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4304A -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304A
KR20140124304A KR1020130041897A KR20130041897A KR20140124304A KR 20140124304 A KR20140124304 A KR 20140124304A KR 1020130041897 A KR1020130041897 A KR 1020130041897A KR 20130041897 A KR20130041897 A KR 20130041897A KR 20140124304 A KR20140124304 A KR 2014012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target device
sourc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문영신
박홍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304A/ko
Priority to EP14164787.5A priority patent/EP2816865A1/en
Priority to US14/254,860 priority patent/US20140308898A1/en
Publication of KR2014012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30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는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형성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연결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연결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Contro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타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들이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셋업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각 전자 장치들은 통신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를 가져야 한다. 전자 장치들 간에 언제 연결이 될지 명확한 스케줄이 없는 상황에서 상술한 대기 상태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본 개시는 보다 개선된 전자 장치 운용을 제공하는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형성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연결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연결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지원을 위해 스캔 신호를 송출하고,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을 위하여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통신 연결 채널을 형성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스캔 신호 송출을 제어하고 수집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 항목들을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여 출력하며, 선택된 항목의 타겟 장치와 제1 통신 모듈 기반의 상기 통신 준비 채널 형성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스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송출하여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을 위하여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통신 연결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와아파이 모듈, 상기 스캔 신호 송출한 소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블루투스 모듈 기반의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장치와 상기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상기 통신 연결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겟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보다 개선된 통신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의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중 소스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간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간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 기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장치 기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전자 장치들의 구성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은 상호 간에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들 예컨대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타겟 장치(200)를 하나의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타겟 장치(200)는 보다 많은 개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스 장치(100)는 검색 시 복수개의 타겟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통신 제어 시스템은 소스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앱(App, Application : 이하 "앱")들의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선행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후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상대적으로 와이파이 모듈에 비하여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와이파이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 비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통신 모듈들의 특성을 활용하여 선행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소스 장치(100)와 연결될 타겟 장치(200)를 검색하고, 타겟 장치(200)가 지정되면 와이파이 모듈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은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대기 과정은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운용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은 상대적으로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 통신 채널 형성 대기를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은 통신 채널 형성 대기 과정에서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 중 상대적으로 저전력 운용이 가능한 통신 모듈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서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 중 상대적으로 고용량 및 고속 운용이 가능한 통신 모듈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통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고, 통신 대기 과정은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며, 통신 연결 과정은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모듈은 다른 통신 모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력 운용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UWB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모듈은 다른 통신 모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모듈, 3G, 4G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특정 타겟 장치가 선택되면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선택된 타겟 장치와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스 장치(100)는 제2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현재 활성화 중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스 장치(100)는 제2 통신 모듈이 지원하는 상대적으로 고용량 및 고속의 전송 환경에서 해당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가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는 데이터는 방송 수신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현재 화면에 출력 중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별도의 인증 정보 확인 없이 타겟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제2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장치(100)의 보다 상세한 구성들 및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와 연결되어 소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타겟 장치(200)는 상대적으로 저전력 모드 운용이 가능한 제1 통신 모듈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여 통신 스캔에 대한 응답 대기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장치(200)는 대기 상태의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타겟 장치(200)는 제1 통신 모듈의 고유 정보 예컨대 제1 통신 모듈의 MAC 주소 정보를 소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장치(200)는 사전 정의된 자신의 고유 정보 예컨대 사전 정의된 이름 정보를 소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제2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면 타겟 장치(200)는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타겟 장치(200)는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타겟 장치(200)는 제2 통신 모듈을 운용하는 중에 제1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는 타겟 장치(200)는 제2 통신 모듈 운용 중에도 제1 통신 모듈을 대기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술한 제1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모듈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제2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1 오디오 처리부(130), 제1 표시부(140), 제1 저장부(150), 제1 제어부(160), 제1 BT 모듈(170),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소스 장치(100)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110)는 인터넷 네트웍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110)는 네트웍 서버 장치 예컨대 홈 싱크 네트웍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부(110)는 소스 장치(100)를 홈 싱크 네트웍 장치에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일정 영역 예컨대 집에 배치된 다수의 기기들의 데이터 싱크를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집에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기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기기들의 정보 관리를 인증 정보 예컨대 계정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기기들을 홈 싱크 네트웍 장치의 계정에 등록하고, 홈 싱크 네트웍 장치를 통하여 기기 관리를 운용할 수 있다.