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908A - Carrier for moving block - Google Patents
Carrier for moving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5908A KR20150015908A KR1020130091945A KR20130091945A KR20150015908A KR 20150015908 A KR20150015908 A KR 20150015908A KR 1020130091945 A KR1020130091945 A KR 1020130091945A KR 20130091945 A KR20130091945 A KR 20130091945A KR 20150015908 A KR20150015908 A KR 201500159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block
- boom
- extended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박을 건조하기 위한 블록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블록이 적재되되 연장이 가능한 블록 이동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는, 수평 구조의 빔 형태로서, 상기 블록이 적재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block for drying a ship is moved, a block movable carrier on which the block is loaded is provided. The block transporting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horizontal beam shape, the block being stacke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이동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ransfer carrier.
일반적으로 배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빚어지는 영업상의 채산성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을 좌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배의 건조과정에서의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사들은 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선박건조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블록건조법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shipbuilding industry, which consists of designing, building and delivering, starting with the order of the ship, will make the survival and success of the industry.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such profitability is productivity in the shipbuilding process, and all shipbuilders compete to improve this productivity. For this reason, various shipbuild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block drying methods are generally used in recent years.
구체적으로, 블록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개 혹은 수백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내는 방법이다.Specifically, the block drying method divides the hull into dozens or hundreds of blocks, assembles the individual blocks on the ground, and sequentially assembles the blocks into a single hull.
위와 같은 블록건조법에 따른 선박 건조는 크게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을 포함한 내업 제작 공정과, 대조립된 대조 블록의 선탑재(PE, Pre-Erection), 도크 블록 탑재를 포함한 외업 제작 공정에 이르는 전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The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block drying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ternal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a sub-assembly, a middle lining and a large assembly, an external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a pre-erection of a large assembled control block and a dock block Is carried out through the entire process.
블록건조법에 있어서, 블록의 하면에 특정 작업을 진행한다거나 블록을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 캐리어(carrier) 위에 블록을 적재하여 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작업을 진행하거나 이동을 실시한다.In the block drying method, when a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block, or when a block is moved to a specific place, a block is loaded on a carrier to move the block away from the ground and then proceed or move.
현재, 대략 10 m 내외의 길이를 가지는 캐리어에 블록을 적재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블록 길이가 20 m 가 넘는 경우에는 블록의 오버행(overhang) 길이가 늘어나 해당 블록의 두께가 얇거나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휨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At present, although a block is loaded on a carrier having a length of about 10 m or more, for example, if the block length is more than 20 m, the overhang length of the block is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block is thin or the strength is low It may cause damage such as warpage.
또한, 블록을 적재하여 이동할 때, 캐리어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으면 해당 블록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전 등을 할 때에 불안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ock is loaded and moved, if the length of the carrier is not sufficiently long, the block can 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연장이 가능한 블록 이동용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movable carrier which can be extended as required.
또한, 블록을 적재한 채 이동할 경우, 주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rier capable of ensuring driving stability when the block is moved while being loaded.
또한, 블록을 적재할 경우, 블록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arrier that can prevent damage to a block in advance when the block is loa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 이동용 캐리어는, 수평 구조의 빔 형태로서 상기 블록이 적재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moving carrier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block is loaded and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s the main body portion, .
이 때,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압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유압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연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a hydraulic devic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an extension par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capable of protruding outside the main body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devic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형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다단붐이 더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ulti-stage boom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main body.
이 때, 상기 다단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 중 최내곽에 위치하는 붐대의 내부는 비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boom bar located at the innermost out of the plurality of boom boats constituting the multi-stage boom can be formed to be empty.
또한, 상기 본체부가 연장된 경우, 연장된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body portion is extende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 further supporting the extended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다단붐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 경우, 상기 다단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아래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최상단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가능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단붐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ulti-stage boom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oom stands constituting the multi-stage boom, and the length is vertically arranged below the main body.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ulti-stage boom is formed at the uppermost end thereof with insertion protrusio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연장이 가능한 블록 이동용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movable carrier which can be extended as required.
또한, 블록을 적재한 채 이동할 경우, 주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block is moved while being loa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rier capable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ravel.
