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967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676A
KR20150029676A KR1020157000120A KR20157000120A KR20150029676A KR 20150029676 A KR20150029676 A KR 20150029676A KR 1020157000120 A KR1020157000120 A KR 1020157000120A KR 20157000120 A KR20157000120 A KR 20157000120A KR 20150029676 A KR20150029676 A KR 2015002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efrosting operation
freezing
damper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302B1 (ko
Inventor
히데타케 하야시
아키히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02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3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61)가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며,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고, 증발기팬(31)을 구동하며, 증발기(56)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제상히터(63)를 통전상태로 하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냉장공간으로 공급하는 유로와 냉동공간으로 공급하는 유로에 각각 냉장댐퍼와 냉동댐퍼를 설치하고, 또한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냉장공간 및 냉동공간으로 송풍하는 증발기팬을 설치하며, 냉장댐퍼 및 냉동댐퍼의 개폐나 증발기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증발기에서 냉장공간과 냉동공간을 냉각하는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기 위해, 압축기의 정지상태에서 증발기의 근방에 설치한 제상히터를 통전하는 제상운전을 실행하고 있다. 그 때, 증발기팬을 회전하고, 냉장댐퍼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증발기를 제상하면서, 성에의 증발에 의해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공기를 냉장공간으로 공급하고, 냉장공간을 가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141호
그러나, 냉장댐퍼의 가동부분은 열용량이 크고, 또한 냉장공간의 고내온도로 냉각되어 있으므로, 제상히터를 통전하면서 증발기팬을 회전하여 냉장공간을 가습하면, 가열된 습도가 높은 공기가 냉장댐퍼의 가동부분에 닿아 냉각되어 결로되기 쉽다. 냉장댐퍼의 가동부분에 부착된 물(결로수)은 그 후에 실시되는 냉장공간의 냉각운전시에 냉기에 노출되므로 빙결되어 냉장댐퍼의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하나의 증발기로 냉각을 실시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댐퍼의 가동부분에 발생하는 결로를 억제하면서, 증발기의 제상과 냉장공간의 가습을 실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는 냉장공간과, 냉동공간과,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공급되어 상기 냉장공간 및 상기 냉동공간을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장공간 및 상기 냉동공간에 송풍하는 증발기팬과,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장공간에 공급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냉장댐퍼와,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동공간에 공급하는 유로를 개페하는 냉동댐퍼와, 상기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가열하는 제상히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증발기팬, 상기 냉장댐퍼, 상기 냉동댐퍼, 및 상기 제상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고, 상기 냉장댐퍼를 개방상태로 하고, 상기 냉동댐퍼를 폐쇄상태로 하며, 상기 증발기팬을 구동하고, 상기 증발기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 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상히터를 통전상태로 하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냉장고의 전기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냉장고의 제어를 도시한 타임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냉장고의 제상제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제어를 도시한 타임차트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제상제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상자 사이에 발포단열재를 충전한 단열상자체로 이루어진 냉장고 본체(11)를 구비한다. 냉장고 본체(11)는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이 단열 칸막이벽(12)에 의해 상방의 냉장공간(20)과 하방의 냉동공간(40)으로 구획되어 있다.
냉장공간(20)은 냉장온도(예를 들어, 2~3℃)로 냉각되는 공간이고, 내부가 또한 칸막이판(2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냉장공간(20)은 칸막이판(21)의 상방에 복수단의 배치선반을 설치한 냉장실(22)이 설치되고, 칸막이판(21)의 하방에 서랍식 수납용기(23)를 배치하는 야채실(24)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24)의 하방에 배치된 냉동공간(40)은 냉동온도(예를 들어, -18℃ 이하)로 냉각되는 공간으로, 비교적 작은 용적의 자동제빙기를 구비한 제빙실과 소형냉동실(42)이 좌우에 병설되고, 그 하방에 냉동실(43)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22)의 개구부는 냉장고 본체(11)의 일측부의 상하에 설치된 힌지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피봇된 냉장실문(2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야채실(24), 제빙실, 소형 냉동실(42) 및 냉동실(43)의 개구부는 서랍식 문(26, 46, 4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각 서랍식문(26, 46, 47)의 이면측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쌍의 지지틀에는 수납용기(23, 44, 45)가 유지되어 있고, 문 개방 동작과 함께 고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동공간(40)의 배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5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증발기(56)와, 증발기(56)에서 냉각된 공기를 냉장공간(20) 및 냉동공간(40)에 송풍하는 증발기팬(31)을 수납하는 증발기실(30)이 설치되어 있다.