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등록된 장치들 간의 인증 및 계정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소스 장치(100)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 고유 식별 정보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 간에 홈 싱크 네트웍 장치에 하나의 공유 그룹으로 등록됨을 안내하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인증 없이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도 1에서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사이에 마련되어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소스 장치(100)의 제1 통신부(11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소스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의 등록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홈 싱크 네트웍 장치는 타겟 장치(200)에 소스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소스 장치(100)에 타겟 장치(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유 식별 정보는 각각의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MAC 주소 정보나 기기에 할당된 고유 하드웨어 정보, 사용자가 지정한 기기의 이름 정보 등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가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의 인증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간의 장치 인증을 지원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인증키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대측 장치의 주소 정보를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한 후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200)가 소스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한 후 이를 소스 장치(100)에 제공하여 소스 장치(1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100)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타겟 장치(200)의 고유 식별 정보 예컨대 주소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한 후 타겟 장치(200)와 공유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는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가 각각의 타 장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호 간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의 기술에서 장치 인식을 위해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들은 동일한 또는 암호화와 복호화가 상호 가능한 인증키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고유 식별 정보를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 블루투스 MAC 주소 정보, 타겟 장치(200)의 블루투스 이름(Name) 정보, 타겟 장치(20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시리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의 케이스에 프린트된 숫자 정보나 바코드 정보 등도 될 수 있다. 즉 고유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라도 가능할 것이다. 프린트된 정보의 경우 소스 장치(100) 사용자는 숫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타 장치를 이용하여 프린트된 정보를 수집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바코드 인식을 위한 스캐너를 포함하거나 또는 2차원 바코드, QR 코드, 3차원 바코드 등의 인식을 위한 영상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키가 생성되면, 소스 장치(100)는 생성된 인증키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고, 타겟 장치(200)는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복호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복호된 키 값이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소스 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절차 진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장치(100)는 인증키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타겟 장치(200)는 인증키 확인 이후 수신된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인증키 생성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는 인증키 공유 과정 없이 인증키 확인 과정만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소스 장치(100)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 웹 페이지 검색 기능, 영상 통화 기능, 음성 통화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클라우드 기능과 앞서 설명한 다양한 앱 중 통신이 요구되는 앱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또한 제1 통신부(110)는 소스 장치(100)가 방송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가 특정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는 제1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해당 데이터를 해당 앱에 제공하여 앱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앱 운용을 위해 제공되는 앱 데이터는 타겟 장치(2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소스 장치(100)의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버튼키나, 사이드 키, 홈 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대기 화면이나 메뉴 화면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를 제1 BT 모듈(170)을 기반으로 검색하도록 요청하는 입력 신호, 검색된 타겟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타겟 장치 지정을 위한 입력 신호,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한 타겟 장치에 특정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1 표시부(140)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입력부(120)는 제1 제1 표시부(140)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1 표시부(140)에서 생성된 터치 이벤트는 제1 제1 제어부(160)에 전달되고, 제1 제1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타겟 장치 검색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기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소스 장치(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소스 장치(100)에서 생성된 또는 복호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기능, 녹음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1 BT 모듈(170)을 기반으로 타겟 장치(200)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사용자 선택에 의해 지정된 타겟 장치와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 형성을 안내하는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출력 기능은 설계자 의도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특정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하는 동안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와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오디오 처리부(130)는 타겟 장치(200)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0)는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 운용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화면들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제1 표시부(140)는 메뉴 화면, 특정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중 특정 앱의 전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표시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BT 모듈(170)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들을 검색한 검색 리스트 화면, 검색 리스트에서 지정된 특정 타겟 장치와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활성화된 앱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활성화된 앱의 앱 운용 화면, 해당 앱 운용에 따른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0)는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서 인증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창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부(140)는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서 PIN 코드 입력을 위한 입력창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0)는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하는 동안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표시부(140)는 타겟 장치(200)에 제공된 앱 데이터와 동일한 앱 데이터로 구현되데 소스 장치(100)에 맞도록 구현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표시부(140)는 타겟 장치(200)에 제공된 앱 데이터와 다른 앱 데이터에 따른 화면 예컨대 특정 앱 운용 화면이나 대기 화면 또는 메뉴 화면이나 아이콘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100)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표시부(140)는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0)는 전자펜 운용을 위한 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 사용자 손가락 터치에 의한 물리적 또는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패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한 위치 정보 및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 정보를 제1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표시 패널은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에 매핑되어 다양한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은 복수개의 운용 중인 앱 중 특정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펜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 등에 배치되고 전자펜 접근에 따라 전자펜을 인식하며, 전자펜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제1 제어부(16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펜 터치 패널은 전자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펜 터치 패널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패널 및 펜 터치 패널은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의 입력부(120)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가 