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7683A -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683A
KR20150107683A KR1020150035176A KR20150035176A KR20150107683A KR 20150107683 A KR20150107683 A KR 20150107683A KR 1020150035176 A KR1020150035176 A KR 1020150035176A KR 20150035176 A KR20150035176 A KR 20150035176A KR 20150107683 A KR20150107683 A KR 2015010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se portion
distal
edge
fix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662B1 (ko
Inventor
키빅 커트
파크허스트 아서
테이트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타이디 시큐어먼트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디 시큐어먼트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타이디 시큐어먼트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6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61M2025/0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where the straps are releasably secured, e.g. by hook and loop-type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catheter)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및 중간부(midportion)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고정단(fixed end), 해제가능단(releasable end),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및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해제가능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유지부(retention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 내의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를 정의하여 상기 카테터를 위로 당기는 힘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로 전이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Description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고정장치로 불리는 의료기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카테터는 소형의 주변부(diameter), 인간의 피부를 통해서 혈관으로 삽입되어 혈액, 염류용액, 약물(medication) 등을 전달하거나 제거하는 신축성 있는 튜브, 그리고 복수의 원위 튜브가 주입부로부터 뻗어 나온 단일 튜브 와 액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카테터 허브 또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하우징은 말단도관(distal conduit tube)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다 쉽게 고정할 수 있는 보다 큰 본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통상, 카테터 고정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축성 있는 시트부재(sheet member)를 포함하며, 카테터의 튜브의 움직임을 제약하고 고정하는 클램프(clamp), 덮개(flap) 또는 스트랩부(strap member), 또는 카테터가 환자로부터 예기치 않게 당겨지지 않도록 안정시키는 카테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튜브나 하우징은 압력, 부착, 함몰부(recessed member) 등에 의해 고정 장치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카테터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삽입부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므로, 카테터 튜브의 근접부(proximal portion)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다.
이에 반하여, 말단 카테터 튜브(distal catheter tube)는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기존의 알려진 카테터 고정장치의 문제점은 만일 끌어올리는 힘(lifting force)이 의도적으로 또는 우연히 말단 도관 튜브(distal conduit tube) - 즉, 삽입부로 연결되는 말단 도관 튜브(distal conduit tube)로부터 카테터 고정장치의 맞은편에 있는 카테터 허브를 넘어 뻗어나가는 튜브 - 에 작용되면, 카테터 고정장치에 바람직하지 않은 에지 인양력(edge uplifting force)를 초래하여, 카테터 고정장치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당겨지거나 벗겨져서 카테터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피부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원위 튜브를 끌어당기면서 발생하는 인양력(uplift force)의 위로 끌어당기는 힘의 초점을 가장자리(edge)로부터 멀리 떨어진 카테터 고정장치의 중간부(midportion)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베이스부의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로부터 중간부(midportion)로 이동시키는 구조적인 디자인을 제공하여, 의도하지 않은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카테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catheter)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로서,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한 하부 부착층(lower adhesive layer),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장착된 해제 가능하며, 얇으며, 신축성 있는 시트부재의, 덮개(flap) 또는 스트랩(strap) 형태의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가능한 유지부는 고정단(fixed end) 및 해제 가능한 자유단(free en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는 중앙 집중된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을 포함하여, 상기 카테터 튜브 또는 하우징이 정렬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횡 정중선과 상기 유지부가 상기 카테터에 의해 정의되는 축과 대체로 수직으로 일치하도록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압력 민감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후크 앤 루프 메커니즘(hook-and-loop mechanism) 등의 해제 가능한 체결 메커니즘(releasable fastening mechanism)이 상기 유지부를 한번 상기 카테터를 가로질러 위치를 잡은 상기 베이스부 상에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카테터가 바람직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횡 정중선 상에 있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를 덮어씌우도록 위치하는, 즉,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유지부의 적어도 일부보다 말단 방향(distal direction)으로 더 뻗어나가는, 오프셋(offset)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를 덮어씌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세로 방향 길이가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긴 정중선(midline)을 가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횡 정중선의 양 측면과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폭이 상기 횡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베이스부가 둥글게 마감되는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도그 본(dog-bone)" 또는 "보우타이(bowtie)"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도 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지부의 상기 횡 정중선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횡 정중선 폭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가 상기 횡 정중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도록 오프셋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 내의 인양 중심(center of uplift) 또는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말단 튜브를 당기게 되면 기존의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인양력(uplift force)이 한 점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부 전체에 걸쳐 360도 방향으로 인양력이 펼쳐지거나 분산되게 된다.
