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35U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Google Patents
Tray Having Holder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235U KR20150004235U KR2020140003781U KR20140003781U KR20150004235U KR 20150004235 U KR20150004235 U KR 20150004235U KR 2020140003781 U KR2020140003781 U KR 2020140003781U KR 20140003781 U KR20140003781 U KR 20140003781U KR 20150004235 U KR20150004235 U KR 2015000423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tray
- handle
- insertion port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34 Frostb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8 ho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 및 상기 사각판상 부재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사각판상 부재를 바닥에 내려 놓을시 상기 경사진 네 모서리가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와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와 상기 용기 삽입구의 한 쪽 부분에 상기 트레이 지지대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삽입구에 단차를 두고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와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삼각판상 부재와 상기 삼각판상 부재가 곡선을 가지게 구부려서 세 모서리가 바닥에 닿게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컵이나 그릇을 안정감 있게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고, 구멍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컵이나 그릇에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상기 트레이 지지대를 라운드 형상으로 마감하여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 tray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holder function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plane so that the container of the upper light-bulb typ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is lowered on the floor, the tapered four corners serve as legs and the container with the handl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a flat surface A container body hav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is formed, and a V-shaped groove formed in one side of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in the tray support direction, A handle fixing groove to which a handl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a handle A triangular plate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plane so that the lean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tray support member which is bent to have a curved line so that three corn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There is an effect that a cup or a bowl is supported in a stable manner and that the size of the hole is made variously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kinds of cups and utensil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ng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광하협 용기나 손잡이가 달린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홀더기능을 구비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container or a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having a holder function.
음식이나 음료가 담긴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는 실내외의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Trays that carry containers containing food or beverage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both indoors and outdoors.
이와 같은 컵을 나르는 트레이의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 20-2005-0033295호 `판촉용 종이컵 쟁반`에서 개시되었다.An example of a tray for carrying such a cup is disclosed in Prior Art Application No. 20-2005-0033295 " Promotional Paper Cup Tray ".
상기 컵을 나르는 트레이에 관한 종래 기술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피 자동판매기에서 인출한 다수개의 잔 커피 또는 일반차를 극히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찻잔다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tray for carrying the cup relates to a mug mass transport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which can extremely easily transport a plurality of cups of coffee or a general car drawn from a coffee machine as shown in Fig.
종래 기술은 쟁반 평면에 일정 간격으로 2∼10개의 종이컵 하부가 담길 수 있게 원형홈틀이 일정 간격으로 파여져 종이컵 차를 담으면 틀에 고정되어 이동시 움직이지 않게 하며 쟁반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판촉용 광고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어 원하는 광고문구를 쟁반 제작시 집어넣을 수 있어 광고판촉용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ircular grooves are fin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bottom of 2 to 10 paper cups can be hel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y plane, So that the desired advertising text can be inserted into the tray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이처럼 종래 기술은 상기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트레이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컵이나 그릇들을 지지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While the prior art has the above-mentioned advantag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ort the cup or the containers when the tray is put on the floor.
또한, 머그컵 등과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컵이나 그릇의 거치에는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mounting of cups and dishes of various sizes such as a mug.
또한, 음료나 음식을 가득 채운 컵이나 그릇을 담은 트레이의 이동시 안정감이 떨어져서 뜨거운 음료나 음식을 흘릴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tray containing the cup or the bowl filled with beverages or food is not stable, the hot drink or food may be burned.
본 고안은 종래의 컵을 나르는 트레이가 컵을 나르고 바닥에 내려 놓을 때 컵이 고정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트레이의 네 모서리 지지대 부분을 아래로 경사지게 기울여서 트레이가 바닥과 공간을 형성하여 용기 등을 삽입시 트레이 자체가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cup conveying tray is difficult to fix the cup when the cup is carried and put on the floor. The tray is inclined downward at four corners so that the tray forms a floor and a space So that the tray itself can be supported when inserting a container or the like.
또한, 트레이를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용기가 삽입 및 고정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이동시나 바닥에 내려 놓을시에 안정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when the tray is manufactured so that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moved down or placed on the floor.
