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840A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7840A KR20150137840A KR1020140066408A KR20140066408A KR20150137840A KR 20150137840 A KR20150137840 A KR 20150137840A KR 1020140066408 A KR1020140066408 A KR 1020140066408A KR 20140066408 A KR20140066408 A KR 20140066408A KR 20150137840 A KR20150137840 A KR 201501378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battery
- support member
- intermediate support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은, 전지몸체와 전지몸체로부터 돌출연장된 한 쌍의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을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하도록 양측방향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중간지지부재와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단자결합부를 포함하는 셀조립체 및 상기 단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내부연결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어느 일측면과 전기적을 접합되는 전극단자는 둘 이하로 형성된다. A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 battery body and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from the battery body,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facing each other to receive at least two battery cells, A cell assembly including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formed to divide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a terminal coupling portion extended to be exposed to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nd an inner connection bus bar which is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connection bus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unit battery module.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며, 그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금속 전지, 리튬-이온(Ni-Ion)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Battery, 이하 "LIPB"라 함) 등이 있다.
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which can be repeatedly used through a discharge process of convert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charging process in the reverse direction. 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Ni-Cd) battery, a nickel- A lithium-metal battery, a lithium-ion (Ni-Ion) battery, and a lithium-ion polymer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PB ").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양극 및 음극 소재의 전압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저장 및 발생시킨다. 여기서, 방전이란 전압이 높은 음극에서 낮은 양극으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것이며(양극의 전압 차이만큼 전기를 발생), 충전이란 전자를 다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때 양극물질은 전자와 리튬이온을 받아들여 원래의 금속산화물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는 충전될 때 금속 원자가 분리막을 통하여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충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로 방전될 때 금속 원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The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n anode, a cath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and stores and generates electricity using voltag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node and cathode materials. Here, the discharge is to move electrons from a cathode having a high voltage to a cathode having a low voltage (generating electricity as much as the voltage difference of the anode), and charging means transferring the electrons again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where the anode material receives electrons and lithium ions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metal oxide. That is,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ged, the charge current flows as the metal atoms move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through the separator, and when discharged, the metal atoms move from the cathode to the anode and the discharge current flows.
최근 이차전지는 IT제품, 자동차분야 및 에너지 저장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됨으로써 각광받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IT제품 분야에서 이차전지는 장시간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출력, 내구성 및 폭발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분야는 풍력,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고정형으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완화된 조건의 이차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Recently, secondary batterie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energy sources that are widely used in IT products, automobiles, and energy storage. In the field of IT products, secondary batteries can be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are required to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in the automobile field, they are required to have high output, durability, and stability for eliminating the risk of explosion. In the energy storage field, surplus power produced by wind power, solar power generation, and the like is stored. As it is used in a fixed type, a secondary battery of a more relaxed condition can be applied.
이러한 이차전지는 하기의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06-0028058호에서와 같이,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지모듈간의 직렬 또는 병렬의 연속되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전지팩을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사양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개의 전지셀을 동시에 용접결합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였다.
Such a secondary battery can be used by constructing a battery pack through continuous electrical connection in series or parallel between unit battery module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28058. At this tim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weld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battery module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위전지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의 용접매수를 최소화하여 그 전기적 신뢰성 및 기계적인 강성을 확보하고,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number of welded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unit battery module to secure its electrical reliability and mechanical rigidity,
다양한 제품사양에 따른 스펙을 보다 일원화된 단위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구현함으로써 부품의 단순화 및 공용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전기적 결합에 의한 용접방법의 다양화 및 용접의 신뢰성을 통해 전지모듈이 적용되는 다양한 디바이스의 불량을 방지 및 제품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pecification according to various product specifications can be realized more easily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of unified unit cell module, simplification and common use of parts can be achieved, diversification of welding method by electric connection of battery cell and reliability of weld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t cell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unit cell module, which can prevent defects of various devices to which the battery module is applied and exhibit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은, 전지몸체와 전지몸체로부터 돌출연장된 한 쌍의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을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하도록 양측방향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중간지지부재와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단자결합부를 포함하는 셀조립체 및 상기 단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내부연결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어느 일측면과 전기적을 접합되는 전극단자는 둘 이하로 형성된다. A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 battery body and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from the battery body,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facing each other to receive at least two battery cells, A cell assembly including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formed to divide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a terminal coupling portion extended to be exposed to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nd an inner connection bus bar which is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connection bus bar.
또한, 상기 전지셀은 상기 중간지지부재 양측방향으로 각각 수용되되, 상기 양측방향으로 각각 두 개 이하의 전지셀이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ttery cells may b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nd two or less battery cells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th side directions.
