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9287A -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287A
KR20140109287A KR1020140023510A KR20140023510A KR20140109287A KR 20140109287 A KR20140109287 A KR 20140109287A KR 1020140023510 A KR1020140023510 A KR 1020140023510A KR 20140023510 A KR20140023510 A KR 20140023510A KR 20140109287 A KR20140109287 A KR 2014010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ffee
raw material
syrup
supply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유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4010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2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판기 형태의 음료 배출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는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물통; 상기 물통에 연결되는 펌프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 상기 다수 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아래에 배치되는 믹싱 장치; 및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가 담겨 있는 상기 각 음료원료 재료통의 하단부에 연결하여, 상기 환(丸) 모양의 각 음료원료를 음료원료 재료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받아 정량으로 토출하는 원료정량 토출장치;를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믹싱 장치와 물통이 제1 공급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 장치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가 제2 공급관로로 연결되며, 상기 믹싱 장치에 제1 배출관로가 연결된 것이며, 음료원료로 분말가루가 아닌 환(丸)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분말가루의 날림 현상이 없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정량 배출에 유리하며, 환(丸)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변질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보관에 유리하고 재고관리에도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DRINK VENDING MACHINE USING SPHERE}
본 발명은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자판기와 같은 음료 배출장치로 고형의 음료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들 때, 종래 분말가루로 된 음료원료가 아닌 일정 크기의 환(丸) 형상으로 된 음료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한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고형으로 된 음료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배출장치가 있는바, 이러한 기존의 음료 배출장치(일명 음료자판기)는 고형이면서 분말가루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온수 또는 냉수를 음료원료와 혼합하여 배출해 주는 기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분말가루의 음료원료를 사용하는 종래 음료 배출장치에서 상기 분말가루를 사용하는 방식을 보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일정량의 분말가루를 스크루를 이용하여 혼합기에 떨어뜨리고, 상기 혼합기 내부에 온수 혹은 냉수를 공급하여 분말가루와 함께 혼합한 후 음료를 배출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 배출장치는 분말가루를 주원료로 함에 따라 상기 분말가루의 날림에 의한 세균 및 곰팡이 번식의 우려가 있으며 관리 소홀에 의한 위생상의 문제가 크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습한 환경 등의 주변 환경조건에 따른 분말재료의 고착으로 정량 배출에 어려움이 있어 맛에 변화가 우려된다는 단점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의 종래 음료 배출장치는 분말가루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날림 현상으로 인하여 혼합기의 외부에 쌓여 내부 습기에 의해 고착됨으로써 세균 번식 및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주기적인 관리자의 관리가 없을 경우 대장균 및 기타 세균 곰팡이가 번식하여 음료의 맛이 쉽게 변화되고, 심할 경우 사용자의 복통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73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료원료인 분말가루를 구슬모양의 환(丸) 모양으로 변경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변질을 최소화하며, 상기 분말가루에 의한 날림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를 사용하는 음료 배출장치(자판기) 내에 세균 번식 및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환 형상의 음료원료를 음료원료 재료통으로부터 공급받아 원료정량 토출장치에 의해 정량으로 배출하고, 이를 믹싱 장치에 의해 물과 혼합한 후 음료수로 배출하도록 한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음료 배출장치에 커피를 공급하도록 원두커피 재료통과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및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에 연결된 커피추출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피추출기에 의해 추출된 커피에 시럽을 첨가하여 배출하도록 한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음료 배출장치에 믹싱 장치와 커피추출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물통과 연결된 세척펌프와 세척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한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는, 자판기 형태의 음료 배출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는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물통; 상기 물통에 연결되는 펌프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 상기 다수 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아래에 배치되는 믹싱 장치; 및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가 담겨 있는 상기 각 음료원료 재료통의 하단부에 연결하여, 상기 환(丸) 모양의 각 음료원료를 음료원료 재료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받아 정량으로 토출하는 원료정량 토출장치;를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믹싱 장치와 물통이 제1 공급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 장치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가 제2 공급관로로 연결되며, 상기 믹싱 장치에 제1 배출관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힌지형상의 토출 날개가 연결된 재료통 캡을 포함하고 있는 재료통 개폐장치가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원료정량 