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295A - Component supply unit - Google Patents
Component supply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0295A KR20150070295A KR1020157012540A KR20157012540A KR20150070295A KR 20150070295 A KR20150070295 A KR 20150070295A KR 1020157012540 A KR1020157012540 A KR 1020157012540A KR 20157012540 A KR20157012540 A KR 20157012540A KR 20150070295 A KR20150070295 A KR 20150070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storage
- component
- notches
- electronic compon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커버 테이프를 확실하게 커팅하고,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유닛을 제공하는 것.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형성된 안내부(283)에는 절개된 좌우의 커버 테이프(C1, C2)의 단부를 상방으로 압박하여 열면서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64)이 좌우에 각각 형성되고, 안내부(283)의 하부의 좌우 양쪽 코너에는 모서리를 직각으로 노치해서 형성된 상하 2단의 노치(284, 285)와 노치(단차)(286, 287)가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진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의 좌우의 노치(284)와 노치(285)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된 테이프 압박부(288)가 형성되어 있다.A component feeding unit capable of reliably cutting a cover tape and reliably supply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e guiding portion 283 formed with the tape processing unit 28 is formed with right and left inclined guiding surfaces 64 for pressing and opening the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cover tapes C1 and C2 cut open, The upper and lower two notches 284 and 285 and notches 286 and 287 which are formed by notching the corners at right angles ar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283 in the conveying direction . A tape pressing portion 288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notch 284 and the notch 285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e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 내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상기 수납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그 이송 톱니가 감합하면서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부품 인출 위치로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feeding unit that intermittently feeds an electronic component stored in a storage portion of a storage tape to a component withdrawing position by rotation of a sprocket while the feed teeth are engaged with a feed hole formed in the storage tape.
종래의 부품 공급 유닛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근 프린트 기판에 전자 부품을 장착하여 회로 기판을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는 전자 부품 장착 장치의 가동률 향상이 요망되어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전자 부품의 보충 시간 또는 순서 전환을 단시간으로 완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공급 테이프의 일단을 피더에 삽입함으로써 공급 테이프를 자동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공급 테이프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부품의 상방이 커버 테이프에 의해 덮여 있어 커버 테이프를 커팅하고, 전자 부품의 인출 위치에 있어서 커팅된 커버 테이프가 전자 부품의 인출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omponent supply unit, for example, as disclosed in
전자 부품을 인출하는 상태에서 인출 위치에 확실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커버 테이프를 확실하게 커팅하고, 수납되어 있는 전자 부품의 상방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커터로 커버 테이프를 커팅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커버 테이프를 확실하게 커팅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구가 적합한지의 인식은 없고, 해결 수단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 않다.In order to reliably supply the electronic part in the withdrawn position in a state of withdrawing the electronic part, it is necessary to reliably cut the cover tape and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stored electronic part.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커버 테이프를 확실하게 커팅하고,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nent supply unit that can surely cut a cover tape and reliably supply an electronic component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이 때문에 제 1 발명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 내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상기 수납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그 이송 톱니가 감합하면서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부품 인출 위치로 공급하는 부품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이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 절단하는 커터와, 이 커터에 의해 절단된 상기 커버 테이프를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 순차 절개하도록 안내하는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이 측면에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커버 테이프가 절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출 위치로 공급된 상기 수납부 내의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개설된 인출용 개구와, 상기 안내부의 하부의 좌우 코너에 수납 테이프의 반송 방향에 형성된 좌우의 노치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feeding unit which intermittently feeds an electronic component stored in a storage portion of a storage tape to a component withdrawing position by rotation of a sprocket while the feeding teeth are engaged with a feed hole formed in the storage tape, A cutter for sequentially cutting the cover tape covering the storage portion of the storage tape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orage tape and the cover tape cut by the cutter are sequentially guided along the progress of the storage tape A lead-out opening formed for withdraw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storage portion supplied to the component withdraw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tape is cut off from the component,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storage tape And a tape processing unit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notches.
제 2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부품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은 상기 수납 테이프에 형성되어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mponent supply unit according to
제 3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부품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양측에 수납 테이프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커버 테이프와 캐리어 테이프의 접속부가 병행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은 각각의 상기 접속부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수납부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component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ver tape and the carrier t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storage tape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tape on which the storage section is formed,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notche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a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portion.
제 4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부품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노치의 높이는 상기 커버 테이프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크고, 접힌 상기 커버 테이프를 허용하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mponent supply unit according to
제 5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노치 상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그 간격이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보다 큰 상단의 좌우의 노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ponent supply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커버 테이프를 확실하게 커팅하고,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onent supply unit capable of reliably cutting a cover tape and reliably supplying an electronic component.
도 1은 전자 부품 장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수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대부품용의 수납 테이프, 도 3(B)는 소부품용의 수납 테이프를 나타낸다.
도 4는 부품 공급 유닛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부품 공급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형식 「W8S」의 테이프 처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형식 「W8S」의 테이프 처리 유닛을 포함시킨 부품 공급 유닛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B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C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D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안내부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E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2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7의 F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7의 G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20은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 판별용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테이프 처리 유닛의 형식과 대상 전자 부품의 관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전자 부품 장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3은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장착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부품 배치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부품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tape.
Fig. 3 (A) shows a storage tape for a large part, and Fig. 3 (B) shows a storage tape for a small part.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6 is a plan view of the tape processing unit of the type " W8S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including the tape processing unit of the type " W8S "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in Fig.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in 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 in Fig.
1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position D in 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3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Fig.
14 is a bottom view of the guide portion.
1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 in Fig.
16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Fig.
17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Fig.
1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 in Fig.
Fig. 1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 in Fig.
