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672A -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6672A KR20150096672A KR1020157016131A KR20157016131A KR20150096672A KR 20150096672 A KR20150096672 A KR 20150096672A KR 1020157016131 A KR1020157016131 A KR 1020157016131A KR 20157016131 A KR20157016131 A KR 20157016131A KR 20150096672 A KR20150096672 A KR 20150096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chain
- carrying member
- conveyor
- alo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상부 수평 주행부(1A) 및 하부 수평 복귀 주행부(1B)를 가지는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1)에서, 팔레트가 무단 체인(2)에 의해서 당겨지는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에 의해서 반송된다.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는, 체인과 함께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컨베이어의 수평 주행부를 따라서 체인(2)과, 선회 없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휘일(3)을 가진다. 팔레트-반송 부재가 컨베이어(1)의 수평 주행부를 따른 위치에서 정지되는 경우에, 팔레트-반송 부재(P1)에 의해서 반송되는 전술한 스프로킷 휘일이 선회하기 시작하여, 팔레트-반송 부재(P1)에 대한 체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컨베이어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는, 체인의 곡선형 연신부에서, 팔레트-반송 부재(P1)의 이동은, 체인의 곡선형 연신부 내에서만 체인과 결합하고 체인과 커플링되는 결합 핑거(F)에 의해서 유발된다. 팔레트-반송 부재(P1)가 체인의 곡선형 연신부를 따른 위치에서 정지되는 경우에, 체인이 계속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결합 핑거(F)의 복수의 연속적인 점프를 수반하는 이동을 유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합 핑거(F)가 스프링 수단(7)에 의해서 체인에 대해서 편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부 이송 주행부(run) 및 하부 복귀 주행부를 구비하는,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포개지며 컨베이어의 대향 단부들에서의 2개의 곡선형 부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수평 주행부를 포함하는, 무한 경로를 따라서 복수의 팔레트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를 대상으로 한다. 보다 특히, 발명은 전술한 유형의 컨베이어를 대상으로 하고, 그러한 컨베이어는:
- 지지 구조물;
- 2개의 상호 평행한 수평 축 주위로 컨베이어의 지지 구조물의 2개의 대향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스프로킷 휘일(sprocket wheel)에 결합된 무단 체인;
- 무단 체인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수단;
- 무한 경로를 따라 상기 지지 구조물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팔레트-반송(carrying) 부재; 및
- 복수의 팔레트로서, 각각의 팔레트가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에 의해서 반송되고 컨베이어의 상부 수평 주행부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이송하도록 예정된 복수의 팔레트를 포함하고,
- 팔레트-반송 부재가 체인의 이동을 따르도록 강제하기 위해서 스프로킷 휘일이, 선회(turning) 없이, 컨베이어의 수평 주행부를 따라 체인 상에 결합되게 디자인되도록 하는 한편, 팔레트-반송 부재가 경로를 따라서 정지될 때, 체인이 팔레트-반송 부재에 대해서 계속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스프로킷 휘일이 그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디자인되는 방식으로, 마찰 커플링이 개재(interposition)된 상태로,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가, 팔레트-반송 부재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휘일을 포함하고, 그리고
- 컨베이어의 단부에서의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상승 및 하강이, 팔레트-반송 부재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핑거(finger)의 체인 상에서의 결합에 의해서 유발되고, 상기 핑거는 컨베이어의 2개의 단부에서의 곡선형 부분 내에서 체인과 결합하도록 그리고 체인과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앞서서 인용한 유형의 컨베이어가, 예를 들어, 문헌 DE 195 28 922 C2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해결책에서,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 상에 제공된 결합 핑거가 상기 부재의 구조물에 강성적으로 연결된다. US-A-6 070 534으로부터 팔레트 컨베이어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팔레트는 재순환되지 않고, 팔레트는, 각각의 팔레트 지지 부재에 의해서 반송되는 1개의 또는 2개의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핑거에 의해서 컨베이어 