또한, 상기 일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일측면에 전기적 결합되고, 상기 타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타측면에 전기적 결합될 수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one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an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other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have.
또한, 상기 내부연결버스바는 상기 단자결합부의 결합방향의 상단면에서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양측에서 절곡된 외측방향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onnecting bus bar is formed b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n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are bent downwar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And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양극과 음극을 갖도록 각각 제1 탭부와 제2 탭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지지부재 일측방향에 수용된 전극단자의 제1 탭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일측면에 전기적 접합되고, 상기 중간지지부재 타측방향에 수용된 전극단자의 제2 탭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타측면에 전기적 접합될 수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have a first tab portion and a second tab portion each having an anode and a cathode, and the first tab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accommodated in on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bus bar And the second tab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onnection bus bar.
또한,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와 내측부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버스바를 지지, 결합하는 돌출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Further,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and the inner side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은, 청구항 4의 상기 단위전지모듈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 단위전지모듈의 내부연결버스바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상단면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내부버스바를 더 포함한다.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cell module of claim 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unit cell modules, And an inner bus bar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내부버스바와의 전기적인 결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unit cell module and the internal bus bar can be secured.
또한, 단위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전극단자 및 버스바와의 용접매수를 최대 3매이하로 구성하는 공용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나 스펙에 적용될 수 있는 전지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common module having a maximum number of wafers of three electrode terminals and a bus bar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unit battery modu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battery module which can be applied to specifications more effectively. have.
또한,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내부버스바와의 전기적인 용접결합을 레이저용접결합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른 작업속도의 향상 및 리드타임을 절감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ser welding can be used for electrical welding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d the inner bus bar,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working speed and the lead time.
또한, 셀조립체에 수용되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결합되는 내부버스바를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합부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버스바와 단자결합부의 용접결합시 셀케이스의 손상을 최소화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internal bus bar coupled with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cell assembly is forme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ell case when welding the internal bus bar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또한, 셀조립체에 형성된 내부버스바를 양측면을 절곡시켜 각 전극단자를 결합시키고, 그 상단면에는 또 다른 단위전지모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내부버스바를 형성함으로써, 모든 용접부에서의 용접결합을 최소화 시켜 용접의 신뢰성 및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bus ba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t cell modul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us bar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inner bus bar formed in the cell assembly, And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effectively ensur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을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하고, 최외측에 외부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버스바를 형성함으로써 공용화된 단위모듈을 통해 효과적은 전지팩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nit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bus bar for coupling with the external terminal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an effective battery pack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hared unit modul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위전지모듈의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 unit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one side,"" first,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n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은, 전지몸체(11)와 전지몸체(11)로부터 돌출연장된 한 쌍의 전극단자(12)를 포함하는 전지셀(10), 상기 전지셀(10)을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하도록 양측방향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21), 상기 프레임부(21)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중간지지부재(22)와 상기 중간지지부재(22)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단자결합부를 포함하는 셀조립체(20) 및 상기 단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내부연결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어느 일측면과 전기적을 접합되는 전극단자(12)는 둘 이하로 형성된다.
A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0)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서 리튬이차전지 또는 니켈-수소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당업자에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를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지셀(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단위전지모듈(1)을 이루는 것으로, 단위전지모듈(1)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지모듈(100)의 콤팩트화를 이루기 위해 얇은 두께와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전극단자(12)를 이루는 제1 탭부(12a)와 제2 탭부(12b)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라이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는 사이에 분리막이 형성된다.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젤리-롤(Jelly-roll)로 권취된 타입(Winding type)이거나, 스택형/ 스택폴딩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종래의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nd a separator is form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 winding type in a jelly-roll type, a stack type / a stack folding type, or the like according to a method of combin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in the prior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he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10)은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극몸체와 전극몸체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단자(12)인 제1 탭부(12a)와 제2 탭부(12b)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전지몸체(11)로부터 동일한 측면에 제1 탭부(12a)와 제2 탭부(12b)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지몸체(1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제1 탭부(12a)와 제2 탭부(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단자(12)의 배치 구조 및 종류는 특별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the
