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2433A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433A
KR20140122433A KR1020130039092A KR20130039092A KR20140122433A KR 20140122433 A KR20140122433 A KR 20140122433A KR 1020130039092 A KR1020130039092 A KR 1020130039092A KR 20130039092 A KR20130039092 A KR 20130039092A KR 20140122433 A KR20140122433 A KR 2014012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ignal
portable terminal
control unit
input
input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433A/ko
Priority to US14/136,910 priority patent/US20140307369A1/en
Publication of KR2014012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43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는 후면 커버, 후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와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에 대한 전면 커버의 배치를 제어하는 조절 유닛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전기 활성 폴리머, 가동 구조 등을 포함하는 조절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 주변 환경 및 그 이외의 입력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OF SHAPE CHANGE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성 및 편의성이 증대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시스템, 캠코더,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전형적인 형상 구조나 정형적인 형상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고정화된 형상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유연하게 변환될 수 없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형상 변형을 통해 휴대성 및 편의성이 증대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 변형을 통해 휴대성 및 편의성이 증대된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한 상기 전면 커버의 배치를 제어하는 조절 유닛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배면으로 벤딩(bending)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를 점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일치하는 동작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조절 부재 및 상기 조절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micro actuator),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 Active Polymer: EAP) 및 가동 구조(structur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는 사각형 형상,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로 전달한 다음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한 다음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거나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도록 입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패턴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에 대한 전번 커버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절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주변 환경 및 그 이외의 입력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있다고 기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기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후면 커버(110), 전면 커버(120) 및 조절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는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배면으로 벤딩(bending)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140)의 배면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유닛(130)은 지지 부재(150)와 접촉하므로 표시 패널(140)과 조절 유닛(130)이 직접 접촉할 경우 표시 패널(1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140)과 지지 부재(150)는 표시 패널(140)과 지지 부재(150)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점착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표시 패널(140)은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표시 패널(140)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도 표시 패널(140)에 해당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패널(140), 지지 부재(150) 및 표시 패널(140)과 지지 부재(150)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점착 부재는 전면 커버(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0)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이 비교적 큰 강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후면 커버(110)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이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커버(11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틸렌, 폴리에칠렌 텔레프탈레이트리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20)는 후면 커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면 커버(120)는 후면 커버(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후면 커버(110) 및 전면 커버(120)는 서로 상이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 유닛(130)은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13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110)에 대한 전면 커버(120)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유닛(130)에 의한 후면 커버(110)에 대한 전면 커버(120)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있거나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외곽 곡률 및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130)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제어부는 각각의 조절 유닛(13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1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일치하는 동작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베이스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1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거나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도록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기(100)의 출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음향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출력 신호는 수신 대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출력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130)은 조절 부재(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조절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부재는 신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micro actuator),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 Active Polymer: EAP) 및 가동 구조(structur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구조는 사각형 형상,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조절 부재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부재는 마이크로 모터(micro motor)일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마다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구동 부재가 복수개의 조절 부재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조절 유닛(130)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변환되는 상기 조절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절 부재의 길이 변환을 통해 후면 커버(110)에 대한 전면 커버(120)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조절 유닛으로서, 길이가 변환되는 조절 부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 유닛은 길이 변환 이외의 다양한 형상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유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130)은 후면 커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130)은 후면 커버(110)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후면 커버(210), 후면 커버(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220),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210)에 대한 전면 커버(220)의 배치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micro actuator)(도시되지 않음) 및 구동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23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에 내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electric motor)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은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절 유닛(2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220)는 후면 커버(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유닛(230)은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및 상기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유닛(230)은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230)은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 유닛(230)은 상기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를 포함함에 따라, 후면 커버(210)에 대한 전면 커버(220)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유닛(230)은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을 상기 입력 값에 상응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증가되도록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상응하도록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감소되도록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후면 커버(210)와 전면 