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9653A -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653A
KR20150029653A KR1020147036512A KR20147036512A KR20150029653A KR 20150029653 A KR20150029653 A KR 20150029653A KR 1020147036512 A KR1020147036512 A KR 1020147036512A KR 20147036512 A KR20147036512 A KR 20147036512A KR 20150029653 A KR20150029653 A KR 2015002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ressing force
belt
pressurization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0529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296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65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2Means for controlling a set of similar massage devices acting in sequence at different locations on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A63B2208/05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high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 A63B2213/006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under hypoxy conditions, i.e. oxygen supply subnor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4/00Training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매우 용이하게 혈관 강화를 실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져서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벨트와, 벨트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이다. 제어 장치는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한다. 이들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반복에 의해,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한다.

Description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CONTROL SYSTEM AND VASCULAR STRENGTHENING METHOD}
본 발명은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혈류 저해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근육의 증강을 행할 수 있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이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근력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긴체구로 사용자의 사지(팔이나 다리)의 소정 부위를 조여 근육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근육 증강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사지의 소정 부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가압 근력 트레이닝의 효과를 향상시킴과 함께, 가압 근력 트레이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2670421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97840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식생활의 흐트러짐이나 운동 부족 등에 기인하여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의 혈관 계통의 질병을 앓는 사람이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혈관 강화(혈관의 탄력성의 향상 등)를 도모하기 위한 연구가 의료 분야 등에 있어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발전시킴으로써, 혈관 강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매우 용이하게 혈관 강화를 실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져서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벨트와, 벨트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며, 제어 장치는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사용자의 사지(팔이나 다리)의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이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벨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대한 가압ㆍ제압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혈관의 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부재와,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소정의 관을 통해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압력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을 실현시키는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을 10 내지 30초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벨트와,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1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함과 함께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3 내지 5회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폭 치수가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벨트와,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함과 함께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5회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에,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은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지도록 구성된 벨트를 사용하여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공정과, 가압 공정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사용자의 사지(팔이나 다리)의 특정 부분에 감겨지도록 구성된 벨트를 사용하여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공정과, 이 가압 공정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벨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대한 가압ㆍ제압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혈관의 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혈관 강화 방법은, 어디까지나 「혈관(혈관도 근육임)」의 강화에 관한 발명(말하자면, 「근력 트레이닝」에 깊은 관련성을 갖는 발명)이고, 의사 등에 의해 환자에 대해 사용되는 의료 행위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상의 이용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부재와,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소정의 관을 통해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압력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계속 시간을 10 내지 30초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된 벨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고, 이 가압력을 1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3 내지 5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 폭 치수가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된 벨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고, 이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5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가압 공정을 복수회 실시할 때에, 각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용이하게 혈관 강화를 실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긴체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팔용 긴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리용 긴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의 내부에 생성되는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혈관 강화 방법에 있어서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적용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의 구체예와,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혈관 강화 방법(이하, 「혈관 트레이닝」이라고 칭함)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은 긴체구(100)와,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체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긴체구(100)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긴체구(100)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체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보다 상세하게는 4개)로 되어 있다. 긴체구(100)가 4개로 되어 있는 것은,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양손, 양발에 대해 가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체구(100) 중, 긴체구(100A)는 팔용의 것(팔에 감아서 팔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고, 긴체구(100B)는 다리용의 것(다리에 감아서 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긴체구(100)의 수는 반드시 4개일 필요는 없고, 1개 이상이면 몇 개이든 상관없다. 팔용 긴체구(100A)와 다리용 긴체구(100B)는 반드시 동수일 필요는 없다. 복수인에 대해 한번에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긴체구(100)는 4개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체구(100)는 사지 중 어느 하나의 근육의 특정 부분의 외주를 둘러싸는 것이고, 근육의 특정 부분을 조임으로써 그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팔 또는 다리의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체구(100)는 기본적으로, 벨트(110), 가스 주머니(120) 및 형상 유지 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110)는 긴체구(100)가 감겨지는 특정 부분(예를 들어, 팔의 근원부 부근 또는 다리의 근원부 부근 중, 외부로부터 조임을 행함으로써 혈류의 저해를 일으키는 데 적절한 부분)에 감겨지는 것이면, 그 상세를 묻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성은 없지만, 신축성을 구비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네오프렌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의 길이는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긴체구(100)가 감겨지는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벨트(110)의 길이는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보다 길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의 길이는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의 2배 이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팔용 긴체구(100A)의 벨트(110)의 길이는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팔의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가 26㎝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90㎝로 되어 있다. 또한, 다리용 긴체구(100B)의 벨트(110)의 길이는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다리의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가 45㎝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145㎝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10)의 폭 치수는 긴체구(100)가 감겨지는 특정 부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팔용 긴체구(100A)의 벨트(110)이면 폭 치수를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고, 다리용 긴체구(100B)의 벨트(110)이면 폭 치수를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가스 주머니(120)는 벨트(11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는 벨트(110)의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무엇보다, 가스 주머니(120)의 벨트(110)로의 설치 방법은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내부를 중공으로 구성한 벨트(110)의 내부에, 가스 주머니(120)를 설치하는 것 등을 해도 된다.
