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806A - Small cell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detection 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Small cell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detection 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0806A KR20140120806A KR20130130502A KR20130130502A KR20140120806A KR 20140120806 A KR20140120806 A KR 20140120806A KR 20130130502 A KR20130130502 A KR 20130130502A KR 20130130502 A KR20130130502 A KR 20130130502A KR 20140120806 A KR20140120806 A KR 20140120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lf
- senb
- cell
- terminal
- men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744882 Homo sapiens Zinc finger protein 185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40032 Zinc finger protein 18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VVPGTZRZFNKDS-JXMROGBWSA-N geranyl di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P@](O)(=O)OP(O)(O)=O GVVPGTZRZFNKDS-JXMROGBW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402 cel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과 단말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두 셀에 접속해있을 때, Radio Link Failure detection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과 단말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두 셀에 접속해있을 때, Radio Link Failure detection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및 상기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구분되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중 연결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의 셀 각각에 대해 무선링크실패 발생을 감지하여 선언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case 1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case 2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case 2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모바일 트래픽 폭증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저전력 노드를 사용하는 스몰셀이 고려되고 있다. 저전력 노드는 일반적인 매크로 노드에 비해 낮은 송신(Tx) 전력을 사용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3GPP Release 11 이전의 캐리어 병합(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에서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인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를 사용하여 스몰셀을 구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CA 기술 적용을 위해 매크로 셀과 RRH 셀은 하나의 eNB의 제어 하에 스케줄링 되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는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 구축이 필요했다. 이상적인 백홀이란 광선로(optical fiber), LOS(Line Of Sight) microware를 사용하는 전용 점대점 연결과 같이 매우 높은 throughput과 매우 적은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xDSL(Digital Subscriber Line), Non LOS microwave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throughput과 큰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이라 한다.
상기한 CA 기술을 통해 복수의 서빙 셀들은 UE(User Equipment)를 서비스하기 위해 병합될 수 있었다. 즉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의 UE에 대해 복수의 서빙 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매크로 셀 노드와 RRH간에 이상적인 백홀이 구축되는 경우 매크로 셀과 RRH셀이 함께 서빙 셀들로 구성되어 UE를 서비스 할 수 있었다.
CA기술이 구성될 때, UE는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connection만을 가질 수 있다.
RRC connection 설정(establishment)/재설정(re-establishment)/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 셀이 NAS mobility 정보(e.g. TAI: Tracking Area Identity)를 제공하며, RRC connection 재설정/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셀이 시큐리티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 한다. PCell은 단지 핸드오버 프로시져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UE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SCells(Secondary Cells)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로 구성될 수 있다. SCell들의 추가(addition)와 제거(removal)는 RRC에 의해 수행된다. 새로운 SCell을 추가할 때, 전용 RRC 시그널링이 SCell의 모든 요구되는 시스템 정보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즉 연결모드(connected mode)에서, UE는 SCell들로부터 직접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
Radio
Link
Failure
단말은 다음과 같은 경우 RLF(Radio Link Failure)를 detection한다.
- Physical layer에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는 경우
- MAC layer에서 Random access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RLC layer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단말은 RLF를 detection하면, AS security가 activation되어 있는 경우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AS security가 activation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바로 IDLE 상태로 떨어진다.
CA처럼 복수개의 셀에 접속해 있는 단말의 경우 PCell에 대해서는 RLF를 detection하지만, SCell에 대해서는 RLF를 detection하지 않는다. 단말이 PCell에 대해서 RLF가 detection되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수행하는데, 이 때 SCell을 release하게 된다. 그 후 단말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시저를 통해 SCell addition을 통해 설정을 하고 나서야 새롭게 SCell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말은 RLF를 detection하게되면, 다음과 같은 RLF 관련 정보를 VarRLF-Report에 저장한다.
