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761A -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인간 Dlk-1 항체 - Google Patents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인간 Dlk-1 항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0761A KR20150060761A KR1020157009420A KR20157009420A KR20150060761A KR 20150060761 A KR20150060761 A KR 20150060761A KR 1020157009420 A KR1020157009420 A KR 1020157009420A KR 20157009420 A KR20157009420 A KR 20157009420A KR 20150060761 A KR20150060761 A KR 20150060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
- val
- thr
- gly
- leu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92—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localized on the membrane of tumor or cancer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CDR 배열 (밑줄친 배열) 은 Kabat 들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s, Fif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BA-1-3D VH 의 CDR1 (DYAMH), CDR2 (VISTYYGNTNYNQKFKG) 및 CDR3 (GGLREYYYAMDY) 의 아미노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16 ∼ 18 에 나타낸다.
도 2 는 마우스 항 hDlk-1 모노클로날 항체 클론 BA-1-3D 의 L 사슬 (경사슬) 가변 영역 (VL) 의 cDNA 염기 배열 (배열 번호 19) 과 추정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20)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미노산 잔기는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시그널 펩티드 (당해 추정 아미노산 배열의 N 말단으로부터 20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는 이탤릭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중 밑줄을 그은 아스파르트산 (D) 은 BA-1-3D VL 의 성숙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BA-1-3D VL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21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22 에 나타낸다. CDR 배열 (밑줄친 배열) 은 Kabat 들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s, Fif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BA-1-3D VL 의 CDR1 (KSSQSLLNSSNQKNYLA), CDR2 (FASTRES) 및 CDR3 (QQHYSTPPT) 의 아미노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23 ∼ 25 에 나타낸다.
도 3 은 SpeI 사이트 (ACTAGT ; 밑줄) 와 HindIII 사이트 (AAGCTT ; 밑줄) 로 끼워지는 형태로 디자인된 BA-1-3D VH 유전자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26) 과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다. 염기 배열의 이탤릭체로 나타낸 배열 (HindIII 사이트를 포함하는 3' 말단측의 22 염기) 은 인트론 배열을 나타낸다. 그 이외는 도 1 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4 는 NheI 사이트 (GCTAGC ; 밑줄) 와 EcoRI 사이트 (GAATTC ; 밑줄) 로 끼워지는 형태로 디자인된 BA-1-3D VL 유전자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27) 과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다. 염기 배열의 이탤릭체로 나타낸 배열 (EcoRI 사이트를 포함하는 3' 말단측의 22 염기) 은 인트론 배열을 나타낸다. 그 이외는 도 2 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5 는 키메라 및 인간형화 BA-1-3D IgGa/κ 항체의 발현 벡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발현 벡터는, SalI 에 의한 제한 효소 부위를 선두로, 시계 방향으로 인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CMV) 주요 최초기 프로모터/인핸서 (CMV 프로모터) 에 의해 항체의 H 사슬의 전사를 개시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한다. CMV 프로모터에 이어, VH 액슨, CH1, 힌지, CH2, CH3 액슨, 및 그들 액슨 간에 개재되는 인트론의 순서로 늘어서고, CH3 액슨의 뒤에 폴리아데닐레이션 배열을 연결했다. H 사슬 유전자 배열에 이어서, L 사슬의 전사 유닛으로서 CMV 프로모터, VL 액슨, 인트론 배열의 일부에 이어 인간 κ 사슬 정상 영역의 액슨 (CL), 폴리아데닐레이션 배열을 연결했다. L 사슬 유전자에 이어 SV40 어얼리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대장균의 xanthine 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유전자 (gpt), SV40 폴리아데닐레이션 부위 (SV40 poly (A) site) 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대장균의 복제 기점 (pUC ori) 과 β 락타마제 유전자 (beta lactamase) 를 포함한 pUC19 플라스미드의 배열의 일부를 연결했다.
도 6 은 BA-1-3D VH, 2 종류의 인간형화 BA-1-3D VH (HuBA-1-3D VH1 및 HuBA-1-3D VH2), 그리고 억셉터인 U00503 VH 의 아미노산 배열의 얼라이먼트를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배열의 상부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번호는 Kabat 들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BA-1-3D VH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밑줄은 Kabat 들 (1991) 의 정의에 의한 CDR 배열을 나타낸다 (DYAMH, VISTYYGNTNYNQKFKG, GGLREYYYAMDY). HuBA-1-3D VH1 과 HuBA-1-3D VH2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밑줄은 대응하는 마우스 BA-1-3D VH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아미노산을 유지한 아미노산 잔기로서, CDR 의 구조의 형성에 중요하다고 추찰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U00503 VH 의 CDR 배열의 표기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BA-1-3D VH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15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14), HuBA-1-3D VH1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35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4), HuBA-1-3D VH2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40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9), U00503 VH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29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28) 에 나타낸다.