손 터치 및 펜 터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제1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 및 펜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50)는 소스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소스 장치(100) 운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50)는 소스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50)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앱들을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제어부(160)에 제공하여 해당 앱의 기능이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제1 저장부(150)는 본 개시의 통신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하여 통신 제어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제어 프로그램(151)은 타겟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 시 일반 모드를 지원하는 일반 지원 루틴과,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저전력 지원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지원 루틴은 메뉴 항목이나 특정 아이콘 선택 또는 특정 버튼이나 특정 앱 운용 등의 이벤트에 의해 타겟 장치(200)와 통신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는 루틴, 활성화된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으로 직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를 검색하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지원 루틴은 타겟 장치(200)와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루틴, 제1 BT 모듈(170)을 활성화하는 루틴, 제1 BT 모듈(170)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를 검색하는 루틴, 검색된 타겟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지원 루틴은 검색 리스트로부터 특정 타겟 장치 지정을 수신하는 루틴,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는 루틴,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기반으로 지정된 타겟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겟 장치에 특정 앱 운용에 따른 앱 데이터를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앱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앱 데이터는 파일 데이터, 방송 수신 데이터, 통화 음성 데이터, 영상 통화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BT 모듈(170)은 소스 장치(100)의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의 일예로서 제시된 구성일 수 있다. 특히 제1 BT 모듈(170)은 제1 와이파이 모듈(18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BT 모듈(170)은 제1 와이파이 모듈(18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용량 및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BT 모듈(170)은 상술한 제1 와이파이 모듈(18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다른 통신 모듈로서 대체될 수 있다. 제1 BT 모듈(170)은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준비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BT 모듈(170)은 타겟 장치(200)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인증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BT 모듈(170)은 타겟 장치(200)에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Inquiry)를 방송하고, 쿼리에 따른 응답 신호에서 타겟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설계자는 제1 BT 모듈(170) 기반의 타겟 장치(200) 검색 시 인증 정보 송수신을 통하여 타겟 장치 식별을 선행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때 송수신되는 인증 정보는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사전 저장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각 장치들의 주소 정보를 통해 생성된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은 제1 BT 모듈(170)에 비하여 고전력으로 운용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은 제1 BT 모듈(17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용량 및 고속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은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다른 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은 타겟 장치(2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로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소스 장치(100)에서 운용 중인 앱의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소스 장치(1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신호의 처리와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타겟 장치(200)와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하여 운용 중인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제어부(160)는 BT 운용부(161), 와이파이 운용부(163) 및 컨텐츠 운용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BT 운용부(161)는 제1 BT 모듈(170)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BT 운용부(161)는 저전력 모드 기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BT 모듈(17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BT 운용부(161)는 제1 BT 모듈(170)을 이용하여 주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BT 운용부(161)는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타겟 장치(200)에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를 방송할 수 있다. 그리고 BT 운용부(16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BT 운용부(161)는 검색 리스트를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BT 운용부(161)는 타겟 장치(200)들의 MAC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BT 운용부(161)는 타겟 장치(200)들이 제공한 이름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BT 운용부(161)는 이전 검색된 이력이 있는 경우 검색 이력이 있는 타겟 장치 항목을 다른 항목과 구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BT 운용부(161)는 해당 타겟 장치(200)에 사용자가 부여한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를 이를 검색 리스트 구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BT 운용부(161)는 검색된 타겟 장치 중 이력을 가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다른 장치들의 식별 정보보다 순서상 앞선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BT 운용부(161)는 검색 리스트에서 특정 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타겟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와이파이 운용부(163)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장치(200)의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의 MAC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의 인증 정보가 될 수 있다.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BT 운용부(161)로부터 특정 타겟 장치(200)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타겟 장치(200)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이용한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하면서 제1 BT 모듈(17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으로 형성된 통신 채널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에 따른 통신 채널이 될 수 있다.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유지하면서 컨텐츠 운용부(165)가 제공한 앱 데이터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통신 채널 해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통신 채널 해제에 대한 안내 정보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와이파이 운용부(163)는 제1 와이파이 모듈(180)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운용부(165)는 소스 장치(100)의 앱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운용부(165)는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제1 표시부(140)로부터 발생한 이벤트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의해 선택된 특정 앱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운용부(165)는 활성화된 앱에 의해 발생한 앱 데이터를 와이파이 운용부(163)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운용부(165)는 특정 앱 활성화 요청이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앱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선택을 위한 가상 키 버튼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운용부(165)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여 BT 운용부(161) 및 와이파이 운용부(163)에 의해 타겟 장치(2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운용부(165)는 타겟 장치(200)를 기반으로 운용할 수 있는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리스트나 아이콘 화면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해당한 앱 활성화를 수행하는 한편, 앱 운용에 따른 앱 데이터를 디폴트로 타겟 장치(200)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타겟 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타겟 장치(200)는 제2 통신부(210), 제2 오디오 처리부(230), 제2 표시부(240), 제2 저장부(250), 제2 제어부(260), 제2 BT 모듈(270),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타겟 장치(200)는 제2 BT 모듈(270)은 스캔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장치(200)는 제2 BT 모듈(270)이 검색 쿼리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여 식별 정보를 검색 쿼리를 송신한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받으면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장치(200)는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을 기반으로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소스 