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15192A -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192A
KR20140115192A KR1020130029971A KR20130029971A KR20140115192A KR 20140115192 A KR20140115192 A KR 20140115192A KR 1020130029971 A KR1020130029971 A KR 1020130029971A KR 20130029971 A KR20130029971 A KR 20130029971A KR 20140115192 A KR20140115192 A KR 2014011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g
housing
base
centrifugal f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389B1 (ko
Inventor
전현주
강대규
라선욱
서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2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8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5139892A priority patent/RU2636909C2/ru
Priority to AU2014238673A priority patent/AU2014238673B2/en
Priority to PCT/KR2014/002267 priority patent/WO2014148793A1/en
Priority to BR112015018690-4A priority patent/BR112015018690B1/pt
Priority to EP14160848.9A priority patent/EP2781761B1/en
Priority to CN201410105762.8A priority patent/CN104061176B/zh
Priority to US14/220,809 priority patent/US9624932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2Double su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1Shape curved
    • F05D2250/711Shape curved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1Shape curved
    • F05D2250/712Shape curved conc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송풍유닛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 원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원심팬은,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베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 각각의 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 각각의 날개의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이며,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은 제1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심팬 및 공기조화기의 구조 변경에 따라 다양한 정압범위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Circular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압 범위에서의 유동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심팬 또는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한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공기를 토출하여 환기시키거나 냉방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에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다양한 필터가 배치된다. 필터들은 공기조화기의 공기 유동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고풍량이 요구되는 공기조화기에는 다른 종류의 팬들에 비해 정압이 높게 발생되는 원심팬이 적용된다.
원심팬은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유체가 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원심방향으로 강제 송풍되도록 하는 팬이다. 원심팬의 경우, 날개가 양방향에서 일체로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고풍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날개의 길이가 짧아지고 날개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압 상태에서 고풍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압력으로 인해 날개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날개의 수가 많아야 한다. 이에 따라, 고풍량과 고정압을 동시에 확보한 원심팬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정압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켜 높은 유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심팬 또는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한 원심팬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 상기 각각의 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 상기 각각의 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은 제1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날개는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상기 제1날개보다 긴 제2날개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는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상기 제1날개보다 긴 제2날개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의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는 다른 날개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토출되는 하우징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곡면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양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심팬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 각도 또는 토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의 흡입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는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공기의 토출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는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토출되는 하우징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바닥면에서 상기 원심팬과의 거리는 상이하도록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양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원판형으로 마련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 각도 또는 토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의 흡입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는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공기의 토출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는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팬의 날개 또는 하우징의 구조 개선으로 인해 다양한 정압 범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으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의 구조를 개선하기 전과 후의 다양한 정압범위에서의 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측에 설치된 열교환기(12)와, 열교환기(12)의 전방에 위치하는 송풍유닛(40)을 포함한다. 송풍유닛(40)은 공기를 강제 흡입하며, 열교환기(12)는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킨다.
캐비닛(10)은 공기조화기(1)의 하면을 둘러싸는 하면 캐비닛(10a)과, 양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캐비닛(10c)과, 전면을 둘러싸는 전면 캐비닛(10b)과, 상면을 둘러싸는 상면 캐비닛(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일측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미도시)가 마련되며, 다른 일측에는 공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11)가 마련된다. 토출구(11)의 전방에는 토출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40)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3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제1하우징(20a)과, 제2하우징(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a)은 상측에 위치하며, 제2하우징(20b)은 하측에 위치하여 원심팬(30)을 감쌀 수 있다. 송풍유닛(40)은 원심팬(30)을 구동하는 모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심팬(30)은 두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원심팬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원심팬(30) 사이에는 모터(41)가 위치하며, 모터축(42)을 통해 모터(41)와 원심팬(30)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하우징 흡입구(24)와, 공기가 토출되는 하우징 토출구(25)를 포함한다. 하우징 흡입구(24)는 하우징(20)의 양측에 마련되도록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20)은 하우징 토출구(25) 쪽으로 갈수록 내부의 유로가 점착 확산되는 스크롤형 확산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내부의 유로 면적이 점차 확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유닛(40)은 원심팬(30)과, 원심팬(30)을 둘러싸는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은 제1하우징(20a)과 제2하우징(20b)을 포함하며, 결합된 제1하우징(20a)과 제2하우징(20b)의 내측에 원심팬(30)이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24)를 구성하는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는 하우징(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위한 하우징 토출구(25)는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원심팬(30)의 동작에 의해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 토출구(25)로 배출되어 공기조화기(1)의 전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징(20)은 하우징 토출구(25)와 경계를 이루어 공기 유동이 분기되도록 하는 컷오프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컷오프부(21)는 원심팬(30)의 외주부와 가장 근접할 수 있다.
