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15360A - 근시부와 원시부가 접선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렌즈 - Google Patents

근시부와 원시부가 접선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360A
KR20160015360A KR1020167000060A KR20167000060A KR20160015360A KR 20160015360 A KR20160015360 A KR 20160015360A KR 1020167000060 A KR1020167000060 A KR 1020167000060A KR 20167000060 A KR20167000060 A KR 20167000060A KR 20160015360 A KR20160015360 A KR 2016001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isual field
concave surface
soap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왈라크
안드레이 필코스키
Original Assignee
마이클 왈라크
안드레이 필코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왈라크, 안드레이 필코스키 filed Critical 마이클 왈라크
Publication of KR2016001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36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2Locally varying refractive index, gradient index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록면; 및 원시용의 제1 도수를 갖는 제1 시야부와, 근시용의 제2 도수를 갖는 제2 시야부를 갖고, 볼록면 반대쪽에 있는 오목면;을 포함하고, 제1 시야부와 제2 시야부는 누진대 없이 부드럽게 접선 형태로 서로 연결되며, 오목면의 나머지 부분과도 부드럽게 연결되며; 제1, 제2 시야부들의 각각의 반경선들이 제1, 제2 중심점들에 각각 수렴하여, 상기 오목면에 포함된 연결면을 통해 제1, 제2 시야부들이 접선 형태로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시부와 원시부가 접선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렌즈{NON-PROGRESSIVE CORRIDOR BI-FOCAL LENS WITH SUBSTANTIALLY TANGENT BOUNDARY OF NEAR AND DISTAL VISUAL FIELDS}
본 발명은 안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2초점 렌즈와 같은 다초점 안경렌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안근육들은 지속적으로 안구의 초점력에 힘을 가하고, 시간이 갈수록 안구와 렌즈에 영구변형이 생긴다. 이런 변형으로 인한 "멀티비전" 효과 때문에 사람이 원시와 근시에 동시에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멀티비전 렌즈의 대부분은 2초점이나 누진초점을 중심으로 개발되어왔다.
2초점 렌즈는 도수가 다른 2 구역, 구체적으로는 근시용 하부구역과 원시용 상부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렌즈 착용자들은 근시구역과 원시구역 사이의 경ㄱ계선에서 일어나는 당혹스러운 "점프"와 "휘어짐"에 익숙하다.
한편, 기존의 누진렌즈는 제1 도수의 원시구역과 제2 도수의 근시구역 사이에서 도수가 서서히 변하는 "누진대"를 갖는다. 누진대와 근시구역과 원시구역 둘레에는 초점강도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혼합구역이 있다. 초점강도가 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점프" 현상은 없지만, 다른 시야결함부들을 따라 난시가 생기곤 한다.
멀티비전 렌즈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렌즈 디자이너들은 2초점 라인에서의 원치않는 영상점프나 좁은 누진대 바깥에서의 원치않는 영상왜곡을 지속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해왔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감안하여, 2초점 점프현상과 일반 누진렌즈에서의 난시를 모두 없애는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시구역과 근시구역 사이의 연결부에서 도수의 누진과 분할선과 영상 점프와 기타 다른 광학수차가 없는 축대칭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를 제공한다.
원시구역과 근시구역이 렌즈의 안쪽 오목면에만 형성된 제1, 제2 광학면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광학면들은 공통 접선면을 이루는 연결점에서 연결선 없이 서로 만나거나, 양쪽 광학면에 모두 공통으로 접하는 연결면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점에서의 2개 광학면의 공통접선 연결이나 연결면을 통핸 접선연결로 인해 2개 시야부 사이에 부드러운 통로가 생기고, 이때문에 도수가 원활하게 천이되면서도 원시에서 근시나 그 반대쪽으로의 영상점프도 없다.
또, 연결면이 제1, 제2 광학면들의 연장으로 이루어진 고체 형태의 체적을 가로지르는 중심을 지나면서 연결면에서 직각으로 뻗는 선에 중심을 갖는다. 이 경우, 연결면의 직경이 안경착용자의 동공의 직경보다 크지 않도록 렌즈를 디자인한다. 안경착용자의 동공의 직경보다 작게 연결면을 유지하면, 착용자가 연결면을 인식하지 않으면서 2개 시야부 사이가 원활하게 이어지게 되어, 도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하고 연결점에서의 영상점프도 없다.