장치(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타겟 장치(200)는 제2 BT 모듈(270)로서 통신 연결 준비를 지원하고, 제2 와이파이 모듈(280)로서 통신 연결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타겟 장치(2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2 통신부(210)는 소스 장치(100)의 제1 통신부(110)와 유사하게 홈 싱크 네트웍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부(210)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들 예컨대 다른 타겟 장치나 소스 장치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해당 장치들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들은 다른 장치들과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타겟 장치(200)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BT 모듈(270) 턴-온 상태에 대한 안내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BT 모듈(270)이 검색 쿼리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식별 정보를 제공한 경우 그에 대한 안내음 출력을 제2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와이파이 모듈(280) 기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그에 대응하는 안내음 또는 효과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은 설계자 의도에 따라 또는 타겟 장치(200)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240)는 타겟 장치(2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40)는 소스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는 화면,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40)는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앱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구현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은 소스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앱 운용에 따른 화면일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타겟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저장부(250)는 제2 BT 모듈(270)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제2 와이파이 모듈(280)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타겟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250)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에 동일 계정으로 등록된 소스 장치(100) 또는 다른 타겟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앱 데이터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2 BT 모듈(270)은 제2 와이파이 모듈(28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력 운용이 가능한 통신 모듈의 일예일 수 있다. 또한 제2 BT 모듈(270)은 제2 와이파이 모듈(28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용량 데이터 전송 또는 저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2 BT 모듈(270)은 소스 장치(100)에 포함된 제1 BT 모듈(17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제2 BT 모듈(27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전력 운용이 필요한 통신 모듈의 일예일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제2 BT 모듈(27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용량 데이터 전송 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소스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와이파이 모듈(18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제1 와이파이 모듈(180)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앱 데이터는 제2 제어부(26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장치(100)가 타겟 장치(200)에 앱 데이터를 제공하는 형태로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와이파이 모듈(280) 기반으로 형성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타겟 장치(200)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소스 장치(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은 타겟 장치(200)에서 운용 중인 앱의 앱 데이터 또는 타겟 장치(200)에서 발생한 특정 입력 이벤트를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260)는 타겟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신호의 전달과 데이터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어부(260)는 타겟 장치(200)를 턴-온하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부팅이 완료되면 제2 BT 모듈(270)을 활성화하여 스캔 대기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제2 BT 모듈(270)을 이용하여 소스 장치(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제2 와이파이 모듈(280)을 활성화하여 소스 장치(1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260)는 저전력 통신 모듈로서 통신 연결 준비를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로서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와이파이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기간 중에는 제2 BT 모듈(270)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60)는 와이파이 통신 채널이 해제되면 제2 BT 모듈(270)을 다시 턴-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제어부(260)는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에 관계없이 제2 BT 모듈(270)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하는 장치들에게 식별 정보 제공 및 블루투스 통신 연결 형성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통신 제어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간의 통신 제어 기능에 대하여 제1 통신 모듈에 해당하는 BT 모듈을 통한 데이터 전송용 통신 연결 준비를 수행하고, 와이파이 모듈을 통한 데이터 전송용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은 특히 타겟 장치(200)가 별도의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와이파이 모듈을 연결이 필요한 시점에 활성화할 수 없는 환경에서 보다 유용하게 운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상대적으로 저전력의 통신 모듈로서 통신 연결 준비를 수행하고, 실질적인 통신 연결은 고속 및 고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 전송 시점에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통신 환경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 제어 방법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과정과, 제1 통신 모듈로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연결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과정 및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 측면에서 본 개시의 통신 제어 방법은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통신 모듈로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연결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 후,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 측면에서 본 개시의 통신 제어 방법은 타겟 장치(200)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연결을 요청받으면 그에 대응하여 제1 통신 모듈 기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과정, 제1 통신 모듈 기반 통신 채널로 제2 통신 모듈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과정, 정보 확인에 따라 소스 장치(100)가 유효한 경우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의 통신 제어 방법 중 소스 장치(10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특정 통신 모듈 적용에 따른 실시 예의 형태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타겟 장치(200) 운용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7, 9 등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소스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소스 장치 운용 방법은 제1 제어부(160)가 501 동작 과정에서 기능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기능 대기 과정에서 제1 제어부(160)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또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아이콘 화면 등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특정 앱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앱 운용에 따른 앱의 비디오 데이터로 구성된 화면을 출력하거나 해당 앱 운용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60)는 503 동작 과정에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입력 이벤트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생된 입력 이벤트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가 아닌 경우 제1 제어부(160)는 50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소스 장치(100)의 특정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160)는 소스 장치(100)가 제공 가능한 기능으로서, 방송 수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편집 기능, 메모 기능,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영상 수집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503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제어부(160)는 507 동작 과정에서 제1 BT 모듈(170)을 기반으로 타겟 장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제어부(160)는 제1 BT 모듈(17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들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를 제1 BT 모듈(17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60)는 509 동작 과정에서 검색된 타겟 장치(200)를 제1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6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들의 식별 정보로 구성된 검색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별도의 인증 정보 확인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검색 리스트 구성 과정은 식별 정보의 수집과 출력만을 