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3968A -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968A
KR20140123968A KR1020147023670A KR20147023670A KR20140123968A KR 20140123968 A KR20140123968 A KR 20140123968A KR 1020147023670 A KR1020147023670 A KR 1020147023670A KR 20147023670 A KR20147023670 A KR 20147023670A KR 20140123968 A KR20140123968 A KR 2014012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
exchange fluid
fluid
evapo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상 라쉐드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12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9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 F25B2400/121Inflammable refrigerants using R123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4Calculation of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n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열 교환 유체를 함유하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및 적어도 제 2 열 교환 유체를 함유하는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에 의해 유체 또는 바디를 냉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외부 주변물의 온도를 측정함; 및
- 외부 주변물의 온도에 따라, 증발을 위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를 설정함.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최적으로 작동하게 고안된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저압에서의 유체 증발 (여기서 유체는 열을 흡수함); 증발 유체의 고압까지의 압축; 고압에서 액체를 산출하기 위한 증발 유체의 응축 (여기서, 유체는 열을 방출함); 및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한 유체의 압력 감소를 포함하는 열역학적 사이클을 기초로 한다.
열-교환 유체 (이는 순수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음) 의 선택은, 한편으로는 유체의 열역학적 특성에 의해 및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적 제약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중요한 기준은 환경에 있어서 고려되는 유체의 영향이다. 특히, 염소화 화합물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및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은 오존층에 손상을 주는 단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염소화 화합물, 예컨대 히드로플루오로카본, 플루오로에테르 및 플루오로올레핀이 향후 이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또다른 환경적 제약은 지구 온난화 지수 (GWP) 이다. 따라서, 가능한 낮은 GWP 및 양호한 에너지 성능을 나타내는 열-교환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부 특수 냉각 시스템은 여러 냉각 회로의 사용 및 특히 함께 연결된 2 개의 회로, 즉 고온 회로 및 저온 회로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캐스캐이드식" 시스템으로 칭해진다. 두 회로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열-교환 유체를 포함한다.
캐스캐이드식 시스템은 안전과 관련하여 다수의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비용 또는 성능의 이유로, 고온 회로에서 특정 열-교환 유체를 사용하고 저온 회로에서 덜 가연성 또는 덜 독성인 또다른 열-교환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가연성 또는 가장 독성인 열-교환 유체의 총 충전이 최소화되고, 이러한 가장 가연성 또는 가장 독성인 열-교환 유체는 비피압 영역 (unconfined region) 및/또는 누출시에 대중 또는 개인과 접촉될 위험성이 없는 영역에 제한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는 이의 비가연성으로 인해, 및 환경적 관점에서 매우 유리한 열-교환 유체이다. 그러나 이의 낮은 임계점으로 인해, 이는 일반적으로 통상적 열-교환 유체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등) 보다 덜 효과적이다. 최적 용액은 저온 회로에 이산화탄소를 및 고온 회로에서 통상적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캐스캐이드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헌 WO 2008/150289 및 WO 2011/056824 는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의 예를 제공한다.
Applied Thermal Engineering, 29, 1577-1583 (2009) 에서의 Dopazo 등에 의한 논문 Theoretical analysis of a CO2-NH3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for cooling applications at low temperatures, 및 또한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32, 1358-1365 (2009) 에서의 Bingming 등에 의한 논문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s of NH3/CO2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twin-screw compressor 는 저온 회로에서 이산화탄소 및 고온 회로에서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캐스캐이드식 시스템의 성능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이러한 시스템의 전체적 에너지 소비 및 또한 관련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제 1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증기 압축 회로 및 제 2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증기 압축 회로에 의해 유체 또는 바디를 냉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하고:
- 제 1 증기 압축 회로에서:
■ 상기 유체 또는 바디와의 열 교환에 의한 제 1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증발;
■ 제 1 열-교환 유체의 압축;
■ 제 2 열-교환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한 제 1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응축;
■ 제 1 열-교환 유체의 압력 감소;
- 제 2 증기 압축 회로에서:
■ 제 1 열-교환 유체와의 열의 교환에 의한 제 2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증발;
■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축;
■ 외부 매질과의 열 교환에 의한 제 2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응축;
■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력 감소;
상기 방법은 또한 하기를 포함한다:
-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 및
- 외부 매질의 온도의 함수로서,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
