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548A - Hsp 발현 억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Hsp 발현 억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9548A KR20160009548A KR1020157031591A KR20157031591A KR20160009548A KR 20160009548 A KR20160009548 A KR 20160009548A KR 1020157031591 A KR1020157031591 A KR 1020157031591A KR 20157031591 A KR20157031591 A KR 20157031591A KR 20160009548 A KR20160009548 A KR 201600095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u
- composition
- peptide
- arg
- hs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Abstract
Description
(A) GFP(서열번호 3, 4)를 포함하는 정제화된 His-tag, 11머(mer)-GFP(GFP 융합된 짧은 PEP1, GFP fused to short PEP 1), 그리고 PEP 1-GFP 단백질은 HEK293T 세포 용해물과 함께 배양되었고, 각 단백질 복합체는 Ni-NTA 크로마트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SDS-PAGE와 은 염색(silver staining)을 하였다. PEP 1-GFP와 특별히 연관된 단백질은 젤(gel)에서 절제한 후 Maldi-TOF 질량 분석기에 의해 확인한 결과이다.*은 GFP, 11mer-GFP, PEP 1-GFP 밴드(bands)를 의미한다.
(B) PEP 1과 관련된 확인된 단백질은 항체를 이용한 면역 블로팅(immunoblotting, IB)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C) 다른 세포에서의 PEP 1과 HSP70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MCF7과 HepG2세포의 용해물을 GST나 PEP 1-GST 단백질과 함께 배양하였다. 글루타티온 수지를 사용하여 풀 다운한 결과, 면역 블로팅과 항-HSP70항체를 사용하여 HSP70과 PEP 1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D) MCF7의 막 단편(membrane fraction)이 분리된 후 GFP 또는 PEP 1-GFP와 함께 배양되었다. HSP70의 조합은 Ni-NTA 크로마토그래피 후 면역 블로팅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암세포에서 PEP 1 처리에 따른 HSP70과 HSP90의 하향 조절을 나타낸 결과이다. Jurkat(도 2), MCF7(도 3) 세포들을 무혈청 배지에서, 증가하는 농도의 PEP 1 또는 스크램블된(scrambled) 펩티드와 2시간 처리하였다. HSP70 및 HSP90의 단백질의 양은 HSP70, HSP90 및 GAPDH에 대한 항체들을 사용해 면역 블로팅으로 분석하였다.
도 4 내지 도 5는 PEP 1에 의한 저산소증 유도된 HSPs 생산 억제를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MCF7과 HeLa 세포들은 PEP 1(20μM) 또는 용매제(vehicle)와 처리하고 지정된 시간 동안 저 산소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HSP70, HSP90의 양을 분석하기 위해 면역 블로팅을 실시하였다.
도 6은 Jurkat 및 MCF7세포에 용매제(vehicle), PEP 1, 17-AAG, KNK437을 처리한 결과이다. Jurkat 및 MCF7세포들은 무혈청 배지에서 용매제(vehicle), PEP 1 (5 μM for Jurkat and 20 μM for MCF7), 17-AAG (1 μM), KNK437 (1 μM) 와 2시간 처리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도 2에 사용되었던 방법과 유사하게 면역 블로팅으로 분석하였다.
도 7는 MCF7세포들을 MG132 (5 μM) 포함한 상태와, 포함하지 않은 상태 모두에서 PEP 1 또는 PBS로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세포 내의 HSPs 와 세포 표면의 HSPs들은 표면 세포내 염색(surface intracellular staining)과 세포 표면(surface staining) 염색으로 염색하였고, 상기 실험물질 및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빨강(Red)은 DMSO, 랑(Blue):PEP 1을 첨가한 DMSO(PEP 1 plus DMSO) ; 오렌지(Orange):PEP 1을 첨가한 MG132 (PEP 1 plus MG132); 녹색(Green): MG132을 각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9는 저 산소 상태에서 PEP 1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MCF7과 HeLa 세포들은 보통 산소 상태 (왼쪽 패널) 또는 저 산소 상태 (오른쪽 패널)에서 PEP 1을 포함한,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양 하였다. 배양일 2일, 4일, 6일 째, 세포들의 수를 측정하였다. 데이타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Data represent means ± SD). *: p < 0.05 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1원 t검정(1-way t-test)을 수행하였다.
도 10 내지 도 11은 PEP 1 처리에 의한 종양의 HSP70과 HSP90 단백질 레벨의 감소를 나타낸 결과이다. HSP70과 HSP90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통해 종양 섹션의 HSP70과 HSP90 단백질 레벨을 시각화 하였고(도 10), Leica Qwin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정량화 하였다(도 11). 각각의 치료그룹의 6개의 슬라이드로부터 10개의 필드를 정량화 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선택 하였다. 데이타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냄 (Data represent means ± SD). *** p < 0.001 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2원 t검정(2-way t-test)을 수행하였다. 종양에서 추출한 단백질 추출물은 HSP70, HSP90, GRP78 그리고 GAPD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해 면역 블로팅을 실시하였다(도 12).
