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35498A - Vessel Having Duct Unit - Google Patents

Vessel Having Duc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498A
KR20140135498A KR20130055857A KR20130055857A KR20140135498A KR 20140135498 A KR20140135498 A KR 20140135498A KR 20130055857 A KR20130055857 A KR 20130055857A KR 20130055857 A KR20130055857 A KR 20130055857A KR 20140135498 A KR20140135498 A KR 2014013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nit
hull
coupled
coupling protrusions
prope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규
김정중
서종수
안성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5498A/en
Publication of KR2014013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49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후미에서 추진기의 전방에 좌 우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된 선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전후방으로 해수가 통과하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덕트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duct unit, a hul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rear of the propeller at a rear end thereof, and at least a part of the hu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isclosed is a ship having a duct unit including a duct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hrough which seawater passes in front and rear together with the projections.

Description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Vessel Having Duct Unit}[0001] VESSEL Having Duct Unit [0002]

본 발명은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후미에서 덕트유닛이 결합되어 선박의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duc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p having a duct unit coupled to a duct unit at the rear of the ship to increase the thrust of the ship.

추진기를 이용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에서 동일한 추진기를 가지고 추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추진기의 전방에 별도의 덕트를 구비한 선박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struction of a thrust generator using a propeller to increase the thrust with the same propeller. Especially, a ship having a separate duct in front of the propeller has been developed variously.

일반적으로 추진기의 전방에 링 모양의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선각효율 및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덕트의 경우 선체가 전진할 때 손실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고자 하는 에너지 절약장치의 일종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ring-shaped duc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pell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ull and the propulsion efficiency. In the case of such a duct, it is widely used as an energy saving device to recover the energy lost when the hull is advanced and to obtain energy saving effect.

선체의 후미에서 추진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추진기로 전달되는 해수의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해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By providing a duct disposed in front of the propeller at the rear of the hull, the thrust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seawater delivered to the propeller.

종래에 개발된 덕트는 선체의 선미부분과 프로펠러형 추진기 사이에 통형의 덕트를 설치하여 프로펠러 전방의 선체 주위에 박리를 억제하고 추력을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회전하는 프로펠러형 추진기의 특성상 선체의 상하좌우 위치별 받음각이 달라 추력중심점이 이동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체를 중심으로 좌우 비대칭 형태의 덕트가 개발되어왔다.Previously developed ducts installed a tubular duct between the stern of the hull and the propeller-type propeller, suppressing the separation around the hull in front of the propeller and increasing thrust. In addition, since the propeller type propeller is rotating, the angle of attack depends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hull, and asymmetric ducts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hu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hifting the center of thrust.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선체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추진기 자체의 용량을 고려하여 덕트를 설치하기 어려웠다. 또한, 곡선형태의 외면을 가진 선체 자체에 덕트를 직접 설치함으로써 설치된 덕트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attach to the hull, and it was difficult to install the duct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propeller itself.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ct installed has a weak durability by providing the duct directly to the hull itself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뿐만 아니라 단순히 하나의 부재로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추진기의 용량이나 선체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덕트를 형성하여 선체에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duct is formed by a single member,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form a duc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propeller or the size of the hull and to attach the duct to the hul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324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3244

본 발명은 종래에 개발된 선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미에 좌 우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와 이에 결합되어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덕트유닛을 구비하며 추진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공간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하여 추진기의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essel,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rear, and a duct unit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according to the propeller. Thereby increasing the thrust of the propell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은 후미에서 추진기의 전방에 좌 우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된 선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전후방으로 해수가 통과하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덕트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ship having a duc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ul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left and right in front of a propeller at a rear end thereof, and a hu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duct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so as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seawater pass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또한, 덕트유닛은 일체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선체의 좌 우측에 각각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Further, the duct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both ends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통공간의 좌 우측의 단면 또는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unit may be formed so that cross sections or sha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munication sp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hull.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중심선이 선체의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unit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such that the center line crosses the center line of the hull.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duct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제1구조체 및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구조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unit may include a first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duct un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t the left side of the hull, a first structure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t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structu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ucture.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1구조체 및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ct unit may include a first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duct unit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

또한, 상기 제1구조체와 상기 제2구조체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may have different sizes or shapes.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선체를 중심으로 좌우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be asymmetric about the hull.

