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751A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5751A KR20160015751A KR1020140098410A KR20140098410A KR20160015751A KR 20160015751 A KR20160015751 A KR 20160015751A KR 1020140098410 A KR1020140098410 A KR 1020140098410A KR 20140098410 A KR20140098410 A KR 20140098410A KR 20160015751 A KR20160015751 A KR 20160015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uch
- battery
- battery cell
- battery cells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더불어 배터리 셀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팩 제조에 있어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과;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파우치 수용부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fix battery cell dimensions so as to mechanically automate a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and facilitate parallel connection between battery cells,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a battery pac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comprising: a pouch type battery cell; An exterior case in which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dimension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fixed when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battery case. A connection structur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팩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조를 기계적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구조 및 이러한 배터리모듈 구조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전기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Generally, unlike a primary cell, a secondary battery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nd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a notebook, and an electric vehicle, and active research is underway. 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리튬 이온 전지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전해질의 성상(액체/고체)만 다를 뿐 그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전지에 따라 전해질이나 극의 재질이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다. 다른 2차 전지의 경우도 전극 또는 전해질로 사용되는 물질이 달라지나 기본 원리 및 구조는 동일하다.The lithium ion battery and the lithium ion polymer battery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that the properties (liquid / solid) of the electrolyte are differen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batter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may be slightly different. In the case of other secondary batteries, the materials used for electrodes or electrolytes are different, but the basic principle and structure are the same.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and the like.
특히,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Particularly, the secondary battery is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hybrid electric vehicle (Plug-In HEV) and the like.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배터리 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In small mobile devices, one or a few battery cells are used per device, while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is used for a large-sized battery module in which a large number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due to the necessity of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배터리 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의 배터리 셀은 중량이 작고 제조 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ince 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 prismatic battery, a pouch-shaped battery, or the like, which can be charg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nd has a small weight to capacity, is mainly used as a battery cell have. Particularly, a pouch-type battery cell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small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shape deformation.
도 1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 사시도로서,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은, 전해액을 밀봉하는 부위인 파우치부(101)와, 상기 파우치부(101)에 결합되는 전극탭(102)으로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battery cell. The pouch
그리고, 상기 파우치부(101)의 가장자리에는 그 내측 본체 부위에 비해 매우 두께가 얇은 테두리부(101a)가 형성된다.The edge portion of the
그러나, 상기에서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은,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파우치를 금속호일의 양면에 절연성 필름을 부착하여서 구성함에 따라 파우치 특성상 형태 변형이 용이하여 치수(dimension)의 유동이 심하므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자동화하여 배터리팩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pouch
즉,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을 이용하되, 기계적으로 자동화시켜서 배터리팩을 만들려면 자동화 과정에서 배터리 셀이 정치수를 유지해야 하는데, 파우치 특성상 치수의 유동이 심하여 정치수가 나오지 못하므로, 배터리팩 생산 과정을 자동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in order to make a battery pack by mechanically automating using the pouch
한편, 배터리팩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에는 직렬 연결만 하면 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병렬 연결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meantime,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battery pack,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only a serial connection is needed in the past, but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a parallel connection is required at present.
특히, 전기 자동차 등 고출력의 리튬 전지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수십에서 수백 개 적층하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얻게 된다.Particularly, when a high-output lithium batter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is required, several hundreds of pouch-type battery cells shown in FIG. 1 are stacked and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obtain a high voltage or a high current.
이를 위해 기존에는 복수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을 적층한 셀 적층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각 배터리 셀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탭(102)을 볼트 조임과 같은 기계적인 체결구조 또는 용접방식 등을 사용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였다. To this end, in fabricating the cell stacked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pouch-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조립성 및 생산 효율성을 낮추게 되며,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However, such a method lowers the assemblability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causes a high production cost.