20 is a diagram show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tape processing unit.
21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table of a type of a tape processing unit and a target electronic part.
2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2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anel.
24 is a diagram showing mounting data.
Fig. 25 is a diagram showing component placement information. Fig.
26 is a diagram showing part library data.
이하,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평면도인 도 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장치 본체(2) 상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가 4개의 블록으로 나뉘어져서 복수 병설되어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상기 각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는 부착대인 카트대의 피더 베이스 상에 부품 공급 유닛(5)을 다수 병렬하여 설치한 것이며, 부품 공급측의 선단부가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P)의 반송로에 면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2)에 연결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카트대가 정규로 장치 본체(2)에 부착되면 카트대에 탑재된 부품 공급 유닛(5)에 전원이 공급되고, 또한 연결구를 해제해서 손잡이를 당기면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또한, 상기 피더 베이스로부터 부품 공급 유닛(5)을 빼려고 해서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끼리의 접속을 해제했을 경우에는 이 부품 공급 유닛(5)으로의 공급 전원이 차단되고, 이 차단 상태를 후술하는 제어 장치(70)가 이것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반대로 상기 피더 베이스에 부품 공급 유닛(5)을 끼워넣어서 부착해서 상기 커넥터끼리를 접속하면 이 부품 공급 유닛(5)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이 공급 상태를 후술하는 제어 장치(70)가 이것을 검출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is canceled when the
각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는 부품 공급측의 선단부가 장착 헤드(6)의 부품 인출 영역인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그리고, 바로 앞측의 부품 공급 장치(3B, 3D)와 안측의 부품 공급 장치(3A, 3C) 사이에는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P)을 반송하는 기판 반송 장치(8)를 구성하는 공급 컨베이어, 제 1 위치 결정부, 중간 컨베이어, 제 2 위치 결정부 및 배출 컨베이어가 형성되어 있다.A feed conveyor constituting a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상류로부터 받은 프린트 기판(P)을 제 1 위치 결정부에 반송하고, 이 각 위치 결정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된 기판(P) 상에 전자 부품을 장착한 후, 중간 컨베이어로 반송하고, 이 중간 컨베이어로부터 받은 프린트 기판(P)을 제 2 위치 결정부에서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해서 전자 부품을 장착한 후, 배출 컨베이어로 반송되고, 그 후 하류측 장치로 반송된다.The feed conveyor conveys the printed board P received from the upstream to the first positioning section, mounts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substrate P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not shown) in each positioning section , And the printed board P received from the intermediate conveyor i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in the second positioning unit to mount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n conveyed to the discharge conveyor, .
Y방향으로 Y축 구동 모터(11)에 의해 가이드 레일(9)을 따라 이동하는 각 빔(10)에는 그 길이 방향, 즉 X방향으로 X축 구동 모터(13)에 의해 이동하는 장착 헤드(6)가 형성되고, 이 장착 헤드(6)에는 복수개의 부품 인출구인 흡착 노즐(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헤드(6)에는 상기 흡착 노즐(7)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축 구동 모터(14)가 탑재되고, 또한 연직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θ축 구동 모터(15)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헤드(6)의 흡착 노즐(7)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연직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Each of the
4는 프린트 기판(P)의 위치 인식을 위한 기판 인식 카메라이며, 상기 장착 헤드(6)에 고정되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P)에 부착된 위치 결정 마크를 촬상한다. 12는 부품 인식 카메라이며, 전자 부품이 흡착 노즐(7)에 대해서 어느 정도 위치가 어긋나서 흡착 유지되어 있는지 XY방향 및 회전 각도에 대해서 위치 인식하기 위해서 전자 부품을 촬상한다.
수납 테이프(CX)의 사시도인 도 2에 의거하여 수납 테이프(CX)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수납 테이프(CX)는 캐리어 테이프(Ca)에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수납 오목부(Cb) 내에 전자 부품(300)을 수납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Cb)를 덮도록 커버 테이프(Cc)가 캐리어 테이프(Ca) 상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Ca)에는 소정 간격마다 이송 구멍(Cd)이 형성되어 있다.The storage tape CX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tape CX. Fig. The storage tape CX accommodates the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Cc)의 접착부(수납 오목부(Cb)의 좌우에 커버 테이프(Cc)를 융착해서 고정하고 있는 부분이며, 이하 융착부라고 한다)(301, 302)는 장전되는 전자 부품의 사이즈에 따라서 그 위치가 다르다. 즉, 이 도 3(A)(도 3의 좌측부) 및 도 3(B)(도 3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수납 테이프(CX)는 모두 8㎜ 폭의 종이 테이프의 것이지만, 도 3(A)는 대부품용의 수납 테이프(CX)이며, 상기 수납 오목부(Cb)도 크므로 진행 방향을 따라 도포된 융착부(301, 302)도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도 3(B)는 소부품용의 수납 테이프(CX)이며, 상기 수납 오목부(Cb)도 작으므로 융착부(301, 302)도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3, the bonding portions of the cover tape Cc (portions where the cover tape Cc is fus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housing concave portion Cb and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used portions) 301 and 302,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loaded. That is, the storage tape CX shown in Fig. 3A (left portion in Fig. 3) and Fig. 3B (right portion in Fig. 3) The fused
