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274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746A
KR20140102746A KR1020147019147A KR20147019147A KR20140102746A KR 20140102746 A KR20140102746 A KR 20140102746A KR 1020147019147 A KR1020147019147 A KR 1020147019147A KR 20147019147 A KR20147019147 A KR 20147019147A KR 20140102746 A KR20140102746 A KR 20140102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region
elastic
elastic member
intermediate e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683B1 (ko
Inventor
유키 다카하시
에미 아마노
토모히토 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0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5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4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having a specific location other than covered by groups A61F13/49011 - A61F13/490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2013/4908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2013/4908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의 배쪽 및 등쪽에 위치하는 전방부 및 후방부의 접속선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 허리부 개구를 따르는 허리둘레 영역(406)의 상부인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접합되는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 및, 허리둘레 영역(406)의 하부인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접합되는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를 구비한다.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1 단위수축력은,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피부로 파고 들어가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팬티타입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 흡수성 물품의 하나로서, 상단에 허리부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하부에 한 쌍의 다리부 개구를 가지는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가 이용되고 있다.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자의 배쪽 및 등쪽에 위치하는 전방부 및 후방부에, 허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르는 허리부 탄성부재가 형성된다. 또, 전방부 및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하부에, 한 쌍의 다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르는 다리부 탄성부재가 형성된다.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추가로, 상하방향에 있어서 허리부 탄성부재와 다리부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탄성부재가 형성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0694호(문헌 1)의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자의 배쪽 및 등쪽에 위치하는 전방부 및 후방부가, 허리 개구의 가장자리부 근방의 제1 신축여역, 제1 신축영역에 인접하는 동시에 흡수성 섀시의 전단부를 횡단하는 제2 신축영역, 및, 제2 신축영역에 인접하는 동시에 흡수성 섀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신축영역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2 신축영역의 신장응력을 제1 신축영역의 신장응력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가 앞으로 구부렸을 때에, 제1 신축영역의 신장의 영향에 의해 제2 신축영역 및 흡수성 섀시의 전단부에 접힌 흔적이 남는 것이 억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5088호(문헌 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5087호(문헌 3)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전방부 및 후방부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동일한 폭의 띠 형상영역으로 구분되고, 상측으로부터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이라고 한다. 문헌 2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각 영역 수축력이 제2 영역이 제1 영역 및 제3 영역보다도 크고, 제4 영역이 제3 영역보다도 크게 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뼈가 신체표면까지 돌출하고 있는 제2 영역 및 제4 영역에 있어서의 수축력을 높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흘러내림이 억제되고,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변동이 큰 제1 영역의 수축력을 낮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또, 문헌 3에서는 흘러내림 방지성능 및 착용감이 우수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제2 영역 및 제4 영역의 평균수축력이 제3 영역의 평균수축력보다도 크게 되고, 배쪽의 제4 영역의 수축력이 등쪽의 제4 영역의 수축력보다도 크게 되고, 제2 영역의 평균수축력이 제1 영역의 평균수축력보다도 크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9023호(문헌 4)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전방부가 허리 개구측으로부터 제1 신축영역, 제2 신축영역 및 제3 신축영역으로 구분되고, 후방부가 허리 개구측으로부터 제4 신축영역, 제5 신축영역 및 제6 신축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신축영역의 신장응력의 상관관계가 제6 신축영역>제2 신축영역>제3 신축영역≥제5 신축영역>제1 신축영역, 또한, 제6 신축영역>제2 신축영역>제3 신축영역≥제5 신축영역>제4 신축영역이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8770호(문헌 5)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에서는 전방부 및 후방부가 허리 개구측으로부터 요부 구간, 겨드랑이 상부구간 및 겨드랑이 하부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의 탄성신축력이 겨드랑이 하부구간≥겨드랑이 상부구간>요부구간이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1682호(문헌 6)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시에 있어서, 허리 개구부와 다리 개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압력이 가장 높고, 이어서 허리 개구부의 압력이 높고, 제1 영역과 다리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영 역의 압력이 가장 낮다. 이에 따라 착용 중의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저귀가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 없이 밀착하고, 액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06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50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50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90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87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1682호
그런데,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좌우 양측에서 접합할 때에, 전방부와 후방부의 접속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가 형성된다. 띠 형상 돌출부는 적층된 부직포 등의 시트부재가 열압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부위보다도 유연성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허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르는 허리둘레 영역에 형성된 허리부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신체에 파고 들어가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할 우려가 있다.
한편, 문헌 1 내지 6에서는 허리둘레 영역의 수축력을 다른 영역의 수축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허리둘레 영역의 수축력을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문헌 1 내지 6과 같은 구조에서는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는 여전히 착용자에게 파고 들어가 버린다.
본 발명은 팬티타입의 흡수성 물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의 착용자에 대한 파고들어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상단에 허리부 개구를 가지고, 하부에 한 쌍의 다리부 개구를 가지는 외장시트와, 상기 외장시트의 착용자측에 형성되어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시트가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하고, 양측단이 상기 전방부의 양측단과 접속되는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로부터 연속하는 가랑이 하부와, 상기 전방부의 상기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부위의 내면과, 상기 후방부의 상기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부위의 내면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으로써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의 접속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와, 상기 허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르는 허리둘레 영역에서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허리부 개구 개더를 형성하는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 개구의 엣지에 따라서 상기 가랑이 하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 개구 개더를 형성하는 다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다리부 탄성부재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중간 개더를 형성하는 중간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허리둘레 영역의 상부인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의 하측의 영역인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허리부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상하방향으로 수직된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1 단위수축력이,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다.