셀조립체(20)는 내부에 전지셀(10)을 수용하여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셀조립체(20)는 4개 이하의 전지셀(10)을 수용하도록 하며, 후술하는 셀조립체(20)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지부재(22)로부터 구획되는 양측의 공간에 각각 2개 이하의 전지셀(1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하나의 셀조립체(20)에 4개 이하의 전지셀(10)이 수용된 표준화된 단위전지모듈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의 전기적 결합의 신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지모듈(100)의 스펙에도 공용화된 단위전지모듈(1)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전지모듈(100)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ell assembly 20 is formed by housing the
셀조립체(20)는 전지셀(10)을 수용하기 위해 양측방향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21), 마주보는 프레임부(21a, 21b)사이에 형성되어 전지셀(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양측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도록 형성된 중간지지부재(22)와 중간지지부재(22) 상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단자결합부(2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지지부재(22)로부터 구획되는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단위전지모듈(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The cell assembly 2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단위전지모듈(1)은 내부공간에 전지셀(10)이 수용되며, 수용된 전지셀(10)을 양측방향에서 고정 및 지지하도록 한쌍의 프레임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는 제1 프레임(21a)과 제2 프레임(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1a)과 제2 프레임(21b)은 각각 전지셀(10)을 고정하도록 상호 용접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접결합의 방법으로는 레이저용접 등 다양한 용접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중간지지부재(22)는 셀조립체(20)에 수용된 전지셀(10)의 각 전극단자(12)가 후술하는 내부연결버스바(31)를 통해 전기적인 결합을 하기 위해 양측으로 수용된 전지셀(10)을 각각 양측으로 구획한다. 즉, 중간지지부재(22)의 구획방법은 수용된 전지셀(10)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자유롭게 구획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최대 4 개이하의 전지셀(10)이 수용되고, 셀조립체(20) 내에서도 각각 2개 이하의 전지셀(10)이 양측방향으로 각각 수용되어 내부연결버스바(31)와 결합됨으로써,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와 내부연결버스바 간의 결합매수를 최소화한다.
The
중간지지부재(22)의 상단에는 단자결합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결합부(23)는 셀조립체(20) 내부공간에 수용된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내부연결버스바(31)를 결합하기 위한 사출물로써, 플라스틱이나 기타 셀조립체(20) 재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단자결합부(23)는 후술하는 내부연결버스바(31)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연결버스바(3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연결버스바(31)가 역 "U"자형인 "∩" 형상이므로 여기에 대응되도록 단자결합부(23)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내부버스바(32)가 접속가능한 상단면(31a)과 전지셀(10)의 전극단자가 각각 양측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일측면(31b)와 타측면(31c)으로 형성된다.
The
내부연결버스바(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조립체(20)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들을 전기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내부연결버스바(31)는 셀조립체(20) 상단부에 돌출된 단자결합부(2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인 제1 탭부(12a)와 제2 탭부(12b)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n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연결버스바(31)는 단위전지모듈(1)에 전극단자(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전지모듈(1)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내부연결버스바(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버스바(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단위전지모듈(1)을 결합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하는 경우에, 최외측의 단위전지모듈(1)상에 형성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극단자(12)에는 외부모듈터미널(미도시)을 더 구비함으로써 단위전지모듈(1)로 구성된 전지모듈(100)을 외부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3,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위전지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단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unit cel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전지모듈(1)은 4개 이하의 전지셀(10)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공간내에서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와 내부연결버스바(31)와의 용접결합의 매수(전극단자(12)의 제1 탭부(12a) 또는 제2 탭부(12b) 및 연결되는 내부연결버스바(31) 등 용접되는 각 구성의 개수를 용접매수로 정의한다)를 3매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용접매수가 3매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용접방법에 제한이 가해지며, 예를 들어, 용접매수가 3매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합의 신뢰성을 위해 저항용접이나 초음파용접을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용접방식은 작업속도의 지연을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용접 후에도 다량의 용접매수로 인한 내구성의 약화로 용접된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 신뢰성의 확보가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량의 용접매수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전지셀(1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데미지로 인한 전지셀(10) 성능의 저하 또는 전지셀(10)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되어 전체적인 전지셀(10)이 포함된 전지모듈(100)이나 디바이스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조립체(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전지셀(10)이 중간지지부재(22)를 기준으로 양측에 모두 2개씩 삽입되거나, 일측에 2개 타측에 1개와 같이 3개의 전지셀(10)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지셀(10)이 최대 일측방향에 2개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에서 전극단자(12)와 내부연결버스바(31)와 용접결합되는 매수는 두 개의 전지셀(10)로부터 각각 전기적 결합되는 전극단자(12)(2매)와 내부연결버스바(31)(1매)의 일측면(31b) 또는 타측면(31c)이므로 각각 총 3매의 용접결합이 형성되는 것이다.5 and 6, the
단위전지모듈(1) 내에서 최대 3매의 용접결합으로 단위전지모듈(1)을 구현함으로써 용접결합시 소요되는 작업속도의 제약이 있는 저항용접이나 초음파용접이 아닌 레이저용접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접결합의 매수가 3매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중에 전지셀(10)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전지셀(10)의 보호 및 전지셀(10)간 혹은 단위전지모듈(1)간의 전기적 결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용접매수로 인해 발생되었던 단위전지모듈(1)의 기계적인 강성이나 전기적인 안정성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어 단위전지모듈(1)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100)의 전기적 신뢰성 및 구동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연결버스바(31)는 역 "U"자 형인 "∩"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되는 양측면에 각각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한 역 "U"자 형인 "∩" 형태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전극단자가 각각 전기적 접속될 수 있도록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어떠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설계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4 to 6, the internal
내부연결버스바(31)의 절곡된 일측면(31b)에서는 중간지지부재(22)로 구획되어 일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가 결합되고, 내부연결버스바(31)의 절곡된 타측면(31c)에는 중간지지부재(22)로 구획되어 타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10)의 전극단자(1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 및 구조를 통해 최소한의 용접매수를 구현할 수 있다.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전지모듈(1)간의 전기적 연결은 내부연결버스바(31)의 상단면(31a)에 내부버스바(32)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경우에도 내부연결버스바(31) 상단면에 내부버스바(32)가 결합됨으로써, 용접되는 구성이 2매 용접으로 구현될 수 있다.