특히, 배터리 셀의 병렬연결을 위해서는 동일 극성을 갖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탭(102)을 동일 극 끼리 서로 다중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며, 셀 적층체(B)의 용량에 따라서 2개 이상의 전극을 동시에 연결해주는 체결 구조가 필요한데, 상기와 같은 기계적 체결구조 또는 용접 방식을 적용할 경우, 전기적 연결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 효율도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parallel,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배터리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echanically automate the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pouch type battery cell 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attery pack regardless of the dimension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dimension fixing structure for allowing the battery cell to be dimensioned to allow the battery cell to be dimensionally fix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팩을 구성함에 있어서, 배터리 셀 연결 구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팩 제조에 있어서의 작업성 및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having a pouch type battery cell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a battery cell connection structure, And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과;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pouch type battery cell; An exterior case in which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dimension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fixed when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electrode tab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The battery module structure for fixing a battery cell dimension is provide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의 파우치부를 수용하는 파우치 수용부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xterior case may include a pouch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ouch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into at least two spaces.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은 용접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each of the electrode tabs of the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and the battery cell hous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is welded and connected.
그리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성형시, 플라스틱 재질인 외장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insert)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n outer case made of plastic at the time of molding the outer case.
한편, 전술한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의 파티션으로 분할된 각 파우치 수용부에 배터리 셀을 수납하되, 상기 각 파우치 수용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들은 동일 극성을 갖는 전극탭끼리 바로 이웃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탭은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재에 같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battery module structure for fixing the dimension of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battery cells are housed in respective pouch receiving portions divided into partitions of the external case so that the battery cells housed in the pouch receiving portions are hou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lectrode tap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to one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이때, 2개의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시에는, 상기 파티션에 의해 분할된 파우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된 2개의 배터리 셀은 동일 극성의 전극탭이 동일한 전도성 연결부재에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wo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two battery cells received in the pouch receiving portion divided by the partition ar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together with electrode tabs of the same polarity.
그리고, 3개 이상의 배터리 셀이 병렬 연결시에는, 2개의 배터리 셀의 동일 전극의 전극탭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된 동일 전극의 전극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ree or mor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electrode tabs of the same electrode of two battery cell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and disposed outside the two battery cell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Each electrode tab of the battery cell is bent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of the same electrod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battery module structure for fixing the dimensions of the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using the battery module structur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배터리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ack can be manufactured regardless of a dimension of a pouch type battery cel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automating a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pouch type battery cell.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수십에서 수백개 적층하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얻도록 함에 있어서, 적층되는 배터리 셀간의 전기적 연결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N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by laminating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 pouch type battery cells and connecting them in series or paralle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i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stacked battery cells .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더불어, 배터리 셀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 of the battery cells can be stably fixed so that the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echanically automated, and the paralle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can be easily performed. Thus, The degree of freedom can be improved, and workabil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 사시도
도 2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 고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2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평면도로서, 2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3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5b는 도 5a를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4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6b는 도 6a를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a dimension of a pouch type battery cell.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wo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5A and 5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I in FIG. 2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ree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5B is a plan view of FIG. 5A taken along the 'A'
6A and 6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I in FIG. 2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four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6B is a plan view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실시예1][Example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10)과;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는 외장케이스(20)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각 전극탭(10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이때, 상기 외장케이스(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전해액을 밀봉하는 부위인 파우치부(101)를 수용하는 파우치 수용부(201)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201)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203; Partiti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외장케이스(20)의 파우치 수용부(201) 위쪽은 배터리 셀의 전극탭(102)이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201)에 각각 수납된 배터리 셀(10)의 각 전극탭(102)은 용접되어 연결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는, 상기 외장케이스(20)의 성형시, 플라스틱 재질인 외장케이스(20)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insert)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conductive connecting