수행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511 동작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타겟 장치(200) 선택을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표시부(140)에 출력된 검색 리스트에서 통신 연결을 원하는 타겟 장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복수개의 타겟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하나의 타겟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511 동작 과정에서 특정 타겟 장치(200)를 선택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513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제어부(160)는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과정 수행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60)는 515 동작 과정에서 통신 기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160)는 소스 장치(100)에서 운용 중인 특정 앱의 앱 데이터를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통하여 선택된 타겟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60)는 517 동작 과정에서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17 동작 과정에서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1 제어부(160)는 503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60)는 515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와이파이 통신 기반 기능 수행을 계속하여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60)는 509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검색된 타겟 장치 표시를 수행하여 다른 타겟 장치 선택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검색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특정 타겟 장치를 선택하면 선택된 타겟 장치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타겟 장치 중 특정 타겟 장치에 대하여 디폴트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소스 장치(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타겟 장치 검색 과정에서 제1 BT 모듈(170) 기반의 통신 연결 이후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연결 이력을 가진 타겟 장치가 있는 경우 디폴트로 와이파이 통신 연결 채널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60)는 해당 타겟 장치(200)와 소스 장치(100)가 홈 싱크 네트웍 장치에 동일한 계정으로 등록된 경우 별도의 인증 정보 입력 과정을 생략하고 와이파이 연결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60)는 타겟 장치 선택을 위한 과정을 생략하고 인증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창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검색 과정에서 복수개의 타겟 장치가 상술한 제1 BT 모듈(170)을 거쳐 제1 와이파이 모듈(180) 기반의 통신 연결이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타겟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타겟 장치들을 디폴트로 모두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1 제어부(160)는 앱 운용에서 발생한 앱 데이터를 복수개의 타겟 장치에 동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간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장치(100)가 601 동작 과정에서 기능 대기 상태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200)는 BT 통신 기반의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603 동작 과정에서 제1 BT 모듈(170) 기반 장치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100)는 제1 BT 모듈(170)의 전원 공급 및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스캔 신호(Bluetooth Device Search)를 출력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605 동작 과정에서 스캔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607 동작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수신하면, 609 동작 과정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기반으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611 동작 과정에서 검색 리스트에서 특정 타겟 장치를 지정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소스 장치(100)는 613 동작 과정에서 블루투스 연결 요청 신호(Bluetooth Connect REQ)를 선택된 타겟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연결 요청 신호(Bluetooth Connect REQ)를 수신한 타겟 장치(200)는 그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연결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617 동작 과정에서 블루투스 통신 준비 채널(Bluetooth Conn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타겟 장치(200)는 619 동작 과정에서 해당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사전 정의된 PIN 코드 정보 요청(Ask PINCODE via Bluetooth)을 소스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소스 장치(100)는 621 동작 과정에서 PIN 코드 정보 응답(Send PINCODE via Bluetooth)을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100)는 PIN 코드 입력을 위한 입력창 출력을 수행하고,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제1 표시부(14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PIN 코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소스 장치(100)는 제1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된 PIN 코드 정보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IN 코드 정보는 타겟 장치(200)가 유효한 사용자의 접근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에 따라 PIN 코드 정보는 타겟 장치(200)의 일정 영역에 프린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PIN 코드 정보는 타겟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전 숙지될 수 있다. 또는 PIN 코드 정보는 타겟 장치(200)와의 접속 이력에 따라 제1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50)에 PIN 정보가 사전 저장되는 경우 소스 장치(100)는 선택된 타겟 장치(200)의 PIN 코드 정보를 통신 연결 이력을 확인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소스 장치(100)는 자동 PIN 코드 정보 제공을 위하여 통신 연결이 수행된 이력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PIN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623 동작 과정에서 해당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타겟 장치(200)의 제2 제어부(260)는 제2 저장부(250)에 자신의 PIN 코드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소스 장치(100)가 제공한 PIN 코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타겟 장치(200)는 정보의 불일치성 또는 무효성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소스 장치(100)에 제공하고 이후 과정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장치(200)는 601 동작 과정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장치(200)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PIN 코드 정보를 일정 횟수 이상 입력 요청할 수도 있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는 625 동작 과정에서 인증 키를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하여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627 동작 과정에서 타겟 장치(200)로부터 인증 키를 수신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100)는 제1 와이파이 모듈(180)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629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 및 수신된 인증 키를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하여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631 동작 과정에서 수신된 인증 키 확인을 통하여 소스 장치(100)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타겟 장치(200)는 625 동작 과정에서 제공한 인증 키와 동일한 키가 소스 장치(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하여 통신 연결할 소스 장치(100)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키가 동일하면 타겟 장치(200)는 633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수행하고, 635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요청(WIFI Direct Connect REQ)을 소스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장치(200)는 수신된 와이파이 MAC 주소를 기반으로 소스 장치(100)와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637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WIFI Direct Connect)에 따른 통신 연결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PINCODE 송수신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에 마련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대측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예컨대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인증키 송수신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간의 송수신되는 인증키는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Qualification_Key=EncryptData(ClientbluetoothAddress,ServerBluetoothAdress)
이때 Qualification_Key는 암호화된 값이며, ClientbluetoothAddress는 소스 장치(100) 또는 타겟 장치(200)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 값으로서 Key 값이며, ServerBluetoothAdress는 타겟 장치(200) 또는 소스 장치(100)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 값으로서 데이터(DATA) 값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ServerBluetoothAdress는 다음과 같은 복호 과정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ServerBluetoothAdress=DecryptData(ClientbluetoothAddress,Qualification_Key)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는 사전 저장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술한 암호화된 값을 인증 정보로서 송수신하여 상대측 장치를 인증할 수도 있다.
