균일 혼합 했다. 마지막으로, 가열에 의해 증발되어 버린 수분을 보충하고, 조성물의 pH 를 측정했다.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 (50% 시트르산 수용액 및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로 pH 를 5 로 조정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세정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신 후, 실시예 57 내지 71 및 비교예 8 의 컨디셔너 1 g 을 도포하고, 1 분 동안 그대로 둔 후, 온수로 30 초 동안 헹구고, 타올로 물을 제거한 후, 빗질하였다. 이후, 모발을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켜, 마지막으로 빗질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컨디셔너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의 존재감, 헹굼시의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코팅감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평가 방법)
도포시의 존재감
5: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존재감이 우수함
4: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존재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의 도포시의 존재감)
2: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존재감이 약함
1: 존재감이 없음
헹굼시의 부드러움
5: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우 부드러움
4: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부드러움
3: 평균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의 헹굼시의 부드러움)
2: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딱딱함
1: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우 딱딱함
매끄러움 지속감
5: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지속감)
2: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나쁨
1: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나쁨
건조 후의 코팅감
5: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코팅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코팅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의 건조 후의 코팅감)
2: 비교예 8 의 컨디셔너에 비해 코팅감이 나쁨
1: 코팅감이 없음
Figure pct00016
표 6 에서 사용한 성분의 상세내용을 이하에 나타낸다.
*1: Kao 사제 "QUARTAMIN 2285E-E"
*2: Kao 사제 "Kalcol 6098"
*3: Kao 사제 "Kalcol 8098"
*4: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29" (유효 성분 50%)
표 6 으로부터, 실시예 57 내지 71 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은, 도포했을 때의 존재감, 헹굼시의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코팅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2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헤어 컨디셔너)
실시예 57 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기 조성을 갖는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헤어 컨디셔너를 제조했다.
(성분) (%)
CCE (20) 0.05
스테아릴 알코올 0.4
고중합 디메틸실록산 *1 0.1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
시트르산 적당량*2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60" (활성 성분 6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고중합 디메틸실록산 환산치임)
*2: 헤어 컨디셔너의 pH 를 5.0 로 조정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세정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시고, 모발 다발에서 물을 제거하고, 이후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킨 후 빗질했다. 모발 다발에 상기의 헤어 컨디셔너 1 g 을 도포하고, 1 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실온으로 건조 후, 모발 다발의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 헤어 컨디셔너에 의해, 건조 후의 모발에 양호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었다.
실시예 73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헤어 컨디셔너)
실시예 57 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기 조성을 갖는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헤어 컨디셔너를 제조했다.
(성분) (%)
CCE (20) 0.5
스테아릴 알코올 4.0
고중합 디메틸실록산 *1 4.0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5.0
시트르산 적당량*2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1: Toray Dow Corning 사제 "BY22-060" (활성 성분 60%)
(상기 조성에서, 함유량은 고중합 디메틸실록산 환산치임)
*2: 헤어 컨디셔너의 pH 를 5.0 으로 조정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세정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시고, 모발 다발에서 물을 제거한 후,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한 후 빗질했다. 이 모발 끝에 상기의 헤어 컨디셔너 0.1 g 을 도포하고, 1 분간 그대로 두었다. 실온으로 건조 후, 모발 다발의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이 헤어 컨디셔너에 의해, 건조 후의 모발에 양호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었다.
실시예 74 내지 84 (2 제형 모발 탈색제의 제조 및 평가), 비교예 9
(1) 제 1 제의 제조
표 7 (제 1 제) 에 나타낸, 유제 (고급 알코올), 28% 암모니아 수용액 및 프로필렌글리콜 이외의 성분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교반했다. 60 ℃ 에 가열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여기에, 세틸 알코올와 프로필렌 글리콜을 미리 혼합해 70 ℃ 에 가열한 혼합물을 첨가하고, 30 분 동안 유화시켰다. 40 ℃ 로 냉각시킨 후, 28% 암모니아 수용액과 잔여 물을 첨가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 1 제를 제조했다.
(2) 제 2 제의 제조
표 7 (제 2 제) 에 나타낸, 계면활성제 (세테아레스-13 및 라우레스-1 황산 나트륨), 그 밖의 성분 (EDTA-2-나트륨, 인산, 인산수소2나트륨), 및 적당량의 물을 교반 하에 혼합하고, 60 ℃ 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여기에, 70 ℃ 에서 가열한 유제 (고급 알코올) 를 첨가하고 유화시켰다. 40 ℃ 로 냉각한 후, 35% 과산화수소 수용액과 잔여 물을 첨가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 2 제를 제조했다. pH 는 4 였다.