이때,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는 양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전극탭(102)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전극탭(102)의 치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를 통해 이웃하는 배터리 셀(10)과 손쉽게 병렬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connecting
한편,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파티션(203)으로 분할된 각 파우치 수용부(201)에 배터리 셀(10)을 수납하되, 상기 각 파우치 수용부(201)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10)들은 동일 극성을 갖는 전극탭(102)끼리 바로 이웃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탭(102)은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재(30)에 같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10)들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은, 파티션(203)에 의해 분할된 2개의 공간에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외장케이스(20)의 테두리부(101a)에 의해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고정된다.1 to 4, a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은 외장케이스(20)에 의해 치수(Dimension)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즉, 기존에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특성상, 가로(길이), 세로(폭), 높이에 있어서 치수(Dimension)의 유동성이 심하여 배터리팩의 제조를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공정으로 변환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 구조를 적용할 경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가로(길이), 세로(폭), 높이에 있어서 일정한 치수(Dimension)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계적 자동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In other wor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uch
한편,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에 따르면, 모듈 구성시 배터리 셀(10)간의 병렬 연결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생산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즉,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병렬 연결시, 파티션(203)에 의해 분할된 파우치 수용부(201)에 각각 배터리 셀(10)을 수용함에 있어, 각 배터리 셀(10)의 동일 전극이 나란히 이웃하도록 수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극성을 맞춰주기만 하면 각 파우치 수용부(201)에 수용된 2개의 배터리 셀(10)은 동일 극성의 전극탭(102)이 동일한 전도성 연결부재(30)에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two pouch-shaped
따라서, 상기 각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전극탭(102)과 전도성 연결부재(30)를 용접하여 연결하면 병렬연결이 완료된다.Thus, when the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연결부재(30)는 일정한 치수가 유지되는 외장케이스(20)에 일체 성형됨과 아울러, 양측의 전극탭(102)에 비해 위쪽(즉, 셀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과는 달리 셀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전극탭(102)과 무관하게 고정된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connecting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가 전극탭(102) 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극탭(102)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웃하는 배터리 셀(10)과 손쉽게 병렬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 구조에 따르면,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더불어, 파우치형 배터리 셀(10)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실시예2][Example 2]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3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5A and 5B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to show a state in which three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 A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 역시, 파우치형 배터리 셀(10)과;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외장케이스(20)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각 전극탭(10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다만, 본 실시 예의 상기 외장케이스(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전해액을 밀봉하는 부위인 파우치부(101)를 수용하는 파우치 수용부(201)를 구비하되, 상기 파우치 수용부(201)를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203)이 구비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3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병렬 연결되어야 하므로,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동일 전극의 전극탭(102)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셀(10a)의 전극탭(102)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된 동일 전극의 전극탭(102)에 연결된다.The
부언컨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각 파우치 수용부(201)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이 3개일 경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배터리 셀(10a)의 전극탭(102)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10)의 동일 극성을 갖는 전극탭(10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ree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in the respe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 역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의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더불어, 배터리 셀(10, 10a)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배터리팩 제조시의 작업성 및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structure of the
[실시예3][Example 3]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4개의 배터리 셀을 병렬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6A and 6B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to show a state in which four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6a in the " A " direc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 역시, 파우치형 배터리 셀(10)과;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는 외장케이스(20)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각 전극탭(10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다만, 본 실시 예의 상기 외장케이스(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전해액을 밀봉하는 부위인 파우치부(101)를 수용하는 파우치 수용부(201)를 구비하되, 상기 파우치 수용부(201)를 4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203)이 구비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4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이 병렬 연결되어야 하므로, 2개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동일 전극의 전극탭(102)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나머지 2개의 배터리 셀(10a, 10b)의 각 전극탭(102)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된 동일 전극의 전극탭(102)에 연결된다.The
부언컨대, 상기 외장케이스(20)의 각 파우치 수용부(201)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10)이 4개 일 경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10)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배터리 셀(10a, 10b)의 전극탭(102)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3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10)의 동일 극성을 갖는 전극탭(102)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fou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배터리모듈(1) 구조 역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파우치형 배터리 셀(10)의 치수, 특히 탭의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 함과 더불어, 파우치형 배터리 셀(10, 10a, 10b)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배터리팩 제조시의 작업성 및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structure of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파티션(203)을 가지면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치수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모듈 구조를 조합할 경우, 배터리 셀을 2열, 3열, 4열의 병렬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실시 구조는 생략하였으나, 배터리모듈의 구조를 얼마든지 배터리 셀간의 전기적 연결이 5열 및 그 이상의 다중 병렬 연결(multi parallel electric connection)이 되도록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Particularly, when the battery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the battery cell can be provided with 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of two rows, three columns and four columns. Of the battery cells may be changed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is a multiple parallel electric connection of five or more rows.