또한, 트레이의 지지대 끝부분을 부드럽게 라운드 형상으로 마감하여 사용시 위험 요인을 방지하면서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support of the tray is gently rounded so as to improve the aesthetics while preventing a risk factor in us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 및 상기 사각판상 부재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사각판상 부재를 바닥에 내려 놓을시 상기 경사진 네 모서리가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having a shape of a transverse bulge, the container having a shap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plane such that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n insertion port; And a tray support having four tapered corners serving as legs when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plate member are inclined downwardly and the rectangular plate member is placed on the floor.
또한, 상기 사각판상 부재는 정사각형으로 하고, 상기 용기 삽입구는 네 개가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s may have a square shape, and four container insertion ports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또한, 상기 트레이 지지대는 바닥에 닿는 끝부분은 라운드 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tray support has a round shape at an end portion of the tray support which com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또한,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와 티스푼이나 포크 등을 거치하는 다수의 구멍이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for receiving an insert port, a teaspoon, a fork,
또한,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와 상기 사각판상 부재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사각판상 부재를 바닥에 내려 놓을시 상기 경사진 네 모서리가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 및 상기 용기 삽입구의 한 쪽 부분에 상기 트레이 지지대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삽입구에 단차를 두고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compris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with a plane is opened so that a container with a handl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Wherein the four corners of the member are inclined obliquely downward so that when the square plate member is lowered on the floor, the inclined four corners serve as legs; And a knob fixing groove formed in one side of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and having a V-shaped groove in the tray support direction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in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and a handle portion of the container having the handle attached thereto by being inserted thereinto and fixed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와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에 대응하는 받침대를 거치하는 다수의 받침대 삽입구가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edestal insertion openings are formed on a plane in such a manner that an insertion opening of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and a pedestal corresponding to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the one side are formed.
또한,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 삽입구가 있고 티스푼이나 포크 등을 거치하는 다수의 구멍이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iner insertion port having a handle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receiving a teaspoon, a fork, etc. are formed on a plane.
또한,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와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가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 of the superimposed light-impermeable container and the insertion port of the container having the handle on one side are formed on a plane.
또한,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삼각판상 부재와 상기 삼각판상 부재가 곡선을 가지게 구부려서 세 모서리가 바닥에 닿게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 및 상기 용기 삽입구의 한 쪽 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thereof is provided with a triangular plate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with a plan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ontainer with a handl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 tray support which acts as a leg by bending the member so as to have a curved line so that three corners thereof contact the floor and one part of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is formed with a V-shaped gro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handle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handle fixing groove which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용기 삽입구가 있는 트레이의 네 모서리 부분을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여서 트레이 지지대를 만들고 상기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놓는 바닥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음식용기들을 삽입시 고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tray support by tilting the four corners of the tray with the container inserting slope downwardl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tray and the bottom of the tray, It has effect.
또한, 트레이는 각종 음식용기의 사이즈 별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음식용기들을 삽입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이동시나 바닥에 내려 놓을시에도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y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ize of various food containers,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fix foo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reby providing a feeling of stability even when they are moved or placed on the floor.
또한, 트레이가 바닥에 닿는 지지대의 끝부분을 부드럽게 라운드 형상으로 마감하여 사용시 위험을 줄이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which the tray touches to the floor is gently rounded to reduce the risk and enhance the beauty of use.
도 1은 종래 컵을 나르는 트레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1,
도 3은 본 고안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2,
도 4는 본 고안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평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1,
도 6은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2,
도 7은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V홈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부분상세도,
도 10은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티스푼 거치 구멍이 같이 있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받침대 삽입구가 있는 트레이와 상기 두 종류의 용기 삽입구가 같이 있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가 한개만 있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ray for carrying a conventional cup,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equipp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and partial enlarged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with a handle on one side thereof,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with a handle on th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with a handle on th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V-groove portion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with a handle on th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detail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with a handle on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easpoon fixing hole of a tray provided with the present design holder function is provided together,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having a holder function with a tray having the present tablet insertion por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holder function with only one insertion port for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th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context of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 본 고안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1 및 도 3 본 고안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를 나르는 트레이에 있어서, 사각판상 부재(11)의 평면상에 90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네 개의 원형구멍을 뚫어서 네 개의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 삽입구(13)를 만들고 상기 용기 삽입구(13)에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equipp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function of a container of a container type. FIG. Four circular holes are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of 90 degrees on the plane of the
상기 사각판상 부재(11)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트레이 지지대(12)를 만들어서 상기 사각판상 부재(11)를 바닥에 내려 놓을때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와 상기 바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 지지대(12)가 다리 역할을 하여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를 고정해 준다.
