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318B1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Google Patents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4318B1 KR101324318B1 KR1020120006150A KR20120006150A KR101324318B1 KR 101324318 B1 KR101324318 B1 KR 101324318B1 KR 1020120006150 A KR1020120006150 A KR 1020120006150A KR 20120006150 A KR20120006150 A KR 20120006150A KR 101324318 B1 KR101324318 B1 KR 101324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
- transfer point
- lifting unit
- support
- ri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선박용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선박용 이송 시스템은 갑판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선체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을 상기 갑판 상부의 제1전달 지점으로 이송하는 제1리프팅 유닛; 상기 제1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1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달 지점으로 상기 대상물을 전달하는 제2리프팅 유닛; 및 상기 제2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2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고,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의 이송방향에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는 캣 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2전달 지점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A marine transport system is disclosed. The ship transport system includes a first lifting unit for transferring an object located inside the hull through a passage formed in the deck to a first transfer point above the deck; A second lifting unit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unit a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to a second transfer point located above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a cat walk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unit at the second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fting unit. The two transfer points are locate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대상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transporting an object in a ship.
시추선(Drill ship)에는 시추 작업을 위한 관들이 선체에 적재된다. 관들은 서로 연결되어 선체에서 해저 바닥으로 제공되며, 해저 자원 시추에 사용된다. 이러한 관들 중, 라이저는 시추선과 해저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수중 파이프의 일종으로, 해저를 굴착하는 드릴 파이프가 해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 유압 및 냉각 윤활용 머드등을 이송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In the drill ship, pipes for drilling work are loaded into the hull. The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erved from the hull to the bottom of the seabed, which is used for drilling undersea resources. Among these pipes, risers are a kind of underwater pipes installed between the drilling rig and the bottom of the seabed, which are provided as a passage for preventing the drill pipes excavating the seabed from being exposed to the seawater and transporting mud for electric, hydraulic and cooling lubrication.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403호에는 라이저들을 적재한 시추선이 개시된다. 라이저는 선체 내부에 적재되며, 제1크레인 및 제2크레인에 의해 운반되어 선체 외부로 반출된다. 제2크레인은 너클 붐 크레인이 사용되며, 라이저를 캣 워크로 운반한다. 너클 붐 크레인이 캣 워크에 라이저를 운반하는 과정은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므로 작업 시간이 유동적이다. 그리고, 날씨, 작업내역 그리고 주변환경에 따라 작업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라이저가 너클 붐 크레인에 전달되는 과정 및 너클 붐 크레인에서 캣 워크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작업 지체가 발생될 수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1403 discloses a drilling vessel loaded with risers. The riser is loaded inside the hull and is carried by the first crane and the second crane to be carried out of the hull. The second crane uses a knuckle boom crane and carries the riser to the cat walk. The process by which the knuckle boom crane carries the riser to the cat walk is man-operated manually, so the working time is flexible. In addition, the work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weather, the work histor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a work delay may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iser to the knuckle boom crane an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iser to the cat wal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arine transpor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ri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요인에 관계없이 라이저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 system for ships that can perform the riser transfer operation regardless of external facto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갑판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선체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을 상기 갑판 상부의 제1전달 지점으로 이송하는 제1리프팅 유닛; 상기 제1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1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달 지점으로 상기 대상물을 전달하는 제2리프팅 유닛; 및 상기 제2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2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고,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의 이송방향에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는 캣 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2전달 지점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lif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object located inside the hull through the passage formed in the deck to the first