따라서, 전기자동차 등에 있어 기존에는 직렬 연결만 하면 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2열, 3열, 4열 등의 병렬 연결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등에 있어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배터리모듈의 직렬 및 병렬 연결을 통해 차량의 요구 특성에 맞게 배터리팩의 요구 용량을 맞춰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only serial connection is required in the past. However, there are a lot of circumstances in which parallel connection of 2 rows, 3 columns, 4 columns, etc. is required in many ca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configured using the battery cells, the required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matched to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hrough serial and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요컨대,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구조에 따르면,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더불어 배터리 셀간의 병렬 연결이 원하는 대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수십 내지 수백 개 적층하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얻도록 함에 있어서,전기적 연결 관계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battery modu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can be stably fixed so as to mechanically automat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using the pouch-type battery ce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 in order to obtain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by stacking tens or hundreds of pouch type battery cells and connecting them in series or paralle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who have.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균등 범위 내에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
본 발명은 배터리팩 제조 공정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 치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더불어, 배터리 셀간의 병렬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팩 제조에 있어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며, 작업성 및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and a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stably fix a battery cell dimension so as to mechanically automate a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and can facilitate parallel connection between battery cell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thus it is an invention highly likely to be used in the industry.
10, 10a, 10b: 파우치형 배터리 셀
101: 파우치부
101a: 테두리부
102: 전극탭
20: 배터리모듈
201: 파우치 수용부
203: 파티션
30: 전도성 연결부재10, 10a, 10b: pouch type battery cell 101: pouch portion
101a: rim portion 102: electrode tab
20: Battery module 201: Pouch accommodating part
203: partition 30: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Claims (8)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수납되며, 수납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치수(dimension)가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납된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 A pouch type battery cell;
An exterior case in which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dimension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fixed when the pouch 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tabs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to the battery case.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의 파우치부를 수용하는 파우치 수용부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A pouch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ouch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into at least two spaces.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와 상기 파우치 수용부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은 용접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and the electrode tabs of the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are wel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는,
상기 전극탭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전극탭 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Wherein the battery module has the same height as the electrode tab or protrudes above the electrode tab.
상기 외장케이스의 성형시, 플라스틱 재질인 외장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insert)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치수 고정을 위한 배터리모듈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outer case is molded, an outer cas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s injection-molded so as to integrally form the battery case.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탭은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재에 같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모듈 구조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The battery cells are hous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s divided into partitions of the outer case, and the battery cells hous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s are housed so as to b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lectrode tabs having the same polarity,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of the same polarity to on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2개의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시,
상기 파티션에 의해 분할된 파우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된 2개의 배터리 셀은 동일 극성의 전극탭이 동일한 전도성 연결부재에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wo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Wherein two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ouch accommodating portion divided by the partition ar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together with electrode tabs of the same polarity.