또한, 블록을 적재할 경우, 블록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when a block is loa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rier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block in advance.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의 연장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에 보조 지지부가 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carrier for block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xtended view of a carrier for block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are provided in a block-moving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10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100)는 본체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그 내부에 연장부(130)를 포함하여 필요 시 상기 연장부(130)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block-moving
본체부(110)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 구조를 가지는 통상의 거치대로서, 빔(beam)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박 건조용 블록은 이러한 본체부(110) 위에 적재된 상태로 작업이 행해지거나 이동될 수 있다. 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블록의 폭에 따라 도시된 것과 같은 본체부(110)가 블록의 폭을 따라 병렬적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The
본체부(110)의 길이는 블록의 길이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대략 10 m 내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그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므로, 연장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한된 공간 활용을 위해 필요 이상으로 길게 제작되지는 않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지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양단에서 중앙 측으로 일정 거리 치우친 지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본체부(110)를 아래에서 위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0)의 정확한 위치는 본체부(11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위와 같은 본체부(110)와 지지부(120)는 하나의 캐리어(carrier)를 이룰 수 있다. 본체부(110)에 선박 건조용 블록이 적재되고, 그 상태로 블록에 특정 작업이 행해지거나 또 다른 견인수단이 동원되어 캐리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어에 적재된 블록 역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연장부(130)를 배치하여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 연장을 구현하였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내부에는 연장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13)에 연장부(130)가 수용되어 있다가 필요 시 유압장치(140)를 작동하여 연장부(130)를 돌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receiving
유압장치(140)는 유압실린더, 유압펌프, 유압탱크 등 연장부(130)를 본체부(110) 외부로 돌출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1에서는 이러한 유압장치(140)를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The
유압장치(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0)와 함께 본체부(110)의 수용부(113)에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130)의 일측과 연결되어 연장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블록이 본체부(110) 상에 적재되는 것에 제한적으로만 작용하지 않는다면 그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The
또한, 도 1 및 2에서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에만 연장부(130)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타단부에도 동일한 구성을 포함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1 and 2, the
한편,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체부(110)에는 가이드홈(115)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130)에는 가이드돌기(13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135)는 연장부(130)의 하면에, 가이드홈(115)은 수용부(113)의 하면을 구획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었다.1 and 2, a
연장부(135)가 본체부(110) 외부로 돌출되거나 다시 본체부(110) 내부로 인입될 때, 가이드돌기(135)는 가이드홈(115)에 형합될 수 있어 안정적인 돌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The
또한, 가이드돌기(135)는 연장부(130)의 하면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돌기(135)는 가이드홈(115)에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홈(115)의 양측면으로부터 지지를 제공 받을 수 있어 견고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100)에 의하면, 일반적인 블록을 적재할 때에는 기본 길이(연장되지 않았을 때의 본체부(110)의 길이, 통상 10 m 내외)를 유지한 채 작업 또는 이동을 실시하고,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연장부(130)를 본체부(110)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130)에 의해 연장되는 길이는 대략 2 m 에서 4 m 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따라서,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되는 경우, 상기 블록의 일단부 역시 연장부(130)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지지를 제공 받기 때문에, 상기 블록이 얇거나 강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휨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된 채 이동하는 경우, 적재된 상기 블록이 안정적으로 지지를 받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lock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s loaded, the one end of the block is also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200)의 연장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단붐을 이용하여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 연장을 구현하였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양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nded view of a
다단붐은 크레인 등의 차량에 포함되어 그 길이의 신축을 통해 높은 곳에서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높은 곳으로/으로부터 물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multi-stage boom can be used in a vehicle such as a crane for smooth operation at high places through the extension of its length, or it can be used to move objects to / from a high place.