냉동사이클(50)은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하는 압축기(51)와, 상기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스를 받아 방열액화되는 응축기(52)와, 응축기(52)로부터의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54)와, 캐필러리튜브(54)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증발기(56)를 배관 접속하여 구성된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52), 캐필러리튜브(54)를 통하여 증발기(56)에 공급되어, 증발기(56)를 저온화한다.
증발기(56)는 예를 들어 캐필러리튜브(54)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파이프에 단책(短冊) 형상의 다수의 핀을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 핀 튜브형의 증발기이다. 증발기(56)는 냉매 파이프의 출구측이 압축기(51)의 흡입측에 접속되고, 이에 의해 증발기(56)를 흐른 냉매는 다시 압축기(51)에 취입되어, 냉동사이클(50)을 순환한다.
증발기(56)를 구성하는 냉매파이프의 출구 부근에는 증발기(56)의 온도를 검출하는 증발기 온도센서(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56)의 외주면에는 파이프내에 전기히터를 봉입한 파이프히터로 이루어진 제상히터(63)가 설치되어 있다. 제상히터(63)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기히터를 통전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증발기(56)에 부착된 성에를 융해 제거한다.
증발기실(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댐퍼(32)가 설치된 냉장덕트(33)에 의해 냉장공간(20)과 접속되고, 또한 냉동댐퍼(35)가 설치된 냉동덕트(36)에 의해 냉동공간(40)과 접속되어 있다.
냉장실(22)의 배면에는 냉장공간(20)의 고내 온도(TR)를 측정하기 위한 냉장온도센서(27)가 설치되고, 냉동실(43)의 배면에는 냉동공간(40)의 고내온도(TF)를 측정하기 위한 냉동온도센서(48)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1)의 배면 하부에는 냉동사이클(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51) 및 응축기(52)를 수납하는 기계실(60)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60)의 배면 상부에 제어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6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온도센서(27), 냉동온도센서(48), 증발기 온도센서(62)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나, EEPROM 등의 불휘발성 기록매체로 이루어진 메모리(64)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증발기팬(31), 냉장댐퍼(32), 냉동댐퍼(35), 압축기(51), 및 제상히터(6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냉장고(10)에서는 제어부(61)가 냉장온도센서(27) 및 냉동온도센서(48)에 의해 검출된 고내온도(TR, TF)에 기초하여, 압축기(51) 및 증발기팬(31)의 구동과, 냉장댐퍼(32) 및 냉동댐퍼(35)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냉장냉각운전과 냉동냉각운전을 전환하여 번갈아 실행한다. 또한, 소정의 제상개시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61)는 제상운전을 실시하여 증발기(56)에 부착된 성에를 녹여 제거한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냉각운전에서는, 냉동사이클(50)에 설치된 압축기(51)를 구동함으로써 증발기(56)를 저온화하면서, 냉장댐퍼(32)를 개방하고, 냉동댐퍼(35)를 폐쇄한 상태에서 증발기팬(31)을 구동한다(단계(S1)).
이에 의해, 증발기(56)에서 냉각된 공기가 냉장덕트(33)를 통하여 냉장공간(20)에 송풍되어, 냉장공간(20)내를 냉각한다. 냉장공간(20)내를 흐른 공기는 냉장공간(20)의 하부를 구성하는 야채실(24)의 배면에 설치된 흡입구로부터 증발기실(30)에 취입되고, 다시 증발기(56)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제어부(61)는 냉장공간(20)의 고내온도(TR)가 소정온도(TRoff = 0℃)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냉장냉각운전을 실행하고, 소정온도(TRoff) 이하에 도달하면 냉장냉각운전을 종료한다(단계(S2)).
