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8401A -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401A
KR20150108401A KR1020157022380A KR20157022380A KR20150108401A KR 20150108401 A KR20150108401 A KR 20150108401A KR 1020157022380 A KR1020157022380 A KR 1020157022380A KR 20157022380 A KR20157022380 A KR 20157022380A KR 20150108401 A KR20150108401 A KR 2015010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metal case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736B1 (ko
Inventor
토모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0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9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hree axes, i.e. universal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02F2001/1333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건설기계의 표시장치(10)로서, 건설기계의 프레임에 유니버설 조인트(조인트 부재(82))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제의 금속 케이스(22)를 구비하고, 금속 케이스(22)에는 표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13)와, 액정 디스플레이(13)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14)이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RY DISPLAY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정보화 시공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적용가능한 표시장치, 및 이 표시장치가 탑재된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기계 등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장치로서 오퍼레이터가 올라타는 캡내의 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건설기계에서의 작업 상황이나 각종 기기의 상태 등이 표시된다.
한편, 최근에는 건설기계를 사용한 토목작업 등에의 정보화 시공의 도입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화 시공이란 토목공사 등의 시공 작업을 유압 셔블이나 불도저, 또는 모터 그레이더라는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행할 때, 정보화 통신기술(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구사해서 이들 건설기계의 작업기의 위치 검출을 행하고, 검출된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작업기를 자동제어시키거나, 시공 작업 현장의 지형과 그 지형에 대한 작업기의 위치라는 정보를 캡내의 표시장치에 표시시키거나 함으로써, 해당 시공 작업(이하, 단지 작업)을 고효율로 행하여 고정밀도의 시공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5-35426호 공보
정보화 시공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해야 할 정보량이 많은 점에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에서만 필요한 정보를 충분하고 또한 적시에 표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그러한 표시장치와는 별도로 정보화 시공용의 표시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정보화 시공용의 표시장치는 작업시에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한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장소, 예를 들면 캡내의 전방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많은 정보를 취급하는 정보화 시공에서는 수치 연산 처리나 그래픽 처리 등을 고속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정보화 시공용의 표시장치는 컴퓨터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해당 표시장치를 캡내의 부착 위치로부터 떼어내어 작업 현장의 관리 사무소 등에 가지고 되돌아가거나 하여 필요한 정보를 작업 현장 이외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하는 것이 표시장치의 기능으로서 요구된다. 필요한 정보란 예를 들면 날마다의 시공 결과의 정보나 정보화 시공에 필요한 설정값, 또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또한, 신장이 다른 오퍼레이터가 승차한 경우나, 작업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자세가 바뀌는 경우라도 시인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특히,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작업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큰 점에서 표시장치에 요구되는 품질로서 큰 진동이나 충격에도 확실하게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기계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해서 높은 휴대성을 가짐과 아울러, 건설기계에 부착했을 때에는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높은 내진동성 및 내충격성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로서, 상기 건설기계의 프레임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제의 금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수지 케이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수지 케이스에 의해 리어 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리어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내에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 기판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상기 금속 케이스는 방열 수단을 통해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을 적어도 측면측에서 유지하는 금속 프레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 셔블이며, 상기 건설기계의 프레임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제의 금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이 부착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수지 케이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수지 케이스에 의해 리어 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리어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내에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 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을 배면측, 측면측, 및 정면측에서 유지하는 금속 프레임을 갖고, 상기 유압 셔블의 운전석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는 이상으로 설명한 것 중 어느 하나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건설기계의 캡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표시장치의 지지는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1점 지지되므로 표시장치의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표시장치의 착탈에 요하는 시간도 적어서 좋고, 운전석의 프레임으로부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를 취급함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나 제어 기판은 중량물이지만, 이들 중량물은 강도 및 강성의 면에서 우위인 금속 케이스에 일체로 부착되며, 이 금속 케이스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캡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예를 들면 유니버설 조인트와 표시장치의 접합 부분이라는 개소가 파손되지 않고 높은 내구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내에서의 표시부나 제어 기판을 강고하게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부나 제어 기판의 파손 방지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 전체적으로 내진동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높은 내구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건설기계의 캡의 내관도.
도 3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표시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리어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9는 표시장치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표시장치내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도.
[건설기계의 개략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1)에 설치된 캡(5)의 내관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를 갖고 있다. 한쌍의 크롤러가 회전함으로써, 유압 셔블(1)은 선회 또는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해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F)(차량 앞측)에서 좌측(L)에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을 조종하기 위해서 올라타는 캡(5)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B)에는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이 설치되고, 또한 그 후방측(B)에는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캡(5)내의 운전석(91)(도 2)에 착석했을 때에 오퍼레이터의 왼손측이 되는 방향을 좌측(L), 오른손측이 되는 방향을 우측(R), 전방이 되는 방향을 전방측(F), 후방이 되는 방향을 후방측(B)으로 칭한다.
