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9261A -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 Google Patents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261A
KR20140129261A KR1020147026590A KR20147026590A KR20140129261A KR 20140129261 A KR20140129261 A KR 20140129261A KR 1020147026590 A KR1020147026590 A KR 1020147026590A KR 20147026590 A KR20147026590 A KR 20147026590A KR 20140129261 A KR20140129261 A KR 2014012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creep
steel sheet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008B1 (ko
Inventor
요시하루 이노우에
후미오 후다노키
준이치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2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0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저렴한 성분계로 고온 강도 및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한다. 질량%로, C:0.03% 이상 0.06% 이하, N:0.1% 이상 0.3% 이하, Si:1% 이하, Mn:3% 이하, P:0.04% 이하, S:0.03% 이하, Ni:5∼12%, Cr:15∼20%, Al:0.01% 이상 0.1% 이하, Nb:0.05% 이상 0.3% 이하, V:0.05% 이상 0.30% 이하, Ti:0.03% 이하, 또한, (Nb+V)/(C+N)이 2 이하이고, 또한,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강 중의 탄질화물을 주체로 하는 석출물의 양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Description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HEAT-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터보 하우징 등 고온에 노출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의 터보 하우징 등에 사용되는 재료는 800℃에 달하는 고온 환경 하에서 극히 높은 고온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주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비용 저감 요구에 대해, 주강으로부터의 절삭 가공에 의한 부품 제조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강판으로부터의 부품 제조가 제안되어, 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고온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서, SUS310S를 대표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고온 강도나 내산화성 등 사용 재료에 대한 요구 성능이 엄격해져, SUS310S로는 전부 대응할 수 없게 되고 있다.
터보 관련재에 요구되는 특성은, 고온 강도와 크리프 특성이다. 크리프 특성에서는, 수명보다도, 어느 일정 시간 후의 변형의 크기가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가공이 필수적이므로, 어느 정도의 가공성도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은, P를 첨가함으로써 크리프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P의 첨가는 용접성 및 크리프 연성을 저하시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내식성을 저하시킬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발명은, P 이외에 REM, 특히 Nd를 첨가함으로써, 크리프 연성 및 용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REM의 첨가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특허문헌 3 및 4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각 성분 원소를 상호 조정하여 우수한 내열성, 특히 용접부의 내취화 균열성이 우수한 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크리프 특성은 650℃ 이하에서의 평가만이며, 800℃에서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소62-243742호 공보 WO2006/106944호 공보 WO2009/044796호 공보 WO2009/044802호 공보
본 발명은, 저렴한 성분계로 고온 강도 및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자동차 터보용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개발하기 위해, 800℃에서의 고온 강도 및 크리프 특성에 착안하여 검토해 왔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온 강도, 특히 크리프 강도의 개선에는, 탄화물의 석출이 유효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M23C6, TiC, NbC 등의 탄화물이 크리프 강도의 향상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탄화물뿐만 아니라, 질화물에도 착안하여, 그들이 고온 강도나 크리프 강도에 주는 영향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그 결과, N과 Nb를 적극적으로 첨가하고, V의 미량 첨가, 또한, Al과 Ti의 함유량의 제한 및 제조 방법의 고안에 의해, 고온 강도 및 크리프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이하와 같은 지식을 얻었다.
·제품을 고온에서 사용 중의 Nb계의 탄질화물의 미세 석출이 크리프 특성 향상에 중요하다.
·Al, Ti계의 질화물의 석출은 가능한 한 저감한 것이 좋다.
·Nb가 과잉으로 첨가되면, Laves상(Fe2Nb)이 석출되어, 크리프 특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V를 미량 첨가하면, Nb계 탄질화물의 조대화가 억제되어, 크리프 특성 향상에 유효하다.
·제품에 미고용 탄질화물 등의 석출물이 잔존하고 있으면, 이들이 석출의 핵 생성 사이트로 되어, Nb계 탄질화물의 미세 석출을 방해한다.
·제품 중의 잔존 석출물량이 크리프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것을 가능한 한 저감하는 쪽이 좋다.