transfer point of the upper deck; A second lifting unit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unit a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to a second transfer point located above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a cat walk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unit at the second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fting unit. The two delivery points are provided with a ship transport system positione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리프팅 유닛은 상기 선체 내부의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럭; 상기 고정 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 내부로부터 상기 제1전달 지점으로 이동가능한 승강 블록; 및 상기 승강 블록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ift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lock fixedly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hull; A lifting block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and movable to the first transmission point from the inside of the hull; And it may b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lifting block, and may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은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1전달 지점으로부터 제1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직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중간 지점으로부터 제2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중간 지점은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중간 지점은 상기 제1중간 지점과 수평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lifting unit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A first mo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transfer point to a first intermediate point; And a second moving part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to a second intermediate point, wherein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of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int is the second intermediate point. It can be located on the middle point and the horizontal lin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라이저 요크; 상기 라이저 요크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riser yok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It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iser yoke, and may include support pins inserted into spac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bject.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라이저 요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1중간 시점 사이 구간에서 상기 라이저 요크를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지지하는 지지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part is a wire connected to the riser yoke; A driver for vertically moving the riser yoke in a section between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he first intermediate time point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And it may include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the driver.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1중간 지점과 상기 제2중간 지점 사이 구간에서 상기 지지 블럭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moving unit may horizontally move the support block in a section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가 직선 경로를 따라 이송되므로, 라이저의 이송 거리가 최소화되고 이송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iser is conveyed along a straight path, the rise distance of the riser can be minimized and the transfer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라이저가 이송되므로, 날씨, 작업내역, 그리고 주변환경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라이저를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rise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eather, work histor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cause the riser is transferred by an automate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란 선박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평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리프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리프팅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2리트링 유닛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캣 워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라이저를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lifting unit of FIG. 1.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lifting unit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econd retreating unit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t walk unit of FIG. 1.
7 to 1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iser using the ship transport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 ship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선체는 복수개의 선체 블록(10)들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선체 블록(10)들 각각의 내부에는 보관 공간(11)이 형성된다. 보관 공간(11)에는 대상물(P)이 보관된다. 대상물(P)은 선박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제공되는 각종 장치들을 포함한다. 대상물(P)은 관(pipe)을 포함한다. 관(P)은 시추선(Drill ship)에 적재되는 시추 파이프(Drill pipe), 케이싱, 시추 칼라, 라이저(Riser)등을 포함한다. 시추선에는 선체로부터 해저면까지의 거리 이상의 길이로 연결될 수 있는 관(P)들이 적재된다. 관(P)들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보관 공간(11)에 보관된다. 선체의 갑판(20)에는 통로(21)가 형성된다. 통로(21)는 선체 블록 내부(11)와 외부 공간을 연결한다. 