컷오프부(21)는 적어도 일부분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컷오프부(2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2)는 하우징 토출구(25)의 양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2)는 원심팬(30)의 원주 방향의 접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심팬(3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컷오프부(21)의 중앙부(23)는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원심팬(30)의 날개(31, 32)와 관련된 부분은 도 6에서 후술한다.
원심팬(30)의 경우,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될 때, 90ㅀ꺾어져서 토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토출구(25)의 양 가장자리 측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하우징 토출구(25)의 양 가장자리의 공기의 유동은 약해진다. 반면, 하우징 토출구(25)의 중앙부의 공기의 유동은 강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토출구(25)의 컷오프부(21)의 형상 변경으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의 손실을 방지하고 컷오프부(21)의 중심에 강하게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기 위하여 원심팬(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우징 토출구(25)의 중앙부가 원심팬(3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늘렸다. 이에 따라 하우징 토출구(25)의 주변에 형성되는 와류가 줄어들 수 있다. 중앙에 형성되는 공기의 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으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30)은 날개가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진 다익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원심팬(30)은 양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방향 원심팬이다. 원심팬(30)은 모터축(42)이 결합되는 베이스(35)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복수개의 날개(31, 32)를 포함한다.
베이스(35)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35)의 중심부에는 모터(41)의 모터축(42)이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날개(31, 32)는 베이스(35)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베이스(35)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베이스(3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날개는 모터축(42)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 31a, 32a)와, 베이스(35)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 31b, 32b)를 포함한다. 리딩에지(32a)의 길이가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31a)의 길이보다 짧은 날개를 제1날개(32)로 정의한다. 제1날개(32)가 아닌 날개를 제2날개(31)로 정의한다. 제2날개(31)의 경우, 제1날개(32)보다 리딩에지(31a)의 길이가 길게 마련된다.
제1날개(32)는 제2날개(31)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날개(31)의 사이에 제1날개(32)가 배치될 수 있다. 날개(31, 32)의 길이가 차등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날개(31, 32)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각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날개(31, 32)로 공기가 흡입될 때, 날개(31, 32)와 공기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흡입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리딩에지(31a, 32a)의 길이가 차등 배열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A)이 생기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 저항이 줄어들어 원하는 풍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압 범위에서 원하는 풍량의 확보가 가능하다. 코안다 효과는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을 따라서 흐르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원심팬(30)을 따라 흡입,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각각의 날개면을 따라 유동한다. 따라서 리딩에지(31a, 32a)의 차등 배열에 따라 공기의 흡입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토출되는 트레일링에지(31b, 32b)의 형상은 유지시켜 원하는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의 구조를 개선하기 전과 후의 다양한 정압범위에서의 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에서 실선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원심팬(30)의 정압에 따른 풍량을 실험한 데이터이며, 점선은 날개의 길이가 동일한 원심팬(30)의 정압에 따른 풍량을 실험한 데이터이다.
L1은 원심팬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이 1400인 경우이며, L2는 RPM이 1200인 경우이며, L3는 1000인 경우를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압이 높은 영역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과 날개의 길이가 동일한 원심팬의 풍량이 유사하나, 정압이 낮은 영역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의 풍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의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토출구(55)에 마련되는 컷오프부(51)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52)는 하우징 토출구(55)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원심팬(30)의 원주 방향의 접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심팬(3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컷오프부(51)의 양 가장자리부(53)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하우징 토출구(55)의 주변의 와류의 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하우징 토출구(55)로 토출되는 공기의 저항을 줄여 공기의 흐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팬(60)의 제1날개(62, 63)는 제2날개(61) 사이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두개의 제1날개(62, 63)가 제2날개(61) 사이에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제1날개(62, 6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팬(70)의 날개(71, 72)의 트레일링에지(71b, 72b)의 절곡 각도를 변화시켜 다양한 정압범위에서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트레일링에지(71b, 72b)의 절곡 각도가 큰 날개를 제1날개(72)로 정의하고, 제1날개(72)를 제외한 다른 날개를 제2날개(71)로 정의한다.
제1날개(72)의 트레일링에지(72b)가 베이스(75)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를 α로 정의하고, 제2날개(71)의 트레일링에지(71b)가 베이스(75)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를 β로 정의하면, α〉β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베이스(75)와 이루는 각도는 제2날개(71)의 경우가 제1날개(72)보다 크고, 리딩에지(31a, 32a)로부터 절곡된 각도는 제1날개(72)가 제2날개(71)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날개(71)의 사이에 제1날개(72)가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날개(71)의 사이에 복수개의 제1날개(72)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날개(71, 72)의 트레일링에지(71b,72b)의 절곡 각도를 차등하여 배열함에 따라, 날개 사이의 공기는 토출 각도가 상이하도록 토출될 수 있다. 공기의 토출각이 클수록 고정압에 강하며, 작을수록 저정압에 강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각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압 범위에서도 풍량이 강한 원심팬(3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심팬(80)의 제1날개(81)의 리딩에지(81a)와 트레일링에지(81b)를 모두 변화시킨 경우이다.