6,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단위전지모듈(1)을 통해 구현되는 전지모듈(100)상에서 필요한 용접매수는 3매 이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elds required on the
그러므로, 내부버스바(32)를 통해 단위전지모듈(1)의 내부연결버스바(31)를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형성된 각 전극단자(12)의 외부터미널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internal connecting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단자(12)와 내부연결버스바(31) 또는 내부연결버스바(31)와 내부버스바(32) 간의 용접결합시에는 용접결합의 신뢰성 및 전지모듈(100)의 스펙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라인(4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용접라인(40)은 용접시에 상하 방향에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라인을 따라 용접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용접라인(40)은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단자(12)와 내부버스바(32)가 결합되는 면적 즉, 상단으로 돌출된 단자결합부의 높이 스펙에 따라 적절하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접라인(40)을 형성할 수 있다. 용접라인(40)의 개수 및 그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를 들어, 물결무늬나 두꺼운 띠모양 등 용접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의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4 to 6, when welding is performed between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단위전지모듈
10: 전지셀
11: 전지몸체
12: 전극단자
12a: 제1 탭부
12b: 제2 탭부
20: 셀조립체
21: 프레임부
21a: 제1 프레임
21b: 제2 프레임
22: 중간지지부재
23: 단자결합부
23a: 돌출부
31: 내부연결버스바
32: 내부버스바
40: 용접라인
100: 전지모듈1: unit battery module 10: battery cell
11: Battery body 12: Electrode terminal
12a:
20: cell assembly 21: frame part
21a:
22: intermediate support member 23: terminal coupling portion
23a: protrusion 31: internal connection bus bar
32: inner bus bar 40: welding line
100: Battery module
Claims (7)
상기 전지셀을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하도록 양측방향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중간지지부재와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단자결합부를 포함하는 셀조립체 및
상기 단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내부연결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어느 일측면과 전기적을 접합되는 전극단자는 둘 이하로 형성되는 단위전지모듈.
A battery cell including a battery body and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from the battery body;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form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frame portio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extending to be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 cell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an inner connecting bus bar coupled to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Wherein the electr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ternal bus bar.
상기 전지셀은 상기 중간지지부재 양측방향으로 각각 수용되되, 상기 양측방향으로 각각 두 개 이하의 전지셀이 수용되는 단위전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nd two or less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in the both side directions.
상기 일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일측면에 전기적 결합되고, 상기 타측방향에 수용된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타측면에 전기적 결합되는 단위전지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one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an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other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
상기 내부연결버스바는 상기 단자결합부의 결합방향의 상단면에서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양측에서 절곡된 외측방향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단위전지모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connection bus bar is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inner connection bus bar from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e unit cell modu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cell.