상부 주행부를 따라서 컨베이어 체인을 따르도록 강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동시에, 단순하고, 신뢰가능하며, 저비용의 구조물을 제공하는, 앞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유형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가 운영자(특히, 운영자가 컨베이어 상에 팔레트들과 의도하지 않게 간섭할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된다) 및 컨베이어 자체(동작 중에 팔레트가 운영자 또는 로봇이나 다른 이물체와 의도하지 않게 간섭하는 경우에 컨베이어가 손상될 위험이 없다는 의미에서) 모두에 대해서 안전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은, 본 설명의 도입부에서 언급한 모든 특징을 가지고, 또한, 운영자 또는 임의의 다른 이질적 본체와의 의도하지 않은 간섭으로 인해서 컨베이어의 단부 중 하나에서의 체인의 곡선형 부분 내의 위치에서 팔레트-반송 부재가 폐색(block)되는 경우에, 체인이 팔레트-반송 부재에 대해서 자유롭게 계속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체인 상에서의 결합 핑거의 복수의 연속적인 점프(jump)를 가지는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결합 핑거가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구조물에 대해서 결합 핑거의 축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결합 핑거와 팔레트-반송 부재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단에 의해서 체인에 대해서 편향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를 대상으로 한다.
전술한 특성으로 인해서, 팔레트-반송 부재가 하부 주행부로부터 상부 주행부로 상승할 때 또는 상부 주행부로부터 하부 주행부로 하강할 때, 여하한 이유로, 컨베이어의 단부 중 하나에서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이동이 막힐(jam) 수 있는 경우에도, 컨베이어의 안전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단순하고 저렴한 수단으로 성취된다.
순수하게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발명의 추가적인 특성 및 장점이, 계속되는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부분을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명료함을 위해서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도시한, 컨베이어의 단부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컨베이어의 일 단부에서의 팔레트-반송 캐리지의 상승 이동의 2 단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팔레트-반송 캐리지가 컨베이어의 일 단부의 위치에서 폐색되는 조건을 보여주는, 도 5 및 도 6의 측면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팔레트-반송 부재 상에 미리 정렬되어 탑재된(on board) 결합 핑거의 횡단면도 및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부분을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명료함을 위해서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도시한, 컨베이어의 단부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의 팔레트-반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컨베이어의 일 단부에서의 팔레트-반송 캐리지의 상승 이동의 2 단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팔레트-반송 캐리지가 컨베이어의 일 단부의 위치에서 폐색되는 조건을 보여주는, 도 5 및 도 6의 측면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팔레트-반송 부재 상에 미리 정렬되어 탑재된(on board) 결합 핑거의 횡단면도 및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숫자 '1'은 무한 경로를 따라서 복수의 팔레트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 전체를 나타내고, 그러한 컨베이어는 팔레트에 의해서 반송되는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상부 수평 주행부(1A), 팔레트의 복귀를 위한 하부 주행부(1B), 수평 이송 주행부의 단부에 도달한 팔레트가 하부 복귀 주행부를 향해서 하강하게 되는 단부(1C), 및 대향 단부(1D)를 포함하고, 대항 단부에서는 하부 복귀 주행부(1B)의 단부에 도달한 팔레트가 상부 주행부를 향해서 상승하고, 컨베이어의 대향 단부로 이송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팔레트에 적재된다.
앞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유형의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요소가 컨베이어 상으로 적재되는 작업장으로부터 요소가 컨베이어로부터 하역되는 작업장까지 요소를 이송하기 위해서, 산업용 플랜트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적재 및 하역 동작은 운영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또는 산업용 로봇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만이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 상에 장착된 팔레트(P)를 예로서 도시한다. 팔레트-반송 부재(P1) 및 팔레트-반송 부재가 컨베이어(1)를 따라서 안내되는 경로를 보여주기 위해서, 다른 팔레트(P)를 제거하여 보다 명료하게 도시하였다.
