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024U -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 Google Patents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4024U KR20160004024U KR2020150003123U KR20150003123U KR20160004024U KR 20160004024 U KR20160004024 U KR 20160004024U KR 2020150003123 U KR2020150003123 U KR 2020150003123U KR 20150003123 U KR20150003123 U KR 20150003123U KR 20160004024 U KR20160004024 U KR 2016000402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convex
- amblyopia
- concave
- diplopi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6—Special ophthalmologic or optometric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시와 복시를 치료하고, 집중력 강화를 위해서 특별히 제작된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시 또는 복시를 치료하기 위해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안대의 착용상의 불편함과 외관상의 결함 때문에 착용자가 착용을 기피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결함을 보완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한편,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킨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측면인 렌즈 본체(1)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구 측 반대편인 렌즈 본체(1) 바깥면의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오목부(32)와 요철볼록부(31)로 이루어진 요철(21)이 형성되며, 요철오목부(32)는 곡률반경 R을 가지고 요철볼록부(31)는 곡률반경 r을 가지며, 요철오목부(32) 및 요철블록부(31)의 곡률반경은 R >> r 의 관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요철볼록부(31)의 곡률반경은 '0'이다. 또한 요철(21)의 요철오목부(32)의 곡률반경은 경화 가능한 액상 광학 소재의 요철코팅층(25)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렌즈 본체(1)의 외측 표면에 무반사멀티코팅층(11)이 형성되어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specially designed for the treatment of amblyopia and diplopia, and to a specially designed lens for enhancing concentration, and to a spectacle using the le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used for treating amblyopia or diplopi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for use in amblyopia, amblyopia, and intensifying treatment for enhancing user's satisfaction while enhancing a therapeutic effect by compensating for defects in which a wearer is prevented from wearing due to defects of a wear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1 and convex and concave convex portions 31 formed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ody 1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eyeball side of the wearer in the lens body 1, The concavo-convex concave portion 32 has a radius of curvature R, the concave-convex convex portion 31 has a radius of curvature r, and the concave-convex concave portion 32 and the concavo- Radius ratio has a relationship of R >> r. Preferably,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concave convex portion 31 is '0'.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o-convex concave portion 32 of the concavo-convex 21 can be controlled by the concavo-convex coating layer 25 of the curable liquid optical material, and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ody 1 is coated with the anti- ).
Description
본 고안은 약시와 복시를 치료하고, 집중력 강화를 위해서 특별히 제작된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시 또는 복시를 치료하기 위해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안대의 착용상의 불편함과 외관상의 결함 때문에 착용자가 착용을 기피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결함을 보완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한편,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킨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specially designed for the treatment of amblyopia and diplopia, and to a specially designed lens for enhancing concentration, and to a spectacle using the le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used for treating amblyopia or diplopi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for use in amblyopia, diplopia, and intensifying power for enhancing user's satisfaction while enhancing a therapeutic effect by compensating for defects in which a wearer is prevented from wearing due to defects of a wearer, and glasses using the same.
약시(amblyopia)는 안과적 검사상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는데 교정시력(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으로 교정한 시력)이 잘 나오지 않는 상태로, 시력표에서 양쪽 눈의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있을 때 시력이 낮은 쪽을 약시라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사시가 동반된다. 약시의 원인으로는 사시 약시, 폐용 약시, 굴절이상 약시, 굴절부등 약시, 기질 약시 등이 있으며, 사시 약시는 사시로 인한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을 피하기 위해 사시가 있는 눈의 황반 기능이 억제되어 생긴다. 사시란 양쪽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것으로, 이럴 경우 뇌에서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이는 상이 서로 달라 혼란을 일으키게 되며, 혼란을 막기 위해 한쪽에서 온 상을 억제(무시)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억제된 쪽 눈은 계속 시력이 발달하지 않아 약시가 된다. 