본 발명에 따른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hip having the duc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선체의 후미에서 추진기의 전방에 배치되며 선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선체의 좌 우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덕트유닛을 구비하여 추진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공간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하여 추진기의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a duct unit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propeller at the rear of the hull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ull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protrusions protru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hull forms a communication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rust of the propeller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둘째, 덕트유닛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연통공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duct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formed communication space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셋째, 덕트유닛이 선체의 좌측에서 결합되는 제1구조체와 선체의 우측에서 결합되는 제2구조체를 포함하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선체를 중심으로 좌 우측 비대칭인 연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ird, the duct unit includes a first structure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structur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ship, and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have different shapes or sizes, The right asymmetric communication space can be formed.

넷째, 덕트유닛이 결합돌기에 결합될 때, 덕트유닛의 중심선이 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편향되도록 배치하여 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서 추진기에 공급되는 해수의 유속이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추진기의 추력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Fourthly, when the duct un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center line of the duct unit is arranged so as to be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hull, and the flow rates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propeller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에서 덕트유닛이 선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선박에 덕트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선박에서 선체가 결합돌기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의 중심선이 편향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의 중심선과 선체의 중심선이 교차되도록 덕트유닛이 선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이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7의 덕트유닛이 선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uct unit is coupled to a hull in a ship having a duct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unit is coupled to the ship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ll of the ship of Fig. 1 is manufactured to have a coupling protrus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line of the duct unit in the ship of FIG. 1 is deflected and arrang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is coupled to the hull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duct unit and the center line of the hull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e ship of Fig. 1;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of the ship of FIG. 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uct un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ship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uc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of FIG. 7 is coupled to the hull;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추진기(110)의 추진 효율의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되며, 특히 프로펠러형 추진기(110)를 구비한 경우 추진기(110) 내부로 투입되는 해수의 방향을 조절하는 덕트유닛(200)이 구비된다.In general, various devices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the propeller 110 in a ship. In particular, when the propeller-type propeller 110 is provided, a duct unit 200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propeller 110 .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구비됨에 따라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을 조절하여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the duct unit 200 is provided, the thrust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flow velocity of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propeller.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200)을 구비한 선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ship having a duct unit 2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200)이 구비된 선박에서 덕트유닛(200)이 선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에 덕트유닛(20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선박에서 선체(100)가 결합돌기(120)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unit 200 is coupled to a hull 100 in a ship provided with a duct unit 2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p 100 of the ship of FIG. 1 is manufactured so as to have the coupling protrusion 120. FI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200)이 구비된 선박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좌 우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0)를 구비한 선체(100) 및 상기 결합돌기(120)에 결합되어 연통공간(T)을 형성하는 덕트유닛(200)을 포함한다.A structure of a ship having a duct unit 2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a ship 100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120 protruding left and right, And a duct unit (200) coupled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20)는 선체(100)의 후미에 구비되며 추진기(110)의 전방에서 좌 우측으로 돌출 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돌기(120) 각각은 선체(100)의 제조 시 선체의 프레임(102)과 함께 구비되어 선체(100)와 일체로 구성된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ull 100 so as to protrude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front of the propeller 110. Here,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12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frame 102 of the hull during manufacture of the hull 100,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ull 10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결합돌기(120)는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단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20)는 선체(10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may have a streamlined shape in cross section. 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about the hull 100 and have the same length.

하지만 이와 달리 결합돌기(120)가 좌 우측에서 서로 다른 형상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or length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덕트유닛(2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결합돌기(120)와 함께 전후방으로 해수가 통과하는 연통공간(T)을 형성하도록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The duct unit 2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t least partly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 through which the seawater is pass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0 .

구체적으로 덕트유닛(200)은 선체(100) 후미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duct unit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hull 100 and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즉, 결합돌기(120)에 덕트유닛(200)이 결합됨으로써 원통, 타원통 또는 다각의 통 형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연통공간(T)을 형성하여, 통과하는 해수가 후방의 추진기(11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 having a cylinder, a trunk, or a multi-tubular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passing sea water is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110 .