도 1은 제1, 제2 광학면들이 연결점에서 연결된 본 발명의 렌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도 1과 같은 종류의 제2 렌즈의 단면도;
도 4는 제1, 제2 광학면들이 연결면을 통해 연결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렌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렌즈의 단면도.
도 1은 비누진 2초점 렌즈(10)를 안쪽에서 본 평면도로서, 안쪽 오목면(11)에 굴절력이 서로 다른 2개 표면인 제1 광학면(12)과 제2 광학면(14)이 있고, 양쪽 광학면은 각각 원시구역과 근시구역을 이루고 연결부분이 부드럽게 이어지면서 오목면을 이룬다.
제1, 제2 광학면(12,14)은 접촉점(16)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이 접촉점에서 반경이 큰 근시면(14)이 반경이 작은 원시면(12)이 여접(cotangent)한다. 따라서, 양쪽 광학면(12,14)은 렌즈(10)의 오목면(11)에서는 교차하지 않고 렌즈(10) 내부의 공통 접곡면을 갖는 접촉점에서만 교차한다.
도 2는 원시용으로 짧은 반경(R2)과 근시용으로 긴 반경(R3)을 갖는 광학면(12,14)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렌즈의 볼록면(18)은 반경이 더 크지만,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다.
도 3에서, (R1,X1)으로 표시된 것은 렌즈(10)의 볼록면(18)이고, (R2,X2)로 표시된 것은 반경이 짧은 오목면의 원시면(12)이며, (R3,X3)로 표시된 것은 반경이 긴 근시면(14)이다.
본 발명의 렌즈(10)는 기존의 누진렌즈에 있던 누진대를 없앴는데, 이는 아치형 원시면이 아치형 근시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오목면들을 비접선 형태로 연결하거나 기존의 2초점선을 형성하도록 겹치게 하여 생기는 2초점선이나 이미지점프도 없앤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광학면(12)의 원시면에서 제2 광학면(14)의 근시면으로 직접적인 천이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번째 예의 렌즈(20)를 보여준다. 이 렌즈(20)의 (안구쪽의) 오목면(21)은 원시구역을 이루는 제1 광학면(22)과 근시구역을 이루는 제2 광학면(24)을 갖는다. 렌즈(20)는 광학적 분석법을 이용해 시력결함을 교정하는 외에도, 동공간 거리, 렌즈-각막 거리, 렌즈의 (수평, 수직) 기울기, 안경렌즈의 최종 두께, 반가공 렌즈의 변수인 전방공률, 굴절율, 색수차, 안경테의 크기와 형상 및 특수목적 안경들에 최적화된다. 렌즈는 안면형태, 안경테 디자인, 반가공 렌즈의 변수와 같은 변수에 관련된 통계적 데이터에 의거해 범용적으로 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렌즈(20)의 제1, 제2 광학면(22,24)은 연결면(27)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면(27)은 제1, 제2 광학면들과 연결면에 의해 완성된 부분의 도심을 통과하는 연결면의 반경선 Rc에 초점이 맞춰진다. 즉, 구의 일부분인 광학면이 모이면 구를 형성하고, 타원의 일부분인 광학면이 모이면 타원을 형성한다.
도 5는 제1, 제2 광학면(22,24)과 연결면(27)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연결면(27)은 양쪽 광학면(22,24)을 거의 접선 형태로 연결한다. 즉, 제1 광학면(22)의 반경선 R2와 제2 광학면(24)의 반경선 R3은 연결면의 반경선 Rc를 따라있는 중심 X2와 X3에서 뻗는다.