RLF 관련 정보
상기 RLF 관련 정보를 저장한 단말은 추후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수행할 때,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 RRCConnectionSetupComplete 메시지의 rlf-InfoAvailable을 true로 설정해서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RLF report를 얻기 위해 UE Information Request에 rlf-ReportReq를 true로 세팅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UE Information Response에 rlf-Report를 포함하여 기지국에 전송한다.
기존에는 PCell과 SCell이 같은 eNB에 속해있고, 데이터를 셀 별로 구분해서 보내지 않았기 때문에 SCell에 통신 장애가 발생해도 PCell을 통해 계속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PCell과 SCell이 서로 다른 eNB이고 셀 별로 독립적으로 RB(radio bearer)가 설정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 PCell이 있는 MeNB와 다른 기지국에 있는 cell들 즉, SeNB의 Cell에서 통신 장애가 생기면 SeNB의 Cell에 설정된 RB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송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만약 MeNB의 PCell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 기존에는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모든 SCell에 대해서 release하고,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시작했다. 만약 PCell과 SCell이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기지국에 있는 cell 이라면, MeNB의 PCell에는 RLF가 발생했더라도 SeNB의 Cell에는 문제없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부 release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여러 셀에 접속해 있는 단말이 RB가 따로 설정된 SCell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 PCell에게 해당 SCell의 RLF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SCell의 RLF를 보다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SeNB의 Cell에 대해 기존 PCell(즉, MeNB의 PCell)과 독립적으로 RLF를 detection한다. 만약 단말의 SeNB의 Cell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eNB 의 RLF를 알려주는 Indication을 MeNB로 전송한다.
만약 단말의 MeNB PCell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eNB의 Cell(s)을 release하지 않고, 단말이 MeNB PCell과 다시 연결이 되면 MeNB PCell에 상기 SeNB Cell(s)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줌으로써, 단말이 이전의 SeNB Cell(s)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MeNB PCell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eNB에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SeNB를 MeNB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MeNB와 SeNB가 독립적으로 RLF를 detection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Case
1:
MeNB
는 정상적으로 통신중이고,
SeNB
에서
RLF
가
detection
되는 경우
도 1은 본 발명 case 1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단말은 MeNB의 PCell과 SeNB의 Cell(s) 각각에 대해서 Physical layer monitoring을 한다. 상기 SeNB Cell은 SeNB에서 대표되는 하나의 셀에 대해서만 모니터링 할 수도 있고, 전체 셀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2. 만약 SeNB의 특정 셀 또는 전체의 셀에서 physical layer에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면, 단말은 SeNB에 대해서 RLF를 선언한다.
단말의 RRC layer는 physical layer로부터 일정 개수 이상의 out-of-sync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MAC layer에서 Random Access problem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RLC layer에서 최대 재전송횟수에 도달하면 RLF를 선언한다.
3. 단말은 MeNB 로 SeNB의 RLF를 알려주는 Indication을 전송한다. 상기 indication은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SeNB가 직접 MeNB에게 X2 interface를 통해 해당 단말의 SeNB에 대해 RLF가 발생했음을 보고할 수 있다.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로 전달되는 경우, ReestablishmentCause의 SeNBFailure를 추가하여 SeNB cell(s)의 RLF를 알려주는 Indication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SeNB의 어떤 Cell에서 RLF가 발생되었는지를 알려줄 수 있도록 cell Index이 포함될 수 있다.
4. 상기 indication을 수신한 MeNB는 해당 SeNB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SeNB 설정 변경은 기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시저에서 SCellToAddMod,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의 변경을 통해 SeNB의 Cell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SeNB의 Cell을 재설정 또는 SeNB change를 할 수 있다.
또는 RLF가 발생한 SeNB로 전송되던 데이터를 MeNB로 전송되도록 해당 SeNB의 Cell을 release시키고,MeNB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해당 SeNB의 cell들에 설정되어 있던 RB(Radio Bearer)등을 MeNB의 cell들로 변경설정시킨다.)