가스 주머니(120)는, 또한,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그 일단부가 벨트(110)의 일단부[도 2에서는 벨트(110)의 하단부] 부근에 일치하도록 하여 벨트(110)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 주머니(120)는 기밀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기밀한 주머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는, 예를 들어 망셰트에 사용되는 고무 주머니와 동일한 신축성을 구비한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면 충분하다.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체구(100)가 감겨지는 특정 부분의 외주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팔용 긴체구(100A)의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25㎝이고, 다리용 긴체구(100B)의 가스 주머니(120)의 길이는 44㎝로 되어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의 폭 치수는 긴체구(100)가 감겨지는 특정 부분을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팔용 긴체구(100A)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의 폭 치수를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다리용 긴체구(100B)의 가스 주머니(120)의 폭 치수를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120)에는 가스 주머니(120) 내부와 연통하는 접속구(121)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고무 튜브 등의 적당한 관에 의해 구성되는 접속관(300)을 통해,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접속구(121)를 통해, 가스 주머니(120) 안에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가 송입되거나, 또는 가스 주머니(120) 중의 기체가 외부로 빠지게 된다.
형상 유지 부재(130)는 벨트(110)를 특정 부분에 감은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벨트(110)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형상 유지 부재(130)는 벨트(110)에 있어서의 가스 주머니(120)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벨트(110)의 타단부[도 2에서는, 벨트(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면 파스너이다. 형상 유지 부재(130)는 가스 주머니(1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벨트(110)의 전체면의 어디라도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110)를 특정 부분에 감고, 형상 유지 부재(130)에 의해 벨트(110)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120)로 공기가 송입되면, 긴체구(100)가 근육을 조여,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반대로, 그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가 빠지면, 긴체구(100)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이 작아진다.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는 가스 주머니(120)에 기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는 가스 주머니(120)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혹은 기체를 제거하는 것에 대한 자동적인 제어를 행한다. 가스 주머니(120)에 기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술한 자동적인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면,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의 구성은 어떤 것이어도 된다.
일례가 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는 4개의 펌프(210)와, 제어 장치(2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그 내부에 펌프(210) 및 제어 장치(220)를 내장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의 외측에는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그 도시는 생략한다.
4개의 펌프(210)는 4개의 긴체구(100)와 각각 대응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210)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력 조정 수단에 상당한다.
펌프(210)는 그 주위에 있는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를 도입하고, 이것을 후술하는 펌프 접속구(211)를 통해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펌프(210)는, 또한, 밸브(212)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212)를 개방함으로써, 펌프(2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개의 펌프(210)는 모두, 펌프 접속구(211)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접속된 접속관(300)과, 접속구(121)를 통해, 가스 주머니(120)로 접속되어 있다. 펌프(210)가 기체를 보내면, 가스 주머니(120)에 기체가 공급되고, 펌프(210)가 밸브(212)를 개방하면 가스 주머니(120)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밸브(212)는 반드시 펌프(210)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펌프(210)로부터 가스 주머니(120)에 이르는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펌프(210)에는,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압력계가 내장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펌프(210) 내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210) 내의 기압은 당연히 가스 주머니(120) 내의 기압과 동등하다.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220)는 밸브(212)를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210)를 구동시켜 공기를 긴체구(100)의 가스 주머니(120)로 보내거나, 혹은 펌프(210)가 구비하는 밸브(212)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120) 내의 공기를 뺀다는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 장치(220)는 밸브(212)의 개폐를 포함한 펌프(210)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220)는 긴체구(100)의 벨트(110)에 의해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펌프(21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반복에 의해,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 수 있다.