이 렌즈(20)는 원하는 연결점(도시 안됨)에서 정확히 접하지 못하는 제1, 제2 광학면(22,24)의 위치 차이를 커버한다. 2개 광학면들의 접선연결이 쉽지 않은 렌즈를 위해, 안경착용자의 동공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면(27)을 이용하면 전술한 연결점이 있는 것과 거의 같은 장점을 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면(27)의 직경이 착용자의 확장된 동공의 직경보다 작거나, 확장되지 않은 동공의 직경보다 작거나, 수축된 동공의 직경보다도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렌즈(10,20)는 착용자의 눈이 원시구역과 근시구역 사이를 움직일 때 지나가는 연결점이나 연결면에서 생기기 쉬운 광학수차를 없애는 장점을 갖는다. 이 렌즈는 모든 영역에서의 단절이나 왜곡을 없앤다. 현재의 2초점 누진렌즈와는 달리, 본 발명은 누진대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장점들을 갖는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1단계로 LMS(lens manufacturing system) 레이아웃 데이터를 구한다. 이 데이터는 환자의 굴절정보, 반가공 렌즈 선택, 안경테 정보, 피팅 정보, 특수/직업 정보 등을 포함한다. LMS 정보를 구체적으로 포맷한 형태를 LDS(lens design system)으로 보내면, LDS는 비누진 추가렌즈를 위한 SDF(surface definition file)을 디자인하여, 특정 제작라인 장비세팅 변수에 관한 정보와 같이 LMS에 보낸다. 이 렌즈는 렌즈에서의 SDF 재생을 위해 HD 프리폼 생성기에 배치된다. 절삭을 한 렌즈를 프리폼 연삭기로 보내 완성한 다음, 기준점과 렌즈정보 마킹을 위해 3D 레이저로 보내진다. 렌즈블록을 제거한 렌즈를 세척건조하고, Rx 변수, 피팅조건, 안경테 조건, 기타 다른 직업변수와 같은 렌즈 디자인 성능변수들에 맞춰 표면검사를 한다.

Claims (5)

  1. 볼록면; 및
    원시용의 제1 도수를 갖는 제1 시야부와, 근시용의 제2 도수를 갖는 제2 시야부를 갖고, 볼록면 반대쪽에 있는 오목면;을 포함하고,
    제1 시야부와 제2 시야부는 누진대 없이 부드럽게 접선 형태로 서로 연결되며, 오목면의 나머지 부분과도 부드럽게 연결되며;
    제1, 제2 시야부들의 각각의 반경선들이 제1, 제2 중심점들에 각각 수렴하여, 상기 오목면에 포함된 연결면을 통해 제1, 제2 시야부들이 접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시야부들의 각각의 반경선들이 직선을 이루고, 제1, 제2 시야부들이 연결점에서 접선 형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의 직경이 안경착용자의 미확장 동공의 직경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의 직경이 안경착용자의 수축된 동공의 직경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시야부들이 오목면을 가로지르는 평면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진 2초점 안경렌즈.
KR1020167000060A 2013-06-07 2014-06-03 근시부와 원시부가 접선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렌즈 Ceased KR20160015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404250 2013-06-07
PL404250A PL404250A1 (pl) 2013-06-07 2013-06-07 Dwuogniskowa nieprogresywna soczewka optyczna
US14/178,992 2014-02-11
US14/178,992 US8931898B2 (en) 2013-06-07 2014-02-12 Non-progressive corridor bi-focal lens with substantially tangent boundary of near and distant visual fields
PCT/US2014/040689 WO2014197466A1 (en) 2013-06-07 2014-06-03 Non-progressive corridor bi-focal lens with substantially tangent boundary of near and distal visual fiel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360A true KR20160015360A (ko) 2016-02-12

Family

ID=5200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60A Ceased KR20160015360A (ko) 2013-06-07 2014-06-03 근시부와 원시부가 접선 연결되는 비누진 2초점 렌즈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931898B2 (ko)
EP (1) EP3004973B1 (ko)
JP (2) JP2016537664A (ko)
KR (1) KR20160015360A (ko)
CN (1) CN105359031A (ko)
AP (1) AP2016009004A0 (ko)
AU (1) AU2014275090B2 (ko)
BR (1) BR112015030529A2 (ko)
CA (1) CA2913758C (ko)
ES (1) ES2775576T3 (ko)
MX (1) MX353294B (ko)
PH (1) PH12015502728B1 (ko)
PL (2) PL404250A1 (ko)
PT (1) PT3004973T (ko)
RU (1) RU2650734C2 (ko)
SG (1) SG11201510014RA (ko)
UA (1) UA119041C2 (ko)
WO (1) WO2014197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04250A1 (pl) * 2013-06-07 2014-12-08 Quest Optical Industries Ltd Dwuogniskowa nieprogresywna soczewka optyczna
US9618774B2 (en) 2014-02-10 2017-04-11 Shamir Optical Industry Ltd. Quasi progressive lenses for eyewear
CN110333609B (zh) * 2019-07-10 2021-01-15 万维科研有限公司 一种多渐进点变焦镜片及眼镜
US11126012B1 (en) 2020-10-01 2021-09-21 Michael Walach Broadview natural addition le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6782A (en) * 1916-11-29 1922-02-14 American Optical Corp Lens