냉동냉각운전에서는, 냉동사이클(50)에 설치된 압축기(51)를 구동함으로써 증발기(56)를 저온화하면서 냉장댐퍼(32)를 폐쇄하고, 냉동댐퍼(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증발기팬(31)을 구동한다(단계(S3)).
이에 의해, 증발기(56)에서 냉각된 공기가 냉동덕트(36)를 통하여 냉동공간(40)에 송풍되고, 냉동공간(40)내를 냉각한다. 냉동공간(40)내를 흐른 공기는 냉동공간(40)의 하부를 구성하는 냉동실(43)의 배면에 설치된 흡입구로부터 증발기실(30)에 취입되고, 다시 증발기(56)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제어부(61)는 냉동공간(40)의 고내온도(TF)가 소정 온도(TFoff)(예를 들어, TFoff = -20℃)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냉동냉각운전을 실행하고, 소정온도(TFoff) 이하에 도달하면 냉동냉각운전을 종료한다(단계(S4)).
그리고, 냉장냉각운전과 냉동냉각운전을 전환하여 번갈아 실시하는 중에서, 냉동냉각운전을 실행한 시간의 적산값이 8시간에 달하는 등, 소정의 조건(제상개시조건)을 만족하면(단계(S5)), 제어부(61)는 증발기(56)에 부착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운전으로서,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고(단계(S6)), 그 후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한다(단계(S9)).
제1 제상운전에서는 제어부(61)는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하며,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고, 증발기 팬(31)을 회전시키며, 제상히터(63)를 통전상태로 한다. 그 때, 제어부(61)는 증발기(56)에 부착되는 성에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온도(즉, 0℃) 이하를 유지하여 증발기(56)에 성에가 잔존하도록 출력을 조정하여 제상히터(63)를 통전한다.
제상히터(63)를 통전하여 증발기(56)에 부착된 성에를 가열하면 성에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지만, 성에(얼음)로부터 물로 상(相) 변화할 때 잠열을 필요로 하므로, 성에가 융해온도(0℃)에 도달하면 완전히 다 녹을 때까지 동안 이 온도로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에히터(63)가 증발기(56)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측으로부터 증발기(56)를 가열하므로, 증발기 온도센서(62)에 의한 검출온도가 성에의 융해온도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성에히터(63)에 대향하는 외측의 성에는 융해되어 물이 되어 있지만, 내측(증발기측)의 성에는 아직 동결된 채로, 증발기(56)에 성에가 잔존하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61)는 제1 제상운전의 실행 중, 증발기 온도센서(62)에 의한 검출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를 넘지 않도록 출력을 조정하면서 제상히터(63)를 통전한다.
제1 제상운전에서는, 상기와 같이 증발기(56)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제상히터(63)를 통전하고 또한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고, 증발기팬(31)을 구동하여 냉장공간(20) 내의 공기를 증발기실(30)에 취입하여 증발기(56)로 송풍한다.
그리고, 제어부(61)는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면(단계(S7)),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한다(단계(S9)).
또한,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지 ?은 경우에도, 제1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시간(T1)(예를 들어, T1=3분간)을 경과하면(단계(S8)),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한다(단계(S9)).
제1 제상운전으로부터 제2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면, 제어부(61)는 제상히터(63)를 통전상태로부터 비통전상태로 변경한다(단계(S9)). 즉, 제2 제상운전에서는 제어부(61)가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며,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며, 증발기팬(31)을 구동하고, 제상히터(63)를 비통전 상태로 한다.
제2 제상운전에서는,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면서 증발기팬(31)을 구동하고, 냉장공간(20)내의 공기를 증발기실(30)에 취입하여 증발기(56)로 송풍함으로써, 제1 제상운전에서 융해된 성에의 수분을 기화하여 증발기실(30) 내의 공기와 함께 냉장공간(20)으로 송풍한다. 이에 의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냉장공간(20)에 공급되어 냉장공간(20)내를 가습한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56)에 성에가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제상운전으로부터 제2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면, 증발기팬(31)의 구동을 유지하면서 제상히터(63)의 통전을 중지하므로, 증발기(56)에 부착되는 물을 기화하면서 증발기(56)에 잔존하는 성에를 향하여 송풍하게 되어, 냉장공간(20)내의 온도가 일시적으로 저하된다(도 4 참조).