토출장치는 재료통 개폐장치와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토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을 재료통 개폐장치에 결합할 때, 상기 재료통 캡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단부의 힌지형상 토출 날개의 개폐작동으로 상기 토출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환 원료 또는 원두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는 원두커피 재료통; 원두커피가 담겨 있는 상기 커피원두 재료통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원두커피 재료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두커피를 토출하는 재료통 개폐장치: 상기 재료통 개폐장치의 아래에 배치되어 공급받은 원두커피를 일정량으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상기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아래에 배치되고 제2 공급관에 연결하여 분쇄된 일정량의 원두커피를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기; 및 상기 커피추출기에 연결하여 커피추출기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는 제2 배출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상의 시럽을 담아 보관하는 시럽통과, 상기 시럽통에 연결되어 정량으로 공급받은 시럽을 배출하도록 제1 시럽공급관로를 통해 제1 배출관로에 연결된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관로가 전환되는 시럽정량 토출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럽정량 토출장치를 제2 시럽공급관로를 통해 제2 배출관로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동으로 우유거품을 만들 수 있도록 우유거품 발생장치를 우유거품 공급관로를 통해 상기 제1 배출관로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물통과 믹싱 장치 사이의 제1 공급관로에 연결된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 이후의 상기 제1 공급관로에 세척수 공급관로를 통해 연결된 세척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척펌프로부터 공급받는 세척수를 세척장치의 세척노즐로 분사하여 상기 커피추출기 또는 믹싱 장치를 자동으로 온수 및 스팀 세척할 수 있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척장치의 아래에 배치된 세척수 개폐장치와, 상기 세척수 개폐장치 아래에 나란히 배치된 세척수 케이스와 커피찌꺼기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 개폐장치를 통해 커피추출기 세척 시에는 세척수를 세척수 케이스로 배출하고, 커피 추출후 커피찌꺼기 배출 시에는 커피찌꺼기 케이스로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는 환(丸)의 외경을 기준으로 1∼10㎜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의하면, 음료원료로 분말가루가 아닌 환(丸)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분말가루의 날림 현상이 없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정량 배출에 유리하며, 환(丸)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변질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보관에 유리하고 재고관리에도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음료 배출장치의 믹싱 장치 외에 기타 다른 부위에 분말가루가 쌓여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이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항상 정량의 음료원료가 청결한 상태로 공급되므로 일정한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재료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극대화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피원두 재료통과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와 커피추출기 및 우유거품 발생장치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커피나 카페라떼 또는 카푸치노 커피 등도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커피추출기나 믹싱장치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의해 음료 배출장치를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설치개념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음료원료 재료통 또는 원두커피 재료통과 재료통 개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원료정량 토출장치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설치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음료원료 또는 원두커피 재료통과 재료통 개폐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원료정량 토출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는 일반적인 자판기와 같이,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 물통(2), 펌프(3)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 믹싱 장치(5)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정량으로 토출하는 원료정량 토출장치(6)를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1)과 함께 구성한 것이다.
각종의 음료원료로써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가 담겨 있는 상기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은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의 하단부에는 원료정량 토출장치(6)가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의 아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정량 토출장치(6)에 의해 환 형상의 음료원료(1a)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통 개폐장치(14)로써 재료통 캡(9)이 결합되며 상기 재료통 캡(9)의 하단부에 상기 환 형상의 음료원료(1a)를 배출하기 위해 분할되어 구성된 힌지형상의 토출 날개(9a)가 연결된다.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2)과 믹싱 장치(5)의 사이에는 제1 공급관로(10a)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급관로(10a) 상에 펌프(3)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가 연결된다. 상기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는 온수공급과 스팀발생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믹싱 장치(5)는 원료정량 토출장치(6)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원료정량 토출장치(6)로부터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정량으로 받아 혼합하고, 솔레노이드밸브(21)가 연결된 제1 공급관로(10a)를 통해 물통(2)으로부터 펌프(3)로 물을 받아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를 거쳐 생성한 온수를 상기 혼합된 원료와 함께 음료수로 만들어 하단부에 연결한 제1 배출관로(12a)를 통해 배출한 후 컵에(11)에 담게 된다.