토사의 굴착 등을 행하는 작업기(4)의 붐(6)은 캡(5)의 우측(R)에서 상부 선회체(3)에 축지지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6)과, 붐(6)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암(7)과, 암(7)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8)을 갖고 있다. 붐(6), 암(7), 및 버킷(8)은 각각 유압 실린더인 붐 실린더(6A), 암 실린더(7A), 버킷 실린더(8A)의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버킷(8)의 경우에는 버킷 실린더(8A)의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된 링크 부재를 통해 버킷(8)에 연결)되어 있고, 각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작업기(4)는 요동 동작한다.
[정보화 시공 시스템의 개략 설명]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는 정보화 시공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성이 탑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보화 시공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 설명한다. 정보화 시공 시스템에서는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로 작성된 시공 설계 데이터가 소정의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기억부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도시가 생략된 기억장치, 또는 후술하는 표시장치(10)의 제어 기판(14)에 설치된다.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0)는 그 화면 상에 유압 셔블(1)의 현상황 위치나 작업기(4)의 위치 및 자세, 구체적으로는 버킷(8)의 날끝위치를 리얼타임으로 갱신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대해서 유압 셔블(1)의 작업기(4)의 조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버킷(8)의 날끝위치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GNSS(전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3A)로부터 얻어지는 현재 위치 정보나 유압 셔블(1)의 차체 치수의 정보 등을 사용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해서 구해진다.
유압 셔블(1)에 탑재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콘트롤러는 시공 설계 데이터와 버킷(8)의 날끝위치를 리얼타임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각 실린더(6A,7A,8A)를 동작시킴으로써 작업기(4)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공 설계 데이터에 따라서 시공되어야 할 위치와 버킷(8)의 상대 위치를 연산해서 구하면서 시공 설계 데이터에 의거하는 시공면을 지나치게 깊게 파지 않도록 작업기(4)를 제어하고, 굴착 또는 정지(整地) 등의 소정의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에는 표시장치(10)에 버킷(8)의 날끝위치나 시공 설계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이들에 의해, 시공 설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1)의 작업기(4)가 자동제어되고, 오퍼레이터에 작업기(4)의 조작을 유도하므로, 종래의 시공에서 필요했던 시공시의 마크가 되는 말뚝이라는 규준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높은 시공 정밀도를 갖는 시공 결과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캡 내부의 설명]
도 2에 나타내는 캡(5) 내부의 전방측(F)의 우측(R)에 있어서 캡(5)의 데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에는 다목적 표시장치(9)가 설치되고, 그 상방에는 표시장치(10)가 캡(5)의 프레임으로서의 필러(5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중, 표시장치(10)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이다. 표시장치(1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표시장치(10)의 부착 장소는 도 2에 나타낸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석(91) 근방이면, 예를 들면 좌측의 필러(5A)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다목적 표시장치(9)는 전출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에 해당된다. 즉, 다목적 표시장치(9)는 정보화 시공 이외의 부분에서 유압 셔블(1)을 구동하는데에 필요한 인디케이터나 가동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로서는 유압 셔블(1)의 누적 가동 시간, 오토 디셀러레이션 설정 상태, 작업 모드 설정 상태, 주행속도 설정 상태,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엔진 수온 게이지, 각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기기를 동작하기 위한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작동 유온 게이지,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 레벨 게이지,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코 게이지, 엔진 수온의 값, 작동 유온의 값, 연료 소비량의 값, 각종 설정 등을 위해서 스위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펑션 스위치 메뉴 등이다.
또한 다목적 표시장치(9)에는 카운터 웨이트 상에 탑재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차량 탑재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의 스위칭, 인디케이터나 가동 상태 등의 정보의 표시 내용의 스위칭, 각종 메인터넌스 이력 등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의 스위칭이라는 것을 실행하기 위한 펑션 키(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목적 표시장치(9)에는 오토 디셀러레이션, 작업 모드 선택, 주행 속도단 선택, 부저 캔슬, 와이퍼 작동, 윈도우 워셔 분사, 에어콘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기본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캡(5) 내부의 대략 중앙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91)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1)의 전방측(F)에는 하부 주행체(2)를 조작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 조작 레버(92,92)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1)의 좌측(L) 및 우측(R)에는 작업기(4)(붐(6), 암(7), 버킷(8))의 요동 동작 및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기 위한 작업기 조작 레버(93,9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91)의 우측(R)에는 엔진으로의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기 위한 연료 다이얼 등을 설치한 콘솔(94)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의 설명]
도 3은 표시장치(10)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표시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표시장치(10)는 유니버설 조인트로서의 지지부재(80)를 통해 캡(5)의 필러(5A)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5B)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5B)에는 볼트(86)가 관통가능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부재(81)를 볼트(86)로 브래킷(5B)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재(80)는 지지 브래킷(5B)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베이스 부재(81)와, 표시장치(10)의 배면측에 부착된 조인트 부재(82)와, 베이스 부재(81) 및 조인트 부재(82)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한쌍의 암 부재(83,8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베이스 부재(81), 조인트 부재(82), 암 부재(83,83)는 금속제이며, 표면은 소정 색의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구체부(84,87)는 표면 처리 등에 의해 경화시킨 것이어도 좋다.