또한, 제2 제상운전을 계속하면,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서서히 상승하여 다시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게 된다. 제어부(61)는 제2 제상운전을 개시하고 나서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Te)가 다시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면(단계(S10)), 제2 제상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2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시간(T2)(예를 들어, T2=5분간)을 경과하면(단계(S11), 제2 제상운전을 종료한다.
제1 제상운전 및 제2 제상운전의 실행 중, 압축기(51)를 정지하고 있고 냉동공간(40)이 냉각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제상운전이 종료되면 제어부(61)는 냉동냉각운전을 개시하고(단계(S12)), 고내온도(TF)가 소정 온도(TFoff) 이하에 도달할 때가지 냉동공간(40)을 냉각한 후(단계(S13)), 냉장냉각운전을 개시하고(단계(S14)), 고내온도(TR)가 소정 온도(TRoff)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냉장공간(20)을 냉각한다(단계(S15)).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서는,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며,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고, 증발기팬(31)을 구동하며, 증발기(56)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제상히터(63)를 통전상태로 하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고, 증발기(56)에 부착되는 성에를 제상히터(63)로 융해하면서, 냉장공간(20)내의 공기를 증발기실(30)에 취입하고 증발기(56)로 송풍한다. 냉장공간(20)으로부터 증발기실(30)내에 취입된 공기는 제상히터(63)로 융해된 성에의 수분을 기화하고 또한 증발기(56)에 잔존하는 성에의 냉열에 의해 저온화되어 냉장덕트(33)를 통하여 냉장공간(20)으로 송풍된다.
그 때문에, 성에의 수분을 포함한 다습한 공기가 냉장공간(20)으로 송풍되어 냉장공간을 가습할 수 있다. 또한, 냉장덕트(33)를 통하여 냉장공간(20)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다습하지만 냉장공간(20)의 고내온도보다 저온으로 냉각되어 있으므로, 냉장공간(20)내를 냉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댐퍼(32)의 가동부분에 증발기실(3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닿아도 결로되지 않고, 가동부분에 부착된 결로수의 동결에 의해 냉장댐퍼(32)의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 후, 제상히터(63)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며, 증발기팬(31)을 구동하는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하므로, 제1 제상운전에서 제상히터(63)의 열에 의해 융해된 성에의 수분 중, 다 기화되지 않고 증발기(56)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2 제상운전시에 기화하여 냉장공간(20)에 공급할 수 있어, 증발기(56)를 제상하면서 냉장공간(20)을 가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상운전의 실행시에, 융해된 성에의 수분을 포함하는 다습한 공기가 냉장덕트(33)를 흐르게 되지만, 제상히터(63)가 비통전 상태에 있는 것에 추가하여, 증발기팬(31)으로부터 증발기(56)에 잔존하는 성에를 향하여 송풍되고, 증발기실(30)내의 공기가 냉장공간(20)내의 고내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므로, 다습한 공기가 냉장덕트(33)를 통하여 냉장공간(20)으로 송풍될 때 냉장댐퍼(32)의 가동부분에 닿아도 결로되지 않고, 가동부분에 부착된 결로수의 동결에 의해 냉장댐퍼(32)의 동작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상운전의 실행중에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가 성에의 융해온도에 도달하면,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하므로, 증발기(56)에 부착되는 성에의 일부가 융해되지만, 아직 증발기(56)에 성에가 잔존하는 상황에서 제1 제상운전으로부터 제2 제상운전으로 이행할 수 있고, 냉장댐퍼(32)의 가동부분에 결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냉장공간(20)내를 가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제상운전의 실행중에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가 성에의 융해온도에 도달하면 제2 제상운전을 종료하므로, 냉장공간(20)보다 고온이 된 공기가 냉장덕트(33)를 흘러 냉장댐퍼(32)의 가동부분에 닿아 결로되지 않아, 가동부분에 부착된 결로수의 동결에 의해 냉장댐퍼(32)의 동작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61)가 증발기(56)의 온도(Te)와 제1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을 검지하고,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하거나 제1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시간(T1)을 경과하면,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상히터(63)에 대향하는 외측의 성에는 융해되어 물이 되어 있지만, 성에가 완전히 녹아 있지 않고 증발기(56)에 잔존하고 있는 동안에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제2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면 좋다. 예를 들어, 제어부(61)가 제1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을 검지하지 않고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제상운전을 계속하거나, 또는 증발기(56)의 온도(Te)가 성에의 융해온도(Tm)를 검지하지 않고 제1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시간(T1)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제상운전을 계속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냉각운전과 냉동냉각운전을 전환하여 번갈아 실시하는 중에서, 소정의 제상개시조건을 만족하면, 제상운전으로서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즉 제1 제상운전의 직전에 냉장냉각운전 또는 냉동냉각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제1 제상운전을 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제상운전의 직전에 압축기(51)를 구동함으로써 증발기(56)를 저온화하면서, 냉장댐퍼(32) 및 냉동댐퍼(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증발기팬(31)을 구동하는 동시 냉각운전을 실행해도 좋다.