When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상기 트레이 지지대(12)는 바닥에 닿는 끝부분을 라운드 모양으로 마감하여 본 발명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를 아이들이나 노약자가 이용할때나 사용상 부주위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해 주고, 미관을 향상시킨다.
The
또한, 이동시에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가 상기 용기 삽입구(13)에 삽입되고 고정되어 뜨거운 음식이나 음료를 흘릴 염려가 없어 화상의 위험이 줄어들고 다소 무게가 나가는 음식 등을 나를 때도 안정감을 준다.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moved, a container having a shape of a supercritical stat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본 고안은 다양한 사이즈나 모양의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를 삽입하여 고정 할 수 있게 여러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types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즉, 다양한 종류의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용기 삽입구(13)를 제작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That is, the
예를 들어, 도 5, 도 6은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사시도1, 사시도2 를 도시한 것인데, 도 5에 도시된 트레이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와는 차이가 있다.For example, FIGS. 5 and 6 show a perspective view 1 and a perspective view 2 of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of a tray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holder function. The tray shown in FIG. There is a difference.
도 5 사시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를 삽입 및 고정해야 하므로 도 2의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트레이와는 상기 용기 삽입구(13)가 크기와 모양에서 차이가 난다.
As shown in FIG. 5 (a) and 1 (b), since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once, the
도 4의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트레이의 평면도와 도 7의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트레이의 평면도를 살펴보면,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용 트레이의 상기 용기 삽입구(13)는 원형인데 비해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트레이의 상기 용기 삽입구(13)는 물방울 모양이고 상기 트레이 지지대(12) 방향으로 V자의 홈이 파인 손잡이 고정홈(14)이 있다.
4 and the top view of the container tray with the handle on one side of FIG. 7, the
도 6 과 도 8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고정홈(14)는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를 고정해 주어 이동시나 바닥에 내려 놓을 때 안정감을 줄 뿐만 아니라 티스푼 등도 거치 할 수 있어서 쓰임새가 다양하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8, the
또한, 상기 손잡이 고정홈(14)은 V자 파인 홈이 상기 트레이 지지대(12) 방향으로 향하므로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과 다른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멀어지게 하여 쟁반을 들거나 잡을 때 사람의 손과 컵의 손잡이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Further, since the V-shaped grooves of the
또한, 도 9의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용 트레이의 부분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고정홈(14)부분을 상기 트레이 지지대(12) 방향으로 하여 V자 모양의 홈부분의 높이를 다소 낮추어 계단식 단차를 만드는데 낮은 쪽 즉, 상기 V자 모양의 홈부분이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해 주고 상기 용기 삽입구(13)의 전체적인 지름을 줄여주어 상기 한 쪽 손잡이가 달린 용기 둘레에 뚫어진 원의 지름과 같아지는 결과를 보이게 된다.
9, the height of the V-shaped groove portion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도 10 은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티스푼 거치 구멍(15)이 있는 예를 보인 도면인데, 상기 도면에 의하면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가 있는 상기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와 한 족에 손잡이가 있는 용기의 삽입구가 있는 상기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에 티스푼이나 포크 등을 거치 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평면상에 형성하고 상기의 구멍에 티스푼이 포크 등을 거치한다.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도 11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와 그에 대응하는 받침대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받침대도 함께 거치가 가능하도록 받침대 삽입구(16)를 평면상에 형성하여 한꺼번에 삽입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As shown in (a) of the tray equipped with the inventive holder function, when there is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and a corresponding pedestal, the
또한, 도 11의 (b)는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와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가 평면상에 같이 있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인데 상기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상광하협 용기만 이용하거나 아니면 머그컵과 같은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용기들을 한꺼번에 같이 이용하는 일이 비일비재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11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y provided with a holder fun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ort of the counterclockwise upper limit vessel and the insertion port of the container having the handle on one side are on a plane. As shown in the figure, , It is necessary to use only container of the sunkwang dam or only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such as a mug, but to use various kinds of containers together at the same time.