베이스 부재(81)는 구형상의 구체부(84)와, 원반상의 평판부(85)를 갖고 있다. 평판부(85)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85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5A)을 관통해서 볼트(86)가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부재(81)가 지지 브래킷(5B)에 체결된다. 또, 베이스 부재(81)와 지지 브래킷(5B)은 볼트(86)에 의한 체결이 아닌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조인트 부재(82)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부재(81)와 같은 구성이며, 구형상의 구체부(87)와, 원반상의 평판부(88)를 갖고 있다. 평판부(88)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88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8A)을 표시장치(10)측으로부터의 스터드 볼트(23A)(도 7, 도 8)가 관통하고, 스터드 볼트(23A)에 너트(23C)(도 8, 도 9)를 와셔(23D)와 함께 체결함으로써 조인트 부재(82)가 표시장치(10)에 체결된다.
암 부재(83,83)는 한쪽의 단부에서 베이스 부재(81)의 구체부(84)를 끼우고, 다른쪽의 단부에서 조인트 부재(82)의 구체부(87)를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암 부재(83)에는 볼트 구멍(83A)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암 부재(83)에는 관통구멍(8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암 부재(83)는 관통구멍(83B)을 관통해서 볼트 구멍(83A)에 체결되는 각 볼트 등의 접합 부재(89)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또, 접합 부재(89)의 사각형의 두부는 손잡이부(89A)로 되어 있고, 손잡이부(89A)를 잡고 접합 부재(89)를 회전시킴으로써 암 부재(83)끼리의 접합의 강약 정도를 조정가능하다. 또, 파지부(89A)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반상으로 되어 있어서 측면에 굄돌의 홈이 새겨진 것이어도 좋다.
베이스 부재(81)의 구체부(84)를 통해 암 부재(83)가 지지 브래킷(5B)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암 부재(83)는 지지 브래킷(5B)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80)는 지지 브래킷(5B)에 대한 부착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인트 부재(82)의 구체부(87)를 통해 표시장치(10)가 암 부재(83)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표시장치(10)는 지지부재(8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장치(10)는 암 부재(83)의 연장 방향에 대한 부착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암 부재(83)끼리를 접합 부재(89)로 강고하게 접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81) 및 조인트 부재(82)의 각 구체부(84,87)가 암 부재(83)에 의해 강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표시장치(10)는 지지 브래킷(5B)이 설치된 필러(5A)에 대해서 고정되고,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암 부재(83)끼리를 접합 부재(89)로 헐겁게 접합함으로써, 지지부재(80)는 지지 브래킷(5B)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되고, 표시장치(10)도 암 부재(83)에 대해서 회동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장치(10)는 지지부재(80)에 의해 정해진 가동 범위내에 있어서 필러(5A)에 대해서 자유롭게 위치나 방향을 바꾸어서 이동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로서의 지지부재(80), 베이스 부재(81), 조인트 부재(82)를 사용해서 표시장치(10)를 필러(5A)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위치나 방향으로 표시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10)의 화면을 시인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장치(10)를 이동시키거나, 표시장치(10)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필러(5A)의 방향으로 보이는 외계를 보다 시인하고 싶을 때에 표시장치(10)를 외계의 시인을 방해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표시장치(10)를 조인트 부재(82)째 암 부재(83)로부터 떼어내어 표시장치(10)를 탈착시켜 운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 부재(89)의 체결 상태에 따라서는 표시장치(10)를 지지부재(8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장치(10)를 조인트 부재(82)째 암 부재(83)로부터 떼어내어 가지고 나갈 수 있어 표시장치(10)의 기억부에 저장된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작업 현장 이외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장치(10)에는 후술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31)가 설치되어 있고, 그러한 입출력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업로드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표시장치의 개략 설명]
도 5는 표시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액정 디스플레이(13)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어 케이스(12)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시장치(10)의 프론트 케이스(11)측을 정면으로 한다. 이하, 방향을 정해서 설명할 때는 도면 중에 정의한 방향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표시장치(10)는 중앙에 큰 직사각형상의 개구부(11A)를 갖는 프론트 케이스(11)와, 프론트 케이스(11)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는 리어 케이스(12)와, 프론트 케이스(11) 및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내에 수용되는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3)와, 마찬가지로 내부 수용 공간내에 수용되어서 액정 디스플레이(13)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14)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13) 및 제어 기판(14)은 모두 리어 케이스(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리어 케이스(1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론트 케이스(11)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이다. 프론트 케이스(11)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개스킷이 배치되고, 프론트 케이스(11)의 외주 가장자리와 리어 케이스(12)의 외주 가장자리 사이에서 시일되어 내부 수용 공간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1)의 이면에는 개구부(11A)를 막도록 해서 패널(15)이 부착되어 있다. 패널(15)은 터치패널이며,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패널(15)은 가시광의 높은 투과율을 갖는 합성수지제이며, 그 표면에 산화 인듐 주석에 의한 투명 도전막을 가짐으로써 터치패널로서 기능한다.