구현예에 따르면,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거나 1 시간마다 1 회 이상 수행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방법은 외부 매질의 온도 변화의 검출을 포함하고,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은 외부 매질의 온도 증가가 검출되는 경우에 증발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증가 및 외부 매질의 온도 감소가 검출되는 경우에 증발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감소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방법은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 최적 증발 온도의 계산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는 최적 증발 온도로 조절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최적 증발 온도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및 제 2 증기 압축 회로의 성능의 전체 계수가 최대치인 증발 온도에 해당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최적 증발 온도는 화학식 Topt = A x Text + B 로 정의되고, 여기서 Text 는 ℃ 로의 외부 매질 온도이고, A 는 무차원 상수이고, B 는 ℃ 로의 상수이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수 A 는 0.3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45 의 값을 갖고, 상수 B 는 -50 ℃ 내지 0 ℃,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 ℃ 의 값을 갖는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체 또는 바디는 -5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 ℃ 의 온도로 냉각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이고; 및/또는
- 제 2 열-교환 유체는 암모니아,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또는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이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축은 하나 이상의 압축기에 의해 수행되고,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은 상기 압축기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의 제어는 압축기의 회전 속도 조절을 포함하거나 압축기의 연속적 개시 및 셧다운에 의해 수행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방법은 생성물, 바람직하게는 식품 (이는 고냉동 또는 냉동됨) 을 포함하는 칸을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유체 또는 바디를 냉각시키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며:
- 제 1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 제 2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2 증기 압축 회로;
- 제 1 열-교환 유체 및 제 2 열-교환 유체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는데 적절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상기 제 1 증기 압축 회로는 하기를 포함하고:
- 제 1 열-교환 유체와 상기 유체 또는 바디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는데 적절한 제 1 증발기;
- 하나 이상의 제 1 압축기;
- 제 1 팽창 장치;
상기 제 2 증기 압축 회로는 하기를 포함하고:
- 하나 이상의 제 2 압축기;
- 제 2 열-교환 유체와 외부 매질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는데 적절한 제 2 응축기;
- 제 2 팽창 장치;
상기 설비는 하기를 또한 포함한다:
- 외부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에서의 증발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
한 구현예에 따르면, 설비는 또한 외부 매질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 최적 증발 온도를 계산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에서 증발 온도의 조절용 수단은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의 증발 온도를 최적 증발 온도로 조절하는데 적절하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최적 증발 온도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및 제 2 증기 압축 회로의 성능의 전체 계수가 최대치인 증발 온도에 해당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최적 증발 온도는 식 Topt = A x Text + B (식 중, Text 는 ℃ 로의 외부 매질 온도이고, A 는 무차원 상수이고, B 는 ℃ 로의 상수임) 로 정의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수 A 는 0.3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45 의 값을 갖고, 상수 B 는 -50 ℃ 내지 0 ℃,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 ℃ 의 값을 갖는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설비는 바디 또는 유체를 -5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 ℃ 의 온도로 냉각시키는데 적절하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이고; 및/또는
- 제 2 열-교환 유체는 암모니아,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이고,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또는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이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에서 증발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은 제 2 압축기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압축기의 제어 수단은 제 2 압축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에 적절하거나, 제 2 압축기의 연속적 개시 및 셧다운에 적절하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설비는 제품, 바람직하게는 식품 (이는 고냉동 또는 냉동됨) 을 받기에 적절한 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당업계의 최신 기술에서 느껴지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 특히, 이는 전체 에너지 소비 및 환경적 영향이 최소화되는 냉장 공정 및 상응하는 설비를 제공한다.
이는 외부 온도 (주변 온도) 의 함수로서 고온 회로의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를 조절하여 달성된다. 상기 조절은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도면의 간략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도해이다.
도 2 는 하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예로서 취해진 대표적 날 동안의 주변 온도 변화 (백색 원, 세로좌표의 왼쪽 축, ℃ 로의 값); 및 (2) 이러한 대표적 날 동안의 고냉동 식품의 보존에 필요한 냉장 능력의 통상적 변화의 예 (검은색 사각형, 세로좌표의 오른쪽 축, kW 로의 값); 이는 상기 날의 시간의 함수로서임 (가로 좌표의 축).
도 3 은 고온 회로의 열-교환 유체가: (1) HFO-1234yf (백색 사각형); 또는 (2) HFO-1234ze (흑색 원) 인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에 관한, 주변 온도의 함수 (℃, 가로 좌표의 축) 로서의 최적 증발 온도 (℃, 세로 좌표의 축) 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냉각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르는지 (회색 막대, 주변 온도의 함수로서 조절된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 또는 통상적 시스템인지 (흑색 막대, -10 ℃ 에서 설정된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 에 따라, 대표적 날 동안의 냉각 시스템의 전체 에너지 소비 (kWh) 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두 일련의 데이터는 (1) 고온 회로의 열-교환 유체가 HFO-1234yf 인 경우, 및 (2) 고온 회로의 열-교환 유체가 HFO-1234ze 인 경우에 해당한다.