그리고 폐용 약시는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약시로, 근육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위축되어 힘을 잃는 것처럼 눈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그 기능이 저하된다. 한참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한쪽 눈을 가리면 눈에 특별한 이상이 없어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시력이 나오지 않게 된다. 굴절이상 약시는 근시, 원시, 난시가 심한데도 교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약시로, 굴절이상이 교정되지 않아 선명하지 않은 흐릿한 상만 보면 이런 흐릿한 상에 익숙해져서 나중에는 교정해 주어도 정상시력이 나오지 않는다. 굴절부등 약시는 양쪽 눈의 굴절 정도에 차이가 있어서 생기는 약시로, 한쪽 눈을 잘 보이고, 한쪽 눈은 심한 원시나 근시로 잘 보이지 않을 때, 잘 보이는 눈만 사용하고 잘 안보이는 눈은 사용하지 않아 약시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질 약시는 눈으로 검사할 수 없는 시로(visual pathway) 장애에 의한 약시이다. Amblyopia can not detect any abnormality due to ophthalmologic examinatio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s of both eyes in the visual acuity chart that the corrected visual acuity (visual acuity corrected with glasses or contact lenses) The lower vision is called amblyopia. In most cases, strabismus is accompanied. The causes of amblyopia include strabismic amblyopia, obtuse amblyopia, amblyopic amblyopia, amblyopia, and ambiguous amblyopia. Strabismic amblyopia suppresses macular function in eyes with strabismus to avoid diplopia (overlapping objects) caused by strabismus. . As a result, both sides of the eye see differen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images received in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using confusion and suppressing the image from one side to prevent confusion. When this phenomenon lasts for a long time, the suppressed eye continues to develop weak vision. And amblyopic amblyopia is an amblyopia caused by not using eyes. If you do not use your eye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s function will deteriorate as muscles lose their strength if they are not used for a long time. If you hide one eye during the period of sight development, your eyesight will not come out after a long period of time even if there is no special abnormality in your eyes. Refraction abnormal amblyopia is caused by myopia, primordia and astigmatism, but it is caused by uncorrected amblyopia. I am accustomed to this blurred image when I see the unclear blurred image because the refraction abnormality is not corrected. Refractive anisometropia is an amblyopia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fraction of both eyes. When one eye is well visible and one eye is difficult to see due to severe irritation or nearsightedness, only eyes that are well visible are used. . Finally, temper ambiguity is an amblyopia caused by a visual pathway disorder that can not be examined by the eye.
위와 같은 사시나 기타 약시를 유발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 원인 질환을 치료한다. 굴절이상으로 인한 약시의 경우 굴절이상을 교정해주고, 좋은 눈을 가려 약시안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하는데, 양쪽 시력이 같아질 때까지 지속한다. 좋은 눈 가림 치료로 약시안의 시력이 좋아지지 않거나 순응도가 현저히 나쁜 경우에는 가림 치료를 계속하기 어렵다. 기질 약시는 치료가 되지 않으며, 저시력 진료를 받아 저시력 보조기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한쪽 눈이 좋은 경우, 나머지 한쪽 눈의 시력이 나빠도 아이 본인은 물론 보호자들도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아무 이상이 없어 보여도 만 3세 정도가 되면 반드시 안과에 가서 눈에 관한 전반적인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If you have a disease that causes strabismus or other amblyopia, treat the underlying disease. In the case of amblyopia due to refraction abnormalities, correct refractive error, induce the good eye to continue to use the cyanide, and continue until both eyesight is the same. It is difficult to continue occlusion therapy if the visual acuity of the cyanide is not improved or the compliance is significantly poor due to good occlusion therapy. Substance amblyopia is untreated, and it is recommended that low vision aids be supported by low vision aids. In general, if one eye is good and the other eye has poor eyesight, not only the child but also the caregivers often do not know it. Therefore, even if the child seems to have no abnormality, he or she should go to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and have a general examination about the eye when it is about 3 years old.
이처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예후가 양호하지만, 너무 늦게 발견하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시력이 주로 발달하는 시기는 태어나서부터 만 8세 정도까지인데, 약시의 치료에도 치료 가능 시기가 있으며, 조기에 치료하면 정상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질환으로써 그 비율은 전 인구의 약 2~5%를 차지한다.This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rognosis is good, too late to find the treatment is not. The period of development of visual acuity is from birth to about 8 years old. Treatment of amblyopia also has treatment period, and it can be cured normally by early treatment, and its ratio is about 2 ~ 5% of the whole population do.
