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886A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8886A KR20150138886A KR1020140065610A KR20140065610A KR20150138886A KR 20150138886 A KR20150138886 A KR 20150138886A KR 1020140065610 A KR1020140065610 A KR 1020140065610A KR 20140065610 A KR20140065610 A KR 20140065610A KR 20150138886 A KR20150138886 A KR 201501388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pattern
- lens
- incid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렌즈를 설치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캡부; 상기 캡부와 결합하고, 하부에는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광원부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다수의 패턴부를 형성한 렌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렌즈를 설치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렌즈를 설치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열등은 진공의 유리구 안에 필라멘트선을 넣고 전원을 인가하면 필라멘트선이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온도 복사에 의해 빛이 얻어지는 광원인데, 고온에서는 필라멘트가 가늘어져 증발하게 되므로 유리구 안에 아르곤과 질소의 혼합 가스를 넣어 증발 작용을 억제시켜 전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
통상의 백열등은 자연광에 가까운 빛을 발하여 눈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고 소켓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여 형광등과 함께 오랜 시간 동안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 중 하나이지만 대부분의 에너지가 열로 방출되고 일부 에너지만이 빛으로 전화되는 등의 열효율이 극히 낮고, 필라멘트 자체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없어 내구성에 단점이 있지만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에도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전력소모를 낮추고 조도를 높이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좋은 전구로서, LED를 광원으로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이러한 LED(light emitting diode: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발생되는 발광 현상을 이용한 광원으로서, 지난 수년간 기술 발전으로 조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밝기가 개선되었으며, 기존 백열등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극히 적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일반 전구용으로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장치는 하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몸체부(20)와 결합하기 위한 캡 결합부(12)를 형성한 캡부(10)와, 하부에 전원 단자와 연결하는 소켓부(21)가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캡(10)와 결합하는 몸체 결합부(22)를 형성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LED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56291호(발명의 명칭 : 조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LED의 특성으로 인해 전방향으로만 빛이 조사되어 빛의 조도는 높지만 빛의 확산성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LED 모듈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는 빛이 조사되지 않아 백열등과 같은 배광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렌즈를 설치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캡부; 상기 캡부와 결합하고, 하부에는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광원부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다수의 패턴부를 형성한 렌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중앙에 설치한 제 1 LED 모듈과, 상기 제 1 LED 모듈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설치한 제 2 LED 모듈을 구비한 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COB(Chip On Board) 타입의 LED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임의의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되고, 중심부가 함몰된 오목부를 형성한 제 1 렌즈부; 상기 제 1 렌즈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입사되는 빛이 일정 배광각을 형성하며 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제 1 렌즈부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 2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전반사되도록 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턴부는 제 2 렌즈부의 입사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한 띠 형상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턴부는 입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패턴 만곡부; 및 상기 빛이 입사되도록 안내하거나 또는 반사하는 패턴부 입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턴 만곡부는 일정 크기의 곡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턴부 입사면은 패턴 만곡부의 중심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패턴부 입사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따라 배광 패턴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렌즈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턴부를 통과한 빛이 상기 광원부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부는 원뿔 형상의 반사부 몸체; 상기 반사부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반사부 몸체가 광원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렌즈를 설치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렌즈부를 변경 설치함으로써,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는 배광 패턴을 변경하여 효과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3의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렌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렌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도 8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렌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도 10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3의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렌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렌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도 8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렌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도 10에 따른 렌즈부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렌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광원부(140)에서 발광된 빛이 LED 조명장치(100)의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캡부(110)와, 몸체부(120)와, 베이스부(130)와, 광원부(140)와, 렌즈부(150)와, 반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부(110)는 구면 또는 비구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부(110)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하부에 몸체부(120)와 체결되는 캡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캡부(110)와 몸체부(120)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거나 또는 분리된 캡부(110)와 몸체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부(110)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캡부(110)의 내면에는 빛의 확산이 증가될 수 있도록 확산제가 도포된다.
상기 몸체부(120)는 하부에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소켓부(121)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에는 베이스 설치부(122)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설치부(122)의 외부 둘레에는 캡부(110)의 캡 결합부(112)와 체결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12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소켓부(12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고, 광원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류수단(미도시) 및 제어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부(130)는 몸체부(120) 상부의 베이스 설치부(122) 상면에 설치되어 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몸체부(120)로 전도되도록 하는 방열부재이고, 상기 베이스 설치부(122)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광원부(140)가 베이스부(1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30)의 상부에는 렌즈부(150)와 반사부(160)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부(163)가 삽입되는 고정공(131)이 설치된다.