도 5 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대표적 날 동안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의 TEWI 지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고온 회로에서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 및 HFO-1234yf (R1234yf 막대); 고온 회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 및 HFO-1234yf (opti R1234yf 막대); 고온 회로에서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 및 HFO-1234ze (R1234ze 막대); 고온 회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 및 HFO-1234ze (opti R1234ze 막대). 상기 값은 참조 상황 (고온 회로에서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 및 HFO-1234yf) 에 대한 TEWI 지수의 백분율에 해당한다. 통상적인 시스템은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가 -10 ℃ 에서 설정되는 시스템이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가 주변 온도의 함수로서 조절되는 시스템이다.
도 6 도 4 의 그래프와 동등한 그래프이지만,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가 -18 ℃ 로 설정되는 통상적 시스템을 사용한다.
도 7도 5 의 그래프와 동등한 그래프이지만, 고온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가 -18 ℃ 로 설정되는 통상적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제 더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나,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열-교환 화합물" 또는 "열-교환 유체" (또는 냉매) 각각은 증기 압축 회로에서 저온 및 저압에서의 증발에 의해 열을 흡수할 수 있고 고온 및 고압에서 응축에 의해 열을 방출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유체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 유체는 단지 하나, 둘, 셋 또는 셋 초과의 열-교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열-교환 조성물" 은 열-교환 유체 및 임의로는 예상되는 적용물을 위한 열-교환 화합물이 아닌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유체 또는 바디의 냉각을 위한 설비 및 관련된 냉각 프로세스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설비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에어 컨디셔닝 설비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냉각 및/또는 냉동 및/또는 극저온 설비일 수 있다.
도 1 을 참조로 하여,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설비는 제 1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또는 저온 회로), 및 제 2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또는 고온 회로) 를 포함한다.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또는 증발기-응축기 또는 냉매-대-냉매 열 교환기) 은 두 증기 압축 회로 사이의 열 커플링을 제공한다.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은 하나 이상의 제 1 증발기 (11), 하나 이상의 제 1 압축기 (12) 및 하나 이상의 제 1 팽창 장치 (14) 를 포함한다. 제 1 압축기 (12) 및 제 1 팽창 장치 (14) 사이에서, 상기 회로는 이러한 제 1 회로를 위한 컨덴서 (제 1 컨덴서) 로서 작용하는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을 통과한다.
유체 수송 라인은 회로의 모든 부품 사이에 제공된다.
증기 압축 회로 (10) 은 통상적 증기 압축 사이클에 따라 작동한다. 사이클은 비교적 저압에서 (제 1 증발기 (11) 에서) 액체 상 (또는 액체/증기 2-상 시스템) 으로부터 증기 상으로의 제 1 열-교환 유체의 상태 변화, 이후 (제 1 압축기 (12) 에서) 비교적 고압까지의 증기 상의 유체 압축, 비교적 고압에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기 상으로부터 액체 상으로의 열-교환 유체의 상태 변화 (응축), 및 (제 1 팽창 장치 (14) 에서) 사이클의 재개를 위한 압력의 감소를 포함한다.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은 하나 이상의 제 2 압축기 (22a), (22b), (22c), 하나 이상의 제 2 응축기 (23), 및 하나 이상의 제 2 팽창 장치 (24) 를 포함한다.
제 2 팽창 장치 (24) 및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사이에서, 회로는 이러한 제 2 회로를 위한 증발기 (제 2 증발기) 로서 작용하는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을 통과한다.
유체 수송 라인은 회로의 모든 부품 사이에 제공된다.
제 2 증기 압축 시스템 (20) 은 제 1 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액체 상태의 유체의 비축을 형성하기 위해 회로에 어큐물레이터 (accumulator) (27) 을 제공할 수 있다. 어큐물레이터에서의 액체 수준은 사용 조건의 함수로서 설비의 요건에 따라 변화한다.
제 1 열-교환 유체는 제 1 증발기 (11) 에서 냉각되는 유체 또는 바디의 일부로부터 열을 받는다. 예를 들어, 냉각하고자 하는 바디가 하나 이상의 냉동 또는 고냉동 제품 (특히 식품) 으로 이루어질 때, 이러한 바디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가 증발기 (11) 과 직접 접촉하는 (또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가 제 1 증발기 (11) 에 속하는) 칸에 놓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각되는 유체 또는 바디와 제 1 열-교환 유체 사이의 열 교환은 열-교환 유체 예컨대 공기 또는 그밖에 글리콜 화합물을 (상태 변화와 함께 또는 상태 변화 없이) 포함하는 보조 회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제 1 열-교환 유체는 두 회로 사이의 커플링을 제공하는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제 2 열-교환 유체에 열을 빼앗긴다. 제 1 열-교환 유체로부터 제 2 열-교환 유체로의 열의 교환은, 한 편으로는 제 1 열-교환 유체의 응축을 다른 한 편으로는 제 2 열-교환 유체의 증발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제 2 응축기 (23) 은 제 2 열-교환 유체가 외부 매질에 열을 빼앗기는 것을 허용한다. 외부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둘러싸인 공기이다.
