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1061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061A
KR20150031061A KR20130110560A KR20130110560A KR20150031061A KR 20150031061 A KR20150031061 A KR 20150031061A KR 20130110560 A KR20130110560 A KR 20130110560A KR 20130110560 A KR20130110560 A KR 20130110560A KR 20150031061 A KR20150031061 A KR 2015003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lectrode
ground
voltage applica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061A/ko
Publication of KR2015003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0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된 감지 전극; 상기 감지 전극과 연결된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과 이격되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접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및 상기 접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실시 예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 상에 데코층을 형성하고, 커버 기판 또는 기판 상에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을 형성한 후, 정전 용량 변화에 의해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칩이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배선전극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배선전극의 끝단에는 패드가 형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소형화 및 박형화 경향에 의해 상기 패드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는 패드와 접지 패드간의 전하이동에 의해 상기 전압이 인가되는 패드와 접지패드가 단락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패드의 단락불량을 방지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된 감지 전극; 상기 감지 전극과 연결된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과 이격되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접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및 상기 접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내에 배치된 다수의 감지전극; 상기 다수의 감지전극과 각각 연결된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과 이격되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과 접지전극은 상기 배선 전극간의 간격보다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감지전극과 제1 배선전극이 형성된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 하부에 위치하며 제2 감지전극과 제2 배선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기 제1 배선전극 및 제2 배선전극이 연장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는, 감지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전압인가패드,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접지인가패드, 및 상기 다수의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접지인가패드 사이에 더미패드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전압이 인가되는 패드와 접지패드 사이에 더미패드를 형성하여 패드간의 전하 이동에 의한 단락불량을 방지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전압이 인가되는 패드와 접지패드 사이를 이격하여 형성하여 패드간의 전하 이동에 의한 단락불량을 방지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커버 기판(110)커버 기판, 제1 기판(120), 제2 기판(130) 및 인쇄회로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커버 기판(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130)은 상기 제1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상기 제1 기판(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2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제2 기판(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제2 기판과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유효영역의 외곽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도 활성화되지 않아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강화 유리, 반강화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락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에는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에는 제1 감지전극(121) 및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130)에는 제2 감지전극(131) 및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은 상기 커버 기판(110)와 대응되도록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상기 제1 기판(120)의 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의 일측에는 패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50)는 제1 패드 영역(151) 및 제2 패드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은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의 양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1 기판(12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은 상기 제2 기판(13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2 기판(130)이 제거되어 상기 제1 기판(120)이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제1 배선전극(1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패드부(15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패드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 및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감지전극(121) 및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양면 중 제2 기판(130)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2 기판(130)의 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2 기판(130)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 및 제2 배선배턴(1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패드부(15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제2 패드영역(15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은(Ag)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패드부(1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패드부(150)를 통해 상기 제1 배선전극(131) 및 제2 배선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50) 상에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해 상기 패드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상기 홈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상기 패드부(150)에 유격 없이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홈부(141)는 상기 패드부(150)에 단차가 있더라도,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이 상기 단차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패드부(1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4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잘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 131)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150)는 제1 패드영역(151) 및 제2 패드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배선전극(123)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다수의 제1 접지전극(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지전극 (12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전극(123b)은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의 일측 영역 또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의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지전극(123b)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압은 3V 내지 12V일 수 있고,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다수의 제1 접지패드(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제1 접지전극(12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외부의 노이즈 또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패드(12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형성된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패드(125)는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와 상기 다수의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는 제1 더미패드(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 중 최외곽 제1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가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접지패드(125b)와 인접하는 최외곽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가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제1 접지패드(125b) 및 제1 더미패드(127)은 0.2mm 내지 1.5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와 제1 더미패드(127) 간에는 0.2mm 내지 1.5mm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 접지패드(125b)와 상기 제1 더미패드(127) 간에는 0.2mm 내지 1.5m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패드(12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를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를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상대적으로 도전성이 낮은 제1 더미패드(12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 상에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제1 접지패드(125b)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 사이에 제1 더미패드(127)를 형성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터치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배선전극(133)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33)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제2 배선전극(133)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다수의 제2 접지전극(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13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지전극(133b)는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전극(133b)은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23a)의 일측 영역 또는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23a)의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지전극(133b)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압은 1V 내지 3V일 수 있고,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다수의 제2 접지패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턴(13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제2 접지전극(1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25b)는 외부의 노이즈 또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25a)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패드(1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형성된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패드(135)는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와 상기 다수의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는 제2 더미패드(1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 중 최외곽 제2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가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접지패드(135b)와 인접하는 최외곽 제2 전압인가패드와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가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배선전극(133)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패드(13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를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를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인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보다 도전성이 낮은 제2 더미패드(137)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 상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제2 접지패드(135b)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 사이에 제2 더미패드(137)를 형성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터치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2 기판(130)이 제거된 영역으로 상기 제1 패드영역(151)과 제2 패드영역(153) 사이에는 상기 제2 기판(130)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발생한다. 상기 홈부(141)는 상기 패드부(150)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전극(143)과 상기 제1 및 제2 패드(125)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여, 상기 기판전극(143)과 상기 제1 및 제2 패드(125)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보다 고전압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는 3V 내지 12V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에는 1V 내지 3V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보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인가패드(125b)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많은 전하가 이동하므로, 상기 제1 패드 영역(151)의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의 제2 더미패드(137)에 비해 불량방지의 효과가 크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더미패드가 형성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패드부(250)는 제1 패드 영역(251) 및 제2 패드영역(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253)은 상기 제1 패드영역(251)의 양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251)은 상기 제1 기판(22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제2 패드영역(253)은 상기 제2 기판(23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다.