이어서,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개략 측면도인 도 4 및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개략 평면도인 도 5에 의거하여 피더 베이스 상에 병설되는 부품 공급 유닛(5)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부품 공급 유닛(5)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수납 테이프 릴에 권취한 상태의 수납 테이프(CX)를 안내 통로를 통해 도입하는 테이프 도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4, which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이 테이프 도입 기구는 테이프 도입 구동원으로서 그 출력축(16)에 기어(18)를 구비한 도입 모터인 DC 모터(17)와, 상기 기어(18)와 맞물리는 기어(19)가 형성된 회전축(20)의 중간부에 형성된 웜 기어(21)와 맞물리는 웜 휠(22)을 구비함과 아울러 테이프 압박 부재(24)에 상방으로부터 압박된 수납 테이프(CX)에 형성한 이송 구멍(Cd)에 그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프 이송 톱니가 맞물려서 이 수납 테이프(CX)를 이송하는 제 1 스프로킷(23)으로 구성된다. 25는 제 1 검출 센서이며, 상기 부품 공급 유닛(5) 내에 도입된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는 센서이다.The tape introduction mechanism includes a
27은 제 2 스프로킷이며,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에 착탈 가능한 테이프 처리 유닛(28)으로의 수납 테이프(CX)의 공급 동작을 담당한다. 29는 제 3 스프로킷으로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커터(30)에 의해 상기 수납 테이프(CX)의 커버 테이프(Cc)를 절개하도록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32는 서보 모터이며, 그 출력축(33)에 형성된 풀리와 회전축(34)에 형성된 풀리 사이에는 벨트(35)가 걸쳐지고, 상기 서보 모터(32)가 정회전하면 출력축(33) 및 벨트(35)를 통해 회전축(34)이 회전한다.A
따라서, 상기 회전축(34)이 간헐 회전하면 이 회전축(34)의 중간부에 형성된 각 웜 기어(37, 38)와 맞물리는 웜 휠(39, 40)을 구비한 상기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이 각각 간헐 회전하는 것이 된다. 즉, 서프레서(43)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압박된 수납 테이프(CX)에 형성한 이송 구멍(Cd)에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프 이송 톱니가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34)이 회전하면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이 회전하게 되고, 수납 테이프(CX)를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44는 제 2 검출 센서이며, 도입된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으로의 수납 테이프(CX)의 장전시에 상기 제 1 스프로킷(23)으로부터 제 2 스프로킷(27)의 각 테이프 이송 톱니로의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의 감합시(속도차에 의한 환승)의 풍손(windage loss), 즉 바로 감합되지는 않고 미끄러지면서 곧 감합되는 것에 배려하여 수납 테이프(CX) 선단 위치의 파악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제 2 스프로킷(27)과 제 3 스프로킷(29) 사이에 제 2 검출 센서(44)을 배치하고,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검출을 했을 때에 감속하도록 하고나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 스프로킷(23)과 제 2 스프로킷(27)의 간격은 크기 때문에 수납 테이프(CX)의 각 이송 구멍(Cd)의 누적된 피치 오차에 의해 양쪽 스프로킷(23, 27)의 테이프 이송 톱니의 감합 동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 1 스프로킷(23)의 회전수는 제 2 스프로킷(27)의 회전수보다 약간 느린 저속 회전으로 한다. 또한,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송 구멍(Cd)의 변형을 적게 하기 위해서 제 1 스프로킷(23)의 테이프 이송 톱니 형상은 둥근 톱니 형상으로 한 형상을 채용해서 이송 구멍(Cd)을 초기 상태인 채로 변형시키지 않고, 전방의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으로 운반되도록 했다.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제 2 스프로킷(27)과 제 3 스프로킷(29)은 최대한 가까이 배치하여 누적 피치 오차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스판으로 함과 아울러 테이프 처리 시퀀스에서 필요한 가감속 컨트롤, 속도 제어, 토크 제어가 담당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서보 모터(32)를 채용함과 아울러 동일 구동원에 의한 동작으로 했다.The
이어서, 소부품용의 후술하는 형식 「W8S」의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 대해서 도 6~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품 공급 유닛(5)에는 수납 테이프(CX)를 반송하는 안내 슈트(50)가 유닛 본체(5A)에 고정 볼트(2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안내 슈트(50) 상을 슬라이딩해서 반송되는 수납 테이프(CX)를 이 안내 슈트(50)에 상방으로부터 상시 압박해서 수납 테이프(CX)의 이송시에 수납 테이프(CX)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의 테이프 이송 톱니로부터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이 빠져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서프레서(43)가 작용한다.Next, the
또한, 상기 고정 볼트(26)에 의한 상기 안내 슈트(50)의 유닛 본체(5A)로의 고정은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상면에 개설된 관통 구멍(41)을 통해서나 또는 상기 서프레서(43)에 개설된 관통 구멍(42) 및 상기 관통 구멍(41)을 통해 공구를 삽입해서 상기 고정 볼트(26)의 헤드부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The fixing of the
여기에서, 상기 서프레서(4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서프레서(43)는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상면(43A)에는 부착용 개구(52)가 개설되고, 이 부착용 개구(52) 내에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 상면의 일부인 볼록부(28A)가 하방으로부터 감입된 상태로 부착된다.Here, the
이 경우, 부착용 개구(52)를 피한 상기 서프레서(43)의 상면(43A)에는 위치 결정용 개구(54) 및 부착 구멍(55)이 2개씩 개설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상면에 형성된 각 위치 결정용 볼록부(56)를 상기 서프레서(43)의 상면의 각 위치 결정용 개구(54)에 감합해서 위치 결정한 상태로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56)의 부근에 개설된 각 비스 구멍(57)과 각 부착 구멍(55)이 합치되어서 각 고정 비스(58)가 각 부착 구멍(55)을 관통한 상태로 각 비스 구멍(57)에 나사 결합해서 상기 서프레서(43)에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4, 도 5 참조).In this case, two positioning