컨베이어(1)는 복수의 기둥(S1) 및 가로 부재(S2)를 포함하는 고정된 지지 구조물(S)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부재(S2)는 다시 컨베이어의 고정된 구조물(S3)을 지지한다.
구조물(S3)은, "팔레트-반송 캐리지"라고 이하에서 지칭되는, 캐리지 형태의 복수의 팔레트-반송 부재(P1)를 위한 안내 트랙(C1, C2)(도 3)을 형성한다.
팔레트-반송 캐리지는, 서로 중첩된 2개의 수평 주행부(1A, 1B) 및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곡선형 부분(1C, 1D)을 포함하는, 무한 경로를 따라서 안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는, 전술한 트랙(C1, C2)의, 각각의, 결합을 위한 휘일(R1, R2)을 구비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가 휘일(R1)의 2개의 쌍 및 휘일(R2)의 2개의 쌍을 구비한다. 캐리지의 구조물의 양 단부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또한 도 2 참조)에 따라서, 팔레트-반송 캐리지가 컨베이어의 경로를 따라서 폐색된 캐리지 뒤로 누적될 때, 팔레트-반송 캐리지들(P1)을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하도록 디자인된 이격부재 핀(D)의 2개의 쌍을 또한 반송한다.
컨베이어를 따른 팔레트-반송 부재(P1)의 이동은 체인(2)(도 3)에 의해서 관리되고, 그러한 체인은, 도시된 예의 경우에, 3개의 평행한 링크에 의해서 구성된 체인이고, 3개의 평행한 링크는 중앙 링크(2A) 및 측부 링크들(2B)을 포함한다. 체인(2)은 스프로킷 휘일(W)(도 5 참조)에 결합되고, 스프로킷 휘일의 샤프트(W1)는 컨베이어의 단부에서 2개의 수평 축(W2) 주위로 회전식으로 장착된다(도 1 및 도 3). 컨베이어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스프로킷 휘일이, 감속기(reducer) 조립체(R)(도 1 및 도 2)를 통해서 전기 모터(M)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형 스프로킷 휘일이다. 도 3은 샤프트(W1)를 도시하고, 그러한 샤프트에 의해서 체인(2)과 결합하기 위한 스프로킷 휘일이 컨베이어의 일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 상에 2개의 스프로킷 휘일(3)이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각각의 스프로킷 휘일(3)은, 주어진 회전 토크 보다 클 때에만 각각의 스프로킷 휘일(3)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는 마찰 커플링(4)이 개재된 상태로, 그 축(3a)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배열로 인해서, 각각의 스프로킷 휘일(3)은, 선회 없이, 컨베이어의 수평 연신부(1A, 1B) 내에서 체인(2)과 결합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가 체인의 이동을 따르도록 강제하는 단순한 결합 부재로서 기능한다. 팔레트-반송 캐리지(P1)가 수평 연장부(1A 또는 1B)를 따른 위치 내에서 정지되는 경우에, 단순하게 스프로킷 휘일(3)의 회전을 유발하는 한, 팔레트-반송 캐리지(P1)를 따라서 끌어당기지 않으면서, 체인(2)이 팔레트-반송 부재(P1)에 대해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주요 구조(도 4)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고정되는 제2 결합 부재가, 각각의 캐리지(P1)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 중에 머무르는(withheld), 컨베이어의 단부에서 제공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에 구비되는 전술한 결합 핑거가, 개구부(A) 내에서,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벽에 나사 체결되는 안내 본체(6) 내에서 그 축(8)을 따라서 활주식으로 장착되는 원통형 본체(5)의 전방 단부(F)에 의해서 구성된다. 원통형 본체(5)는 중공형이고 나선형 스프링(7)을 내부에 구비하며, 나산형 스프링은, 체인(2)과의 결합을 위해서 결합 핑거(F)를 미는 경향을 가지도록, 결합 핑거(F)의 본체(5)와 팔레트-반송 캐리지(P1)에 강성적으로 연결된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다.
