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2654A -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654A
KR20150032654A KR20147018767A KR20147018767A KR20150032654A KR 20150032654 A KR20150032654 A KR 20150032654A KR 20147018767 A KR20147018767 A KR 20147018767A KR 20147018767 A KR20147018767 A KR 20147018767A KR 20150032654 A KR20150032654 A KR 20150032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plate
glass substrate
displacement
d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470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840B1 (ko
Inventor
타다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11/3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유리 기판(2)을 대략 수평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3)와, 유리 기판(2)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4)를 구비하고, 반송 장치(3)의 특성에 따라서 구해지는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X0)을 기준으로 해서 상한 파형(X1) 및 하한 파형(X2)을 미리 설정해 두고, 변위계(4)로 측정된 거리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반송 중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A)에 대한 실제 파형(X3, X4)이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 사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APPARATUS FOR INSPECTING WARPAGE OF BOARD-LIKE BODY AND METHOD FOR INSPECTING WARPAGE OF BOARD-LIKE BODY}
본 발명은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고, 자세하게는 대략 수평 자세로 유지된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를 검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서페이스 에미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이하, FPD라고 한다)에 사용되는 판유리나,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강화 유리 등으로 대표되는 판상체는 표면 형상 변위(휨)에 대한 품질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 종의 판상체에 있어서의 휨의 측정은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 판상체를 정지시킨 상태로 행해지는 것이 통례이고, 그러한 정지 상태에서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거나 또는 실용화가 도모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의하면, FPD용 유리 기판 등의 피측정 부재를 측정 스테이지(측정 베이스 석정반) 상에 적재하여 유지함과 아울러 피측정 부재의 표면 형상 변위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복수의 에어 스캐너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들 에어 스캐너를 X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롤러 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판상물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켜서 일정 시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그 소정 위치에서 판상물의 하방에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서 판상물의 복수 포인트의 높이 위치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 등의 높이 측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392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28632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피측정 부재를 1매씩 측정 스테이지 상에 적재한 상태로 복수의 에어 스캐너에 의해 피측정 부재의 표면 형상 변위를 측정해야 한다. 그 때문에, 피측정 부재를 1매씩 측정 스테이지 상에 적재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또한 번거로워짐과 아울러 그 적재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복잡화가 우려된다. 게다가,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 후에 있어서의 모든 유리판 등의 피측정 부재를 측정하고 있던 것은 측정에 필요한 시간에 낭비가 발생하여 대폭적인 생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반송 중의 판상물을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다이얼 게이지 등을 프레임에 의해 상승시킨 후가 아니면 그 판상물의 표면 형상 변위를 측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프레임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승시키는 기구 등이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복잡화를 부득이하게 하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해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생산 후에 있어서의 모든 유리판 등의 피측정 부재를 측정하려고 하면, 측정을 위해 낭비되는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대폭적인 생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판상체의 휨 검사를 행할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에 필요한 장치의 간략화 및 그것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생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판상체의 검사 장치는 판상체를 대략 수평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구해지는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을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변위계로 측정된 거리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반송 중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대략 수평 자세」란 수평면에 완전히 부합하는 자세를 포함시키고, 수평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10°이내로 경사진 자세도 포함한다(이하, 마찬가지임). 또한, 상기 「파형」이란 연속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롯한 점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파형도 포함한다(이하, 마찬가지임).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송 장치에 의해 판상체가 반송되어 있을 시에 비접촉식 변위계에 의해 상기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가 측정되는 것이 되므로 판상체를 정반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판상체를 반송 도중에 정지시켜서 변위계를 승강시키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에 필요한 장치의 간략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그 측정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어서 시간적 낭비가 없어지고, 생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가 양부(良否) 판정에 사용되는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은 반송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요구되는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이상적인 파형에 의거하여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반송 장치의 특성을 가미한 후에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 및 양부 판정이 행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상체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송 장치의 구성 요소와 판상체의 중량과의 관계 등에 의해 상기 판상체에 변형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반송 장치의 특성에 기인하는 판상체의 변형을 가미한 후에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이상적인 파형 및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이 결정되고, 이 파형에 의거하여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이나 그 양부 판정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반송 장치의 특성에 기인하는 반송시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변형을 실질적으로 무시한 상태로 상기 측정이나 양부 판정이 행해지게 되고, 그들의 정확성을 정확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판상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양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판상체에 반송 방향의 이송을 부여하는 이송 부여 수단과, 이들 이송 부여 수단의 상호 간에 배치되고, 또한 판상물을 비접촉으로 부상시키는 유체 부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이송 