제어 장치(220)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 6에 도시한다. 제어 장치(220)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고, CPU(401), ROM(402), RAM(403), 인터페이스(404)를 버스(405)로 접속하여 구성된 것이다.
CPU(401)는 중앙 처리부이고, 제어 장치(22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ROM(402)은 제어 장치(220)에서 실행되는 후술하는 처리를 행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CPU(401)는 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처리의 실행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ROM(402)은 플래시 ROM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ROM(402) 외에, 혹은 ROM(402)과 함께, 상술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다른 기록 매체를 제어 장치(220)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RAM(403)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404)는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또한 제어 장치(220)로부터의 지시를 4개의 펌프(210)의 각각으로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CPU(401)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22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블록이 생성된다. 제어 장치(220)에는 입력 정보 해석부(411),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 출력 제어부(414), 제어부(415)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는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인터페이스(404)로부터 접수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는 것이다. 입력 정보 해석부(411)가 해석한 내용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 또는 제어부(415)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는 밸브(212)의 개폐를 포함한 펌프(21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입력 정보 해석부(411)로부터 접수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는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로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로부터 접수한 제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에는 4개의 펌프(210)의 각각에 대응된 제어 데이터가 1조로 되도록 하여 기록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에는 4개의 펌프(210)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1조로 한 것을 복수조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1조의 데이터는 혈관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양팔과 양다리의 가압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 복수조의 데이터는 복수인분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누가 혈관 트레이닝을 행할 것인지에 따라서 그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데이터를 호출하도록 한다. 복수조의 데이터는, 또한,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특정한 1인에 대한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1인이 몸 상태에 따라서 다른 데이터를 호출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복수조의 데이터를 상술한 양쪽의 사용법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415)는 입력 정보 해석부(411),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 출력 제어부(414)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모드의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415)는, 또한, 혈관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로부터 1조의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을 출력 제어부(414)로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출력 제어부(414)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210)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출력 제어부(414)에 펌프(210)를 제어하게 하면서, 혈관 트레이닝이 실시된다.
계속해서, 도 8의 플로우차트 등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혈관 트레이닝(혈관 강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혈관 강화용 제어 데이터를 작성한다(제어 데이터 작성 공정:S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는 설정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의 작성은 설정 모드에서 행해진다. 설정 모드와 트레이닝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입력은 입력 장치에 의해 행한다. 입력 장치로부터 설정 모드와 트레이닝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그것을 접수한 입력 정보 해석부(411)는 그 정보를 제어부(415)로 보낸다. 그것에 의해, 제어부(415)가 설정 모드 또는 트레이닝 모드를 개시한다.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에서는 설정 모드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 입력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를 거쳐서,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로 보내진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412)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로 보낸다.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는 그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데이터는 4개의 펌프(210)의 각각에 대응한 4개의 데이터가 1조로 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는 펌프(210) 내의 기압을, 경시적으로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펌프(210) 내의 기압을, 경시적으로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가 1조인 제어 데이터를 복수조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에 기록하므로, 필요한 횟수만큼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위 오더 메이드로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각 개인에게 적합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데이터는 대표적이거나, 혹은 범용적인 것을,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의 출하 시에 미리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에 기록해 두어도 된다.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에 미리 기록해 두는 제어 데이터는 1개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제어 데이터가 생성되면,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와 긴체구(100)를, 접속관(300)을 통해 접속한다(장치 접속 공정:S2). 계속해서, 긴체구(100)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고, 형상 유지 부재(130)로 특정 부분에 고정한다(긴체구 감기 공정:S3). 이 상태에 있어서는, 특정 부분에는 대부분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부분은 양 팔의 근원부 부분과 양 다리의 근원부 부분이다.