일반적으로, 다단붐은 최외곽 붐대와 상기 최외곽 붐대 내부에 위치하여 각 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를 포함한다. 각 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는 와이어에 의해 신장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윈치와, 와이어의 원활한 작용을 위한 롤러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각 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 각각에 유압실린더가 연결되어 각 붐대는 유압에 의해 신장될 수도 있고, 이러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를 포함한 유압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Generally, the multi-stage boom includes an outermost boom band and a plurality of boom bars located inside the outermost boom band and constituting each stage. The plurality of boom rods constituting each stage can be extended by a wire, and at this time, a winch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and a roller for smoothly operating the wire can also be included. Alternatively, a hydraulic cylinder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oom rods constituting each stage, and each boom rope may be extended by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apparatus including a hydraulic tank and a hydraulic pump for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various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n be basically installed.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200)의 본체부(210)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단붐(215)이 포함될 수 있고, 길이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다단붐(215)은 본체부(210)의 양단을 통해 본체부(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본체부(210)의 연장된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200)에 의하면, 일반적인 블록을 적재할 때에는 기본 길이(연장되지 않았을 때의 본체부(210)의 길이, 대략 10 m 내외)를 유지한 채 작업 또는 이동을 실시하고,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다단부(215)를 본체부(210)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따라서,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되는 경우, 상기 블록의 양단부 역시 본체부(210)의 연장된 부분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지지를 제공 받기 때문에, 상기 블록이 얇거나 강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휨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크기가 비교적 큰 블록이 적재된 채 이동하는 경우, 적재된 상기 블록이 안정적으로 지지를 받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lock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s loaded, the both ends of the block are also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xtended portion of the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200)에 보조 지지부(230)가 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부(120, 220)는 본체부(110, 210)가 연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부(110, 210)를 지지하기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체부(110, 2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더 정확히는 연장부(135) 또는 다단붐(215)의 돌출)에서는 연장된 부분의 자체 중량에 따라 연장된 부분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연장된 부분 상에 블록이 적재됨으로 인해 블록의 중량에 영향을 받아 연장된 부분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본체부(110, 210)가 연장된 경우, 연장된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이동용 캐리어(100, 210)는 본체부(110, 210)의 연장된 부분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다단붐(215)을 통해 본체부(210)의 연장을 구현한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와 같은 보조 지지부(230)를 도 4에 도시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 in which the extension of the
즉, 다단붐(215)이 본체부(210)의 외부로 돌출된 경우, 다단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215a 내지 215e)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관통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4에서는 모든 복수의 붐대(215a 내지 215e)의 하면에 관통홀(216)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That is, when the
또한, 다단붐(215) 아래에는 수직 방향으로 보조 지지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연장된 다단붐(215)의 길이에 따라 다단붐(215)을 지지하기 적합한 지점이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조 지지부(230)의 높이 또한 매번 달라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230)는 그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231), 상기 케이스(231)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이 가능한 지지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1)의 일측에는 케이스(231) 내부에서의 지지체(232)의 위치 고정을 위한 이동제어장치(233)가 구비될 수 있고, 지지체(232)의 상단에는 삽입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230)가 좌측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붐대(215b)를 지지한다고 예를 들 경우, 우선 보조 지지부(230)를 상기 좌측에서 두 번째 붐대(215b) 아래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이동제어장치(233)의 조작을 통해 삽입돌기(234)가 관통홀(216)에 삽입된 후 삽입돌기(234)의 상단이 좌측에서 두 번째 붐대(215b)의 내측에 위치하는 좌측에서 첫 번째 붐대(215a)의 외면에 접할 때까지 지지체(232)를 상승시킨다. 이 때, 관통홀(216)의 폭(또는 직경)과 삽입돌기(234)의 폭(또는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다면, 삽입돌기(234)의 상단은 좌측에서 첫 번째 붐대(215a)에 접하고, 삽입돌기(234)의 측면은 관통홀(216)에 의해 지지 받기 때문에 보조 지지부(230)는 견고하게 다단붐(215)을 지지할 수 있다.4,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supporting
이와 같은 보조 지지부(230)는 도 1 및 2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상술한 보조 지지부(230)와 유사한 취지로, 다단부(215)를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215a 내지 215e) 중 최내곽에 위치하는 붐대(도 3의 실시예에서는 215a)의 내부는 비도록 형성될 수 있다. 최내곽 붐대(215a) 외의 다른 붐대(215b 내지 215e)는 그 내부에 다른 붐대가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내부가 비도록 형성될 것이나, 최내곽 붐대(215a)는 반드시 비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The inside of the boom frame (215a in the embodiment of FIG. 3) located at the innermost out of the plurality of boom stands 215a to 215e constituting the
그러나, 최내곽 붐대(215a) 역시 내부가 비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한다면 다단부(215) 전체의 중량이 상당 부분 감소할 것이고, 따라서 다단부(215)의 자체 중량으로 인한 다단부(215)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inner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200: 블록 이동용 캐리어 110, 210: 본체부
120, 220: 지지부 113: 수용부
115: 가이드홈 130: 연장부
135: 가이드돌기 140: 유압장치
215: 다단붐 216: 관통홀
230: 보조 지지부100, 200: a block-moving
120, 220: Support portion 113:
115: guide groove 130: extension part
135: Guide protrusion 140: Hydraulic device
215: multi-stage boom 216: through hole
230: auxiliary support
Claims (7)
상기 본체부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A beam configuration of a horizontal structure,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a ship drying block is loaded and which can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압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유압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ydraulic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device.