또한, 상기 서프레서(43)의 양측면(43B, 43C) 사이(도 19 참조)에는 지지 핀(60)이 양측면(43B, 43C)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이 지지 핀(60)과 상기 안내 슈트(50)의 수평면(50A)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50B) 사이에는 스프링(61)이 배치되고, 이 스프링(61)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상기 안내 슈트(50) 상의 수납 테이프(CX)를 이 안내 슈트(50)에 상방으로부터 상시 압박해서 상기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의 테이프 이송 톱니로부터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A
또한, 상기 고정 비스(58)의 상기 비스 구멍(57)으로의 나사 결합을 해제해서 이 고정 비스(58)를 부착 구멍(55)으로부터 빼고, 상기 스프링(61)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상기 서프레서(4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상기 부착용 개구(52)로부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 상면의 볼록부가 해제되게 되고, 상기 서프레서(43)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인출되면서 분리할 수 있다.The fixing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개구(63)가 개설되고, 공급된 수납 테이프(CX)의 커버 테이프(Cc)를 진행 방향을 따라 그 진행에 따라서 순차 절개하는 날이 형성된 커터(30)를 상기 개구(63)를 통해 볼 수 있다(도 6, 도 9 참조). 그리고, 이 수납 테이프(CX)의 진행에 따라서 커버 테이프(Cc)는 순차 절개된다(도 9 및 도 10). 테이프 처리 유닛(28)에서의 커버 테이프 절개부의 하류측의 부분에는 중앙의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부(283)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83)는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도 7의 D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인 도 11을 참조하면 지면의 표면측부터 이면측으로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An
이하, 안내부(283)에 대해서 도 11, 이 도 11의 요부의 개략도인 도 12, 또한 도 12를 확대한 개략도인 도 13 및 안내부(283)의 개략 저면도인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안내부(283)에는 커버 테이프(Cc) 중 절개된 좌우의 커버 테이프(C1, C2)의 단부를 상방으로 열면서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64)이 반송 방향을 향해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283)의 하부의 좌우 양쪽 코너에는 모서리를 직각으로 노치해서 형성된 상하 2단의 노치(단차)(284, 285)와 노치(단차)(286, 287)가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진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의 좌우의 노치(284)와 노치(285)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된 테이프 압박부(288)가 형성되어 있다.Hereinafter, the
하단의 노치(284, 285)는 수평한 좌우의 상면(311, 312)과,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의 수직인 측면(313, 314)을 갖고 있다. 또한, 상단의 노치(286, 287)는 수평한 좌우의 상면(315, 316)과,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에 형성된 좌우의 수직인 측면(317, 318)을 갖고 있다.The
그리고, 하단의 노치(284, 285)의 간격, 즉 테이프 압박부(288)의 폭(L1)(도 12에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은 전자 부품(300)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Cb)의 폭(L2)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의 세로의 치수(L6)(도 11에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1㎜이며, 수납 오목부(Cb)의 세로의 치수가 1.3㎜일 때에는 하단의 노치(284, 285)의 간격(L1)은 수납 테이프(CX)를 보낼 때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긋남을 고려해서 수납 오목부(Cb)의 세로의 치수인 1.3㎜보다 약간 큰 1.5㎜이다.The interval L1 between the
또한, 수납 테이프(CX)에서의 수납 오목부(Cb)의 양측에는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으로 커버 테이프(C1, C2)와 캐리어 테이프(Ca)를 접속하는 부분인 융착부(301, 302)가 병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융착부(301) 및 융착부(302)는 수납 오목부(C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커버 테이프(C1, C2)가 절개될 때까지의 커버 테이프에 의한 수납 오목부(Cb) 내의 전자 부품(300)의 압박(폭주 방지)을 위해서는 최대한 수납 오목부(Cb)에 가까운 쪽이 좋다. 또한, 융착부(301) 및 융착부(302)가 안내부(28) 하방에 위치하면, 융착부(301) 및 융착부(302)와 함께 커버 테이프(C1)가 안내부(28)와 캐리어 테이프(Ca) 사이에 입절되어 커버 테이프의 절개의 장해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안내부(283)의 좌우 하단의 폭(L3)은 융착부(301)와 융착부(302)의 간격(L4)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oncave portion Cb in the storage tape CX are fused
또한, 좌우의 노치(284) 및 노치(285)의 높이(L5)는, 예를 들면 노치(284, 285) 내에서 커버 테이프(C1) 또는 커버 테이프(C2)가 절곡되었을 때의 두께(커버 테이프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큰 치수이다. 즉, 커버 테이프(C2)의 두께가, 예를 들면 0.07㎜일 때에는 높이(L5)는 커버 테이프(C2)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큰 0.15㎜이다. 또한, 노치(284) 및 노치(285) 상에 형성된 노치(286) 및 노치(287)의 높이는 노치(284) 및 노치(285)의 높이(L5)와 대략 같다.The height L5 of the
여기에서, 노치(284 및 285)의 높이가 높고, 또한 융착부(301) 및 융착부(302)의 간격이 크면 융착부(301) 또는 융착부(302)로부터 연장된 커버 테이프(C1 또는 C2)가 안내면(64) 또는 노치(284) 또는 노치(285)의 측면(313) 또는 측면(314)으로 쓰러져 접힐 우려가 있고, 또한 노치(284 및 285)의 높이가 낮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C1 또는 C2)의 높이의 2배보다 작으면 절곡된 커버 테이프(C1 또는 C2)의 압력으로 테이프 처리 유닛(28)을 들어올려 수납부(Cb) 상에 돌출되거나 또는 수납 테이프(CX)의 이송의 마찰이 커져 이송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노치(284 및 285)의 높이는 커버 테이프(C2)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높은 높이로 억제되어 있다.Here, if the height of the
또한, 상단의 노치(286)와 노치(287)의 간격(L7)은 테이프 압박부(288)의 폭(L1), 즉 하단의 노치(284)와 노치(285)의 간격(L1)보다 크고, 융착부(301) 및 융착부(302)는 통상 상단의 노치(286) 및 노치(28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gap L7 between the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전자 부품(300)보다 큰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을 갖는 부품 인출 개구(65)가 안내면(64)을 따라 형성되고(도 6 및 도 15 참조), 개구(65)에서의 수납 테이프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전자 부품(300)의 폭보다 넓다. 그리고, 부품 인출 개구(65)는 수납 오목부(Cb) 내에 수납된 전자 부품(300)의 폭보다 넓고,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에 있어서 장착 헤드(6)에 형성된 흡착 노즐(7)이 부품 인출 개구(65)를 통해 수납 오목부(Cb) 내의 전자 부품(300)을 흡착해서 인출할 수 있다.The
