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커버 기판(110)커버 기판, 제1 기판(120), 제2 기판(130) 및 인쇄회로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커버 기판(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130)은 상기 제1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상기 제1 기판(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2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제2 기판(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제2 기판과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유효영역의 외곽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도 활성화되지 않아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10)은 강화 유리, 반강화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락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에는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에는 제1 감지전극(121) 및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130)에는 제2 감지전극(131) 및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은 상기 커버 기판(110)와 대응되도록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상기 제1 기판(120)의 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30)의 일측에는 패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50)는 제1 패드 영역(151) 및 제2 패드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은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의 양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1 기판(12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은 상기 제2 기판(13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2 기판(130)이 제거되어 상기 제1 기판(120)이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제1 배선전극(1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패드부(15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패드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121) 및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감지전극(121) 및 제1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1 기판(120)의 양면 중 제2 기판(130)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2 기판(130)의 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배선전극(123)은 상기 제2 기판(130)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 및 제2 배선배턴(1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131)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패드부(15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상기 제2 패드영역(15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131)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131,133)은 은(Ag)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패드부(1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패드부(150)를 통해 상기 제1 배선전극(131) 및 제2 배선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50) 상에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해 상기 패드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상기 홈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상기 패드부(150)에 유격 없이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홈부(141)는 상기 패드부(150)에 단차가 있더라도,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이 상기 단차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패드부(1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4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잘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121, 131)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150)는 제1 패드영역(151) 및 제2 패드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1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배선전극(123)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123)은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다수의 제1 접지전극(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지전극 (12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전극(123b)은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의 일측 영역 또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의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지전극(123b)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압은 3V 내지 12V일 수 있고,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125)는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다수의 제1 접지패드(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제1 접지전극(12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는 외부의 노이즈 또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패드(12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형성된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패드(125)는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와 상기 다수의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는 제1 더미패드(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125a) 중 최외곽 제1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가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접지패드(125b)와 인접하는 최외곽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패드(125b)가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제1 접지패드(125b) 및 제1 더미패드(127)은 0.2mm 내지 1.5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와 제1 더미패드(127) 간에는 0.2mm 내지 1.5mm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 접지패드(125b)와 상기 제1 더미패드(127) 간에는 0.2mm 내지 1.5m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배선전극(123)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1 패드(12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를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더미패드(127)를 상기 제1 패드(12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에 상대적으로 도전성이 낮은 제1 더미패드(12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패드(125b) 사이의 전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 상에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 및 제1 접지패드(125b)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123a) 및 상기 제1 접지전극(123b) 사이에 제1 더미패드(127)를 형성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터치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1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배선전극(133)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제1 배선전극(133)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상기 제2 배선전극(133)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다수의 제2 접지전극(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13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지전극(133b)는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전극(133b)은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23a)의 일측 영역 또는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23a)의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지전극(133b)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압은 1V 내지 3V일 수 있고,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135)는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다수의 제2 접지패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턴(13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제2 접지전극(1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25b)는 외부의 노이즈 또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25a)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패드(1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형성된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패드(135)는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판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와 상기 다수의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는 제2 더미패드(1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135a) 중 최외곽 제2 전압인가패드와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가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접지패드(135b)와 인접하는 최외곽 제2 전압인가패드와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패드(135b)가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배선전극(133)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는 상기 제2 패드(13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를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패드(137)를 상기 제2 패드(135)보다 도전성이 낮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인가패드(1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보다 도전성이 낮은 제2 더미패드(137)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상기 제2 접지패드(135b) 사이의 전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 상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 및 제2 접지패드(135b)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133a) 및 상기 제2 접지전극(133b) 사이에 제2 더미패드(137)를 형성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터치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는 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151)은 상기 제2 기판(130)이 제거된 영역으로 상기 제1 패드영역(151)과 제2 패드영역(153) 사이에는 상기 제2 기판(130)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발생한다. 상기 홈부(141)는 상기 패드부(150)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전극(143)과 상기 제1 및 제2 패드(125)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여, 상기 기판전극(143)과 상기 제1 및 제2 패드(125)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는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보다 고전압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는 3V 내지 12V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에는 1V 내지 3V의 감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125a)에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135a)보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압인가패드(125a) 및 상기 제1 접지인가패드(125b)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많은 전하가 이동하므로, 상기 제1 패드 영역(151)의 제1 더미패드(127)는 상기 제2 패드영역(153)의 제2 더미패드(137)에 비해 불량방지의 효과가 크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더미패드가 형성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패드부(250)는 제1 패드 영역(251) 및 제2 패드영역(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253)은 상기 제1 패드영역(251)의 양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251)은 상기 제1 기판(22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제2 패드영역(253)은 상기 제2 기판(23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다.
상기 제1 패드영역(2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2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23)은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223a) 및 다수의 제1 접지전극(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압인가전극(22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접지전극(22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225)는 다수의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다수의 제1 접지패드(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는 상기 제1 전압인가전극(2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지패드(225b)는 상기 제1 접지전극(22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 사이에는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더미패드(127)를 생략한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와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0.6mm 내지 4.5m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는 0.6mm 이상 이격되어야 전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4.5mm 이하로 이격되어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및 전자파로부터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제1 접지패드(22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와 제1 접지패드(22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압인가패드(225a) 및 제1 접지패드(22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2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2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은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233a) 및 다수의 제2 접지전극(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전압인가전극(233a)은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접지전극 (233b)은 양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235)는 다수의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다수의 제2 접지패드(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는 상기 제2 전압인가전극(23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패드(235b)는 상기 제2 접지전극 (2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 사이에는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2 더미패드(137)를 생략한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제1 실시 예에서 제1 전압인가패드와 제1 접지패드와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0.6mm 내지 4.5m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는 0.6mm 이상 이격되어야 전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4.5mm 이하로 이격되어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및 전자파로부터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제2 접지패드(235b)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와 제2 접지패드(235b)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전압인가패드(235a) 및 제2 접지패드(235b) 사이가 단락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며,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에 대한 상면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터치패널이 하나의 커버 기판과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은 커버 기판(310), 기판(315) 및 인쇄회로기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5)은 커버 기판(3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기판(310)는 상기 기판(31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310) 상에는 제1 감지전극(321) 및 제1 배선전극(323)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315)에는 제2 감지전극(331) 및 제2 배선전극(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3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3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3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은 패드부(350)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감지전극(321)과 상기 제1 패드(325) 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은 상기 패드부(350)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감지전극(331)과 상기 제2 패드(335) 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패드부(350)는 제1 패드영역(351) 및 제2 패드영역(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351)은 상기 기판(315)이 제거되어 상기 커버 기판(310)가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영역(35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배선전극(32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1 패드(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의 일 측은 상기 제1 감지전극(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전극(323)의 타 측은 상기 제1 패드(3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영역(353)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3)의 끝 영역에는 다수의 제2 패드(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일 측은 상기 제2 감지전극(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타 측은 상기 제2 패드(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을 상기 커버 기판(310) 및 상기 기판(315) 상에 형성하여, 제1 실시 예에 비해 상기 터치패널(300)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에는 외부로부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버튼(10),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20)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는 터치패널(100) 및 표시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장치(1)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모바일 폰, TV,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패드, 노트북용 터치 패드, 차량용 터치 입력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