액정 디스플레이(13)는 도 5,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모듈(16)과, 액정 모듈(16)을 배면측 및 측면측(좌우측)으로부터 유지하는, 예를 들면 프레임형상이며 알루미늄제의 홀더(17)와, 액정 모듈(16)을 정면측으로부터 밀어넣는, 예를 들면 프레임형상이며 스틸제의 플레이트(18)를 구비한다. 홀더(17) 및 플레이트(18)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프레임이 형성된다.
홀더(17)는 프레임형상임과 아울러 수용부(17B)를 갖고 있어 액정 모듈(16)의 배면측을 후술하는 완충 시트(16B)를 통해 수용부(17B)에 붙여서 액정 모듈(16)을 배면측으로부터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17)는 다이 캐스트 제법에 의해 만들 수 있다. 플레이트(18)는 강판을 레이저 가공해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표시장치(10)(액정 디스플레이(13))는 정보화 시공이라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가능한 한 시인성 좋게 오퍼레이터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13)는 컬러 액정이며 예를 들면 12.1인치의 크기의 것이 사용된다. 그러한 크기이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13)는 중량이 크게 되어 있다.
홀더(17)의 좌우측으로부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를 고정 구멍(H1)에 통과시키고, 또한 그 나사를 액정 모듈(16)의 측면에 형성한 나사 구멍(H2)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액정 모듈(16)은 상기 홀더(17)내에 나사 고정되어 유지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를 이용하여 그 나사를 플레이트(18)의 고정 구멍(H3)에 통과시키고, 또한 홀더(17)의 나사 구멍(H4)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액정 모듈(16)은 정면측으로부터 홀더(17)에 나사 고정된다. 플레이트(18)에 의해 좌우측 뿐만 아니라 정면측에서도 액정 모듈(16)은 유지되는 것이다. 또, 플레이트(18)를 사용하지 않고, 액정 모듈(16)은 측면에 형성한 나사 구멍(H2)에 나사삽입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만으로 측면측에서만 유지되도록 해도 좋다.
액정 모듈(16)의 좌우 및 상하의 측면 및 배면측의 이면에는 홀더(17)의 프레임내에 있어서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시트(16A,16B)가 부착된다. 플레이트(18)의 정면측에도 완충 시트(18A)가 부착된다. 완충 시트(16A,16B,18A)는 고무재나 발포재가 사용된다.
홀더(17)의 외주, 즉 상하 좌우에는 복수의 암부(17A)가 외방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암부(17A)의 각각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가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암부(17A) 중 일부, 구체적으로 상하에 각각 3개의 암부(17A) 중 좌우 중심 위치에 배치된 하나와, 또한 좌우에 각각 2개의 암부(17A)의 돌출 위치는 제어 기판(14)의 외주와 대략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암부(17A)에 대응한 위치에는 리어 케이스(12)로부터 부착 보스(22E)(도 5, 도 7)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부착 보스(22E)의 선단은 제어 기판(14)에 형성된 노치부(14A)를 통해서 홀더(17)측(정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나사(17E)(도 10)가 암부(17A)의 관통구멍을 삽입통과하고, 부착 보스(22E)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체결된다.
이에 대해서 나머지의 암부(17A), 구체적으로는 상하에 각각 3개의 암부(17A)의 좌우에 배치된 2개는 제어 기판(14)의 외주보다 더 소정 길이 외방(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암부(17A)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되는 도시 생략의 나사는 제어 기판(14)의 외측 가장자리 위치보다 상하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대응해서 리어 케이스(12)에 설치된 다리부(22C)(도 5, 도 7)에 체결된다. 즉, 다리부(22C)에도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기판(14)은 액정 디스플레이(13)에 대한 표시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전자부품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이다. 제어 기판(14)의 이면측(배면측)에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를 컴퓨터 장치로서 기능시킬 때의 기본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OS(Operating System) 구동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OS 구동부(14B)는 수치 연산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시에 열을 발하는 전자부품이다. 따라서, OS 구동부(14B)는 그 수치 연산 프로세서 등의 전자부품의 표면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방열 시트가 붙여져 있다. 또한 그 방열 시트의 상면(배면측)에는 알루미늄제의 방열 블록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방열 시트와 방열 블록이 방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8은 수치 연산 프로세서 등의 전자부품과 상기 방열 시트 및 방열 블록이 일체로 되어 OS 구동부(14B)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방열 수단의 배면측(방열면)에는 열전도성을 갖는 방열 시트(19)가 부착되고, 이 방열 시트(19)도 방열 수단으로서 구성되며, 방열 시트(19)를 통해 OS 구동부(14B)와 금속 플레이트(23)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제어 기판(14)의 다른 분부에는 전원부나, 외부와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보화 시공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에 의거해서 필요한 연산 처리를 행하는 연산 처리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제어 기판(14)의 이면측(배면측)에는 6개의 단3 건전지형의 2차 전지(SB)(도 8)가 접착제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들 2차 전지(SB)는 표시장치(10)의 백업 전원으로서 이용된다. 이들 2차 전지(SB)는 도 8에 나타내는 표시장치(10)의 단면도로 나타내듯이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2개를 1세트로 하고, 상하 방향으로 3세트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제어 기판(14)에는 2차 전지(SB)가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14)은 중량이 크게 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의 설명]
도 7은 리어 케이스(1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표시장치(10)의 단면도이며, 도 9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표시장치(10)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12)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케이스(21)와, 수지 케이스(21)의 내측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금속 케이스(22)와, 금속 케이스(22)의 더 내측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금속 플레이트(23)를 구비한다. 금속 케이스(22)는 다이 캐스트 제법에 의해 만들어지며, 필요한 나사 구멍이나 폴리싱 등의 기계가공을 실시해서 만들어진다. 금속 플레이트(23)는 알루미늄판으로부터 시어링 등에 의해 절단되며, 필요한 펀칭 가공을 실시해서 만들어진다.