통로(21)는 관(P)의 길이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통로(21)는 선체 블록 내부(11)에 위치한 관(P)이 갑판(2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선체 블럭 내부(11)에 라이저(P)가 적재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적재되는 대상물(P)은 라이저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the hull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선박용 이송 시스템(1000)은 선체 블록 내부(11)에 위치하는 라이저(P)를 갑판(20) 상부로 이송한다. 선박용 이송 시스템(1000)은 수평 이송 유닛(100), 제1리프팅 유닛(200), 제2리프팅 유닛(300), 그리고 캣 워크 유닛(400)을 포함한다. 수평 이송 유닛(100)은 선체 블록 내부(11)에서 라이저(P)를 이송하고, 제1리프팅 유닛(200)은 선체 블록 내부(11)로부터 갑판(20) 상부로 라이저(P)를 이송한다. 제2리프팅 유닛(300)은 제1리프팅 유닛(200)으로부터 라이저(P)를 전달받아 캣 워크 유닛(400)으로 이송하고, 캣 워크 유닛(400)은 작업 영역으로 라이저(P)를 이송한다. 작업 영역은 시추선의 경우, 시추 작업이 이루어지는 문풀을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수평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평 이송 유닛(100)은 선체 블록 내부(11)에 위치한다. 수평 이송 유닛(100)은 지지 블록(110), 가이드 블록(120), 수평 이동 블록(130), 수직 이동 블록(140), 지지핀(150), 수직 구동기(160), 그리고 와이어(17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지지 블록(110)은 선체 블록 내부(11)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 블록(110)은 하단부가 선체 블록(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 블록(110)은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블록(110)은 4개 제공되고,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The
가이드 블록(120)은 지지 블록(110)의 상단에 지지된다. 가이드 블록(120)은 2개 제공되며, 동일 높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블록(12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지지 블록(110)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지지 블록(120)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The
수평 이동 블록(130)은 가이드 블록(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가이드 블록(120)들에 놓인다. 수평 이동 블록(13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가이드 블록(120)에 놓이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가이드 블록(120)에 놓인다. 수평 이동 블록(130)은 구동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블록(120)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수평 이동 블록(130)은 가이드 블록(12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이동 블록(130)에는 수용 공간(131)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31)은 수평 이동 블록(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용 공간(131)은 수평 이동 블록(13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연장되는 개방 공간이다. The horizontal moving
수평 이동 블록(130)의 하부에는 수직 이동 블록(140)이 위치한다. 수직 이동 블록(140)은 그 길이방향이 수평 이동 블록(13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직 이동 블록(140)은 라이저(P)의 길이보다 길게 제공된다. 수직 이동 블록(140)의 양단은 아래로 돌출된다. 수직 이동 블록(140)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핀(150)이 제공된다. 지지핀(140)들은 수직 이동 블록(140)의 양단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다. 지지핀(140)은 수직 이동 블록(1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핀(140)들은 라이저(P)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A)에 삽입된다.The
수직 구동기(160)는 수평 이동 블록(130)의 상단에 설치된다. 수직 구동기(160)는 2개 제공되며, 수평 이동 블럭(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수직 구동기(160)는 윈치(winch)를 포함한다. The
와이어(170)는 수직 구동기(160)와 수직 이동 블록(140)을 연결한다. 와이어(170)는 2개 제공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와이어(170)들은 수직 이동 블록(140)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수직 구동기(160)는 와이어(170)를 풀거나 감는다. 이에 의해 수직 이동 블록(14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The
도 3은 도 1의 제1리프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lifting unit of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리프팅 유닛(200)은 선체 블록 내부(11)에 위치한다. 제1리프팅 유닛(200)은 라이저(P)를 선체 내부로부터 제1전달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제1전달 지점은 갑판(20) 상부에 위치한다. 제1리프팅 유닛(200)은 고정 블록(210)과 승강 블록(220)을 포함한다. 1 and 3, the
고정 블록(210)은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선체 블록(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 블록(210)은 2개 제공되며, 수평 이동 블록(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고정 블록(210)들은 각각, 가이드 블록(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고정 블록(210)들의 사이 거리는 라이저(P)의 길이에 대응한다. The fixing
승강 블록(220)은 고정 블록(210)들 각각에 설치된다. 승강 블록(220)은 고정 블록(2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강 블록(220)은 갑판(20)에 형성된 통로(21)를 지나, 그 상단이 갑판(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승강 블록(220)은 복수 개의 로드(221, 222)들이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강 블록(220)은 2개의 승강 로드(221, 222)로 구성된다. 제1승강 로드(221)는 고정 블록(210)에 직접 설치되며, 고정 블록(2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승강 로드(221)는 그 하단부가 가이드 홈(210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높이까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승강 로드(222)는 제1승강 로드(221)에 설치된다. 제2승강 로드(222)는 제1승강 로드(2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제2승강 로드(222)의 상단에는 받침부(223)가 형성된다. 받침부(223)는 라이저(P)의 하부에서 라이저(P)를 지지한다. 받침부(223)의 상면은 라이저(P)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223)의 상면은 라운드진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받침부(223)는 라이저(P)의 양단을 지지한다. 승강 블록(220)이 상승한 상태에서 받침부(223)는 제1전달 지점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블록(220)이 2개의 승강 로드(221, 222)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공되는 승강 로드(221, 2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승강 로드(221, 222)의 개수는 제1전달 지점의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도 4는 도 1의 제2리프팅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2리트링 유닛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lifting unit of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econd lifting ring unit of FIG. 1.