부여 수단에 의해 판상체를 이송하면서 유체 부상 수단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송 부여 수단이 판상체를 이송하고 있는 동안에는 유체 부상 수단이 판상체를 부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판상체에는 스크래치 등이 나지 않고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송시의 판상체에 불규칙적인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으로부터 유래되어서 정밀도 좋게 측정 및 양부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이송 부여 수단과 유체 부상 수단의 특성에 따라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이 설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술과 같이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이나 그 양부 판정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상적인 파형은 표면이 이상적인 평면 또는 이에 준하는 평면을 이루는 판상체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면서 상기 변위계에 의해 상기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해서 구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이상적인 파형은 본래 표면이 이상적인 평면 또는 이에 준하는 평면을 이루는 판상체에 대해서 반송 장치의 특성에 의해 곡선 등 발생한 파형으로서 얻어지기 때문에 이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은 판상체의 양부 판정을 행함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한 파형이 된다. 또한, 상기 표면이 이상적인 평면 또는 이에 준하는 평면을 이루는 판상체의 선정은 정밀 정반 등의 위에 판상체를 적재해서 전용 센서 등에 의해 상기 판상체의 평면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로서 최선의 평면도를 갖는 판상체(휨이 전혀 없거나 또는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매우 작은 휨이 존재하는 것에 불과한 판상체)를 발견해냄으로써 행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변위계가 상기 판상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고, 이들 변위계의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이상적인 파형이 각각 미리 작성되고, 이들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상기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이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판상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판상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된 각 변위계에 대해서 각각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하는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이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체의 폭 방향의 복수개소에서 각 변위계에 의한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판상체의 넓은 영역에 걸쳐서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이 행해지게 되고, 그 측정 정밀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변위계는 판상체의 반송 경로의 상방에 정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변위계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판상체를 반송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소정의 측정이 행해지는 것이 되기 때문에 장치의 간략화가 보다 한층 촉진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을 시에 상기 판상체를 양품으로 판정하고, 그외의 시에 상기 판상체를 불량품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판상체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의 판별이 정확하고 또한 치밀하게 행해지게 되어 고성능인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판상체의 검사 방법은 판상체를 대략 수평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을 미리 작성함과 아울러 그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을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변위계로 측정된 거리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반송 중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각 구성 요건이 서두에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체의 휨 검사를 행할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에 필요한 장치의 간략화 및 그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되어 생산 효율이 대폭 향상된다. 게다가, 반송 장치의 특성을 가미한 후에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측정 및 양부 판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시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변형을 실질적으로 무시한 상태로 상기 측정이나 양부 판정을 행할 수 있게 되고, 그들의 정확성을 적절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의 개략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의 개략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의 개략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파형과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과 실제 파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과 실제 파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이하, 간단히 검사 장치라고 한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상체로서 FPD용 유리 기판, 특히 액정 모니터용 유리 기판을 사용한 경우의 검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장치(1)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장치(1)는 유리 기판(2)을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3)와,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의 상방에 이간해서 설치되고, 또한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고 한다)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도면 예에서는 4개)의 레이저 변위계(4)를 구비한다.
이들 레이저 변위계(4)는 각각 유리 기판(2)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며, 유리 기판(2)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향해서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변위계(4)에는 확산 방식이나 정반사 방식이 있지만, 유리 기판(2)이 투명체인 것을 감안하면 정반사 방식의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변위계(4)를 대신하여 광이나 초음파 등을 매체로 한 비접촉식 변위계(변위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검사 장치(1)에 의해 검사되는 유리 기판(2)은 반송 방향(A)의 치수가 300~3500㎜, 폭 방향의 치수가 300~3500㎜, 판 두께가 0.1~1.1㎜이다.
반송 장치(3)는 유리 기판(2)의 폭 방향 양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유리 기판(2)에 이송을 부여하는 이송 부여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반송 롤러(5)와, 이들 2열로 배열된 반송 롤러(5)의 폭 방향 상호 간의 중앙 영역에 부설된 유체 부상 수단으로서의 공기 부상 유닛(6)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2열의 반송 롤러(5)의 상방에는 레이저 변위계(4)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반송 롤러(5)는 다소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에 있어서의 파형이 그 편심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공기 부상 유닛(6)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상자체에 있어서의 상면부(6a)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된 도면 이외의 다수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를 상방을 향해서 분사하는 것이며, 공기원으로서는 블로어에 HEPA 필터를 통과시킨 것 또는 CDA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체 부상 수단으로서는 공기 부상 유닛(6)을 대신하여 불활성 가스나 물 등의 액체를 상방을 향해서 분사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 부상 유닛(6) 중에는 공기를 유리 기판(2)의 면에 분사함과 동시에 유리 기판(2)의 면에 부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유리 기판(2)의 면을 평탄면에 교정하는 특수한 형식의 것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형식의 것은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부압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의 분사에 의해 유리 기판(2)을 부상시키는 공기 부상 유닛(6)이 사용된다.