제 2 열-교환 유체와 외부 매질 사이의 열 교환은 (상태 변화와 함께 또는 상태 변화 없이) 열-교환 유체의 보조 회로를 통해 또는 직접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언급된 회로에서, 단일-단계 또는 다단계 원심 압축기 또는 원심 소형압축기의 압축기로서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피스톤 또는 축 압축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압축기는 기어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이동식 적용물을 위해, 자동차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 터빈 또는 전자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열 교환기로서, 동방향 열 교환기 또는 바람직하게는 역방향 열 교환기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채널 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장치의 아이템 (응축기, 팽창 장치, 증발기, 압축기) 각각은 직렬로 및/또는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장치 또는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행의 여러 장치가 사용될 때, 도 1 에서의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경우와 같이, 분별기 (25) 및 수집기 (26) 이 필요에 따라 제공되어, 유체를 다양한 장치에 분배하고 다양한 장치로부터 생성된 유체를 수집한다.
단일 제 2 증기 압축 (고온) 회로에 연결된 여러 제 1 증기-압축 (저온) 회로 또는 또한 단일 제 1 증기 압축 (저온) 회로에 연결된 여러 제 2 증기 압축 (고온) 회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이는 특히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제 2 열-교환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이는 특히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및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HFO-1234yf) 또는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HFO-1234ze) (시스 또는 트랜스 형태 또는 시스 및 트랜스 형태의 혼합물 형태) 일 수 있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이고, 제 2 열-교환 유체는 HFO-1234yf 이다.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이고, 제 2 열-교환 유체는 HFO-1234ze 이다.
제 2 열-교환 유체에 대한 기타 가능한 예는 하기이다:
- HFO-1234yf 및 HFC-134a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2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의 HFO-1234yf 및 이상적으로는 약 56% 의 HFO-1234yf 를 포함함.
- HFO-1234ze 및 HFC0-134a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2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의 HFO-1234ze 및 이상적으로는 약 58% 의 HFO-1234ze 를 포함함.
- HFO-1234yf 및 HFO-1234ze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2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의 HFO-1234yf 및 이상적으로는 약 50% 의 HFO-1234yf 를 포함함.
- HFO-1234yf, HFO-1234ze 및 HFC-134a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3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 의 HFC-134a, 35% 내지 50% 의 HFO-1234ze 및 5% 내지 25% 의 HFO-1234yf 를 포함함.
- HFO-1234yf 및 암모니아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2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의 암모니아를 포함함.
- HFO-1234yf, HFC-152a (1,1-디플루오로에탄) 및 HFC-134a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3성분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의 HFC-134a, 2% 내지 20% 의 HFC-152a 및 65% 내지 96% 의 HFO-1234yf 를 포함함.
- HFO-1234ze, HFC-134a 및 HFO-1336mzz (1,1,1,4,4,4-헥사-플루오로부트-2-엔) 의 혼합물, 이는 바람직하게는 3성분 혼합물임.
상기 범위에서, 상이한 화합물의 비율은 중량에 의한 비율이다.
다양한 첨가제는 증기 압축 회로에서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열-교환 유체에 첨가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윤활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추적자, 형광제, 방향제 및 가용화제일 수 있다.
안정화제(들) 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열-교환 조성물 중 5 중량% 이하를 나타낸다. 안정화제 중에서, 니트로메탄, 아스코르브산, 테레프탈산, 아졸, 예컨대 톨루트리아졸 또는 벤조트리아졸, 페놀계 화합물 예컨대 토코페롤, 히드로퀴논, t-부틸히드로퀴논 또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에폭시드 (알킬 (임의로 플루오르화 또는 퍼플루오르화됨) 또는 알케닐 또는 방향족), 예컨대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부틸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포스파이트, 포스포네이트, 티올 및 락톤이 언급될 수 있다.
추적자 (검출될 수 있는 작용제) 로서 중수소화 또는 비중수소화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중수소화 탄화수소, 퍼플루오로카본, 플루오로에테르, 브롬화 화합물, 요오드화 화합물,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질소 산화물 및 이의 조합이 언급될 수 있다. 추적자는 열-교환 화합물 또는 열-교환 유체를 제조하는 화합물과 상이하다.
가용화제로서, 탄화수소, 디메틸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 아미드, 케톤, 니트릴, 클로로카본, 에스테르, 락톤, 아릴 에테르, 플루오로에테르 및 1,1,1-트리플루오로알칸이 언급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열-교환 화합물 또는 열-교환 유체를 제조하는 화합물과 상이하다.