이 상태에서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를 트레이닝 모드로 하여 혈관 트레이닝을 행한다. 트레이닝 모드가 개시되면,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은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자신용의 4개가 1조로 된 제어 데이터를 선택한다(제어 데이터 선택 공정:S4). 자신용의 제어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에는, 자신의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제어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제어 데이터의 선택도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행한다.
입력 장치에 의해 어떤 제어 데이터를 선택할 것인가 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이 정보는 인터페이스(404), 입력 정보 해석부(411)를 거쳐서, 제어부(415)로 보내진다. 제어부(415)는 이 정보에 의해 선택된 제어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기록부(413)로부터 판독하여 출력 제어부(414)로 보낸다. 출력 제어부(414)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펌프(210)를 제어한다(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S5). 펌프(210)는 압력계로 펌프(210) 내의 기압을 측정하면서, 펌프(210) 내의 기압을, 제어 데이터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으로 유지한다.
여기서,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 S5에 있어서, 어떻게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을 실현시킬 것인가 하는 것을, 도 9 및 도 10의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혈관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팔에 대해 부여해야 할 가압력(적정압)은 150 내지 160㎜Hg, 다리의 적정압은 250 내지 260㎜Hg인 것으로 한다.
도 9는 긴체구(100)의 벨트(110)에 의해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220)가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적정압(약 15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적정압을 약 10초간 유지한다(팔 가압 공정;S51).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적정압(약 15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한다(팔 제압 공정:S52). 그리고, 제어 장치(220)는 이들 팔 가압 공정 S51 및 팔 제압 공정 S52를 복수회(예를 들어, 양 공정을 3회씩) 반복한다.
도 10은 긴체구(100)의 벨트(110)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220)가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적정압(약 25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적정압을 약 15초간 유지한다(다리 가압 공정:S53).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적정압(약 25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5초간 유지한다(다리 제압 공정:S54). 그리고, 제어 장치(220)는 이들 다리 가압 공정 S53 및 다리 제압 공정 S54를 복수회(예를 들어, 양 공정을 5회씩)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사지(팔이나 다리)의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이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110)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벨트(11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대한 가압ㆍ제압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혈관의 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는, 가압 동작과 제압 동작을 교대로 복수회 반복하도록 벨트(110)에 의해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자율 신경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가압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교감 신경의 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편, 제압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활성시킬 수 있으므로, 가압 동작과 제압 동작의 반복에 의해, 사용자의 자율 신경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혈관 트레이닝의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을, 팔의 경우에 약 10초로 하고, 다리의 경우에 약 15초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체격이나 트레이닝 시에 있어서의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을, 각각 20 내지 30초 정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 동작의 계속 시간과, 제압 동작의 계속 시간을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혈관 트레이닝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 부여하는 가압력을, 각각 적정압(팔의 경우에 약 150㎜Hg, 다리의 경우에 약 250㎜Hg)으로 설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혈관 트레이닝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 부여하는 가압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트레이닝 시에 있어서의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정압보다 약간 낮은 가압력(팔의 경우에 약 100㎜Hg, 다리의 경우에 약 200㎜Hg)을 부여하거나, 적성압보다 약간 높은 가압력(팔의 경우에 약 200㎜Hg, 다리의 경우에 약 300㎜Hg)을 부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혈관 트레이닝의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팔의 경우에 3회로 하고, 다리의 경우에 5회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체격이나 트레이닝 시에 있어서의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팔의 경우와 다리의 경우 양쪽 모두 10회 정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를 구비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여 혈관 트레이닝(혈관 강화 방법)을 실시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지 않고, 혈관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스트럭터가, 혈관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사람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벨트(110)를 감아서 소정의 가압력을 특정 부분에 부여하고(가압 공정), 그 가압 공정을 일정 시간 계속한 후에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제압 공정), 이들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트레이닝 실시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도 1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자기의 팔에 벨트(110)를 감아서 혈관 트레이닝(혈관 강화 방법)을 실시한 결과를 소개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오프렌 고무로 구성되는 벨트(110)(길이 90㎝, 폭 2.5㎝)를 구비하는 팔용 긴체구(100A)를 사용하여 혈관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가스 주머니(120)(길이 25㎝, 폭 2.5㎝)로서는 시판의 고무 주머니를 채용하고, 형상 유지 부재(130)로서는 시판의 면 파스너를 채용하고, 접속관(300)으로서는 시판의 고무 튜브를 채용하였다. 또한,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펌프(210) 및 제어 장치(220)]로서는, KAATSU JAPAN사제의 제품(상품명:「가압 마스터」(등록 상표)]에 혈관 트레이닝용의 새로운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내장한 것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혈관 트레이닝의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 S5에 있어서의 가압 및 제압의 형태를 약간 변경한 것이다(그 밖의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압 동작 및 제압 동작을 실현시킬 것인가 하는 것을, 도 11의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긴체구(100A)의 벨트(110)에 의해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 가압 및 제압 제어 장치(200)의 제어 장치(220)가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일시적인 지혈 상태를 초래하는 한계압(약 35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한계압을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1 가압 공정). 제1 가압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바닥 상태를 육안으로 봄과 함께 자신의 팔의 맥을 측정함으로써, 자신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서 지혈 상태가 초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한계압(약 35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1 제압 공정).