상기 "도그본(dog-bone)" 형태의 구성이 부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횡 정중선에 위치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오프셋이 되도록 위치하여 인양 중심(uplift center)이 힘이 상기 베이스부 주변으로 빠르게 퍼지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부에 위치한다면,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유지부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원위 튜브에 작용되는 인양력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박피효과(peeling effect)가 아닌 "텐팅(tenting)" 또는 "코닝(coning)" 효과를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기 전에 지탱할 수 있는 인력(pull force)를 크게 증강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로서, 말단 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및 중간부(midportion)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고정단(fixed end), 해제가능단(releasable end),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및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해제가능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만곡된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50% 에 위치하는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횡 정중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이고, 상기 횡 정중선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정중앙에 위치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유지부는 도그 본(dog-bone)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catheter)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와 복수의 말단 튜브부(distal tube member)를 포함하는 카테터의 결합으로서,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및 중간부(midportion)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고정단(fixed end), 해제가능단(releasable end),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및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를 포함하는,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해제가능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말단 튜브부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도록 상기 카테터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할 때 해제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말단 튜브부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이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에 의해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이 정의되도록 위로 당기는 힘(upward force)이 상기 말단 튜브부에 작용될 때 상기 말단 튜브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에 의해 움직임이 제약되고,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만곡(curved)될 수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보다 작은 크기이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유지부는 도그 본(dog-bone)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카테터의 위치는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을 정의하고,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횡 정중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50% 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 장치의 개방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 장치의 폐쇄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의 개방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의 폐쇄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베이스 부재(base member)의 가장자리(edge)에 집중된 인양력(uplift for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베이스 부재(base member)의 중간부(midportion)에 집중된 인양력(uplift for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베이스 부재(base member)의 가장자리(edge)에 집중된 인양력(uplift force)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박피효과(peeling effect)를 결과적으로 초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베이스 부재(base member)의 중간부(midportion)에 집중된 인양력(uplift force)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텐팅효과(tenting effect)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epidural catheter) 또는 경피적으로(percutaneously) 삽입된 그와 유사한 소형의 신축성 있는 튜브부(tube member)를 구비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카테터 고정장치(catheter securement device)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카테터 튜브 또는 하우징을 고정하고 움직임을 제약하여 삽입부(insertion site) 주변의 움직임 또는 상기 카테터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신축성 있고, 얇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부(base member) 및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카테터를 본체부(main body member)에 고정하는 유지부(retention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오프셋(offset)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카테터(cathether)"는 튜브부(tube member)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카테터 허브(catheter hub) 또는 하우징부(housing member)와 결합된 복수의 튜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근접(proximal)"은 카테터 고정장치로부터 카테터 삽입부(catheter insertion site)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용어 "말단(distal)"은 상기 카테터 삽입부를 마주 보는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용어 "근접 튜브(proximal tube)" 는 삽입부(insertion site)와 고정부(securement site) 사이로 뻗어 나간 튜브를 의미하며, 용어 '말단 튜브(distal tube)"는 삽입부의 튜브와 마주 보는 측면의 고정 장치로부터 뻗어 나간 튜브를 의미한다.
용어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는 삽입부를 향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의 일면을 의미하며, 용어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는 삽입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의 일면을 의미한다.
고정 장치가 사용 중일 때의 고정 장치에 대한 카테터의 위치는 "축(axis)" 또는 "축 방향(axial direction)" 으로 정의되며, 용어 "횡(transverse)" 은 일반적으로 고장 장치의 폭(width) 등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용어 "종(longitudinal)"은 횡(transverse)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
용어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 은 고정 장치가 사용 중일 때 일반적으로 카테터 축과 평행하게 수직적인 일직선을 이루는 선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base member) 및 유지부(retention member)의 정확히 측정 가능하게 중앙에 위치한 정중선(true dimensionally-centered midline)이 되도록 위치한다.
용어 "중간부(midportion)" 또는 "내부(interior)" 는 베이스부(base member)의 외측 가장자리(outer edge)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를 의미한다. 용어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은 말단 튜브(distal tube)를 환자의 피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결과를 초래하는 인양력(uplift force)이 최초로 집중되거나 베이스부(base member) 또는 카테터 고정장치(catheter securement device)로 전이되는 점(point) 또는 소영역(small area)를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110)의 일 실시예가 도 1, 도 2, 도 5 및 도 7 에 도시되어 있으며, 베이스부(111) 및 해제 가능한 유지부(121)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1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11)은 신축성 있고, 얇으며, 시트부재이며, 접착 뒤붙임(adhesive backing)을 구비하고, 일반적으로 근접 가장자리(112) 및 말단 가장자리(113)과 함께 길게 늘어져 바람직하게는 "도그본(dog bone)"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근접 가장자리(112)과 말단 가장자리(113) 모두 바람직하게는 만곡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둥근 형상인 두 개의 종단(114), 베이스부(111) 및 유지부(112)는 세로 방향보다 가로 방향이 짧다.