도 1은 상류측으로부터 순차 반송되어 오는 유리 기판(2) 중 1매의 유리 기판(2)에 대해서 레이저 변위계(4)가 그 표면까지의 거리의 측정을 개시하는 시점에서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그 1매의 유리 기판(2)이 반송되면서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해 그 표면까지의 거리가 연속해서 측정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그 1매의 유리 기판(2)에 대해서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한 측정이 종료된 시점에서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으로부터 순차 반송되어 오는 유리 기판(2)은 정지하는 일 없이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한 측정이 행해진다.
이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한 측정 중에는 유리 기판(2)이 반송 롤러(5)에 의해 이송이 부여되면서 공기 부상 유닛(6)으로부터의 공기압을 받기 때문에 유리 기판(2)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류측으로부터 순차 반송되어 오는 유리 기판(2)은 그 모두가 동일한 조건으로 이송의 부여와 공기압을 받는다.
그래서, 우선 표면이 이상적인 평면 또는 이에 준하는 평면을 이루는 최량품인 유리 기판(2)을 선택하여 그 유리 기판(2)을 반송하면서 레이저 변위계(4)로 그 표면까지의 거리를 연속해서 측정한다. 그리고, 이 측정에 의해 레이저 변위계(4)로부터 상기 유리 기판(2)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상기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에 대해서 연속해서 채취하고, 이 채취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에 대한 표면 형상의 이상적인 파형(X0)을 구한다.
즉, 이 이상적인 파형(X0)은 반송 롤러(5)와 공기 부상 유닛(6)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장치(3)의 특성에 따라서 구해지는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A)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이다. 또한, 상술한 최량품인 유리 기판(2)의 선택은 정밀 정반 등의 위에 순차 유리 기판을 적재하고, 그들 유리 기판의 표면의 평면도를 측정하여 최량으로 생각될 수 있는 표면 특성을 갖는 유리 기판을 발견하여 그것을 최량품인 유리 기판으로서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는 상기 이상적인 파형(X0)을 상하로 평행 이동해서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을 설정하고 있다. 이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은 이상적인 파형(X0)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 양쪽 파형(X1, X2)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으면 막 형성 등을 행함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로 되어 있는 것과, 반복 실험 등에 의해 발견된 것이다. 또한, 도 4는 세로축이 레이저 변위계(4)의 위치를 제로로 한 경우의 높이를 나타내고, 가로축이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상적인 파형(X0)을 기준으로 한 상한 파형(X1) 및 하한 파형(X2)은 복수개의 레이저 변위계(4)에 대응해서 각각 복수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이 설정된 후에 있어서는 반송 장치(3)에 의해 상류측으로부터 순차 반송되어 오는 유리 기판(2)을 1매씩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서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르기까지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해 유리 기판(2)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연속해서 채취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중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A)에 대한 실제 파형(X3)이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 사이에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그 유리 기판(2)은 양품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상한 파형(X1) 및 하한 파형(X2)은 복수개의 레이저 변위계(4)에 대응해서 복수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실제 파형(X3)도 마찬가지로 복수 얻어진다. 따라서, 모든 실제 파형(X3)이 이들에 대응하는 모든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 사이에 들어가 있을 경우에 그 유리 기판(2)을 양품으로 판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중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A)에 대한 실제 파형(X4)이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 사이로부터 일탈하고 있을 경우(도면 예에서는 상한 파형(X1) 및 하한 파형(X2)의 양쪽으로부터 일탈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만으로부터 일탈하고 있을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그 유리 기판(2)은 불량품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복수 얻어진 실제 파형(X4) 중 어느 하나이어도 그것에 대응하는 상한 파형(X1)과 하한 파형(X2) 사이로부터 일탈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유리 기판(2)은 불량품으로 판정된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실제 파형(X3, X4)을 얻기 위한 측정 개시 및 측정 종료를 검지하는 센서는 별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레이저 변위계(4)의 신호를 유용해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레이저 변위계(4)에 의해 실제 파형(X3, X4)을 취득하기에는 시퀀서 장치를 경유하거나, 컴퓨터로 직접 취득해도 좋지만, 복수의 레이저 변위계(4)로부터의 데이터를 시간 지연 없이 동기해서 취득하기에는 데이터 레코더 장치를 경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얻어진 실제 파형(X3, X4) 중 시단과 종단에는 레이저 변위계(4)의 측정 위치의 어긋남의 영향,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A)의 단면의 영향, 공기 부상 유닛(6)의 영향 등에 의해 무효인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가 있다. 그래서, 사전에 설정한 범위 또는 개수의 데이터를 삭제할거나, 또는 실제 파형의 상승이나 하강을 컴퓨터 등으로 자동으로 삭제해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부여 수단을 복수의 반송 롤러(5)로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반송 벨트 등으로 이송 부여 수단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PD용 유리 기판(특히, 액정 모니터용 유리 기판)(2)을 측정 대상으로 했지만,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유리판 등의 판상체나 강화 유리판 등을 측정 대상으로 해도 좋다.
