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6008A -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008A
KR20150006008A KR1020147033077A KR20147033077A KR20150006008A KR 20150006008 A KR20150006008 A KR 20150006008A KR 1020147033077 A KR1020147033077 A KR 1020147033077A KR 20147033077 A KR20147033077 A KR 20147033077A KR 20150006008 A KR20150006008 A KR 2015000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edge
tubular body
sheet portion
column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544B1 (ko
Inventor
로이스 리히터
브래드 도널드 닐슨
야첵 카타진스키
에드워드 브루노트
게리 이스트우드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23Cur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용접 이음부 또는 이음부들을 가지는 튜브형의 몸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근처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상기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로,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되는 피트먼트를 가지며; 및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근처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상기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하는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과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하는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GENERALLY CYLINDRICAL THREE-DIMENSIONAL CONFORMAL LINERS}
본 발명은 라이너에 기초한 저장 및 공급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하기 위한 3차원 라이너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로써 상기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의 내부의 형태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꼭 들어맞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러한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제조 프로세스들이 산, 용매, 염기, 포토레지스트, 슬러리, 세정제, 도펀트, 무기물, 유기물, 금속유기물 및 생물학적 용액, 제약품, 및 방사성 화학물과 같은, 초고순도 액체들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이 초고순도 액체들 안의 입자들의 크기 및 수를 최소화해야 할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초고순도 액체들은 마이크로전자 제조 프로세스의 많은 측면들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업자들은 처리 화학물 및 화학-처리 장비를 위한 까다로운 입자 농도 상세사항을 설립해 놓고 있다. 이러한 상세사항들은 제조 프로세스 동안 사용되는 액체들이 높은 수준의 입자들, 거품들, 금속들 및 다른 트레이스 오염물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고, 이러한 입자들, 거품들, 등은 실리콘의 단단한 표면들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것은, 제품 오류 및 품질 및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초고순도 액체들의 저장, 이송, 및 공급은 담겨진 액체들을 위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들을 필요로 한다. ATMI 사에 의해 팔리고 있는 NOWPak® 디스펜스 시스템과 같은, 접힐 수 있는 라이너에 기초한 컨테이너들은, 공급 동안, 직접 컨테이너 안의 액체와는 달리, 상기 라이너에, 가스 또는 유체를 가지고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공기-액체 인터페이스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압력 디스펜스는 어떤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에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드럼 또는 캔 스타일 오버팩들을 포함하는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은 종종 펌프 디스펜스를 통해 라이너의 내용물들을 공급한다. 펌프 디스펜스 시스템들은 매우 비쌀 수 있고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하기 위한 3차원 라이너들이 필요하다. 이로써 상기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의 내부의 크기 및 형태에 실질적으로 꼭 맞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이것이 그 용도로만 사용될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고, 압력 디스펜스 어플리케이션들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유리한 제조 방법들,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형인 몸체 부분, 피트먼트를 포함하는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이러한 라이너들의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결합하기 위한 유리한 제조 방법들을 위한 특별한 필요가 있다. 이때 결합된 구성성분들은 재료를 담기 위한 폐쇄된 내부를 정의한다. 나아가, 오버팩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꼭 맞고, 몸체 부분에 전반적으로 원형의 또는 원주형의 용접으로 밀봉된 상단 및 하단 부분들, 상기 라이너의 상단 부분의 중심에 위치되는 피트먼트를 포함하고, 또한 높은 청결 표준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라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유리한 프로세스들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튜브형의 라이너 몸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튜브형의 몸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로,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된 피트먼트를 가지고; 및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용접 이음부를 가지는 튜브형의 몸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상기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로,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된 피트먼트를 가지고; 및 상기 하부 원주형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상기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다. 유사하게,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튜브형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용접된 2 개의 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이로써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2 개의 용접 이음부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로부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용접 이음부를 가지는 튜브형의 몸체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또한 상기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고,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된 피트먼트를 가지고; 및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의 몸체를 신장시키고 또한 상기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하고 명백한 측면들에서 변형들이 가능하고, 이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특성상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요지를 특히 명확하고 분명하게 청구하는 청구항들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의 부분 단면 등측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를 위한 필름 조합의 대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의 등측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를 제조하는 방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의 다양한 구성성분들의 대략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을 위한 밀폐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원주형의 모서리를 준비하는 밀폐 표면 상에 신장된 라이너의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장치와 결합되는 라이너의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측면 단면도들이다.
도 9a는 신장되지 않은 위치에서의 플레이트들을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기의 상면도이다.
도 9b는 신장된 위치에서의 플레이트들을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기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장치의 다양한 대략적인 도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반적인 원통형인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3차원 라이너들에 관한 것이고, 이때 상기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의 내부의 크기 및 형태에 실질적으로 꼭 맞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튜브형의 몸체 부분, 피트먼트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이러한 라이너들의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결합하기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되는 구성성분들은 재료를 담기 위한 폐쇄된 내부를 정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오버팩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꼭 맞고, 몸체 부분에 전반적으로 원형의 또는 원주형의 용접으로 붙는 상부 및 하부 부분들을 가지고, 피트먼트는 상기 라이너의 상기 상부 부분의 중심에 위치되고, 높은 청결의 표준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라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프로세스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라이너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2011년 12월 9일에 출원된 제목 "Generally Cylindrically-Shaped Liner For Use in Pressure Dispense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인, 국제 PCT 출원 제 PCT/US2011/0641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라이너들일 수 있는데, 이 내용들은 그 전체로서 참조에 의해 여기에 반영된다. 