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7966A -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966A
KR20150107966A KR1020140030116A KR20140030116A KR20150107966A KR 20150107966 A KR20150107966 A KR 20150107966A KR 1020140030116 A KR1020140030116 A KR 1020140030116A KR 20140030116 A KR20140030116 A KR 20140030116A KR 20150107966 A KR20150107966 A KR 2015010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dule
waste tire
cylindrical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명훈
방대석
김봉석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씽크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씽크루트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966A/en
Publication of KR2015010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96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6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 rotor elements extending axially in close radial proximity of a concentrically arranged slotted or perforated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상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폐타이어 분쇄조,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부, 상기 회전칼날부와의 사이에 폐타이어를 분쇄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칼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칼날부는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원통형 칼날모듈,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회전축을 상기 분쇄조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모듈,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은 칼날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te tir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te tire crush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rotary knife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crusher, and a gap for crushing the waste tire between the rotary knife portion Wherein the rotary blade includes a cylindrical blade module having a bla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earing module rotatably coupling the rotary shaft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to both sides of the mill, And a pulley module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has a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Description

폐타이어 분쇄장치{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

본 발명은 폐타이어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회전칼날을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탄성을 가진 폐타이어 칩을 원하는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타이어의 분쇄물이 상기 원통형 회전칼날의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tire crush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waste tire crusher having a cylindrical rotating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rotary shaft, thereby easily grinding a waste tire chip having elasticity to a desired siz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verized tire grind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r failure of the apparatus by preventing pulverized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bearing direction of the shaft of the cylindrical rotary blade.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 경향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소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공업 제품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들 공업 제품들의 폐기 처분으로 인한 각종 산업 폐기물들도 대량으로 발생 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endency of modern society, various industrial products made of various materials are being mass produced, and various industrial wastes resulting from the disposal of these industrial products are also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이러한 산업 폐기물들을 야적장에 오랜 시간 동안 방치하거나 소각할 경우에는 오염물질의 배출로 인하여 주변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이들 폐기물에 포함된 재활용 가능한 자원들이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se industrial wastes are left in the yard for a long time or incinerated, the environment is seriously polluted due to the discharge of pollutants, and the recyclable resources contained in these wastes are discarded as they are.

따라서, 최근에는 이들 산업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폐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보도블럭 또는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researches for active recycling of waste resources discharged from these industrial wast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technique of grinding waste tires and recycling them as sidewalk blocks or building materials.

이를 위하여 하기 [문헌 1] 등에는 칩 형상으로 잘라진 폐타이어 조각들을 원하는 입경으로 분쇄하기 위한 폐타이어 분쇄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기들은 대부분 칼날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된 회전칼날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1]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waste tire crusher for crushing pieces of waste tire cut into chips into desired particle sizes. In such a conventional waste tire crusher, It is common to apply a rotating blade formed in a linear shape along the direction.

그러나, 폐타이어의 경우 고무재질의 특성상 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직선형 칼날을 이용하여 고정칼날 사이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폐타이어 칩이 쉽게 압축되거나 튕겨지기 때문에 원하는 입경으로 균일하게 분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waste tires have elastic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bber material, when the tire is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ed blade using a straight blade as in the prior art, the waste tire chip is easily compressed or repe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rush it.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회전칼날의 회전운동과 폐타이어 분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폐타이어 분쇄물이 하부 배출방향 이외에도 측면 방향으로 배출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회전칼날을 고정하는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될 경우 베어링의 손상이나 고장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lverized waste tires are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ther than the lower discharg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blade and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pulverization of the waste tire, the rotating blade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aring is damaged or broken.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576호(2011. 2. 14. 공고)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3576 (issued on February 14, 201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회전칼날을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탄성을 가진 폐타이어 칩을 원하는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grinding a waste tire chip having elasticity by a cylindrical rotating blad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pulverized tire grinding apparatus capable of grinding a ti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조의 내부에서 폐타이어의 분쇄물이 상기 원통형 회전칼날의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tire crush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waste of the waste tire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ring of the cylindrical rotary blade in the inside of the crusher to prevent damage or failure of the crushe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상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폐타이어 분쇄조,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부, 상기 회전칼날부와의 사이에 폐타이어를 분쇄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칼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칼날부는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원통형 칼날모듈,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회전축을 상기 분쇄조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모듈,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은 칼날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tire grinding apparatus comprising: a waste tire grinding tank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rotating blade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grinding tank, A cylindrical blade module having a bla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lade, and a rotary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grinding jig, respectively, so as to form a gap for crushing the waste tire, And a pulley module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has a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

또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나선형 칼날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기준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상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1회 이상 반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iral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formed such that a symmetrical shape about a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은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베어링모듈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나선형 칼날이 폐타이어 분쇄물을 상기 기준선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formed such that the spiral blade guides the pulverized waste tire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ulverized waste tire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both bearing modules.