제상운전을 개시하기 직전에 냉동냉각운전이나 동시냉각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이면, 제1 제상운전 개시시의 증발기(56)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제상운전에서의 냉장공간(20)의 냉각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상운전을 개시하기 직전에 동시냉각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이면, 제1 제상운전의 전에 냉장공간(20) 및 냉동공간(40)을 냉각할 수 있으므로, 제1 제상운전 및 제2 제상운전의 실행중에 냉장공간(20)이나 냉동공간(40)이 온도 상승해도 설정온도보다 고온이 되기 어렵다.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변경예에서는 냉장냉각운전, 냉동냉각운전, 및 동시냉각운전의 각 냉각운전으로부터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제어부(61)가 제1 제상운전의 직전의 냉각운전 중에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고 나서 구동중의 압축기(51)를 정지하여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냉동냉각운전으로부터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 냉동냉각운전의 실행중에 냉동공간(40)의 고내온도(TF)가 소정온도(TFoff)에 도달하면 제어부(61)는 압축기(51)를 정지시키고, 냉동냉각운전에 계속하여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압축기(51)를 정지할 때, 압축기(51)는 제어부(61)로부터 정지되는 취지의 신호를 받으면 바로 정지하지 않고 일정 시간, 저출력으로 동작하여 내부의 윤활유을 순환시키는 애프터 아이들링을 실시한다. 그 애프터 아이들링의 동안, 제어부(61)는 폐쇄상태에 있는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고 또한, 증발기팬(31)의 구동을 계속시킨다.
그리고, 애프터 아이들링이 종료되어 압축기(51)가 정지하면, 제어부(61)는 냉장댐퍼(32)의 개방상태와 증발기팬(31)의 구동을 유지하면서, 제상히터(63)를 통전하여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본 변경예에서는 증발기(56)의 온도에 비하여 고온의 냉장공간(20)내의 공기를 증발기실(30)에 도입함으로써 애프터 아이들링 중에 증발기(56)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제1 제상운전의 실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애프터 아이들링의 동안, 냉장공간(20)내의 공기가 냉동공간(40)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동댐퍼(35)를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변경예에서는, 냉동냉각운전으로부터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냉장냉각운전이나 동시냉각운전으로부터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경우에도, 냉장냉각운전이나 동시냉각운전으로부터 제1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므로 압축기(51)를 정지할 때 실시하는 애프터 아이들링의 동안,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증발기팬(31)의 구동을 계속시키며, 냉동냉각운전과 동일하게, 냉장공간(20)내의 증기를 증발기실(30)에 도입해도 좋고, 그 경우에 애프터 아이들링의 동안, 냉동댐퍼(35)를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상운전으로서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기 전에 제3 제상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제1 제상운전 및 제2 제상운전을 실시하고, 제2 제상운전의 종료후에 제4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냉장온도센서(27) 및 냉동온도센서(48)에 의해 검출된 고내온도(TR, TF)에 기초하여 냉장냉각운전과 냉동냉각운전을 전환하여 번갈아 실행한다(단계(S21)~단계(S24)). 그리고, 냉장냉각운전과 냉동냉각운전을 전환하여 번갈아 실시하는 중에서 소정의 제상개시조건을 만족하면(단계(S25)), 제3 제상운전을 개시한다(단계(S26)).