상기 유지부(121)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시트 형상인 스트랩 또는 플랩 부재이며, 상기 베이스부(111) 및 자유단(125)에 부착된 고정단(124)을 구비하며, 또한 만곡된 근접 가장자리(122) 및 말단 가장자리(123)와 함께 "도그본(dog bone)" 형상을 구성한다. 적절한 후크 앤 루프 체결부(hook-and-loop fastner)의 후크부(152) 및 루프부(153)을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체결 메커니즘 또는 시스템(151)이 제공된다.
선택적인 부착층(154)이 상기 베이스부(111) 상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제공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카테터(130)를 고정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130)는 근접(삽입) 튜브부(132) 및 복수의 말단(부대적으로 연결되는) 튜브부(133)와 함께 하우징 또는 허브(131)를 구현한다.
횡 정중선(142)는 좌우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양 집중 영역(141)이 말단 가장자리(123) 상 또는 가까이에서, 상기 베이스부(111)과 연관된 상기 유지부(121)의 긴장 정도에 따라, 인양력(143)이 말단 튜브부(133)에 적용되는 위치에, 점 또는 영역을 형성하며 발생한다.
상기 베이스부(111)의 횡폭은 대체로 상기 유지부(112)의 횡폭과 동일하므로, 상기 횡 정중선(142) 상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113, 123)는 가지런히 정렬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상기 베이스부(111)의 말단 가장자리(113) 와 인접하거나 접한 인양 집중 영역(141)의 발생을 초래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인양력(143)이 상기 말단 튜브부(133)에 적용될 때 상기 말단 가장자리(113)는 인양되게 되어, 박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부(111)는 환자의 피부(143)로부터 벗겨져 나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도 3,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하우징(31), 환자의 피부(43)와 접촉하는 근접 튜브부(32) 및 말단 튜브부(33)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테터(30)을 고정하기 위한 개선된 카테터 고정 장치(10)를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10)는 환자의 피부(43)에 부착되며, 얇고, 신축성 있으며, 시트 형상의, 상측(16) 및 하측(17)을 구비한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하측(17)에 종래의 알려진 방식으로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1)를 상기 환자의 피부(43)에 직접적으로 부착하는 하부 부착층(54), 및 상기 상측(16) 및 상기 하측(17)에 장착된 플랩 또는 스트랩 형태의, 해제 가능하고, 얇고, 신축성 있으며, 시트 부재의 카테터 유지부(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해제 가능한 유지부(21)은 고정단(24) 및 해제 가능한 자유단(25)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지부(21)의 양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11)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24)은 접착제 본딩(adhesive bonding), 용해 본딩(melt bonding), 후크 앤 루프 체결부(hook-and-loop fastener) 등의 적절한 종래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부(11)의 상측(16)에 고정될 수 있다.
압력 민감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후크 앤 루프 메커니즘(hook-and-loop mechanism) 등의 해제 가능한 체결 메커니즘 또는 시스템(51)이 제공되어 상기 유지부(21)가 상기 카테터(30)을 가로질러서 팽팽히 당겨질 때 상기 유지부(21)를 상기 베이스부(11)에 고정되게 유지하여 상기 카테터(30)가 바람직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제 가능한 메커니즘(51)은 후크부(52)와 루프부(53)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후크 앤 루프 체결부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는 근접 가장자리(12), 말단 가장자리(13), 한 쌍의 종단(14) 및 횡 정중선(42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좌우 정중앙에 위치).
상기 베이스부(11)는 근접 가장자리(12), 말단 가장자리(13) 및 한 쌍의 종단(14)에 의해 정의되는 주변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21)는 근접 가장자리(22), 말단 가장자리(23) 및 횡 정중선(42b)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21)는 상기 카테터(30) 위로 닫히며 상기 베이스부(11)에 고정될 때 상기 상기 횡 정중선(42a, 42b)이 상기 유지부(21)와 정렬되도록 덮어씌워질 수 있다.