계속해서,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약 28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압력을 약 15초간 유지하였다(제2 가압 공정).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약 28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2 제압 공정).
계속해서,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약 30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압력을 약 15초간 유지하였다(제3 가압 공정).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약 30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3 제압 공정).
계속해서,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약 32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압력을 약 15초간 유지하였다(제4 가압 공정).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약 32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4 제압 공정).
계속해서,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약 34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압력을 약 15초간 유지하였다(제5 가압 공정).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약 34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키고(즉,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상태를 약 10초간 유지하였다(제5 제압 공정).
계속해서,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0㎜Hg으로부터, 사용자의 한계압을 초과하는 약 360㎜Hg까지 증대시키고, 그 압력을 약 20초간 유지하였다(제6 가압 공정). 제6 가압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바닥 상태를 육안으로 봄과 함께 자신의 팔의 맥을 측정함으로써, 자신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서 일시적인 지혈 상태가 초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2, 제3, 제4 및 제 5 가압 및 제압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침으로써,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가 증가하여 혈관의 탄력성이 상승한 결과, 사용자의 한계압(지혈 상태를 초래하는 가압력)이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제어 장치(220)는 펌프(210)를 제어함으로써, 약 5초간 걸려서,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약 360㎜Hg으로부터 0㎜Hg까지 저감시켜 혈관 트레이닝을 종료하였다.
이상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이 가압 동작에 의해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110)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혈관을 강화할(혈관의 탄력성을 상승시킬) 수 있던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실시 형태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상기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110 : 벨트
120 : 가스 주머니
130 : 형상 유지 부재
210 : 펌프(압력 조정 수단)
220 : 제어 장치
S51 : 팔 가압 공정
S52 : 팔 제압 공정
S53 : 다리 가압 공정
S54 : 다리 제압 공정

Claims (34)

  1.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져서 상기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상기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상기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고, 복수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에,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부재와,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소정의 관을 통해 상기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상기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을 실현시키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을 10 내지 30초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100 내지 2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3회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4회 또는 5회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폭 치수가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5회로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12. (삭제)
  13.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지도록 구성된 벨트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공정과, 상기 가압 공정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일산화질소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상기 혈관을 강화하는 혈관 강화 방법(의료 행위를 제외함)이며,
    상기 가압 공정을 복수회 실시할 때에, 각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부재와,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소정의 관을 통해 상기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상기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압력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을 실시하는, 혈관 강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의 각 계속 시간을 10 내지 30초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는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된 상기 벨트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혈관 강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100 내지 2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3회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4회 또는 5회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21.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는 폭 치수가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된 상기 벨트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혈관 강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의 각 실시 횟수를 5회로 설정하는, 혈관 강화 방법.