상기 제1 패드영역(2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2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은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223a) 및 다수의 제1 접지전극(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22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접지전극(22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225)는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다수의 제1 접지패드(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2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지패드(225b)는 상기 제1 접지전극(22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 사이에는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더미패드(127)를 생략한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와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0.6mm 내지 4.5m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0.6mm 이상 이격되어야 전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4.5mm 이하로 이격되어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및 전자파로부터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제1 접지패드(22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제1 접지패드(22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2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2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은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233a) 및 다수의 제2 접지전극(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23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접지전극 (23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235)는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다수의 제2 접지패드(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는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23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패드(235b)는 상기 제2 접지전극 (2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 사이에는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2 더미패드(137)를 생략한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와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0.6mm 내지 4.5m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0.6mm 이상 이격되어야 전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4.5mm 이하로 이격되어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및 전자파로부터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제2 접지패드(23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제2 접지패드(23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며,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터치패널이 하나의 커버 기판과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은 커버 기판(310), 기판(315) 및 인쇄회로기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5)은 커버 기판(3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기판(310)는 상기 기판(31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310) 상에는 제1 감지전극(321) 및 제1 배선전극(323)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315)에는 제2 감지전극(331) 및 제2 배선전극(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3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3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3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은 패드부(350)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감지전극(321)과 상기 제1 패드(325) 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은 상기 패드부(350)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감지전극(331)과 상기 제2 패드(335) 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패드부(350)는 제1 패드영역(351) 및 제2 패드영역(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351)은 상기 기판(315)이 제거되어 상기 커버 기판(310)가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3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3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3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3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을 상기 커버 기판(310) 및 상기 기판(315) 상에 형성하여, 제1 실시 예에 비해 상기 터치패널(300)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에는 외부로부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버튼(10),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20)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는 터치패널(100) 및 표시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장치(1)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모바일 폰, TV,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패드, 노트북용 터치 패드, 차량용 터치 입력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장치
10: 입력버튼
20: 카메라
30: 스피커
100: 터치패널
110: 커버 기판커버 기판
120: 제1 기판
121: 제1 감지전극
123: 제1 배선전극배선전극
125: 제1 패드
127: 제1 더미 패드
130: 제2 기판
131: 제2 감지전극
133: 제2 배선전극배선전극
135: 제2 패드
137: 제2 더미 패드
140: 인쇄회로기판
141: 홈부
143: 기판전극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된 감지 전극;
    상기 감지 전극과 연결된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과 이격되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접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및 상기 접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전극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전압인가패드; 및
    상기 접지 전극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접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는 상기 전압인가패드 및 상기 접지 패드와 각각 0.2mm 내지 1.5mm만큼 이격된 터치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드의 폭은 0.2mm 내지 1.5mm인 터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드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터치 패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드는 상기 전압인가패드 및 접지 패드보다 낮은 도전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커버기판인 표시 패널.
  8. 기판;
    상기 기판내에 배치된 다수의 감지전극;
    상기 다수의 감지전극과 각각 연결된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과 이격되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배선 전극간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터치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의 일 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압인가패드; 및
    상기 접지 전극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접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압인가패드 중 최외곽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접지패드간의 간격은 0.6mm 내지 4.5mm인 터치 패널.
KR20130110560A 2013-09-13 2013-09-13 터치패널 Ceased KR20150031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560A KR20150031061A (ko) 2013-09-13 2013-09-13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560A KR20150031061A (ko) 2013-09-13 2013-09-13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061A true KR20150031061A (ko) 2015-03-23

Family

ID=5302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560A Ceased KR20150031061A (ko) 2013-09-13 2013-09-13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0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5403A (zh) * 2017-09-04 2018-04-06 深圳市尚维高科有限公司 基于表面电磁波的触摸屏及触摸屏系统
CN112130700A (zh) * 2020-09-30 2020-12-25 业成光电(无锡)有限公司 柔性电路板、触控装置及终端
US11301096B2 (en) 2020-03-10 2022-04-12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5403A (zh) * 2017-09-04 2018-04-06 深圳市尚维高科有限公司 基于表面电磁波的触摸屏及触摸屏系统
CN107885403B (zh) * 2017-09-04 2024-05-24 深圳市环波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表面电磁波的触摸屏及触摸屏系统
US11301096B2 (en) 2020-03-10 2022-04-12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130700A (zh) * 2020-09-30 2020-12-25 业成光电(无锡)有限公司 柔性电路板、触控装置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437B1 (ko) 초박형 터치 센서들
KR101643377B1 (ko) 접이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40920B1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20140152608A1 (en) Touch panel
KR102275892B1 (ko) 터치패널
KR101350621B1 (ko) 터치 감지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50069950A (ko) 터치 패널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US20130181925A1 (en) Touch panel
GB2559575A (en) Touch sensor
KR20150097054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67694B (zh) 输入装置、显示装置及便携终端
KR20210102169A (ko) 초박형 터치 센서들
KR102262553B1 (ko) 터치 패널
KR20150031061A (ko) 터치패널
KR101577199B1 (ko)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US9411448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KR20130020334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473456B2 (ja)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2233696B1 (ko) 터치 패널
KR101568126B1 (ko)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KR2015001747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838B1 (ko) 터치 패널
JP2012248010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