US1731419A (en) * 1925-08-24 1929-10-15 American Optical Corp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2109474A (en) 1931-12-07 1938-03-01 Evans Charles Ernest Spectacle lens
DE2803047C2 (de) * 1978-01-25 1983-07-14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Mehrstärken-Brillenlinse
FR2486666A1 (fr) * 1980-07-09 1982-01-15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a foyers multiples
US4952048A (en) 1987-09-14 1990-08-28 Opticorp, Inc. Method of designing a non-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4869588A (en) * 1987-09-14 1989-09-26 Opticorp, Inc. Non-progressive multifocal ophthamic lenses
US5583589A (en) 1995-07-07 1996-12-10 Phillips Lens Co., Inc. Process for forming a monocentric seamless bifocal lens
US5724120A (en) 1995-10-02 1998-03-03 Svochak; Jan B.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E19701312A1 (de) 1997-01-16 1998-07-23 Zeiss Carl Fa Brillenglas mit sphärischer Vorderseite und multifokaler Rückseite,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953099A (en) 1997-10-22 1999-09-14 Walach; Michael Non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6871953B1 (en) 2003-09-29 2005-03-29 Softfocal Company, Inc. Contact lens with transition
US7080906B2 (en) 2003-11-12 2006-07-25 Novartis Ag Translating bifocal wear modality
US8272734B2 (en) 2004-11-16 2012-09-25 Essilor International, S.A. Non-progressive multifocal lens with large near/intermediate area
US7503652B2 (en) 2006-06-29 2009-03-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anslat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JP5442658B2 (ja) * 2011-03-16 2014-03-12 伊藤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二重焦点レンズ
PL404250A1 (pl) * 2013-06-07 2014-12-08 Quest Optical Industries Ltd Dwuogniskowa nieprogresywna soczewka optycz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4973B1 (en) 2020-02-19
PT3004973T (pt) 2020-04-22
JP2019164392A (ja) 2019-09-26
PH12015502728A1 (en) 2016-03-07
RU2016100217A (ru) 2017-07-17
WO2014197466A4 (en) 2015-02-26
UA119041C2 (uk) 2019-04-25
EP3004973A1 (en) 2016-04-13
US20140362340A1 (en) 2014-12-11
WO2014197466A1 (en) 2014-12-11
CA2913758A1 (en) 2014-12-11
PL3004973T3 (pl) 2020-08-24
JP2016537664A (ja) 2016-12-01
RU2650734C2 (ru) 2018-04-17
CN105359031A (zh) 2016-02-24
MX2015016842A (es) 2016-04-04
ES2775576T3 (es) 2020-07-27
AU2014275090A1 (en) 2016-01-07
AU2014275090B2 (en) 2019-04-18
MX353294B (es) 2018-01-08
PH12015502728B1 (en) 2016-03-07
PL404250A1 (pl) 2014-12-08
US8931898B2 (en) 2015-01-13
AP2016009004A0 (en) 2016-01-31
EP3004973A4 (en) 2017-01-25
SG11201510014RA (en) 2016-01-28
BR112015030529A2 (pt) 2017-07-25
CA2913758C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9312B2 (en) Spectacle lens
RU2757820C1 (ru) Элемент в виде линзы
EP4127825B1 (en) Lens element
CN104678572B (zh) 眼镜片
JP4467653B2 (ja) 同心非球面多焦点型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3772B2 (ja) 多焦点同心状円環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US10379382B2 (en) Spectacle ophthalmic lens intended to be mounted on a spectacle frame
CN106970464B (zh) 目镜光学系统
TWI594015B (zh) 目鏡光學系統
TW202122875A (zh) 用於減少、最小化、及/或消除由失焦光對對焦影像之干涉的眼用鏡片
KR20080023353A (ko) 누진 굴절력 렌즈
KR20110067142A (ko) 선택된 구면 수차 특성을 갖는 원환체 안과용 렌즈
JP2019164392A (ja) 近視部と遠視部が接線連結される非累進二焦点レンズ
KR20230023640A (ko) 광학 렌즈
KR102000911B1 (ko)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JP2005242346A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
JP2018084788A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累進屈折力レンズ
CN110618541A (zh) 一种双面复合渐进树脂镜片及其制造工艺
JP2019174647A (ja) 眼鏡用レンズ
JP2006527383A (ja)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CN108351531A (zh) 畸变管理得到改善的镜片
KR200350723Y1 (ko)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