본 발명에서는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의 착용자에 대한 파고들어감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리둘레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또는, 상기 허리둘레 영역의 상기 상하방향의 폭이 50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외장시트가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서 착용자측으로 되접어지는 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외장시트의 상기 접이부에 대향하는 부위와 상기 접이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가 연속하는 시트부재의 접은 금이 되고, 시트부재의 절단가장자리가 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착용자의 피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을 추가로 억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허리둘레 영역이, 복수의 시트부재가 적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가,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보다도 적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돌출부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상기 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중간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중간탄성 영역 사이에 보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 및, 상기 제1 단위수축력 및 상기 제2 단위수축력의 어느 것 보다도 작다. 이에 따라 보조영역에 손끝을 깊게 걸어서 흡수성 물품을 확실히 잡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고,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형태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이하에 실시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진다.
도 1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전개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정면도 및 배면도(즉, 착용자의 배쪽 및 등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상단(즉, 도 1 및 도 2 중의 상측의 단부)에 허리부 개구(11)를 가지고, 하부에 한 쌍의 다리부 개구(12)를 가지는 팬티타입의 흡수성 물품으로,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다.
도 3은 일회용 기저귀(1)를 전개한 상태에서 착용자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는 허리부 개구(11) 및 한 쌍의 다리부 개구(12)(도 1 및 도 2 참조)를 가지는 외장시트(4), 및, 외장시트(4)의 내측의 면(즉, 착용자측의 면)에 장착되어 착용자으로부터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거의 시트상의 흡수체(20)를 구비한다. 외장시트(4)는 외장시트 본체(40), 및, 외장시트 본체(40)에 접합되는 다리부 탄성부재(43), 허리부 탄성부재(44) 및 중간 탄성부재(45)를 구비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도 3 중의 상측의 부위가 착용자 앞측(배쪽의 피부)을 덮고, 도 3 중의 하측의 부위가 착용자의 뒤측(등쪽의 피부)을 덮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장시트 본체(40)의 착용자의 배쪽 및 등쪽에 위치하는 부위를 각각,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라고 부르고, 전방부(401)와 후방부(403) 사이에서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로부터 연속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고간부를 덮는 부위를 「가랑이 하부(402)」라고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외장시트(4)가 전방부(401), 가랑이 하부(402) 및 후방부(403)를 구비하고, 흡수체(20)는 외장시트(4)의 전방부(401)로부터 가랑이 하부(402)를 경유해서 후방부(403)에 이른다.
일회용 기저귀(1)가 제조될 때에는, 외장시트(4)가 흡수체(20)와 함께 가랑이 하부(402)에서 절곡되고, 가랑이 하부(402)를 하측을 향했을 때의 전방부(40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띠 형상의 부위(404)의 내면과, 후방부(403)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띠 형상의 부위(405)의 내면이 가열 및 가압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각각 접합된다. 띠 형상의 부위(404)의 내면이란 전방부(401)의 착용자에게 접하는 면인 내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면으로, 도 3 중의 앞쪽측의 면이다. 또, 띠 형상의 부위(405)의 내면이란 후방부(403)의 착용자에게 접하는 면인 내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면으로, 도 3 중의 앞쪽측의 면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띠 형상의 부위(404)와 한 쌍의 띠 형상의 부위(405)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401)의 양측단과 후방부(403)의 양측단이 접속되고,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의 상단에 허리부 개구(11)가 형성된다. 또,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의 하측에 있어서 가랑이 하부(402)의 좌우로 한 쌍의 다리부 개구(12)가 형성되는 동시에, 허리부 개구(11)와 한 쌍의 다리부 개구(12)의 각각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가 형성된다. 각 띠 형상 돌출부(13)는 전방부(401)와 후방부(403) 사이의 접속선(400)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띠 형상의 부위이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1)를 도 3 중에 나타내는 IV-IV의 위치(즉, 가랑이 하부(402))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일회용 기저귀(1)의 각 구성을 분리해서 묘사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20)는 거의 시트상의 본체부(2), 및, 본체부(2)의 양측부 상(즉, 상하방향으로 수직된 좌우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부(2)의 길이방향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치는 한 쌍의 사이드시트(3)을 구비한다. 본체부(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시트(21), 백시트(23), 및, 탑시트(21)와 백시트(23)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22)를 구비한다. 도 3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흡수체(20)의 흡수코어(22)의 윤곽을 굵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도 1 및 도 2에서도 동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코어(2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의 폭은 흡수코어(2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의 폭보다도 크다. 바꾸어 말하면, 흡수코어(22)는 소위 모래시계형이다. 도 4의 백시트(23)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외장시트(4) 상에 접합되고, 흡수체(20)가 외장시트(4)에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시트(3)는 각각,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절곡선(39)의 일방측의 부위인 띠 형상의 접합부(33), 및, 절곡선(39)의 타방측의 부위인 측벽부(34)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접합부(33)는 본체부(2)의 측방 엣지 근방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약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본체부(2)의 상측(즉, 착용자측)에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합된다. 한 쌍의 측벽부(34)는 절곡선(39)인 접합부(33)의 좌우방향의 외측의 엣지에서 한 쌍의 접합부(33)로부터 연속하는 부위이고, 본체부(2)의 양측부상에 있어서 본체부(2)의 길이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한 쌍의 측벽부(34)은 각각,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접합부(33) 상에 겹쳐지고, 열융착접합 또는 초음파접합, 혹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에 의해 접합부(33) 상에 고정된다. 측벽부(34)의 자유단에는 측벽부 탄성부재(35)가 접합되고 있으며, 측벽부 탄성부재(35)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개더가 형성된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1)룰 도 3 중에 나타내는 V-V의 위치에서 절단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 앞측을 나타낸다. 일회용 기저귀(1)의 뒤측의 구조는 도 5에 나타내는 앞측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시트(4)의 외장시트 본체(40)는 제1 외장시트(41), 및, 제1 외장시트(41)의 내면 상(즉, 착용자측)에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는 제2 외장시트(42)를 구비한다.