상기 복수개의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양극과 음극을 갖도록 각각 제1 탭부와 제2 탭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지지부재 일측방향에 수용된 전극단자의 제1 탭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일측면에 전기적 접합되고,
상기 중간지지부재 타측방향에 수용된 전극단자의 제2 탭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의 타측면에 전기적 접합된 단위전지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formed with first tab portions and second tab portions each having an anode and a cathode,
The first tab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received in on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And the second tab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us bar.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내부연결버스바와 내측부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연결버스바를 지지, 결합하는 돌출부를 더 형성한 단위전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connecting par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onnecting bus bar and the inner side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408A KR102214538B1 (en) | 2014-05-30 | 2014-05-30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408A KR102214538B1 (en) | 2014-05-30 | 2014-05-30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7840A true KR20150137840A (en) | 2015-12-09 |
KR102214538B1 KR102214538B1 (en) | 2021-02-09 |
Family
ID=5487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6408A Active KR102214538B1 (en) | 2014-05-30 | 2014-05-30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4538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42442A (en) * | 2016-06-17 | 2017-12-2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ack |
KR20170142448A (en) * | 2016-06-17 | 2017-12-2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ack |
KR20180075804A (en) * | 2016-12-27 | 2018-07-0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20180083129A (en) * | 2017-01-12 | 2018-07-20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CN109616606A (en) * | 2017-09-29 | 2019-04-12 | Sk新技术株式会社 |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
US11031650B2 (en) | 2017-09-29 | 2021-06-08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US11158912B2 (en) | 2017-10-11 | 2021-10-26 | Lg Chem, Ltd. |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US11302998B2 (en) | 2017-10-10 | 2022-04-12 | Lg Energy Solution, Ltd. |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8058A (en) | 2004-09-24 | 2006-03-2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module |
KR20120025566A (en) * | 2009-07-02 | 2012-03-15 |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 Anchoring frame for individual electricity-storage-bodies, and battery pack |
JP2012109275A (en) * | 2005-12-01 | 2012-06-07 | Nec Corp | Electric device assembly |
KR20120077635A (en) * | 2010-12-30 | 2012-07-10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Pouch Type Cell Case |
JP2013214497A (en) * | 2012-03-08 | 2013-10-17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
WO2014073443A1 (en) * | 2012-11-09 | 2014-05-1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Assembl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ssembled battery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6408A patent/KR1022145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8058A (en) | 2004-09-24 | 2006-03-2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module |
JP2012109275A (en) * | 2005-12-01 | 2012-06-07 | Nec Corp | Electric device assembly |
KR20120025566A (en) * | 2009-07-02 | 2012-03-15 |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 Anchoring frame for individual electricity-storage-bodies, and battery pack |
KR20120077635A (en) * | 2010-12-30 | 2012-07-10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Pouch Type Cell Case |
JP2013214497A (en) * | 2012-03-08 | 2013-10-17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
WO2014073443A1 (en) * | 2012-11-09 | 2014-05-1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Assembl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ssembled battery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31188A (en) * | 2016-06-17 | 2023-06-06 | Sk新能源株式会社 | secondary battery pack |
KR20170142448A (en) * | 2016-06-17 | 2017-12-2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ack |
CN107528019A (en) * | 2016-06-17 | 2017-12-29 | Sk新技术株式会社 | secondary battery pack |
CN107528020A (en) * | 2016-06-17 | 2017-12-29 | Sk新技术株式会社 | Secondary battery |
KR20170142442A (en) * | 2016-06-17 | 2017-12-2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ack |
US10790550B2 (en) | 2016-06-17 | 2020-09-29 | Sk Innovation Co., Ltd. |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a printed circuit |
CN107528020B (en) * | 2016-06-17 | 2024-03-29 | Sk新能源株式会社 | secondary battery pack |
KR20180075804A (en) * | 2016-12-27 | 2018-07-0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20180083129A (en) * | 2017-01-12 | 2018-07-20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CN109616606A (en) * | 2017-09-29 | 2019-04-12 | Sk新技术株式会社 |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
US11031650B2 (en) | 2017-09-29 | 2021-06-08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US11024871B2 (en) | 2017-09-29 | 2021-06-01 | Sk Innovation Co., Ltd. |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
US11302998B2 (en) | 2017-10-10 | 2022-04-12 | Lg Energy Solution, Ltd. |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US11158912B2 (en) | 2017-10-11 | 2021-10-26 | Lg Chem, Ltd. |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4538B1 (en) | 2021-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00694B1 (en) | Battery cell assembly,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battery cell assembly, battery pack including sam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battery pack | |
CN110998902B (en) |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7484992B2 (en) | Energy storage element | |
EP3010072B1 (en) | Battery pack | |
JP2020518988A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busbar assembly | |
KR102214538B1 (en)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US11158895B2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 |
KR102444124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EP3154108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2657580B1 (en) | Battery module having a transformable serial-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KR101984314B1 (en) | Secondary battery | |
EP3675239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 |
KR102211192B1 (en) | Unit battery modu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97122B1 (en) | Battery Module | |
KR102210461B1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a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 |
US20160164051A1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20051424A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20200000181A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117076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 |
KR20140068326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KR20160015751A (en)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
KR20190006965A (en) | A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 | |
JP2022541806A (en) | Battery packs,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biles | |
KR102424640B1 (en) |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KR20190060963A (en) | Secondary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