또한, 상기 고정칼날부는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과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분쇄조의 내측면에 바(bar)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blade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lverizing vessel such that the fixed blade portion is opposed to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또한, 상기 베어링모듈은, 회전축이 결합된 분쇄조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관통공과 동심으로 연통되는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축부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폐타이어 분쇄물이 베어링하우징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조의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aring module may include a fixed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is coupled and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a crushing vessel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 bearing having a cylindrical space formed therein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And a shaft bearing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received in the bearing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wherein the fixing plat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waste material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pulverizing tank to the bearing housing, And a discharg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분쇄조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 칼날모듈의 칼날을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칼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칼날이 폐타이어 칩을 경사진 각도로 순차적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시 폐타이어 칩이 압축되거나 튕겨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탄성을 가진 폐타이어 칩을 원하는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nstalled inside the grinding tank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so that the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closed Since the tire chip is sequentially cut at an oblique angle, the waste tire chip having elasticity can be easily crushed to a desired size by preventing the waste tire chip from being compressed or repelled during cut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칼날이 회전축에 수직한 기준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구성하되, 원통형 칼날모듈의 회전시 폐타이어 분쇄물이 상기 기준선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칼날의 나선 방향을 구성함으로써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in the waste tir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symmetrical about a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when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rota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tire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rings on both sides of the shaft,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failure of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원통형 칼날모듈과 회전축에 결합된 축부 베어링 사이에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일측에 폐타이어 분쇄물을 분쇄조의 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배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ulverizing apparatus for pulverized ti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plate is provided between a cylindrical blade module and a shaft bearing coupled to a rotating shaft and a discharge groove for guiding pulverized waste tires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pulverizing tan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plate The pulverized t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rings on both sides of the shaft,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failure of the apparatus.

도1과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평면도,
도3과 도4는 각각 도2의 A-A부와 B-B부에 대한 단면도,
도5는 도1에 적용된 원통형 칼날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도6은 도1에 적용된 베어링모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waste tir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of the AA portion and the BB portion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applied to Fig. 1,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bearing module applied to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과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3과 도4는 각각 도2의 A-A부와 B-B부에 대한 단면도이다.FIGS.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waste tir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and B-B of FIG.

또한, 도5는 도1에 적용된 원통형 칼날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6은 도1에 적용된 베어링모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applied to FIG. 1,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bearing module applied to FIG.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상하부에 투입구(11a)와 배출구(12a)가 형성된 폐타이어 분쇄조(10), 상기 분쇄조(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부(20), 및 상기 회전칼날부(20)와의 사이에 폐타이어를 분쇄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쇄조(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칼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ste tir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 tire crushing tank 10 having a charging port 11a and a discharge port 12a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rotary blade unit 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crushing tank 10, And a fixed blade portion 30 fixed to the inside of the mill 10 to form a gap for grinding the waste tire between the rotating blade portion 20 and the rotating blade portion 20.

먼저, 상기 분쇄조(10)는 상부에 분쇄하고자 하는 폐타이어 칩이 투입되는 투입구(11a)가 형성된 사각 깔때기 형상의 호퍼부(11)와, 상기 호퍼부(11)의 하부에 사각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케이싱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rinding tank 10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unnel-shaped hopper portion 11 having an inlet 11a through which a waste tire chip to be crushed is inserted, And an extended casing unit 12.

이때, 상기 케이싱부(12)의 상부는 호퍼부(11)의 하부와 연통되고, 케이싱부(12)의 하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부(12)의 내부에서 분쇄된 폐타이어 분쇄물을 수거용기(50)로 배출하는 배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part 12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part 11,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part 12 collects the pulverized pulverized waste material in the casing part 12, And a discharge port 12a for discharging it to the container 50 is form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쇄조(10)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the crushing tank 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rushing tank 10 is not limited to the crushing tank.

한편, 상기 회전칼날부(20)는 외주면에 칼날(21a)이 형성된 원통형 칼날모듈(21),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의 회전축(22)을 상기 분쇄조(1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모듈(23,24,25), 상기 회전축(2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벨트(28)를 통해 전달하는 풀리모듈(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tary blade unit 20 includes a cylindrical blade module 21 having a blade 2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lade unit 20 and a rotary shaft 22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millbase 10 And a pulley module 27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22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through a belt 28 do.

이때,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은 원통면의 복수 영역에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갖는 나선 방향으로 칼날(21a)을 형성하되, 상호 접합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칼날(21a) 방향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has the blades 21a formed in a plurality of areas on the cylindrical surface in the spiral direction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blades 21a formed in the mutually bonded areas are symmetrical .