수지 케이스(21)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이 개구부(21A)를 막도록 금속 케이스(22)가 수지 케이스(21)의 내측에 배치된다. 수지 케이스(21)의 개구부(21A)의 주위에는 수지 케이스(21)의 내외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21B)에는 외방, 즉 배면측으로부터 나사(21C)(도 8, 도 9)가 삽입통과되어, 각 나사(21C)를 금속 케이스(22)와 체결함으로써, 수지 케이스(21)가 금속 케이스(22)에 부착된다.
이 때,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수지 케이스(21)와의 대향면)에는 나사(21C)의 체결 부분을 둘러싸도록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환상의 홈이 형성되고, 홈내에는 O링(24)이 배치된다. 또한 금속 케이스(22)의 상기 개구부(21A) 둘레에 대응한 위치에는 사각 환상의 개스킷(25)이 배치된다. 이들 O링(24) 및 개스킷(25)에 의해 수지 케이스(21)와 금속 케이스(22)의 접촉부가 시일되어 내부 수용 공간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23)의 배면측의 대략 중앙에는 배면측을 향해서 4개의 긴 스터드 볼트(23A)가 세워서 설치되고, 도 7중에서의 그 좌우 양측에는 스터드 볼트(23A)의 길이에 비해서 짧은 2개의 스터드 볼트(23B)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23A)는 지지부재(80)를 구성하는 조인트 부재(82)를 표시장치(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스터드 볼트(23A)에는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측으로부터 너트(23C)가 와셔(23D)와 함께 체결된다(도 9). 스터드 볼트(23B)는 금속 플레이트(23) 자신을 금속 케이스(2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스터드 볼트(23B)에는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측으로부터 너트(23C) 및 와셔(23D)와 동일한 너트 및 와셔가 2개소에서 체결된다(도 9). 또, 금속 케이스(22)에 직접, 스터드 볼트(23A)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지 않는 것은 이하의 사유에 의한다. 금속 케이스(22)는 다이 캐스트 제법에 의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금속 케이스(22)에 직접, 스터드 볼트를 세워서 설치하고, 스터드 볼트의 입설부분에 있어서의 금속 케이스(22)와 스터드 볼트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금속 케이스(22)와는 별도 부품의 금속 플레이트(23)에 스터드 볼트(23A,23B)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금속 케이스(22)에는 금속 플레이트(23)의 스터드 볼트(23A,23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2A,22B)이 형성되어 있다(도 7). 금속 케이스(22)의 내면(금속 플레이트(23)와의 대향면)에는 관통구멍(22A,22B)을 둘러싸도록 환상의 홈이 형성되고, 홈내에는 O링(26)이 배치된다. 이들 O링(26)에 의해 금속 케이스(22)와 금속 플레이트(23)의 접촉부가 시일되어 내부 수용 공간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금속 케이스(22)와 금속 플레이트(23) 사이에는 열전도성을 갖는 방열 시트(27)가 개재된다. 이 방열 시트(27)에도 스터드 볼트(23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7A)의 직경은 O링(26)이 배치되는 홈의 직경보다 크고, O링(26)에 의한 시일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23)의 정면측의 면은 전술한 방열 시트(19)와 접촉한다. 따라서, 방열 시트(27)를 설치함으로써, 제어 기판(14)의 OS 구동부(14B)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방열 수단(방열 시트(19)를 포함하는 방열 수단)으로부터 금속 플레이트(23), 방열 시트(27), 및 금속 케이스(22)를 전도하고,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으로부터 표시장치(10)의 외부로 방열되므로 표시장치(10)를 정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 케이스의 상세 설명]
수지 케이스(21)의 내면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듯이 외주를 따라 복수의 부착 보스(2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보스(21D)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프론트 케이스(11) 고정용의 나사를 삽입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나사를 배면측으로부터 그 관통구멍에 통과시키고, 프론트 케이스(11)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상기 나사를 나사삽입해서 체결된다. 이렇게, 수지 케이스(21)는 금속 케이스(22)가 체결됨과 아울러 수지 케이스(21)와 같은 재질인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11)가 부착된다.