  24. (삭제)
  25.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감겨져서 상기 특정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벨트를 구비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상기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상기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을 제어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복수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에,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은 상기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부재와, 상기 벨트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소정의 관을 통해 상기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상기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압력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을 실현시키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계속 시간을 10 내지 30초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것이고,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100 내지 2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3회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폭 치수가 2.5 내지 3㎝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것이고,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4회 또는 5회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2.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폭 치수가 5 내지 6㎝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근원부 부분에 감겨지는 것이고,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200 내지 300㎜Hg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및 제압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가압 동작 및 상기 제압 동작의 각 실시 횟수를 5회로 설정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4. 가스 주머니가 설치된 벨트와,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곳의 특정 부분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파스너와, 소정의 관을 통해 상기 가스 주머니로의 기체의 공급 및 상기 가스 주머니로부터의 기체의 제거를 행하는 펌프와,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상기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벨트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고, 복수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에,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인,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KR1020147036512A 2012-06-28 2013-03-08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Ceased KR20150029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5824 2012-06-28
JP2012145824 2012-06-28
JPJP-P-2012-215586 2012-09-28
JP2012215586A JP5255722B1 (ja) 2012-06-28 2012-09-28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PCT/JP2013/056522 WO2014002531A1 (ja) 2012-06-28 2013-03-08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血管強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653A true KR20150029653A (ko) 2015-03-18

Family

ID=490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512A Ceased KR20150029653A (ko) 2012-06-28 2013-03-08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775619B2 (ko)
EP (1) EP2868303A4 (ko)
JP (1) JP5255722B1 (ko)
KR (1) KR20150029653A (ko)
CN (1) CN104519851A (ko)
AU (1) AU2013282510B2 (ko)
BR (1) BR112014032655B1 (ko)
CA (1) CA2874575C (ko)
HK (2) HK1208340A1 (ko)
MY (1) MY167255A (ko)
RU (1) RU2618441C9 (ko)
SG (1) SG11201408021UA (ko)
TW (1) TWI510215B (ko)
WO (1) WO2014002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412A (ko) * 2017-12-29 2019-07-0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제한 조정용 근육트레이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5099090A1 (ja) * 2013-12-26 2017-03-23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血管内皮機能改善装置
WO2016006055A1 (ja) * 2014-07-09 2016-01-14 Kaatsu Japan株式会社 筋肉増強方法
WO2016011538A1 (en) 2014-07-25 2016-01-28 Western Clinical Engineering Ltd. Tourniquet system for personalized restriction of blood flow
JP6548177B2 (ja) * 2015-11-11 2019-07-24 有限会社ヒューマンリンク 適正圧決定装置、適正圧決定システム、適正圧を決定する方法
US20170224357A1 (en) * 2016-02-10 2017-08-10 Robert Tremaine Whalen Barrel Inflatable Belt
JP6635548B2 (ja) * 2016-03-15 2020-01-29 正和 兵藤 筋肉増強方法及び筋肉増強装置
US11504294B2 (en) * 2016-05-26 2022-11-22 Arjo Ip Holding Ab Compression therapy system and method
DE102016112484B3 (de) * 2016-07-07 2017-11-02 Mybimaxx Gmbh Bandeinheit sowie Verfahren und Verwendung hierzu
US20180021210A1 (en) 2016-07-19 2018-01-25 James Stray-Gundersen Efficacy based feedback system for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JP6864295B2 (ja) * 2018-02-28 2021-04-28 学校法人日本医科大学 生体内no産生装置