형광제로서, 나프탈리미드, 페릴렌, 쿠마린, 안트라센, 페난트라센, 잔텐, 티오잔텐, 나프톡산텐, 플루오레세인 및 이의 유도체 및 조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방향제로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 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알킬 에스테르, 알킨, 알데히드, 티올, 티오에테르, 디술피드,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알칸산, 아민,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넨 유도체, 시클로헥센,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아스카리돌, o-메톡시(메틸)페놀 및 이의 조합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윤활제 또는 윤활 오일로서, 미네랄 기원의 오일, 실리콘 오일, 천연 기원의 파라핀, 나프텐, 합성 파라핀, 알킬벤젠, 폴리(α-올레핀), 폴리올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비닐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폴리올 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매우 특히 유체 또는 바디가 -5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 ℃ 의 온도로 냉각되기에 적절하다. 외부 매질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50 ℃, 특히 0 내지 40 ℃, 매우 특히 10 내지 35 ℃ 에서 변화한다.
제 1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 (제 1 증발기 (11) 의 온도) 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 ℃, 더욱 특히 -50 내지 -25 ℃ 이다.
제 2 열-교환 유체의 응축시 온도 (제 2 응축기 (23) 의 온도) 는 외부 온도에 가변적이고, 이는 전형적으로 20 내지 60 ℃, 더욱 특히 20 내지 45 ℃ 이다.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온도에 대해 +10 ℃ 일 수 있다.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제 1 열-교환기 유체의 응축 온도는 이러한 동일한 교환기에서 제 2 열-교환 유체의 증발 온도에 가변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증발 온도에 대해 +5 ℃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41) 및 또한 측정되는 외부 매질 온도의 함수로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 조절 수단 (42) 를 제공한다.
설비의 전체 성능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외부 온도의 함수로서 조절될 때 최적 (즉, 냉각되는 유체 또는 바디의 주어진 냉각 온도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최소임) 이라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더 양호한 효율을 위해 외부 온도가 높으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높아야 하고,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는 최적 증발 온도로 조절되고, 이는 측정되는 외부 매질 온도의 함수로서 계산 모듈에 의해 측정된다.
최적 증발 온도는, (냉각된 유체 또는 바디의 주어진 냉각 능력 및/또는 주어진 냉각 온도를 위하여) 설비 성능의 전체 계수가 최대치이고 설비의 전체 에너지 소비가 최소치인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의 증발 온도인 것으로 바람직하게 정의된다.
주어진 설비의 경우 최적 증발 온도는, 도 3 과 관련하여 아래 실시예 1 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직접; 또는 논의되고 있는 설비에 관하여, 아래 실시예 1 에 제시된 것과 동일한 계산을 수행하여; 또는 또한 고온 회로의 상이한 증발 온도에 대한 설비의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고 외부 온도에 대한 보정을 확립함으로써 실험적으로 또는 경험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최적 증발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은 설비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외부 온도에 최적 증발 온도를 연관시킨 함수는 사전에 측정되고, 이후 오로지 이러한 함수가 상기 언급된 계산 모듈에 포함된다.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는 또한 기타 제한을 고려하기 위하여, 최적 증발 온도와 상이한 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의 가능한 변화를 특정 온도 범위 T1-T2 로 제한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의 증발 온도는 후자가 T1-T2 범위에 속하는 경우 최적 증발 온도로 조절되거나, 그밖에 이는 최적 증발 온도가 T1 미만인 경우에 온도 T1 로 조절되고, 마지막으로 이는 최적 증발 온도가 T2 초과인 경우 온도 T2 로 조절된다.
많은 기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과도하게 빈번한 또는 과도하게 급작스러운 조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매질 온도의 함수로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의 이력 조절 또는 지연 조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적 증발 온도는 외부 매질 온도의 증가 함수이다. 이에 따라, 외부 매질의 온도 증가가 검출될 때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의 증발 온도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 매질의 온도 감소가 검출될 때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의 증발 온도가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조절은 T2 > T1 인 외부 매질의 모든 주어진 온도 T1 및 T2 에 대하여,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의 증발 온도가 각각 T2' 가 T1' 와 동일하거나 더 큰 온도 T1' 및 T2' 로 조절되는 정도이다.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의 조절은 제 2 압축기 (22a), (22b), (22c) 를 제어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의 조절 수단 (42) 은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수단, 또는 제 2 압축기 (22a), (22b), (22c) 를 연속적으로 개시 및 셧다운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의 조절은 지속적으로 또는 별도의 순간에 및 예를 들어 정기적 시간 간격으로 (매 분, 매 15, 30, 45 또는 60 분 등) 수행될 수 있다. 온도 조절은 또한 참조로 특정 기간, 예를 들어 10 분, 30 분 또는 1 시간에 걸쳐 측정된 외부 매질의 온도의 평균을 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제한 없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 최적 증발 온도의 입증
도 2 는 1 일 동안 외부 매질의 온도 (주변 온도) 변화의 전형적 예, 및 또한 슈퍼마켓 유형의 가게에서 냉동 또는 고냉동 제품을 포함하는 칸을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일 동안의 냉각 능력 요건의 전형적 예를 제공한다.