5.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SeNB Cell 설정을 적용시키고,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SCell activ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은 새로운 SCell 설정에 따라 SeNB Cell로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이 때 MeNB와 SeNB는 필요한 정보(e.g. 단말 SeNB cell 설정 정보 등)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새로운 SeNB에 따라 접속되는 SCell은 기존에 접속했던 SeNB일 수도 있고, 새로운 SeNB일 수 있다.
Case
2:
SeNB
은 정상적으로 통신중이고,
MeNB
에서
RLF
가
detection
되는 경우
도 2는 본 발명 case 2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단말은 MeNB의 PCell과 SeNB의 Cell(s) 각각에 대해서 Physical layer monitoring을 한다.
2. 만약 MeNB PCell의 physical layer에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면, 단말은 PCell에 대해서 RLF를 선언한다.
단말의 RRC layer는 physical layer로부터 일정 개수 이상의 out-of-sync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MAC layer에서 Random Access problem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RLC layer에서 최대 재전송횟수에 도달하면 RLF를 선언한다.
3. 단말은 접속중인 SeNB의 Cell이 있다면, SeNB의 Cell을 release하지않고, SeNB의 Cell을 suspend시킨다. 또는 suspend하지않고 단말이 IDLE상태로 떨어지기 전까지는 통신을 계속 할 수도 있다.
상기 SeNB Cell의 suspend 과정에서 단말은 SeNB로 explicit하게 SeNB suspend Indication을 보낼 수 있다. 또는 해당 SeNB Cell로의 전송을 중지함으로써, implicit하게 SeNB Cell suspend를 알려줄 수 있다.
4. 단말은 RLF가 발생했으므로 MeNB PCell에 대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이때 접속하려는 셀은 기존에 접속했던 MeNB의 PCell일 수도 있고, 다른 셀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시저 중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에 SeNB Cell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Indication(SCellInfoAvailable-r12)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ndication은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시저 등의 과정을 통해서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Indication은 RLF 발생 후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이 SCell 정보를 되찾아갈 때까지, RRC Connection을 맺거나 변경할 때마다 SCell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Indication을 포함해서 전송할 수 있다.
5. 상기 SCell Info Indication을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SCell 관련 설정 정보를 요청한다.
6.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 suspend시킨 SeNB Cell 관련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SeNB Cell 관련 설정 정보는 SeNB의 셀 별 RB 설정과 SCellToAddModList,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 SCellToReleaseLis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7. 해당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SeNB Cell 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SeNB의 Cell 설정정보를 구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말에게 보내지는 SeNB Cell 설정 정보는 단말로부터 수신했던 정보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토대로 PCell 기지국(MeNB)은 SCell 기지국(SeNB)과 해당 단말의 dual connectivity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8. SeNb Cell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정보에 따라 SeNB Cell을 재 설정한다.
9.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SCell activ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SeNB에게도 해당 단말과의 통신을 resume 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10. SeNB는 상기 단말과 전송을 재개한다.
Case
2-1:
MeNB
PCell
에서
RLF
가
detection
되는 경우
SeNB
의
Cell
로
MeNB
PCell
을 변경하는 방법
도 3은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단말은 MeNB의 PCell과 SeNB의 Cell(s) 각각에 대해서 Physical layer monitoring을 한다.
2. 만약 MeNB PCell의 physical layer에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면, 단말은 MeNB PCell에 대해서 RLF를 선언한다.
단말의 RRC layer는 physical layer로부터 일정 개수 이상의 out-of-sync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MAC layer에서 Random Access problem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RLC layer에서 최대 재전송횟수에 도달하면 RLF를 선언한다.
3. 단말은 SeNB의 Cell(s)로 MeNB의 RLF에 대해 보고를 한다. 상기 메시지는 단말과 MeNB와의 설정 정보, RLF cau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MeNB가 SeNB에게 해당 단말의 MeNB RLF에 대한 정보와 해당 단말의 context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4. SeNB는 단말 또는 이전 MeN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에 대해 MeNB로의 변경을 위한 구성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5. 단말은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SeNB를 MeNB로 변경 구성한다.