3개 이상의 배터리 셀이 병렬 연결시,
2개의 배터리 셀의 동일 전극의 전극탭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셀의 각 전극탭은 벤딩되어 상기 전도성 연결부재에 직접 연결된 동일 전극의 전극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병렬 연결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ree or mor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electrode tabs of the same electrode of the two battery cell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Wherein each of the electrode tabs of the battery cells disposed outside the two battery cell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is bent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of the same electrod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rescu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410A KR20160015751A (en) | 2014-07-31 | 2014-07-31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PCT/KR2015/008019 WO2016018113A1 (en) | 2014-07-31 | 2015-07-31 | Battery module for fixing dimensions of battery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410A KR20160015751A (en) | 2014-07-31 | 2014-07-31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751A true KR20160015751A (en) | 2016-02-15 |
Family
ID=5521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8410A Ceased KR20160015751A (en) | 2014-07-31 | 2014-07-31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5751A (en) |
WO (1) | WO2016018113A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04567A1 (en) * | 2017-06-29 | 2019-0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Ji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quality inspection |
US11276905B2 (en) | 2016-11-30 | 2022-03-15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cell having dual welding structures |
KR20240085001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Pouch-type Battery Cell Terrace and Tab Shape Correction Device |
KR20240085004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Measuring and Compensating Device for Deformation of Terrace and Tab Shape of Pouch-type Battery Cell using Vision Sensor and Roller |
KR20240085007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Battery Cell Tap Alignment Device |
KR20240085002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Measuring and Compensating Device for Deformation of Terrace and Tab Shape of Pouch-type Battery Cell using Displacement Sensor and Roller |
KR20240085011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Battery cell Vision Alignment and Tap Process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36873A1 (en) * | 2019-05-10 | 2020-11-11 | Andreas Stihl AG & Co. KG | Battery pack,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pack |
CN112259897B (en) * | 2020-10-20 | 2022-05-20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Lithium Ion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393B1 (en) * | 2005-01-21 | 2009-06-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module |
KR101816813B1 (en) * | 2010-12-30 | 2018-01-11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Case of pouched type cell |
KR101392799B1 (en) * | 2012-06-07 | 2014-05-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of Improved Stability and High Cooling Efficiency |
KR101915325B1 (en) * | 2012-09-06 | 2018-11-0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
2014
- 2014-07-31 KR KR1020140098410A patent/KR20160015751A/en not_active Ceased
-
2015
- 2015-07-31 WO PCT/KR2015/008019 patent/WO20160181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6905B2 (en) | 2016-11-30 | 2022-03-15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cell having dual welding structures |
WO2019004567A1 (en) * | 2017-06-29 | 2019-0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Ji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quality inspection |
KR20190002180A (en) * | 2017-06-29 | 2019-01-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Jig apparatus for quality test of secondary battery |
US10957943B2 (en) | 2017-06-29 | 2021-03-23 | Lg Chem, Ltd. | Jig device for inspecting quality of secondary battery |
KR20240085001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Pouch-type Battery Cell Terrace and Tab Shape Correction Device |
KR20240085004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Measuring and Compensating Device for Deformation of Terrace and Tab Shape of Pouch-type Battery Cell using Vision Sensor and Roller |
KR20240085007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Battery Cell Tap Alignment Device |
KR20240085002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Measuring and Compensating Device for Deformation of Terrace and Tab Shape of Pouch-type Battery Cell using Displacement Sensor and Roller |
KR20240085011A (en) | 2022-12-07 | 2024-06-14 | 주식회사 모아 | Battery cell Vision Alignment and Tap Process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18113A1 (en) | 2016-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89876B2 (en) | Battery module having guide coupl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20160015751A (en) | Structure for fixing dimension of battery cell and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battery cells using the same | |
US9548475B2 (en) |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1446148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for vehicle's battery pack | |
US10243193B2 (en) | Battery pack | |
US8974951B2 (en) | Battery pack | |
US10381679B2 (en) | Battery module array | |
US20180159096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2210461B1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a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 |
KR102397122B1 (en) | Battery Module | |
US9246144B2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44124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US20070124980A1 (en) | Cartridge for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 |
KR102211192B1 (en) | Unit battery modu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160164051A1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US11018391B2 (en) |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EP3567669A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comprising battery pack | |
KR20120107371A (en) | Battery cell holder of improved connecting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2214538B1 (en)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US10319954B2 (en) | Battery cell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US20170309870A1 (en) | Multicavity Battery Module | |
KR102117076B1 (en) | Battery Module Assembly | |
KR102315974B1 (en) | Electric Frame and Battery Pack Having Electric Frame | |
KR20140072689A (en) | Battery Module Assembly | |
KR101864918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