도 1,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제2리프팅 유닛(300)은 갑판(20)에 설치된다. 제2리프팅 유닛(300)은 제1전달 지점에서 제1리프팅 유닛(200)으로부터 라이저(P)를 전달받아 제2전달 지점으로 이송한다. 제2전달 지점은 제1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제1전달지점과 상이한 직선상에 위치한다. 제2리프팅 유닛(300)은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F)들에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F)들은 그 길이 방향이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F)들은 하단부가 갑판(20)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제2전달 지점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다. 제2리프팅 유닛(300)은 지지로드(310), 지지부(320), 제1이동부(330), 그리고 제2이동부(340)를 포함한다.1, 4 and 5, the
지지 로드(310)는 지지 프레임(F)들의 상부에 위치한다. 지지 로드(310)는 수직 지지 로드(311)와 수평 지지 로드(312)를 포함한다. 수직 지지 로드(311)는 그 길이 방향이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직 지지 로드(311)는 2개 제공되며, 통로(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수직 지지 로드(311)는 통로(21)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수직 지지 로드(311)는 통로(21)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다. 수평 지지 로드(312)는 통로(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평 지지 로드(312)의 양단은 수직 지지 로드(311)에 각각 지지된다.The
지지부(320)는 수평 지지 로드(312)의 하부에 위치한다. 지지부(320)는 라이저(P)를 지지한다. 지지부(320)는 라이저 요크(321)와 지지핀(325)을 포함한다. 라이저 요크(321)는 그 길이방향이 수평 지지 로드(31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라이저 요크(321)는 라이저(P)의 길이보다 길게 제공된다.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은 아래로 돌출된다.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핀(325)이 제공된다. 지지핀(325)들은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다. 지지핀(325)들은 각각, 라이저 요크(3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핀(325)들은 라이저(P)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A)으로 삽입된다.The
제1이동부(330)는 지지부(320)를 지지하며, 지지부(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이동부(330)는 제1전달지점으로부터 제1중간 지점으로 지지부(320)를 직선 이동시킨다. 제1중간 지점은 제1전달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제1전달지점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제1이동부(330)는 이동 블록(331), 와이어(332), 그리고 구동기(333)를 포함한다. 이동 블록(331)은 제2이동부(340)를 통해 수평 지지 로드(312)에 지지된다. 이동 블록(331)은 2개 제공되며, 라이저 요크(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동 블록(331)들의 사이 간격은 라이저 요크(321)의 길이보다 작다. 와이어(332)는 라이저 요크(321)와 이동 블록(333)들 각각을 연결한다. 와이어(332)는 2개 제공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와이어(332)는 라이저 요크(321)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333)는 와이어(333)를 풀거나 감는다. 이에 의해 라이저 요크(32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기(333)는 이동 블럭(331)의 선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제2이동부(340)는 수평 지지 로드(312)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이동부(340)는 2개 제공되며, 각각 수평 지지 로드(312)에 지지된다. 제2이동부(340)는 이동 블록(331)을 지지하고 이동시킨다. 제2이동부(340)는 제1이동부(330)가 지지부(320)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블럭(331)을 이동시킨다. 제2이동부(34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라이저 요크(321)의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블럭(331)을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320)는 제1중간지점에서 제2중간지점으로 직선이동된다. 제2중간지점은 제1중간 지점과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제2중간 지점은 라이저(P)가 캣 워크(420)에 안착되는 지점인 제2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제2전달 지검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The second moving
도 6은 도 1의 캣워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twalk unit of FIG. 1.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캣워크 유닛(400)은 제2전달 지점에 위치한다. 캣워크 유닛(400)은 제2전달 지점에서 제2리프팅 유닛(300)으로부터 라이저(P)를 전달받아 이송한다. 캣워크 유닛(400)은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F)들에 의해 지지된다. 캣워크 유닛(400)은 이송 레일(410), 캣 워크(420), 제1받침부(430), 그리고 제2받침부(440)를 포함한다.1 and 6, the
이송 레일(410)은 통로(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송 레일(410)은 한 쌍 제공되며,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송 레일(410)에는 캣워크(420)가 놓인다. 캣워크(420)는 이송 레일(410)을 따라 이동한다. 캣워크(420)는 제2전달 지점에서 제2리프팅 유닛(300)으로부터 라이저(P)를 전달받는다. 캣워크(420)의 상면에는 제1받침부(430)와 제2받침부(440)가 설치된다. 제1받침부(430)와 제2받침부(440)는 캣워크(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1받침부(430)와 제2받침부(440) 사이 거리는 라이저(P)의 길이에 대응한다. 제1받침부(430)와 제2받침부(440)는 각각 라이저(P)를 지지한다. 제1 및 제2받침부(430, 440)의 상면은 각각, 라이저(P)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받침부(430, 440)의 상면은 라운드진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veying