(3) 2 제형 모발 탈색제 조성물의 평가
Beaulax 사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화학 처리 이력이 없는 길이 30 cm, 질량 10 g 의 모발 (인조 흑발 BS-B3A) 을 이용하였다. 이 모발 샘플 3 g 을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2 cm 폭으로 손질했다. 모발의 한 끝을 2 cm 폭의 플라스틱 판에 접착제로 고정시켜, 모발 다발 시험편을 제조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세정한 상기의 모발 다발을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상기 (1) 및 (2) 에서 얻어진 제 1 제 및 제 2 제를 질량비 2: 3 으로 혼합하고, 얻어진 배합물 3 g 을 모발 다발에 도포했다. 그 후, 모발 다발을 30 ℃ 에서 30 분 동안 정치시켰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얻어진 평가용 다발을 온수로 1 분 동안 헹군 후,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모발 헹굼시의 매끄러움감,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5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 결과를 평균해 평점을 구했다.
헹굼시의 매끄러움
5: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매끄러움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2: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매끄러움이 나쁨
1: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나쁨
헹굼시의 코팅감
5: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코팅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코팅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의 헹굼시의 코팅감)
2: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코팅감이 나쁨
1: 코팅감이 없음
헹굼시의 부드러움
5: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매우 부드러움
4: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부드러움
3: 평균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의 헹굼시의 부드러움)
2: 비교예 9 의 모발 탈색제에 비해 부드러움이 나쁨
1: 부드러움이 없음
Figure pct00017
표 7 로부터 실시예 74 내지 84 의 모발 탈색제는, 처리 후의 모발에 헹굼시에 양호한 매끄러움,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축모 교정제 및 비교예 10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
(1) 제 1 제의 제조
표 8 에 나타낸, 50%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및 28% 암모니아 이외의 성분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교반했다. 50%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28% 암모니아 및 잔여 물을 첨가해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켜, 제 1 제를 제조했다. pH 는 9 였다.
(2) 제 2 제의 제조
표 8 에 나타낸, 브롬산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세테아레스-13, 라우레스-3), 케라틴 가수분해물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완전 용해할 때까지 교반했다. 아모디메치콘을 첨가하여 균일 혼합하여 제 2 제를 제조했다. pH 는 7 였다.
(3)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평가
Beaulax 사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화학 처리 이력이 없는 길이 30 cm, 질량 10 g 의 모발 (인조 흑발 BS-B3A) 을 이용하였다. 이 모발 샘플 2 g 을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2 cm 폭으로 손질했다. 모발의 한 끝을 2 cm 폭의 플라스틱 판에 접착제로 고정시켜, 모발 다발 시험편을 제조했다.
제조한 모발 다발을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세정한 후, 타올질하여 물을 제거하고,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모발 다발을 직경 9 mm 의 로드 (Dariya 사제 Venezel Cold Rod No. 6) 에 감아 제 1 제를 2 g 도포하고, 30 ℃ 에서 15 분 동안 그대로 두고, 이후 모발을 온수로 3 분 동안 헹구었다. 또한, 제 2 제를 2 g 도포하고, 30 ℃ 에서 15 분 동안 그대로 두고, 로드를 제거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얻어진 평가용 다발을 온수로 1 분 동안 헹군 후, 비교예 10 의 샘플을 기준으로 취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헹굼시의 매끄러움, 코팅감 및 부드러움의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하기 조성을 갖는 플레인 컨디셔너로 모발 다발을 헹구어, 헹굼시의 손가락-빗질성,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평가는, 비교예 10 의 샘플을 기준 스코어 3 으로 하여 실시했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플레인 컨디셔너의 조성〕
(성분) (%)
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0
세틸 알코올 0.6
스테아릴 알코올 2.3
프로필렌 글리콜 1.0
페녹시에탄올 0.3
정제수 나머지
계 100.0
〔플레인 컨디셔너의 제조〕
페녹시에탄올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고 80 ℃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미리 혼합해 70 ℃ 로 가열하고, 유화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했다.
(평가 기준: 비교예 10 을 기준 스코어 3 으로 함)
5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 결과를 평균해 평점을 구했다.