냉각 설비는 도 1 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유형이다. 저온 회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고온 회로는 HFO-1234yf 또는 HFO-1234ze 를 포함한다.
저온 회로의 경우, 증발 온도는 -40 ℃ 이고, 과열은 25 ℃ 이고 과랭은 5 ℃ 이다. 압축기는 하기 수식에 따른 등온위 효율 (isentropic efficiency) 을 갖는 축 압축기이다: ηiso = 0.00476ι2 - 0.09238 ι + 0.8981 (식 중, ι 는 압력의 비율임) (Thermodynamic analysis of optimal condensing temperature of cascade-condenser in CO2/NH3 cascade refrigeration systems, Tzong-Shring 등,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9, No. 7, 2006, pp.1100-1108 참조).
응축 온도는 고온 회로에서의 증발 온도를 5 ℃ 초과한다.
고온 회로에 관하여, 증발 온도는 일정한 값 (-10 ℃ 또는 -18 ℃) 에 고정되거나 외부 온도의 함수로서 변화될 수 있다. 과열은 25 ℃ 이고, 과랭은 5 ℃ 이다. 압축기는 하기 수식에 따른 등온위 효율을 갖는 축 압축기이다: ηiso = 0.00060079ι2 - 0.03002352 ι + 0.90880781 (참고 문헌: ASHRAE 2008 Handbook, HVAC system and equipments, Chapter 37, p. 22, Twin screw compressor, 도 34). 응축 온도는 외부 온도를 10 ℃ 초과한다.
매개변수로서 증발 온도 (고온 단계에서의 증발 온도) 에 따라, 성능의 계수 (COP: coefficient of performance) 는 주변 온도의 함수로서 최적화된다. 전체 설비에 대한 COP 의 값은 하기 식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COP1 및 COP2 는 저온 및 고온 회로 성능의 계수임).
주변 온도 (Text) 및 고온 회로에서의 최적 증발 온도 (Topt) 사이의 상관 관계는 도 3 에서 볼 수 있다.
경향 방정식은 시험된 두 냉매에 대해 매우 유사하다:
- HFO-1234yf, Topt = 0.4411 X Text - 26.549 (℃).
- HFO-1234ze, Topt = 0.4208 X Text - 26.107 (℃).
실시예 2 -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이득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1 에 입증된 최적 증발 온도는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 4 의 그래프는 하기 사이의 비교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에 따라, 즉 시시각각 주변 온도의 함수로서 그 최적 값에 관한 고온 회로의 증발 온도 (도 3 에서 측정됨) 로의 조절에 따라 작동되는 설비의 전체 에너지 소비 (회색), 온도가 도 2 의 곡선에 따라 상기 일 동안 변화됨이 가정됨; 및 (2) -10 ℃ (이는 가장 통상 선택되는 값임) 인 고온 회로에서의 일정한 증발 온도에 따른, 통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일한 설비의 전체 에너지 소비 (흑색).
도 5 의 그래프는 표준 EN 378-1:2008+A1:2010 에 대한 부록 B 에 정의된 바와 같은 TEWI (총 등가 가온 영향 (Total Equivalent Warming Impact)) 지수에 대한 동일한 두 상황 사이의 비교를 설명한다. 그래프에서, 지수는 고온 회로에서 HFO-1234yf 를 사용해 통상적으로 작동하는 설비에 관한 100 의 참조값에 대한 것이다.
도 67 의 그래프는 통상적으로 작동되는 설비가 -10 ℃ 대신 -18 ℃ 인 고온 회로에서 일정한 증발 온도로 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5 의 것과 유사하다.
본 발명이 도 2 의 대표적 날의 것보다 더 따뜻하거나 더 차가운 주변 온도의 경우에서의 매일 에너지 소비를 정확하게 예상 (특히 도 3 의 그래프를 기초로)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또한 확인되었다.

Claims (24)

  1. 제 1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및 제 2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에 의해 유체 또는 바디를 냉각시키는 방법으로서, 하기를 포함하고:
    -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에서:
    ■ 상기 유체 또는 바디와의 열 교환에 의한 제 1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증발;
    ■ 제 1 열-교환 유체의 압축;
    ■ 제 2 열-교환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한 제 1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응축;
    ■ 제 1 열-교환 유체의 압력 감소;
    -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에서:
    ■ 제 1 열-교환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한 제 2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증발;
    ■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축;
    ■ 외부 매질과의 열 교환에 의한 제 2 열-교환 유체의 일부 이상 응축;
    ■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력 감소;
    또한 하기를 포함하는 방법:
    -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 및
    - 외부 매질 온도의 함수로서,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 온도의 조절.