본 실시예에서 덕트유닛(200)은 일체로 구성되며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고, 양단부가 각각 선체(100)의 좌 우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20)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덕트유닛(200)의 단면은 결합돌기(120)와 마찬가지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ct unit 200 is integrally formed, and both ends are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ull 100, respectively.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duct unit 20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like the coupling protrusion 120, or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돌기(120)와 덕트유닛(200)은 추진기(110)의 전방에서 전후방으로 해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해수의 통과방향에 따른 폭은 선체(100)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As the duct unit 200 is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nd the duct unit 200 are formed so that seawater can pass through the front of the propeller 110. The widt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nd the duct unit 200, As shown in FIG.

덕트유닛(20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서 형성된 연통공간(T)은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추진기(110)로 유입되는 해수의 받음각을 크게 하여 선박의 추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를 가속하여 추진기(110)로 전달함으로써 추진기(110)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잇다.Since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by the duct unit 2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propeller at the stern, the angle of attack of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propeller 11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propulsion force of the ship.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pellant 110 can be increased by accelerating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T and transferring it to the propeller 110.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결합돌기(120)에 덕트유닛(200)이 결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덕트유닛(200)은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양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2,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duct unit 20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both ends are bent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그리고 덕트유닛(200)의 양측 끝단 각각은 선체(100)의 후미 좌우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 이때, 덕트유닛(200)과 결합돌기(120)는 서로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formed a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At this time, the duct unit 2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선체(100) 좌 우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20)에 결합됨에 따라 덕트유닛(20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서 형성된 연통공간(T)은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배치되며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Since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ull 100,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by the duct unit 2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is formed at the center line L1) and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이에 따라 선박의 추진 시 추진기(110)로 전달되는 해수는 연통공간(T)을 통과하여 가속되며 추진기(110)로 전달된다.Accordingly, the seawater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110 during the propulsion of the ship is accel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T and is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110.

한편, 도3을 참조하여 결합돌기(120)가 선체(100)의 제작 시 후미에서 선체(100)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제작 시 먼저 뼈대가 되는 프레임(102)들이 구성된다.3,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ull 100 at the rear end of the hull 100. First, as shown in FIG. 3 (a) 100, the frames 102, which become the skeleton, are constructed first.

여기서, 복수 개의 프레임(102)들이 서로 고정 결합되며 선체(100)의 빼대를 이룰 때 프레임(102)의 일부가 선체(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된 프레임(102)이 중에서 선체(100)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결합돌기(120)가 된다.Here, a plurality of frames 102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frame 102 protrudes outside the hull 100 when the hull 100 is pulled out. A portion of the frame 102 designed to protrude out of the hull 100 is the engaging projection 120.

이와 같이 결합돌기(120)가 설계상 선체(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2)을 조립한다.Thus, the frame 102 is assembled such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20 protrudes out of the hull 100 in design.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102)으로 선체(100)의 뼈대를 완성한 후 각각의 프레임(102)을 감싸도록 선체(100)의 외측에 플레이트(104)를 고정 결합시킨다.3 (b), the frame 104 of the hull 10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0 so as to enclose each frame 102 after completing the skeleton of the hull 100 with a plurality of frames 102 .

이때, 플레이트(104)가 프레임(102)에 결합 시 결합돌기(120)가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좌우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late 104 is engaged with the frame 102,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coupled so as to project leftward and righ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체(100)가 조립되며, 조립된 선체(100)의 후미에 좌우로 돌출된 결합돌기(120)가 선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20)가 선체(100)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결합돌기(120)의 내구성이 증가하며 덕트유닛(200)과 결합돌기(120)의 결합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hull 100 is assembl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0 projecting laterally from the rear of the assembled hull 1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ull 100.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ull 100,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increased and coupling between the duct unit 2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0 can be more convenient.

다음으로, 도4를 참조하여 선체(100)의 후미에서 덕트유닛(200)이 편향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4,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200 is deflected from the rear of the hull 1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의 중심선(L2)이 편향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in the ship of Fig. 1 is deflected.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결합돌기(120)에 결합되어 형성하는 연통공간(T)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좌 우측 단면 또는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by coupling the duct unit 200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end surfaces or shapes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이와 함께 선체(100)의 좌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20)가 서로 다른 형상이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engaging protrusions 120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or lengths.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덕트유닛(200)의 좌 우 형상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20)와 덕트유닛(200)이 형성하는 연통공간(T) 또는 덕트유닛의 중심선(L2)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duct unit 200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to the left and right,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120 and the duct unit 200 or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is arranged to be deflect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200)의 좌 우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20)와 함께 형성하는 연통공간(T)의 좌 우측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uct unit 200 is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결합돌기(120)에 결합됨에 따라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의 속도 및 방향이 선체의 중심선(L1)을 중심으로 좌 우 비대칭하게 추진기(110)로 전달될 수 있다.As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the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T is greater than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To the propeller 110 asymmetrically.