즉, 중량이 큰 액정 디스플레이(13)나 제어 기판(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22)에 체결해서 부착되는 것이며, 수지 케이스(21)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프론트 케이스(11), 액정 디스플레이(13), 제어 기판(14), 수지 케이스(21)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금속 케이스(22)에 부착되어 있고, 금속 케이스(22)에 조인트 부재(82)가 부착되는 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10) 전체가 이 금속 케이스(22)를 통해 지지부재(80)로 지지되어 있다.
그 외, 수지 케이스(21)의 배면에는 표시장치(10)를 기동 또는 정지할 때에 조작되는 전원인 온·오프 스위치(28), 빨리 표시장치(10)를 정지할 때에 조작되는 긴급 오프 스위치(29)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31)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 케이스의 상세 설명]
금속 케이스(22)의 내면에는 도 5나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의 변가장자리를 따라 합계 4개의 다리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22C)는 나사 구멍을 갖고 있고, 제어 기판(도 5, 도 8)의 외주보다 더 외방에 설치되고, 액정 디스플레이(13)의 홀더(17)에 설치된 일부의 암부(17A)로 체결해서 고정된다. 그 일부의 암부(17A)란 홀더(17)의 상하에 3개 설치된 것 중 좌우 2개의 암부(17A)이다. 또한 금속 케이스(22)의 내면에는 복수의 짧은 부착 보스(22D) 및 복수의 긴 부착 보스(22E)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 보스(22E)는 나사 구멍을 갖고 있고, 홀더(17)의 다른 암부(17A)와 부착 보스(22E)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나사 고정된다.
짧은 부착 보스(22D)에는 제어 기판(14)이 접촉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가 정면측으로부터 제어 기판(14)에 형성한 관통구멍(14D)을 통해 부착 보스(32D)에 형성한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나사 고정된다. 긴 부착 보스(22E)는 설치된 제어 기판(14)의 상하 좌우의 외측의 장소에 있어서 정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 보스(22E)에는 홀더(17)에 설치된 다른 암부(17A)가 접촉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나사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13)가 체결되어 나사 고정된다. 이렇게, 비교적 중량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13) 및 제어 기판(14)은 금속 케이스(22)에 설치된 다리부(22C), 부착 보스(22D), 및 부착 보스(22E)를 통해 금속 케이스(22)에 부착된다.
금속 케이스(22)의 내면에는 또한 2개 나란히 배치된 2차 전지(SB)를 유지하는 전지 지지부(22F)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 지지부(22F)의 표면에는 발포 수지제의 완충 시트(32)가 부착되어 있다(도 8). 이 전지 지지부(22F) 및 완충 시트(32)에 의해 유압 셔블(1)에 큰 내진이나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 기판(14)에 접착제로 고착된 2차 전지(SB)가 유지되고, 2차 전지(SB)의 탈락 방지 및 2차 전지(SB)의 통전상태의 유지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측에서는 원형의 고정면(22G)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면(22G)에는 스터드 볼트(23A)의 위치에 대응한 관통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면(22G)으로부터는 금속 플레이트(23)에 설치한 스터드 볼트(23A)가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스터드 볼트(23A)에 조인트 부재(82)가 삽입통과되고, 조인트 부재(82)는 고정면(22G)에 너트(23C)와 와셔(23D)로 고정된다. 즉, 너트(23C)를 조임으로써 조인트 부재(82)의 평판부(88)와 금속 플레이트(23)로 금속 케이스(22)를 협지하도록 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82)가 고정면(22G)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금속 케이스(22)의 내면측(정면측)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3) 및 제어 기판(14)이 고정되고,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측에는 조인트 부재(8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13)나 제어 기판(14)이라는 중력물을 포함하는 표시장치(10) 전체가 강도 및 강성의 면에서 우위인 금속 케이스(22)를 통해 지지부재(80), 나아가서는 필러(5A)에 지지되게 되어 표시장치(10)의 내진동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금속 케이스(22)와 중량물(액정 디스플레이(13)와 제어 기판(14))이 일체로서 구성되고, 필러(5A)에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22)의 배면에는 또한 고정면(22G)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22H) 외에 다수의 리브(22H)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리브(22H)에 의해 금속 케이스(22)의 강도를 확보시키고 있는 것에 추가해서 방열 성능을 확보시키고 있고, 제어 기판(14)측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금속 케이스(22)에는 네트워크용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네트워크 커넥터(33), USB 커넥터(34), 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35), 및 USB 이외의 신호용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36) 등이 부착된다.