도 13 내지 도 14는 PEP 1이 혈액 내 분비되는 HSP70 레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에서는 HSP70 레벨 (왼쪽 패널)과 HSP90 (오른쪽 패널)은 PEP 1 (50 μg/kg) 또는 PBS (그룹 당 10마리 쥐 (10 mice per group); n=20)를 처리한 마우스 모델로부터 획득한 혈청을 이용해 ELISA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도 14에서는 혈액의 HSP70 레벨과 종양 무게 (왼쪽 패널) 또는 종양 크기 (오른쪽 패널)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원 t검정을 수행하였다.
Claims (11)
-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를 포함하는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SP는 HSP 70 또는 HSP 90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SP는 HSP 70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은 3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편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30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의 성장 및 전이, 자궁 내막암, 악성 골육종, 신장암, 백혈병, 호지킨병, 홍색증, 건선,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혈우병성 관절, 상처 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장관 접착,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 등의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은 위, 간, 신장, 췌장, 장, 자궁, 난소, 방광, 유방, 전립선, 갑상선, 림프, 척추, 뇌, 골, 식도에서 발생하는 종양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의 성장 억제에 이용되는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HSP 발현 억제용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SP 발현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9983 | 2013-05-03 | ||
KR20130049983 | 2013-05-03 | ||
PCT/KR2014/003948 WO2014178680A1 (ko) | 2013-05-03 | 2014-05-02 | Hsp 발현 억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548A true KR20160009548A (ko) | 2016-01-26 |
KR102275912B1 KR102275912B1 (ko) | 2021-07-12 |
Family
ID=5184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1591A Active KR102275912B1 (ko) | 2013-05-03 | 2014-05-02 | Hsp 발현 억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5912B1 (ko) |
TW (1) | TWI634210B (ko) |
WO (1) | WO201417868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37768A1 (ko) * | 2023-05-17 | 2024-11-21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39960B (zh) * | 2013-06-21 | 2016-07-01 | 凱爾傑姆維克斯有限公司 | 激素分泌調節劑、包括其的組成物以及其用途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293A (ja) * | 1998-07-08 | 2002-07-09 | ノルスク・ヒドロ・アーエスアー | テロメラーゼ由来抗原ペプチド |
WO2005072766A2 (en) * | 2004-01-27 | 2005-08-11 | Boys Town National Research Hospital | Peptides that bind to hsp90 proteins |
KR20090094814A (ko) * | 2006-10-10 | 2009-09-08 | 스퀴코어 | 암의 치료 및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WO2011096756A2 (ko) * | 2010-02-04 | 2011-08-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정상적 세포 증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
-
2014
- 2014-05-02 KR KR1020157031591A patent/KR102275912B1/ko active Active
- 2014-05-02 WO PCT/KR2014/003948 patent/WO20141786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5-02 TW TW103115850A patent/TWI634210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293A (ja) * | 1998-07-08 | 2002-07-09 | ノルスク・ヒドロ・アーエスアー | テロメラーゼ由来抗原ペプチド |
EP1093381B1 (en) * | 1998-07-08 | 2003-08-20 | GemVax AS | Antigenic peptides derived from telomerase |
WO2005072766A2 (en) * | 2004-01-27 | 2005-08-11 | Boys Town National Research Hospital | Peptides that bind to hsp90 proteins |
KR20090094814A (ko) * | 2006-10-10 | 2009-09-08 | 스퀴코어 | 암의 치료 및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WO2011096756A2 (ko) * | 2010-02-04 | 2011-08-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정상적 세포 증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37768A1 (ko) * | 2023-05-17 | 2024-11-21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78680A1 (ko) | 2014-11-06 |
TW201534725A (zh) | 2015-09-16 |
TWI634210B (zh) | 2018-09-01 |
KR102275912B1 (ko) | 2021-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4803B1 (ko) |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US20240181090A1 (en) | Cell 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conjugate | |
KR102544207B1 (ko) |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 |
KR102201430B1 (ko) |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 |
JP4887143B2 (ja) | 癌細胞を選択的に死滅させるRasGAP由来ペプチド | |
US20140187493A1 (en) | Peptide composition for cancer treatment by inhibiting trpv6 calcium channel activity | |
JP2013535954A (ja) | ペプチド、構造体およびその使用 | |
KR102275912B1 (ko) | Hsp 발현 억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210120882A (ko) | Vgll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 |
JP2010254699A (ja) | Fas関連因子1(fasassociatedfactor1) | |
KR102658844B1 (ko) | 펩티드 유도체 및 약학적 조성물 | |
JP2003502440A (ja) | ペプチドの使用 | |
KR20140103544A (ko) | 유효성분의 생체내 반감기 연장용 유효성분 전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