도 12 같은 경우는 싱글족이나 혼자 이용하는 이용자가 편리하게 사용가능 하도록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13)를 하나만 형성한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12,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of a tray provided with a holder function in which only one
즉,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13)가 있는 삼각판상 부재와 상기 삼각판상 부재가 곡선을 가지게 구부려서 세 모서리가 바닥에 닿을때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12) 및 상기 용기 삽입구(13)의 한 쪽 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14)을 형성하여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를 삽입하여 고정가능 하도록 한다.
That is, a triangular-plate-like member having a
본 고안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의 재료는 나무, 우레탄, 아크릴 등의 가능한 최선의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고, 특정한 종류의 재료에 국한 되지 않는다.
The material of the tray provided with the inventive holder function can be manufactured by selecting the best possible material such as wood, urethane, acrylic,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kind of material.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 사각판상 부재
12: 트레이 지지대
13: 용기 삽입구
14: 손잡이 고정홈
15: 티스푼 거치구멍
16: 받침대 삽입구11: Square plate member
12: Tray support
13:
14: Handle fixing groove
15: Teaspoon mounting hole
16:
Claims (9)
상기 상광하협 형태의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 및
상기 사각판상 부재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사각판상 부재를 바닥에 내려 놓을시 상기 경사진 네 모서리가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In the trays for carrying containers of the shape of a float,
A rectangular plate-like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plane so that the container in the form of a vertical barrel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nd a tray support having a tapered four corners serving as legs when the square plate member is inclined downward at four corners of the square plate member to lower the square plate member on the floor. tray.
상기 사각판상 부재는 정사각형으로 하고,
상기 용기 삽입구는 네 개가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quare plate member has a square shape,
Wherein the container inserting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바닥에 닿는 끝부분은 라운드 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ray support
And the end portion contacting the floor has a round shape.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와 티스푼이나 포크 등을 거치하는 다수의 구멍이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receiving a teaspoon, a fork, and the lik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tray.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사각판상 부재;
상기 사각판상 부재의 네 모서리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사각판상 부재를 바닥에 내려 놓을시 상기 경사진 네 모서리가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 및
상기 용기 삽입구의 한 쪽 부분에 상기 트레이 지지대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삽입구에 단차를 두고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In 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having a hole in a plane so that the container with the handle attached to the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 tray support having four inclined corners serving as legs when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are inclined downwardly so as to lower the square plate-shaped member to the floor; And
And a handle fixing groove formed at one portion of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and having a V-shaped groove in a direction of the tray support so that a handle portion of the container with a handle is inserted and fixed with a step on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Wherein the tray is provided with a holder function.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와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에 대응하는 받침대를 거치하는 다수의 받침대 삽입구가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lurality of tray receiving openings for receiving a tray corresponding to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thereof are formed in a plane on the tray.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 삽입구와 티스푼이나 포크 등을 거치하는 다수의 구멍이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recei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having a handle on one side and a teaspoon, a fork, and the like formed in a planar shape.