외장시트 본체(4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외장시트(42)의 내면 상에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는 엔드시트(5)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시트(5)는 일회용 기저귀(1)의 좌우방향(즉, 도 3 중에 있어서의 횡방향)에 대해서 외장시트(4)의 폭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외장시트(42)와의 사이에, 흡수체(20)의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한다.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421)은 엔드시트(5)의 상단(51)과 상하방향에 있어서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제1 외장시트(41)의 상단인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로부터 하방으로 이간한다. 또,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421), 및, 엔드시트(5)의 상단(51)은 흡수체(20)의 상단(25)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내는 흡수체(20)의 탑시트(21)는 투액성의 시트재료이고,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의 수분을 신속하게 포착해서 흡수코어(22)로 이동시킨다. 탑시트(21)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친수처리한 소수성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등)로 형성된 투액성의 부직포(포인트본드 부직포나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가 이용된다. 또, 탑시트(21)로서 셀룰로오스나 레이온, 코튼 등의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예를 들면,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흡수코어(22)는 분쇄한 펄프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에 입상의 고흡수성 폴리머(SAP(Super Absorbent Polymer))나 고흡수성 파이버 등의 고흡수성 재료를 혼합한 것을 티슈페이퍼나 투액성 부직포 등에 의해 감싸서 형성되고, 탑시트(21)를 투과한 수분을 흡수해서 신속하게 고정시킨다. 친수성 섬유를 감싸는 티슈페이퍼나 투액성 부직포 등은 친수성 섬유 및 흡수성재료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고, 친수성 섬유의 형 변형, 및, 흡수성재료의 탈락(특히, 흡수후에 있어서의 탈락)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코어(22)는 펄프 섬유 및 SAP를 포함한다.
백시트(23)로서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부직포(예를 들면, 스판본드 부직포나 멜트 블로운 부직포, SMS(스판본드 멜트 블로운 스판본드)부직포)나,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고, 백시트(23)에 도달한 배설물의 수분 등이, 본체부(2)의 외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백시트(23)에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경우, 일회용 기저귀(1)의 물크러짐을 방지해서 착용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는, 투습성(통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시트(3)의 시트 본체로서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부직포(예를 들면, 스판본드 부직포나 멜트 블로운 부직포, SMS부직포)가 이용된다. 측벽부 탄성부재(35)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사, 띠 형상의 폴리우레탄 필름, 실 형상 또는 띠 형상의 천연고무 등이 이용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우레탄사가 측벽부 탄성부재(35)로서 이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외장시트 본체(40)의 제1 외장시트(41), 제2 외장시트(42) 및 엔드시트(5)로서는 백시트(23)와 마찬가지로,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고, 혹은, 이것들의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적층시트가 이용된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투습성(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외장시트(41), 제2 외장시트(42) 및 엔드시트(5)로서 탑시트(21)와 마찬가지로,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나 친수 처리한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투액성의 부직포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재료를 용융해서 형성된 스판본드 부직포가 제1 외장시트(41) 및 제2 외장시트(42)로서 이용된다. 여기에서, 당해 재료 중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비율은 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alate), 또는, PTT(Polytrimethyleneterephtalate)이다. 당해 부직포의 섬도는 1.0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dtex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는 당해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5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5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외장시트(4)의 제1 외장시트(41)는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서 착용자측으로 되접어지는 접이부(46)를 구비한다. 접이부(46)의 하단(461)은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421), 및, 엔드시트(5)의 상단(51)보다도 하측, 또한, 흡수체(20)의 상단(25)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부 및 엔드시트(5)의 상단부는 제1 외장시트(41)의 접이부(46)에 대향하는 부위인 대향부(47)와, 접이부(46) 사이에 삽입되고, 접이부(46)는 대향부(47) 및 엔드시트(5)의 상단부에 접합된다.
접이부(46)와 대향부(47) 사이에는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를 따라서 허리부 탄성부재(44)가 배치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에 접합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허리부 탄성부재(44)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외장시트 본체(40)가 수축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허리부 개구 개더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부 탄성부재(4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개의 탄성사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이부(46)의 상단인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 가까운 2개의 탄성사를 「제1 탄성사(441)」라고 하고, 제1 탄성사(441)의 하측에 위치하는 4개의 탄성사를 「제2 탄성사(442)」라고 한다. 또, 2개의 제1 탄성사(441)를 합쳐서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라고 하고, 4개의 제2 탄성사(442)를 합쳐서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라고 부른다. 즉, 허리부 탄성부재(44)는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 및,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를 구비한다.