CN117357387A (zh) * 2018-10-19 2024-01-09 侒捷祐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仅大腿的深静脉血栓装置以及使用装置的双脉冲方法
CA3167610A1 (en) * 2020-02-20 2021-08-26 Fu-Liang Yang High efficiency external counter pulsation system and method of treatment using the system
JP7592266B2 (ja) 2021-04-20 2024-12-02 有限会社ヒューマンリンク 血管トレーニング装置、方法、血管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659074A1 (ru) * 1989-04-06 1991-06-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изической Культуры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спортсменов в беге
JPH04276234A (ja) 1991-03-01 1992-10-01 Colleen Denshi Kk オシロメトリック型自動血圧測定装置
EP0861652B1 (en) * 1991-12-17 2002-04-17 Kinetic Concepts, Inc. Pneumatic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s for use in the medical field
JP2670421B2 (ja) 1993-11-22 1997-10-29 株式会社ベストライフ 筋力トレーニング方法
US5738612A (en) * 1996-12-04 1998-04-14 Colin Corporation Exercise apparatus having exercise-load changing function
JP3840816B2 (ja) * 1998-10-02 2006-11-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監視装置
JP2000107146A (ja) * 1998-10-07 2000-04-18 Nippon Colin Co Ltd 血圧監視装置
US6616579B1 (en) * 1999-06-14 2003-09-09 Sensorpad Systems, Inc. Apparatus for isometric exercise
EP1549165B8 (en) * 2002-10-01 2010-10-06 Nellcor Puritan Bennett LLC Use of a headband to indicate tension and system comprising an oximetry sensor and a headband
JP4283065B2 (ja) * 2003-08-21 2009-06-24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増強器具
US7448984B2 (en) * 2003-12-23 2008-11-11 Loyal Chow Passive exercise apparatus
JP2006110045A (ja) * 2004-10-14 2006-04-27 Terumo Corp 空圧マッサージ装置
JP4597840B2 (ja) * 2005-11-04 2010-12-1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制御方法
JP2008161418A (ja) 2006-12-28 2008-07-17 Terumo Corp 携帯型エアマッサージ装置
JP4921983B2 (ja) * 2007-01-09 2012-04-2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US9545536B2 (en) * 2008-04-17 2017-01-17 Sato Sports Plaza Co., Ltd. Training apparatus, control segment for training, and control method
US20120083712A1 (en) 2010-09-30 2012-04-05 Tyco Healthcare Group Lp Monitoring Compliance Using Venous Refill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412A (ko) * 2017-12-29 2019-07-0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제한 조정용 근육트레이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0560A1 (en) 2015-06-04
WO2014002531A1 (ja) 2014-01-03
HK1208340A1 (en) 2016-03-04
CA2874575A1 (en) 2014-01-03
JP2014028109A (ja) 2014-02-13
RU2618441C9 (ru) 2017-08-29
SG11201408021UA (en) 2015-01-29
AU2013282510A1 (en) 2015-01-22
RU2618441C2 (ru) 2017-05-03
JP5255722B1 (ja) 2013-08-07
EP2868303A1 (en) 2015-05-06
TWI510215B (zh) 2015-12-01
AU2013282510B2 (en) 2017-07-13
AU2013282510A2 (en) 2015-04-23
RU2015102451A (ru) 2016-08-20
CA2874575C (en) 2017-09-12
EP2868303A4 (en) 2016-03-30
HK1208617A1 (en) 2016-03-11
BR112014032655B1 (pt) 2021-12-14
CN104519851A (zh) 2015-04-15
BR112014032655A2 (pt) 2017-06-27
MY167255A (en) 2018-08-14
US9775619B2 (en) 2017-10-03
TW201404354A (zh) 201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9653A (ko) 가압 및 제압 제어 시스템 및 혈관 강화 방법
TWI381865B (zh) Pressure trai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6442573B2 (ja) 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
KR100782635B1 (ko) 가압 근력 증강 장치 및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JP5121077B2 (ja) 加圧筋力トレーニング用のベルト
AU2007310293B2 (en) Therapeutic system, therapeutic device, and control method
RU24688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контролле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KR101154664B1 (ko)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JP2007125254A5 (ko)
JP2015033565A (ja) 血流制限電気刺激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医療用装置並びに筋肉増強方法
WO2022224518A1 (ja) 血管トレーニング装置、方法、血管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HK1155682B (en) Train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or training, and method for control
HK1137643B (en) Therapeutic system, therapeu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6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413

Appeal identifier: 2016101004168

Request date: 201607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1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15

Effective date: 2018041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715

Decision date: 20180413

Appeal identifier: 2016101004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