상기 원료정량 토출장치(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하우징(6a)과 이 토출 하우징(6a) 하단부에 연결하여 결합된 구동모터(6b)로 이루어져, 하부에 재료통 캡(9)을 포함하는 재료통 개폐장치(14)를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재료통 개폐장치(1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재료통 캡(9)이 음료원료 재료통(1)에서 위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단부의 토출 날개(9a)가 아래로 열려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배출하고, 이를 받아 구동모터(6b)에 의해 회전하는 토출 하우징(6a)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정량을 배출하여 믹싱 장치(5)에 공급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1)에 결합된 재료통 개폐장치(14)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재료통 캡(9)이 음료원료 재료통(1)에서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단부의 토출 날개(9a)가 위로 닫혀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배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원두커피를 담아서 배출하며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된 원두커피 재료통(13)을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1)의 일측에 추가로 배치하고, 상기 원두커피 재료통(13)의 하단부에 재료통 개폐장치(14)가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재료통 개폐장치(14)의 아래에는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와 커피추출기(16)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원두커피 재료통(13)은 음료원료 재료통(1)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고, 재료통 개폐장치(14)도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1)에 결합된 것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는 재료통 개폐장치(14)에 의해 원두커피를 공급받아 정량으로 분쇄한 후 상기 커피추출기(16)에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도록 한다. 이때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에 연결된 제1 공급관로(10a)가 상기 커피 추출기(16)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커피추출기(16)로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온수 및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피추출기(16)에는 제2 배출관로(12b)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1)의 타측에는 시럽을 담아 보관하는 시럽통(7) 및 상기 시럽통(7)에 연결되어 정량으로 공급받은 시럽을 배출하도록 한 시럽정량 토출장치(8)를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액상의 시럽을 담아 보관하고 있는 시럽통(7)을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1) 등과 함께 내부의 타측에 별도로 배치하고, 상기 시럽통(7)에 시럽정량 토출장치(8)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시럽정량 토출장치(8)를 제1 시럽공급관로(8a)를 통해 제1 배출관로(12a)에 연결하여 음료수와 함께 정량의 시럽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관로(12b)에는 시럽정량 토출장치(8)와 제2 시럽공급관로(8b)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배출관로(12b)를 통해 원두커피만을 배출하거나 상기 시럽정량 토출장치(8)를 통해 정량의 시럽과 함께 원두커피를 배출하여 컵(11)에 담게 된다.
상기한 커피 외에 카푸치노 커피도 제공할 수 있는데, 카푸치노 커피를 위한 우유거품을 발생하는 우유거품 발생장치(17)가 우유거품 공급관로(17a)를 통해 제1 배출관로(12a)에 연결할 때 3-way밸브(18)를 거쳐 연결되며, 우유거품 발생장치(17)에 의해 만들어진 우유거품은 믹싱 장치(5) 이후에 공급하여 커피와 혼합하거나 시럽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카푸치노 커피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우유거품은 제1 배출관로(12a)를 통해 배출하는 음료수에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피추출기(16) 옆에는 물통(2)에 연결된 제1 공급관로(10a)와 솔레노이드밸브(21) 및 세척수 공급관로(19a)를 통해 연결된 세척장치(19)가 배치되어, 제1 공급관로(10a) 상에 설치한 세척펌프(2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1)를 거쳐 물을 공급받아 세척노즐(19b)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커피추출기(16)를 세척하게 되고, 이러한 세척수에 의한 세척은 믹싱 장치(5)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 아래에는 세척수와 커피찌꺼기를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는 세척수 개폐장치(22)가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 개폐장치(22) 아래에는 커피찌꺼기 케이스(23)와 세척수 케이스(24)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세척장치(19)에 의해 커피추출기(16)의 세척 시에는 세척수 개폐장치(22)를 통해 세척수 케이스(24)로 세척수를 배출하고, 상기 커피추출기(16)에 의해 커피 추출 후 커피찌꺼기의 배출 시에는 커피찌꺼기 케이스(23)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방식의 상기 원두커피 재료통(13)에는 원두커피(13a)가 담겨있고, 카트리지 방식의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2)에는 우유나 코코아 또는 녹차와 같은 국산차나 기능성 음료의 음료원료가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로 담겨져 있다.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는 대략 환(丸)의 외경을 기준으로 5mm 정도 크기가 바람직하나, 5mm 미만이나 5mm 이상의 크기로 할 수도 있어 대략 1∼1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정량 토출장치(6)와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두커피(13a)나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커피 또는 음료의 1인분에 맞는 정량으로 토출해 주는 장치로써, 하나하나 크기와 무게가 일정하고 원두커피(13a)나 동일한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일정 개수만큼 1인분의 정량에 맞도록 토출하게 된다. 원료정량 토출장치(6)와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두커피(13a)나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는 자판기와 같은 음료 배출장치의 커피나 음료 메뉴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개폐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일정량의 원두커피(13a)나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가 배출되어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나 믹싱 장치(5)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의해 원두커피(13a)나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일정량 공급하여 커피나 음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를 제공하는 경우, 커피원두 재료통(13)에서 원두커피(13a)가 재료통 개폐장치(14)를 통해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15)는 상기 원두커피(13a)를 분쇄하여 일정량을 분말 상태로 만들어 커피추출기(16)로 공급한다.