커버(2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상응하도록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0)는 후면 커버(310), 후면 커버(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320),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310)에 대한 전면 커버(320)의 배치를 제어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330a) 및 구동 부재(330b)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33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부재(330b)는 전기 활성 폴리머(330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 구동 회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절 유닛(3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320)는 후면 커버(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유닛(330)은 전기 활성 폴리머(330a) 및 구동 부재(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유닛(330)은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330)은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3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구동 부재(330b)는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됨에 따라, 전기 활성 폴리머(330a)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 유닛(330)은 구동 부재(330b) 및 구동 부재(330b)의 구동에 의해 부피가 가변되는 전기 활성 폴리머(330a)를 포함함에 따라, 후면 커버(310)에 대한 전면 커버(320)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유닛(330)은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증가되도록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기초하여, 구동 부재(330b)를 구동시킨다. 구동 부재(330b)의 구동에 의해 전기 활성 폴리머(330a)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상응하도록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감소되도록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기초하여, 구동 부재(330b)를 구동시킨다. 구동 부재(330b)의 구동에 의해 전기 활성 폴리머(330a)의 부피가 감소됨에 따라, 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된 외곽 곡률에 상응하도록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유닛이 구동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400)는 후면 커버(410), 후면 커버(4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420), 후면 커버(410)와 전면 커버(420)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후면 커버(410)에 대한 전면 커버(420)의 배치를 제어하는 가동 구조(430a) 및 구동 부재(430b)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43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부재(430b)는 가동 구조(430a)를 구동시키는 마이크로 모터(micro motor)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절 유닛(4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420)는 후면 커버(4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유닛(430)은 가동 구조(430a) 및 구동 부재(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유닛(430)은 후면 커버(410)와 전면 커버(4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절 유닛(430)은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4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동 구조(430a)의 구동 방식은 자동차 쟈키의 구동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조절 유닛(430)은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 부재(430b)를 구동시켜, 가동 구조(430a)의 하나의 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가동 구조(430a)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 유닛(430)은 구동 부재(430b) 및 구동 부재(430b)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동 구조(430a)를 포함함에 따라, 후면 커버(410)에 대한 전면 커버(420)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유닛(430)은 후면 커버(410)와 전면 커버(4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값을 통해 후면 커버와 전면 커버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증가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외곽 곡률에기초하여, 구동 부재(430b)를 구동시킨다. 구동 부재(430b)의 구동을 통해 가동 구조(420b)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후면 커버(410)와 전면 커버(4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에 상응하도록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값을 통해 후면 커버와 전면 커버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기존보다 감소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외곽 곡률에 기초하여, 구동 부재(430b)를 구동시킨다. 구동 부재(430b)의 구동을 통해 가동 구조(420b)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후면 커버(410)와 전면 커버(420)가 이루는 외곽 곡률이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조건에 상응하도록 최적화된 형상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형상 변형 방법에 있어서, 후면 커버(110), 후면 커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면 커버(120),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위치하여 후면 커버(110)에 대한 전면 커버(120)의 배치를 제어하는 조절 유닛(13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를 준비한 다음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S110)
이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즉,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가 이루는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을 입력한다. (단계 S120)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한다. (단계 S130)
이어서,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130)을 구동시킨다. (단계 S140)
마지막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조절 유닛(130)의 구동을 종료한다. (단계 S150)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조절 유닛(130)의 구동을 종료한다. (단계 S155)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형상)(즉,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형상 변형 방법에 있어서, 후면 커버(110), 후면 커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면 커버(120),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위치하여 후면 커버(110)에 대한 전면 커버(120)의 배치를 제어하는 조절 유닛(13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를 준비한 다음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S210)
이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을 입력한다. (단계 S220)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한다. (단계 S230)
이어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를 비교한다. (단계 S240)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일치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130)을 구동시킨다. (단계 S250)
마지막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조절 유닛(130)의 구동을 종료한다. (단계 S260)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곡률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조절 유닛(130)의 구동을 종료한다. (단계 S265)
따라서,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의 출력 신호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및 음향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표 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를 인가 받은 휴대 단말기에서 설정되는 출력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다.
입력 정보의 조건 값 외곽 곡률 외곽 곡률 변화 패턴
1 A 전화 수신 3 -
2 B 전화 수신 4 -
3 A 메시지 수신 - 1, 3, 1
4 B 메시지 수신 - 1, 4, 1
5 전화 송신 1 -
[표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는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에 따라(예를 들면, 수신인 및/또는 수신 대상에 따라) 외곽 곡률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음향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출력 신호는 수신인 및/또는 수신 대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출력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에 따라(예를 들면, 수신인 및/또는 수신 대상에 따라)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이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거나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음향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출력 신호는 수신인 및/또는 수신 대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출력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휴대 단말기
110, 210, 310, 410: 후면 커버
120, 220, 320, 420: 전면 커버
130, 230, 330, 430: 조절 유닛
230a, 330a, 430a: 조절 부재
330b, 430b: 구동 부재
140, 240, 340, 440: 표시 패널
150, 250, 350, 450: 지지 부재

Claims (20)

  1.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한 상기 전면 커버의 배치를 제어하는 조절 유닛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배면으로 벤딩(bending)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를 점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변화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인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일치하는 동작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조절 부재; 및