이러한 라이너들의 3차원 컨포멀 형태 및/또는 (라이너의 두께 및/또는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이러한 라이너들을 포함하는 필름의 특성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증가된 디스펜스능력; 폴드 가스, 핀홀들, 및/또는 용접 틈들의 감소 또는 제거; 및/또는 상기 라이너 피트먼트 상의 스트레스 및 부하의 감소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특성들을 상기 라이너들에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너들의 실시예들이 초고순도 및/또는 상대적으로 비싸고, 또한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 매우 고가의 재료들을 저장, 선적, 및/또는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한 장점들은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되는 종래의 라이너들에 대하여 주요한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라이너들의 사용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마이크로전자 제조, 반도체 제조, 및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 등과 같은 이러한 산업들에서 사용되기 위한 초고순도 화학물들 및/또는 포토레지스트, 범프 레지스트, 세정 용제들, TARC/BARC (Top-Side Anti-Reflective Coating/Bottom-Side Anti-Reflectivce Coating), 저중량 케톤들 및/또는 구리 화학물들과 같은 물질들을 이송 및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용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산, 용매들, 염기들, 슬러리들, 세정제들, 도펀트들, 무기물, 유기물, 금속유기물, TEOS, 및 생물학적 용액들, 제약품들, 및 방사성 화학물들을 이송 및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라이너들은, 다른 산업들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페인트들, 접착제들, 청량음료들, 식용유들, 농약들, 건강 및 구강 위생 제품들, 및 화장실 용품들 등과 같은 다른 제품들을 이송 및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 및 상기 라이너들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의 장점들을 인식할 것이고, 또한 그러므로 다양한 제품들의 이송 및 공급을 위해 또한 다양한 산업들에서 사용되기 위한 라이너들의 적합성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100)은 오버팩(102) 및 라이너(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팩(102)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04)를 수신할 수 있는 속이 빈 내부를 가지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라이너들(104)은 현존하는 오버팩들 및/또는 공급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오버팩(102)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큰 입구 개구부들을 가지는 오버팩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체 두껑 또는 상부가 개방되는 오버팩들을 포함하는, 물질들을 저장 및/또는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존하는 드럼들 또는 캔과 같은 전통적인 오버팩들 및/또는 위험 물질을 위한 UN DOT 상세사항들을 만족하는 오버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오버팩(102)은 적절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하지만,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오버팩(102)은 적절한 원주 및/또는 무게를 포함하는, 적절한 크기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또는 통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오버팩(102)은 19L, 40L, 200L 크기들, 또는 일반적으로 1L와 1000L 사이의 어떠한 크기의 알려진 드럼들 또는 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팩(102)은 어떠한 적절한 실질적으로 견고한 물질들,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금속, 유리, 나무, 플라스틱, 합성물, 골진 물질들, 페이퍼보드, 또는 어떠한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버팩(102)은 또한 클로져 및/또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피트먼트 리테이너(106), 클로져(108), 및/또는 선적 캡(11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존하는 또는 알려진 오버팩(102)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러한 오버팩과 함께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클로져 및/또는 연결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100)의 라이너(104)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오버팩(102)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꼭 맞는다. 접힌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104)는 접힐 수 있어 상기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 넥(114)을 통해 맞는다. 상기 라이너(104)는 추가적으로 피트먼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104)의 상기 피트먼트(112)는 상기 라이너가 상기 오버팩(102)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피트먼트가 상기 피트먼트 리테이너(104) 및/또는 상기 오버팩의 넥(114)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오버팩(102)의 상기 피트먼트 리테이너(106)는 상기 오버팩의 넥(114) 및/또는 상기 라이너(104)의 상기 피트먼트(112)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어, 이로써 상기 오버팩 내에서 상기 라이너가 지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원통형 몸체의 끝단들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상부 및 하부 부분들을 가지는, 폐쇄된 라이너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라이너는 또한 상기 원통형인 몸체의 일 단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단순한 하부 부분을 가지는, 개방 상부 라이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너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오버팩의 내부 공간에 전반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꼭 맞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이너의 증가된 디스펜스능력은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라이너의 형태는 이송 동안 폴드 가스, 핀홀들 및/또는 용접 틈들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몇몇의 전통적인 원통형이 아닌 라이너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너의 일 측 상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는 피트먼트를 가지는 필로우 타입 라이너들은 오버팩 안에서 이용가능한 내부 공간 모두를 충분히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나아가, 전통적인 필로우 타입 라이너들 또는 다른 덜 컨포멀의 2차원 형태의 라이너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가 가득찰 때 상기 오버팩의 전체 형태에 실질적으로 꼭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의 상부로부터 멀리 아래로 당겨지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상기 라이너는 원주형의 상부 용접 또는 피트먼트 영역 상에 최소한의 스트레스를 가지고, 전반적으로 상기 오버팩의 상단까지 채워질 수 있다. 나아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는 상기 오버팩의 형태에 실질적으로 꼭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이너는 그 자체로 전반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들이 잡혀 있도록 야기할 것이다. 그러므로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라이너의 형태는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에어 또는 가스 포켓들을 생성할 수 있는 이러한 주름들의 존재를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드 가스(라이너가 채워졌을 때 상기 라이너의 주름들 안에 잡혀 있을 수 있는 가스)는 전통적인 필로우 타입 라이너들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오버팩에의 상기 라이너의 실질적인 컨포멀 형태는 또한 상부공간 영역 안에 상기 라이너를 지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그 자체로 상기 라이너의 접히려는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그렇지 않으면 접힐 수 있는 마이크로 주름들을 야기하고 핀홀들 또는 용점 틈들로 귀결될 수 있는, 선적 및/또는 이송 동안 생기는 유체 운동의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 라이너들은 고가의 물질들로 채워질 수 있고,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는 매우 고가의 물질들일 수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즉, 라이너가 물질 모두를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충전 동안 라이너의 내용물들의 일부의 손실)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의 위험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액체 내용물들을 담을 수 있는 라이너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이너들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잡힌 가스 및 라이너 안의 초과 주름들에 의해 낭비되는 부피의 양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부피를 담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다른 라이너들에 대하여 증가된 내용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200L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컨포멀 라이너는 전통적인 라이너들과 비교해서 오버플로우 부피의 대략 2 내지 10 리터 더 많이 실제로 수용할 수 있다; 다른 크기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컨포멀 라이너는 일반적으로 대략 5% 내지 10% 더 많은 오버플로우 부피를 담을 수 있다. 상기 라이너의 용량의 증가는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들에 있어서 오버플로우의 위험을 감소,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오버팩에 실질적으로 꼭 맞는 라이너의 형태는 또한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의 피트먼트 및 피트먼트 용접에의 스트레스 및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라이너의 전체 두께는 드럼 스타일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되는 전통적인 라이너들보다는 더 두꺼울 수 있다. 전통적인 라이너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라이너의 한 가지 장점은 증가된 두께가 충전, 저장, 선적, 및/또는 공급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핀홀들(상기 라이너에서 형성될 수 있는 작은 홀들), 폴드 가스, 용접 틈들, 및/또는 가스 확산의 가능성을 방지 또는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라이너의 증가된 두께는 공급 동안 막힘(choke-off)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체 두께는 전통적인 라이너들보다 더 클 수 있는 한편, 상기 두께는 상기 라이너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오버팩의 넥을 통해 상기 라이너가 상기 오버팩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너의 적절한 두께는 본 발명에 의해 예상된다. 예를 들어,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대략 80부터 280 마이크론까지의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대략 100부터 대략 220 마이크론까지의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대략 150부터 대략 200 마이크론까지의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대략 100부터 150 마이크론까지의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특히 예를 들어, 전체 두껑 또는 상부가 개방된 오버팩들 뿐만 아니라 설명된 것보다 더 큰 입구 개구부들을 가지는 오버팩들을 가지고, 더 두꺼운 라이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범위 안에 있는 각 값을 설명하기 위해 간단히 범위들이 사용된다; 상기 범위 안의 어떠한 값도 범위의 끝점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너들은 단일층일 수 있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절한 물질들로부터 만들어지는 1,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라이너는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은 동일한 물질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거나 다른 물질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 각각은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가지는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층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상기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이 서로 다른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은 가소제들, 열 안정제들, 염료들, 내염제들, DMPS(mole release agents), 및/또는 다른 마이크로전자 오염물들이 없을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내부 층, 또는 단일층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들에 접촉하게 하는 층의 표면은 화학적으로 양립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또는 침윤층은,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PE(polyethulene), PTFE(poly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tlene copolymer),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ulene terephthalate), PBT(polybutulene terephthalate),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 또는 보호 층 또는 층들은, 상기 라이너 벽들을 통한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습도 및/또는 가스 배리어로 