·잔존 석출물량은 제조 프로세스에 의존하고, 특히 열간 압연의 가열 온도와 최종 어닐링 온도의 영향이 크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Nb, V, C, N, Al, Ti의 함유량의 최적 범위를 정하고, 제조 프로세스를 최적화함으로써, 고온 강도나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0.03% 이상 0.06% 이하,
N:0.1% 이상 0.3% 이하,
Si:1% 이하,
Mn:3% 이하,
P:0.04% 이하,
S:0.03% 이하,
Ni:5∼12%,
Cr:15∼20%,
Al:0.01% 이상 0.1% 이하,
Nb:0.05% 이상 0.3% 이하,
V:0.05% 이상 0.30% 이하,
Ti:0.03% 이하,
또한, (Nb+V)/(C+N)이 2 이하이고,
또한,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강 중의 탄질화물을 주체로 하는 석출물의 양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2) Cu:1% 이하, Mo:3% 이하, W:3% 이하, Co:1% 이하, B:0.01%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제강-열간 압연-산 세정-냉간 압연-어닐링·산 세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간 압연의 가열 온도가 1200℃ 이상 1300℃ 이하, 최종 어닐링 온도가 1100℃ 이상 1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이하에 성분 범위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성분 함유량은 모두 질량%이다.
C:0.03% 이상 0.06% 이하
C는, 고온 강도나 크리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유효한 원소이다. 그 첨가량은, 0.03% 이상이면 그 효과는 발휘할 수 없다. 또한, 0.1% 이상 첨가해도 용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미고용 탄질화물이 증가할 뿐이다.
N:0.1% 이상 0.3% 이하
N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원소이다. N의 첨가에 의한 미세한 탄질화물이 형성되고, 고온 강도 및 크리프 강도가 향상된다. 0.1% 미만이면 그 효과가 작다. 또한, 0.3%를 초과하여 첨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3%로 한다.
Si:1% 이하
Si는, 탈산 원소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인성이나 연성의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1%로 한다.
Mn:3% 이하
Mn은, Si와 마찬가지로 탈산 원소로서 유용하다. 또한, 강 중에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S를 황화물로서 고착하여, 열간 가공성을 개선한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기계적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3%로 한다.
P:0.04% 이하
P는, 본 발명 강의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지만, 크리프 연성이나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그로 인해, 상한을 0.04%로 한다.
S:0.03% 이하
S는, 강 중에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함유되고, 열간 가공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로 인해, 0.03%를 상한으로 한다.
Ni:5∼12%
Ni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필수 원소이며, 또한, 내식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그 적당량은, 5∼12%이다.
Cr:15∼20%
Cr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필수 원소이며, 내식성, 내산화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Cr 함유량이 높으면 기계적 특성이 열화된다. 그로 인해, 15% 이상 20% 이하로 한다.
Al:0.01% 이상 0.06% 이하
Al은, 탈산 원소로서 유용하고, 저비용으로 탈산할 수 있기 때문에, 첨가하고 있다. 이 효과는 0.01% 이상의 첨가에서 발현된다. 그러나, Al은 AlN을 형성하여 크리프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첨가를 억제하고, 0.06% 이하가 좋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3% 이상 0.06% 이하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Nb:0.05% 이상 0.3%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Nb는 필수 원소이다. N과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Nb계의 탄질화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킴과 함께, 그 성장 속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고, 이 효과에 의해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다. 이 효과는, 0.05% 이상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0.3%를 초과하는 첨가는, 탄질화물을 조대화시켜 버릴뿐만 아니라, Laves상이라고 불리는 Fe2Nb가 형성되기 때문에, 크리프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V:0.05% 이상 0.15% 이하
V는, 본 발명에 필요한 원소이다. 고온 강도,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Nb와 함께 Nb-V계의 탄질화물을 형성하고, 그 결과, 보다 미세하게 석출되어, 크리프 특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이 효과는, 0.05% 이상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0.30%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첨가하면, VN의 형성에 의해 크리프 특성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Ti:0.03%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Ti는 제한해야 하는 원소이다. Ti는, C, N, 특히 N과 결합하기 쉬워 조대한 탄질화물을 형성하고, 미세한 Nb계 탄질화물의 형성을 억제하여, 그 결과, 크리프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Ti가 0.03% 이하이면 이 폐해를 거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상한으로 한다.
또한, Nb, V, C, N에 대해,
질량%로, (Nb+V)/(C+N)이 2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를 초과하면, Nb, V가 과잉으로 되고, Laves상 등이 형성되어, 크리프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하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지만, 너무 낮으면, C, N이 과잉이고, Cr계 탄화물 석출 등에 의해 내식성 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0.2 이상이 바람직하다.
Cu:1% 이하
Cu는, 고온 하에서의 사용 중에 미세하게 석출되기 때문에 크리프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1%를 상한으로 첨가한다. 1%를 초과하면, 열간 가공성 및 크리프 연성, 나아가, 상온 연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이상의 첨가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Mo:3% 이하
Mo는, 고온 강도,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조직 안정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그 첨가량은 3% 이하가 바람직하다.