도 7 은 BA-1-3D VL, 인간형화 BA-1-3D VL (HuBA-1-3D VL), 및 억셉터인 Z46622 VL 의 아미노산 배열의 얼라이먼트를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배열의 상부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번호는 Kabat 들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BA-1-3D VL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밑줄은 Kabat 들 (1991) 의 정의에 의한 CDR 배열을 나타낸다 (KSSQSLLNSSNQKNYLA, FASTRES, QQHYSTPPT). HuBA-1-3D VL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밑줄은 대응하는 마우스 BA-1-3D VL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아미노산을 유지한 아미노산 잔기로서, CDR 의 구조의 형성에 중요하다고 추찰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Z46622 VL 의 CDR 배열의 표기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BA-1-3D VL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22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21), HuBA-1-3D VL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45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44), Z46622 VL 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31 에 나타내고 (그것을 코드하는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0) 에 나타낸다.
도 8 은 SpeI 사이트 (ACTAGT ; 밑줄) 와 HindIII 사이트 (AAGCTT ; 밑줄) 로 끼워지는 형태로 디자인된 HuBA-1-3D VH1 유전자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36) 과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다. 염기 배열의 이탤릭체로 나타낸 배열 (HindIII 사이트를 포함하는 3' 말단측의 23 염기) 은 인트론 배열을 나타낸다.
HuBA-1-3D VH1 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2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33 에 나타낸다. 아미노산 잔기는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시그널 펩티드 (당해 추정 아미노산 배열의 N 말단으로부터 19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는 이탤릭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중 밑줄을 그은 글루타민 (Q) 은 HuBA-1-3D VH1 의 성숙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HuBA-1-3D VH1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4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35 에 나타낸다. CDR 배열 (밑줄 그은 배열) 은 Kabat 들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s, Fif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HuBA-1-3D VH1 의 CDR1 (DYAMH), CDR2 (VISTYYGNTNYNQKFKG) 및 CDR3 (GGLREYYYAMDY) 의 아미노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16 ∼ 18 에 나타낸다.
도 9 는 SpeI 사이트 (ACTAGT ; 밑줄) 와 HindIII 사이트 (AAGCTT ; 밑줄) 로 끼워지는 형태로 디자인된 HuBA-1-3D VH2 유전자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41) 과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다. 염기 배열의 이탤릭체로 나타낸 배열 (HindIII 사이트를 포함하는 3' 말단측의 23 염기) 은 인트론 배열을 나타낸다.
HuBA-1-3D VH2 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7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38 에 나타낸다. 아미노산 잔기는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시그널 펩티드 (당해 추정 아미노산 배열의 N 말단으로부터 19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는 이탤릭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중 밑줄을 그은 글루타민 (Q) 은 HuBA-1-3D VH2 의 성숙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HuBA-1-3D VH2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39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40 에 나타낸다. CDR 배열 (밑줄 그은 배열) 은 Kabat 들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s, Fif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HuBA-1-3D VH2 의 CDR1 (DYAMH), CDR2 (VISTYYGNTNYNQKFKG) 및 CDR3 (GGLREYYYAMDY) 의 아미노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16 ∼ 18 에 나타낸다.
도 10 은 NheI 사이트 (GCTAGC ; 밑줄) 와 EcoRI 사이트 (GAATTC ; 밑줄) 로 끼워지는 형태로 디자인된 HuBA-1-3D VL 유전자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46) 과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다. 염기 배열의 이탤릭체로 나타낸 배열 (EcoRI 사이트를 포함하는 3' 말단측의 23 염기) 은 인트론 배열을 나타낸다.
HuBA-1-3D VL 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42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43 에 나타낸다. 아미노산 잔기는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시그널 펩티드 (당해 추정 아미노산 배열의 N 말단으로부터 20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는 이탤릭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중 밑줄을 그은 아스파르트산 (D) 은 HuBA-1-3D VL 의 성숙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HuBA-1-3D VL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44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45 에 나타낸다. CDR 배열 (밑줄 그은 배열) 은 Kabat 들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s, Fif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 의 정의에 따랐다. HuBA-1-3D VL 의 CDR1 (KSSQSLLNSSNQKNYLA), CDR2 (FASTRES) 및 CDR3 (QQHYSTPPT) 의 아미노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23 ∼ 25 에 나타낸다.
도 11 은 본원 실시예 4 에 있어서의, H 사슬 및 L 사슬의 cDNA 의 PCR 증폭, 그리고 시퀀스 반응에 사용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CMV2, JNT026, JNT082, JNT097 및 JNT098) 의 염기 배열을 나타낸다. CMV2, JNT026, JNT082, JNT097 및 JNT098 의 염기 배열은, 각각 순서대로, 배열 번호 47 ∼ 51 에 나타낸다.