1: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2: 유리 기판(판상체)
3: 반송 장치 4: 레이저 변위계 (비접촉식 변위계)
5: 반송 롤러(이송 부여 수단) 6: 공기 부상 유닛(유체 부상 유닛)
X0: 이상적인 파형 X1: 상한 파형
X2: 하한 파형 X3: 실제 파형
X4: 실제 파형

Claims (7)

  1. 판상체를 대략 수평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그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구해지는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을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변위계로 측정된 거리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반송 중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판상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양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그 판상체에 반송 방향의 이송을 부여하는 이송 부여 수단과, 이들 이송 부여 수단의 상호 간에 배치되고, 또한 판상물을 비접촉으로 부상시키는 유체 부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적인 파형은 표면이 이상적인 평면 또는 이에 준하는 평면을 이루는 판상체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면서 상기 변위계에 의해 그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해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변위계는 상기 판상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이들 변위계의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이상적인 파형이 각각 미리 구해지고, 이들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상기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이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위계는 판상체의 반송 경로의 상방에 일정한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을 시에 상기 판상체를 양품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 시에 상기 판상체를 불량품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7. 판상체를 대략 수평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그 판상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계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구해지는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이상적인 파형을 기준으로 해서 상한 파형 및 하한 파형을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변위계로 측정된 거리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반송 중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표면 형상 변위의 반송 방향에 대한 실제 파형이 상기 상한 파형과 하한 파형 사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의 휨 검사 방법.
KR1020147018767A 2012-07-24 2013-07-22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 Active KR10198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3734 2012-07-24
JP2012163734A JP5907429B2 (ja) 2012-07-24 2012-07-24 板状体の反り検査装置及びその反り検査方法
PCT/JP2013/069743 WO2014017420A1 (ja) 2012-07-24 2013-07-22 板状体の反り検査装置及びその反り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654A true KR20150032654A (ko) 2015-03-27
KR101989840B1 KR101989840B1 (ko) 2019-06-17

Family

ID=4999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767A Active KR101989840B1 (ko) 2012-07-24 2013-07-22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3953B2 (ko)
JP (1) JP5907429B2 (ko)
KR (1) KR101989840B1 (ko)
CN (1) CN104081154B (ko)
TW (1) TWI586958B (ko)
WO (1) WO2014017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32B1 (ko) * 2019-06-10 2020-11-24 주식회사 크레셈 반도체 기판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0208B2 (ja) * 2014-10-01 2018-10-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形状測定装置
CN104475353B (zh) * 2014-12-22 2017-03-15 广东正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板材翘曲度检测机及其检测方法
TWI585367B (zh) * 2015-05-15 2017-06-01 Mas Automation Corp The method of detecting the level height between the parallel plates and the device
CN105783794B (zh) * 2016-03-22 2019-03-15 阳谷祥光铜业有限公司 一种平面检测方法及设备
CN106248043B (zh) * 2016-08-26 2019-06-25 山东狮王陶瓷有限公司 一种对瓷砖坯平整度进行自动检测的方法及设备
IT201600089698A1 (it) * 2016-09-05 2018-03-05 Paola Ferrari Macchina di controllo automatica.