일반적으로 추진기(110)는 효율 및 비용을 고려하여 프로펠러형 추진기(110)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프로펠러의 경우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특성상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위치별 받음각이 달라지고 추력중심이 이동하게 된다.Generally, propeller-type propeller 110 is most commonly used in consideration of efficiency and cost. However, in the case of a propeller, an angle of attack varies depending on positions of the propeller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a propeller, The center moves.

하지만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좌 우 비대칭하게 결합돌기(120)에 결합됨에 따라 형성하는 연통공간(T)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의 속도는 좌 우측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as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a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is dispos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The speed of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는 좌 우측 속도가 연통공간(T)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회전하는 프로펠러형 추진기(110)에 좌우 비대칭 속도 분포를 주어서, 추진기(110)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추력중심의 이동을 감소시켜 직진성이 증가하게 된다.That is,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T gives a right-left asymmetric velocity distribution to the propeller-type propeller 110 rotating left and right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peller 110 And the movement of the thrust center is reduced to increase the straightness.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의 중심선(L2)이 선체의 중심선(L1)에서 우측으로 편심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우측의 연통공간(T)이 좌측의 연통공간(T)보다 큰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우측의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의 속도 보다 좌측의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의 속도가 더 빠르게 되며 이에 따라 추진기(110)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When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is disposed eccentrically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space T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 ≪ / RTI > Accordingly, the speed of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left communicating space T is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right communicating space 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peller 110.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선체(100)의 후미에서 덕트유닛(200)이 비틀린 형태 결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5,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200 is twisted at the rear of the ship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의 중심선(L2)과 선체의 중심선(L1)이 교차되도록 덕트유닛(200)이 선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hull 100 so that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and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intersect each other in the ship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결합돌기(120)에 결합될 때 선체(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비틀린 상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덕트유닛의 중심선(L2)이 선체의 중심선(L1)과 교차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연통공간(T)의 좌 우측 형상 또는 단면이 다르게 형성된다.When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in a twis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hip 100. Specifically,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is coupled so as to cross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and the shape or cross section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is form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덕트유닛의 중심선(L2)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결합된 상태가 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er line L2 of the duct un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L1 of the hull.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선체의 중심선(L1)에 비틀린 상태로 결합돌기(120)에 결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연통공간(T)의 좌 우측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통공간(T)을 통과하는 해수가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다른 속도로 추진기(110)에 전달된다.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formed as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n a state where the duct unit 200 is twisted with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can be formed differently, T is transmitted to the propeller 110 at a different veloc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L1 of the hull.

한편, 본 실시예에서 덕트유닛(200)은 중심선이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지만, 이는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에 및 회전 속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with the center lin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but this can be selectiv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and the rotational speed have.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덕트유닛(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modified form of the duct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도 1의 선박에서 덕트유닛(20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선박에서 덕트유닛(200)이 결합돌기(1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uni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in the ship of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duct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ituted by one member as described above, or alternatively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members.

구체적으로 덕트유닛(200)은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결합돌기(120)에 결합되어 연통공간(T)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덕트유닛(200)을 형성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덕트유닛(200)의 형상이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추진기(110)의 형상 및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대응하여 덕트유닛(200)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uct unit 200 has a plurality of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duct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 The duct unit 20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Thus, the shape and size of the duct unit 2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In particular, the shape and size of the duct unit 20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uct unit 200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한 쌍의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로 구성되어 각각이 결합돌기(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연결되어 결합돌기(120)와 함께 고리 형태의 연통공간(T)을 형성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uct unit 200 includes a pair of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which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Thereby forming a communicating space T in the form of a ring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20.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제1구조체(210)는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선체(100)의 좌측에서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the first structure 210 is elongated, (Not shown).