행동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견고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층들은 상기 라이너가 선적 및/또는 저장 동안 일어날 수 있는 갈라짐들, 틈새들, 핀 홀링 또는 다른 손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있고 견딜 수 있도록 보장하는, 추가적인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층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PE(polyethylen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A(polyamides), PP(polypropylene), EVOH(ethylene vinyl alcoho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ulene terephthalate),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또한 내부 층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층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수 개의 추가적인 배리어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배리어 층 또는 층들은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들이 라이너로부터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가스 및/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상기 라이너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층들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EVOH(ethylene vinyl alcohol), 나일론 또는 상기에서 확인된 물질들 중 하나와 같이,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라이너의 실시예들은 상기 층들이 적절한 순서로 및/또는 조합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층 라이너(2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는 내부 표면 또는 침윤층(202), 배리어 층(206),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침윤층(202)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조합일 수 있는) 내부 층(210), 및 보호 또는 외부 층(214)를 포함할 수 있다. 2 개의 층들은 그들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층(204, 208, 212)를 가질 수 있다. 도 2가 복수층 라이너의 가능한 층들의 일 구성예를 보여주지만, 층들의 어떠한 다른 적절한 조합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는 내부 표면 또는 침윤층(202), 배리어 층(206), 및 (외부 층일 수 있는) 내부 층(210)를 포함할 수 있고, 그들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층들(204, 208)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층 라이너(200)의 층들 각각은 상기 라이너의 다른 층들과 동일한 두께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결합층들(non-tie layers)의 두께는 대략 5부터 대략 140 마이크론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결합층들의 두께는 대략 10부터 대략 120 마이크론까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결합층들의 두께는 대략 15부터 대략 100 마이크론까지일 수 있다. 하지만, 복수층 라이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은 어떠한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너를 포함하는 필름은 적절한 프로세스 또는 프로세스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너를 위한 필름은 블로 및/또는 캐스트 필름,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방법들의 조합으로부터 공-압출, 압출 블로 성형, 주입 블로 성형, 주입 신장 블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라이너를 포함하는 필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적용에 적합하고, 또한 여기에 열거된 종류의 물질들을 담기에 적합한, 어떠한 구조, 조합, 두께, 모듈, 파손 강도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저장된 물질 및 원하는 공급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 및 조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상기 필름은 많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갈라짐 없이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신장가능성 정도를 가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 만큼 두껍지 않아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조, 조합, 두께, 모듈, 파손 강도 등이 상기 필름이 영구적인 변형의 감소 또는 최소한의 정도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드럼 스타일의 오버팩들을 가지고 사용하기 위한 라이너들의 내용물들은 펌프 디스펜스에 의해 공급된다. 따라서, 통상 딥 튜브는 상기 라이너로부터 내용물들을 펌핑하기 위해, 딥 튜브에 맞게 변형된 현존하는 펌프 디스펜스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오버팩 및 라이너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펌프 디스펜스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압력 디스펜스와 같은, 다른 디스펜스 방법들과 같은 높은 디스펜스 율을 일관되게 달성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나아가, 펌프 디스펜스 동안 사용되는 딥 튜브는 상대적으로 고가일 수 있고 특히 상기 딥 튜브는 통상 한 번 사용 후에 폐기된다. 유리하게도,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들의 내용물들은 딥 튜브의 사용 없이 압력 디스펜스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이너들의 몇몇의 실시예들의 디스펜스능력이 더 높을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의 전체 비용은 펌프 디스펜스와 함께 사용되는 알려진 라이너들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의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들은, 2006년 6월 5일에 출원된 제목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Processes"인, US 특허출원 제 11/915,9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NOWPak® 압력 디스펜스 시스템과 양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내용은 그 전체로서 여기에 참조에 의해 반영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라이너에 기초한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연결오류 방지 커넥터의 샘플은, 코네티컷 주 댄버리의 ATMI의 커넥터, 또는 2006년 6월 13일에 출원된 US 특허출원 제 60/813,083호; 2006년 10월 16일에 출원된 US 특허출원 제 60/829,623호; 2007년 1월 30일에 출원된 US 특허출원 제 60/887,194호에 개시된 커넥터들일 수 있고, 그 내용물들은 그 전체로서 여기에 참조에 의해 반영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이 딥 튜브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딥 튜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인데, 이 딥 튜브는 예를 들어 상기 라이너의 바닥까지 전반적으로 연장되는 딥 튜브의 전체 길이로부터, 상대적으로 단거리여서 상기 라이너의 내용물들은 상기 라이너의 피트먼트로부터 안내될 수 있게 되는 상기 피트먼트 및/또는 상기 라이너의 내부로의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작은 튜브까지 어떠한 길이의 딥 튜브를 포함한다. 짧은 딥 튜브의 장치는,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 US 특허출원 제 11/915,9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stubby probe"로 지칭될 수 있는데, 그 내용물은 그 전체로서 참조에 의해 여기에 이전에 반영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라이너들은 적절한 디스펜스 시스템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고, 그 안의 내용물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펌프 디스펜스, 압력-보조 펌프 디스펜스, 직접 압력 디스펜스, 간접 압력 디스펜스, 및/또는 중력 디스펜스와 같은, 적절한 디스펜스 방법을 이용하여 비워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너(300)는 몸체 부분(302), 하부 부분(304), 상부 부분(306), 및 적어도 하나의 피트먼트(3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300)는, 상기 라이너가 상기 피트먼트(308)로부터 공급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채워질 수 있는 물질을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폐쇄된 라이너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너(300)는 또한 개방 라이너일 수 있어, 상기 몸체 부분(302)의 적어도 일 단은 예를 들어, 상부 부분(306)을 가지지 않는 것에 의해,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3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400)의 일 실시예는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400)에 따라, 제1 단계(402)에서, 원하는 조합 및 특성을 가지는, 필름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공급될 수 있다. 획득된 필름은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해 제조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형식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전반적으로 편평하게 놓여있을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상기 라이너(300)의 다양한 분리 라이너 구성성분들 - 예를 들어 몸체 부분(302), 하부 부분(304), 상부 부분(306) -로 형성되거나 또는 패터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므로, 단계(404)에서, 상기 공급된 필름의 일 부분은 상기 몸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크기지어진 시트들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인식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분(302)은 2 개의 개방 단들을 가지는 전반적으로 튜브형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하부 부분(304) 및 상기 상부 부분(306)이 부착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은 2 또는 그 이상의 본래 편평한, 사각 시트들(502, 504)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 또는 그 이상의 사각 시트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의 원주형의 모서리들(510)에 의해 정의되는 2 개의 개방 단들을 가지는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 또는 길이방향의 모서리들(506, 508)을 따라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구성을 형성할 때, 수직 용접 이음부들(5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부분(302) 안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300)는 2 개의 수직 용접 이음부들(512)을 가지는 2 개의 몸체 시트들로 구성된다; 하지만 2 개 이상의 몸체 시트들이 이용될 수 있고, 대응되는 수의 수직 용접 이음부들로 귀결된다. 