W:3% 이하
W도, Mo와 마찬가지로, 고온 강도,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조직 안정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그 첨가는 3% 이하가 바람직하다.
Co:1% 이하
Co도, Mo, W와 마찬가지로, 고온 강도,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조직 안정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고가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첨가는 1% 이하가 바람직하다.
B:0.01% 이하
B도, 고온 강도, 크리프 특성을 높이는 원소이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상온 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첨가는 0.01%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03% 이상 0.0050% 이하이다.
이들 합금 원소의 규정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질화물의 석출량을 규정한다. 이것은, 같은 합금량이어도, 제조 조건에 따라 크리프 특성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어,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에 기초하는 것이다. 크리프 특성이 열위에 있는 강의 크리프 시험 전후의 조직을 관찰하면, 크리프 시험 전에 이미 조대한 석출물이 어느 정도 존재하고, 시험 중에는, 조대한 석출물이 핵으로 되어, 새로운 석출물이 생성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제품 중의 석출물이 고온에서의 미세 석출을 저해하고 있고, 이것이 크리프 특성을 저하시키고 있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품에서의 석출량을 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명자들은, 다양한 시험을 행하여, 제품에서의 석출량이 1% 이하이면, 크리프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석출물량의 상한을 1%로 한다. 하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탄질화물은 비교적 고온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완전히 고용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0.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제조 설비에 막대한 부하를 주기 때문에, 석출량은, 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판의 제조 방법은, 제강-열간 압연-산 세정-냉간 압연-어닐링·산 세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강에 있어서는, 상기 필수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강을, 전로에서 용제하고, 계속해서 2차 정련을 행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용제한 용강은, 공지의 주조 방법(연속 주조)에 따라 슬래브로 한다. 슬래브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고, 소정의 판 두께로 연속 압연에 의해 열간 압연된다.
그 후, 열간 압연판에 어닐링을 실시한 후 냉간 압연 되고, 또한 최종 어닐링, 산 세정을 행하여 제품으로 된다. 냉간 압연, 어닐링은,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 또한, 최종 어닐링, 산 세정이 아니라, 광휘 어닐링을 행하여 제품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광휘 어닐링의 어닐링 조건은, 최종 어닐링과 같은 조건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질화물의 석출량이 중요하며, 제품에서의 석출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탄질화물은 비교적 고온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완전히 고용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제조 설비에 큰 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탄질화물의 석출량과 크리프 특성 및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검토하여, 최적의 제조 조건을 발견하였다. 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중요한 공정은, 열간 압연과 최종 어닐링이다. 이 두 공정의 제조 조건의 조합에 의해 제품의 탄질화물량이 1% 이하로 되어,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열간 압연의 가열 온도는 1200℃ 이상 1300℃ 이하로 한다. 1200℃ 미만이면, 미고용의 탄질화물이 많이 남고, 그로 인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1300℃를 초과해도 크리프 특성은 향상되지 않고, 가열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폐해가 많아지기 때문에, 1300℃를 상한으로 한다.
또한, 최종 어닐링 온도를 1100℃ 이상 1200℃ 이하로 한다. 1100℃ 미만이면 열연 공정 종료시까지 잔존하고 있는 미고용 탄질화물이 많이 남아, 크리프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200℃를 초과하면, 판 파단 등의 위험성이 많아지기 때문에, 상한을 1200℃로 한다.
타 공정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나, 열연 조건, 열연 판 두께 등은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냉연·어닐링 후에 조질 압연이나 텐션 레벨러에 의한 교정을 부여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품 판 두께에 대해서도, 요구 부재 두께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의 강을 용제하여 슬래브로 주조하고,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5㎜ 두께의 열연 코일로 하였다. 이때의 가열 온도는, 1250℃이다. 그 후, 열연 코일을 어닐링 온도 1100℃로 어닐링한 후, 산 세정하고, 또한 2㎜ 두께까지 냉간 압연하고, 어닐링·산 세정을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하였다. 최종 어닐링 온도는, 1150℃, 어닐링 시간은 120초이다.