6. 단말은 SeNB에 대해 MeNB로의 변경 구성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Case
2-2:
MeNB
PCell
에서
RLF
가
detection
되는 경우
SeNB
의
Cell
로
MeNB
PCell
을 변경하는
방법2
도 4는 본 발명 case 2-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단말은 MeNB의 PCell과 SeNB의 Cell(s) 각각에 대해서 Physical layer monitoring을 한다.
2. 만약 MeNB PCell의 physical layer에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면, 단말은 MeNB PCell에 대해서 RLF를 선언한다.
단말의 RRC layer는 physical layer로부터 일정 개수 이상의 out-of-sync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MAC layer에서 Random Access problem indication이 전달되면 RLF를 선언한다. 또는 RLC layer에서 최대 재전송횟수에 도달하면 RLF를 선언한다.
3. MeNB가 SeNB에게 해당 단말의 MeNB RLF에 대한 정보와 해당 단말의 context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4. 단말은 MeNB RLF 복구를 위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SeNB의 cell(s)로 수행한다. 이때 RRC Connection Re-establshment Request 의 ReestablishmentCause는 MeNBFailure로 설정할 수 있다.
SeNB는 해당 단말에 대한 context 정보, 설정 정보 등을 MeNB로 요청해서 수신할 수 있다.
5. SeNB는 단말 또는 이전 MeN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에 대해 MeNB로의 변경을 위한 구성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일 수 있다.
6. 단말은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SeNB를 MeNB로 변경 구성한다.
7. 단말은 SeNB에 대해 MeNB로의 변경 구성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Case
3:
MeNB
PCell
(또는
SeNB
Cell
)의
RLF
가
detection
되고(
recovery
진행중), 이어서 바로
SeNB
Cell(또는 MeNB
PCell
)의
RLF
도 d
etection
되는 경우
MeNB Pcell에 대한 RLF detection이 SeNB Cell에 대한 RLF detection 동작보다 우선해서 동작한다. 즉, MeNB PCell에서 RLF가 detection되어 RLF recovery procedure가 수행중일 때, SeNB Cell에서도 RLF가 detection되는 경우 SeNB Cell의 RLF recovery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는다. 반대로, SeNB Cell에서 RLF가 detection되어 RLF recovery procedure가 수행중일 때, MeNB PCell에서도 RLF가 detection되는 경우 수행중인 SeNB Cell의 RLF recovery procedure를 중단하고, MeNB PCell의 RLF recovery procedure를 수행한다.
본 발명을 통해 여러 셀에 접속해 있는 단말이 어느 한 Cell에서 RLF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셀의 RLF 정보를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달해줌으로써 보다 빠르게 RLF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한 셀에서 RLF가 발생할 때 접속해있는 모든 Cell의 정보를 지우지 않고, 문제가 없는 Cell은 잠시 suspend시켰다가 RLF가 발생한 셀의 복원이 끝나면 나머지 Cell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해줌으로써, RLF로부터 보다 빠르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 송신부(1020) 및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스몰셀에서 단말이 RLF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제어부(1120) 및 송신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스몰 셀에서 RLF를 처리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3GPP TR 36.842, 2.3GPP TS 36.33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 단말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및 상기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구분되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중 연결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의 셀 각각에 대해 무선링크실패 발생을 감지하여 선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241A KR101628874B1 (ko) | 2013-04-04 | 2013-12-23 |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CN201480020250.XA CN105103593B (zh) | 2013-04-04 | 2014-04-04 | 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及其装置 |
US14/781,356 US9832806B2 (en) | 2013-04-04 | 2014-04-04 | Method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and device therefor |
PCT/KR2014/002902 WO2014163419A1 (ko) | 2013-04-04 | 2014-04-04 |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6870 | 2013-04-04 | ||
KR20130036870 | 2013-04-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806A true KR20140120806A (ko) | 2014-10-14 |
Family
ID=519925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30502A Pending KR20140120806A (ko) | 2013-04-04 | 2013-10-30 | Small cell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detection 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0130161241A Active KR101628874B1 (ko) | 2013-04-04 | 2013-12-23 |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1241A Active KR101628874B1 (ko) | 2013-04-04 | 2013-12-23 |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832806B2 (ko) |
KR (2) | KR20140120806A (ko) |