부품 인출 개구(65)가 형성된 부위 및 부품 인출 개구(65)보다 진행 방향의 앞에는 좌우에 안내면(64)이 형성되고(도 15 참조), 곧 이 안내면(64)은 형성되지 않는다(도 12~도 19 참조). 또한, 부품 인출 개구(65)가 형성된 부위에는 도 15에 파선(331, 33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의 노치(286) 및 노치(287)의 높이(L8)가 높으면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된 커버 테이프(C1 및 C2)가 융착부(301, 302)로부터 내측으로 쓰러지기 쉬워진다. 이 결과, 쓰러졌을 때 커버 테이프(C1 및 C2)가 부품 인출 개구(65)의 상방의 일부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들어갔을 경우에는 부품 인출의 방해가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의 노치(286) 및 노치(287)의 높이는 하단의 노치(284) 및 노치(285)의 높이의, 예를 들면 2배 정도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또한,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종별 판별용의 정보 식별부(66)가 형성되고, 이 정보 식별부(66)는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작업자 식별용의 정보 식별부(67)와,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정보 식별부(68)로 구성된다. 작업자 식별용의 정보 식별부(67)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봐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그 형식, 예를 들면 「W8S」 등이 각인되어 있다. 또한,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정보 식별부(68)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도트를 사용한 2값화 정보(비트)로, 즉 검은 점의 인자가 0~15까지의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종류)을 식별할 수 있도록 그 형식, 예를 들면 도 16의 최좌측부는 「W8S」, 그 우측 이웃은 「W8M」, 그 우측 이웃은 「W8L」, 최우측부는 「W8LL」이라는 종류를 알 수 있도록 붙어 있다.A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식별부(68)는 4개의 도트를 사용한 2값화 정보(비트)이었지만, 직접 문자 인식할 수 있는 것이나 바코드 정보(1차원 또는 2차원)를 부착하거나 또는 메모리 태그, 뮤 칩 등의 기록 매체를 삽입해도 좋다. 이들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 정보의 이외에 유니크한 관리 코드도 정보에 추가해서 개개의 관리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과 대상 전자 부품의 관계표(기억 장치(89)에 저장되어 있다)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식 「W8S」는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0402~0603」이며,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40~0.6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20~0.30㎜이며, 형식 「W8M」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1005~1608」이며,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61~1.6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며, 형식 「W8L」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1608~2012」이며,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1.61~2.1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며, 형식 「W8LL」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2012~3225」이며,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2.11~4.3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다. 즉, 예를 들면 형식 「W8S」는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40~0.60㎜의 범위 내에서 Y방향의 치수가 0.20~0.30㎜의 범위 내의 전자 부품을 취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21, which is a relationship table of the
이어서, 도 22의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제어 블록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에는 본 장착 장치(1)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 수단, 판정 수단, 실행 수단, 명령 수단 등으로서의 제어 장치(70)와, 상기 제어 장치(70)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는 기억 장치(7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70)는 상기 기억 장치(71)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부품 장착 동작에 관계되는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Next,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즉, 제어 장치(70)는 인터페이스(74) 및 구동 회로(77)를 통해 상기 Y축 구동 모터(11), X축 구동 모터(13), 상하축 구동 모터(14) 및 상기 θ축 구동 모터(15) 등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부품 공급 유닛(5)을 제어한다. 이 도 2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개 있는 것이어도, 예를 들면 장착 헤드(6), 부품 공급 유닛(5) 등은 1개로 해서 생략하고 있다.That is, the control device 70 controls the Y-
상기 기억 장치(71)에는 부품 장착에 의한 프린트 기판(P)의 종류마다 장착 데이터(도 24 참조)가 기억되어 있고, 그 장착 순서마다(스텝 번호마다) 프린트 기판(P) 내에서의 X방향(X로 나타낸다), Y방향(Y로 나타낸다) 및 각도(Z로 나타낸다) 정보나 각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24) is stored for each kind of the printed board P by mounting the components in the
또한, 상기 기억 장치(71)에는 각 프린트 기판(P)의 종류마다 상기 각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에 대응한 각 전자 부품의 종류(부품 ID)의 정보, 즉 부품 배치 정보(도 25 참조)가 저장되어 있고, 이 부품 배치 정보는 상기 카트대 상의 어느 위치에 어느 부품 공급 유닛(5)을 탑재할 것인가에 관계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이 부품 ID마다 전자 부품의 X방향 및 Y방향의 치수 등의 전자 부품의 특징 등에 관한 부품 라이브러리 데이터(도 26 참조)가 저장되어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type (component ID) of each electronic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number (lane number) of each
73은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70)에 접속되는 인식 처리 장치이며, 상기 부품 인식 카메라(12)에 의해 촬상해서 도입된 화상이나 상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의해 촬상해서 도입된 화상의 인식 처리가 상기 인식 처리 장치(73)에 의해 행해지고, 제어 장치(70)에 처리 결과가 송출된다. 즉, 제어 장치(70)는 부품 인식 카메라(12)에 촬상된 화상이나 상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촬상된 화상을 인식 처리(위치 어긋남량의 산출 등)하도록 지시를 인식 처리 장치(73)에 출력함과 아울러 인식 처리 결과를 인식 처리 장치(73)로부터 받는 것이다.