이렇게 상기 커피추출기(16)에 분말로 된 원두커피가 공급되면 물통(2)에서 펌프(3)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고, 배출된 물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를 거치면서 온수 및 스팀이 된 후 이를 제2 공급관로(8b)를 통해 상기 커피추출기(16)에 공급된다.
상기 커피추출기(16)에서는 분말로 된 원두가루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한 후 제2 배출관(12b)을 통해 배출하여 컵(11)에 담는다.
다음에 일반 음료를 제공하는 경우, 음료원료 재료통(1)에서 선택된 음료의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가 원료정량 토출장치(6)를 통해 일정량을 믹싱 장치(5)로 토출되어 공급된다.
이렇게 믹싱 장치(5)에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가 공급되면 물통(2)에서 펌프(3)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고, 배출된 물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를 거치면서 온수가 된 후 이를 제1 공급관로(10a)를 통해 상기 믹싱 장치(5)에 공급된다.
상기 믹싱 장치(5)에서는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를 분쇄와 동시에 온수를 혼합하여 원하는 음료로 만든 후 제1 배출관로(12a)를 통해 배출하여 컵(11)에 담는다.
상기 믹싱 장치(5)에 온수가 아닌 냉수를 바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4)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3)를 이용하여 제1 공급관로(10a)를 통해 상기 믹싱 장치(5)로 물통(2)의 물이 바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커피 추출과정과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1a) 분쇄 및 믹싱 과정을 동시에 하여 다양한 메뉴의 커피 제조가 가능하다. 예컨대 환(丸) 형상의 우유를 물과 믹싱 장치(5)에서 혼합한 후 커피와 혼합된 우유를 동시에 배출하면 카페라떼가 제조되며, 환(丸) 형상의 우유를 물과 믹싱 장치(5)에서 혼합한 후 우유거품 발생장치(17)를 거쳐 커피와 동시에 배출하면 카푸치노가 제조되고, 환(丸) 형상의 우유와 환(丸) 형상의 코코아를 물과 믹싱 장치(5)에서 혼합한 후 커피와 코코아를 동시에 배출하면 모카커피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기호에 따라 시럽통(7)과 시럽정량 토출장치(8)를 통해 시럽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丸)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음료원료 재료통 1a :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
2 : 물통 3 : 펌프
4 :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 5 : 믹싱 장치
6 : 원료정량 토출장치 6a : 토출 하우징
6b : 구동모터 7 : 시럽통
8 : 시럽정량 토출장치 8a : 제1 시럽공급관로
8b : 제2 시럽공급관로 9 : 재료통 캡
9a : 토출날개 10a : 제1 공급관로
10b : 제2 공급관로 11 : 컵
12a : 제1 배출관로 12b : 제2 배출관로
13 : 원두커피 재료통 13a : 원두커피
14 : 재료통 개폐장치 15 :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16 : 커피 추출기 17 : 우유거품 발생장치
17a : 우유거품 공급관로 18 : 3-way밸브
19 : 세척장치 19a : 세척수 공급관로
19b : 세척노즐 20 : 세척펌프
21 : 솔레노이드 밸브 22 : 세척수 개폐장치
23 : 커피찌꺼기 케이스 24 : 세척수 케이스

Claims (8)

  1. 자판기 형태의 음료 배출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는 다수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물통;
    상기 물통에 연결되는 펌프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
    상기 다수 개의 음료원료 재료통 아래에 배치되는 믹싱 장치; 및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가 담겨 있는 상기 각 음료원료 재료통의 하단부에 연결하여, 상기 환(丸) 모양의 각 음료원료를 음료원료 재료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받아 정량으로 토출하는 원료정량 토출장치;를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믹싱 장치와 물통이 제1 공급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 장치와 온수/스팀 겸용 보일러가 제2 공급관로로 연결되며, 상기 믹싱 장치에 제1 배출관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형상의 토출 날개가 연결된 재료통 캡을 포함하고 있는 재료통 개폐장치가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원료정량 토출장치는 재료통 개폐장치와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토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료원료 재료통을 재료통 개폐장치에 결합할 때, 상기 재료통 캡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단부의 힌지형상 토출 날개의 개폐작동으로 상기 토출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환 원료 또는 원두커피가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카트리지 방식으로 삽입 또는 장착하는 원두커피 재료통;
    원두커피가 담겨 있는 상기 커피원두 재료통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원두커피 재료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두커피를 토출하는 재료통 개폐장치:
    상기 재료통 개폐장치의 아래에 배치되어 공급받은 원두커피를 일정량으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상기 정량토출 원두그라인더 아래에 배치되고 제2 공급관에 연결하여 분쇄된 일정량의 원두커피를 공급받아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기; 및