복시(diplopia)는 단안복시(單眼複視)와 양안복시(兩眼複視)가 있다. 단안복시는 물체에 그림자가 생길 정도이며 난시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리고 양안복시는 대뇌후두엽에 있는 시각령의 융상작용(두 눈에 비치는 외계의 물체상을 합치시키는 작용)의 이상, 또는 안구운동의 이상, 특히 안근마비가 된 경우에 일어난다. 안구는 각 눈의 6개의 안근에 의하여 움직이며, 그 안근의 어떤 것이 마비되면 두 눈의 시선이 같은 목표로 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건강한 눈의 상의 상하좌우 어느 위치에 마비눈의 상이 나타나서 물체가 둘로 보인다. 이 상태를 머리는 고정하고 눈만을 움직여서 상하좌우 8방향에서 기재한 것을 복시도라고 한다. 단안에 일어나는 경우는 수정체 탈구, 백내장의 초기, 각막손상이나 난시 등이며, 양안의 경우는 안근마비 등이 원인이 되는 일이 많다. 또 안정피로, 히스테리 등 기질적 이상을 거치지 않고 일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발병한 후 6개월 이내에 회복된다. The diplopia is a monocular diplopia (diplopia) and a binocular diplopia (diplopia). Monocular diplomas are such that there is a shadow on an object and it is often seen in astigmatism. In addition, binocular diplopia occurs when the visual action of the visual cortex in the cerebral occipital lobe (the action of aligning the outer object image of the two eyes) or eye movement abnormality, especially ophthalmoplegia. The eyeballs are moved by the six oculomes of each eye, and when any of the eyes of the eyeballs are paralyzed, the eyes of both eyes are not directed to the same target. And the image of the paralytic eye appears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lthy eye, and the object appears in two. This state is referred to as "repetition" in which the head is fixed, and only the eyes are moved and the description is made in eight directions. In unilateral cases, lens dislocations, early cataracts, corneal damage or astigmatism, and bilateral cases are often caused by ocular paralysis. In addition, stable fatigue, hysteresis, and sometimes without going through the physical abnormalities, most of them recover within six months after the onset.
약시의 경우에 있어서는, 9 ~ 10세 시기에 적절한 치료에 의해 시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시력이 좋은 눈(혹은 정상눈)을 안대로 숨겨서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약시 눈만으로 보도록 하여 시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왔고, 복시의 경우에 있어서도 복시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안대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었다.In the case of amblyopia, the vision can be improved by appropriate treatment at the age of 9 to 10 years. In the past, eyes with good eyes (or normal eyes) were hidden by the eyes, And in the case of diplopia, it was a common treatment method to wear an eye patch to restore diplopia.
그러나 상기의 안대를 착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눈으로부터 분비되어 안대의 내측에 부착되는 분배물에 의해서 안대를 일정주기마다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특히, 외상에 의한 사시의 경우에는 수술 후에도 복시가 잔존할 경우가 많다. 또 안대의 착용은 외견상 미적 결함이 있으며, 특히 유소년, 청소년의 경우에는 안대를 자주 벗기 때문에 치료에 협조도가 떨어져서 치료효과가 저하된다. 그리고 안대를 착용할 때 접착제로써 사용되는 테이프에 의해서 안면부의 피부염, 발진, 가려움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method of treating by wearing the above-described eye. First, there is the inconvenience that the eye should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dispenser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eye, which is secreted from the eye. Especially, in the case of strabismus due to trauma, diplopia often remains after the operation. In addition, wear of the eye is apparently aesthetic defects, especiall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ecause the eye is frequently removed, the treatment is less effective and the treatment effect is lowered. The tape used as an adhesive when wearing the liner causes problems such as dermatitis, rash, and itching in the face.
약시와 복시의 치료를 위한 렌즈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97737호에 안경렌즈의 일부는 투명부로 이루어지고 타부는 반투명부로 형성하고, 투명부는 반투명부로 갈수록 반투명해지고, 반투명부는 투명부로 갈수록 투명해지는 안기능이상 교정용 안경렌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99409호에는 시신경이 약하여 가림치료를 받고 있는 어린아이와 복시 치료 및 백내장 수술 등을 하여 가림치료를 원하는 성인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착탈 가능한 렌즈 내측 부착용 눈가리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ing to lenses for treating amblyopia and diplopia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97737 in which a part of a spectacle lens is made of a transparent part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of a translucent part, And the translucent portion becomes transparent as the transparent portion becomes transpar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99409 discloses an eyeglass lens for eye surgery, And a blindfold for attaching to the inner side of the lens,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help to an adult who desires occlusion therapy by cataract surgery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치료기간 동안 일정주기마다 안대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과 유소년의 경우 안대를 자주 벗기 때문에 치료에 협조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안경의 외측에서 보면 착용자의 눈동자를 잘 보이게 해서 외견상 미적 결함이 나타나지 않게 하고, 안경의 내측에서 바라보면 외부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종래의 안대를 대신하여 정상적인 눈을 감추는 효과를 제공하며, 렌즈의 바깥면이 흠집이 나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ye is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n this case, the wearer's eyes are clearly visible so that no apparent aesthetic defects appear, and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eyeglasses, an external object is not visibl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concealing normal eyes instead of the conventional ey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ens for use in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enhancing treatment which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be used even if such a defect occurs, and a spectacle using the same.