상광하협 용기의 삽입구와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삽입구가 평면상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nd a tray having an insertion port of a container of a supercritical fluid and an inlet port of a container having a handle on one side thereof formed on a plane.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가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평면상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의 용기 삽입구가 있는 삼각판상 부재;
상기 삼각판상 부재가 곡선을 가지게 구부려서 세 모서리가 바닥에 닿게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트레이 지지대;및
상기 용기 삽입구의 한 쪽 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In a tray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A triangular-plate-like member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port having a hole on a plane so that a container with a handle on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A tray support having the triangular plate member bent to have a curved line so that three corners touch the floor to serve as legs;
And a handle fixing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container insertion port is formed with a V-shaped groov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handle portion of a container with a hand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insertion opening. tra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781U KR200481424Y1 (en) | 2014-05-16 | 2014-05-16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PCT/KR2015/000286 WO2015174606A1 (en) | 2014-05-16 | 2015-01-12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781U KR200481424Y1 (en) | 2014-05-16 | 2014-05-16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235U true KR20150004235U (en) | 2015-11-25 |
KR200481424Y1 KR200481424Y1 (en) | 2016-09-28 |
Family
ID=5448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7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1424Y1 (en) | 2014-05-16 | 2014-05-16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424Y1 (en) |
WO (1) | WO201517460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9427A1 (en) * | 2018-03-08 | 2019-09-12 | Stand Designs Pty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rriers |
WO2021067925A1 (en) | 2019-10-04 | 2021-04-08 | Brain Brew Ventures 3.0, Inc. | Beverage flight hol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34475A (en) * | 1989-10-16 | 1991-06-07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KR20050106604A (en) * | 2004-05-06 | 2005-11-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ssistant cup holder which can be mounted or removed |
JP2006218265A (en) * | 2005-02-10 | 2006-08-24 | Satoko Kobayashi | Three-dimensional coaster to prevent tumbling of paper cup or the lik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11934A1 (en) * | 2002-07-17 | 2004-01-22 | Thomas Czepowicz | Inverted container holding system |
FR2971686B1 (en) * | 2011-02-23 | 2013-12-13 | Andre Doumenc | ASSEMBLY CONSISTING OF A SUPPORT AND AT LEAST TWO GLASSES POSED ON THIS SUPPORT |
DE202011000808U1 (en) * | 2011-03-08 | 2011-06-09 | Beilhack jun., Anton, 83674 | System for the presentation of drinks and beverage glass therefor |
CN202567611U (en) * | 2012-05-02 | 2012-12-05 | 宋柳颖 | Water cup stabilizing tray |
-
2014
- 2014-05-16 KR KR2020140003781U patent/KR20048142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1-12 WO PCT/KR2015/000286 patent/WO201517460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34475A (en) * | 1989-10-16 | 1991-06-07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KR20050106604A (en) * | 2004-05-06 | 2005-11-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ssistant cup holder which can be mounted or removed |
JP2006218265A (en) * | 2005-02-10 | 2006-08-24 | Satoko Kobayashi | Three-dimensional coaster to prevent tumbling of paper cup or the li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74606A1 (en) | 2015-11-19 |
KR200481424Y1 (en) | 201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3681B2 (en) | Cup holder | |
US5390798A (en) | Food and beverage support tray with beverage vessel cutout | |
US5294000A (en) | Food and beverage support tray | |
US20060255050A1 (en) | Universal food-holding receptacle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of diverse shapes and sizes | |
US20120012500A1 (en) | Cup and bowl carrier | |
US20130062494A1 (en) | Stemware Coaster | |
US8807368B1 (en) | Serving vessel set | |
US2837388A (en) | Stacking lap tray for food | |
US10925380B1 (en) | Beverage holder | |
KR200481424Y1 (en) | Tray Having Holder Function | |
US5938060A (en) |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 |
US20150122824A1 (en) | Plate Having Integrated Cup Holder | |
US20170354282A1 (en) | Elevated Coaster | |
JP3208327U (en) | Cup holder | |
US20090107875A1 (en) | Tray device | |
US20130175277A1 (en) | Food Dish With Abutment to Drinking Glass Top | |
KR102186740B1 (en) | Commercial Use Tray Containing Separable Cup Supporter | |
KR101539228B1 (en) | puzzle food tray | |
JP3183927U (en) | tray | |
US11641967B2 (en) | Self-serve communion containment, presentation and service device | |
JP3209943U (en) | container | |
KR200492967Y1 (en) | Cup support | |
JP6145740B1 (en) | Outdoor tableware | |
US20170013994A1 (en) | Multiple height platform | |
KR101588968B1 (en) | Cup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5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129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6082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9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070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