상기 광원부(140)는 베이스부(130)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기판(141)과, 상기 기판(141)의 중앙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제 1 LED 모듈(142a)과, 상기 제 1 LED 모듈(142a)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설치한 제 2 LED 모듈(142b)로 구성된 LED 모듈(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LED 모듈(142a)은 발광되는 대부분의 빛이 조명장치(100)의 전방향으로 조사되고, 상기 제 2 LED 모듈(142b)은 발광되는 빛의 일부는 조명장치(100)의 전방향으로 조사되고, 상기 발광되는 빛의 일부는 렌즈부(150) 및 반사부(160)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100)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140)는 COB(Chip On Board) 타입의 LED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패키지 타입 LED 모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렌즈부(150)는 광원부(140)상에 지지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140)에서 출력되는 빛이 광원부(140)의 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출력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광원부(140)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 1 렌즈부(151)와, 제 2 렌즈부(142)와, 다수의 패턴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크릴, PMMA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렌즈부(151)는 임의의 곡률을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투명 부재로서, 상기 제 1 렌즈부(151)의 중앙에 기준선 1(R1)을 중심으로 함몰된 오목부(151a)를 형성하며, 광원부(140)의 제 1 LED 모듈(142a)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되면, 상기 기준선 1(R1)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조사되도록 하거나 또는 일정 각도로 굴절되어 상기 광원부(140)의 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렌즈부(152)는 제 1 렌즈부(151)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반형상의 투명부재로서, 제 1 및 제 2 LED 모듈(142a, 142b)에서 발광되어 입사하는 빛이 일정 배광각을 형성하며 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제 1 렌즈부(151)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렌즈부(152)의 저면 즉 LED 모듈(142)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하는 입사면에 다수의 패턴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턴부(153)는 제 2 렌즈부(1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광원부(140)의 제 1 및 제 2 LED 모듈(142a, 142b)에서 발광되어 입사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전반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 2 렌즈부(152)의 입사면에 반경방향으로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패턴부(153)는 일정 크기의 곡률을 형성하여 패턴부(153)로 입사된 빛이 제 2 렌즈부(152)를 통해 투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렌즈부(152)의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패턴 만곡부(153a)와, 제 1 및 제 2 LED 모듈(142a, 142b)에서 발광된 빛이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되는 빛의 일부를 전반사시켜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패턴부 입사면(153b)으로 구성된다.
또한, 패턴부(153)는 패턴부 입사면(153b)이 패턴 만곡부(153a)의 중심과 일정 각도(A)가 되도록 형성하면, 제 2 렌즈부(152)에서 형성되는 패턴부(153)의 갯수를 설정할 수 있어서 패턴부(153)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패턴부 입사면(153b)이 패턴 만곡부(153a)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를 예를 들면, 60도가 되도록 형성하면, 제 2 렌즈부(152)에는 좁은 간격으로 많은 패턴부(153)가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하여 도 7과 같은 배광 패턴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부 입사면(153b)의 길이(D) 즉 전반사가 일어나는 영역을 조절하여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렌즈부(150')에 형성되는 패턴부(153')의 패턴부 입사면(153b')이 패턴 만곡부(153a')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를 예를 들면, 90도가 되도록 형성하면, 제 2 렌즈부(152)에는 60도에서 형성되는 패턴부보다 넓은 간격으로 패턴부(153')가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광량이 증가하여 도 9와 같은 배광 패턴이 구현된다.
또한, 도 10과 같이 렌즈부(150")에 형성되는 패턴부(153")의 패턴부 입사면(153b")이 패턴 만곡부(153a")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를 예를 들면, 120도가 되도록 형성하면, 제 2 렌즈부(152)에는 90도에서 형성되는 패턴부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패턴부(153")가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광량이 더욱 증가하여 도 11과 같은 배광 패턴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부(160)는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더욱 많은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렌즈부(1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렌즈부(152)의 패턴부(153)를 통과한 빛이 상기 광원부(140)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고, 원뿔 형상의 반사부 몸체(161)와, 상기 반사부 몸체(161)를 관통하는 관통공(162)과, 상기 반사부 몸체(161)가 광원부(1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 몸체(161)는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렌즈부(150)의 제 2 렌즈부(152)를 투과한 빛이 측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공(162)은 렌즈부(150)의 제 1 렌즈부(151)를 투과한 빛이 전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63)는 렌즈부(15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30)의 고정공(131)과 결합하여 반사부(160)가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광원부(140)에서 발광된 빛이 렌즈부(150)와 반사부(160)를 통해 조명장치(100)의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어 백열등과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조명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렌즈부(150)를 변경 설치함으로써, 측방향과 후방향으로 조사되는 배광 패턴을 변경하여 효과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명장치
110 : 캡부
111 : 개구부 112 : 캡 결합부
120 : 몸체부 121 : 소켓부
122 : 베이스 설치부 122a : 몸체 결합부
130 : 베이스부 140 : 광원부
141 : 기판 142 : LED 모듈
142a : 제 1 LED 모듈 142b : 제 2 LED 모듈
150, 150', 150" : 렌즈부 151 : 제 1 렌즈부