  2. 제 1 항에 있어서,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 온도의 조절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거나 1 시간 당 1 회 이상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매질의 온도 변화의 검출을 포함하고, 여기서 증발시의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이 외부 매질의 온도 증가가 검출되는 경우에 증발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증가, 및 외부 매질의 온도 감소가 검출되는 경우에 증발시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감소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의 최적 증발 온도의 계산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최적 증발 온도로 조절되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최적 증발 온도가 제 1 증기 압축 회로 및 제 2 증기 압축 회로의 성능의 전체 계수가 최대치인 증발 온도에 해당하는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적 증발 온도가 수식 Topt = A x Text + B (식 중, Text 은 ℃ 로의 외부 매질 온도이고, A 는 무차원 상수이고, B 는 ℃ 로의 상수임) 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수 A 가 0.3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45 의 값을 갖고, 상수 B 가 -50 ℃ 내지 0 ℃,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 ℃ 의 값을 갖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또는 바디가 -5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 ℃ 의 온도로 냉각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방법:
    -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임; 및/또는
    - 제 2 열-교환 유체는 암모니아,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또는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열-교환 유체의 압축이 하나 이상의 압축기 (22a, 22b, 22c) 에 의해 수행되고, 증발시에 제 2 열-교환 유체의 온도 조절이 상기 압축기 (22a, 22b, 22c) 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22a, 22b, 22c) 의 제어가 압축기 (22a, 22b, 22c) 의 회전 속도 조절을 포함하거나, 압축기 (22a, 22b, 22c) 의 연속적 개시 및 셧다운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냉동 또는 냉동된 제품, 바람직하게는 식품을 포함하는 칸을 냉각시키는 방법.
  14.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유체 또는 바디의 냉각 설비:
    - 제 1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 제 2 열-교환 유체를 포함하는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 제 1 열-교환 유체 및 제 2 열-교환 유체 사이의 열 교환에 적절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상기 제 1 증기 압축 회로 (10) 는 하기를 포함함:
    - 제 1 열-교환 유체와 상기 유체 또는 바디 사이의 열 교환에 적절한 제 1 증발기 (11);
    - 하나 이상의 제 1 압축기 (12);
    - 제 1 팽창 장치 (14);
    상기 제 2 증기 압축 회로 (20) 는 하기를 포함함:
    - 하나 이상의 제 2 압축기 (22a, 22b, 22c);
    - 제 2 열-교환 유체 및 외부 매질 사이의 열 교환에 적절한 제 2 응축기 (23);
    - 제 2 팽창 장치 (24);
    상기 설비는 또한 하기를 포함함:
    - 외부 매질 (41) 의 온도 측정용 장치; 및
    -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 (42) 의 조절 수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부 매질의 온도 측정의 함수로서, 최적 증발 온도의 계산을 위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설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 조절 수단 (42) 이 최적 증발 온도로의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의 증발 온도 조절에 적절한 설비.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최적 증발 온도가 제 1 증기 압축 회로 및 제 2 증기 압축 회로의 성능의 전체 계수가 최대치인 증발 온도에 해당하는 설비.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적 증발 온도가 수식 Topt = A x Text + B (식 중, Text 는 ℃ 로의 외부 매질의 온도이고, A 는 무차원 상수이고, B 는 ℃ 로의 상수임) 에 의해 정의되는 설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수 A 가 0.3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45 의 값을 갖고; 상수 B 가 -50 ℃ 내지 0 ℃,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 ℃ 의 값을 갖는 설비.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디 또는 유체를 -5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 ℃ 의 온도로 냉각시키기에 적절한 설비.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설비:
    - 제 1 열-교환 유체는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임; 및/또는
    - 제 2 열-교환 유체는 암모니아, 히드로카본, 히드로플루오로카본, 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플루오로올레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또는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임.
  22. 제 14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스캐이드식 열 교환기 (30) 에서 증발 온도 조절 수단 (42) 이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설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제어 수단이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회전 속도 조절에 적절하거나, 제 2 압축기 (22a, 22b, 22c) 의 연속적 개시 및 셧다운에 적절한 설비.
  24. 제 14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냉동 또는 냉동된 제품, 바람직하게는 식품을 받기에 적절한 칸을 포함하는 설비.