CN106403840A (zh) * 2016-09-09 2017-02-15 蚌埠中建材信息显示材料有限公司 一种超薄浮法玻璃弯曲度检测方法
CN108195303A (zh) * 2017-03-10 2018-06-22 重庆铂汉塑胶有限公司 一种变形度测量装置及方法
CN107702678A (zh) * 2017-11-27 2018-02-16 李宗炜 一种防弹玻璃弯曲度检测装置
CN108050950A (zh) * 2017-12-22 2018-05-18 合肥工业大学 用于气浮传输的玻璃基板变形检测装置
CN108375354A (zh) * 2018-01-12 2018-08-07 嵊州市东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翘曲缺陷检测的方法及设备
US11187526B2 (en) 2020-02-26 2021-11-30 Core Flow Ltd.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warpage of a workpiece on a noncontact support platform
JP7412678B2 (ja) * 2020-03-16 2024-01-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測定装置、ガラス板測定方法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TWI731760B (zh) * 2020-07-28 2021-06-21 亞亞科技股份有限公司 電路板翹曲檢測裝置
CN112705481B (zh) * 2020-12-18 2022-10-04 佛山维尚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板件翘曲变形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设备
CN114812452A (zh) * 2022-06-14 2022-07-29 芜湖东旭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检测系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632A (ja) 2001-07-16 2003-0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り測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焼成装置
JP2008070324A (ja) * 2006-09-15 2008-03-27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反り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8139268A (ja) 2006-12-05 2008-06-19 Toshiba Solutions Corp 表面形状測定装置
JP2008286541A (ja) * 2007-05-15 2008-11-27 Japan Automat Mach Co Ltd 電線端末部の芯線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11237243A (ja) * 2010-05-10 2011-11-24 Ihi Corp 反り量測定装置、該反り量測定装置を有する浮上搬送コンベア、及び反り量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049A (ja) * 1998-03-19 1999-10-05 Ricoh Co Ltd 形状測定装置
FI111754B (fi) * 2000-08-25 2003-09-15 Outokumpu Oy Tapa mitata kuljetinhihnalla olevan ja lämpökäsiteltävän materiaalipatjan pinnankorkeutta
US7683890B2 (en) * 2005-04-28 2010-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bending mode sensors and multiple detection techniques
JP4694272B2 (ja) * 2005-06-07 2011-06-08 アンリツ株式会社 印刷はんだ検査装置及び印刷はんだ検査方法
JP5064874B2 (ja) * 2007-04-27 2012-10-31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ロールの形状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02166677B (zh) * 2011-04-29 2013-01-09 刘雨兰 一种线切割机床运丝系统的动态精度检测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632A (ja) 2001-07-16 2003-0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り測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焼成装置
JP2008070324A (ja) * 2006-09-15 2008-03-27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反り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8139268A (ja) 2006-12-05 2008-06-19 Toshiba Solutions Corp 表面形状測定装置
JP2008286541A (ja) * 2007-05-15 2008-11-27 Japan Automat Mach Co Ltd 電線端末部の芯線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11237243A (ja) * 2010-05-10 2011-11-24 Ihi Corp 反り量測定装置、該反り量測定装置を有する浮上搬送コンベア、及び反り量測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32B1 (ko) * 2019-06-10 2020-11-24 주식회사 크레셈 반도체 기판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3953B2 (en) 2016-03-01
US20150085300A1 (en) 2015-03-26
CN104081154A (zh) 2014-10-01
KR101989840B1 (ko) 2019-06-17
JP5907429B2 (ja) 2016-04-26
TW201409018A (zh) 2014-03-01
CN104081154B (zh) 2016-12-28
JP2014025710A (ja) 2014-02-06
TWI586958B (zh) 2017-06-11
WO2014017420A1 (ja)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840B1 (ko) 판상체의 휨 검사 장치 및 그 휨 검사 방법
KR101401777B1 (ko) 대형 평면 패널 중간품의 연속 선형 스캐닝
KR101975905B1 (ko) 프레스 성형물 검사장치
KR101697216B1 (ko) 판유리의 검사 유닛 및 제조 설비
TW201724324A (zh) 教導裝置、搬送系統及定位銷之測定方法
CN104979256B (zh) 一种基板传送装置
KR10260591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TW200923352A (en) Circuit pattern inspection device
CN210089657U (zh) 一种pcb检测装置
WO2009108302A1 (en) Method for predicting conformability of a sheet of material to a reference surface
CN217191007U (zh) 铝板平面度快速检测装置
CN215100976U (zh) 一种可测量直线度的输送带包装生产线
JP4243837B2 (ja) 透明基板の表面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103389059A (zh) 一种大幅面精密薄板厚度接触式测量装置
JP3717251B2 (ja) 板材の反り検査装置
CN106979848A (zh) 一种长方体空腔工件自动检测装置及方法
CN218673522U (zh) 一种基于垂直双面检测的柔性玻璃厚度及瑕疵的检测仪
CN203432566U (zh) 一种大幅面精密薄板厚度接触式测量装置
JP2014135453A (ja) 基板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
KR20000026546A (ko) 평면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331617B1 (ko)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자동 검사 시스템
CN203405191U (zh) 一种大幅面精密薄板厚度接触式测量流水线装置
JP2025008916A (ja) ガラス板の検査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CN215338255U (zh) 高精准度的防火涂料测厚设备
CN220083925U (zh) 一种用于陶瓷砖的平整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