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396A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0396A KR20140110396A KR1020130024644A KR20130024644A KR20140110396A KR 20140110396 A KR20140110396 A KR 20140110396A KR 1020130024644 A KR1020130024644 A KR 1020130024644A KR 20130024644 A KR20130024644 A KR 20130024644A KR 20140110396 A KR20140110396 A KR 20140110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ory
- flower
- reserved
- protective cap
-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에 따르면,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사용하여 브로치, 코사지, 부케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로 구성함으로써, 집안을 꾸미는 단순 장식물로 제한되어 사용되던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활용성이 증대되고, 생화의 아름다움의 표현과 함께 사용자의 보다 다양한 패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된 보호 캡과 핀 부재가 형성된 액세서리 연결 본체를 분리 착탈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형성된 복수의 보호 캡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액세서리 연결 본체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한 다양한 패션 연출의 사용자 선택 폭이 증대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의 구성을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의 구성 중, 보호 캡에 다양한 꽃의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고정되게 일체로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110: 보호 캡 111: 수용 공간부
112: 줄기 삽입부 113: 나사부
120: 핀 부재 130: 액세서리 연결 본체
131: 나사 결합부
Claims (7)
- 생화를 약품 처리하여 물이 필요 없는 상태로 보존이 가능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100)로서,
상기 액세서리(100)의 장식을 위한 프리저브드 플라워(101)를 고정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보호 캡(110);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01)가 일체로 형성된 보호 캡(110)을 사용자의 의상 또는 모자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핀 부재(120); 및
상기 보호 캡(110)과 상기 핀 부재(120) 사이의 연결 부재로 사용되는 액세서리 연결 본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100)는,
상기 보호 캡(110)과 상기 액세서리 연결 본체(13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100)는,
상기 보호 캡(110)과 상기 액세서리 연결 본체(130)를 분리 착탈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110)은,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01)가 수용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부(111);
상기 수용 공간부(111)의 중심으로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01)의 줄기가 삽입될 수 있는 줄기 삽입부(112); 및
상기 줄기 삽입부(112)의 돌출된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1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연결 본체(130)는,
상기 보호 캡(110)의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나사부(113)와 체결되는 나사 결합부(131)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110)은,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100)는,
브로치, 코사지, 부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644A KR101457572B1 (ko) | 2013-03-07 | 2013-03-07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644A KR101457572B1 (ko) | 2013-03-07 | 2013-03-07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0396A true KR20140110396A (ko) | 2014-09-17 |
KR101457572B1 KR101457572B1 (ko) | 2014-11-04 |
Family
ID=5175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46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7572B1 (ko) | 2013-03-07 | 2013-03-07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75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6265B1 (ko) * | 2017-06-20 | 2018-09-10 | 배길순 | 조화제작 서비스방법 |
KR102265442B1 (ko) | 2019-10-29 | 2021-06-15 | 오선덕 | 압화를 이용한 조화 및 이를 이용한 코사지 제조 방법 |
KR102549442B1 (ko) | 2021-04-28 | 2023-06-29 | 오선덕 | 무궁화 압화를 이용한 조화 및 이를 이용한 코사지 제조 방법 |
KR102583299B1 (ko) | 2021-05-03 | 2023-09-26 | 오선덕 | 무궁화 압화를 이용한 만들기 키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9178U (ja) * | 2008-12-29 | 2009-03-12 | 佳世子 青野 | 身飾品 |
-
2013
- 2013-03-07 KR KR1020130024644A patent/KR10145757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7572B1 (ko) | 201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7572B1 (ko)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 |
WO2006125088A3 (en) | Attachable individual curls | |
US2149968A (en) | Artificial christmas tree | |
JP6776032B2 (ja) | 草花の保持具及びこの保持具を用いた花束 | |
US20110290272A1 (en) | Fresh flower holder for hair | |
KR20140113221A (ko) |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의류 | |
JP3149178U (ja) | 身飾品 | |
KR102535057B1 (ko) |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 |
US11278098B2 (en) | Encapsulated hair band | |
US20030136049A1 (en) | Bouquet holder | |
KR200484187Y1 (ko) | 식물생육용기 | |
KR102089166B1 (ko) | 프리저브드 꽃잎을 포함하는 동물 형상의 인형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214289U (ja) | 装飾用カバー | |
JP2007320305A (ja) | プリザ−ブドフラワ−アレンジメントの造形方法 | |
KR100994267B1 (ko) | 코르사주 제조용 받침 장치 | |
KR100689654B1 (ko) | 점등용 조화장치 | |
KR101684732B1 (ko) |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인형 눈 | |
KR101405648B1 (ko) | 엘이디를 구비하는 장식용 조화 | |
KR101219768B1 (ko) | 공중부양 귀걸이 | |
KR101684731B1 (ko) |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 |
KR200143296Y1 (ko) | 모자의 장식용구 | |
JP3116904U (ja) | スティックライト | |
JPH0223191Y2 (ko) | ||
WO2006132466A1 (en) | A jewelry bouquet base | |
JP3082892U (ja) | 前髪飾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0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