    상기 커피추출기에 연결하여 커피추출기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는 제2 배출관로;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액상의 시럽을 담아 보관하는 시럽통과, 상기 시럽통에 연결되어 정량으로 공급받은 시럽을 배출하도록 제1 시럽공급관로를 통해 제1 배출관로에 연결된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관로가 전환되는 시럽정량 토출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럽정량 토출장치를 제2 시럽공급관로를 통해 제2 배출관로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자동으로 우유거품을 만들 수 있도록 우유거품 발생장치를 우유거품 공급관로를 통해 상기 제1 배출관로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과 믹싱 장치 사이의 제1 공급관로에 연결된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 이후의 상기 제1 공급관로에 세척수 공급관로를 통해 연결된 세척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척펌프로부터 공급받는 세척수를 세척장치의 세척노즐로 분사하여 상기 커피추출기 또는 믹싱 장치를 자동으로 온수 및 스팀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의 아래에 배치된 세척수 개폐장치와, 상기 세척수 개폐장치 아래에 나란히 배치된 세척수 케이스와 커피찌꺼기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 개폐장치를 통해 커피추출기 세척 시에는 세척수를 세척수 케이스로 배출하고, 커피 추출후 커피찌꺼기 배출 시에는 커피찌꺼기 케이스로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丸) 형상의 음료원료는 환(丸)의 외경을 기준으로 1∼1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KR1020140023510A 2013-03-04 2014-02-27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Ceased KR20140109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805 2013-03-04
KR1020130022805 2013-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287A true KR20140109287A (ko) 2014-09-15

Family

ID=5175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510A Ceased KR20140109287A (ko) 2013-03-04 2014-02-27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2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6870A (zh) * 2019-07-19 2019-10-22 岳阳市祥腾智能科技研究所 一种多室组合独立控制的贮仓下料装置
KR102218251B1 (ko) * 2020-08-26 2021-02-19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102463991B1 (ko) * 2022-08-01 2022-11-07 주식회사 피티지컴퍼니 펌프의 압력 조절과 노즐의 배출면적 조절로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의해 버블이 생성된 커피를 제공하는 커피 밴딩 머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6870A (zh) * 2019-07-19 2019-10-22 岳阳市祥腾智能科技研究所 一种多室组合独立控制的贮仓下料装置
KR102218251B1 (ko) * 2020-08-26 2021-02-19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102463991B1 (ko) * 2022-08-01 2022-11-07 주식회사 피티지컴퍼니 펌프의 압력 조절과 노즐의 배출면적 조절로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의해 버블이 생성된 커피를 제공하는 커피 밴딩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4239B (zh) 飲料筒具及系統
CN100574682C (zh) 泡沫奶生成器
US8986766B2 (e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with movable mixing chamber
RU2521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замкну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дозирова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упомянут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6998945B (zh) 饮料分配器
EP2387323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de-to-order frozen beverage
CN108814312A (zh) 泡制饮料的设备、系统和方法
MX2011003171A (es)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on dentro de una taza de una bebida.
JP2012502728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3402408A (zh) 饮品烹制装置及方法
MX2011006111A (es) Metodo y sistema integrados para suministrar y batir/mezclar ingredientes de bebida.
JP2007516033A (ja) 複数の飲料コレクションチャンバを内蔵する飲料製造機
JP2014524811A (ja) 飲料製造方法及び飲料製造装置
CN102917966A (zh) 用于饮料制备的筒罐和方法
KR20140109287A (ko)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CN105307544A (zh) 用于生产饮料的混合室
WO2020003467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powder containers
WO2016091830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powder container
US20210169266A1 (en) Automatic brewing system
JP2018503452A (ja) 飲料注出機に粉末を再充填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21386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grinders
AU2011224013A1 (en) Dispenser producing beverages from powder
EP3496580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US11576520B2 (en) Dispenser of bulk material
WO2020003466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hot or frozen or ice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