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5947A -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947A
KR20140125947A KR20130043562A KR20130043562A KR20140125947A KR 20140125947 A KR20140125947 A KR 20140125947A KR 20130043562 A KR20130043562 A KR 20130043562A KR 20130043562 A KR20130043562 A KR 20130043562A KR 20140125947 A KR20140125947 A KR 2014012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pair
coupling band
gas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용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13004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947A/ko
Publication of KR2014012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파형강관과 제2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파형강관과 제2파형강관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결합밴드;로 구성되되, 결합밴드는 원통형 반체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경첩부; 및 몸체부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몸체부에서 형성된 경첩부가 경첩핀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한 쌍의 몸체부가 제1,2파형강관의 연결단부를 감싸며, 한 쌍의 몸체부의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1,2파형강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Foldable jointing method of corrugate pipe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형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경첩과 같은 접철식 구조를 가진 결합밴드를 이용하여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관인 파형강관은 토목 분야에서 우수,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 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 건축 분야에서 중공 거푸집이나 건축 슈트로서 널리 채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배수관 건설 시 증가되는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인하여 기존의 콘크리트재 배수관의 대체 자재로서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배관자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과 적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설치현장으로 운반된 후 다수개를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 시공과정에서 두 개의 파형강관의 각 단부를 가공한 후 상호 맞물리거나 맞대기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연결하였으나 파형강관의 단부 가공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고,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파형강관의 밴드식 접합 방법은 밴드 양쪽 브라켓을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열악한 현장의 작업 상황에서 작업중 위험 요소가 상존할 뿐만 아니라 균질한 접합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고 볼트 체결 시간이 길어 노무비 등 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밴드 한쪽을 경첩과 같은 접철식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브라켓 한쪽만을 볼트로 체결하면 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바람직한 시공방법으로, 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파형강관과 제2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파형강관과 제2파형강관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결합밴드;로 구성되되, 결합밴드는 원통형 반체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경첩부; 및 몸체부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몸체부에서 형성된 경첩부가 경첩핀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한 쌍의 몸체부가 제1,2파형강관의 연결단부를 감싸며, 한 쌍의 몸체부의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1,2파형강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밴드의 내면에 제1,2파형강관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가스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은 결합밴드 한쪽을 경첩과 같은 접철식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브라켓 한쪽만을 볼트로 체결하면 되므로 볼트 접합 개소가 반으로 축소되어 접합시간 및 인력 품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의 균질성 확보 및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파형강관과 결합밴드가 결합할 경우에 가스켓을 더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구조 및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에서 결합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제1,2파형강관 사이에 결합밴드를 위치한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결합밴드 내면에 가스켓을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결합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결합밴드(300);로 구성되되, 결합밴드(300)는 원통형 반체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320);와 몸체부(320)의 일단에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경첩부(340); 및 몸체부(320)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켓(360);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몸체부(320)에서 형성된 상기 경첩부(340)가 경첩핀(350)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한 쌍의 몸체부(320)가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며, 한 쌍의 몸체부(320)의 브라켓(360)에 형성된 볼트홈(38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체결하여 1,2파형강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2파형강관(100,2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주면에 구조적 강도보완을 위하여 나선형으로 비드가 형성되어 단면이 파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1,2파형강관(100,2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밴드(300)의 내면에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가스켓(500)이 더 포함되어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에서 결합밴드(3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결합밴드(300)는 양측에 위치한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의 연결단부가 맞대면, 그 연결단부의 외주면을 소정의 폭으로 감싸면서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밴드(3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320), 경첩부(340), 브라켓(360)으로 구성된다.
몸체부(320)는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부위를 소정의 폭으로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몸체부(320)는 원통형 반체의 형태로서, 제1,2파형강관(100,2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파형의 곡율을 갖도록 골과 산을 갖는 파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320)는 제1,2파형강관(100,200)과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첩부(340)는 몸체부(320)의 일단에서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부재로, 상술한 한 쌍의 몸체부(320)가 원형으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해준다. 경첩부(34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부(32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한 쌍의 몸체부(320)를 결합할 경우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야 한다. 즉 경첩부(340)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에 경첩핀(350)이 일자로 체결되어 한 쌍의 몸체부(320)가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경첩부(340)는 회전가능하고 한 쌍의 몸체부(32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첩부(340)는 공장에서 미리 경첩핀(350)이 체결되어 한 쌍의 몸체부(320)가 고정되도록 제작된 후 현장으로 반입하여 사용되거나, 현장에서 직접 경첩핀(3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몸체부(320)를 고정할 수 있다.
브라켓(360)은 몸체부(320)의 일단에 형성된 경첩부(340)와 반대편에 형성된다. 즉 브라켓(360)은 몸체부(320)의 타단에서 몸체부(320)의 개방단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360)에는 볼트홈(380)이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홈(38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몸체부(320)가 합치된다. 그리고 볼트(400)에 체결되는 너트(420)의 조임정도가 심화됨에 따라 제1,2파형강관(100,200)의 중심을 향하는 가압력이 증대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의 시공방법은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 사이에 한 쌍의 몸체부(320)가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밴드(300)를 놓는 제1단계; 결합밴드(300) 위에 가스켓(500)을 놓고 상기 가스켓(500) 위로 양측의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을 맞대어 놓는 제2단계; 가스켓(500)을 팽팽하게 당겨서 맞대고 있는 제1,2파형강관(100,200)을 감싼 후 고정하고 결합밴드(300)에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320)를 폐쇄시키는 제3단계; 폐쇄된 한 쌍의 몸체부(320)에서 돌출되어 서로 대면하고 있는 한 쌍의 브라켓(360)을 한 쌍의 브라켓(360)에 형성된 볼트홈(38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제1,2파형강관(100,200) 사이에 결합밴드(300)를 위치한 것을 도시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1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320)가 경첩부(340)에 경첩핀(350)이 꽂아진 상태로 고정되고, 결합밴드(30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결합밴드(300) 내면에 가스켓(500)을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가스켓(500)은 결합밴드(300) 위에 놓여져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부위를 롤형태로 감싸는 것으로, 제1,2파형강관(100,200)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유지시켜준다. 아울러 가스켓(500)은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가 적당하며, 테이프처럼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부위에 감아서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스켓(500)을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부위에 감을 경우에는 가스켓(500)을 팽팽하게 당긴 후 테이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결합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4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단계는 경첩핀(350)으로 고정된 경첩부(340)를 이용하여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320)를 회전시켜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부위를 감고있는 가스켓(500)을 덮고,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브라켓(360)을 볼트(400)와 너트(42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360)에 형성된 양쪽 끝의 볼트홈(380)에 긴볼트(400)를 이용하여 먼저 고정하고 중간에 짧은 볼트(40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결합밴드(300)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36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결합하였기 때문에 볼트(400) 체결 시간이 길어져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합밴드(300)의 일단은 공장이나 현장에서 미리 경첩부(340)로 고정시켜 놓고 타단만 브라켓(360)을 볼트(400) 체결하면 되므로 볼트(400) 접합 개소가 반으로 줄어들어 공기단축은 물론 인건비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제1파형강관
200: 제2파형강관
300: 결합밴드
320: 몸체부
340: 경첩부
350: 경첩핀
360: 브라켓
380: 볼트홈
400: 볼트
420: 너트
500: 가스켓