KR1020147023670A 2012-01-26 2013-01-08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Ceased KR20140123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0746A FR2986309B1 (fr) 2012-01-26 2012-01-26 Systeme de refrigeration en cascade
FR12.50746 2012-01-26
PCT/FR2013/050034 WO2013110866A1 (fr) 2012-01-26 2013-01-08 Systeme de refrigeration en casc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968A true KR20140123968A (ko) 2014-10-23

Family

ID=4762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670A Ceased KR20140123968A (ko) 2012-01-26 2013-01-08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52336A1 (ko)
EP (1) EP2807431B1 (ko)
JP (1) JP5901797B2 (ko)
KR (1) KR20140123968A (ko)
CN (1) CN104067072A (ko)
FR (1) FR2986309B1 (ko)
WO (1) WO2013110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0872A1 (ja) * 2014-03-17 2015-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WO2018235832A1 (ja) 2017-06-23 2018-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搬送システム
CN114198932B (zh) * 2020-09-17 2023-08-11 青岛海尔生物医疗股份有限公司 一种保存箱控制方法及保存箱
CN113251698A (zh) * 2021-04-29 2021-08-13 太原理工大学 适用于回收电厂余热的大温差多级压缩混合工质热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160A (ja) * 1985-08-28 1987-03-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ヒ−トポンプ給湯装置
JPH0756421B2 (ja) * 1989-01-20 1995-06-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二元冷凍機の高圧制御装置
JP2003279181A (ja) * 2002-03-25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2元冷凍装置
JP2004190917A (ja) * 2002-12-10 2004-07-08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
JP4179927B2 (ja) * 2003-06-04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の冷媒封入量設定方法
FR2860001B1 (fr) * 2003-09-19 2008-02-15 Arkema Composition a base d'hfc (hydrofluorocarbures) et son utilisation
JP2005180866A (ja) * 2003-12-22 2005-07-07 Sanyo Electric Co Ltd 二元冷凍装置
JP4346473B2 (ja) * 2004-02-27 2009-10-2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調冷凍装置
JP2007278666A (ja) * 2006-04-11 2007-10-25 Daikin Ind Ltd 二元冷凍装置
WO2008150289A1 (en) 2007-06-04 2008-12-11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system with cascaded circuits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eatures
FR2940410B1 (fr) * 2008-12-24 2011-02-11 J F Cesbron Holding Soc Installation frigorifique comprenant deux circuits en cascade.
US8011191B2 (en) * 2009-09-30 2011-09-06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US20120216551A1 (en) * 2009-11-03 2012-08-3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fluoroolefin refrigerant
US9239174B2 (en) * 2011-02-17 2016-01-19 Rocky Research Cascade floating intermediate temperature heat pum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7431A1 (fr) 2014-12-03
FR2986309A1 (fr) 2013-08-02
WO2013110866A1 (fr) 2013-08-01
US20140352336A1 (en) 2014-12-04
FR2986309B1 (fr) 2018-05-25
JP2015505029A (ja) 2015-02-16
CN104067072A (zh) 2014-09-24
JP5901797B2 (ja) 2016-04-13
EP2807431B1 (fr)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4834B2 (ja) 熱サイクルシステム用作動媒体および熱サイクルシステム
JP2020143292A5 (ko)
AU2015223326B2 (en) Use of R-1233 in liquid chillers
EP2566930B1 (en) Use of compositions for refrigeration
JP6678595B2 (ja) 低gwpの熱伝達組成物
JP6473160B2 (ja) ジフルオロメタン、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及び任意選択的にプロパンを含む熱伝達流体
JP2019214725A (ja) 二元冷却流体
RU2461599C2 (ru) Фтор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истемы, применяющие такие композиции
KR20190086672A (ko) 냉각제, 열 전달 조성물, 방법 및 시스템
CN106133110A (zh) 热循环用工作介质、热循环系统用组合物以及热循环系统
KR20140107611A (ko) 윤활유와의 혼화성이 향상된 열-전달 조성물
CN106574802A (zh) 热循环系统
JP7060017B2 (ja) 熱サイクル用作動媒体、熱サイクルシステム用組成物および熱サイクルシステム
JP2012509380A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を含む組成物、車両の加熱および/または空調方法
AU2012332173A1 (en) Use of compositions comprising 1,1,1,2,3-pentafluoropropane and optionally Z-1,1,1,4,4,4-hexafluoro-2-butene in chillers
KR20140123968A (ko) 캐스캐이드식 냉각 시스템
JP2015529262A (ja) 低gwpの熱伝達組成物
WO2017142072A1 (ja) 熱サイク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サイクル方法
CN113167509A (zh) 具有低gwp的不可燃制冷剂以及提供制冷的系统和方法
JP202007364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2563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4530234A (ja) 熱伝達組成物、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30137912A (ko) 열 전달 조성물, 방법 및 시스템
Dubey Performance Evaluation of Refrigeration using Alternative Refriger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8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5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0602

Appeal identifier: 2016101001495

Request date: 201603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4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10

Effective date: 2017060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6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310

Decision date: 20170602

Appeal identifier: 2016101001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