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468A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1468A KR20150111468A KR1020140034434A KR20140034434A KR20150111468A KR 20150111468 A KR20150111468 A KR 20150111468A KR 1020140034434 A KR1020140034434 A KR 1020140034434A KR 20140034434 A KR20140034434 A KR 20140034434A KR 20150111468 A KR20150111468 A KR 20150111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cycle
- module
- smart device
- user
- accid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장착부와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함으로써, 후방감지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차량과 자전거의 안전거리 미확보시, 스마트기기에 경고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자전거 주행 거리와 주행시간 및 평균속도 등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경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기록 모듈을 통해 자전거 사고발생 전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자전거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및 자전거의 후방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자전거 장착부를 포함하며, 자전거 장착부는 자전거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후방감지센서 모듈, 자전거 사고시 사고 발생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여 자전거 충돌전후의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영상과 음성 및 음향을 제공하는 영상기록 모듈, 후방감지센서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와 영상기록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에서 처리한 신호를 상대방 운전자나 도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 표시하는 후미등 모듈, 및 제어모듈이 처리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자전거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및 자전거의 후방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자전거 장착부를 포함하며, 자전거 장착부는 자전거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후방감지센서 모듈, 자전거 사고시 사고 발생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여 자전거 충돌전후의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영상과 음성 및 음향을 제공하는 영상기록 모듈, 후방감지센서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와 영상기록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에서 처리한 신호를 상대방 운전자나 도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 표시하는 후미등 모듈, 및 제어모듈이 처리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장착부와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함으로써, 후방감지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차량과 자전거의 안전거리 미확보시, 스마트기기에 경고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자전거 주행 거리와 주행시간 및 평균속도 등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경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기록 모듈을 통해 자전거 사고발생 전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좌우 방향지시등과 후미등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전거 운전자가 좌우 회전 및 후진시 후방의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서, 안전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자전거 전용도로가 일부 구축되어 있으나 자전거 운전자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로로 주행할 상황이 대다수인 바, 다양한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후방에 접근하는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터, 차량 등을 감지하여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알려 주도록 한 자전거 후방 감지 시스템이 KR 등록특허공보 제0948233호(2010.3.18.공고)에 개시 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후방의 물체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물체 감지 센서와, 물체 감지 센서의 출력에 상응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소등 시키기 위한 컨트롤 유니트와, 컨트롤 유니트의 출력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 및 증폭기를 구비하여, 선행 자전거의 후방에 차량 등이 근접하였을 시 후방의 상황을 선행 자전거 탑승자에게 인지시켜 줌으로써, 추돌 및 급회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설치시 배선의 번거로움과 주변 환경의 소음에 따른 경보음 미청취 등의 문제로 실용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는 운행거리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인지할 수 없어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후방 차량 등과의 교통사고 발생시 자전거 운전자는 본인의 무과실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설치시 배선의 번거로움과 주변 소음으로 인한 경보음의 미청취를 보완하며, 자전거의 교통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사고전후의 정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운전자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주행하는 자전거 운전자에게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광 명소를 지날 경우 해당 관광 명소에 대한 관광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자전거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및 자전거의 후방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자전거 장착부를 포함하며, 자전거 장착부는 자전거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후방감지센서 모듈, 자전거 사고시 사고 발생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여 자전거 충돌전후의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영상과 음성 및 음향을 제공하는 영상기록 모듈, 후방감지센서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와 영상기록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에서 처리한 신호를 상대방 운전자나 도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 표시하는 후미등 모듈, 및 제어모듈이 처리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후방감지센서 모듈은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에 대하여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모듈은 후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후방 차량이 자전거에 접근하는 거리가 좁아질수록 후미등 모듈의 조명이 자동으로 점멸되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경고성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는 자전거 장착부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영상기록모듈이 촬영한 사고 발생 당시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 차량과의 기 설정된 안전거리 미확보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여 경고성 있는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모듈, 사용자의 자전거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을 기록하고 평균속도를 포함한 물리량을 연산하는 주행정보 연산모듈, 교통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차량 통행량이 임계값 이상인 지역과 임계값 미만인 지역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통행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안전경로를 표시하게 하는 안전경로 안내 모듈, 사고발생시 경찰서, 소방서 및 병원을 포함한 관련 기관에 사고소식을 알리는 사고알림 모듈, 자전거 운행구간이 기 설정된 관광 명소에 접근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관광 명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컨텐츠 제공 모듈, 및 GPS위성과 통신하여 자전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 장착부와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함으로써, 자전거가 후방 차량과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였을 경우, 경고 화면을 스마트기기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사고를 미리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에 안전경로 안내모듈을 구현함으로써,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에 주행거리 및 주행시간 연산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건강을 목적으로 탑승하는 사용자가 주행 시간 및 거리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와 자전거 장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에게 자전거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기기(100)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W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자전거 안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05), 디스플레이 모듈(110), 경고 모듈(120), 주행량 연산 모듈(130), 안전경로 안내 모듈(140), 사고알림 모듈(150), 관광컨텐츠 제공모듈(160), 및 GPS 수신모듈(170)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105)은 자전거 장착부(200)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한다.