제1날개(81)의 리딩에지(81a)가 제2날개(82)보다 짧게 마련되어, 공기의 흡입 각도를 변화시킨다. 또한, 제1날개(81)의 트레일링에지(81b)의 절곡 각도를 제2날개(82)의 트레일링에지(82b)의 절곡 각도보다 크게 하여, 공기의 토출 각도를 변화시킨다. 공기의 흡입 각도와 토출 각도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정압 범위에서의 풍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 캐비닛
20: 하우징 21, 51: 컷오프부
22, 52: 돌출부 30, 60, 70, 80: 원심팬
31, 61, 71, 82: 제2날개 2, 62, 63, 72, 81: 제1날개
35, 65, 75: 베이스 40: 송풍유닛

Claims (18)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
    상기 각각의 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
    상기 각각의 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은 제1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는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상기 제1날개보다 긴 제2날개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는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가 상기 제1날개보다 긴 제2날개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의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는 다른 날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토출되는 하우징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곡면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양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심팬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 각도 또는 토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흡입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는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토출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는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토출되는 하우징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바닥면에서 상기 원심팬과의 거리는 상이하도록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양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토출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원판형으로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 각도 또는 토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흡입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모터축 방향에 마련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는 다른 날개의 리딩에지(Leading Edge)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토출 각도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에 의하여 상이하며,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베이스의 외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는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Trailing Edge)의 절곡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KR1020130029971A 2013-03-20 2013-03-20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tive KR10214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71A KR102143389B1 (ko) 2013-03-20 2013-03-20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U2014238673A AU2014238673B2 (en) 2013-03-20 2014-03-18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PCT/KR2014/002267 WO2014148793A1 (en) 2013-03-20 2014-03-18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BR112015018690-4A BR112015018690B1 (pt) 2013-03-20 2014-03-18 Condicionador de ar.
RU2015139892A RU2636909C2 (ru) 2013-03-20 2014-03-18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и кондиционер с таким вентилятором
EP14160848.9A EP2781761B1 (en) 2013-03-20 2014-03-20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01410105762.8A CN104061176B (zh) 2013-03-20 2014-03-20 离心风机以及具有其的空调机
US14/220,809 US9624932B2 (en) 2013-03-20 2014-03-20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71A KR102143389B1 (ko) 2013-03-20 2013-03-20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92A true KR20140115192A (ko) 2014-09-30
KR102143389B1 KR102143389B1 (ko) 2020-08-28

Family

ID=5028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971A Active KR102143389B1 (ko) 2013-03-20 2013-03-20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24932B2 (ko)
EP (1) EP2781761B1 (ko)
KR (1) KR102143389B1 (ko)
CN (1) CN104061176B (ko)
AU (1) AU2014238673B2 (ko)
BR (1) BR112015018690B1 (ko)
RU (1) RU2636909C2 (ko)
WO (1) WO2014148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1792B2 (ja) * 2014-12-17 2019-05-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上下分割型ファンハウジング
KR102341728B1 (ko) *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917925U (zh) * 2017-06-30 2018-01-2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贯流风轮和暖风机
KR102452711B1 (ko) * 2017-12-18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스크롤 방식 양방향 블로워
JP2019203629A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10939607A (zh) * 2018-09-25 2020-03-31 开利公司 风机壳体、风机以及设置有风机的运行系统
JP6673449B1 (ja) * 2018-11-29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
US12305886B2 (en) * 2020-12-14 2025-05-20 Rheem Manufacturing Company Heating systems with unhoused centrifugal fan and wraparound heat exchanger
CN215490035U (zh) * 2021-07-07 2022-01-1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机组件和空调器