컨베이어의 수평 주행부(1A, 1B) 내에서,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결합 핑거(F)가, 대면하는 체인(2)의 링크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는 방식으로,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휘일(R1, R2)을 안내하기 위해서 컨베이어의 고정된 구조물 상에 제공되는 안내부(C1, C2)가 구성된다. 그러나, 안내부의 그러한 구성은, 그 대신에, 컨베이어의 2개의 단부에서의 체인의 곡선형 부분에서, 각각의 팔레트-반송 캐리지(P1) 상에 제공된 결합 핑거(F)가, 체인의 곡선형 연장부의 시작부에서 강성적으로 결합하게 될 때까지, 대면하는 체인의 링크 내에 점진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동작 모드는 도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도 5 및 도 6은 컨베이어의 하부 주행부의 마지막 단부로부터 상부 주행부의 초기 단부를 향한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5는 상승 이동의 시작 바로 전의 캐리지를 보여주는 반면, 도 6은 상승 이동의 중간 단계에서의 캐리지를 보여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조건에서, 핑거(F)는, 대면하는 체인(2)의 링크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편, 도 6에 도시된 상승 단계에서는, 팔레트-반송 캐리지(P1)를 체인과 커플링시키고 체인의 상부 주행부를 향해서 체인과 함께 위로 끌어당기기 위해서, 핑거(F)가 체인의 링크 내로 침투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조 및 배열로 인해서, 팔레트-반송 캐리지가, 여하한 이유로, 컨베이어의 단부에 대한 상승 또는 하강 중의 위치에서 폐색되어 유지되는 경우에도, 컨베이어가 적절하게 계속 기능한다. 도 7은, 컨베이어의 일 단부에서 하부 주행부로부터 상부 주행부로 상승하는 팔레트-반송 캐리지(P1)의 전술한 경우를 참조하여 상기 상황을 설명한다. 도시된 조건에서, (예를 들어, 운영자와의 또는 로봇이나 다른 이질적 본체와의 의도하지 않은 간섭으로 인해서) 컨베이어의 지지 구조물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에서 캐리지가 포획된(trapped)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단계에서, 체인의 이동은 정상적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연관된 스프링(7)에 의해서 허용되는, 결합 핑거(F)의 복수의 연속되는 점프를 수반하는 이동이 동시에 결정된다.
그에 따라,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운영자(운영자가 컨베이어 상에 팔레트들과 의도하지 않게 간섭할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된다) 및 컨베이어 자체(동작 중에 컨베이어의 팔레트가 운영자와 또는 로봇이나 다른 이질적 본체와 의도하지 않게 간섭하는 경우에 컨베이어가 손상될 위험이 없다는 의미에서) 모두에 대해서 안전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한편으로, 특히 단순하고 저비용의 구조로 얻어질 수 있다.