상기 수직 용접 이음부들은 최종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전체 길이(또는 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하지만,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302)은 돌출된 튜브 형태와 같은, 튜브 형태로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대체되어 제조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편평한 시트들로부터 제조될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단계(406)에서, 상기 공급된 필름의 일 부분은 대응하는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크기지어진 시트들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3에서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지만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 각각은 궁극적으로 상기 형성된 몸체 부분(302)의 개방 단들의 지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지어지고 형태는 전반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하부(304) 및 상기 상부(306) 부분들은 상기 공급된 필름으로부터 초기에 전반적으로 원형들로 패터닝될 수 있는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된 필름은 정사각 또는 사각 패턴들로 패터닝될 수 있고, 그 각각은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의 원하는 지름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크기지어지고, 또한 이로부터 상기 전반적으로 원형인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의 연이은 절단 및 생성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급된 필름은 다른 전형적인 또는 비전형적인 형태로 적절하게 패터닝될 수 있고, 이로부터 후속하여 전반적으로 원형 형태가 절단 또는 생성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된 필름 조각들은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의 원하는 지름을 수용하도록 크기지어져야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들(306)을 형성하기 위해 디자인된 패터닝된 시트들의 부분집합은 피트먼트 피팅 프로세스에 종속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를 위한 비-필름 구성성분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피트먼트(112)를 포함하고, 이것은 또한 상기 프로세스(40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성분들은 적절한 프로세스 및 물질들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고, 또한 국제 PCT 출원 제 PCT/US2011/06414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것은 여기에 이전에 반영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트먼트(112)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과 같은 적절하게 견고한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트먼트(112)는 상기 라이너(300)의 필름보다 더 견고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트먼트(112)는 상기 피트먼트가 상기 오버팩의 넥(114) 및/또는 상기 피트먼트 리테이너(106)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오버팩의 커넥터 조립체 및/또는 클로져의 구성성분들 모두 또는 일부와 양립될 수 있도록 크기지어지고 형태지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피트먼트(112)는 특별히 알려진 오버팩 또는 오버팩 타입의 커넥터 조립체 및/또는 클로져와 양립되도록 크기지어지고 형태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알려진 오버팩들은 예를 들어 3/4 인치에서 2인치 지름을 가지는 라이너 피트먼트(112)와 양립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라이너 피트먼트(112)는 적절한 지름 및/또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어 원하는 오버팩과 양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단계(406)의 일부로서, 피트먼트(112)는 상부 부분(306)을 형성하기 위해 디자인된, 패터닝된 시트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부분 시트들 각각에서, 구멍이 절단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피트먼트가 위치될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트먼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패터닝된 시트의 중심축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피트먼트는 실질적으로 중심이 상기 최종 라이너(300)의 수직축을 따라 위치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피트먼트의 중심적 위치가 필요치 않고, 원하는 대로, 어떠한 적절한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형성된 구멍 및 상기 피트먼트(112)가 대응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피트먼트는,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용접 또는 접착제 또는 다른 결합 약품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방법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라이너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 라이너 구성성분들 - 예. 몸체 부분(302), 하부 부분(304), 상부 부분(306) - 을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리 라이너 구성성분들은 물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조립을 위해 준비되어, 원하는 구성으로 미리-제조되거나 또는 미리 형성되어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분리 라이너 구성성분들 - 몸체 부분(302), 하부 부분(304), 상부 부분(306) -이 획득되거나 또는 형성되기만 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및 상부 부분들은 단계(408)에서 상기 몸체 부분에 붙여질 수 있다. 상기 하부(304) 및 상기 상부(306) 부분들은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해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붙여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는 개방 라이너일 수 있어, 예를 들어, 하부(304) 부분만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붙여진다.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의 효과적이고 일관되고 상대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깔끔한 봉합(sealing)을 위한 장치 또는 실러(600)의 일 실시예는, 단계(408)의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실러(600)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너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 및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을 가질 수 있다.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은 봉합 표면(608)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링 형태일 수 있고, 그 위에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일 단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위치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용접 스테이션(604) 안에서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과의 정확한 봉합을 위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은 또한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을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단(610)을 포함할 수 있고, 어느 경우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또는 상부 부분을 안정화시키는 수단(6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립들, 클램프들, 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하부 또는 상부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단히 용접을 위한 위치에 결합되고 고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상기 밀봉 표면(608)은 원하는 대로, 라이너들의 다양한 지름들의 제조를 수용하기 위해, 다른 크기들로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크기의 밀봉 표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밀봉 표면, 또는 그 상부 부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고무 또는 테프론 코팅된 물질을 포함하는,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부분(306)을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봉합하기 위해,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상기 밀봉 표면(608)의 내부 측 상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의 제1단의 원주형의 모서리(510) 중 특정 또는 미리 결정된 정도는 상기 밀봉 표면 주위 또는 주변에서 당겨지거나, 싸여지거나, 신장될 수 있다.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근접 단면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은,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밀봉 표면(608)의 외부 측 주위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의 제1단의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특정 또는 미리 결정된 정도는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싸여지거나, 신장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는 손에 의해서와 같이, 수동적으로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신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수동적 신장은, 통상 상기 라이너 용접 표면에 상당한 양의 주름들을 포함하는, 일관되지 않는 밀봉, 불충분한 밀봉, 및/또는 결함있는 밀봉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추가적인 자동 또는 반자동 장치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장치는 상기 실러(600)에 부착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밀봉 표면(608)은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제거되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가 부착되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신장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추가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장 장치(80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그 위에서 신장되는 동안, 제 위치에 상기 밀봉 표면(608)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장치(800)는 또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립들, 클램프들, 바이스들 등과 같은 적절한 부착 수단을 이용해 원주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원형 또는 원통형의 신장기(8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는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작동상 결합될 수 있는,도 8a에 도시된, 신장되지 않은 위치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 이를 위치시키킬 준비를 위해, 상기 결합된 원주형의 모서리가 원하는 정도까지 신장되는, 도 8b에 도시된,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할 수 있다. 신장된 위치에서,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는 상기 원형의 신장기가 신장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큰 지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어떠한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를 확장시키는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지만,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원형의 신장기는 2, 3, 4 또는 그 이상의 이동가능한 섹션들(808)로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원형의 신장기가 호 또는 반-원형(semi-circular) 판들의 형태일 수 있는 경우이다. 하지만, 상기 신장기가 사각, 정사각 또는 삼각 튜브형의 몸체 단면을 가지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라이너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섹션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선형 판들, 모서리진 판들 등과 같이, 호 또는 반-원형 판들이 아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반-원형 판들, 또는 이동가능한 섹션들(808)은, 전체 원을 형성 또는 이를 예측하도록 하기 위해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되지 않은 위치에서 처음에 시작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반-원형 판들, 또는 이동가능한 섹션들(808)은 상대적으로 서로 더 근접해 있다. 도 8b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신장된 위치로 확장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원형 판들, 또는 이동가능한 섹션들(808)은 방사상으로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에 의해 정의되는 예측되는 원이 확대된다. 이를 수행할 때, 반-원형 판들, 또는 이동가능한 섹션들(808)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지름은, 또한 확장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밀봉 표면(608)의 지름보다 살짝 더 크게 확장될 수 있다.