CN (1) | CN10510359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4847A (zh) * | 2017-12-04 | 2020-09-18 | 株式会社Ntt都科摩 |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81041A1 (en) * | 2013-05-10 | 2014-11-13 | Nokia Corporation | Mobility handling for dual connectivity |
WO2015023067A1 (ko) * | 2013-08-12 | 2015-02-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다중 기지국 연결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JP2015142363A (ja) * | 2014-01-30 | 2015-08-03 | 株式会社Nttドコモ | 移動局、再接続要求方法、基地局及び再接続要求処理方法 |
EP3101972A4 (en) * | 2014-01-31 | 2018-01-31 | Kyocera Corporatio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US9998345B2 (en) * | 2014-03-18 | 2018-06-12 | Sharp Kabushiki Kaisha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cessing method |
KR102224480B1 (ko) * | 2014-05-16 | 2021-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US9825828B2 (en) | 2014-08-26 | 2017-11-21 | T-Mobile Usa, Inc. | Cross-layer link failure alerts |
TWI556663B (zh) * | 2014-12-25 | 2016-11-01 |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 處理與多個基地台間通訊的失敗的方法及其裝置 |
US9504052B2 (en) | 2015-01-21 | 2016-11-22 | Htc Corporation |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 with multiple base stations |
WO2017091947A1 (en) * | 2015-11-30 | 2017-06-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luster |
CN107277868B (zh) | 2016-04-08 | 2022-04-05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电路域回退方法和设备 |
WO2017176071A1 (en) * | 2016-04-08 | 2017-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ircuit switched fallback method and device |
WO2017196095A2 (ko) * | 2016-05-12 | 2017-11-16 | 주식회사 케이티 | 단말의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
KR102183826B1 (ko) | 2016-05-12 | 2020-11-30 | 주식회사 케이티 | 단말의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
WO2018056623A1 (en) * | 2016-09-22 | 2018-03-29 | Lg Electronics Inc. |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
US10462837B2 (en) * | 2016-11-04 | 2019-10-2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links due to radio link failure |
WO2018173646A1 (ja) * | 2017-03-21 | 2018-09-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 |
WO2018182231A1 (en) * | 2017-04-01 | 2018-10-0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erforming mcg recovery in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
KR20180122935A (ko) * | 2017-05-04 | 2018-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UE autonomous handover에서의 measurement report/event 운용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
WO2018203716A1 (ko) | 2017-05-04 | 2018-11-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자율 핸드오버에서의 측정 리포트 이벤트 운용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
US10462695B2 (en) * | 2017-05-31 | 2019-10-29 | Htc Corporation |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
CN117915373A (zh) * | 2017-09-20 | 2024-04-19 | 诺基亚技术有限公司 | 关于多无线电接入技术-双连接中的辅小区组重新激活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
CN110012554B (zh) | 2018-01-04 | 2021-03-26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无线链路恢复方法及终端 |
CN110351790A (zh) * | 2018-04-04 | 2019-10-18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基于双连接的通信切换方法及装置 |
KR102628038B1 (ko) * | 2018-06-22 | 2024-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보고 방법 및 장치 |
US11083034B2 (en) | 2018-07-16 | 2021-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system |
CN114375070B (zh) * | 2018-08-17 | 2024-11-2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连接处理方法及设备 |
CN111050419B (zh) * | 2018-10-11 | 2022-03-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无线链路恢复方法、终端、辅基站及存储介质 |
CN111050348B (zh) * | 2018-10-11 | 2022-10-2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终端及辅基站 |
WO2020114371A1 (en) * | 2018-12-03 | 2020-06-11 | Qualcomm Incorporated | Fast recovery from link failure in dual-connectivity systems |
WO2020113367A1 (en) * | 2018-12-03 | 2020-06-11 | Qualcomm Incorporated | Fast recovery from link failure in dual-connectivity systems |
CN111726208B (zh) | 2019-03-20 | 2021-11-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链路失败恢复的方法和装置 |
CN112399503B (zh) * | 2019-08-16 | 2022-05-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链路失败报告传输的方法和装置 |