이하, 상술한 선박용 이송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라이저(P)를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iser P by using the above-described
도 7 내지 도 12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라이저를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to 1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iser using the ship transport system.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수평 이동 블록(130)은 가이드 블록(120)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 대상이 되는 라이저(P)의 상부에 위치한다. 수직 구동기(160)는 와이어(170)를 풀어 수직 이동 블록(140)을 하강시킨다. 수직 이동 블록(140)이 이송 대상이 되는 라이저(P)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수직 이동 블록(140)의 양단에서 지지핀(150)들이 돌출된다. 지지핀(150)들은 라이저(P)의 양단에 삽입된다. 수직 구동기(160)는 와이어(170)를 감아 수직 이동 블록(14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라이저(P)는 양단에 삽입된 지지핀(150)들에 걸려 수직 이동 블록(140)과 함께 상부로 이동한다. 수직 이동 블럭(140)이 도 8과 같이, 수평 이동 블럭(130)의 수용 공간(131)에 위치하면, 수평 이동 블럭(130)은 제1리프팅 유닛(200)을 향해 이동하여 제1리프팅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수직 이동 블럭(140)은 다시 하강되어 라이저(P)를 승강 블럭의 받침부(223)에 안착시킨다. 승강 블럭의 받침부(223)에 라이저(P)를 전달한 수직 이동 블럭(140)은 이송 대상이 되는 다른 라이저(P1)를 향해 이동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7, the horizontal moving
라이저(P)가 안착된 승강 로드(221, 222)들은 도 9와 같이, 상승한다. 제1승강 로드(221)와 제2승강 로드(222)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승한다. 라이저(P)는 갑판(20)에 형성된 통로(21)를 통과하여 갑판(20) 상부의 제1전달 지점(L1)에 위치한다.The lifting
이동 블럭(331)이 이동되어 라이저 요크(321)는 라이저(P)의 상부에 위치한다. 라이저 요크(321)는 상하방향으로 라이저(P)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구동기(333)는 와이어(332)를 풀어 라이저 요크(321)를 하강시킨다. 하강된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 사이 공간에는 라이저(P)가 위치한다.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에서 각각, 지지핀(325)이 라이저 요크(321)의 양단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다. 지지핀(325)은 라이저(P)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구동기(333)는 와이어(332)를 감아 라이저 요크(321)를 상승시킨다. 라이저(P)는 지지핀(325)들에 걸려 라이저 요크(321)와 함께 상승한다. 라이저(P)는 제1전달 지점(L1)에서 승강 로드(221, 222)들로부터 라이저 요크(321)로 전달된다. The moving
라이저 요크(321)와 라이저(P)는 제1전달지점(L1)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이동하여 도 10과 같이, 제1중간 지점(L2)에 위치한다. 제2이동부(340)는 이동 블럭(331)을 이동시킨다. 제2이동부(34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수평 지지 로드(312)의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블럭(331)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라이저 요크(321)와 라이저(P)는 도 11과 같이, 제2중간 지점(L3)으로 직선이동된다. 제2중간 지점(L3)은 상하방향으로 캣 워크(42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구동기(333)는 도 12와 같이, 와이어(332)를 풀어 라이저 요크(321)를 하강시킨다. 라이저 요크(321)의 하강에 의해, 라이저는 캣 워크(420)의 상면에 제공된 제1받침부(도 6의 430)와 제2받침부(도 6의 440)에 안착된다. The
지지핀(325)들은 라이저 요크(521)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라이저(P)의 양단에 형상된 공간에서 빠져나온다. 구동기(333)는 다시 와이어(332)를 감아 라이저 요크(321)를 상승시킨다. 라이저(P)가 안착된 캣 워크(420)는 이송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여여 라이저(P)를 이동시킨다.The support pins 325 move to the outside of the riser yoke 521 and exit from the spac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iser P. The
상술한 이송 과정에 의하여, 선체 블럭 내부(11)에 위치한 라이저(P)는 갑판 (20)상부로 이송되어 작업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transfer process, the riser P located in the
상술한 선박용 이송 시스템(1000)에 의할 경우, 수평 이송 유닛(100), 제1리프팅 유닛(200), 제2리프팅 유닛(300), 그리고 캣 워크 유닛(400)은 직선 경로를 따라 라이저(P)를 이동시키므로, 라이저(P)의 이송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이송 유닛(100), 제1리프팅 유닛(200), 제2리프팅 유닛(300), 그리고 캣 워크 유닛(400)간의 라이저(P) 전달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라이저(P)가 이송되므로, 날씨, 작업내역, 그리고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라이저(P)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라이저(P)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켜 이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In the above-describ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선박용 이송 시스템 100: 수평 이송 유닛
200: 제1리프팅 유닛 300: 제2리프팅 유닛
310: 지지로드 320: 지지부