프로세스의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표면(608)은 상기 신장 장치(800)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은 상기 밀봉 표면(608) 안에 제공될 수 있고, 원주형의 모서리(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신장기가 신장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그 주위 방사상으로 1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에서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 및 이에 따라 그 사이에 결합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상기 밀봉 표면(608) 상의 위치에서 처음에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상기 원주형의 신장기(804)에 단단히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절하게 결합되기만 하면, 상기 원형의 신장기는 신장된 위치로 확장하기 위해 기계 또는 자동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원형의 신장기의 지름, 및 이에 따라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의 지름은 또한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신장기를 확장하는 것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3, 4, 또는 그 이상의 호 또는 반-원형 판들(808)을 이용해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상기 원형의 신장기를 확장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는 일반적으로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에 의해 신장될 수 있어,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 밀봉 표면(608)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까지 확대된다. 이 확대된 위치에서,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는,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이에 결합되고 더 큰 지름으로 신장되될 때, 상기 밀봉 표면(608)을 지나거나 및/또는 그 위에서 아래로 내려질 수 있어, 상기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 밀봉된 표면 상에서 신장되고 놓이게 되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표면의 내부 원주로부터 상기 밀봉 표면의 외부 원주까지 연장된다. 이렇게 위치되고, 상기 원형의 신장기(804)는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를 해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 원형의 신장기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고, 상기 원형의 신장기는 상기 밀봉 표면으로부터 멀리 승강될 수 있어,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는 그 위에 신장된 채로 남겨진다. 상기 밀봉 표면(608)은, 그 위에 신장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를 가지고, 그후 상기 신장 장치(80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고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 복귀하고 재결합된다.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을 이용해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를 신장시키는 것은 이러한 수단이 매우 충분한 밀봉의 효과적이고 일관된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신장 장치(800)와 같은,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은,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신장될 때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적용되는, 전반적으로 일관된 압력 및 신장을 허용한다. 일관된 압력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 적용되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실질적으로 고르게 신장된 표면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써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이 용접될 수 있는 전반적으로 보다 더 일관되게 편평한 밀봉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신장 장치(800)와 같은,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싸여지거나 또는 신장되는 상기 라이너 용접 표면 상에서 감소된 또는 제거된 주름들로 귀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의 사용은 신장이 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된 때보다 보다 더 일관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라이너들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 또는 그 주변에서 상기 라이너의 신장 장력이 측정될 수 있고, 확인되고 또한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대해 결정되는 신장 끝점으로 설정될 수 있고,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 필름 타입/조합, 필름 층들의 수, 필름의 두께 또는 다른 필름 특성들의 함수일 수 있다. 폴리머 변형, 탄성률, 및/또는 필름에 있어서의 형태의 변화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 또는 그 주변에서 결정되는 신장 정도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력은 이러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렬되고 위치되는, 신장 장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센서들에 의해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신장 장치에 의해 적용되는 힘의 정도가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될 수 있고,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된 힘은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대하여 신장 끝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견고한 기계적 정지부가, 상기 신장 장치가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신장 정도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한 어떠한 적절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원형 또는 링 밀봉 표면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원하는 형태를 가지는 다른 적절한 지지 표면도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하는 라이너의 최종 크기, 부피, 및/또는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물론 알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신장 방법들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사각, 정사각, 삼각, 다각, 또는 비정형적인 형태의 용접들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용접들을 수행하기 위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고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되고, 상기 밀봉 표면이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에 재결합될 때, 상기 상부 부분(306)은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정렬되고,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립들, 클램프들, 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안정화를 위한 수단(610)을 이용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306)은 상기 라이너의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데 더 도움을 주기 위해, 추가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예를 들어 안정화를 위한 수단을 이용해 신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신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을 이용해 신장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놓여지기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306)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분(306)은 측정가능한 장력까지 신장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신장 장력의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 상기 신장 장치에 의해 및/또는 견고한 기계 정지부를 이용하여, 적용되는 힘의 정도의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포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 부분(306)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한 어떠한 적절한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 부분(306)에 적용되는 신장 정도는 채워졌을 때 얼마나 완성된 라이너의 상기 상부 부분(306)이 부푸는지(도 1 참조)에 대한 인자일 수 있다. 따라서, 신장 장력은 또한 원하는 상기 상부 부분(306)의 부품 정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분(306)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상기 피트먼트(308)(실선으로 도시됨)가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중심축을 따라 중심에 위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피트먼트(308)의 중심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러(600)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대하여 상기 상부 부분(306) 및 피트먼트(308)의 정렬에 도움을 주기 위해 피트먼트 정렬 메카니즘(612)(실선으로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렬 메카니즘(612)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트먼트가 정렬될 수 있는 정렬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막대는 원하는 피트먼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분(306)이 상기 몸체 부분(302)에 봉합되기만 하면, 상기 정렬 막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부분(304)을 봉합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되고, 상기 상부 부분(306)은 상기 밀봉 표면 상에 적절하게 정렬되고 또한 안정화를 위한 수단(610)을 이용해 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정렬되는 상기 상부 부분을 가지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까지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 및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은 전반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 및 정렬된 상부 부분(306)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 및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필요는 없을 수 있고,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으로, 거기에 부착된 정렬된 상부 부분(306) 및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과 함께,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또는 그 일부) 또는 정렬된 상부 부분(306) 및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이 이동될 필요는 있을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에서, 상기 밀봉 표면(608)을 따라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상기 상부 부분(306)을 용접하는 것은, 열 용접 프레스(616)에 의하는 것과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근접, 단면도가 도시된,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밀봉 표면(608)을 따라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을 용접하는 것은, 설명한 방식으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가 상기 하부 또는 상부 부분과 만나는 상기 몸체 부분(302)의 둘레 주위로 용접 이음부를 전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설명된 방식으로 수행되면, 용접은 상기 몸체 부분(302)의 내부 침윤 표면들(702)과 상기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 사이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부(304) 또는 상부(306) 부분 및 상기 몸체 부분(302)의 모서리들에 최근접한 용접 면 상의 영역에 남아 있는 잉여 물질(704)은 상기 라이너의 외부 면 상에 있다. 