도 12 는 pChBA-1-3D 벡터의 H 사슬 (γ1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52)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53)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pChBA-1-3D 벡터의 L 사슬 (κ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54)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55)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 는 pHuBA-1-3D-1 벡터의 H 사슬 (γ1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56)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57)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 는 pHuBA-1-3D-2 벡터의 H 사슬 (γ1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58)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59)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도 16 은 pHuBA-1-3D-1 벡터, pHuBA-1-3D-2 벡터, pHuBA-1-3D-1-T73K 벡터, 및 pHuBA-1-3D-1-A24G/T73K 벡터의, L 사슬 (κ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60)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61) 을 나타낸다. 요컨대, HuBA-1-3D-1, HuBA-1-3D-2, HuBA-1-3D-1-T73K 및 HuBA-1-3D-1-A24G/T73K 의 각 항체의 L 사슬 (κ 사슬) 은 모두 동일한 염기 배열 및 아미노산 배열이다. 도면 중,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 은 정제한 각 항체의 SDS-PAGE 의 도면이다 (레인 1 : 분자량 마커 (SeeBluePlus2 Prestained Standard (Invitrogen)), 레인 2 : ChBA-1-3D, 레인 3 : HuBA-1-3D-1, 레인 4 : HuBA-1-3D-2, 레인 5 : HuBA-1-3D-1-T73K, 레인 6 : HuBA-1-3D-1-A24G/T73K). 각 항체 7.5 ㎍ 을 MES-SDS Running buffer (Invitrogen) 를 이용하여, 환원 조건하에서 NuPAGE Bis-Tris 4-20 % 겔로 전개한 결과이다. 도면의 좌측의 수치는 분자량을 나타낸다.
도 18 은 hDlk-1 세포 외 영역의 리콤비넌트 단백질 (hDlk-1-His) 의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1 ㎍/㎖ 의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로 코팅하고, hDlk-1-His 는 1 ㎍/㎖ 로부터 2 배씩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hDlk-1-His 의 결합은 HRP 표식의 항 His 태그 항체로 검출했다.
도 19 는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의 hDlk-1-His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0.5 ㎍/㎖ 의 hDlk-1-His 로 코팅하고, 피검항체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는 5 ㎍/㎖ 로부터 2 배씩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도면 중에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의 EC50 값을 나타냈다.
도 20 은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의 hDlk-1-His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 의 hDlk-1-His 로 코팅하고, 피검항체 (ChBA-1-3D, HuBA-1-3D-1 및 HuBA-1-3D-2) 는 5 ㎍/㎖ 로부터 2 배씩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도 21 은 ChBA-1-3D, HuBA-1-3D-2, HuVH/MuVL (HuBA-1-3D-2 의 VL (HuBA-1-3D VL) 을 마우스 BA-1-3D 의 VL 로 치환한 것) 및 MuVH/HuVL (HuBA-1-3D-2 의 VH (HuBA-1-3D VH2) 을 마우스 BA-1-3D 의 VH 로 치환한 것) 의 hDlk-1-His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 의 hDlk-1-His 로 코팅하고, 피검항체 (ChBA-1-3D, HuBA-1-3D-2, HuVH/MuVL 및 MuVH/HuVL) 를 각각 일과성 발현시킨 세포의 배양 상청의 2 배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도 22 는 HuBA-1-3D VH1, 및 그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 (V5Q ∼ T73K/T75S) 의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냈다. 각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에서는, HuBA-1-3D VH1 의 아미노산과 동일한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 로 나타내고, 치환한 아미노산에 대해서만 일 문자 표기로 나타냈다. 배열 상부의 숫자는 아미노산 번호를 나타낸다 (Kabat 들, 1991).
도 23 은 ChBA-1-3D, HuBA-1-3D-1, HuBA-1-3D-1-A24G, HuBA-1-3D-1-T73K 및 HuBA-1-3D-1-A24G/T73K 의 hDlk-1-His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 의 hDlk-1-His 로 코팅하고, 피검항체 (ChBA-1-3D, HuBA-1-3D-1, HuBA-1-3D-1-A24G, HuBA-1-3D-1-T73K 및 HuBA-1-3D-1-A24G/T73K) 를 각각 일과성 발현시킨 세포의 배양 상청의 2 배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도 24 는 pHuBA-1-3D-1-T73K 의 H 사슬 (γ1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62)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63)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HuBA-1-3D-1-T73K 의 H 사슬 가변 영역 (VH) 의 cDNA 염기 배열 (배열 번호 70) 은 배열 번호 62 에 나타내는 염기 배열의 제 1 번째 ∼ 제 420 번째의 염기로 이루어지는 배열이며, HuBA-1-3D-1-T73K 의 VH 의 추정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71) 은 배열 번호 63 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의 제 1 번째 ∼ 제 140 번째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배열이다. 상기 HuBA-1-3D-1-T73K 의 VH 의 추정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71) 중, N 말단으로부터 19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는 시그널 펩티드이다. HuBA-1-3D-1-T73K 의 VH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72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73 에 나타낸다.