WO2023157289A1 (ja) * 2022-02-21 2023-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クロスフローファン
DE102023110184A1 (de) * 2023-04-21 2024-10-24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Radialventilator mit zulaufender Zungengeometri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3211A1 (fr) * 1997-05-21 1998-11-26 Toto Ltd. Soufflante centrifuge multi-pales
KR20040016705A (ko) *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용 스크롤 하우징의 소음저감구조
US20040219013A1 (en) * 2003-03-24 2004-11-04 Reinhold Hopfensperger Radial fan
JP2006077631A (ja) * 2004-09-08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心型送風機の羽根車
KR20090059234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09203897A (ja) * 2008-02-28 2009-09-10 Daikin Ind Ltd 多翼送風機
US20100040456A1 (en) * 2008-08-13 2010-02-18 Furui Precise Component (Kunshan) Co., Ltd. Centrifugal fan
JP2011226410A (ja) * 2010-04-21 2011-11-10 Daikin Industries Ltd 多翼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019A (ja) * 1988-08-11 1990-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
JPH05321891A (ja) * 1992-05-21 1993-12-07 Matsushita Seiko Co Ltd 多翼ファン
JPH10220398A (ja) * 1997-02-06 1998-08-18 Hitachi Ltd 遠心形送風機のケーシング
FR2824201B1 (fr) * 2001-04-27 2003-08-01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ventilation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US20030039541A1 (en) * 2001-08-20 2003-02-27 Xerox Corporation Blower noise reducing device and a blower having same
JP2004060447A (ja) * 2002-07-24 2004-02-26 Sanden Corp 多翼ファン
GB2393220B (en) * 2002-08-28 2007-09-19 Fans & Blowers Ltd Centrifugal fan or blower
KR100540578B1 (ko) 2003-11-08 2006-01-10 박 희 섭 원심 송풍형 다익팬
US20050191174A1 (en) * 2004-02-27 2005-09-01 Ling-Zhong Zeng Centrifugal fan
KR20060035477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토출구 형성구조
ITBO20040742A1 (it) * 2004-11-30 2005-02-28 Spal Srl Ventilatore centrifugo
KR100657528B1 (ko) * 2005-02-03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용 원심팬
JP4736748B2 (ja) * 2005-11-25 2011-07-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翼遠心送風機
KR20070060501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70087298A (ko) * 2006-02-23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샤프트 장착구조
KR20100085235A (ko)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시로코팬
JP2010285956A (ja) * 2009-06-12 2010-12-24 Sanyo Denki Co Ltd 遠心ファン
JP4998530B2 (ja) * 2009-09-28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貫流ファン、送風機及び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3211A1 (fr) * 1997-05-21 1998-11-26 Toto Ltd. Soufflante centrifuge multi-pales
KR20040016705A (ko) *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용 스크롤 하우징의 소음저감구조
US20040219013A1 (en) * 2003-03-24 2004-11-04 Reinhold Hopfensperger Radial fan
JP2006077631A (ja) * 2004-09-08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心型送風機の羽根車
KR20090059234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09203897A (ja) * 2008-02-28 2009-09-10 Daikin Ind Ltd 多翼送風機
US20100040456A1 (en) * 2008-08-13 2010-02-18 Furui Precise Component (Kunshan) Co., Ltd. Centrifugal fan
JP2011226410A (ja) * 2010-04-21 2011-11-10 Daikin Industries Ltd 多翼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61176A (zh) 2014-09-24
EP2781761B1 (en) 2018-09-26
AU2014238673B2 (en) 2016-08-04
RU2636909C2 (ru) 2017-11-28
CN104061176B (zh) 2018-11-13
KR102143389B1 (ko) 2020-08-28
US9624932B2 (en) 2017-04-18
US20140286800A1 (en) 2014-09-25
BR112015018690B1 (pt) 2022-04-12
BR112015018690A2 (ko) 2017-08-15
WO2014148793A1 (en) 2014-09-25
RU2015139892A (ru) 2017-03-23
EP2781761A1 (en) 2014-09-24
AU2014238673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5192A (ko)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3698150B2 (ja) 遠心送風機
EP2461042B1 (en) Air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07850083B (zh) 送风机和搭载有该送风机的空调装置
CN102966598B (zh) 多翼式鼓风机及空气调节机
KR20100134011A (ko) 원심 송풍기
WO2018062540A1 (ja) クロスフロー型の送風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140105084A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JP2015055182A (ja) ファン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6229141B2 (ja) 送風装置
JP6078945B2 (ja) 遠心送風機
CN106481574A (zh) 离心式风机和包括其的空调机
JP6945739B2 (ja) 多翼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CN110914553B (zh) 叶轮、送风机及空调装置
TW200530539A (en) Integral air conditioner
JP2012140881A (ja) 多翼送風機
JP5195983B2 (ja) 遠心送風機
JP2007285164A (ja) シロッコファン及び空気調和機
JP2010242597A (ja) 軸流送風機及び空気調和機
JP201119657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124575A (ja) ターボファン、空気調和装置
JP2013036402A (ja) 多翼送風機
JP2011052673A (ja) シロッコファン及びこのシロッコファンを用い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7154685A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