2개의 제1 탄성사(441)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 각각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4개의 제2 탄성사(442)는 상하방향으로 대략 동등한 간격의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제1 탄성사(441)에 각각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탄성사(44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 즉, 2개의 제1 탄성사(441) 사이의 상하방향의 거리는 제2 탄성사(44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 즉, 상하에 인접하는 각 2개의 제2 탄성사(442) 사이의 상하방향의 거리보다도 크다. 이렇게, 제1 탄성사(441)의 피치 및 제2 탄성사(442)의 피치는 서로 상위한다. 제1 탄성사(441)의 피치 및 제2 탄성사(442)의 피치는 예를 들면, 각각 7mm 및 3.5mm이다. 또, 하측의 제1 탄성사(441)와 가장 상측의 제2 탄성사(442) 사이의 상하방향의 거리는 2개의 제1 탄성사(441)간의 상하방향의 거리(제1 탄성사(441)의 피치)에 대략 동등하다.
2개의 제1 탄성사(441), 및, 4 개의 제2 탄성사(442) 중 상측의 2개의 제2 탄성사(442)는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421) 및 엔드시트(5)의 상단(51)보다도 상측에서 제1 외장시트(41)의 접이부(46)와 대향부(47) 사이에 배치되고, 접이부(46) 및 대향부(47)에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4개의 제2 탄성사(442) 중 하측의 2개의 제2 탄성사(442)는 제2 외장시트(42)의 상단(421) 및 엔드시트(5)의 상단(51)보다도 하측에서 접이부(46)와 엔드시트(5) 사이에 배치되고, 접이부(46) 및 엔드시트(5)에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외장시트(4)에 있어서 허리부 탄성부재(44)가 배치되는 영역을 「허리둘레 영역(406)」이라고 하고,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를 따르른 띠 형상의 영역인 허리둘레 영역(406) 중,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 및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가 각각 배치되는 영역을 「제1 허리둘레 영역(407)」 및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이라고 하면,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은 허리둘레 영역(406)의 상부의 띠 형상의 영역이고,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은 허리둘레 영역(406)의 하부의 띠 형상의 영역이고,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의 하측에 위치한다.
허리둘레 영역(40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외장시트(41)의 접이부(46) 및 대향부(47), 제2 외장시트(42) 및 엔드시트(5)인 복수의 시트부재가 적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허리둘레 영역(407) 및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상부는 제1 외장시트(41)의 접이부(46) 및 대향부(47)에 의해 형성되고,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부는 접이부(46), 대향부(47), 제2 외장시트(42) 및 엔드시트(5)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는 2이고,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부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인 4보다도 적다.
구체적으로는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로부터, 하측의 제1 탄성사(441)와 가장 상측의 제2 탄성사(442)와의 상하방향의 중앙에 이르는 영역이다. 또,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은 하측의 제1 탄성사(441)와 가장 상측의 제2 탄성사(442)와의 상하방향의 중앙(즉,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의 하단)으로부터, 가장 하측의 제2 탄성사(442)보다도 제2 탄성사(442)의 피치의 반 정도의 거리만큼 하측의 위치에 이르는 영역이다.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단은 접이부(46)의 하단(461)(도 5 참조)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허리둘레 영역(406)은 흡수체(20)의 상단(25)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허리둘레 영역(406)의 상하방향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 탄성부재(43)는 한 쌍의 다리부 개구(12)의 엣지(121)를 따라서 배치되고, 외장시트(4)의 제1 외장시트(41)와 제2 외장시트(42)(도 4 참조) 사이에 접합된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43)의 양측의 상단부는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에 접합되고, 각 다리부 탄성부재(43)의 양상단부의 사이의 중앙부는 외장시트 본체(40)의 가랑이 하부(402)에 접합된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43)는 복수의 다리부 탄성사(431)를 구비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다리부 탄성부재(43)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외장시트 본체(40)가 수축하고,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접하는 다리부 개더가 형성된다.