본 고안의 일측면인 렌즈 본체(1)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구 측 반대편인 렌즈 본체(1) 바깥면의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오목부(32)와 요철볼록부(31)로 이루어진 요철(21)이 형성되며, 요철오목부(32)는 곡률반경 R을 가지고 요철볼록부(31)는 곡률반경 r을 가지며, 요철오목부(32) 및 요철블록부(31)의 곡률반경은 R >> r 의 관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요철볼록부(31)의 곡률반경은 '0'이다. 또한 요철(21)의 요철오목부(32)의 곡률반경은 경화 가능한 액상 광학 소재의 요철코팅층(25)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렌즈 본체(1)의 외측 표면에 무반사멀티코팅층(11)이 형성되어 구성한다.A convexo-
렌즈 본체(1)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구측은 종래의 코팅층과 같이 일반코팅층(12)이 존재하고, 안구측의 반대쪽인 렌즈 본체(1)의 바깥측은 렌즈의 상층부에 요철(21)이 구성되고, 요철(21)에서 오목한 부분에는 요철코팅층(25)이 구성되며, 바깥측 전면에는 무반사멀티코팅층(11)이 구성된다.In the
본 고안에 따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을 이용하면 약시나 복시 등 문제점에 대한 개별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각각 선택적 차폐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정상안의 약화를 동반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서 정상안 및 교정안 모두 사용하면서 교정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안기능 이상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유소년의 경우 성인에 비해서 안경렌즈의 관리가 어렵지만 조그만 상처 또는 흠집에도 정상적인 치료를 행할 수 있어서, 착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치료효과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treat the problems such as weakness and diplopia by using lenses for strengthening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 and glasses using the lenses. By using the selective shielding method, In the case of children, it is difficult to manage eyeglass lenses as compared with adults, but normal treatments can be performed even for small scratches or scratches.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the wearer is increased, and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len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nses for enhancing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 and glasses using the same.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ns for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enhancing treatment, and glasse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ens for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enhancing treatment, and glasse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amblyopia, the diplopia, the lens for intensifying the diplopia and the concentration, and the glasses using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invention may be blurred unnecessaril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custo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확대도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FIG. 1 is a plan view of a lens for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enhancing treatment and glasse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lens for amblyopia, diplopia, Referring to FIG. 2,
렌즈 본체(1)의 아랫면을 착용자의 안구측으로 하고, 렌즈 본체(1)의 윗면을 렌즈 바깥측으로 하면, 본 고안의 렌즈 본체(1)의 바깥측 전면에는 미세한 요철(21)이 고르게 구성되어 있다.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렌즈 본체(1)의 안구측부터 바깥측의 순서대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일반코팅층(12)이 존재하고, 상기 일반코팅층(12)의 위에는 요철(21)이 존재한다. 상기 요철(21)은 요철볼록부(31)와 요철오목부(32)가 구성되고, 상기 요철오목부(32)에는 요철코팅층(25)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요철(21)의 위에는 무반사멀티코팅층(11)이 구성되어 렌즈 본체(1)를 형성하게 된다.The
요철(21)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 본체(1)에 있어서 바깥측 전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볼록부(31)와 요철오목부(32)로 이루어진 요철(21)이 형성되며, 요철오목부(32)는 곡률반경 R을 가지고 요철볼록부(31)는 곡률반경 r을 갖는다. 이때 요철오목부(32)와 요철볼록부(31)의 곡률반경은 R >> r의 관계를 갖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요철볼록부(31)의 곡률반경 r은 '0'이다.The concave and
이와 같은 요철을 렌즈 본체(1)의 전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요철볼록부(31)와 요철오목부(32)의 곡률반경인 R, r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요철(2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렌즈를 제작하는 캐스팅 가공용 몰드의 표면을 정밀기계가공, 연삭 또는 화학물질을 이용한 에칭방법 등을 사용하여 가공하여 전면에 요철(21)이 형성된 렌즈 본체(1)를 가공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irregularitie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렌즈 본체(1)의 전면에 요철(21)을 형성하고 이 요철(21)의 요철볼록부(31)와 요철오목부(32)의 곡률 반경을 제어하는 것은 몰드의 재질 및 가공방법 등이 매우 복잡하여 어렵다. 그러므로 통상의 연삭, 샌딩 또는 에칭 등의 방법으로 날카롭고 거친 요철을 표면에 형성시킨 몰드르 사용하여 렌즈 본체(1)의 일측면에 요철볼록부(31)와 요철오목부(32)로 구성된 요철(21)을 형성하고, 경화가능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액상의 소재를 디핑 또는 스핀닝 방법 등을 통해서 요철코팅층(25)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액상소재의 표면장력에 의해 요철오목부(32)의 곡률반경을 용이하고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However, by controlling the curvature radius of the protrusive