상기 본체부에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형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that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다단붐을 더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ulti-stage boom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e multi-stage boom being protrudable outside the main body.
상기 다단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 중 최내곽에 위치하는 붐대의 내부는 비도록 형성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boom bars constituting the multi-stage boom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side of the boom frame located at the innermost periphery is formed to be empty.
상기 본체부가 연장된 경우, 연장된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for further supporting the extended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extended.
상기 다단붐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 경우, 상기 다단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붐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아래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최상단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가능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단붐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캐리어.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ase where the multi-stage boom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bottom surface of a plurality of boom bars constituting the multi-stage boom, and a vertical length is arranged below the main body,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uppermost end thereof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able in the through hole to support the multi-stage b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945A KR20150015908A (en) | 2013-08-02 | 2013-08-02 | Carrier for moving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945A KR20150015908A (en) | 2013-08-02 | 2013-08-02 | Carrier for moving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908A true KR20150015908A (en) | 2015-02-11 |
Family
ID=5257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945A Ceased KR20150015908A (en) | 2013-08-02 | 2013-08-02 | Carrier for moving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5908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232A (en) * | 2018-09-12 | 2020-03-2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
KR20200045337A (en) * | 2018-10-22 | 2020-05-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
KR102245459B1 (en) * | 2020-08-14 | 2021-04-27 | 박지현 | Underwater propellant device in submarine |
-
2013
- 2013-08-02 KR KR1020130091945A patent/KR2015001590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232A (en) * | 2018-09-12 | 2020-03-2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
KR20200045337A (en) * | 2018-10-22 | 2020-05-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
KR102245459B1 (en) * | 2020-08-14 | 2021-04-27 | 박지현 | Underwater propellant device in submar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15908A (en) | Carrier for moving block | |
JP5982327B2 (en) | Tube unloading apparatus and tube unloading method | |
KR101487298B1 (en) | Multi Riser Crane | |
KR20130060117A (en) | Full guiding system for riser handling of drillship | |
KR101531592B1 (en) | Vessel having container for helideck | |
KR101430740B1 (en) | Lifting device for a boat | |
KR102045022B1 (en) | Vessel block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20130047241A (en) | Lift-type launching device for ship | |
KR101324320B1 (en)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
KR101459618B1 (en) | Semi-submersible heavy weight carrier | |
KR10205567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d Launching Submarine Using Modular Transporter | |
KR101324318B1 (en)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
KR20150059265A (en) | Crane | |
KR101691585B1 (en) | Apparatus for installing a safety boat and vessel comprising the same | |
JP2017013960A (en) | Expandable member | |
KR102248195B1 (en) | Floating structure | |
KR20180041929A (en) | Ship | |
KR102055674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d Launching Submarine Using Modular Transporter | |
KR101475273B1 (en) | Lifting apparatus for liser | |
KR200481292Y1 (en) | Lifting type rov rail and ships, offshore structures having the same | |
KR20140003342U (en) | Apparatus for piling material | |
KR102027274B1 (en) | Ship | |
KR20130002180U (en) | Boom rest for drillship | |
KR102248179B1 (en) | Skid apparatus | |
KR101739392B1 (en) | Installation crane constructing method for the flaretip replacement of ocean structure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