중간 탄성부재(45)는 허리부 탄성부재(44)와 다리부 탄성부재(43)의 상단부와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부(401) 및 후방부(403)에 접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탄성부재(45)는 제1 외장시트(41)와 제2 외장시트(42)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탄성부재(45)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허리부 탄성부재(44)의 제1 탄성사(441) 및 제2 탄성사(442)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2개)의 중간 탄성사(451a, 451b)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탄성사(442)에 가까운 상측의 2개의 중간 탄성사를 「제1 중간 탄성사(451a)」라고 하고,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하측에 위치하는 10개의 중간 탄성사를 「제2 중간 탄성사(451b)」라고 부른다. 또, 2개의 제1 중간 탄성사(451a)를 합쳐서 「제1 중간 탄성부재(45a)」라고 하고, 10개의 제2 중간 탄성사(451b)를 합쳐서 「제2 중간 탄성부재(45b)」라고 부른다. 즉, 중간 탄성부재(45)는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중간 탄성부재(45a), 및, 제1 중간 탄성부재(45a)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중간 탄성부재(45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간격은 3.5mm이다. 또, 서로 인접하는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간격은 상하방향을 따라서 7mm 및 14mm로 교호로 변경된다. 환언하면, 7mm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중간 탄성사(451b)를 제2 중간 탄성사 쌍으로 하고, 복수의 제2 중간 탄성사 쌍이 14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렇게, 상하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배열의 규칙성은 복수의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배열의 규칙성과 상위한다. 또, 제2 중간 탄성사(451b)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중간 탄성부재(45)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외장시트 본체(40)가 수축하고, 착용자의 하복부 및 둔부에 접하는 중간 개더가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장시트(4)에 있어서 중간 탄성부재(45)가 배치되는 띠 형상의 영역을 「중간탄성 영역(409)」이라고 부른다. 구체적으로는, 중간탄성 영역(409)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제1 중간 탄성사(451a)로부터 가장 하측의 제2 중간 탄성사(451b)에 이르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중간탄성 영역(409)도 허리둘레 영역(406)과 마찬가지로 흡수체(20)의 상단(25)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 거의 병행한 띠 형상의 중간탄성 영역(409) 중, 제1 중간 탄성부재(45a) 및 제2 중간 탄성부재(45b)가 각각 배치되는 영역을 「제1 중간탄성 영역(409a)」 및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이라고 부르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은 중간탄성 영역(409)의 상부의 띠 형상의 영역이고,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은 중간탄성 영역(409)의 하부의 띠 형상의 영역이고,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의 하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은 상하방향에 관해서, 가장 상측의 제1 중간 탄성사(451a)로부터 하측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와 가장 상측의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중앙에 이르는 영역이다.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은 상하방향에 관해서, 하측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와 가장 상측의 제2 중간 탄성사(451b)과의 중앙(즉,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의 하단)로부터, 가장 하측의 제2 중간 탄성사(451b)에 이르는 영역이다.
외장시트(4)(의 외장시트 본체(40))에 있어서 제2 허리둘레 영역(408)과 중간탄성 영역(409) 사이에는 어떠한 탄성부재도 배치되지 않는 보조영역(410)이 형성된다. 보조영역(410)의 상단은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단과 접하고, 보조영역(410)의 하단은 중간탄성 영역(409)의 상단과 접한다.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보조영역(410)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제2 탄성사(442)의 피치의 2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제2 탄성사(442)의 피치의 3배 이상이고, 허리둘레 영역(406)의 상하방향의 폭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영역(410)의 폭은 10mm이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허리부 탄성부재(44)의 모든 제1 및 제2 탄성사(441, 442), 및, 제1 중간 탄성부재(45a)의 모든 제1 중간 탄성사(451a)가 다른 탄성부재(즉, 제2 중간 탄성부재(45b) 및 다리부 탄성부재(43))에 있어서의 탄성사와는 다른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다른 탄성부재의 탄성사는 외장시트 본체(40)와 동일 계통의 색(예를 들면, 백색)을 가지는 것에 대해, 제1 및 제2 탄성사(441, 442), 및, 제1 중간 탄성사(451a)는 외장시트 본체(40)와는 다른 계통의 색을 갖는다. 따라서 보조영역(410)의 대략 상단이,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단근방의 제2 탄성사(442)에 의해 시인 가능하게 되고, 보조영역(410)의 하단이 중간탄성 영역(409)의 상단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에 의해 시인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영역(410)이 실질적으로 시인 가능하게 된다. 또, 외장시트 본체(40)의 보조영역(410) 상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패턴을 인쇄하는 등 해서, 보조영역(410)이 시인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부 탄성부재(44)의 복수의 제1 탄성사(441) 및 복수의 제2 탄성사(442), 다리부 탄성부재(43)의 복수의 다리부 탄성사(431)(도 1 및 도 2 참조), 및, 중간 탄성부재(45)의 복수의 중간 탄성사(451a, 451b)는 모두, 탄성율 및 섬도가 동일한 폴리우레탄사이다. 당해 폴리우레탄사의 섬도는 예를 들면 100∼2500dtex이다. 물론, 이것들의 탄성사에 있어서의 섬도는 서로 상위할 수도 있고, 다른 바람직한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940dtex의 제1 및 제2 탄성사(441, 442), 및, 640dtex의 중간 탄성사(451a, 451b)가 이용된다.
또, 이것들의 탄성사는 열융착 접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외장시트 본체(4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사(441)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제1 탄성사(441)가 외장시트 본체(40)에 고정된다. 허리부 개구(11)의 가장자리의 촉감을 좋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외장시트 본체(40)(제1 외장시트(41) 및 접이부(46))의 제1 허리둘레 영역(407) 자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서는 제2 탄성사(442), 및, 외장시트 본체(40)의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쌍방 또는 한쪽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이부(46)의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이부(46)가 대향부(47) 및 엔드시트(5)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제1 허리둘레 영역(407) 및 보조영역(410) 자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다. 중간탄성 영역(409)에 있어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중간 탄성부재(45)의 중간 탄성사(451a, 451b)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에 의해, 외장시트 본체(40)의 중간탄성 영역(409) 자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중간 탄성사(451a, 451b)가 외장시트 본체(4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일부의 중간 탄성사(451a, 451b)에 있어서,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근방의 부위, 즉, 양단부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탄성사(441)의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은 제2 탄성사(442)의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과 동등하다. 또,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1 탄성사(441)의 개수, 즉, 제1 탄성사(441)의 총개수를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의 상하방향의 폭으로 나눈 값은,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2 탄성사(442)의 개수보다도 적다. 이 때문에,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이 착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1 단위수축력은,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다.