상기 유지부(21)는 또한 상기 근접 가장자리(22), 상기 말단 가장자리(23), 상기 자유단(25) 및 상기 고정단(24)에 의해 정의되는 주변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주변부(15)는 상기 유지부(21)의 주변부(27)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상기 유지부(21)의 상기 원위부(23)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원위부(13)로부터 오프셋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10)의 세로 길이 전체에 걸쳐서 그러나 최소한 상기 말단 튜브부(33)에 대응하는 영역, 즉, 상기 카테터(3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횡 정중선(42)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횡 정중선(42)은 사용 중인 상기 카테터(30)의 축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장치 및 상기 카테터(30)는 상기 유지부(21)가 상기 카테터(30)를 가로질러서 체결될 때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횡 정중선(42a) 및 상기 유지부의 상기 횡 정중선(42b)이 일반적으로 상기 주 횡 정중선(42)과 일반적으로 수직적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부(21) 및 상기 베이스부(11)는 보다 작은 크기의 유지부(21)가 보다 큰 크기의 베이스부(11)를 오프셋 방식으로 덮어씌워서 상기 횡 종단부(42) 상의 상기 유지부(21)의 말단 가장자리(23)의 최소한 일부분이 상기 중간부(28) 또는 상기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원위부(13)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13)는 상기 유지부(21)보다 말단 방향으로 더 뻗어나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 정중선(42a)의 양 측면과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11)의 가로 폭이 상기 횡 정중선(42a)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베이스부(11)가 둥글게 마감되는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도그본(dog-bone)" 또는 보우타이(bowtie)"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만곡된 근접 가장자리(22) 및 말단 가장자리(23)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부(21)도 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주변부(15) 및 상기 유지부(21)의 상기 주변부(27)의 다른 구조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횡 종단부(42b)와 인접하고 또 그 위에 있는 상기 유지부(21)의 말단 가장자리(23)의 작은 조각(segment), 즉, 상기 원위 튜브부(33)의 사용시 그 위에 위치한 조각(segment)은 상기 말단 가장자리(23)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13)를 향해 뻗어나가면서 함몰되거나(recessed), 한 단 돌출되어 나오거나(notched), 또는 한 단 안으로 들어갈(indented) 수 있다.
상기 횡 정중선(42b)의 영역에 있는 상기 유지부(21)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23)의 위치는 인양 집중 영역(41)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은 상기 튜브부(33)가 환자의 피부(43) 및 상기 고정장치(10)로부터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멀어지면서 당겨질 때의 인양력(45)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위 튜브부(33) 상의 상기 인양력(45)은 상기 유지부(21)의 말단 가장자리(23)에 의해 가로 막혀지고 움직임이 제한되어, 상기 인양력(45)은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에 있는 상기 베이스부(11) 및 환자의 피부(43)로 전달될 수 있다.
유지부(121)의 말단 가장자리(123)가 베이스부(111)의 말단 가장자리(113)를 덮어씌우거나 그에 인접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장치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집중 영역(141)이 베이스부(111)의 말단 가장자리(113)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원위 튜브부(133)가 위로 끌어당겨지면, 인양력(143)이 말단 가장자리(113)에 집중된 단 인양력(143)이 되어 박피효과(peeling effect)를 생성한다. 만일 상기 단 인양력(143)이 베이스 부의 접착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부(111)는 환자의 피부(143)로부터 벗겨져 나가게 된다.
상기 유지부의 말단 가장자리(23)를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가장자리(13)로부터 오프셋(offset)함으로써, 인양 집중 영역(41)이 중간부(28) 안 또는 베이스부(11)의 내부로 이동되게 되며,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튜브부(33)는 베이스부(11)을 가로지르는 인양력(45)의 360도 분산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인양력(45)는 상기 베이스부(11) 및 그 아래의 피부(43) 위에 "텐팅(tenting)" 또는 "코닝(coning)" 효과를 생성하게 되고, 베이스부(11)를 그 단부에서 벗겨낼 때보다 베이스부(11)의 내부에서 벗겨낼 때 훨씬 큰 인양력(45)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11)가 탈착될 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대로, "도그본(dog bone)" 구조가 탁월한 결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횡 정중선(42)에 위치한 상기 유지부(21)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13)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13)로부터 오프셋이 되도록 위치하여 인양 중심(uplift center)의 힘이 상기 베이스부(11) 주변으로 빠르게 퍼지도록 상기 베이스부(11)의 중간부(28)에 위치한다면, 상기 베이스부(11) 및 상기 유지부(21)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말단 튜브에 작용되는 인양력(45)은 상기 베이스부(11) 상에서 박피효과(peeling effect)가 아닌 "텐팅(tenting)" 또는 "코닝(coning)" 효과를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기 전에 지탱할 수 있는 인력(pull force)를 크게 증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수치는 다양할 수 있겠지만,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은 상기 횡 정중선(42)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11)의 중앙 50% 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횡 정중선(42) 상의 2인치 폭을 가진 베이스부(11)의 경우, 상기 횡 정중선(42) 상의 상기 유지부 말단 가장자리(23)는 상기 베이스부 말단 가장자리(13)로부터 대략 1/4 인치에서 대략 3/4 인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은 보다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된 2인치 폭의 샘플의 경우, 유지부 말단 가장자리(32)는 베이스부 말단 가장자리(13)로부터 대략 1/4 인치에서 대략 1/2 인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30)가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10)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을 수록, 즉, 상기 유지부(21)가 상기 베이스부(11)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을 수록,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의 진정한 중심은 상기 유지부(21)의 말단 가장자리(23) 방향을 향하게 된다. 고정이 느슨해 질수록, 상기 상기 인양 집중 영역(41)의 진정한 중심은 상기 말단 가장자리(23)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구성요소 및 구조는 특허성에 필수적인 것이 아닌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의 균등물 및 대용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 및 정의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10: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improv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11: 베이스부(base member)
12: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13: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14: 종단(end)
15: 주변부(perimeter)
16: 상측(upper side)
17: 하측(underside)
21: 유지부(retention member)
22: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23: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24: 고정단(fixed end)