또한, 강 No.1에 대해서는, 가열 온도와 최종 어닐링 조건을 바꾸어 강판을 제작하였다. 그들 강이 1A 강으로부터 1F 강이다. 변경한 조건 이외에는 No.1 강과 같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품판으로부터, 상온 인장 시험(JIS13B호), 고온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그리고, 상온 인장 시험(JIS Z 2241에 준거)을 행하여 얻은 전연신율 값을 가공성의 지표로 하였다. 또한, 고온 특성의 지표로서, 800℃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0.2% 내력 및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JIS G 0567에 준거). 또한, 같은 시험편을 사용하여, 크리프 변형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온도 800℃, 시험시간 300시간으로 하고, 다양한 하중을 가하여 변형량을 구하고, 이들로부터 1% 변형량으로 되는 부하 응력을 구하였다. 이 값이 클수록, 크리프 특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품판으로부터 추출 잔사량을 구하여, 석출물량으로 하였다. 또한, 잔사의 X선 회절 시험도 행하여, 잔사가 탄질화물 주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시험 결과도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은 우수한 고온 강도 및 크리프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강은, 고온 강도, 크리프 특성이 열위하거나 다른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명백하다.
Figure pct00001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내열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배기 부재에 적용함으로써, 부품 비용의 저감이나 경량화에 의한 환경 대책 등 사회적 기여는 현격히 크다.

Claims (3)

  1. 질량%로,
    C:0.03% 이상 0.06% 이하,
    N:0.1% 이상 0.3% 이하,
    Si:1% 이하,
    Mn:3% 이하,
    P:0.04% 이하,
    S:0.03% 이하,
    Ni:5∼12%,
    Cr:15∼20%,
    Al:0.01% 이상 0.1% 이하,
    Nb:0.05% 이상 0.3% 이하,
    V:0.05% 이상 0.30% 이하,
    Ti:0.03% 이하,
    또한, (Nb+V)/(C+N)이 2 이하이고,
    또한,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강 중의 탄질화물을 주체로 하는 석출물의 양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Cu:1% 이하, Mo:3% 이하, W:3% 이하, Co:1% 이하, B:0.01% 이하
    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제강-열간 압연-산 세정-냉간 압연-어닐링·산 세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간 압연의 가열 온도가 1200℃ 이상 1300℃ 이하, 최종 어닐링 온도가 1100℃ 이상 1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의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47026590A 2012-03-30 2013-03-28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Active KR101619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2114 2012-03-30
JP2012082114A JP5794945B2 (ja) 2012-03-30 2012-03-30 耐熱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PCT/JP2013/059274 WO2013147027A1 (ja) 2012-03-30 2013-03-28 耐熱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261A true KR20140129261A (ko) 2014-11-06
KR101619008B1 KR101619008B1 (ko) 2016-05-09

Family

ID=4926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590A Active KR101619008B1 (ko) 2012-03-30 2013-03-28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14459B2 (ko)
EP (1) EP2832886B1 (ko)
JP (1) JP5794945B2 (ko)
KR (1) KR101619008B1 (ko)
CN (1) CN104169450B (ko)
HU (1) HUE048418T2 (ko)
PL (1) PL2832886T3 (ko)
WO (1) WO2013147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9941B2 (ja) * 2014-03-05 2018-03-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US20180080106A1 (en) * 2015-03-31 2018-03-22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Stainless steel sheet for exhaust system part use excellent in intermittent oxidation characteristic and exhaust system part
CN105463337A (zh) * 2015-12-04 2016-04-06 苏州金业船用机械厂 一种不锈钢船用螺旋桨
CN105506497B (zh) * 2015-12-25 2017-12-12 中石化四机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阀箱用不锈钢合金及制造方法
PL3441494T3 (pl) * 2016-03-23 2022-01-17 Nippon Steel Stainless Steel Corporation Blacha cienka z nierdzewnej stali austenitycznej na element układu wydechowego o doskonałej odporności cieplnej i obrabialności, element turbosprężarki oraz sposób wytwarzania blachy cienkiej z nierdzewnej stali austenitycznej na element układu wydechowego
CN106180184A (zh) * 2016-07-11 2016-12-07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板的轧制方法
CN106319343B (zh) * 2016-10-10 2021-08-17 宝钢德盛不锈钢有限公司 一种低成本的高强度不锈钢及其焊管制造方法
KR101836715B1 (ko) * 2016-10-12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온 내산화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CN106544601A (zh) * 2016-12-29 2017-03-29 董世祥 多性能耐高温系列铸钢
US10472988B2 (en) 2017-01-30 2019-11-12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Sheet metal turbine housing and related turbocharger systems
US10544703B2 (en) 2017-01-30 2020-01-28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Sheet metal turbine housing with cast core
US10494955B2 (en) 2017-01-30 2019-12-03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Sheet metal turbine housing with containment dampers
US10436069B2 (en) 2017-01-30 2019-10-08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Sheet metal turbine housing with biaxial volute configuration
JP6866241B2 (ja) * 2017-06-12 2021-04-28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部品
US10690144B2 (en) 2017-06-27 2020-06-23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Compressor housings and fabrication methods