인증키 알고리즘 기반으로 상대측을 인증하는 과정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본 개시의 기술에서 장치 인식은 619 동작 과정 내지 633 동작 과정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동작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환 가능한 인증키 알고리즘을 사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가 타겟 장치(200)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호출이 발생하여 타겟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소스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안 수집된 타겟 장치(2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생성된 인증키를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와 함께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는 동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장치(100)는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 전송과 함께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로부터 인증키 및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한 타겟 장치(200)는 우선 인증키 확인 동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장치(200)는 사전 저장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복호화하고, 복호된 정보가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복호된 정보가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소스 장치(100)가 전송한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이미 수행한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소스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 기반의 인증키 생성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서 수집된 타겟 장치(200)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 블루투스 장치 시리얼 정보, 장치 이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특정 입력 정보나 영상 수집 장치 등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인증키 생성을 위한 고유 식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장치(100)가 인증키를 생성하여 타겟 장치(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타겟 장치(200)가 소스 장치(100)과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한 이후 소스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간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동작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이지셋업 상태(EASYSETUP)를 가질 수 있다. 이지셋업 상태(EASYSETUP)는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가 홈 싱크 네트웍 장치를 통하여 정보 공유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각각 제1 통신부(110) 및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홈 싱크 네트웍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장치 간의 인증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홈 싱크 네트웍 장치에 동일 계정으로 등록된 장치들임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타겟 장치(200)는 703 동작 과정에서 제2 BT 모듈(270) 기반의 스캔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100)는 705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소스 장치(100)는 707 동작 과정에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위한 스캔 신호(Bluetooth Device Search)를 출력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로부터 스캔 신호(Bluetooth Device Search)를 수신한 타겟 장치(200)는 709 동작 과정에서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711 동작 과정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Bluetooth Search RES)를 기반으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타겟 장치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713 동작 과정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소스 장치(100)는 715 동작 과정에서 블루투스 연결 요청 신호(Bluetooth Connect REQ)를 타겟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 신호(Bluetooth Connect REQ)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연결 응답 신호(Bluetooth Connect RES)를 717 동작 과정에서 소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는 719 동작 과정에서 블루투스 통신 준비 채널(Bluetooth Conn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준비 채널(Bluetooth Connection)이 형성되면 소스 장치(100)는 721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준비가 완료되면 소스 장치(100)는 723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 및 홈 싱크 네트웍 장치를 통해 공유한 키/인증 정보를 타겟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725 동작 과정에서 수신된 키/인증 정보가 홈 싱크 네트웍 장치를 통해 공유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는 727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타겟 장치(200)는 729 동작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요청(WIFI Direct Connect REQ)을 소스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100)와 타겟 장치(200) 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WIFI Direct Connect)에 의한 통신 연결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소스 장치(100)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소스 장치(100)의 제1 표시부(140)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앱 운용에 따라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앱 운용 영역(40)을 출력할 수 있다. 앱 운용 영역(40)은 예컨대 동영상 파일 재생에 따른 동영상 재생 영역이 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 영역(40)은 정지 영상 또는 슬라이드 영상 등이 재생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 영역(40)은 방송 수신 모듈이 수신한 방송 수신 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 영역(40)은 웹 페이지 접속에 따른 웹 화면이 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앱 운용 영역(40)에 특정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해당 앱 운용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140)는 해당 앱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와이파이 운용 항목(141)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표시부(140)는 앱 운용에 관계없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수행을 위한 별도의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운용 항목(141)이 선택되면 소스 장치(100)는 제1 BT 모듈(170)을 이용하여 스캔 신호를 방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803 화면에서와 같이 검색 리스트(143)를 출력할 수 있다. 검색 리스트(143)에는 스캔 신호에 응답한 장치들의 이름을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색 리스트(143)는 각 응답 장치들의 블루투스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리스트(143)가 와이파이 운용 항목(141)에 오버랩 되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검색 리스트(143)는 별도의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검색 리스트(143)에서 특정 타겟 장치 예컨대 "삼성 TV" 항목이 선택되면 소스 장치(100)는 "삼성 TV" 항목에 해당하는 타겟 장치(2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와이파이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앞서 형성한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로부터 PIN 코드 정보 입력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PIN 코드 입력창을 제1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제1 표시부(140)에 PIN 코드 입력을 위해 출력되는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PIN 코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선택된 타겟 장치(2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805 화면에서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대한 안내 메시지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소스 장치(100)는 형성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해제할 연결 해제 항목(145)을 출력할 수 있다. 