25: 자유단(free end)
27: 주변부(perimeter)
28: 중간부(midportion)
30: 카테터(catheter)
31: 카테터 하우징(catheter housing)
32: 근접 튜브부(proximal tube member)
33: 말단 튜브부(distal tube member)
41: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
42: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
42a: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
42b: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
43: 환자의 피부(patient's skin)
45: 인양력(uplift force)
51: 해제 가능한 체결 메커니즘 또는 시스템(releasable fastening mechanism or system)
52: 후크부(hook component)
53: 루프부(loop component)
54: 부착층(adhesive layer)
110: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prior art catheter securement device)
111: 베이스부(base member)
112: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113: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114: 종단(end)
121: 유지부(retention member)
122: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123: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124: 고정단(fixed end)
125: 자유단(free end)
130: 카테터(catheter)
131: 하우징(housing) 또는 허브(hub)
132: 튜브부(tube member)
133: 말단 튜브부(distal tube member)
141: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
142: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
143: 인양력(uplift force)(도 5)
143: 환자의 피부(patient's skin)(도 7)
151: 해제 가능한 체결 메커니즘 또는 시스템(releasable fastening mechanism or system)
152: 후크부(hook component)
153: 루프부(loop component)
154: 부착층(adhesive layer)

Claims (20)

  1.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catheter)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및 중간부(midportion)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고정단(fixed end), 해제가능단(releasable end),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및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해제가능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인
    카테터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인
    카테터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 정중선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정중앙에 위치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에 위치한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를 정의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50% 에 위치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횡 정중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에 위치한 인양 집중 영역을 정의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보다 크기가 작은
    카테터 고정장치.
  8. 복수의 말단 튜브부(distal tube member)를 구비하고 환자의 피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카테터 하우징(catheter housing)을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nd)의 맞은편에 있는 말단 가장자리(distal end) 및 제 2단(second end)의 맞은편에 있는 제 1단(first end)을 포함하고,
    상측(upper side)과 하측(underside)을 구비한,
    주변부(perimeter)를 정의하는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nd)의 맞은편에 있는 말단 가장자리(distal end),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상측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고정단(fixed end),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상측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자유단(free end)을 구비한,
    주변부(perimeter)를 정의하는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이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근접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근접 가장자리와 같은 높이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카테터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주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주변부보다 크기가 작은
    카테터 고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상측에서 상기 카테터 하우징을 수용하는 부착층(adhesive layer)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위 튜브부(distal tube member)에 작용되는 힘(force)이 상기 카테터 고정장치로 전달되는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은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에 위치한
    카테터 고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은 대체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근접 가장자리와 상기 말단 가장자리 사이의 중간인
    카테터 고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힘이 상기 복수의 말단 튜브부에 작용될 때 텐트 모양으로 당겨 올라가는
    카테터 고정장치.
  15.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카테터(catheter)를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와 복수의 원위 튜브부(distal tube member)를 포함하는 카테터의 결합에 있어서,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 및 중간부(midportion)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베이스부(base member); 및
    고정단(fixed end), 해제가능단(releasable end), 근접 가장자리(proximal edge) 및 말단 가장자리(distal edge)를 포함하는, 해제 가능하며, 신축성 있고, 얇으며, 종이와 같은 유지부(reten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상기 해제가능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해제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원위 튜브부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도록 상기 카테터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할 때 해제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원위 튜브부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 로부터의 오프셋(offset)이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에 의해 인양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이 정의되도록 위로 당기는 힘(upward force)이 상기 말단 튜브부에 작용될 때 상기 말단 튜브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에 의해 움직임이 제약되고,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간부에 위치하는
    카테터의 결합.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는 만곡(curved)된
    카테터의 결합.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보다 작은 크기인
    카테터의 결합.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유지부는 도그 본(dog-bone) 형상인
    카테터의 결합.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카테터의 위치는 횡 정중선(transverse midline)을 정의하고,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횡 정중선 상에 위치하는
    카테터의 결합.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집중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50% 에 위치하는
    카테터의 결합.