330: 제1이동부 340: 제2이동부
400: 캣 워크 유닛1000: ship transport system 100: horizontal transport unit
200: first lifting unit 300: second lifting unit
310: support rod 320: support portion
330: first moving unit 340: second moving unit
400: cat work unit
Claims (6)
상기 제1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1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달 지점으로 상기 대상물을 전달하는 제2리프팅 유닛; 및
상기 제2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2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고,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의 이송방향에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는 캣 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2전달 지점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리프팅 유닛은
상기 선체 내부의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럭;
상기 고정 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 내부로부터 상기 제1전달 지점으로 이동가능한 승강 블록; 및
상기 승강 블록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A first lifting unit for transferring an object located inside the hull through a passage formed in the deck to a first transfer point on the deck;
A second lifting unit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unit a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to a second transfer point located above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It includes a cat walk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unit at the second transfer point, and transfers the objec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fting uni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he second transfer point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ifting unit
A fixing block fixedly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hull;
A lifting block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and movable to the first transmission point from the inside of the hull; And
Ship transport system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lifting block, and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상기 제1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1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달 지점으로 상기 대상물을 전달하는 제2리프팅 유닛; 및
상기 제2전달 지점에서 상기 제2리프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전달받고,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의 이송방향에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는 캣 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2전달 지점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은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1전달 지점으로부터 제1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직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중간 지점으로부터 제2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중간 지점은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중간 지점은 상기 제1중간 지점과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A first lifting unit for transferring an object located inside the hull through a passage formed in the deck to a first transfer point on the deck;
A second lifting unit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unit a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ransferring the object to a second transfer point located above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It includes a cat walk receiving th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unit at the second transfer point, and transfers the objec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fting unit,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he second transfer point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ifting uni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A first mo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transfer point to a first intermediate point; And
A second moving part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to a second intermediate point,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of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said second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on a horizontal line with said first intermediate point.