이러한 종류의 용접에만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용접은 결합 물질들이 내부 침윤 표면들에 용접되는 것을 보장하고 또한 상기 라이너의 내부 면 상의 잉여 물질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라이너의 청결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도움을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상기 상부 부분(306)의 용접 완료시, 상기 결합된 상부 및 튜브형 몸체 부분들은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으로부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결합된 상부 및 튜브형의 몸체 부분들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상부(306) 및 튜브형의 몸체(302) 부분들은 상기 용접 스테이션(604)으로부터 직접 제거될 수 있다.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에 하부 부분(304)을 봉합하기 위해 매우 유사한 단계들이 이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304)은 상기 상부 부분에 상기 피트먼트의 배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상부 부분(306)에 후속하여 상기 몸체 부분(302)에 봉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은 상기 밀봉 표면(608)의 내부 측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하부 부분(304)이 피트먼트를 수용할 필요가 없을 때, 상기 피트먼트 정렬 메카니즘(612)은 상기 몸체 부분(302)의 삽입 전에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의 제2단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의 특정한 또는 미리 결정된 정도는 상기 밀봉 표면 또는 그 주변에서, 당겨지고, 싸여지고, 신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장 장치(800)는 효과적이고, 일관되고, 및/또는 충분한 봉합을 위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를 신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는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되고, 상기 밀봉 표면은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부분(304)은 상기 밀봉 표면 상에서 정렬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립들, 클램프들, 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안정화를 위한 수단(610)을 이용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304)은, 상기 라이너의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데 더 도움을 주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안정화를 위한 수단을 이용해 추가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신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을 이용해 신장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놓여지기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304)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신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분(304)은 측정가능한 장력까지 신장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신장 장력의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 상기 신장 장치에 의해 및/또는 견고한 기계 정지부를 이용하여, 적용되는 힘의 정도의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포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하부 부분(304)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한 어떠한 적절한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하부 부분(304)에 적용되는 신장 정도는 채워졌을 때 얼마나 완성된 라이너의 상기 하부 부분(304)이 부푸는지(도 1 참조)에 대한 인자일 수 있다. 따라서, 신장 장력은 또한 원하는 상기 하부 부분(304)의 부품 정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원주형의 모서리(510)가 상기 밀봉 표면(608) 상에서 신장되고, 상기 하부 부분(304)은 상기 밀봉 표면 상에 적절하게 정렬되고 또한 안정화를 위한 수단(610)을 이용해 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정렬되는 상기 하부 부분을 가지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까지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 및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은 전반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 및 정렬된 상부 부분(306)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 및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필요는 없을 수 있고,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으로, 거기에 부착된 정렬된 하부 부분(304) 및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과 함께, 상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또는 그 일부) 또는 정렬된 하부 부분(304) 및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이 이동될 필요는 있을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에서, 상기 밀봉 표면(608)을 따라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상기 하부 부분(304)을 용접하는 것은, 열 용접 프레스(616)에 의하는 것과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510)에 상기 하부 부분(304)의 용접 완료시, 상기 결합된 하부 및 튜브형 몸체 부분들은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으로부터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결합된 하부 및 튜브형의 몸체 부분들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하부(304) 및 튜브형의 몸체(302) 부분들은 상기 용접 스테이션(604)으로부터 직접 제거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것은 상기 라이너 용접 프로세스를 이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개방 라이너가 요구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상부 부분을 더 결합하지 않고, 상기 하부(304)와 튜브형의 몸체(302) 부분들을 결합하기 위한 단계들만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타입의 전반적인 원통형의 라이너의 형성 및 튜브형의 몸체 부분에 상부 및 하부 라이너 부분들의 봉합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방법들은 용접 구성의 용접/봉합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세하게는, 2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부분들의 용접 또는 봉합 프로세스 동안 또는 이를 위한 준비과정에서,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부분을 신장시키는 방법들이 적절한 항목의 제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도시된 타입의 전반적으로 원통형의 라이너의 형성 동안 사용하는 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과 같은, 제1튜브형의 몸체 부분은 상기의 용접 방법들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제2튜브형의 몸체 부분에 원주형으로 봉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장될 수 있고, 상기 제2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거기에 용접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또한 용접 전에 신장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부 및 상부 부분들(304, 306)과 같은, 하부 및/또는 상부 부분은, 최종 튜브-대-튜브 구조의 개방 원주형의 모서리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용접될 수 있다.
다른 유사한 장치 및 방법들이 라이너 물질의 원주형의 모서리를 신장하기 위해,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고르게 또는 균일하게 신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어, 다른 물질이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용접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대략적으로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도시된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 장치(1000)는, 도 10에 단면으로 도시된, 원주형으로 확장된 형태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모서리(510)와 같이, 튜브형 몸체(1004)의 원주형의 모서리(1002)를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신장 장치(1000)는, 도 10의 상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형 몸체(1004)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과 같이, 공급된 필름(1006)의 상대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1004) 및/또는 상기 필름(1006)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립들, 클램프들, 바이스들, 등과 같은 부착에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장치(1000)는 원형 또는 원통형이 신장기(100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공급된 필름(1006) 상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튜브형 몸체(1004)로부터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의 반대 측 상에 초기 시작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장기(1008)는 상기 원주형으로 확장된 튜브형의 몸체(1004)의 개구부(1010) 안에 전반적으로 맞도록 크기지어지고 형태지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원형의 신장기(1008)는 도 10의 상단에 도시된, 상기 신장기가 물질의 신장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 초기 위치와, 도 10의 상단에서 두번째, 세번째 도면들에 도시된, 상기 신장기가 눌려져서 상기 공급된 필름(1006)에 접촉하는,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어, 이로써 상기 공급된 필름의 원주형의 모서리(1012)는 아래로 그리고 상기 원주형으로 확장된 튜브형의 몸체(1004)의 개구부(1010)로 신장되게 된다. 대체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은 상기 개구부(1010)로 상기 신장기를 위치시키기 전에, 부착된 공급된 필름을 가지고, 상기 신장기(1008) 상에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12)는 상기에서 설명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모서리(510)와 같이, 튜브형의 몸체(1004)의 원주형의 모서리(1002)와 봉합될 준비를 위해 원하는 정도로 신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신장기(1008)는 확장될 필요가 없고, 상기 공급된 필름의 원주형의 모서리(1012)를 아래로 그리고 상기 개구부(1010)로 신장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움직이기만 한다. 적절한 메카니즘이 신장기(1008)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신장기는 전반적으로 원형의 헤드를 가지는 프레스 또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사각, 정사각, 또는 삼각 튜브형의 몸체 단면을 가지는 것과 같이, 신장기가 다른 형태의 라이너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헤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사각 형태 또는 정사각 등과 같이, 원형이 아닌 형태일 수 있다.