그리고 렌즈 본체(1)의 바깥측 전면에는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혹은 산화규소(silicon oxide)를 이용하여 무반사멀티코팅층(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요철(21)이 형성된 표면에는 광의 산란이 발생하여 상이 흐려지게 되어, 안구로부터는 외부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지만 외부로부터는 안구가 잘 보이게 된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렌즈 본체(1)를 착용한 안경 착용자의 경우 안구의 상은 요철(21)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구로부터 나오는 빛은 렌즈 본체(1)의 요철(21)을 통과할 때 일정각의 범위내에서는 요철(21)의 요철오목부(32) 곡면의 접선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입사각이 '0'에 가까울 만큼 작게 되어 굴절이 작게 일어나기 때문에 거의 직진하게 된다. 따라서 요철(21)로부터 먼거리에 있는 외부의 타인이 착용자의 안구를 보는 경우에는 안구의 상이 굴절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보이게 되고, 외부 물체의 상은 요철(21)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때문에 평행광선의 형태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은 렌즈 본체(1)의 요철(21)을 통과할 때, 여러 입사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불규칙하게 굴절을 일으켜서 빛이 산란하게 되므로, 외부 물체의 상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light scattering occurs on the surface on which the concavities and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는 본 고안인 렌즈 본체(1)를 사용한 안경 착용자의 눈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데 반해서, 착용자는 외부의 물체를 거의 볼 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er can hardly see the external object, while the eyes of the wearer wearing the
렌즈 본체(1)의 바깥측에 무반사멀티코팅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무반사멀티코팅층(11)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렌즈 본체(1)의 굴절률이 'n'이 '1.5'라면, 렌즈 본체(1)의 외측 표면에서의 반사율과 내측 표면에서의 반사율은 아래의 식에 의해서 '4%'이다.The antireflection
따라서 렌즈 본체(1)의 외부로부터 안경 착용자의 안구를 보면 상기 반사율에 따른 반사와 렌즈 본체(1) 내측에 형성된 요철(21)에 의한 산란으로 다소 불투명하게 보인다. 이때, 무반사멀티코팅층(11)을 형성하게 되면 외측 표면에서의 반사율과 내측 표면에서의 반사율을 각각 '0'으로 만들어주고 산란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안경 착용자의 안구를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yeball of the wearer is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도 3은 본 고안인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ens for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enhancing treatment and glasse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렌즈 본체(1)를 렌즈의 중앙부를 제외한 주변부에 배치한 렌즈(a), 상기의 렌즈 본체(1)를 렌즈의 하단에 배치한 렌즈(b), 상기의 렌즈 본체(1)를 렌즈의 상단에 배치한 렌즈(c)와 같이 구성하여 본 고안인 렌즈 본체(1)가 외부에서는 내부가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외부가 잘 보이지 않은 특성을 이용하여, 각 상황에 맞는 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 3 (b) and 3 (c), the
(a)의 경우 착용자는 렌즈의 중앙부에 위치한 일반렌즈(50)를 통해서만 외부를 볼 수 있고, 렌즈의 주변부에 구성된 렌즈 본체(1)를 통해서는 볼 수 없게 된다. (b)와 (c)의 경우에도 착용자는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일반렌즈(50)를 통해서만 외부를 볼 수 있고, 하단 또는 상단에 구성된 렌즈 본체(1)를 통해서는 볼 수 없게 된다. (a), the wearer can see the outside only through the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해서 각 상황에 맞도록 약시와 복시를 치료할 수 있으며, 강제로 한 곳을 응시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집중력 강화 치료도 병행할 수 있게 되고, 요철(21)이 렌즈 본체(1)의 바깥측에 가깝게 구성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흠집이나 상처에도 렌즈 본체(1)의 치료기능이 떨어지거나 하지 않아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principle, it is possible to treat amblyopia and diplopia in accordance with each situ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concentration-strengthening treatment by adjusting to be able to gaze at one place by forcibly, So that the treatment function of the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ything that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es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렌즈 본체
11. 무반사멀티코팅층
12. 일반코팅층
21. 요철
25. 요철코팅층
31. 요철볼록부
32. 요철오목부
50. 일반렌즈1. Lens body
11. Anti-reflective multi-coating layer
12. General coating layer
21. Unevenness
25. Uneven coating layer
31. Convex convex portion
32. Convex concave portion
50. Normal lens
Claims (4)
일반 렌즈를 렌즈의 중앙부에 사용하고, 주변부에 렌즈 본체(1)를 사용하거나 또는 일반 렌즈를 렌즈의 상단에 사용하고, 하단에 렌즈 본체(1)를 사용하거나 또는 일반 렌즈를 렌즈의 하단에 사용하고, 상단에 렌즈 본체(1)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possible to use a general lens at the center of the lens and use the lens body 1 at the peripheral portion or use the general lens at the upper end of the lens and use the lens body 1 at the lower end or use a general lens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And a lens body (1) at the upper end of the lens body (1), and a lens using the lens for enhancing amblyopia, diplopia and concentration.