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통신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영상기록모듈(220)이 촬영한 사고 발생 당시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고, 후방 차량과의 기 설정된 안전거리 미확보시 경고모듈(120)에 의해 경고성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자전거 안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고 모듈(120)은 후방 차량과의 기 설정된 안전거리 미확보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여 경고성 있는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주행 중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차량과의 기 설정된 안전거리 확보여부는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에 의해 자전거와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즉, 경고 모듈(120)은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이 안전거리 미확보 상황을 제어 모듈(250)에 전송하면 제어 모듈(250)이 경고 모듈(120)로 경고 화면 출력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정보 연산모듈(130)은 사용자의 자전거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을 기록하고 평균속도를 포함한 물리량을 연산한다. 자전거 주행거리는 스마트기기(100)의 GPS 수신모듈(170)이 출발지와 도착지 및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기록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고, 주행시간은 출발시각과 도착시간의 차이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자전거의 평균속도는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과 운동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안전경로 안내모듈(140)은 차량 통행량(유동량)이 많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자전거가 주행하기에 적합한 안전경로를 안내한다. 일례로 안전경로 안내모듈(140)은 교통정보 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차량 통행량이 임계값 이상인 지역과 임계값 미만이 지역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통행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안전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안전경로 안내모듈(140)은 차량 통행이 빈번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여 안전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인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고알림 모듈(150)은 사고발생시 경찰서, 소방서 및 병원을 포함한 관련 기관에 사고소식을 알림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관광컨텐츠 제공 모듈(160)은 자전거 운행구간이 기 설정된 관광 명소에 임계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관광 명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자전거 운행구간이 기 설정된 관광 명소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는 GPS 수신모듈(170)에 의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GPS 수신모듈(170)은 GPS 위성과 통신하여 자전거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자전거 장착부(200)는 자전거의 후방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1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자전거 장착부(200)는 자전거의 후미등 주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전거 장착부(200)의 구체적인 장착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전거 장착부(200)는 후방감지센서 모듈(210), 영상기록 모듈(220), 무선통신 모듈(230), 후미등 모듈(240), 및 제어 모듈(250)을 포함한다.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은 자전거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일례로 후방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에 대하여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후방감지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경우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은 후방감지 센서 송신기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후방 차량에 부딪혀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기로 수신하면서 송신에서 수신까지의 걸린시간을 파악하여, 자전거의 후미와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환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영상기록 모듈(220)은 자전거 사고시 사고 발생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여 자전거 충돌 전후의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영상과 음성 및 음향을 제공한다. 영상기록 모듈(220)에는 초소형 카메라와 녹음기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30)은 제어모듈(250)이 처리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후미등 모듈(240)은 제어 모듈(250)에서 처리한 신호를 상대방 운전자나 도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 표시한다. 제어 모듈(250)이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을 통해 후방 차량이 자전거에 접근하는 거리가 좁아짐을 판단하면, 제어 모듈(250)은 후미등 모듈(240)의 조명이 자동으로 점멸되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자전거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들이 자전거의 후미로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후방감지센서 모듈(210)이 생성한 데이터와 영상기록 모듈(220)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기기 200 - 자전거 장착부
105 - 무선통신 모듈 210 - 후방감지센서 모듈
110 - 디스플레이 모듈 220 - 영상기록장치 모듈
120 - 경고 모듈 230 - 무선통신 모듈
130 - 주행거리 연산 모듈 240 - 후미등 모듈
140 - 주행시간 연산 모듈 250 - 제어 모듈
150 - 안전경로 안내 모듈
160 - 사고알림 모듈
170 - 관광컨텐츠 제공모듈
180 - GPS 수신모듈
105 - 무선통신 모듈 210 - 후방감지센서 모듈
110 - 디스플레이 모듈 220 - 영상기록장치 모듈
120 - 경고 모듈 230 - 무선통신 모듈
130 - 주행거리 연산 모듈 240 - 후미등 모듈
140 - 주행시간 연산 모듈 250 - 제어 모듈
150 - 안전경로 안내 모듈
160 - 사고알림 모듈
170 - 관광컨텐츠 제공모듈
180 - GPS 수신모듈
Claims (3)
- 사용자에게 자전거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및
자전거의 후방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자전거 장착부
를 포함하며,
자전거 장착부는
자전거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후방감지센서 모듈,
자전거 사고시 사고 발생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여 자전거 충돌전후의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영상과 음성 및 음향을 제공하는 영상기록 모듈,
후방감지센서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와 영상기록 모듈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에서 처리한 신호를 상대방 운전자나 도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으로 표시하는 후미등 모듈, 및