신장기(1008)를 이용해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의 원주형의 모서리(1012)를 신장시키는 것은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수단이 매우 충분한 봉합들의 효과적이고 일관된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장 장치(1000)와 같은,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은, 아래로 그리고 상기 개구부(1010)로 신장될 때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12)에 적용되는 전반적으로 일관된 압력 및 신장을 허용한다. 일관된 압력은 개구부(1010) 안에 적용되는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의 실질적으로 고른 신장된 원주형의 표면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이로써 튜브형의 몸체(1004)의 상기 원주형 모서리(1002)가 용접될 수 있는 원주형의 모서리(1012)에서 전반적으로 더 일관되게 편평한 봉합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즉,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은,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12)가 원주형의 모서리(1002)와 만나는 상기 라이너 용접 표면 상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제거된 주름들로 귀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자동 또는 반-자동 수단의 사용은 손에 의해 수동으로 신장이 수행될 때보다 더 일관되게 크기지어지고 형태지어지는 라이너들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12) 또는 그 주변에서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의 신장 장력이 측정될 수 있고 확인되고 또한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대해 결정되는 신장 끝점으로 설정될 수 있고, 몇몇의 경우들에 있어서, 필름 타입/조합, 필름 층들의 수, 필름의 두께 또는 다른 필름 특성들의 함수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견고한 기계적 정지부가, 상기 신장 장치가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신장 정도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주어진 라이너 실시예에 대한 신장 끝점을 결정하기 위한 어떠한 적절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공급된 필름(1006)의 원주형의 모서리(1012)가 신장되고 또한 원주형으로 확장된 튜브형의 몸체(1004)의 개구부(1010) 안에 위치될 때, 상기 공급된 필름의 원주형의 모서리(1012)는 상기 튜브형의 몸체의 원주형의 모서리(1002)에 적절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12)가 원주형의 모서리(1002)에 적절하게 정렬될 때, 2 개의 원주형의 모서리들(1012, 1002)의 용접은, 도 10의 하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의 몸체(1004)의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1002)의 외부 면을 가로지르고 그들의 개별적인 길이들을 따라 2개의 원주형의 모서리들(1012, 1002)을 서로 열적으로 용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 용접 프레스들(1014)을 이용하여, 열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튜브형의 구조의 원주형의 모서리를 신장시키는 방법,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고르게 또는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여, 다른 물질이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의 구조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정사각, 사각, 타원, 삼각, 또는 다른 정형적 또는 비정형적 형태의 단면을 포함하여, 적절한 단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은 용접될 물질 또는 제1필름의 다른 섹션 또는 모서리를 따라 신장시키는 방법, 몇몇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고르게 또는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방법을 설명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다른 필름 또는 물질이 상기 모서리 또는 다른 섹션을 따라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또는 섹션)을 신장시키는 것은, 원하는 용접선 또는 패턴을 따라 보다 고르고 균일한 신장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및/또는 함께 용접될 물질들의 보다 깔끔한 취급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부분(302)에 상기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의 용접 완료 후, 또는 다른 적절한 라이너 구조의 완료 후,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접의 외측에 또한 라이너 그 자체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잉여 물질은 원한다면, 제거될 수 있다. 제거(trimming)는 각 용접 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모든 용접이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거는 용접 전에, 또는 원한다면 용접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하부(304) 및 상부(306) 부분들이 상기 몸체 부분(302)에 용접되는 단계(408) 후에, 완료된 라이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라벨링, 폴딩, 패키징 등과 같은, 추가의 제조 프로세스들에 종속될 수 있다. 다른 비-필름 구성성분들이 이러한 추가의 제조 프로세스들에서 제공되고 포함될 수 있다.
단지 소정의 단계들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어떠한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도 물론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장 장치(800)로/로부터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302) 및 밀봉 표면(608)을 이동시키는 것은 자동화된 또는 반-자동화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로드/언로드 스테이션(602)과 상기 라이너 용접 스테이션(604) 사이의 전달들 또한 자동화된 또는 반-자동화된 수단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잉여 물질의 제거는 유사하게 자동화된 또는 반-자동화된 수단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라이너 부분 - 예, 몸체 부분, 상부 부분, 하부 부분 - 형성 및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세정 또는 피트먼트 끼워맞춤과 같은, 이들의 하부단계들은, 자동화되거나 또는 반-자동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이 상기 라이너들의 침윤 표면들과 인체, 및 설비 접촉을 포함하는 기계적 접촉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개시된 라이너 실시예들의 청결한 생산에 있어서 전통적인 제조 방법들에 비하여 장점들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라이너에 대한 의도된 내용물에 따라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의 신장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하부 및 상부 부분들은, 상기 라이너의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데 더 도움을 주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안정화를 위한 수단을 이용해, 추가적으로 신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몸체 부분의 원주형의 모서리는 신장될 필요가 없고, 상기 밀봉 표면 상에 놓이기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부분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밀봉 영역에서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신장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에 의해 특별히 만들어지는 라이너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3차원의 컨포멀 라이너들, 및/또는 (상기 라이너의 두께 및/또는 사용된 물질을 포함하여) 이러한 라이너들을 포함하는 필름의 특성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증가된 디스펜스능력; 핀홀들, 용접 틈새들, 및/또는 폴드 가스의 감소 또는 제거; 및/또는 상기 라이너 피트먼트 상에의 부하 및 스트레스에 있어서의 감소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특성들을 상기 라이너들에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에 대하여, 다양한 데이터가 획득되었고 또한 다양한 테스트들이 이에 수행되었는데, 이것은 종래 라이너들에 대하여 큰, 또한 실질적인 개선을 지시한다. Appendix A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증가된 디스펜스능력; 폴드 가스, 핀홀들의 감소 또는 제거, 및/또는 용접 강도를 포함하는, 이러한 바람직한 특성들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및 테스트 결과들을 포함한다. Appendix A에서, 본 발명의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은,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3D conformal", "3DC", "NS50", "NS50 liner", "NS50-3DC, 등을 포함하는, 수 개의 명칭들에 의해 지칭된다. 다양한 데이터 및 테스트 결과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이너들은 "N500"으로 지칭되는 라이너들과 비교되는데, 이것은 종래의 2차원, 필로우-타입의 라이너이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한정하거나 총망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명백한 변형들 또는 변경들이 상기의 교시들의 측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들 및 실제 적용에 대해 최적의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또한 당업자가 고려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들을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이 선택되었고 설명되었다. 이러한 모든 변형들 및 변경들은, 공평하고, 합법적이고 또한 균등하게 부여된 폭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다.