도 25 는 pHuBA-1-3D-1-A24G/T73K 의 H 사슬 (γ1 사슬) 의 코딩 영역의 염기 배열 (배열 번호 64) 과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65) 을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일 문자 표기로 나타내고, 터미네이션 코돈의 위치는 “ㆍ” 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HuBA-1-3D-1-A24G/T73K 의 H 사슬 가변 영역 (VH) 의 cDNA 염기 배열 (배열 번호 74) 은 배열 번호 64 에 나타내는 염기 배열의 제 1 번째 ∼ 제 420 번째의 염기로 이루어지는 배열이며, HuBA-1-3D-1-A24G/T73K 의 VH 의 추정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75) 은 배열 번호 65 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의 제 1 번째 ∼ 제 140 번째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배열이다. 상기 HuBA-1-3D-1-A24G/T73K 의 VH 의 추정 아미노산 배열 (배열 번호 75) 중, N 말단으로부터 19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는 시그널 펩티드이다. HuBA-1-3D-1- A24G/T73K 의 VH 의 성숙 펩티드의 cDNA 염기 배열은 배열 번호 76 에 나타내고, 그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77 에 나타낸다.
도 26 은 ChBA-1-3D, HuBA-1-3D-1, HuBA-1-3D-1-T73K 및 HuBA-1-3D-1-A24G/T73K 의 hDlk-1-His 에 대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ELISA 의 결과이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 의 hDlk-1-His 로 코팅하고, 피검항체는 5 ㎍/㎖ 로부터 2 배 희석 계열을 제작하여 반응시켰다.
도 27 은 HuBA-1-3D-1-A24G/T73K 의 액제 중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HuBA-1-3D-1-A24G/T73K 를 각 pH 의 액제 중에서 40 ℃, 1 개월 보존한 후, 결합 활성을 플로우 사이트 미터 및 항원 고상화 ELISA 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각 pH 의 액제 중에서 -80 ℃ 보존한 항체를 활성 표준품으로서 사용했다.
(A) hDlk-1 을 항상적으로 발현하는 293 세포를 사용하여 플로우 사이트 미터에 의한 항원 결합 활성의 측정을 실시했다. 세로축은 형광 강도의 평균치 (MFI : mean fluoro-intensity) 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항체 농도를 나타낸다.
(B) hDlk-1-His 를 코팅한 항원 고상화 ELISA 를 사용하여 항원 결합 활성의 검토를 실시했다. 세로축은 흡광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항체 농도를 나타낸다.
도 28 은 필리핀 원숭이 혈장 중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의 안정성의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uBA-1-3-D1-A24G/T73K 를 필리핀 원숭이 혈장 중에서, 도면 중에 나타낸 기간, 37 ℃ 에서 보존한 후, hDlk-1-His 를 코팅한 항원 고상화 ELISA 를 사용하여 항원 결합 활성의 검토를 실시했다. 세로축은 0 h 를 100 % 로 한 경우의 각 보존 기간 후의 항원 결합 활성 (Absorbance 값) 의 비율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보존 기간을 나타낸다.
도 29 는 인간 간세포 암 세포주 HepG2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 컨트롤군 (● : PBS) 과 HuBA-1-3D-1-A24G/T73K 투여군 (○ : 1 mg/kg, △ : 5 mg/kg, □ : 10 mg/kg) 의 종양 형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 시를 나타낸다. 모든 항체 투여군에 있어서, 13 일째 (Day 13) 이후,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한 항종양 효과 (P < 0.01 (by Student's t-test)) 가 확인된다.