75는 부품 화상이나 각종 데이터 설정을 위한 화면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이며, 이 모니터(75)에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여러 가지의 터치 패널 스위치(76)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터치 패널 스위치(76)를 조작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 모터(17) 및 상기 서보 모터(32)에 의해 수납 테이프(CX)를 도입하여 간헐 이송하는 부품 공급 유닛(5)은 제어 장치(79)와 기억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82는 각각 인터페이스(81)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79)에 접속되는 구동 회로이며,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를 구동 회로(82)를 통해 제어한다. 이 부품 공급 유닛(5)에 형성되는 제어 장치(79)는 인터페이스(81 및 74)를 통해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에 형성되는 제어 장치(70)에 접속된다.The
또한,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파수(46)의 상면에는 조작 패널(78)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78)에는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과, 이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의 좌측부 압박마다 1개씩 레인 번호를 증가시켜서 표시함과 아울러 우측부 압박마다 1개씩 레인 번호를 감소시켜서 표시하는 표시부(78B)와, 이송 버튼(78C)과 리턴 버튼(78D), 로딩 버튼(78E)이 형성되어 있다(도 23 참조).4 and 5, an
따라서,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을 상술한 피더 베이스 상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부착할 때에 표시부(78B)를 보면서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를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의 압박 조작에 의거하여 선택(변경)할 수 있다. 그 선택된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는 기억 장치(89, 70)에 재기록되어 기억되게 된다.Therefore, when separating or attaching the
이어서, 부품 공급 유닛(5)에 수납 테이프(CX)를 장전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 압박 부재(24)(도 4 참조)를 분리해서 수납 테이프(CX) 선단부를 상기 안내 통로 상에 적재하고, 제 1 스프로킷(23)의 테이프 이송 톱니를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에 감합시킨 후에 테이프 압박 부재(24)를 세팅한다.Next, an operation of loading the storage tape CX in the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 패널(78)의 로딩 버튼(78E)을 압박 조작하면 제어 장치(79)는 상기 제 1 검출 센서(25) 및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DC 모터(17)를 타이머(45)에 의한 소정 시간만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수납 테이프(CX)는 제 1 스프로킷(23)의 회전에 의해 부품 공급 유닛(5) 내 안쪽으로 순차 삽입된다.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그리고, 이 삽입에 따라 타이머(45)에 의한 소정 시간을 계시하면 상기 DC 모터(17)의 구동을 정지하고, 제 1 검출 센서(25)가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을 검출하면 상기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의 구동을 개시시켜서 제 1 스프로킷(23),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에 의해 수납 테이프(CX)가 전방으로 이동된다.When the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이송량을 따라 이동 동작을 계속하고, 이 이동중에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을 검출하면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의 구동을 정지시켜 서보 모터(32)를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킨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미리 설정된 이송량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 선단을 검출할 수 없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를 비정상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When the
계속해서, 서보 모터(32)에 의해 상술한 감속하고 나서 정지할 때의 수납 테이프(CX)의 오버런량을 감안하여 최소 피치 이송에 의한 역전 동작을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이 제 2 검출 센서(44)가 검지하지 않게 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를 확정한다. 즉, 서보 모터(32)의 최소 피치의 역전 동작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를 확정한다.Subsequently, taking the overrun amount of the storage tape CX at the time of deceleration and stop by the
또한, 제 1 스프로킷(23)은 원 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어서 역전은 하지 않지만, 리턴량이 미소한 점, 제 1 스프로킷(23)의 톱니 높이가 낮은 점으로부터 제 2 스프로킷(27)의 이송 톱니에 감합한 수납 테이프(CX)는 서보 모터(32)의 추력에 의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나온다.The
그리고, 소정량의 1회 이송 동작으로 수납 테이프(CX)의 선단부를 커터(30)의 날의 직전 위치까지 고속으로 이송하도록 서보 모터(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의 확정에 의해 커터(30)의 날의 직전 위치까지 설계 치수에 따라 수납 테이프(CX)를 고속으로 송입한다.Then, the drive of the
그 후 커버 테이프(Cc)의 커터(30)에 의한 절개 존에 수납 테이프(CX)를 삽입하고, 커버 테이프(Cc)의 절개를 행한다. 이 경우, 커버 테이프(Cc)를 캐리어 테이프(Ca)로부터 박리하는 것은 아니고,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절개하도록 상방을 향해서 열기 때문에 초저속도 또는 초저가속도로 소정량의 1회 이송을 행한다.Thereafter, the storage tape CX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zone by the
이와 같이 커버 테이프(Cc)가 커터(30)에 의해 절개되지만, 수납 테이프(CX)가, 예를 들면 수납 테이프(CX)의 반송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긋나서 치우쳤을 경우에 대해서 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도 12 및 13에 의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Even when the cover tape Cc is cut by the
도 16은 수납 테이프(CX)가 반송 방향의 왼쪽으로 치우쳤을 경우이며, 이 치우침에 의해 우측의 융착부(302)의 내측의 일부는 상단의 노치(287)의 측면(318)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C2)는 절곡되고, 융착부(302)와 함께 캐리어 테이프(Ca)와 안내부(283)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하단의 좌우의 노치(284) 및 노치(285)의 높이는 노치(284, 285) 내에서 커버 테이프(C1) 또는 커버 테이프(C2)가 절곡되었을 때의 두께(커버 테이프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큰 치수이므로 절곡된 커버 테이프(C2)와 융착부(302)는 캐리어 테이프(Ca)와 상면(312) 사이의 노치(285) 내에 들어간다. 이 결과, 커버 테이프(Ca)는 스무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Ca)가 이동할 때에 커버 테이프(Ca)의 절곡된 부분과 안내부(283)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커지고, 커버 테이프(Ca)의 이송이 저해되거나 또는 커버 테이프(Ca)가 안내면(6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커버 테이프(Ca)의 좌우를 확실하게 끝까지 열 수 있다.16 shows a case where the storage tape CX is shifted to the left in the carrying direction and a part of the inside of the fused
또한, 도 17은 수납 테이프(CX)의 좌우의 융착부(301)와 융착부(302)의 간격이 좌우의 노치(286)와 노치(287)의 간격보다 작고, 커버 테이프(C1, C2)의 내측의 일부가 상단의 노치(286, 287)의 측면(317, 318)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C1, C2)는 절곡되고, 융착부(301, 302)와 함께 캐리어 테이프(Ca)와 안내부(283)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하단의 노치(284, 28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곡된 커버 테이프(C1, C2)와 융착부(301, 302)는 캐리어 테이프(Ca)와 상면(311, 312) 사이의 하단의 노치(284, 285) 내에 들어간다. 이 결과, 커버 테이프(Ca)는 스무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Ca)가 이동할 때에 커버 테이프(Ca)의 절곡된 부분과 안내부(283)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커버 테이프(Ca)의 이동이 저해되거나 또는 커버 테이프(Ca)가 안내면(6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커버 테이프(Ca)를 좌우로 확실하게 끝까지 열 수 있다.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fused