Claims (3)

  1.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파형강관(100)과 상기 제2파형강관(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결합밴드(300);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밴드(300)는 원통형 반체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320);와 상기 몸체부(320)의 일단에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경첩부(340); 및 상기 몸체부(320)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켓(36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320)에서 형성된 상기 경첩부(340)가 경첩핀(350)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부(320)가 상기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320)의 브라켓(360)에 형성된 볼트홈(38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체결하여 상기 1,2파형강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밴드(300)의 내면에 상기 제1,2파형강관(100,200)의 연결단부를 감싸는 가스켓(5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3. 제2항에 따른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 사이에 한 쌍의 몸체부(320)가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밴드(300)를 놓는 제1단계;
    상기 결합밴드(300) 위에 가스켓(500)을 놓고 상기 가스켓(500) 위로 양측의 제1파형강관(100)과 제2파형강관(200)을 맞대어 놓는 제2단계;
    상기 가스켓(500)을 팽팽하게 당겨서 맞대고 있는 제1,2파형강관(100,200)을 감싼 후 고정하고 상기 결합밴드(300)에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320)를 폐쇄시키는 제3단계;
    상기 폐쇄된 한 쌍의 몸체부(320)에서 돌출되어 서로 대면하고 있는 한 쌍의 브라켓(360)을 상기 한 쌍의 브라켓(360)에 형성된 볼트홈(380)에 볼트(400)와 너트(420)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43562A 2013-04-19 2013-04-19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eased KR20140125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562A KR20140125947A (ko) 2013-04-19 2013-04-19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562A KR20140125947A (ko) 2013-04-19 2013-04-19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47A true KR20140125947A (ko) 2014-10-30

Family

ID=5199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562A Ceased KR20140125947A (ko) 2013-04-19 2013-04-19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9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533B1 (ko) 2023-03-01 2023-09-25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4526B1 (ko) 2023-06-14 2024-05-10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533B1 (ko) 2023-03-01 2023-09-25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4526B1 (ko) 2023-06-14 2024-05-10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9639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91976B1 (ko)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0800280B1 (ko) 건축용 파형강관 연결 고정구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20190027239A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20038421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88137Y1 (ko) 파형강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