B : A 의 실험에 있어서, 23 일째 (Day 23) (실험 최종일) 의 시점에서의 각 마우스에 있어서의 종양 중량을 플롯한 도면이다. **P < 0.01 (by Student's t-test)
도 30 은,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주 SK-N-F1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 컨트롤군 (● : PBS) 과 HuBA-1-3D-1-A24G/T73K 투여군 (○ : 1 mg/kg, △ : 5 mg/kg, □ : 10 mg/kg) 의 종양 형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 시를 나타낸다. *P < 0.05, **P < 0.01 (by Student's t-test)
B : A 의 실험에 있어서, 34 일째 (Day 34) (실험 최종일) 의 시점에서의 각 마우스에 있어서의 종양 중량을 플롯한 도면이다. **P < 0.01 (by Student's t-test)
도 31 은, 인간 간세포 암 세포주 HepG2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와 넥사바르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 컨트롤군 (● : PBS) 과 HuBA-1-3D-1-A24G/T73K 투여군 (○ : 0.1 mg/kg, △ : 0.5 mg/kg, □ : 1 mg/kg) 의 종양 체적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를 나타낸다. **P < 0.01 (by Student's t-test)
B : 컨트롤군 (● : PBS) 과 넥사바르 투여군 (○ : 40 mg/kg, △ : 80 mg/kg) 의 종양 체적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 시를 나타낸다. *P < 0.05 (by Student's t-test)
C : A 및 B 의 실험에 있어서,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각 군에 있어서의 군분류 시 (Day 10) 의 마우스의 체중을 100 % 로 한 경우의 각 측정일에 있어서의 체중의 비율로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P < 0.05, **P < 0.01 (by Student's t-test)
도 32 는, 인간 간세포 암 세포주 HepG2/C3A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 컨트롤군 (● : PBS) 과 HuBA-1-3D-1-A24G/T73K 투여군 (○ : 0.1 mg/kg, △ : 0.5 mg/kg, □ : 1 mg/kg, ◇ : 5 mg/kg) 의 종양 체적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를 나타낸다. **P < 0.01 (by Student's t-test)
B : A 의 실험에 있어서, 26 일째 (Day 26) (실험 최종일) 의 시점에서의 각 마우스에 있어서의 종양 중량을 플롯한 도면이다. **P < 0.01 (by Student's t-test)
도 33 은, 인간 소세포 폐암 세포주 Lu-135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 컨트롤군 (● : PBS) 과 HuBA-1-3D-1-A24G/T73K 투여군 (○ : 1 mg/kg, △ : 10 mg/kg) 의 종양 체적을 시간 경과적으로 나타냈다 (평균치 ± 표준 편차). 가로축 상의 시두는 항체 투여를 나타낸다. *P < 0.05 (by Student's t-test)
B : A 의 실험에 있어서, 34 일째 (Day 34) (실험 최종일) 의 시점에서의 각 마우스에 있어서의 종양 중량을 플롯한 도면이다. *P < 0.05 (by Student's t-test)
도 34 는, 인간 간세포 암 세포주 HepG2 세포를 사용한 Xenograft Treatment 모델에 있어서의 HuBA-1-3D-1-A24G/T73K 투여 후의 Xenograft 종양의 동결 절편에 있어서, 아포토시스에 의한 세포사를 검출한 사진이다.
A : TUNEL 염색에 의해, 아포토시스에 의한 세포사를 검출한 사진이다. 좌로부터 PBS 투여 48 시간 후, HuBA-1-3D-1-A24G/T73K (5 mg/kg) 투여 24 시간 후, HuBA-1-3D-1-A24G/T73K (5 mg/kg) 투여 48 시간 후의 염색 이미지를 나타낸다. 다갈색의 핵염색이 보여지는 암 세포가 TUNEL 양성의 아포토시스 세포를 나타낸다 (현미경의 대물 렌즈 : 400 배).
B : 항 Cleaved Caspase-3 항체를 사용한 면역 조직화학에 의해, 아포토시스 에 의한 세포사를 검출한 사진이다. 좌로부터 PBS 투여 48 시간 후, HuBA-1-3D-1-A24G/T73K (5 mg/kg) 투여 24 시간 후, HuBA-1-3D-1-A24G/T73K (5 mg/kg) 투여 48 시간 후의 염색 이미지를 나타낸다. 세포질이 다갈색으로 염색되어 있는 암 세포가 활성형 카스파제 3 양성의 아포토시스 세포를 나타낸다 (현미경의 대물 렌즈 : 400 배).
Claims (31)
- H 사슬 V 영역의 아미노산 배열이 배열 번호 35, 40, 69, 73, 77, 81, 85 및 89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L 사슬 V 영역의 아미노산 배열이 배열 번호 45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Dlk-1 에 대한 항체.
- 제 1 항에 있어서,
항체가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것인 항체. - 제 2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항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인간형화 항체인 항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인 항체.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열 번호 2 에 나타나는 인간 Dlk-1 의 아미노산 배열 중의, 제 24 번째 ∼ 제 91 번째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것인 항체.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에서 유래하는 항체 단편.
- 제 7 항에 있어서,
배열 번호 35, 40, 69, 73, 77, 81, 85 및 89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단편. - 제 7 항에 있어서,
배열 번호 45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단편. - 제 7 항에 있어서,
배열 번호 35, 40, 69, 73, 77, 81, 85 및 89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과, 배열 번호 45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단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와, 항종양 활성 및/또는 살세포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체-약제 복합체.