제어모듈이 처리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후방감지센서 모듈은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에 대하여 후방 차량의 접근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모듈은 후방감지센서 모듈을 통해 후방 차량이 자전거에 접근하는 거리가 좁아질수록 후미등 모듈의 조명이 자동으로 점멸되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기기는
자전거 장착부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영상기록모듈이 촬영한 사고 발생 당시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 차량과의 기 설정된 안전거리 미확보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여 경고성 있는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모듈,
사용자의 자전거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을 기록하고 평균속도를 포함한 물리량을 연산하는 주행정보 연산모듈,
교통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차량 통행량이 임계값 이상인 지역과 임계값 미만인 지역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통행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안전경로를 안내하는 안전경로 안내 모듈,
사고발생시 경찰서, 소방서 및 병원을 포함한 관련 기관에 사고소식을 알리는 사고알림 모듈,
자전거 운행구간이 기 설정된 관광 명소에 접근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관광 명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컨텐츠 제공 모듈, 및
GPS위성과 통신하여 자전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434A KR20150111468A (ko) | 2014-03-25 | 2014-03-25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PCT/KR2014/002543 WO2015147346A1 (ko) | 2014-03-25 | 2014-03-26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434A KR20150111468A (ko) | 2014-03-25 | 2014-03-25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468A true KR20150111468A (ko) | 2015-10-06 |
Family
ID=5419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434A Abandoned KR20150111468A (ko) | 2014-03-25 | 2014-03-25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11468A (ko) |
WO (1) | WO2015147346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4389A1 (ko) * | 2016-08-17 | 2018-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자전거 안전운행 시스템 |
KR20180047373A (ko) * | 2016-10-31 | 2018-05-10 | (주)불스브로드밴드 | 자전거 공공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관제 시스템 |
KR101882478B1 (ko) * | 2017-03-06 | 2018-07-30 |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
KR20230037923A (ko) | 2021-09-10 | 2023-03-17 |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84502A (zh) * | 2016-07-21 | 2016-12-07 | 柳州正高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照明功能自行车安全监测报警系统及控制方法 |
CN109238276A (zh) * | 2017-07-10 | 2019-01-18 | 李公健 | 智能识别车辆停放管理及远程了解车辆姿态的车辆及方法 |
US10668971B2 (en) * | 2018-02-21 | 2020-06-02 | Timothy Denholm | Bicycle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
CN108550218B (zh) * | 2018-06-01 | 2024-03-22 | 厦门市市政工程设计院有限公司 | 一种自行车专用道综合管控系统及其管控方法 |
JP7017548B2 (ja) * | 2019-09-30 | 2022-02-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220059975A (ko) * | 2020-11-02 | 2022-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24458A (ja) * | 2000-07-07 | 2002-01-25 | Mitsubishi Heavy Ind Ltd | 観光地域等の特定地域案内システム。 |
KR101467557B1 (ko) * | 2007-05-02 | 2014-12-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주행 경로 선택 |
KR20110059293A (ko) * | 2009-11-27 | 2011-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자전거의 후측방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566897B1 (ko) * | 2009-12-03 | 2015-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전거 관리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412032B1 (ko) * | 2012-08-31 | 2014-06-26 | (주)퓨쳐 라이팅 | 후방감지용 초음파 거리센서를 구비한 자전거 후방감지시스템 |
-
2014
- 2014-03-25 KR KR1020140034434A patent/KR20150111468A/ko not_active Abandoned
- 2014-03-26 WO PCT/KR2014/002543 patent/WO201514734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4389A1 (ko) * | 2016-08-17 | 2018-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자전거 안전운행 시스템 |
KR20180047373A (ko) * | 2016-10-31 | 2018-05-10 | (주)불스브로드밴드 | 자전거 공공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관제 시스템 |
KR101882478B1 (ko) * | 2017-03-06 | 2018-07-30 |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
WO2018164335A1 (ko) * | 2017-03-06 | 2018-09-13 |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
KR20230037923A (ko) | 2021-09-10 | 2023-03-17 |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47346A1 (ko) | 2015-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11468A (ko)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 |
US790806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blind spot identification and warning utilizing portable and wearable devices | |
CN105788321B (zh) | 车辆通信方法、装置及系统 | |
US20140055259A1 (en) | Alarm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larming system, method for outputting the warning and method of notification for conveying a warning regarding the running conditions of a vehicle to pedestrians | |
US20180286232A1 (en) | Traffic control using sound signals | |
US20130127638A1 (en) | Cyclist Proximity Warning System | |
KR102134583B1 (ko) |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
JP7255582B2 (ja) |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3318086A (zh) | 汽车防追尾及安全行车信息交流警示控制系统 | |
ES2607181T3 (es) | Sistema y método para detectar situaciones potenciales de accidente con un vehículo | |
KR101281629B1 (ko) | 센서를 이용한 운전 안내 시스템 | |
WO201711537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 |
US20200191952A1 (en) | Vehicle and object detection system | |
KR20130068159A (ko) | 보행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 |
KR20190019808A (ko) |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 |
KR101911632B1 (ko) |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190112973A (ko) |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 취약 도로 사용자 보호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JP2012178127A (ja) |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装置 | |
KR101947473B1 (ko) |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 |
KR101871819B1 (ko) |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 |
KR20160112667A (ko) |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 |
JP2014044458A (ja) | 車載機器、及び、危険報知方法 | |
KR102612223B1 (ko) | 차량간 통신 기기와 실시간 통신을 수행하는 취약 도로 사용자의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
JP2020154745A (ja) | 処理装置、路側機及び情報処理装置 | |
JP2020077164A (ja) | 車載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