그리고 제2구조체(220)는 제1구조체(210)와 마찬가지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선체(100)의 우측에서 결합돌기(1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구조체(210)의 타단부에 된다.The second structure 220 is elong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tructure 210 and ha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0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100, And is at the other end.

여기서,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형상 또는 크기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may have the same shape or different shapes or sizes.

이와 같이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각각이 선체(100)의 좌 우측에서 결합돌기(120)와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연통공간(T)을 형성하여 해수를 추진기(110)로 전달한다.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 To the propeller (110).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가 별도로 구비되어 덕트유닛(200)을 형성함에 따라, 결합돌기(120)와 결합 시 연통공간(T)의 크기 및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form the duct unit 200 so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when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0 .

또한,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의 형상이나 크기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여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연통공간(T)이 비대칭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추진기(110)의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비대칭 반류가 발생하더라도 선체(100)의 추진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sizes so that the communication space T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ship.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the hull 100 from decreasing even if an asymmetric rebound occurs as the propeller of the propeller 110 rotates.

이와 같이 덕트유닛(20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덕트유닛(200)의 형상이나 크기를 선체(100)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추진기(110)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여 덕트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duct unit 200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members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and size of the duct unit 200 can be adjusted to fit the hull 100, and the duct unit 200 200).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덕트유닛(200)이 선체(1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uct unit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uct unit 200 of FIG. 7 is coupled to the ship 100.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결합돌기(120)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선체(100)의 좌 우측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즉, 선체(100)의 좌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와 선체(100)의 우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가 구비되어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8,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respectively. That i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protruding to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protru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hull 100 are dispo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좌 우측에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결합돌기(120)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respectively. Here,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12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but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결합돌기(120)는 제1결합돌기(122) 내지 제4결합돌기(128)로 구분하여 설명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divided into first coupling protrusions 122 to a fourth coupling protrusion 12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한편, 덕트유닛(200)은 하나의 부재가 아닌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제2실시예에서는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선체(100)의 좌 우측에서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The duct uni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rather than a single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uct unit 200 is provided as a pair of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And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12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구체적으로 제1구조체(21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선체(100)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선체(100)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구조체(21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양단부가 결합돌기(120)에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first structure 210 has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Lt; RTI ID = 0.0 > 120 < / RTI > Here, the first structure 210 is partly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결합돌기(120)는 선체(100)의 좌 우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며, 선체(100)의 좌측에는 제1결합돌기(122) 및 제2결합돌기(12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구조체(210)는 선체(100)의 좌측에서 일단부가 제1결합돌기(12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결합돌기(124)에 결합되어 좌측 연통공간(T1)을 형성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ull 100,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22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24 ar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 The first structure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2 at one end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4 at the other end at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to form a left communication space T1 .

그리고 제2구조체(22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선체(100)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선체(100)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돌기(12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second structure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1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0 ). ≪ / RTI >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에서 결합돌기(120)는 선체(100)의 우측에 한 쌍의 제3결합돌기(126) 및 제4결합돌기(128)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2구조체(220)는 선체(100)의 우측에서 일단부가 제3결합돌기(12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4결합돌기(128)에 결합되어 우측 연통공간(T2)을 형성한다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120 has a pair of third coupling protrusions 126 and a fourth coupling protrusion 128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100, One end is coupled to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126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128 to form a right communicating space T2

이와 같이 결합돌기(120) 및 덕트유닛(200)이 구성됨에 따라 형성하는 연통공간(T)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선체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The communicating spaces T formed by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and the duct unit 20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line L1 of the hull, unlike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좌측 연통공간(T1) 및 우측 연통공간(T2)은 해수를 통과시켜 후방에 배치된 추진기(110)로 해수를 전달한다.The left communicating space T1 and the right communicating space T2 thus formed pass seawater and transfer the seawater to the propeller 110 disposed at the rear.

한편 이와 같이 선체(100)의 좌 우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20) 각각에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가 결합됨에 따라 선체(100)의 좌 우측에 형성되는 연통공간(T1, T2)의 크기 및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protrusions 120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ull 100 so that the communication spac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0 T1, and T2, respectively.