컨디셔너 처리 후의 손가락-빗질성
5: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컨디셔너 처리 후의 손가락-빗질성)
2: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나쁨
1: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나쁨
컨디셔너 처리 후의 매끄러움
5: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컨디셔너 처리 후의 매끄러움)
2: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이 나쁨
1: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나쁨
컨디셔너 처리 후의 매끄러움 지속감
5: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에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의 컨디셔너 처리 후의 매끄러움 지속감)
2: 비교예 10 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나쁨
1: 매끄러움 지속감이 없음
Figure pct00018
표 8 로부터, 축모 교정제의 영구 웨이브제 조성물은 처리 헹굼시에, 양호한 매끄러움,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컨디셔너 처리 후의 모발 헹굼시에,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6 및 비교예 11 (축모 교정제의 제조 및 평가)
(1) 제 1 제의 제조
표 9 에 나타낸, 50%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이외의 성분들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해,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교반했다. 50% 티오글리콜산 암모늄과 나머지의 물을 첨가해 교반하여, 완전하게 용해시켜, 제 1 제를 제조했다. pH 는 9 였다.
(2) 제 2 제의 제조
표 9 에 나타낸, 락트산, β-나프탈렌술폰산, 벤질옥시에탄올, 에탄올, 세테아레스-13 과 적당량의 물을 혼합해,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교반했다. 다음으로,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해 교반 혼합했다. 게다가 35% 과산화수소수와 나머지의 물을 첨가해 교반하여 완전하게 용해시켜, 제 2제 를 제조했다. pH 는 3 이었다.
(3) 축모 교정제의 평가
일본인 성인 여성으로부터 얻은 길이 26 cm 및 질량 10 g 의 흐트러지기 쉬운 모발 다발을, 여기에서 샘플로서 시험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플레인 샴프로 처리하고, 흐르는 물로 헹구고 공기 건조하였다. 모발 다발 샘플 2 g 을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2 cm 폭으로 손질했다. 모발의 한 끝을 2 cm 폭의 플라스틱 판에 접착제로 고정시켜, 모발 다발 시험편을 제조했다.
제조한 모발 다발을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처리한 후, 타올 건조하고 빗질하였다. 이 모발 다발에 제 1 제 1.5 g 을 도포한 후 25 ℃ 에서 15 분 동안 그대로 두고, 이후 30 초 동안 온수로 헹구고, 타올 건조했다. 이후, 모발 다발을 130 ℃ 로 설정된 고온의 이발용 다리미로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제 2 제 1.5 g 을 도포하고 25 ℃ 에서 5 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얻어진 평가용 다발을 온수로 1 분 동안 헹군 후, 기준 스코어 3 의 비교예 11 의 샘플을 기준으로 취한 것 외에는 실시예 85 와 마찬가지로 하여 컨디셔너 처리 후의 헹굼시의 손가락-빗질성,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에 대하여 평가했다. 축모 교정제의 평가는, 비교예 11 의 샘플을 기준 스코어 3 으로 하여 실시했다.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9
표 9 로부터, 실시예 86 의 축모 교정제는 처리 헹굼시에, 양호한 매끄러움,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컨디셔너 처리 후의 모발 헹굼시에,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7 내지 99, 비교예 12 (헤어 샴푸의 제조 및 평가)
CCE (12) 및 (20), 및 양이온화 구아 검 중 어느 것을 이용해, 표 10 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헤어 샴푸를 실시예 18 내지 29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플레인 샴푸로 인조 모발 다발 (20 g, 20 cm) 을 세정한 후, 35 내지 40 ℃ 의 온수로 충분히 적시고, 실시예 87 내지 99 및 비교예 12 의 샴푸 0.5 g 을 도포하고, 1 분 동안 세정했다. 그 후, 모발 다발을 온수로 30 초 동안 헹구고, 타올질하여 물을 제거한 후, 빗질하고, 추가로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하고, 마지막으로 빗질했다.