CN115606316A (zh) * | 2020-04-17 | 2023-01-13 | 联想(北京)有限公司(Cn) | 通信系统中增强重建初始化的方法及设备 |
US11706671B2 (en) | 2020-06-04 | 2023-07-1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handover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22939B1 (en) * | 2007-03-21 | 2016-06-01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over failure recovery |
KR20100048497A (ko) | 2008-10-31 | 2010-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
KR101457754B1 (ko) * | 2009-03-12 | 2014-11-03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무선 링크 실패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US8615241B2 (en) | 2010-04-09 | 2013-12-2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obust forward handover in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s |
CN102685785B (zh) * | 2011-03-18 | 2016-08-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无线资源控制rrc连接重建立的方法和设备 |
KR101796271B1 (ko) | 2011-04-27 | 2017-11-10 | 주식회사 팬택 |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
US9042315B2 (en) | 2011-05-03 | 2015-05-26 | Mediatek Inc. | SCELL radio link monitoring an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
US9949189B2 (en) | 2011-07-11 | 2018-04-17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ultiple cellular connections and/or interfaces |
EP2764641B1 (en) * | 2011-10-03 | 2019-12-18 | Intel Corporation |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mechanisms |
MY177868A (en) * | 2013-01-18 | 2020-09-23 | Ericsson Telefon Ab L M | Adapting a mobile network |
-
2013
- 2013-10-30 KR KR20130130502A patent/KR20140120806A/ko active Pending
- 2013-12-23 KR KR1020130161241A patent/KR101628874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4-04 CN CN201480020250.XA patent/CN105103593B/zh active Active
- 2014-04-04 US US14/781,356 patent/US9832806B2/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4847A (zh) * | 2017-12-04 | 2020-09-18 | 株式会社Ntt都科摩 |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
CN111684847B (zh) * | 2017-12-04 | 2024-04-30 | 株式会社Ntt都科摩 |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103593A (zh) | 2015-11-25 |
US9832806B2 (en) | 2017-11-28 |
US20160057802A1 (en) | 2016-02-25 |
KR20140120807A (ko) | 2014-10-14 |
KR101628874B1 (ko) | 2016-06-09 |
CN105103593B (zh) | 2019-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20806A (ko) | Small cell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detection 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968586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내 상호 공존 간섭 보고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10721118B2 (en) | Method for configuring dual-connectivity by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 |
US1117792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bandwidth part | |
US9497666B2 (en) | Method for handover in environment connected to multiple base stations and apparatus therefor | |
US11832125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 |
US10362590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pparatus for same | |
US20180279401A1 (en) | Method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and apparatus therefor | |
JP7621430B2 (ja) | ユーザ装置、マスタ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 |
US2019039478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per slice | |
KR20140145524A (ko) |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20120010645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 |
KR102077780B1 (ko) |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US12335775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 |
EP391703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40137277A (ko) |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 |
EP300298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elease of simultaneous communication with multiple base station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
KR20160088485A (ko) | 무선링크실패 복구 방법 및 장치 | |
EP417093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930114B1 (ko) | 업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80122510A (ko) | Nr urllc 서비스를 위한 중복전송 실패 처리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