152 : 제 2 렌즈부 153, 153', 153" : 패턴부
153a : 패턴 만곡부 153b : 패턴부 입사면
160 : 반사부 161 : 반사부 몸체
162 : 관통공 163 : 지지부
111 : 개구부 112 : 캡 결합부
120 : 몸체부 121 : 소켓부
122 : 베이스 설치부 122a : 몸체 결합부
130 : 베이스부 140 : 광원부
141 : 기판 142 : LED 모듈
142a : 제 1 LED 모듈 142b : 제 2 LED 모듈
150, 150', 150" : 렌즈부 151 : 제 1 렌즈부
152 : 제 2 렌즈부 153, 153', 153" : 패턴부
153a : 패턴 만곡부 153b : 패턴부 입사면
160 : 반사부 161 : 반사부 몸체
162 : 관통공 163 : 지지부
Claims (10)
-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캡부(110);
상기 캡부(110)와 결합하고, 하부에는 광원부(1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121)를 형성한 몸체부(120);
상기 몸체부(120)의 상면에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베이스부(130);
상기 베이스부(130)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40); 및
상기 광원부(140)상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140)에서 출력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광원부(140)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다수의 패턴부(153, 153', 153")를 형성한 렌즈부(150, 150', 150")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40)는 기판(141); 및
상기 기판(141)의 중앙에 설치한 제 1 LED 모듈(142a)과, 상기 제 1 LED 모듈(142a)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설치한 제 2 LED 모듈(142b)을 구비한 LED 모듈(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40)는 COB(Chip On Board) 타입의 LED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50, 150', 150")는 임의의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되고, 중심부가 함몰된 오목부(151a)를 형성한 제 1 렌즈부(151);
상기 제 1 렌즈부(151)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입사되는 빛이 일정 배광각을 형성하며 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제 1 렌즈부(151)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 2 렌즈부(152); 및
상기 제 2 렌즈부(1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전반사되도록 하는 패턴부(153, 153', 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153, 153', 153")는 제 2 렌즈부(152)의 입사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한 띠 형상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153, 153', 153")는 입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패턴 만곡부(153a, 153a', 153a"); 및
상기 빛이 입사되도록 안내하거나 또는 반사하는 패턴부 입사면(153b, 153b', 15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만곡부(153a, 153a', 153a")는 일정 크기의 곡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 입사면(153b, 153b', 153b")은 패턴 만곡부(153a, 153a', 153a")의 중심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패턴부 입사면(153b, 153b', 153b")에서 반사되는 빛에 따라 배광 패턴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렌즈부(150, 150', 1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턴부(153, 153', 153")를 통과한 빛이 상기 광원부(140)의 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160)는 원뿔 형상의 반사부 몸체(161);
상기 반사부 몸체(161)를 관통하는 관통공(162); 및
상기 반사부 몸체(161)가 광원부(1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610A KR20150138886A (ko) | 2014-05-30 | 2014-05-30 | Led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610A KR20150138886A (ko) | 2014-05-30 | 2014-05-30 | Led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8886A true KR20150138886A (ko) | 2015-12-11 |
Family
ID=5502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5610A Abandoned KR20150138886A (ko) | 2014-05-30 | 2014-05-30 | Led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888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2980A (zh) * | 2019-06-11 | 2019-09-06 | 中航海信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自由空间双工通讯光组件 |
CN113366255A (zh) * | 2019-01-24 | 2021-09-07 | 昕诺飞控股有限公司 | Led灯丝装置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5610A patent/KR20150138886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66255A (zh) * | 2019-01-24 | 2021-09-07 | 昕诺飞控股有限公司 | Led灯丝装置 |
CN110212980A (zh) * | 2019-06-11 | 2019-09-06 | 中航海信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自由空间双工通讯光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54252B (zh) | 透镜以及照明装置 | |
JP5618097B2 (ja) | 光学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発光装置 | |
US20160377257A1 (en) | Lens device and led strip light having same | |
TWI512336B (zh) | 光擴散透鏡及具有其之照明固定件 | |
JP2020510969A (ja) | 導光体を備える照明器具 | |
US20160281956A1 (en) | Spread light lens and led strip lights having same | |
JP2013182729A (ja) |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 |
KR101066147B1 (ko) | 엘이디용 반사렌즈 | |
CN103672461B (zh) | 发光二极管灯具 | |
CN204879546U (zh) | 照明装置 | |
US9371975B2 (en) | Light source device | |
KR101167045B1 (ko) | 비구면 렌즈, 이를 구비한 가로등 | |
KR20150138886A (ko) | Led 조명장치 | |
CN107533158A (zh) |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及照明装置 | |
KR101191406B1 (ko) | 백열등의 배광 패턴을 갖는 led 등기구 | |
US20130114266A1 (en) | Reflective unit and light source module having the same | |
JP5853128B2 (ja) | 照明器具 | |
KR101449514B1 (ko) | 확산체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 | |
JP6386808B2 (ja) | 照明装置 | |
KR101389979B1 (ko) | 엘이디 램프 | |
KR101491114B1 (ko) | Led램프 | |
KR20120137077A (ko) | 엘이디 조명기기 | |
JP2013008488A (ja) | 照明器具 | |
KR20120114039A (ko) | 지향각 변경이 가능한 엘이디램프 | |
US20140055992A1 (en) | Illumination module and apparatus and element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