상기 제2리프팅 유닛은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1전달 지점으로부터 제1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직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중간 지점으로부터 제2중간 지점으로 상기 지지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중간 지점은 상기 제1전달 지점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중간 지점은 상기 제1중간 지점과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lifting uni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A first mo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transfer point to a first intermediate point; And
A second moving part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support 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to a second intermediate point,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of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said second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on a horizontal line with said first intermediate poin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라이저 요크;
상기 라이저 요크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대상물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핀들을 포함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A riser yok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And support pi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iser yoke and inserted into spac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bject.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라이저 요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제1전달 지점과 상기 제1중간 시점 사이 구간에서 상기 라이저 요크를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지지하는 지지 블럭을 포함하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moving unit
A wire connected to the riser yoke;
A driver for vertically moving the riser yoke in a section between the first transfer point and the first intermediate time point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And
And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said driver.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1중간 지점과 상기 제2중간 지점 사이 구간에서 상기 지지 블럭을 수평이동시키는 선박용 이송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moving unit
Ship transport system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upport block in the section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poin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i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150A KR101324318B1 (en) | 2012-01-19 | 2012-01-19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150A KR101324318B1 (en) | 2012-01-19 | 2012-01-19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185A KR20130085185A (en) | 2013-07-29 |
KR101324318B1 true KR101324318B1 (en) | 2013-11-01 |
Family
ID=4899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6150A Active KR101324318B1 (en) | 2012-01-19 | 2012-01-19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431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9325A (en) | 2015-02-12 | 2016-08-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Riser transferring system, riser withdrawing apparatus, and riser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ystem in drilling offshore structure |
KR102242211B1 (en) * | 2017-07-19 | 2021-04-1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Riser Handling System and Oil Prospection offshore rig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1403A (en) * | 2009-05-08 | 2010-11-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Drill ship |
KR101159192B1 (en) * | 2009-09-22 | 2012-06-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ferring tubular drilling apparatus |
-
2012
- 2012-01-19 KR KR1020120006150A patent/KR1013243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1403A (en) * | 2009-05-08 | 2010-11-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Drill ship |
KR101159192B1 (en) * | 2009-09-22 | 2012-06-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ferring tubular drill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185A (en) | 2013-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81384B2 (en) | Drilling installation: handling system, method for independent operations | |
KR101630624B1 (en) | Offshore drilling vessel | |
US9714546B2 (en) | Offshore drilling ri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952355B1 (en) | A floating offshore facility and a method for drilling a well | |
US20140196948A1 (en) | Drilling rig | |
EP3204288B1 (en) |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 |
KR101299814B1 (en) | Full Guiding System for Riser Handling of Drillship | |
KR101324320B1 (en)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
US2015011418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platforms | |
KR101324318B1 (en) | System for transfering objects in ship | |
CN104421491A (en) |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deepwater hanging subsea pipeline | |
KR102052354B1 (en) | Offshor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and installation method of offshore structure using the same | |
US1024040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 |
KR20160022533A (en) | Derrick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 |
KR101379429B1 (en) | Ship having movable guide bridge | |
KR20160112502A (en) | 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 |
CN214397139U (en) | Vessels used to perform subsea wellbore related activities such as workover activities, well maintenance, installation of objects on subsea wellbore | |
KR20130114867A (en) | Thruster maintenance method for drillship | |
KR200481292Y1 (en) | Lifting type rov rail and ships, offshore structures having the same | |
KR101608060B1 (en) | Drill ship | |
KR20170021771A (en) | Floating unit for drilling operations | |
KR101493806B1 (en) | Riser storage and transfer system of drillship using inner hull space | |
KR102128936B1 (en) | Offshore structure | |
KR20160080370A (en) | Riser stacking system of drilling structure | |
KR20140118224A (en) | Inclined transporting system for riser pi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