연결 해제 항목(145)이 선택되면 소스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소스 장치(100)는 앱 운용 영역(4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앱 운용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된 채널을 통하여 타겟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한 타겟 장치(200)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타겟 장치(200)의 제2 표시부(240)는 전원 공급에 따라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부(240)는 901 화면에서와 같이 블루투스 대기 상태를 안내하는 대기 안내 정보(91)를 출력할 수 있다. 대기 안내 정보(91)는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표시부(240)는 타겟 장치(200) 운용에 따른 특정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장치(200)는 PC 모니터인 경우 PC 운용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스캔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소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100)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받으면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903 화면에서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정보(93)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장치(200)의 제2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블루투스 연결 정보(93)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안내하는 정보 외에 소스 장치(100)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의 블루투스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소스 장치(100)의 이름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와이파이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하면 소스 장치(100)가 와이파이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스 장치(100)가 유효한 장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에 PIN 코드 정보 확인을 요청하거나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사전 정의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가 유효한 장치인 경우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소스 장치(100)의 제2 표시부(24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와이파이 연결을 안내하는 와이파이 연결 정보(95)를 출력할 수 있다. 와이파이 연결 정보(95)는 일시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와이파이 연결 정보(95) 출력은 생략될 수도 있다.
타겟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앱 운용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장치(200)의 제2 표시부(240)는 907 화면에서와 같이 앱 수신 영역(241)을 출력할 수 있다. 앱 수신 영역(241)은 소스 장치(100)의 앱 운용 영역(40)과 동일한 데이터로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앱 수신 영역(241)은 소스 장치(100)에서 운용되는 복수개의 앱 중 어느 하나의 앱에 해당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는 상대측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알고리즘 및 사전 저장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소스 장치(100) 및 타겟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통신 제어 시스템 100 : 소스 장치
110, 2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230 : 오디오 처리부 140, 240 : 표시부
150, 250 : 저장부 160, 260 : 제어부
200 : 타겟 장치

Claims (20)

  1.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형성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1 통신 모듈로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연결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제2 통신 모듈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연결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형성 과정이
    상기 소스 장치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스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집하는 과정;
    수집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
    상기 검색 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검색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과정이
    상기 소스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해 인증 정보 확인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과정;
    상기 수집된 인증 정보를 상기 타겟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이
    상기 인증 정보 입력을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저장된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이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사전 저장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인증 키와 와이파이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타겟 장치가 사전 저장된 인증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키를 복호화하는 과정;
    상기 타겟 장치가 복호화된 고유 식별 정보 유효성 확인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인증키 전송 이후 와이파이 모듈을 활성화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를 준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와이파이 모듈을 활성화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를 준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과정이
    상기 소스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해 사전 공유된 인증 정보 및 와이파이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과정이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인 통신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에서 운용 중인 앱의 앱 데이터를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통하여 상기 타겟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0.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 지원을 위해 스캔 신호를 송출하고,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을 위하여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통신 연결 채널을 형성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스캔 신호 송출을 제어하고 수집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장치 항목들을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구성하여 출력하며, 선택된 항목의 타겟 장치와 제1 통신 모듈 기반의 상기 통신 준비 채널 형성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비하여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전송, 저속 데이터 전송 중 적어도 하나로 구동되는 모듈이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비하여 고전력, 고용량 데이터 전송, 고속 데이터 전송 중 적어도 하나로 구동되는 모듈인 소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모듈이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와이파이 모듈인 소스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에 프린트된 고유 식별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 수집 장치 및 상기 타겟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소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주소 정보,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이름 정보, 상기 영상 수집 장치가 수집한 고유 식별 정보,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알고리즘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소스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와 인증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홈 싱크 네트웍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소스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소스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앱 운용에 따른 앱 운용 영역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표시부에 출력되는 앱 운용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소스 장치.