또한, 안내부(283)의 하부에는 하단의 노치(284, 285) 상에 간격(L7)이 큰 상단의 노치(286, 28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커버 테이프(C1)의 절곡된 부분(C11)이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안내면(64)을 따라 점차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1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면(6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단의 노치(286)에 도달했을 때에는 절곡된 부분(C11)은 노치(286)의 수직인 측면(317)에 있어서 지지된다. 이 결과, 절곡된 부분(C11)이 하방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수직인 측면(317)에 의해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테이프(CX)의 선단부의 수납 오목부(Cb)의 위치를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에 큐잉하기 위한 피치 이송 동작을 소정 횟수 행한다. 이 경우, 앞의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 확정의 위치로부터의 누계 이송량(제 2 스프로킷(27)의 테이프 이송 톱니의 이송 구멍(Cd)으로의 감합에 의한 서보 모터(32)의 구동 관리량)에 따라 이송 피치에 따른 수납 오목부(Cb)의 위치를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로 운반하기 위한 소정 이송 동작을 실시한다.Then, a pitch feeding operation for queuing the position of the housing concave portion Cb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storage tape CX to the component suction drawing out position PU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e of the
이 수납 오목부(Cb)의 위치의 자동 맞춤은 수납 테이프(CX) 선단의 이송 구멍(Cd) 기준에 따른 절단 위치를 바탕으로 테이핑 규격에 준한 수납 오목부(Cb)의 위치 관계로부터 이송량을 컨트롤해서 행한다.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Cb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Cb in accordance with the taping standard on the basis of the cutting position along the reference of the feeding hole Cd at the tip of the storing tape CX .
그리고, 제어 장치(70)는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전자 부품을 이 부품 공급 유닛(5)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인출한 후, 흡착 노즐(7)에 흡착 유지된 전자 부품을 부품 인식 카메라(12)가 촬상해서 인식 처리 장치(73)가 이 촬상 화상을 인식 처리함과 아울러 필요한 보정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프린트 기판(P)으로의 전자 부품의 장착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의해 프린트 기판(P)에 부착된 위치 결정 마크를 촬상하고, 인식 처리 장치(73)가 이 촬상 화상을 인식 처리하고, 이 인식 결과도 가미해서 상술한 보정 동작을 행하고, 전자 부품의 장착 동작을 행한다.The control device 70 controls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rawn out from the
이어서, 장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 프린트 기판(P) 상에 다른 장착하는 전자 부품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장착해야 할 전자 부품이 없어질 때까지 이하 마찬가지로 반복한다.Subsequently, on the basis of the mounting data,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re is another electronic component to be mounted on the printed board P. If there is another electronic component to be mounted, the same is repeated until there is no other electronic component to be mounted.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의 노치(284, 285) 상에 상단의 노치(286, 287)가 형성된 안내부(283)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단의 노치(286, 287)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단의 노치(284, 285)만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에 있어서도 상술한 안내부(283)와 마찬가지로 하단의 노치(284, 285)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커버 테이프(C1, C2)가 절곡되었을 때이어도 절곡된 부분은 노치(284, 285) 내에 들어가고, 커버 테이프(Ca)는 스무드하게 이동하여 커버 테이프(Ca)가 안내면(64)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커버 테이프(Ca)를 확실하게 끝까지 열 수 있다.Although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설명에 의거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lternative " or " modified "
1 : 전자 부품 장착 장치 5 : 부품 공급 유닛
28 : 테이프 처리 유닛 30 : 커터
43 : 서프레서 55 : 부착 구멍
56 : 위치 결정용 볼록부 64 : 안내면
65 : 부품 인출구 283 : 안내부
284, 285 : 하단의 노치(단차) 286, 287 : 상단의 노치(단차)1: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5: Component supply unit
28: tape processing unit 30: cutter
43: Suppressor 55: Mounting hole
56: positioning projection 64: guide surface
65: component outlet port 283:
284, 285: notches at the bottom (steps) 286, 287: notches at the top (step)
Claims (5)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이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 절단하는 커터와, 이 커터에 의해 절단된 상기 커버 테이프를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 순차 절개하도록 안내하는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이 측면에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커버 테이프가 절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출 위치로 공급된 상기 수납부 내의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개설된 인출용 개구와, 상기 안내부의 하부의 좌우 코너에 수납 테이프의 반송 방향에 형성된 좌우의 노치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유닛.The component feeding unit intermittently supplies the electronic component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of the storage tape to the component withdrawing position by the rotation of the sprocket while the transfer gear is engaged with the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torage tape,
A cutter for sequentially cutting the cover tape covering the storage portion of the storage tape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torage tape and guiding the cover tape cut by the cutter to sequentially cut along the progress of the storage tape A lead-out opening formed for withdraw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storage portion supplied to the component withdraw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tape is cut off from the component, And a tape processing unit having left and right notches formed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storage tape at right and left corner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은 상기 수납 테이프에 형성되어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notches is formed on the storage tape and is slightly larger than a width of a housing recess for housing the electronic component.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양측에 수납 테이프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커버 테이프와 캐리어 테이프의 접속부가 병행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은 각각의 상기 접속부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수납부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유닛.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over tape and the carrier tape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storage tap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portion of the carrier tape on which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A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좌우의 노치의 높이는 상기 커버 테이프의 두께의 2배보다 약간 크고, 접힌 상기 커버 테이프를 허용하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notches is slightly larger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cover tape and is a height allowing the folded cover tape.