Claims (20)

  1.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튜브형 라이너 몸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단계; 및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이고, 이때 상기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되는 피트먼트를 가지는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인,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 몸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시키는 단계 및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에 용접되어,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의 피트먼트는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신장 장치에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원주형의 모서리를 제거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방사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상기 신장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는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신장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장 장치로부터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가 남게 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 상의 상기 시트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밀폐 링을 따라 상기 신장된 원주형의 모서리에 상기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 상의 상기 시트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시트 부분을 신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신장되어 개방된 상기 원주형의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를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원주형의 모서리 상의 상기 시트 부분을 지지하는 단계로, 상기 시트 부분의 평면은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및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에 반대되는 측 상에 상기 시트 부분을 접촉시키고 상기 개방된 원주형의 모서리로 상기 시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연장하기 위해 신장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는 대략 80 마이크론과 대략 28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용접 이음부를 가지는, 튜브형 몸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 몸체를 신장시키고,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로,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된 피트먼트를 가지며; 및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 몸체를 신장시키고,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은 튜브형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용접된 2 개의 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은 이로써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2 개의 용접 이음부들을 가지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신장 장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방사상으로 신장시키도록 상기 신장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장 장치로부터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제거하는 단계, 이로써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남겨두는 단계, 및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기 위한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상의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튜브형 라이너 몸체의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상기 신장 장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방사상으로 신장시키도록 상기 신장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장 장치로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제거하는 단계, 이로써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남겨두는 단계, 및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기 위한 상기 밀폐 링 상에 신장된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상의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및 수직 용접 이음부를 가지는 튜브형 몸체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 몸체를 신장시키고, 신장된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고,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은 거기에 용접된 피트먼트를 가지며; 및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 주변 상기 튜브형 몸체를 신장시키고, 신장된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을 용접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라이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상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 라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과 상기 하부 라이너 시트 부분 사이의 용접은 접촉된 각 부분의 내부 침윤 표면들로 영향을 받는, 라이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은 튜브형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용접되는 2 개의 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몸체 부분은 이로써 상기 상부 원주형의 모서리부터 상기 하부 원주형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2 개의 용접 이음부들을 가지는, 라이너.
KR1020147033077A 2012-05-02 2013-04-30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 Active KR102084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1702P 2012-05-02 2012-05-02
US61/641,702 2012-05-02
US201261731915P 2012-11-30 2012-11-30
US61/731,915 2012-11-30
PCT/US2013/038872 WO2013166018A1 (en) 2012-05-02 2013-04-30 Manufacturing method for generally cylindrical three-dimensional conformal l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08A true KR20150006008A (ko) 2015-01-15
KR102084544B1 KR102084544B1 (ko) 2020-03-04

Family

ID=4951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77A Active KR102084544B1 (ko) 2012-05-02 2013-04-30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25638A1 (ko)
EP (1) EP2844407A4 (ko)
JP (1) JP6129954B2 (ko)
KR (1) KR102084544B1 (ko)
CN (1) CN104936718B (ko)
TW (1) TWI589499B (ko)
WO (1) WO20131660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79U (ko) * 2017-01-25 2020-09-09 궈 롱 멍 강철 드럼통 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0167B2 (ja) 2012-10-31 2017-07-26 ミシュラン ルシェルシュ エ テクニー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タイヤ試験の間のタイヤフットプリントに従った粒子物質を散布する方法およ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9340A (ja) * 1987-11-27 1989-05-31 Fujimori Kogyo Kk 円筒容器の製造方法
JPH0640454A (ja) * 1991-11-19 1994-02-15 Rohm & Haas New Zealand Ltd 容器用ライナー
JPH06511454A (ja) * 1991-07-19 1994-12-22 セイフティークリ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規制物質の貯蔵と移送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カバー及びドラムライナ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826A (en) * 1965-01-05 1968-09-17 George W Butler Packaging system
US3895734A (en) * 1970-12-02 1975-07-22 Fairey Stainless Ltd Thin-walled containers
JPS54133977A (en) * 1978-04-06 1979-10-18 Sumitomo Bakelite Co Method of sealing up cylindrical container
JPS5786457A (en) * 1980-11-19 1982-05-29 Toyo Seikan Kaisha Ltd Self-erecting vessel
EP0260084B1 (en) * 1986-09-08 1992-12-30 Asia Can Company Limited Metal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151249A (ja) * 1999-11-25 2001-06-05 Fuji Seal Inc スパウト付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13416A1 (en) * 2001-12-14 2003-06-19 Wycliffe Paul Anthony Metal container with seam connecting body and top portion
EP1889674A1 (en) * 2006-08-17 2008-02-20 Corus Staal BV Method of manufacturing a necked container
US20080277036A1 (en) * 2007-05-11 2008-11-13 Luxfer Group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tanks
EP2248731A1 (en) * 2009-05-07 2010-11-10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ontainer with clamped seal
US8661633B2 (en) * 2010-04-05 2014-03-04 Genesis International, Inc. Casket
CN201832918U (zh) * 2010-10-13 2011-05-18 太平洋制罐(漳州)有限公司 一种制罐机械的翻边机构
KR102131114B1 (ko) * 2010-12-10 2020-07-07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압력 분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대체로 원통형 형상 라이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9340A (ja) * 1987-11-27 1989-05-31 Fujimori Kogyo Kk 円筒容器の製造方法
JPH06511454A (ja) * 1991-07-19 1994-12-22 セイフティークリ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規制物質の貯蔵と移送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カバー及びドラムライナー
JPH0640454A (ja) * 1991-11-19 1994-02-15 Rohm & Haas New Zealand Ltd 容器用ライナ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79U (ko) * 2017-01-25 2020-09-09 궈 롱 멍 강철 드럼통 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0381A (zh) 2014-01-01
US20150125638A1 (en) 2015-05-07
EP2844407A1 (en) 2015-03-11
TWI589499B (zh) 2017-07-01
KR102084544B1 (ko) 2020-03-04
EP2844407A4 (en) 2016-01-20
WO2013166018A1 (en) 2013-11-07
JP2015521122A (ja) 2015-07-27
JP6129954B2 (ja) 2017-05-17
CN104936718A (zh) 2015-09-23
CN104936718B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9519A1 (en) Generally cylindrically-shaped liner for use in pressure dispense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1575B1 (ko) 오버팩 용기용 블로우 성형 라이너 및 그의 제조 방법
US9573747B2 (en) Folded liner for use with an overpack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16399198B2 (en) Pallet container
KR20150006008A (ko) 전반적으로 원통형인 3차원 컨포멀 라이너들을 위한 제조 방법
AU2017239276A1 (en) Plastics-material internal container having an inliner
US20100059529A1 (en) Flexible packaging made from plastic
JP7496064B2 (ja) 収納容器、組合容器、内容物入り組合容器、設置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製造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使用方法、収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環状部材付き収納容器
US20210039836A1 (en) Tack welded fin seal
JP2001033341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袋体及びそのヒートシール検査方法
JP6214314B2 (ja) チューブ容器のシール部検査用押圧部材、チューブ容器のシール部検査装置、それを用いたチューブ容器のシール部検査方法、並びに、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
TWI605983B (zh) 實質剛性的可形變的襯套筒及可撓性有角撐或無角撐的襯套筒以及其製造方法及用以限制襯套筒中的阻塞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