5 명의 패널리스트가, 이하에 나타낸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에 따라, 모발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평가 방법)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5: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의 세정시의 손가락-빗질성)
2: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나쁨
1: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손가락-빗질성이 매우 나쁨
헹굼시의 매끄러움
5: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의 헹굼시의 매끄러움)
2: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나쁨
1: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이 매우 나쁨
매끄러움 지속감
5: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의 매끄러움 지속감)
2: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나쁨
1: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매끄러움 지속감이 매우 나쁨
건조 후의 수분감
5: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의 건조 후의 수분감)
2: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나쁨
1: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수분감이 매우 나쁨
건조 후의 균일성
5: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균일성이 매우 양호함
4: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균일성이 양호함
3: 평균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의 건조 후의 균일성)
2: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모발 끝이 흩어짐
1: 비교예 12 의 헤어 샴푸에 비해 모발 끝이 뚜렷하게 흩어짐
Figure pct00020
표 10 으로부터, 실시예 87 내지 99 의 헤어 샴푸는, 모발 세정시의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헹굼시의 양호한 매끄러움 및 매끄러움 지속감, 및 건조 후의 양호한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우수한 헤어 샴푸임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헤어 샴푸 등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세정시의 기포의 부드러움, 양호한 손가락-빗질성 및 모발의 부드러움, 모발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 매끄러움 지속감, 부드러움 및 코팅감, 및 건조 후의 수분감 및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보디 워시, 세안제 등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도포시의 양호한 존재감, 헹굼시의 우수한 매끄러움, 매끄러움 지속감 및 부드러움, 및 건조 후의 우수한 코팅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배합하면, 처리 후의 헹굼시 모발에 양호한 매끄러움, 코팅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30)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을 갖고, 그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1 내지 1.0 이며,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5.0 이며, 하기 일반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고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2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학식 1]
    Figure pct00021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2) 내지 (8) 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 은 안하이드로글루코오스 유래의 주사슬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며, 100 내지 12000 의 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22

    (식 중, 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이고;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글리세롤기이고; 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기이다. R4 내지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 의 선형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각각 음이온을 나타내고; r 및 s 는 각각 0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2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분기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2)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에 있어서,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와 또는 상기 구조 단위의 탄소 원자와 결합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 전하 밀도가 0.05 mmol/g 내지 2.0 mmol/g 인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유량이 0.01 질량% 내지 10 질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가 0.0002 내지 10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01 질량% 내지 80 질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3 내지 0.9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3.0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1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30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6 내지 2.4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06 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제 (oily agent) 를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7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1.8 내지 2.4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06 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
  12.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7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1.6 내지 2.4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5 내지 0.05 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질량비가 0.05 내지 20 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30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2.4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2 내지 0.03 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유제 및 물을 포함하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5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5 내지 2.5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5 내지 0.05 인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그리고 염모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의 양이온화 옥시알킬렌기의 치환도가 0.05 내지 0.32 이고, 글리세롤기의 치환도가 0.6 내지 2.3 이고, 탄화수소기-함유 기의 치환도가 0.001 내지 0.05 인 모발 처리제 조성물.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유제를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이외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로서의 용도.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세정제로서의 용도.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유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컨디셔너로서의 용도.
  2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그리고 염모용 염료, 산화제, 알칼리제 및 케라틴-환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처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처리제로서의 용도.
  27.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세정 방법.
  2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해 피부를 세정한 후, 피부를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
  29. 세정제를 이용해 모발을 세정한 후,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의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조절 방법.
  30.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의 모발 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해 모발을 처리한 후, 모발을 헹굼 및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의 처리 방법.
KR1020157034786A 2013-06-20 2014-01-20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Withdrawn KR20160021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9671 2013-06-20
JPJP-P-2013-129671 2013-06-20
PCT/JP2014/051596 WO2014203548A1 (en) 2013-06-20 2014-01-20 Cationic group-containing cellulose et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108A true KR20160021108A (ko) 2016-02-24

Family

ID=5006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786A Withdrawn KR20160021108A (ko) 2013-06-20 2014-01-20 양이온성기-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68793B2 (ko)
EP (1) EP3010591B1 (ko)
JP (1) JP6235912B2 (ko)
KR (1) KR20160021108A (ko)
BR (1) BR112015031373A2 (ko)
TW (1) TW201501728A (ko)
WO (1) WO2014203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6583B2 (en) * 2014-06-03 2019-04-02 Blake Teipel Cellulose nanocrystal polymer composite
JP6431764B2 (ja) * 2014-12-26 2018-11-28 花王株式会社 カチオン化グリセロール化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2016222583A (ja) * 2015-05-29 2016-12-28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6910195B2 (ja) * 2016-05-10 2021-07-2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EP3722497A4 (en) * 2017-12-06 2021-09-01 Kao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CN111433338B (zh) 2017-12-06 2022-09-16 花王株式会社 纤维制品用清洁剂组合物
MX2020005978A (es) 2017-12-06 2020-08-24 Kao Corp Composicion.