KR1020150035176A 2014-03-13 2015-03-13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Active KR101773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09,113 US9358366B2 (en) 2014-03-13 2014-03-13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14/209,113 2014-03-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266A Division KR101802922B1 (ko) 2014-03-13 2017-08-22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83A true KR20150107683A (ko) 2015-09-23
KR101773662B1 KR101773662B1 (ko) 2017-08-31

Family

ID=52987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76A Active KR101773662B1 (ko) 2014-03-13 2015-03-13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KR1020170106266A Active KR101802922B1 (ko) 2014-03-13 2017-08-22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266A Active KR101802922B1 (ko) 2014-03-13 2017-08-22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358366B2 (ko)
EP (2) EP3607990B1 (ko)
JP (1) JP6739147B2 (ko)
KR (2) KR101773662B1 (ko)
CA (1) CA2884812C (ko)
DK (1) DK2918305T3 (ko)
ES (2) ES2950718T3 (ko)
HR (1) HRP20191910T1 (ko)
MX (1) MX354674B (ko)
PL (1) PL2918305T3 (ko)
SI (1) SI2918305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4932B (en) * 2008-10-28 2013-07-03 Braidlock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line
US9486613B2 (en) * 2010-10-28 2016-11-08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slit between first and second pull tabs
US10576251B2 (en) * 2014-03-13 2020-03-03 TDI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US9358366B2 (en) * 2014-03-13 2016-06-07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864384S1 (en) 2014-03-13 2019-10-22 Tidi Products, Llc Split-loop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842986S1 (en) 2014-09-05 2019-03-12 Tidi Products, Llc Narrow IV securement device
WO2017087225A1 (en) * 2015-11-16 2017-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securing multi-lumen medical articles
US9744327B1 (en) * 2016-02-24 2017-08-29 Kathleen Burns Facial skin indentation preventer
US11648377B2 (en) 2016-05-13 2023-05-16 C. R. Bard,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including a guiding nose
US10173035B2 (en) 2016-12-27 2019-01-08 Vasonics, Llc Catheter housing
USD816833S1 (en) 2017-01-10 2018-05-01 Tidi Products, Llc Access needle securement device
CA3019074A1 (en) * 2017-11-02 2019-05-02 Tidi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EP3492134A1 (en) 2017-11-30 2019-06-05 Tidi Products, LLC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at least one vertical slit
CA3103896A1 (en) * 2018-06-25 2020-01-02 Ramy ALBANY Catheter securement, stabilization, and anti-microbial device
US11452848B2 (en) 2019-04-17 2022-09-27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including extended anchor pad and release liner clasp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072A (en) 1962-10-11 1965-01-26 Stone Hester Ellen Intravenous needle and flow tube stabilizing means
US3138158A (en) 1962-11-02 1964-06-23 Donald W Gordon Means for anchorage of surgical fluid injection and drainage tubes
US3834380A (en) 1972-11-15 1974-09-10 W Boyd Holder for intravenous injection cannula and tubing
US3826254A (en) 1973-02-26 1974-07-30 Verco Ind Needle or catheter retaining appliance
US3973565A (en) 1973-07-20 1976-08-10 Everett Medical Products Limited Winged cannula with skin securing means
US3828254A (en) 1973-08-06 1974-08-06 Ford Motor Co Magnetic gauge circuit
US3918446A (en) 1974-05-03 1975-11-11 E Med Corp Securement device for intravenous catheter and its tubing
US4129128A (en) 1977-02-23 1978-12-12 Mcfarlane Richard H Securing device for catheter placement assembly
US4250880A (en) 1979-06-08 1981-02-17 Whitman Medical Corporation Stabilizing fitting for an intravenous catheter
US4460356A (en) 1982-02-10 1984-07-17 Douglas Moseley Catheter anchor tape
US4490141A (en) 1982-08-04 1984-12-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tabilizer and method of securing same to a patient
US4822342A (en) 1982-11-18 1989-04-18 Brawner Johnny A Prepared tape for body inserted tube
US4519793A (en) 1983-02-09 1985-05-28 Galindo Eugene R Catheter holder
US4717385A (en) 1985-04-12 1988-01-05 The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Surgical tube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037397A (en) 1985-05-03 1991-08-06 Medical Distributors, Inc. Universal clamp
CA1279054C (en) * 1985-05-03 1991-01-15 Glenda G. Kalt Universal clamp
SE455268B (sv) 1986-05-23 1988-07-04 Moelnlycke Ab Kanylfesttejp
US5236421A (en) 1986-05-28 1993-08-1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Fixing system for fastening catheters, cannulas or the like to the skin surface and process for the sterile fastening thereof