상기 좌우의 노치 상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그 간격이 상기 좌우의 노치의 간격보다 큰 상단의 좌우의 노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유닛.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left and a right notch formed continuously on the left and right notches and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notches by an interval lar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left and right notc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77246 | 2012-12-19 | ||
JPJP-P-2012-277246 | 2012-12-19 | ||
PCT/JP2013/083193 WO2014097944A1 (en) | 2012-12-19 | 2013-12-11 | Component supply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0295A true KR20150070295A (en) | 2015-06-24 |
KR101690581B1 KR101690581B1 (en) | 2016-12-28 |
Family
ID=5097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2540A Active KR101690581B1 (en) | 2012-12-19 | 2013-12-11 | Part supply uni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78557B2 (en) |
KR (1) | KR101690581B1 (en) |
CN (1) | CN104871660B (en) |
WO (1) | WO201409794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7007806T5 (en) * | 2017-08-01 | 2020-06-10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US11388850B2 (en) | 2017-08-01 | 2022-07-12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Processing method for tip end of tape |
GB2588643B (en) * | 2019-10-30 | 2024-02-07 | Jjs Application Tech Ltd | Adhesive tape dispenser hea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2196A (en) * | 1990-05-17 | 1992-01-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upply device of electronic parts |
JP2010147223A (en) | 2008-12-18 | 2010-07-01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device for supplying component |
KR20100087663A (en) * | 2009-01-27 | 2010-08-05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하이테크 인스트루먼츠 | Component feeder |
JP2011204961A (en) * | 2010-03-26 | 2011-10-13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and mounting device |
JP2012009579A (en) * | 2010-06-24 | 2012-01-12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Component attachment device, and component fee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55182A (en) * | 2010-01-28 | 2011-08-11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Feeder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er |
JP5761941B2 (en) * | 2010-08-03 | 2015-08-12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feeder |
JP5445484B2 (en) * | 2011-02-08 | 2014-03-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Tape feeder and tape loading method in tape feeder |
-
2013
- 2013-12-11 JP JP2014553093A patent/JP6078557B2/en active Active
- 2013-12-11 KR KR1020157012540A patent/KR101690581B1/en active Active
- 2013-12-11 CN CN201380066666.0A patent/CN104871660B/en active Active
- 2013-12-11 WO PCT/JP2013/083193 patent/WO20140979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2196A (en) * | 1990-05-17 | 1992-01-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upply device of electronic parts |
JP2010147223A (en) | 2008-12-18 | 2010-07-01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device for supplying component |
KR20100087663A (en) * | 2009-01-27 | 2010-08-05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하이테크 인스트루먼츠 | Component feeder |
JP2011204961A (en) * | 2010-03-26 | 2011-10-13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and mounting device |
JP2012009579A (en) * | 2010-06-24 | 2012-01-12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Component attachment device, and component fee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0581B1 (en) | 2016-12-28 |
JP6078557B2 (en) | 2017-02-08 |
CN104871660B (en) | 2017-11-24 |
CN104871660A (en) | 2015-08-26 |
JPWO2014097944A1 (en) | 2017-01-12 |
WO2014097944A1 (en) | 201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1073B1 (en) |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 |
KR101238962B1 (en) | Electronic part mounting device | |
EP2211600B1 (en) | Component feeder | |
JP6681344B2 (en) | Feeder device | |
KR101730897B1 (en) | Feeder, feed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
EP2273864B1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
EP2903405B1 (en) | Component supply unit | |
WO2014002912A1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JP5487022B2 (en) |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component supply device | |
KR101690581B1 (en) | Part supply unit | |
JP5913048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
JP5913037B2 (en) | Parts supply unit | |
JP6402156B2 (en) | Feeder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
JP5981787B2 (en) | Component supply unit,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
JP6219427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therefor | |
JP6780898B2 (en) | Feeder device | |
JP6486434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therefor | |
JP6956431B2 (en) | Feed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