EP3722498A4 (en) 2017-12-06 2021-09-08 Kao Corporation DIRT SOLVENTS
US11401350B2 (en) 2017-12-06 2022-08-02 Kao Corporation Polysaccharide derivative
WO2022071354A1 (ja) * 2020-09-30 2022-04-07 花王株式会社 毛髪用洗浄剤組成物
CA3208543A1 (en) * 2021-03-18 2022-09-22 Jaakko Hiltunen Method for producing a modified cationized polysaccharide, modified cationized polysaccharide and its use
JP2023054630A (ja) * 2021-10-04 2023-04-14 花王株式会社 ケラチン物質の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801A (ja) 1985-02-01 1986-08-14 ユニオン、カーバイト、コーポレーシヨン ハイドロフオーブ置換した水溶性カチオン多糖類
JP3301667B2 (ja) 1993-12-22 2002-07-15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折畳み扉
JP2006527785A (ja) 2003-06-17 2006-12-07 ユニオン・カーバイド・ケミカルズ・アンド・プラスティックス・テクノロジー・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ルロースエ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1667A1 (de) 1983-01-20 1984-07-26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Kationische cellulose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kosmetischen mitteln
JP2625150B2 (ja) 1988-04-21 1997-07-02 ライオン株式会社 インナーオレフィンスルホネートの製法
JP3544134B2 (ja) 1999-01-25 2004-07-21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法
JP2006052778A (ja) 2004-08-11 2006-02-23 Ricoh Printing Systems Ltd カバー部材のヒンジ機構
JP5658952B2 (ja) 2009-09-29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TWI459972B (zh) * 2009-11-12 2014-11-11 Kao Corp Hair cosmetic
WO2011108505A1 (ja) 2010-03-02 2011-09-09 花王株式会社 カチオン化セルロース及びカチオン化ヒドロキシアルキ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5814565B2 (ja) 2010-03-02 2015-11-17 花王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ーテル及び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セルロース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5703117B2 (ja) 2010-12-28 2015-04-15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JP5703116B2 (ja) 2010-12-28 2015-04-15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6204670B2 (ja) 2012-03-13 2017-09-27 花王株式会社 カチオン化グリセロール化セルロース
JP2014131988A (ja) 2012-12-03 2014-07-17 Kao Corp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EP2894170B1 (en) 2012-12-03 2016-09-28 Kao Corporation Cellulose ether containing cationic group
JP2014131989A (ja) 2012-12-03 2014-07-17 Kao Corp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5552567B1 (ja) 2012-12-03 2014-07-16 花王株式会社 カチオン性基含有セルロースエーテル
JP2014131991A (ja) 2012-12-03 2014-07-17 Kao Corp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組成物
JP2014193840A (ja) 2013-03-01 2014-10-09 Kao Corp 毛髪処理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801A (ja) 1985-02-01 1986-08-14 ユニオン、カーバイト、コーポレーシヨン ハイドロフオーブ置換した水溶性カチオン多糖類
JP3301667B2 (ja) 1993-12-22 2002-07-15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折畳み扉
JP2006527785A (ja) 2003-06-17 2006-12-07 ユニオン・カーバイド・ケミカルズ・アンド・プラスティックス・テクノロジー・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ルロースエ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3548A1 (en) 2014-12-24
US20160122441A1 (en) 2016-05-05
JP2015025113A (ja) 2015-02-05
EP3010591A1 (en) 2016-04-27
EP3010591B1 (en) 2017-04-12
CN105142731A (zh) 2015-12-09
JP6235912B2 (ja) 2017-11-22
TW201501728A (zh) 2015-01-16
US9868793B2 (en) 2018-01-16
BR112015031373A2 (pt)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0690B (zh) Cationic cellulose ether
JP6235912B2 (ja) カチオン性基含有セルロースエーテル
KR102120034B1 (ko)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 조성물
JP6204670B2 (ja) カチオン化グリセロール化セルロース
JP2015030718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04519519A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スキンコンディショナとしての第4級アンモニウムアルキルヒドロキシエチルセルロースエーテルの使用
US20140076345A1 (en) Cleansing composition for skin or hair
KR101582014B1 (ko) 모발 처리제 조성물
JP5552567B1 (ja) カチオン性基含有セルロースエーテル
JP2015168666A (ja) 水性毛髪洗浄剤
JP2014131988A (ja)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2014131989A (ja)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2014193840A (ja) 毛髪処理剤組成物
CN105142731B (zh) 含有阳离子基团的纤维素醚
JP6204729B2 (ja) 水溶性ポリ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