물론, 발명의 원리에 대한 편견 없이, 구성 및 실시예에 관한 상세 내용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순수하게 예로서 본원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 관련하여 널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 포개지는 2개의 수평 주행부(1A, 1B)를 포함하는, 무한 경로를 따라서 복수의 팔레트(P)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주행부는 컨베이어(1)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2개의 곡선형 부분(1C, 1D)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 지지 구조물(S);
- 2개의 상호 평행한 수평 축(W2) 주위로 지지 구조물(S)의 2개의 대향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스프로킷 휘일 상에 결합된 무단 체인(2);
- 무단 체인(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수단(M, R);
- 무한 경로를 따라 상기 지지 구조물(S)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팔레트-반송 부재(P1) 부재; 및
- 복수의 팔레트(P)로서, 각각의 팔레트가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에 의해서 반송되고 컨베이어(1)의 상부 수평 주행부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팔레트(P)를 포함하고,
- 팔레트-반송 부재(P1)가 체인(2)의 이동을 따르도록 강제하기 위해서 스프로킷 휘일(3)이, 선회 없이, 컨베이어(1)의 수평 주행부(1A, 1B)를 따라 체인(2) 상에 결합되게 구성되도록 하는 한편, 팔레트-반송 부재(P1)가 경로를 따라서 정지될 때, 체인(2)이 팔레트-반송 부재(P1)에 대해서 계속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스프로킷 휘일(3)이 그 축(3a)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구성되도록, 마찰 커플링(4)이 개재된 상태로,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가, 팔레트-반송 부재(P1)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휘일(3)을 포함하고, 그리고
- 컨베이어(1)의 단부에서의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의 상승 및 하강이, 팔레트-반송 부재(P1)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핑거(F)의 체인(2) 상에서의 결합에 의해서 유발되고, 상기 핑거는 컨베이어(1)의 2개의 단부에서의 곡선형 부분(1C, 1D) 내에서 체인(2)과 결합하도록 그리고 체인과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운영자 또는 임의의 다른 이질적 본체와의 의도하지 않은 간섭으로 인해서 컨베이어(1)의 단부 중 하나에서의 체인의 곡선형 부분 내의 위치에서 팔레트-반송 부재(P1)가 폐색되는 경우에, 체인(2)이 팔레트-반송 부재(P1)에 대해서 자유롭게 계속 이동하여, 체인(2) 상에서의 결합 핑거(F)의 복수의 연속적인 점프를 가지는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결합 핑거(F)가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에 대해서 결합 핑거의 축(8)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결합 핑거(F)와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단(7)에 의해서 체인(2)에 대해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핑거(F)가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에 고정된 안내 본체(6) 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원통형 본체(5)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5)가 중공형이고, 상기 본체와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설치된 나선형 스프링(7)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1)의 지지 구조물(S)이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구조물 상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되는 휘일(R1, R2)을 위한 안내 트랙(C1, C2)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컨베이어(1)의 상부 및 하부 수평 주행부(1A, 1B)를 따른 팔레트-반송 부재(P1)의 이동 중에, 각각의 팔레트-반송 부재(P1)의 결합 핑거(F)가, 대면하는 체인(2)의 링크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컨베이어(1)의 각각의 단부에서의 체인의 곡선형 부분을 따른 팔레트-반송 부재(P1)의 이동의 시작부에서 결합 핑거(F)가 체인(2)과 커플링될 때까지, 결합 핑거(F)가 체인(2)의 대면하는 링크 내로 점진적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2193357.6 | 2012-11-20 | ||
EP12193357.6A EP2733094B1 (en) | 2012-11-20 | 2012-11-20 | Accumulation pallet conveyor |
PCT/IB2013/060082 WO2014080315A1 (en) | 2012-11-20 | 2013-11-12 | Accumulation pallet convey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6672A true KR20150096672A (ko) | 2015-08-25 |
Family
ID=4760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6131A Withdrawn KR20150096672A (ko) | 2012-11-20 | 2013-11-12 |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9315326B2 (ko) |
EP (1) | EP2733094B1 (ko) |