제3 제상운전에서는, 제어부(61)가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를 개방상태로 하며,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고 증발기팬(31)을 구동하며, 제상히터(63)를 비통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제3 제상운전에서는, 증발기실(30)내에 도입된 냉장공간(20)내의 공기가 성에가 부착된 증발기(56)와 열교환됨으로써 냉온화된 후, 다시 냉장공간(20)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냉장공간(20)을 냉각하고 또한 증발기(56)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어부(61)는 제3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 시간(T3)(예를 들어, T3=10분간)을 경과하면 제3 제상운전을 종료한다(단계(S28)).
그리고, 제3 제상운전을 종료하면,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제상운전(단계(S29)~단계(S31)) 및 제2 제상운전(단계(S32)~단계(S34))을 실행한 후, 제4 제상운전을 실행한다(단계(S35)).
제4 제상운전에서는, 제어부(61)가 압축기(51)를 정지하고, 냉장댐퍼(32) 및 냉동댐퍼(35)를 폐쇄상태로 하며, 증발기팬(31)을 정지하고, 제상히터(63)를 통전상태로 한다.
제어부(61)는 제4 제상운전을 개시하고 나서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Te)가 소정온도(Td)(예를 들어, Td=10℃)에 도달하면 제4 제상운전을 종료한다(단계(S36)).
또한, 증발기 온도센서(62)에서 검출되는 증발기(56)의 온도(Te)가 소정 온도(Td)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4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이 소정 시간(T4)(예를 들어, T4=30분간)을 경과하면 제4 제상운전을 종료한다(단계(S37)).
그리고, 제3 제상운전, 제1 제상운전, 제2 제상운전, 및 제4 제상운전의 실행 중, 압축기(51)를 정지하고 있고 냉동공간(40)이 냉각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4 제상운전이 종료되면, 제어부(61)는 냉동냉각운전을 개시하고(단계(S38)), 고내온도(TF)가 소정 온도(TFoff)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냉동공간(40)을 냉각한 후(단계(S39), 냉장냉각운전을 개시하고(단계(S40)), 고내온도(TR)가 소정 온도(TRoff)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냉장공간(20)을 냉각한다(단계(S4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제상운전에서 증발기(56)에 부착되는 성에나, 증발기(56) 내에 잔존하는 냉매의 냉열을 이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냉장공간(20) 내를 냉각할 수 있고 또한 증발기(56)의 온도를 상승시켜 제상히터(63)를 통전하는 제1 제상운전이나 제4 제상운전의 실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4 제상운전에서 증발기(56)에 부착되는 성에를 완전히 녹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3 제상운전의 직전에 실행하는 냉각운전은 냉장냉각운전, 냉동냉각운전, 및 동시냉각운전 중 어느 냉각운전이어도 좋지만, 제3 제상운전의 직전에 냉동냉각운전을 실행하고, 냉동냉각운전의 종료 후에 제3 제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냉각운전의 종료후에 제3 제상운전으로 이행함으로써 제3 제상운전개시시의 증발기(56)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3 제상운전에서의 냉장공간(20)의 냉각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하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냉장고 11: 냉장고 본체
12: 단열칸막이벽 20: 냉장공간
21: 칸막이판 22: 냉장실
23: 수납용기 24: 야채실
25: 냉장실문 27: 냉장온도센서
30: 증발기실 31: 증발기팬
32: 냉장댐퍼 33: 냉장덕트
35: 냉동댐퍼 36: 냉동덕트
40: 냉동공간 42: 소형 냉동실
43: 냉동실 48: 냉동온도센서
50: 냉동사이클 51: 압축기
52: 응축기 54: 캐필러리 튜브
56: 증발기 60: 기계실
61: 제어부 62: 증발기 온도센서
63: 제상히터 64: 메모리

Claims (5)

  1. 냉장공간과, 냉동공간과,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공급되고 상기 냉장공간 및 상기 냉동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장공간 및 상기 냉동공간에 송풍하는 증발기팬과,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장공간에 공급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냉장댐퍼와,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동공간에 공급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냉동댐퍼와, 상기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가열하는 제상히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증발기팬, 상기 냉장댐퍼, 상기 냉동댐퍼, 및 상기 제상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고 상기 냉장댐퍼를 개방상태로 하며, 상기 냉동댐퍼를 폐쇄상태로 하고 상기 증발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증발기 중 적어도 일부가 성에의 융해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상히터를 통전상태로 하는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한 후,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고 상기 냉장댐퍼를 개방상태로 하며, 상기 냉동댐퍼를 폐쇄상태로 하고, 상기 증발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제상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는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상운전의 실행중에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성에의 융해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제상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제2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냉장고.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상운전의 실행중에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성에의 융해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제상운전을 종료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댐퍼를 개방상태로 하고 나서 구동중의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여 상기 제1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냉장고.