[제어 기판의 지지구조]
도 10에는 표시장치(10)내의 요부로서 금속 케이스(22)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13)를 끼워 넣고 있는 홀더(17) 및 제어 기판(14)의 지지구조가 확대되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0에 있어서, 홀더(17)에 설치된 암부(17A)는 금속 케이스(22)에 세워서 설치된 부착 보스(22E)에 나사(17E)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부착 보스(22E)의 선단은 제어 기판(14)에 설치된 노치부(14A)를 통해서 홀더(17)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홀더(17)의 암부(17A)에는 나사(17E)가 삽입통과되는 부분에 대응해서 부착 보스(22E)측으로 개구된 주머니 형상의 오목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C)에는 부착 보스(22E)의 상단측이 수용되어 있다. 오목부(17C)를 형성하는 천면부(17D)에는 부착 보스(22E)의 상단이 접촉되고, 접촉한 상태에서 암부(17A)가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부착 보스(22E)의 외주에는 입설 방향을 따라 4조의 리브(22J)가 형성되고, 리브(22J)의 선단측에는 노치가 실시된 단차부(22K)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22K)에는 제어 기판(14)에 형성된 노치부(14A)의 내주 가장자리가 적재되어 있다. 노치부(14A)의 내주 가장자리는 그 표리에 걸쳐서 완충 시트(14C)로 덮여져 있다.
암부(17A)의 오목부(17C)의 개구측의 단부(도 10의 하단)는 제어 기판(14)의 노치부(14A) 둘레에 있어서 완충 시트(14C)의 피압박부(14E)를 압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어 기판(14)은 완충 시트(14C)째 암부(17A)와 부착 보스(22E)의 단차부(22K) 사이에서 협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특히 제어 기판(14)에서의 2차 전지(SB)가 고착되어 있는 변가장자리 부근에서는 편하중이 작용하게 되어서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지만, 그러한 변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제어 기판(14)이 완충 시트(14C)를 통해 암부(17A)에서 확실하게 눌려짐으로써 진동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케이스(22)와 제어 기판(14) 및 홀더(17)가 일체적으로 구성됨으로써 표시장치(10) 전체로서의 내진동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장치(10)는 조인트 부재(82)를 통해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그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는 조인트 부재(82)에 의해 1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암 부재(83)에 의한 파지 상태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것만으로 착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를 구성하는 중량물인 액정 디스플레이(13)나 제어 기판(14)은 강도 및 강성의 면에서 우위인 금속 케이스(22)에 부착되며, 이 금속 케이스(22)가 조인트 부재(82)를 포함하는 지지부재(80)를 통해 필러(5A)에 지지되고, 또한 금속 케이스(22)와 제어 기판(14) 및 홀더(17)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압 셔블(1)이 작업중에 받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조인트 부재(82)와 표시장치(10)의 접합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다가 표시장치(10)내에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3)나 제어 기판(14)의 고정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 표시장치(10)의 내진동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 및 강성이 필요한 것은 금속제로서 프론트 케이스(11)나 수지 케이스(21)는 수지제로 되어 있으므로 미감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표시장치(10)를 과도하게 무겁게 하지 않아 휴대성도 확보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81), 조인트 부재(82), 및 암 부재(83)를 구비한 지지부재(80)를 통해 표시장치(10)가 필러(5A)에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부재(81)를 필러(5A) 등의 프레임에 고정함과 아울러 표시장치(10)의 금속 케이스(22)에 베이스 부재(81)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81) 및 파지 부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가 구성되고, 베이스 부재(81) 및 파지 부재 사이에서 표시장치(10)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파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함과 아울러 금속 케이스(22)에 조인트 부재(82)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지 부재 및 조인트 부재(82)에 의해 본 발명의 유니버설 조인트가 구성되고, 파지 부재 및 조인트 부재(82) 사이에서 표시장치(10)를 착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어도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표시장치(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부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시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LED(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EL(Electroluminescence Display)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보화 시공에 적용가능한 표시장치(10)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목적 표시장치(9)와 같은 표시장치를 본 발명의 표시장치로 대체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10)가 유압 셔블(1)에 탑재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탑재되는 건설기계로서는 불도저, 모터 그레이더, 아스팔트 패니셔 등이어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정보화 시공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표시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건설기계인 유압 셔블, 5A…프레임인 필러, 10…표시장치, 11…프론트 케이스, 12…리어 케이스, 13…표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 14…제어 기판, 16…액정 모듈, 17…금속 프레임을 구성하는 홀더, 18…금속 프레임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19…방열 시트, 21…수지 케이스, 22…금속 케이스, 22H…리브, 80…유니버설 조인트인 지지부재.