-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과, 항종양 활성 및/또는 살세포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체 단편-약제 복합체.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 제 13 항에 있어서,
종양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인 조성물. - 제 14 항에 있어서,
체중 감소의 부작용을 갖지 않는 것인 조성물. - 제 13 항에 있어서,
종양의 진단에 사용하는 것인 조성물. - 제 13 항에 있어서,
종양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에 사용하는 것인 조성물. -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종양 치료제.
- 제 19 항에 있어서,
체중 감소의 부작용을 갖지 않는 것인 치료제.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치료제.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종양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제.
- 제 22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아포토시스 유도제.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양의 치료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환자에게 있어서 체중 감소의 부작용을 갖지 않는 것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과, 생체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반응시키고, 반응한 항체 및/또는 항체 단편의 시그널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양의 검출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양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 방법.
-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종양의 치료용, 진단용 또는 검출용 키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단편, 및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종양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용 키트.
-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종양이 인간 대장암, 인간 유방암, 인간 간암, 인간 췌장암, 인간 소세포 폐암 및 인간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709282P | 2012-10-03 | 2012-10-03 | |
US61/709,282 | 2012-10-03 | ||
PCT/JP2013/077540 WO2014054820A1 (ja) | 2012-10-03 | 2013-10-03 | in vivoで抗腫瘍活性を有する抗ヒトDlk-1抗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0761A true KR20150060761A (ko) | 2015-06-03 |
KR102149565B1 KR102149565B1 (ko) | 2020-08-28 |
Family
ID=5043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9420A Active KR102149565B1 (ko) | 2012-10-03 | 2013-10-03 |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인간 Dlk-1 항체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US (1) | US9303086B2 (ko) |
EP (1) | EP2905335B1 (ko) |
JP (1) | JP6280040B2 (ko) |
KR (1) | KR102149565B1 (ko) |
CN (1) | CN104704119B (ko) |
AU (1) | AU2013325443B2 (ko) |
CA (1) | CA2886772C (ko) |
CY (1) | CY1120063T1 (ko) |
DK (1) | DK2905335T3 (ko) |
ES (1) | ES2665341T3 (ko) |
HR (1) | HRP20180685T1 (ko) |
HU (1) | HUE037274T2 (ko) |
LT (1) | LT2905335T (ko) |
NO (1) | NO2972360T3 (ko) |
PL (1) | PL2905335T3 (ko) |
PT (1) | PT2905335T (ko) |
RS (1) | RS57120B1 (ko) |
SI (1) | SI2905335T1 (ko) |
SM (1) | SMT201800210T1 (ko) |
WO (1) | WO20140548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862B1 (ko) * | 2014-09-30 | 2016-05-12 | 주식회사 녹십자 |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는 인간 Fc 포함 단백질의 역가 측정키트 및 이를 이용한 Fc 포함 단백질의 역가 측정방법 |
HRP20211640T1 (hr) | 2017-02-08 | 2022-02-04 | Adc Therapeutics Sa | Konjugati pirolobenzodiazepin - protutijelo |
EP3683236A4 (en) | 2017-09-08 | 2021-10-13 | Y-Biologics Inc. | ANTIBODIES DIRECTED AGAINST HUMAN DLK1 AND ASSOCIATED USE |
WO2020204033A1 (ja) | 2019-04-01 | 2020-10-08 | 株式会社カイオム・バイオサイエンス | がん治療用医薬 |
TW202228692A (zh) * | 2020-10-05 | 2022-08-01 | 日商凱依歐姆 生物科學股份有限公司 | 癌症治療用醫藥 |
JPWO2022239704A1 (ko) | 2021-05-10 | 2022-11-17 | ||
TW202405024A (zh) | 2022-06-30 | 2024-02-01 | 日商凱依歐姆 生物科學股份有限公司 | 融合蛋白質 |
US20240245559A1 (en) * | 2023-01-25 | 2024-07-2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cyclable package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0671A (ja) * | 1991-09-23 | 1994-12-01 |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カウンシル | キメラ抗体の製造−組合せアプローチ |
JP2001269174A (ja) | 2000-03-24 | 2001-10-02 | Kirin Brewery Co Ltd | 骨髄異形成症候群(mds)の検出方法及びmdsの治療剤 |