    상기 조절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micro actuator),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 Active Polymer: EAP) 및 가동 구조(structur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는 사각형 형상,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값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이 변환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동작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입력 정보의 조건 값을 변환한 동작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작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형상 패턴 및 동작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곡률 변화 패턴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거나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도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 곡률 및 외곽 곡률 패턴이 상기 입력 값과 일치할 경우,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KR1020130039092A 2013-04-10 2013-04-1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Withdrawn KR20140122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92A KR20140122433A (ko) 2013-04-10 2013-04-1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US14/136,910 US20140307369A1 (en) 2013-04-10 2013-12-20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a shape of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92A KR20140122433A (ko) 2013-04-10 2013-04-1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33A true KR20140122433A (ko) 2014-10-20

Family

ID=5168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092A Withdrawn KR20140122433A (ko) 2013-04-10 2013-04-1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07369A1 (ko)
KR (1) KR20140122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01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0140A1 (en) * 2013-11-26 2015-05-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pes for devices based on privacy policy
JP2017182106A (ja) * 2016-03-28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76198A (ja) * 2016-03-28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44531B2 (en) * 2016-09-23 2020-08-18 Apple Inc. Multi-core, multi-dimension electromagnet
US9949390B1 (en) * 2016-12-22 2018-04-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vable magnet based actuator for deforming a display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5868B1 (en) * 1998-03-18 2004-03-16 Purdue Research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shape memory spring actuator and display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JP2002250911A (ja) * 2001-02-26 2002-09-06 Nec Corp 液晶モジュールと、液晶モジュールを用いたスイッチ構造
US20020149571A1 (en) * 2001-04-13 2002-10-17 Roberts Jerry B.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based touch input
US6654232B1 (en) * 2002-06-04 2003-11-25 Inventec Appliances Corp. Portable computer which uses spring to buffer shock force of a monitor
US6930881B2 (en) * 2003-06-30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having a split screen and a multi-purpose hinge
JP4080990B2 (ja) * 2003-11-28 2008-04-23 株式会社東芝 携帯型電子装置
US7252313B2 (en) * 2004-03-12 2007-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 demand morphable automotive body moldings and surfaces
US7245484B2 (en) * 2004-09-15 2007-07-17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ing a display from a chassis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4528590B2 (ja) * 2004-09-28 2010-08-1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7669918B2 (en) * 2004-12-09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unable vehicle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reto
JP4987699B2 (ja) * 2005-11-08 2012-07-2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意匠パネル
KR101001405B1 (ko) * 2006-06-30 2010-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586739B2 (en) * 2006-07-31 2009-09-08 Lenovo (Singapore) Pte. Ltd. Arrangements for averting flat panel display damage
GB2442056B (en) * 2006-09-19 2011-04-27 Smiths Group Plc Displays
WO2008115408A1 (en) * 2007-03-15 2008-09-25 F-Origin, Inc. Integrated feature for friction-less movement of force sensitive touch screen
US9110506B2 (en) * 2007-04-05 2015-08-18 Synaptics Incorporated Tactile feedback for capacitive sensors
US7950611B2 (en) * 2007-04-12 2011-05-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support system
US7741979B2 (en) * 2007-07-06 2010-06-22 Pacinian Corporation Haptic keyboard systems and methods
US20090085879A1 (en) * 2007-09-28 2009-04-02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rigid input surface with piezoelectric haptics and corresponding method
US8232976B2 (en) * 2010-03-25 2012-07-3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Physically reconfigurable input and output systems and methods
JP5101736B2 (ja) * 2008-07-25 2012-12-19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リーク電流放散装置
US20100079410A1 (en) * 2008-09-30 2010-04-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hree-dimensional touch interface
US9600070B2 (en) * 2008-12-22 2017-03-21 Apple Inc. User interface having changeable topography
US8803798B2 (en) * 2009-05-07 2014-08-1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pe deformation and force display of devices
KR101718680B1 (ko) * 2009-05-07 2017-03-21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피드백 모양 변경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417695B2 (en) * 2010-04-08 2016-08-16 Blackberry Limited Tactile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US8836643B2 (en) * 2010-06-10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uto-morphing adaptive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s
US8213177B2 (en) * 2010-06-21 2012-07-03 Apple Inc. Device foot
CN102542932A (zh) * 2011-01-04 2012-07-04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显示器
US8890823B2 (en) * 2012-01-09 2014-11-18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ccurrences of unintended oper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9116546B2 (en) * 2012-08-29 2015-08-2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for haptically representing sensor input
CN104903820B (zh) * 2013-01-04 2017-07-1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包括电磁体的键盘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01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7369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433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EP29222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746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eedback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to an electronic device
US10482730B2 (en) Electronic device
CN108376019A (zh) 电子装置
EP21125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eedback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to an electronic device
EP2551741A2 (en)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termina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6007030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267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nergy from activation of an input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8900659A (zh) 电子装置
US201503325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ibrations
EP2355631A1 (en) Flexi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shape change characteristic and method thereof
US115796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effects on fingertips with piezoelectric actuators of a haptic keyboard
WO2010144366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587344A1 (en) Haptic feedback module
CN1913758A (zh) 带有显示器座架开关的便携式多媒体装置及其操作方法
EP241856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JP2006215738A (ja) 振動伝達構造、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08983211B (zh) 接近传感器及其控制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45329A (zh) 触控反馈模组及触控装置
CN108551499B (zh) 一种显示终端
US20210318726A1 (en) Mobile terminal
KR20190026024A (ko) 이동 단말기
CN108829183A (zh) 电子装置
KR101979665B1 (ko) 구동 상태별 구동 조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