예를 들어, 선체(100)의 좌측 연통공간(T1)보다 우측 연통공간(T2)을 통과하는 해수가 더 느린 유속을 가져야 하는 경우 제2구조체(220)의 크기를 더 크게 함으로써, 우측 연통공간(T2)의 단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When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right communicating space T2 has a slower flow rate than the left communicating space T1 of the hull 100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econd structure 220,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ube T2 can be made larger.

즉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20)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선체(100)의 좌 우측에서 추진기(1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유속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structure 210 and the second structure 220, the flow velocity of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p 100 to the propeller 110 is adjusted differently,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선체 110: 추진기
120: 결합돌기 200: 덕트유닛
210: 제1구조체 220: 제2구조체
T: 연통공간
100: Hull 110: Propeller
120: coupling protrusion 200: duct unit
210: first structure 220: second structure
T: Communication space

Claims (9)

후미에서 추진기의 전방에 좌 우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된 선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전후방으로 해수가 통과하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덕트유닛; 을 포함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A hul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rear of the propeller; And
A duct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so as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seawater pass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duc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일체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선체의 좌 우측에 각각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Wherein the duct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통공간의 좌 우측의 단면 또는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Wherein the duct unit is formed such that cross-sections or shapes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munication sp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of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중심선이 선체의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And a duct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the center line crosses the center line of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A ship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ber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제1구조체; 및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구조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구조체; 를 포함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A first structure in which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t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structure having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t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ructure;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duc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선체의 좌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1구조체; 및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선체의 우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구조체; 를 포함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unit includes:
A first structure in which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duct unit.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와 상기 제2구조체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e duct having a different size o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선체를 중심으로 좌우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된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projection
And a duct unit formed to be asymmetric in the lateral direction around the hull.
KR20130055857A 2013-05-16 2013-05-16 Vessel Having Duct Unit Ceased KR201401354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857A KR20140135498A (en) 2013-05-16 2013-05-16 Vessel Having Duc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857A KR20140135498A (en) 2013-05-16 2013-05-16 Vessel Having Duct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98A true KR20140135498A (en) 2014-11-26

Family

ID=5245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857A Ceased KR20140135498A (en) 2013-05-16 2013-05-16 Vessel Having Duct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54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5824A4 (en) * 2015-08-31 2019-03-27 National Institute of Maritime, Port and Aviation Technology VESSEL AND SHAPE OF A DOLL HAVING A FITNESS OF A DOLL
KR20200132348A (en) * 2019-05-17 2020-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fluid rectification and ship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5824A4 (en) * 2015-08-31 2019-03-27 National Institute of Maritime, Port and Aviation Technology VESSEL AND SHAPE OF A DOLL HAVING A FITNESS OF A DOLL
KR20200132348A (en) * 2019-05-17 2020-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fluid rectification and ship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4036B (en) Device for a multi-propeller ship including an external propulsion shaft, a multi-propeller ship with an external propulsion shaf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US8991326B2 (en) Displacement hull form not subject to the limitation of hull speed
KR100908297B1 (en) Duct type propeller unit of marine propulsion system
CN104648641B (en) Improve the front nozzle of the marine-vessel propulsion system of energy efficiency
JP2011178222A (en) Ship
CN105452100A (en) Device for reducing the driving power requirement of a watercraft
KR20140135498A (en) Vessel Having Duct Unit
CN104401475A (en) Structure in combination of double vortex tail fins and tail shaft system of twin-propeller ship
KR20160128182A (en) Air lubrication device for ships
US7806067B2 (en) Thrust fin for ships
KR101780910B1 (en) Duct device
KR20140075928A (en) Rudder bulb structure for ship
KR2018002041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odel submerged body for high speed test
CN102514683A (en) Ship
JP6345221B2 (en) Single axis and two rudder system
CN113232765A (en) Hollow device for reducing additional resistance of moon pool
JP6582296B2 (en) Ship rudder and ship
KR20120126875A (en) Tunnel thruster having variable chamfered nozzle structure
KR20120063247A (en) Duct structure for ship
CN102320346A (en) Catamaran
JP2022146974A (en) stern duct
KR101724377B1 (en) Appendage of stern structure and the ship including the same
KR20130038003A (en) Side thruster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80083465A (en) Fin for mounting on a ship and ship having the fin
JP2007022447A (en) 2 axis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