KR (1) | KR20150096672A (ko) |
CN (1) | CN104918870B (ko) |
BR (1) | BR102013005897A2 (ko) |
CA (1) | CA2889443A1 (ko) |
ES (1) | ES2586759T3 (ko) |
MX (1) | MX2015006284A (ko) |
PL (1) | PL2733094T3 (ko) |
PT (1) | PT2733094T (ko) |
RS (1) | RS54954B1 (ko) |
RU (1) | RU2619792C2 (ko) |
WO (1) | WO20140803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6956A1 (de) * | 2014-05-16 | 2015-11-19 | Bleichert Automation Gmbh & Co. Kg | Umlaufförderer |
US20170101182A1 (en) * | 2015-10-13 | 2017-04-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Overhead Delivery System for Transporting Products |
DE102016120710A1 (de) * | 2016-10-28 | 2018-05-03 | Bleichert Automation Gmbh & Co. Kg | Stauförderer |
DE102017118357A1 (de) | 2017-08-11 | 2019-02-14 | Weiss Gmbh | Transportvorrichtung |
CN110044161A (zh) * | 2019-04-22 | 2019-07-23 |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 易于装料的花椒烤房系统 |
IT202000005776A1 (it) * | 2020-03-18 | 2020-06-18 | Rolle Monica | Sistema di guida e trascinamento per un trasportatore di articoli |
CN214609862U (zh) * | 2020-12-01 | 2021-11-05 | 广东汇思德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输送高质量产品的传输机构 |
CN114940334B (zh) * | 2022-07-21 | 2022-10-21 | 山东协和学院 | 一种康养基地仓储物流用传送装置 |
CN115570610B (zh) * | 2022-10-25 | 2023-08-15 | 江苏马腾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pvc天线罩板块除尘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566249A5 (ko) * | 1974-05-30 | 1975-09-15 | Micafil Ag | |
DE2522299C3 (de) * | 1975-05-20 | 1979-10-25 | W + M Automation Karl Mueller, 6200 Wiesbaden | Transportvorrichtung zum umlaufenden horizontalen Transport von Trägern für die Förderung von Gegenständen |
US4431102A (en) | 1981-08-28 | 1984-02-14 | Precision Automation Co., Inc. | Multi-station production conveyor |
JPS5973246A (ja) | 1982-10-18 | 1984-04-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部品供給装置 |
US4776453A (en) * | 1986-04-11 | 1988-10-11 | Harry Major Machine & Tool Co. | Accumulating conveyor |
FR2630092B1 (fr) * | 1988-04-14 | 1993-03-26 | Sgie Ind Sa | Navett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freinage, associee a un convoyeur en pente pour l'accumulation de navettes |
US4934515A (en) * | 1988-08-16 | 1990-06-19 | Litt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Inc. | Endless accumulating conveyor |
JPH05278854A (ja) | 1992-04-06 | 1993-10-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製品選別移載方法及び装置 |
DE9416115U1 (de) * | 1994-10-06 | 1995-08-03 | F+S Automationstechnik GmbH, 74229 Oedheim | Paletten-Stauförderer |
DE19528200A1 (de) * | 1995-08-01 | 1997-02-06 | Topack Verpacktech Gmbh |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von Packungsblöcken aus stabförmigen Artikeln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
DE19608133C2 (de) * | 1996-03-02 | 2002-07-11 | Koenig & Bauer Ag | Fördervorrichtung |
US5735384A (en) * | 1996-08-29 | 1998-04-07 | Western Atlas, Inc. | Endless accumulating conveyor |
US6019214A (en) | 1997-03-04 | 2000-02-01 | Atlas Technologies, Inc. | Asynchronous conveyor construction |
US5964562A (en) | 1998-03-17 | 1999-10-12 | Computer Aided Systems, Inc. | Rotating elevator mechanism for article transfer in an automated storage system |
US6464066B2 (en) * | 2000-04-04 | 2002-10-15 | Inno-Veyor, Inc. | Conveyor assembly with pallet coupling |
JP2001293643A (ja) | 2000-04-17 | 2001-10-23 | Hirata Corp | 生産システム |
US6568525B2 (en) | 2001-05-10 | 2003-05-27 | Inno-Veyor, Inc. | Vertical conveyor assembly with accumulating pallets |
US7258223B2 (en) | 2004-05-06 | 2007-08-21 | Roberts-Sinto Corporation | Pallet conveyor with chain drive recirculating in a horizontal plane |