US4699616A (en) 1986-06-13 1987-10-13 Hollister Incorporated Catheter retention device and method
US4863432A (en) 1986-09-10 1989-09-05 Critikon, Inc. Winged catheter assembly
US4767411A (en) 1987-07-14 1988-08-30 Edmunds L Henry Protective catheter sleeve
US4915694A (en) 1987-10-02 1990-04-10 Vitaphore Corporation Antimicrobial wound dressing and skin fixator for percutaneous conduits
US4874380A (en) 1988-01-07 1989-10-17 E. R. Squibb And Sons, Inc. Catheter retaining device
CA2019513C (en) 1989-07-14 2001-12-18 Ronald Andrew Plass Catheter holder
US5232453A (en) 1989-07-14 1993-08-03 E. R. Squibb & Sons, Inc. Catheter holder
US5224935A (en) 1990-05-02 1993-07-06 E. R. Squibb & Sons, Inc. Catheter retainer
SE470052B (sv) 1991-01-25 1993-11-01 Lic Hygien Ab Venkateterförband
US5215532A (en) 1991-03-26 1993-06-01 Atkinson Meredith C Catheter device with easily deployed retainer
US5192274A (en) 1991-05-08 1993-03-09 Bierman Steven F Anchor pad for catheterization system
US5147322B1 (en) * 1991-11-26 1996-01-02 Tcnl Tech Inc Medical appliance securing device
US5282791A (en) 1992-04-07 1994-02-0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vice to secure a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5219336A (en) 1992-06-23 1993-06-15 Wilk Peter J Tape strip and associated method of connecting tubular members
US6837875B1 (en) 1993-03-19 2005-01-04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6827705B2 (en) 1993-03-19 2004-12-07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468231A (en) * 1994-03-10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fastenable tube and cable restraint for surgical use
US5370627A (en) 1994-04-04 1994-12-06 Conway; David P. Catheter securing bridge
US5685859A (en) 1994-06-02 1997-11-11 Nikomed Aps Device for fixating a drainage tube and a drainage tube assembly
US5413562A (en) 1994-06-17 1995-05-09 Swauger; Jonathan L. Stabilizing fitting for an intravenous catheter or syringe
ES2227687T3 (es) 1996-10-04 2005-04-01 Unomedical A/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fijar un cateter unido a una parte de la superficie de la piel de una persona.
US6213979B1 (en) 1997-05-29 2001-04-10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anchoring system
GB9717821D0 (en) 1997-08-21 1997-10-29 Spinoza Marc H Fasteners
US6361523B1 (en) 1998-03-27 2002-03-26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for a medical article
US6224571B1 (en) 1997-11-14 2001-05-01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securement device
US6419660B1 (en) 1998-05-29 2002-07-16 Ronald D. Russo Medical tube holder
US6491664B2 (en) 1998-08-18 2002-12-10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for a medical article
US6447486B1 (en) 1999-07-27 2002-09-10 Dennis R. Tollini Securing tape assembly
AU2001241761B2 (en) 2000-02-24 2005-06-23 Venetec International, Inc. Universal catheter anchoring system
US7137968B1 (en) 2000-03-13 2006-11-21 Nucryst Pharmaceuticals Corp. Transcutaneous medical device dressings and method of use
US6551285B1 (en) 2000-06-08 2003-04-22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securement device for use with neonates
US6413240B1 (en) 2000-08-03 2002-07-02 Venetec International, Inc. Dialysis catheter anchoring system
DE20020326U1 (de) 2000-11-30 2001-02-15 Kürten, Bardo, Dr., 36251 Bad Hersfeld Medizinisches Klebeband zur Lagefixierung von Infusionskanülen
US20030032932A1 (en) 2001-08-09 2003-02-13 Stout Cindy Kay Feeding tube skin guard
USD470936S1 (en) 2002-02-19 2003-02-25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 pad
US6827706B2 (en) 2002-05-14 2004-12-07 Dennis R. Tollini Winged catheter securing tape
US6875200B1 (en) 2003-01-10 2005-04-05 Olubunmi J. Ajagbe Bandage for protection of skin surrounding an umbilical cord stump
USD492411S1 (en) 2003-04-14 2004-06-29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 pad
USD503977S1 (en) 2004-01-23 2005-04-12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 pad
WO2005092423A1 (en) 2004-03-12 2005-10-06 Lina Medical Aps A plaster device for supporting a bended length of a tube
US7544186B2 (en) 2004-06-28 2009-06-09 Perry Ventures, Inc. Adhesive tape for an intravascular catheter
US7524307B2 (en) 2004-06-28 2009-04-28 Perry Ventures, Inc. Adhesive tape for an intravascular catheter
USD503997S1 (en) 2004-06-30 2005-04-12 Pedro Sanchez, Jr. Animal collar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US7637894B2 (en) 2005-05-06 2009-12-29 Lina Medical Aps Plaster device
US7812212B2 (en) 2005-08-23 2010-10-12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Window dressing