상기 요철오목부(32)는 곡률반경 'R'을 가지고 요철볼록부(31)는 곡률반경 'r'을 가지며, R > r의 관계를 갖고, 곡률반경 'r'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avoconvex concave portion 32 has a curvature radius R and the concave convex portion 31 has a curvature radius r and has a relationship of R> r and a curvature radius r of 0 And lenses for enhancing diplopia and concentration, and glasses using the same.
상기 요철(21)의 요철오목부(32)의 곡률반경은 경화 가능한 액상 광학소재의 코팅층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시와 복시 및 집중력 강화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o-convex concave portion (32) of the concavo-convex (21) is controlled by a coating layer of a curable liquid optical material, and a lens using the lens for enhancing amblyopia and diplopia and concent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123U KR20160004024U (en) | 2015-05-15 | 2015-05-15 |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123U KR20160004024U (en) | 2015-05-15 | 2015-05-15 |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024U true KR20160004024U (en) | 2016-11-23 |
Family
ID=5770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3123U Ceased KR20160004024U (en) | 2015-05-15 | 2015-05-15 |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4024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53770A (en) * | 2022-08-22 | 2022-12-09 | 复立光(上海)科技有限公司 | Optical lens for correcting strabismus |
-
2015
- 2015-05-15 KR KR2020150003123U patent/KR20160004024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53770A (en) * | 2022-08-22 | 2022-12-09 | 复立光(上海)科技有限公司 | Optical lens for correcting strabism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88797B (en) |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
CN11253434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yopia in children | |
KR101660548B1 (en) | A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 |
KR102444986B1 (en) | Multifocal Lens Designs and Methods to Prevent and/or Slow Myopia Progression | |
TWI570470B (en) | Ophthalmic device | |
TWI484249B (en) | Contact lens | |
TW202013017A (en) |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
TWI656378B (en) | Lens design that minimizes vision variation experienced by myopic deepening | |
JP2022000712A (en) | Friction stabilized contact lenses | |
JP2016045494A (en) | Lens design for any pupil diameter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 or delaying myopia progression | |
US5900921A (en) | Lens for diplopia and amblyopia and glasses using the same | |
US11686954B2 (en) | Contact lens with improved visual performance and minimized halo utilizing pupil apodization | |
TW201502637A (en) | Contact lens having peripheral high modulus zones | |
CN117321481A (en)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data set,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design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 |
JP2015018179A (en) | Contact lens | |
JP5632776B2 (en) | Medical glasses for patients with double vision or low vision | |
CN206757219U (en) | For treating amblyopia and diplopia and improving the glasses using lens of concentrated force | |
CN118732298A (en) | Suppress the progression of vision improvement with point-blocking diffuse scattering, soft and delicate mist lenses, glasses and contact lenses | |
KR20160004024U (en) | Lens and Spectacles using the Amblyopia and diplopia and enhanced concentration for treatment | |
JP2864106B2 (en) | Amblyopia and double vision treatment glasses | |
KR101833724B1 (en) | Lenses for amblyopia and diplopia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d | |
KR100902964B1 (en) | Eyeglass Lens for Correcting Eye Dysfunction | |
KR20220032971A (en) | lense for amblyopia and polyopia patient | |
US20250044614A1 (en) | Ophthalmic lens with microlenses for therapeutic management | |
CA3151874C (en) | Glasses for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5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5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10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309 |
|
AMND | Amendment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
|
U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