Claims (7)

  1. 상기 건설기계의 프레임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제의 금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수지 케이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수지 케이스에 의해 리어 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리어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내에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 기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상기 금속 케이스는 방열 수단을 통해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을 적어도 측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금속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6.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 셔블이며,
    상기 건설기계의 프레임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제의 금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이 부착되고,
    상기 금속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수지 케이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케이스 및 상기 수지 케이스에 의해 리어 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리어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내에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제어 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을 배면측, 측면측, 및 정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금속 프레임을 갖고,
    상기 유압 셔블의 운전석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기계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20157022380A 2013-04-11 2013-12-11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Active KR101783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2985A JP5844767B2 (ja) 2013-04-11 2013-04-11 建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建設機械
JPJP-P-2013-082985 2013-04-11
PCT/JP2013/083222 WO2014167753A1 (ja) 2013-04-11 2013-12-11 建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401A true KR20150108401A (ko) 2015-09-25
KR101783736B1 KR101783736B1 (ko) 2017-10-10

Family

ID=5168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380A Active KR101783736B1 (ko) 2013-04-11 2013-12-11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86876B2 (ko)
JP (1) JP5844767B2 (ko)
KR (1) KR101783736B1 (ko)
CN (1) CN104271847B (ko)
DE (1) DE112013001851B4 (ko)
WO (1) WO2014167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8309B2 (en) 2014-12-12 2022-12-06 Serge Hoyda LLC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in blind spots
WO2016094801A1 (en) 2014-12-12 2016-06-16 Hoyda Serge B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in blind spots
US11124116B2 (en) 2014-12-12 2021-09-21 Serge B. HOYDA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in blind spots
WO2017010995A1 (en) * 2015-07-14 2017-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ies
JP6458776B2 (ja) * 2016-06-24 2019-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7156775B2 (ja) * 2016-07-26 2022-10-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CN108107616A (zh) * 2016-11-25 2018-06-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屏
JP6979856B2 (ja) * 2017-11-10 2021-12-1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EP3656932B1 (en) 2017-12-27 2024-11-27 Kubota Corporation Work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work equipment
JP6946172B2 (ja) * 2017-12-27 2021-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144159B2 (ja) * 2018-03-12 2022-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
US11149405B2 (en) * 2019-04-30 2021-10-19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Grade control indicator assembly
CN113183885A (zh) * 2021-04-23 2021-07-30 深圳亚兴嘉元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安全综合应用智能车载终端
TWI790175B (zh) * 2021-08-17 2023-01-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EP4163155B1 (en) * 2021-10-08 2024-06-19 Volvo Truck Corporation A support for a camera display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955B2 (ja) * 1999-06-04 2005-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液晶表示装置
AU2001243285A1 (en) * 2000-03-02 2001-09-12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6677664B2 (en) * 2000-04-25 2004-01-13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flexible wiring board using a flat panel display metal chassis
JP2002160586A (ja) * 2000-11-27 2002-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ニタ取り付け装置
JP2005035426A (ja) *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用モニタ装置
JP2005084270A (ja) * 2003-09-08 2005-03-31 Sharp Corp 薄型表示装置
JP4569739B2 (ja) 2003-11-28 2010-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332027B2 (ja) * 2003-12-25 2009-09-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表示器制御システム
US8648711B2 (en) * 2009-07-09 2014-02-11 Syscor Controls & Automation Inc. Apparatus for the wireless monitoring of linear heat detection systems for storage tank roofs
US20120086882A1 (en) * 2009-07-09 2012-04-12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chassi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CN201896329U (zh) * 2009-11-30 2011-07-13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车辆用显示器装置
JP5680936B2 (ja) * 2009-11-30 2015-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用モニタ装置
JP5341044B2 (ja) * 2010-09-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5829845B2 (ja) * 2011-07-01 2015-12-0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表示器
US9104069B2 (en) * 2012-07-03 2015-08-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1847A (zh) 2015-01-07
CN104271847B (zh) 2017-04-12
US9686876B2 (en) 2017-06-20
JP2014205974A (ja) 2014-10-30
DE112013001851B4 (de) 2020-09-24
WO2014167753A1 (ja) 2014-10-16
JP5844767B2 (ja) 2016-01-20
DE112013001851T5 (de) 2015-01-22
US20150103287A1 (en) 2015-04-16
KR101783736B1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736B1 (ko)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JP5538575B1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5113586B2 (ja) 作業車両
US9820393B2 (en) Monitor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the monitor
JP5680936B2 (ja) 車両用モニタ装置
WO2020188892A1 (ja)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6213526B2 (ja) 作業機械
CN110536988B (zh) 装载机驾驶室
JP5611290B2 (ja)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KR20230162598A (ko)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JP2019002199A (ja) 転圧機械の転圧管理装置
JP2005035426A (ja) 乗り物用モニタ装置
JP2020154850A (ja) 作業機械
JP6510441B2 (ja) 作業機
US11959250B2 (en) Manipulation mechanis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equipped with same
KR20230067262A (ko) 건설 기계
JP2024116653A (ja) 周辺監視装置、周辺監視装置の制御方法及び周辺監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1213198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6030856B2 (ja) 作業機械のバッテリ取付構造
WO2018131267A1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作動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JP2009203677A (ja) 表示装置を備えた作業用機械
JP2013068078A (ja) ド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8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