US8500698B2 (en) 2006-09-08 2013-08-06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
US20080200880A1 (en) * 2007-02-15 2008-08-21 Kurt Kyvik Catheter anchor
KR200442380Y1 (ko) 2007-04-10 2008-11-05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
US8241253B2 (en) 2007-07-20 2012-08-14 C.R. Bard, Inc. Securement system for a medical article
US8157770B2 (en) 2008-06-04 2012-04-17 Elwell David G Stabilization of a catheter or cannula
US20100036324A1 (en) * 2008-08-06 2010-02-11 Clinimed (Holdings) Limited Tube holder
GB2464662A (en) 2008-09-08 2010-04-28 Polarseal Tapes & Conversions Fixation device
KR101039776B1 (ko) * 2009-02-25 2011-06-09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
KR20100114171A (ko) 2009-04-15 2010-10-25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
US8394067B2 (en) 2009-05-21 2013-03-12 C.R. Bard, Inc. Medical device securement system
US20110021997A1 (en) 2009-07-21 2011-01-27 Kurt Kyvik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608444S1 (en) 2009-08-18 2010-01-19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08887S1 (en) 2009-08-18 2010-01-26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16983S1 (en) 2009-08-18 2010-06-01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16091S1 (en) * 2009-12-07 2010-05-18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16542S1 (en) 2009-12-07 2010-05-25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25002S1 (en) 2010-04-30 2010-10-05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8251957B2 (en) 2010-10-05 2012-08-28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8834427B2 (en) 2011-06-09 2014-09-16 Kurt Kyvik Slott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WO2013003600A1 (en) 2011-06-28 2013-01-03 M.C. Johnson Co., Inc. Medical appliance secu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D652509S1 (en) 2011-07-14 2012-01-17 Zefon International, Inc. Slott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663834S1 (en) 2011-11-21 2012-07-17 Zefon International, Inc. Slotted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9827396B2 (en) 2011-12-07 2017-11-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oldable IV catheter securement dressing for protecting against inadvertent contamination
EP4400136A3 (en) * 2012-04-17 2024-09-18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tube securement system
JP6060355B2 (ja) * 2012-08-30 2017-01-18 アルケア株式会社 カテーテル固定具
CN203123273U (zh) 2013-02-26 2013-08-14 北京天地和协科技有限公司 临床诊断用导管固定装置
USD715927S1 (en) 2013-08-14 2014-10-21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Double notch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715928S1 (en) 2013-10-28 2014-10-21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9358366B2 (en) * 2014-03-13 2016-06-07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4863B2 (en) 2017-11-14
DK2918305T3 (da) 2019-10-14
PL2918305T3 (pl) 2020-01-31
MX2015003044A (es) 2016-02-03
US20160331934A1 (en) 2016-11-17
JP6739147B2 (ja) 2020-08-12
EP3607990C0 (en) 2023-06-07
EP3607990A3 (en) 2020-04-29
CA2884812C (en) 2022-05-17
KR101773662B1 (ko) 2017-08-31
EP2918305B1 (en) 2019-07-03
HRP20191910T1 (hr) 2020-03-06
MX354674B (es) 2018-03-15
SI2918305T1 (sl) 2020-01-31
EP3607990A2 (en) 2020-02-12
CA2884812A1 (en) 2015-09-13
EP3607990B1 (en) 2023-06-07
EP2918305A1 (en) 2015-09-16
ES2759261T3 (es) 2020-05-08
US20150258309A1 (en) 2015-09-17
KR20170099402A (ko) 2017-08-31
ES2950718T3 (es) 2023-10-13
JP2015173988A (ja) 2015-10-05
KR101802922B1 (ko) 2017-12-28
US9358366B2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22B1 (ko)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US8157770B2 (en) Stabilization of a catheter or cannula
EP3765133B1 (en) Endotracheal tube holder device
JP2015042249A (ja) 二重切欠き付カテーテル固定装置
US9522078B2 (en) Patien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atient during a surgical procedure
US10350388B2 (en) Peripheral intravenous and arterial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20090299294A1 (en) Support devices for catheters
EP0166742A1 (en) Catheter stabilization pad
US20090281502A1 (en) Infusion site retainer
US10894122B2 (en) Application member and medical instrument
JP2009018186A (ja) カテーテルなどの固定システム
KR20190050280A (ko) 제거 가능 유지부를 구비한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US10576251B2 (en)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JP2019098181A (ja) 少なくとも1つの縦スリットを有するカテーテル固定装置
CN210813371U (zh) 一种导尿管体外固定装置
US20070299407A1 (en) Intravenous line support sleeve
CN221671816U (zh) 一种可调式伤口减张贴
CN222708391U (zh) 一种袖装式介入手术无菌手术大单
CN112472959A (zh) 一种固定夹及固定装置
DE102012005535A1 (de) Vorrichtung zum Haltern einer Atmungsunterstützungs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