WO2002081625A2 (en) | 2001-04-03 | 2002-10-17 | Curagen Corporation | Novel antibodies that bind to antigenic polypeptides, nucleic acids encoding the antigens, and methods of use |
WO2005052156A1 (ja) | 2003-11-28 | 2005-06-09 | Kanagaw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 肝癌の検出方法及び肝癌診断薬並びに癌治療薬 |
WO2008056833A1 (fr) | 2006-11-10 | 2008-05-15 | Livtech Inc. | Anticorps anti-humain spécifiques de dlk1 présentant une activité anti-tumorale in vivo |
WO2009116670A1 (ja) | 2008-03-17 | 2009-09-24 | 株式会社リブテック | in vivoで抗腫瘍活性を有する抗ヒトDlk-1抗体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62181A (en) | 1988-12-28 | 2006-04-10 | Pdl Biopharma Inc | A method of producing humanized immunoglubulin,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the same |
GB9015198D0 (en) * | 1990-07-10 | 1990-08-29 | Brien Caroline J O | Binding substance |
ES2136092T3 (es) | 1991-09-23 | 1999-11-16 | Medical Res Council | Procedimientos para la produccion de anticuerpos humanizados. |
EP1013762A3 (en) | 1992-12-11 | 2000-10-11 |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Delta-like gene expressed in neuroendocrine tumors |
US5595756A (en) * | 1993-12-22 | 1997-01-21 |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 Liposomal compositions for enhanced retention of bioactive agents |
US20040241170A1 (en) | 2001-08-24 | 2004-12-02 | Jensen Charlotte Harken | Isolation of cells from neural cell populations using antibodies to fa1/dlk1 |
CN1646160A (zh) * | 2002-03-13 | 2005-07-27 | 拜奥根Idec马萨诸塞公司 | 抗αvβ6抗体 |
WO2003081237A1 (en) | 2002-03-21 | 2003-10-02 | Nsgene A/S | Detection and isolation of cell populations from muscle using antibodies to fa1/dlk1 |
EP2366718A3 (en) | 2002-06-28 | 2012-05-02 | Domantis Limited | Ligand |
JP2006516089A (ja) | 2002-10-02 | 2006-06-22 | ジェネン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腫瘍の診断と治療のための組成物と方法 |
CN102933604B (zh) * | 2010-02-23 | 2016-04-06 | 赛诺菲 | 抗-α2整联蛋白抗体及其用途 |
NZ712765A (en) * | 2010-05-04 | 2017-01-27 | Five Prime Therapeutics Inc | Antibodies that bind csf1r |
-
2013
- 2013-10-03 US US14/045,326 patent/US9303086B2/en active Active
- 2013-10-03 EP EP13843070.7A patent/EP2905335B1/en active Active
- 2013-10-03 CN CN201380051895.5A patent/CN104704119B/zh active Active
- 2013-10-03 HU HUE13843070A patent/HUE037274T2/hu unknown
- 2013-10-03 PL PL13843070T patent/PL2905335T3/pl unknown
- 2013-10-03 SI SI201330954T patent/SI2905335T1/en unknown
- 2013-10-03 RS RS20180437A patent/RS57120B1/sr unknown
- 2013-10-03 CA CA2886772A patent/CA2886772C/en active Active
- 2013-10-03 LT LTEP13843070.7T patent/LT2905335T/lt unknown
- 2013-10-03 JP JP2014539861A patent/JP6280040B2/ja active Active
- 2013-10-03 WO PCT/JP2013/077540 patent/WO201405482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0-03 KR KR1020157009420A patent/KR102149565B1/ko active Active
- 2013-10-03 SM SM20180210T patent/SMT201800210T1/it unknown
- 2013-10-03 DK DK13843070.7T patent/DK2905335T3/en active
- 2013-10-03 ES ES13843070.7T patent/ES2665341T3/es active Active
- 2013-10-03 PT PT138430707T patent/PT2905335T/pt unknown
- 2013-10-03 AU AU2013325443A patent/AU2013325443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03-14 NO NO14721647A patent/NO2972360T3/no unknown
-
2018
- 2018-03-23 CY CY20181100334T patent/CY1120063T1/el unknown
- 2018-04-30 HR HRP20180685TT patent/HRP20180685T1/hr unknow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0671A (ja) * | 1991-09-23 | 1994-12-01 |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カウンシル | キメラ抗体の製造−組合せアプローチ |
JP2001269174A (ja) | 2000-03-24 | 2001-10-02 | Kirin Brewery Co Ltd | 骨髄異形成症候群(mds)の検出方法及びmdsの治療剤 |
WO2002081625A2 (en) | 2001-04-03 | 2002-10-17 | Curagen Corporation | Novel antibodies that bind to antigenic polypeptides, nucleic acids encoding the antigens, and methods of use |