이에 따라, 허리둘레 영역(406) 중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이 착용자의 허리부에 밀착하는 동시에,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이 착용자의 허리부에 비교적 부드럽게 접한다. 그 결과,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단위수축력을 비교적 작게 설정하는 대신에 제2 단위수축력을 비교적 크게 설정해서 허리둘레 영역(406) 전체로서의 수축력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제1 허리둘레 영역(407) 및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을 착용자에게 밀착시키고, 착용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위수축력은 제2 단위수축력의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위수축력의 약 50%이다.
여기에서, 팬티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의 착탈에서는 착용자의 양 다리를 일회용 기저귀의 한 쌍의 다리부 개구에 삽입한 후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위로 올린다, 혹은, 착용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내리는 것이 수행된다. 이 때, 허리부 개구의 엣지가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걸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허리부 개구를 크게 넓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단위수축력이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은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작은 힘에 의해 허리부 개구(11)의 가장자리를 크게 넓힐 수 있고, 일회용 기저귀(1)을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착용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허리둘레 영역(406) 전체의 단위폭당의 수축력은 바람직하게는 1cN/mm 이상(더 바람직하게는, 2cN/mm 이상)이다. 허리둘레 영역(406)전체의 단위폭당의 수축력의 측정은 A&D Compnay, Limited의 「TENSILON(형번: RTG-1210)」을 측정기기로 사용해서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또, 제1 단위수축력, 제2 단위수축력, 및, 후술하는 중간 단위수축력의 측정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1)의 허리둘레 영역(406)을 상하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절단해서 시험편을 얻는다. 계속해서, 시험편의 좌우방향(즉, 제1 탄성사(441) 및 제2 탄성사(442)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단을 측정기기의 클램프부로 파지하고, 시험편을 좌우방향으로 잡아 당기고, 또,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까지의 하중을 측정한다. 이 때, 시험편은 제1 탄성사(441) 및 제2 탄성사(442)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의 시험편의 좌우방향의 길이(즉, 수축하지 않는 상태의 길이)의 90%까지 잡아 당겨진다. 시험편의 신축 및 하중의 측정은 복수 회 반복된다. 다음에, 각 측정결과로부터, 시험편의 길이가 잡아 당기기 전의 시험편의 길이(즉, 제1 탄성사(441) 및 제2 탄성사(442)에 의해 수축하고 있는 시험편의 길이)의 180%가 되는 시점의 하중을 산출하고, 당해 하중의 복수 회의 측정의 평균값인 평균하중을 산출한다. 그리고 당해 평균하중을 시험편의 상하방향의 폭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시험편의 단위폭당의 수축력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시트(4)에서는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를,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보다도 적게 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시트부재의 층수를 적게 해서 강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작은 힘에 의해 허리부 개구(11)의 가장자리를 크게 넓힐 수 있다.
또, 외장시트(4)의 제1 외장시트(41)이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에서 되접어져 접이부(46)가 형성되고, 허리부 탄성부재(44)가 접이부(46)와 대향부(47)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 및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13)의 상단부가 연속하는 시트부재의 접은 금인 것에 의해, 시트부재의 절단가장자리인 경우와 비교해서, 착용자의 피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허리둘레 영역(406)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탄성사(44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를 복수의 제2 탄성사(44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제1 단위수축력을,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중간 탄성사(451a, 451b)의 중간탄성 영역(409)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은 제1 탄성사(441)의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과 동일하거나, 또는, 당해 신장율보다도 작다. 또, 중간탄성 영역(409)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중간 탄성사(451a, 451b)의 개수(평균적인 개수)는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1 탄성사(441)의 개수보다도 적다. 이 때문에,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중간탄성 영역(409)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평균적인 수축력인 중간단위수축력은 상기한 제1 단위수축력 및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중간탄성 영역(409)에서는 착용자의 피부가 과도하게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으로의 밀착이 실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시트(4)에 있어서, 제2 허리둘레 영역(408)과 중간탄성 영역(409) 사이의 보조영역(410)에는 어떠한 탄성부재도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보조영역(410)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이, 중간단위수축력, 제1 단위수축력 및 제2 단위수축력의 어느 것보다도 작아진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의 착탈에 있어서, 보조영역(410)에 손끝을 깊게 걸고 일회용 기저귀(1)을 확실히 쥐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고,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보조영역(410)이 시인 가능하는 것에 의해, 보조영역(410)을 용이하게 인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보조영역(410)에 손끝을 건다는 관점에서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보조영역(410)의 폭은 7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탄성 영역(409)을 제1 중간탄성 영역(409a) 및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으로 세분화했을 경우에,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은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과 동등하다. 또,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개수는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개수보다도 많다. 따라서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은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보다도 크다.