KR1020157000120A 2012-06-29 2013-04-30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101668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7253A JP5854937B2 (ja) 2012-06-29 2012-06-29 冷蔵庫
JPJP-P-2012-147253 2012-06-29
PCT/JP2013/002881 WO2014002357A1 (ja) 2012-06-29 2013-04-30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676A true KR20150029676A (ko) 2015-03-18
KR101668302B1 KR101668302B1 (ko) 2016-10-24

Family

ID=4978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8302B1 (ko) 2012-06-29 2013-04-30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854937B2 (ko)
KR (1) KR101668302B1 (ko)
CN (1) CN104412054B (ko)
MY (1) MY184728A (ko)
TW (1) TWI529359B (ko)
WO (1) WO2014002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918B (zh) * 2018-01-31 2021-10-26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CN110375509A (zh) * 2018-04-13 2019-10-2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滑轨仓的冰箱
JP7534069B2 (ja) * 2018-12-10 2024-08-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0440502B (zh) * 2019-08-28 2024-02-06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化霜增湿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944771B (zh) * 2019-11-26 2023-09-29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风冷设备的控制方法及风冷设备
CN112484377B (zh) * 2020-11-23 2021-07-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风门的防冻结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冰箱
CN116499173A (zh) * 2022-01-19 2023-07-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571A (ja) * 1996-09-09 1998-03-31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101005A (ja) * 2002-09-06 2004-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JP2005037010A (ja) * 2003-07-16 200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JP2009293897A (ja) * 2008-06-09 2009-12-17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1002141A (ja) 2009-06-18 2011-01-06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965A (en) * 1985-12-27 1987-09-01 Whirlpool Corporation Adaptive defrost control for a refrigerator
KR930004397B1 (ko) * 1987-02-12 1993-05-27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JPH0682141A (ja) * 1992-09-02 1994-03-2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571A (ja) * 1996-09-09 1998-03-31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101005A (ja) * 2002-09-06 2004-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JP2005037010A (ja) * 2003-07-16 200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JP2009293897A (ja) * 2008-06-09 2009-12-17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1002141A (ja) 2009-06-18 2011-01-06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2054A (zh) 2015-03-11
TWI529359B (zh) 2016-04-11
MY184728A (en) 2021-04-20
TW201400776A (zh) 2014-01-01
KR101668302B1 (ko) 2016-10-24
CN104412054B (zh) 2016-08-10
WO2014002357A1 (ja) 2014-01-03
JP5854937B2 (ja) 2016-02-09
JP2014009893A (ja)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302B1 (ko) 냉장고
EP257897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0578123C (zh) 冰箱
KR10272327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11038715A (ja) 冷蔵庫
KR10272596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08075964A (ja) 冷却装置の除霜装置
US1154974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2019138510A (ja) 冷蔵庫
KR20190050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997535B (zh) 冰箱
JP6143458B2 (ja) 冷蔵庫
CN101995131A (zh) 冰箱
JP5380214B2 (ja) 冷蔵庫
JP5931606B2 (ja) 冷蔵庫
JP2012042140A (ja) 冷蔵庫
JP5656494B2 (ja) 冷蔵庫
JP2020122607A (ja) 冷蔵庫
JP2014005953A (ja) 冷蔵庫
KR1017232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99969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5308241B2 (ja) 冷却貯蔵庫
JP2007132571A (ja) 冷蔵庫
KR20090078388A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JP201028149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