즉,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은 칼날(21a)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기는 후술하는 고정칼날(31)과의 사이에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의 칼날(21a)이 폐타이어 칩을 경사진 각도로 순차적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수직으로 절단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절단시 폐타이어 칩이 압축되거나 튕겨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탄성을 가진 폐타이어 칩을 원하는 입경으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the blade 21a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ulverized tir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xed blade 31 The blade 21a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sequentially cuts the waste tire chip at an oblique angle, so that the waste tire chip is compressed or repelled during cutting whe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the cutting is performed vertically So that the waste tire chip having elasticity can be easily crushed to a desired particle size.

또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의 나선형 칼날(21a)은 상기 회전축(22)에 수직한 기준선(21b)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상이 회전축(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1회 이상 반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칼날(21a)은 회전축(2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폐타이어 분쇄물을 상기 기준선(21b)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나선의 방향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lical blade 21a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is formed so that the shape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line 21b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is 22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2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21a is formed with a spir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pulverized waste material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21b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22.

즉, 도2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칼날(21a)의 나선 방향은 원통형 칼날모듈(21)의 외주면에 분포되어 있는 폐타이어의 분쇄물을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상기 기준선(21b)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2 and 5, when the rotary shaft 22 rotates clockwise, the spiral direction of the blade 21a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of the waste tire distribu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is inertia So that it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21b.

이를 위하여, 상기 나선형 칼날(21a)은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this purpose, the spiral blade 21a is preferably formed in a groove shap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ulverized wast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lverized product in which pulverized waste tires ar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rings on both sides So that damage or failure of the apparatu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대칭형 나선형 칼날(21a)이 회전축(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2회 반복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회 또는 3회 이상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ymmetrical spiral blade 21a is repeated twi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eated one or more times, if necessary .

또한, 상기 베어링모듈(23,24,25)은 회전축(22)이 결합된 분쇄조(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2)이 통과하는 관통공(23a)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3), 상기 고정플레이트(23)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관통공(23a)과 동심으로 연통되는 원통형의 공간(23b)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24), 및 상기 회전축(22)과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하우징(2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축부 베어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earing modules 23, 24 and 25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rushing tank 10 to which the rotary shaft 22 is coupled and are fixed to the stationary plate 23 having the through holes 23a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22 passes. A bearing housing 24 coupled to the fixed plate 23 and having a cylindrical space 23b formed therein for concen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23a and a bearing housing 24 coupled to the bearing housing 23, And a shaft bearing 25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shaft 24.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23)는 일예로서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23d)에 의하여 상기 분쇄조(구체적으로는, 케이싱부(12))의 양측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관통공(23a)은 회전축(22)이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싱부(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통공(미도시)과 동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The fixing plate 23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rushing tank (specifically, the casing unit 12) by a coupling member 23d such as a bolt, 23a are coupled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through holes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ing unit 12 so as to allow the rotary shaft 22 to pass therethrough.

또한, 상기 베어링하우징(24)은 상기 고정플레이트(23)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부재(미도시)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부 베어링(25)은 통상의 베어링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bearing housing 2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23 or be coupled with a coupl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haft bearing 25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bearing . ≪ / RTI >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3)는 분쇄조(10) 내부에서 회전축(22)을 따라 케이싱부(12)의 통공(미도시)과 고정플레이트(23)의 관통공(23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소량의 폐타이어 분쇄물이 베어링하우징(24)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조(10)의 배출구(12a)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3a)과 연통되는 배출홈(23c)이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plate 23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a of the fixing plate 23 and the through hole of the casing unit 12 along the rotation axis 22 in the milling tank 10. [ A discharge groove 23c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23a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2a of the crushing tank 10 is formed to prevent the discharge of a small amount of the waste tire crushing product toward the bearing housing 24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장치는 회전축(22) 주위를 따라 분쇄조(10)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소량의 분쇄물이 상기 배출홈(23c)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축부 베어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a small amount of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pulverizing tank 1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22 is discharged downward by the discharge groove 23c Therefore, the pulverized waste t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rings on both shaft ends, so that damage or failure of the apparatu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상기 배출홈(23c)의 구조는 외부 공기의 통로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쇄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쇄조(10) 내부 부품(원통형 칼날모듈 등)들의 온도 상승도 상당 수준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groove 23c also functions as a path of outside air, the temperature rise of the internal parts (cylindrical blade modules, etc.) of the milling tank 10 generated in the milling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상기 고정칼날부(10)는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21)과 회전축(2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분쇄조(10)(구체적으로는, 케이싱부(12))의 내측면에 바(bar) 형상으로 설치되는 고정칼날(31)과, 상기 고정칼날(31)과 연결되고 결합부재(32a)에 의하여 상기 고정칼날(31)을 케이싱부(12)의 일측에 고정하는 플랜지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ed blade 1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tank 10 (specifically, the casing 12)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and the rotary shaft 22 A stationary blade 31 installed in a b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stationary blade 31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casing unit 12 by the fixing blade 31 by a coupling member 32a, (32).