보조영역(410)에 큰 힘이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일회용 기저귀(1)의 착탈에 있어서, 보조영역(410)에 인접하는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수축력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의 하측의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의 수축력보다도 큰 것에 의해, 보조영역(410)의 일부를 위로 올렸을 때에,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의 둘체 전체가 추종해서 올리기 쉬워져, 일회용 기저귀(1)를 부드럽게 위로 올릴 수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제1 중간 탄성사(451a) 및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접합시에 있어서의 신장율을 동일하게 하고,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피치를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피치(평균적인 피치)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수축력을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있어서의 수축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은 제2 탄성사(442)의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대한 접합시의 신장율과 동등하고,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개수는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제2 탄성사(442)의 개수에 대략 동등하다. 따라서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좌우방향의 수축력은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제2 단위수축력과 대략 동등하다(예를 들면, 양자의 차이가, 한쪽의 수축력의 10%이하이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보조영역(410)의 양측의 제2 허리둘레 영역(408) 및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이 대략 동일한 압력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고, 착용자의 피부가 국소적으로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제1 중간 탄성사(451a) 및 제2 탄성사(442)의 접합시에 있어서의 신장율을 동등하게 하고,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피치를 제2 탄성사(442)의 피치와 동등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수축력을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제2 단위수축력과 동등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제1 단위수축력이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은 것이라면, 제1 탄성사(441) 및 제2 탄성사(442)의 개수는 적당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가 1개의 제1 탄성사(441)만을 가지는 경우,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의 상단은 허리부 개구(11)의 엣지(111)이고, 제1 허리둘레 영역(407)의 하단은 당해 제1 탄성사(441)와 가장 상측의 제2 탄성사(442) 사이의 상하방향의 중앙의 위치다. 또,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가 1개의 제2 탄성사(442)만을 가지는 경우,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상단은 당해 제2 탄성사(442)와 가장 하측의 제1 탄성사(441) 사이의 상하방향의 중앙의 위치이고, 제2 허리둘레 영역(408)의 하단은 당해 상단과 제2 탄성사(442) 사이의 상하방향의 거리만큼 제2 탄성사(442)보다도 하측의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제1 중간 탄성사(451a) 및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복수의 제1 탄성사(44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를 복수의 제2 탄성사(44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있어서의 제1 단위수축력을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있어서의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하고 있지만, 제1 단위수축력이 다른 수법에 의해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되는 경우, 제1 탄성사(441)의 피치는 제2 탄성사(442)의 피치 이하일 수도 있다(제1 중간 탄성사(451a)의 피치 및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피치에 있어서 동일).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의 복수의 제1 탄성사(441)를 제1 허리둘레 영역(407)에 대해서 접합할 때의 각 제1 탄성사(441)의 신장율을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의 복수의 제2 탄성사(442)를 제2 허리둘레 영역(408)에 대해서 접합할 때의 각 제2 탄성사(442)의 신장율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단위수축력이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제1 단위수축력을 용이하게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중간 탄성부재(45a)의 복수의 제1 중간 탄성사(451a)를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대해서 접합할 때의 각 제1 중간 탄성사(451a)의 신장율을, 제2 중간 탄성부재(45b)의 복수의 제2 중간 탄성사(451b)를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대하여 접합할 때의 각 제2 중간 탄성사(451b)의 신장율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수축력이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있어서의 수축력보다도 크게 될 수 있다. 것들의 탄성사의 신축률의 바람직한 범위는 예를 들면 1.1∼5.0배이다.
또, 제1 허리부 탄성부재(443)로서 제2 허리부 탄성부재(444)의 각 제2 탄성사(442)보다도 탄성율이 작은 제1 탄성사(441)가 이용되는 것에 의해, 혹은, 각 제2 탄성사(442)보다도 섬도가 작은 제1 탄성사(441)가 이용되는 것에 의해, 제1 단위수축력이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될 수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제1 단위수축력을 용이하게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중간 탄성부재(45a)로서 제2 중간 탄성부재(45b)의 각 제2 중간 탄성사(451b)보다도 탄성율이 큰 제1 중간 탄성사(451a)가 이용되는 것에 의해, 혹은, 각 제2 중간 탄성사(451b)보다도 섬도가 큰 제1 중간 탄성사(451a)가 이용되는 것에 의해, 제1 중간탄성 영역(409a)에 있어서의 수축력이 제2 중간탄성 영역(409b)에 있어서의 수축력보다도 용이하게 크게 될 수 있다.
이상,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외장시트(4)를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보조영역(410)에 있어서의 수축력이, 중간단위수축력, 제1 단위수축력 및 제2 단위수축력의 어느 것보다도 작아지는 것이라면, 보조영역(410)에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부 탄성부재(43), 허리부 탄성부재(44) 및 중간 탄성부재(45)로서는 사이드시트(3)의 측벽부 탄성부재(35)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띠 형상의 폴리우레탄 필름, 실 형상 또는 띠 형상의 천연고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의 촉감을 좋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섬유로 피복된 폴리우레탄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단위수축력은, 제1 단위수축력 및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지만, 허리둘레 영역(406)전체의 단위폭당의 수축력을 적절한 크기로 하는 것에 의해, 착용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상하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는 것이라면, 중간단위수축력은 제1 단위수축력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의 일회용 기저귀(1)의 구조는 일회용 기저귀이 외의 팬티타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은 서로 모순하지 않는 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발명을 상세하게 묘사해서 설명했지만,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수의 변형이나 형태가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 4: 외장시트
5: 엔드시트 11: 허리부 개구
12: 다리부 개구 13: 띠 형상 돌출부
20: 흡수체 25: 상단
43: 다리부 탄성부재 44: 허리부 탄성부재
45: 중간 탄성부재 45a: 제1 중간 탄성부재
45b: 제2 중간 탄성부재 46: 접이부
47: 대향부 111, 121: 엣지
400: 접속선 401: 전방부
402: 가랑이 하부 403: 후방부
404, 405: 부위 406: 허리둘레 영역
407: 제1 허리둘레 영역 408: 제2 허리둘레 영역
409: 중간탄성 영역 409a: 제1 중간탄성 영역
409b: 제2 중간탄성 영역 410: 보조영역
441: 제1 탄성사 442: 제2 탄성사
443: 제1 허리부 탄성부재 444: 제2 허리부 탄성부재

Claims (15)

  1. 팬티타입의 흡수성 물품으로써,
    상단에 허리부 개구를 가지고, 하부에 한 쌍의 다리부 개구를 가지는 외장시트와,
    상기 외장시트의 착용자측에 형성되어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시트가,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하고, 양측단이 상기 전방부의 양측단과 접속되는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로부터 연속하는 가랑이 하부와,
    상기 전방부의 상기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부위의 내면과, 상기 후방부의 상기 양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속하는 부위의 내면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써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의 접속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돌출부와,