US20030185815A1 (en) * | 2001-04-03 | 2003-10-02 | Muralidhara Padigaru | Novel antibodies that bind to antigenic polypeptides, nucleic acids encoding the antigens, and methods of use |
WO2005052156A1 (ja) | 2003-11-28 | 2005-06-09 | Kanagaw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 肝癌の検出方法及び肝癌診断薬並びに癌治療薬 |
WO2008056833A1 (fr) | 2006-11-10 | 2008-05-15 | Livtech Inc. | Anticorps anti-humain spécifiques de dlk1 présentant une activité anti-tumorale in vivo |
WO2009116670A1 (ja) | 2008-03-17 | 2009-09-24 | 株式会社リブテック | in vivoで抗腫瘍活性を有する抗ヒトDlk-1抗体 |
Non-Patent Citations (20)
Title |
---|
Abdallah, B. M. et al., J. Bone Miner. Res., vol. 19 (5), p. 841-852 (2004) |
Ceder, J. A. et al., Eur. Urol., Vol. 54 (6), p1344-1353 (2008) |
Fay, T. N. et al.,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vol. 29, p. 73-85 (1988) |
Fukuzawa, R. et al., J. Clin. Pathol., vol. 58, p. 145-150 (2006) |
Halder, S. K. et al., Endocrinology, vol. 139, p. 3316-3328 (1998) |
Helman, L. J.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84, p. 2336-2339 (1987) |
Jensen, C. H. et al., Br. J. Dermatol., vol. 140 (6), p. 1054-1059 (1999) |
Jensen, C. H. et al., Tumour Biol., vol. 20 (5), p. 256-262 (1999) |
Jensen, CH. et al., Am. J. Pathol., vol. 164 (4), p. 1347-1359 (2004) |
Laborda, J. et al., J. Biol. Chem., vol. 268 (6), p. 3817-3820 (1993) |
Maruyama, K. et al., Unpublished, Genebank accession number D16847 (1993) |
Miyazato, A. et al., Blood, vol. 98, p. 422-427 (2001) |
Sakajiri, S. et al., Leukemia, vol. 19 (8), p. 1404-1410 (2005) |
Smas, C. M. et al., Cell, vol. 73 (4), p.725-734 (1993) |
Sul, HS., Mol. Endocrinol., vol. 23 (11), p1717-1725 (2009) |
Tanimizu, N. et al., Gene Expression Patterns, vol. 5, p. 209-218 (2004) |
Wang, Y. et al., Mol. Cell Biol., vol. 30 (14), p3480-3492 (2010) |
Yanai, H. et al., J. Biochem., vol. 148 (1), p85-92 (2010) |
Yin, D. et al., Int. J. Oncol., vol. 24 (4), p. 1011-1015 (2004) |
Yin, D. et al., Oncogene, vol. 25 (13), p. 1852-1861 (20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05335B1 (en) | 2018-01-31 |
JPWO2014054820A1 (ja) | 2016-08-25 |
SI2905335T1 (en) | 2018-04-30 |
RS57120B1 (sr) | 2018-06-29 |
SMT201800210T1 (it) | 2018-05-02 |
EP2905335A1 (en) | 2015-08-12 |
AU2013325443A1 (en) | 2015-04-09 |
KR102149565B1 (ko) | 2020-08-28 |
CY1120063T1 (el) | 2018-12-12 |
HRP20180685T1 (hr) | 2018-06-01 |
PT2905335T (pt) | 2018-03-12 |
LT2905335T (lt) | 2018-04-10 |
JP6280040B2 (ja) | 2018-02-14 |
CN104704119A (zh) | 2015-06-10 |
PL2905335T3 (pl) | 2018-06-29 |
CA2886772C (en) | 2021-01-12 |
US20140193432A1 (en) | 2014-07-10 |
CA2886772A1 (en) | 2014-04-10 |
EP2905335A4 (en) | 2016-05-18 |
US9303086B2 (en) | 2016-04-05 |
HUE037274T2 (hu) | 2018-08-28 |
NO2972360T3 (ko) | 2018-08-04 |
CN104704119B (zh) | 2017-09-05 |
WO2014054820A1 (ja) | 2014-04-10 |
DK2905335T3 (en) | 2018-03-12 |
AU2013325443B2 (en) | 2019-01-31 |
ES2665341T3 (es) | 2018-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2203B1 (ko) |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인간 Dlk-1 항체 | |
JP5615169B2 (ja) | invivoで抗腫瘍活性を有する抗ヒトDlk−1抗体 | |
KR102149565B1 (ko) | in vivo 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인간 Dlk-1 항체 | |
US20160368990A1 (en) | Anti b7-h3 antibody | |
AU2018274932A1 (en) | Cancer cell-specific antibody, anticancer drug and cancer testing method | |
WO2020168555A1 (zh) | Cd3抗原结合片段及其应用 | |
JP2022523710A (ja) | Cd44に特異的な抗体 | |
EP4257612A1 (en) | Development of new tumor engager therapeutic drug and use thereof | |
TW202402805A (zh) | 抗cd147抗體、醫藥組成物、該等之用途及抗cd147抗體之製造方法 | |
JP2015199724A (ja) | 中和活性を有する抗lr11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医薬 | |
NZ708615A (en) | Novel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