TWI648411B (zh) * 2017-09-20 2019-01-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沃斯田鐵系合金及其製造方法
JP6879877B2 (ja) * 2017-09-27 2021-06-0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熱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68000A (zh) * 2018-07-05 2018-08-31 赵云飞 一种铁铬合金材料的制备方法
CN109355472B (zh) * 2018-12-22 2022-03-18 佛山培根细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铜铌钴改性奥氏体不锈钢及其加工与热处理方法
JP7270419B2 (ja) * 2019-03-11 2023-05-1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温高サイクル疲労特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部品
JP7270445B2 (ja) * 2019-03-29 2023-05-1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温高サイクル疲労特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部品
CN112143966A (zh) * 2019-06-26 2020-12-29 苹果公司 具有高强度和高延展性的氮化不锈钢
EP4006179A4 (en) * 2019-07-25 2022-09-14 Nippon Stee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WELDED JOINT
JP7513867B2 (ja) * 2020-03-06 2024-07-10 日本製鉄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CN111394641A (zh) * 2020-04-16 2020-07-10 泰州俊宇不锈钢材料有限公司 一种含硫易切削奥氏体不锈钢合金材料的生产工艺
EP3960881A1 (en) * 2020-09-01 2022-03-02 Outokumpu Oyj Austenitic stainless steel
KR102537950B1 (ko) * 2020-12-14 2023-05-31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 연화저항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11732729B2 (en) 2021-01-26 2023-08-22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Sheet metal turbine housing
CN116200650A (zh) * 2021-12-01 2023-06-02 江苏新华合金有限公司 一种高温合金板材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757A (ja) 1982-11-01 1984-05-10 Hitachi Ltd 高強度オ−ステナイト系鋼
JPH0694583B2 (ja) * 1984-10-03 1994-11-24 株式会社東芝 耐熱オーステナイト鋳鋼
JPS62243742A (ja) 1986-04-17 1987-10-24 Nippon Kokan Kk <Nkk> クリ−プ破断強度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H07316653A (ja) * 1994-05-19 1995-12-05 Nippon Steel Corp 極低温特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厚板の製造方法
JP3388998B2 (ja) * 1995-12-20 2003-03-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JP3838216B2 (ja) 2003-04-25 2006-10-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CA2528743C (en) 2003-06-10 2010-11-2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Austenitic stainless steel for hydrogen gas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4289109B2 (ja) * 2003-09-30 2009-07-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油井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管
JP4498847B2 (ja) * 2003-11-07 2010-07-0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KR100931448B1 (ko) 2005-04-04 2009-12-11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5544633B2 (ja) * 2007-07-30 2014-07-09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4258678B1 (ja) 2007-10-03 2009-04-3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2199420B1 (en) * 2007-10-04 2013-05-2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5670103B2 (ja) * 2010-06-15 2015-02-18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9450A (zh) 2014-11-26
EP2832886B1 (en) 2020-01-01
JP2013209730A (ja) 2013-10-10
HUE048418T2 (hu) 2020-07-28
CN104169450B (zh) 2016-08-24
PL2832886T3 (pl) 2020-06-29
US9714459B2 (en) 2017-07-25
US20150083283A1 (en) 2015-03-26
EP2832886A1 (en) 2015-02-04
KR101619008B1 (ko) 2016-05-09
EP2832886A4 (en) 2016-03-23
WO2013147027A1 (ja) 2013-10-03
JP5794945B2 (ja)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008B1 (ko)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KR101744432B1 (ko)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EP2412837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workability
KR101602088B1 (ko) 내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 냉연 소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5025671B2 (ja) 高温強度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7463B1 (ko) 내열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617854B1 (en) Heat-resistant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KR20090031858A (ko) 내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WO2011111871A1 (ja) 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並びに耐熱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904306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焼鈍鋼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
KR20110009252A (ko) 열처리용 강
CN111433382B (zh) 具有优异的抗高温氧化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20150021124A (ko) 내열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937861B2 (ja) 溶接性に優れた耐熱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20190132455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배기 부품
JP7564664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部品
KR20220073804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부재
KR20200135532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부재
WO2018002426A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JP2024028047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