  18. 스캔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송출하여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통신 연결 채널을 위하여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통신 연결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와아파이 모듈;
    상기 스캔 신호 송출한 소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블루투스 모듈 기반의 통신 준비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장치와 상기 와이파이 모듈 기반의 상기 통신 연결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겟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반 통신 준비 채널 형성 시 상기 소스 장치 확인을 위해 사전 공유된 인증 정보 및 상기 소스 장치가 제공하는 인증키 복호를 통해 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키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타겟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반의 통신 준비 채널 형성 시 식별 정보 확인을 상기 소스 장치에 요청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를 사전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는 타겟 장치.
KR1020130041897A 2013-04-16 2013-04-16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ithdrawn KR2014012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97A KR20140124304A (ko) 2013-04-16 2013-04-16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14164787.5A EP2816865A1 (en) 2013-04-16 2014-04-15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4/254,860 US20140308898A1 (en) 2013-04-16 2014-04-16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97A KR20140124304A (ko) 2013-04-16 2013-04-16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304A true KR20140124304A (ko) 2014-10-24

Family

ID=505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897A Withdrawn KR20140124304A (ko) 2013-04-16 2013-04-16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08898A1 (ko)
EP (1) EP2816865A1 (ko)
KR (1) KR201401243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417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45367A (ko) * 2018-10-22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952075B2 (en) 2018-11-16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WO2021054678A1 (ko) * 2019-09-19 2021-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연결 방법
US11671806B2 (en) 2020-02-10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2428A1 (fr) * 2014-06-16 2015-12-18 Orange Technique de gestion d'un etat d'activation d'un module d'acces radio
KR102238214B1 (ko) * 2014-09-12 2021-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64725A1 (en) * 2014-12-08 2016-06-09 Cyntec Co., Ltd. Wireless System Packag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Wireless System Packag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4657099B (zh) * 2015-01-15 2019-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投射方法、装置及系统
KR102346062B1 (ko) 2015-02-27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 정보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492823B2 (ja) * 2015-03-18 2019-04-0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
US9763644B2 (en) 2015-03-27 2017-09-19 Clarius Mobile Health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controlling wireless ultrasound imaging system from electronic device
US11190681B1 (en) * 2015-07-10 2021-11-30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SP fast boot
CN106411681B (zh) * 2015-07-29 2020-07-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的处理方法和发起设备、服务器、参与设备
CN105119984B (zh) * 2015-08-07 2019-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EP3144798B1 (en) * 2015-09-18 2020-1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674339B2 (en) * 2015-10-27 2020-06-0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31455B1 (ko) * 2015-12-14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헬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A3010340C (en) 2015-12-31 2021-06-15 Delta Faucet Company Water sensor
JP6597423B2 (ja) * 2016-03-14 2019-10-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376000B (zh) * 2016-10-09 2019-05-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集成描述文件的智能设备操控方法
WO2018107593A1 (zh) * 2016-12-12 2018-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不同终端间共享文件的方法及设备
US11109425B2 (en) * 2018-08-24 2021-08-31 Ledvance Llc Bluetooth low energy backed smart lighting system
US10548084B1 (en) * 2019-03-29 2020-01-28 Schlage Lock Company Llc Technologies for associating an offline Wi-Fi system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CN112449049A (zh) * 2019-08-27 2021-03-05 广州皓醒湾科技有限公司 终端与蓝牙设备数据交互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4007205A (zh) * 2020-07-28 202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密钥重用方法以及装置
CN113316130A (zh) * 2021-05-20 2021-08-27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WiFi地址传递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4257631A (zh) * 2021-12-20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4894B1 (en) * 2011-05-09 2012-07-17 Google Inc. Zero-click sharing of application context across devices
US8838031B2 (en) * 2011-10-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417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952076B2 (en) 2016-01-27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00045367A (ko) * 2018-10-22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952075B2 (en) 2018-11-16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WO2021054678A1 (ko) * 2019-09-19 2021-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연결 방법
US12089157B2 (en) 2019-09-19 2024-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anc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US11671806B2 (en) 2020-02-10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6865A1 (en) 2014-12-24
US20140308898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4304A (ko)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05737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880746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RU2650505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 управляемым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4518875B (zh) 一种身份验证及账号获取的方法、移动终端
WO2021114952A1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蓝牙设备及存储介质
CN105163366B (zh) 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EP3068104B1 (en) Sharing method and system for media file
US10952267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target devices
CN107750466A (zh) 使用经同步的提示信号配对附近设备
CN104350483A (zh) 电子设备的整体识别
JP6140910B2 (ja) 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412555B2 (en) Mobile terminal
KR201300771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3327387A (zh) 电视机遥控方法及系统
KR1020991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2396B1 (ko) 이동 단말기
JP2018514824A (ja) 動的な組み合わせと調整が可能なパーソナルワークシステム
CN114928831A (zh) 一种通信方法及电子设备
CN105159181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605469B1 (ko)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7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7729B1 (ko) 이동 단말기
CN118590336A (zh) 基于Matter协议控制智能设备的方法、装置及介质
KR101966947B1 (ko) 이동 단말기 및 클라우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