JP2007216340A (ja) | 2006-02-17 | 2007-08-30 | Nissan Motor Co Ltd | 部品供給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方法 |
US20100300841A1 (en) | 2009-05-27 | 2010-12-02 | Bleichert Foerderanlagen Gmbh | Gravity conveyor system |
US8869370B2 (en) | 2010-06-25 | 2014-10-28 | Comau, Inc. | Sequenced part delivery system |
CN202152207U (zh) * | 2011-04-27 | 2012-02-29 | 广州明珞汽车装备有限公司 | 积放式柔性输送机 |
DE202011108531U1 (de) * | 2011-12-01 | 2012-01-17 | Tünkers Iberica S.L. | Stauförderer |
RS53874B1 (en) | 2012-11-20 | 2015-08-31 | Comau S.P.A. | PALLET ACCUMULATOR FOR THE DISTRIBUTION OF MULTIPLE PALLETS IN A CONTINUOUS HORIZONTAL CIRCULAR AND MANAGEMENT PROCEDURE FOR THIS TRANSPORTER |
-
2012
- 2012-11-20 PT PT121933576T patent/PT2733094T/pt unknown
- 2012-11-20 PL PL12193357T patent/PL2733094T3/pl unknown
- 2012-11-20 EP EP12193357.6A patent/EP273309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11-20 ES ES12193357.6T patent/ES2586759T3/es active Active
- 2012-11-20 RS RS20160599A patent/RS54954B1/sr unknown
-
2013
- 2013-03-12 BR BRBR102013005897-1A patent/BR102013005897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1-12 CA CA2889443A patent/CA288944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1-12 MX MX2015006284A patent/MX2015006284A/es unknown
- 2013-11-12 WO PCT/IB2013/060082 patent/WO201408031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12 RU RU2015120948A patent/RU2619792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1-12 KR KR1020157016131A patent/KR2015009667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11-12 US US14/440,121 patent/US931532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12 CN CN201380060648.1A patent/CN10491887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84186A1 (en) | 2015-10-08 |
RS54954B1 (sr) | 2016-11-30 |
EP2733094A1 (en) | 2014-05-21 |
PL2733094T3 (pl) | 2017-02-28 |
WO2014080315A1 (en) | 2014-05-30 |
RU2015120948A (ru) | 2017-01-10 |
CN104918870B (zh) | 2017-05-31 |
CA2889443A1 (en) | 2014-05-30 |
RU2619792C2 (ru) | 2017-05-18 |
ES2586759T3 (es) | 2016-10-18 |
BR102013005897A2 (pt) | 2015-07-07 |
EP2733094B1 (en) | 2016-05-11 |
US9315326B2 (en) | 2016-04-19 |
MX2015006284A (es) | 2015-08-07 |
CN104918870A (zh) | 2015-09-16 |
PT2733094T (pt)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6672A (ko) | 누적형 팔레트 컨베이어 | |
US20170129704A1 (en) | Storage facility using automated carrying cart | |
JP5436747B2 (ja) | 物品移載装置 | |
KR101100331B1 (ko) |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 |
JP2013047150A (ja) | 物品移載装置 | |
CN111989275B (zh) | 输送装置 | |
WO2016152837A1 (ja) | 通路形成装置 | |
CN107512528A (zh) | 一种带格链条输送机 | |
JP3375061B2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
WO2014102040A1 (en) | Turning system for belt transport system | |
CN111824744A (zh) | 接驳系统以及生产线系统 | |
US9010525B2 (en) | Slat conveyor apparatus | |
EP2914534A2 (en) | Offset pallet guidance for passenger conveyor | |
WO2017138989A1 (en) | Vertical assembly line | |
SE510119C2 (sv) | Sätt och anordning för vändning av brädor | |
JP2014055501A (ja) | 立体駐車装置 | |
US9994427B2 (en) | Safety chain for pallets for conveyors used to transport people and goods | |
CN110127567A (zh) | 搬运作业设备 | |
KR20200020215A (ko) | 진공 흡착 장치가 구비된 스태커 | |
JP5664178B2 (ja) |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 |
KR101586695B1 (ko) | 이송대차 | |
KR20060032170A (ko) | 핸드 팔레트 트럭 | |
JP4538735B2 (ja) | リフト装置 | |
KR20160061478A (ko) | 컨베이어용 캠 캐리지 | |
JP2008184264A (ja) | トレーの移載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