이때, 상기 고정칼날(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칼날모듈(21)과의 사이에 폐타이어를 분쇄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게 되는데, 분쇄되는 폐타이어의 입경은 상기 간극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blade 31 forms a gap for crushing the waste tire with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21 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waste tire to be crushed can be controlled by the gap .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칼날부(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하는 입경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진 고정칼날(31)을 교체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this purpose, the fixed blade 3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clearance,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necessary, the fixed blade 31 having different widths according to the desired grain size may be replaced and installed .

10 : 분쇄조 21 : 원통형 칼날모듈
21a : 칼날 21b : 기준선
23 : 고정플레이트 23c : 배출홈
24 : 베어링하우징 30 : 고정칼날부
10: Grinding tank 21: Cylindrical blade module
21a: blade 21b: baseline
23: Fixing plate 23c: Discharge groove
24: bearing housing 30: fixed blade portion

Claims (5)

상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폐타이어 분쇄조;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부;
상기 회전칼날부와의 사이에 폐타이어를 분쇄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쇄조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칼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칼날부는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원통형 칼날모듈,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회전축을 상기 분쇄조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모듈,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은 칼날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장치.
A waste tire grinding tank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 rotating blade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pulverizing vessel;
And a fixed blade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mill so as to form a gap for grinding the waste tire between the rotating blade portion and the rotating blade portion,
The rotary blade unit includes a cylindrical blade module having a blad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bearing module that rotatably couples the rotary shaft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to both sides of the grinding jig, a pulley tha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Module,
Wherein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has a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의 나선형 칼날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기준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상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1회 이상 반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iral blade of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formed such that a symmetrical shape about a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s repeated at least o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은 폐타이어 분쇄물이 양측 베어링모듈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나선형 칼날이 폐타이어 분쇄물을 상기 기준선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s formed to guide the pulverized waste material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ulverized waste tire from being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both bearing modules.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부는 상기 원통형 칼날모듈과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분쇄조의 내측면에 바(bar)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ed bla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ulverizing vessel so as to be opposed to the cylindrical blade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모듈은, 회전축이 결합된 분쇄조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관통공과 동심으로 연통되는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축부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폐타이어 분쇄물이 베어링하우징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조의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earing module includes: a stationary plate coupled to both sides of a crushing tank coupled with a rotating shaf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asses; a bearing housing coupled to the stationary plate and having a cylindric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And a shaft bearing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rotatably received in the bearing housing,
Wherein th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discharg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rushing tank to prevent the pulverized waste tire from being discharged toward the bearing housing.

KR1020140030116A 2014-03-14 2014-03-14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Ceased KR201501079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16A KR20150107966A (en) 2014-03-14 2014-03-14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16A KR20150107966A (en) 2014-03-14 2014-03-14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66A true KR20150107966A (en) 2015-09-24

Family

ID=5424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16A Ceased KR20150107966A (en) 2014-03-14 2014-03-14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9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448B1 (en) * 2023-07-13 2024-09-25 장동곤 hammer mill
KR102721169B1 (en) * 2023-07-11 2024-10-24 장동곤 cru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1169B1 (en) * 2023-07-11 2024-10-24 장동곤 crusher
KR102709448B1 (en) * 2023-07-13 2024-09-25 장동곤 hammer mi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98B1 (en) Magnetic sorter having crushing function
CN101541431B (en) Waste comminuting device
JP5261472B2 (en) Crusher
JP4271035B2 (en) Crusher mill
JP5459888B1 (en) Waste plastic pulverizer
KR100881239B1 (en) Waste Styrofoam Grinder
KR20150107966A (en) Apparatus for Crushing Waste Tire
KR101612534B1 (en) Crusher for industrial waste
KR200433588Y1 (en) Multi purpose grinding device
KR101391860B1 (en) Plastic crusher
KR20120028433A (en)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JP3455906B2 (en) Crushing equipment
WO2003009941A1 (en) Shredder
JP2004174380A (en) Crushing machine
KR100729652B1 (en) grinder
KR20000058861A (en) Crush apparatus of plastic bottle
JP7076898B2 (en) Fine crusher
RU2341330C1 (en) Device for grain crimping
KR100437325B1 (en) waste tire pulverisor
KR102528511B1 (en) Crush apparatus of Waste plastic
KR101732949B1 (en) Crusher for Branch of Plants
CN205903956U (en) Doublestage brittle material rubbing crusher
KR100705773B1 (en) Shredder for Industrial Waste and Waste Vehicle Treatment
CN215612184U (en) A grind reducing mechanism for lime powder preparation
KR102350470B1 (e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