    상기 허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르는 허리둘레 영역에서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허리부 개구 개더를 형성하는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 개구의 엣지를 따라서 상기 가랑이 하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 개구 개더를 형성하는 다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다리부 탄성부재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수축하는 것에 의해 중간 개더를 형성하는 중간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허리둘레 영역의 상부인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허리부 탄성부재와,
    상기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의 하측의 영역인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허리부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상하방향으로 수직된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1 단위수축력이,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인 제2 단위수축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둘레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둘레 영역의 상기 상하방향의 폭이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시트가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서 착용자측으로 되접어지는 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외장시트의 상기 접이부에 대향하는 부위와 상기 접이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둘레 영역이 복수의 시트부재가 적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가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부재의 층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수축력이 상기 제2 단위수축력의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 각각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탄성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허리부 탄성부재가 상기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탄성사에 각각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탄성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탄성사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상기 복수의 제2 탄성사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 허리둘레 영역에 대한 접합 시의 신장율이 상기 제2 허리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에 대한 접합 시의 신장율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의 탄성율이 상기 제2 허리부 탄성부재의 탄성율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부 탄성부재의 섬도가 상기 제2 허리부 탄성부재의 섬도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2 허리둘레 영역과, 상기 중간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중간탄성 영역 사이에 보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 및, 상기 제1 단위수축력 및 상기 제2 단위수축력의 어느 것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에 어떠한 탄성부재도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이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탄성부재가,
    상기 중간탄성 영역의 상부인 제1 중간탄성 영역에, 상기 허리부 개구의 상기 엣지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중간 탄성부재와,
    상기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중간탄성 영역의 하측의 영역인 제2 중간탄성 영역에, 상기 제1 중간 탄성부재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중간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제2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시트를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단위폭당의 상기 좌우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제2 단위수축력과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47019147A 2011-12-28 2012-11-29 흡수성 물품 Active KR101574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7454 2011-12-28
JP2011287454 2011-12-28
PCT/JP2012/080876 WO2013099510A1 (ja) 2011-12-28 2012-11-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746A true KR20140102746A (ko) 2014-08-22
KR101574683B1 KR101574683B1 (ko) 2015-12-04

Family

ID=4869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147A Active KR101574683B1 (ko) 2011-12-28 2012-11-2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064763B2 (ko)
EP (1) EP2799053B1 (ko)
JP (1) JP5996555B2 (ko)
KR (1) KR101574683B1 (ko)
CN (1) CN104023688B (ko)
AU (1) AU2012359507B2 (ko)
CA (1) CA2861230C (ko)
DK (1) DK2799053T3 (ko)
MY (1) MY167655A (ko)
PH (1) PH12014501463B1 (ko)
SG (1) SG11201403453SA (ko)
TW (1) TWI466664B (ko)
WO (1) WO2013099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382B2 (ja) * 2012-05-15 2017-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9265669B2 (en) * 2013-10-31 2016-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fully encircling bodyside and garment-side waistband
WO2016029372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1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68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7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5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4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0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6668351B2 (ja) 2014-12-25 2020-03-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弾性ベルトを有する着用可能物品
JP6364346B2 (ja) * 2014-12-25 2018-07-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170079849A1 (en) * 2015-09-18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ped absorbent article having a belt portion
EP3410998B1 (en) * 2016-02-03 2021-0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7173644A1 (en) 2016-04-08 2017-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EP3439600B1 (en) 2016-04-08 2022-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rtwork
WO2018096736A1 (ja) * 2016-11-22 2018-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8094676A1 (en) * 2016-11-25 2018-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8094675A1 (en) * 2016-11-25 2018-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0744044B2 (en) 2017-02-03 2020-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1298273B2 (en) * 2017-02-03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0702424B2 (en) 2017-04-05 2020-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JP6462772B2 (ja) * 2017-06-05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82399B1 (ja) * 2017-06-16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7638250A (zh) * 2017-09-13 2018-01-30 杭州豪悦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女士护理裤
JP7057130B2 (ja) * 2017-12-28 2022-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9136432A (ja) * 2018-02-15 2019-08-2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7071150B2 (ja) * 2018-02-19 2022-05-1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12236111B (zh) * 2018-05-31 2022-06-28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19230982A1 (ja) * 2018-05-31 2019-12-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519757B2 (ja) * 2018-12-27 2024-07-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36917A1 (ja) * 2018-12-28 2020-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195549A (ja) * 2019-05-31 2020-12-1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58782B2 (ja) * 2019-05-31 2023-10-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58783B2 (ja) * 2019-05-31 2023-10-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2021294A1 (en) 2020-07-31 2022-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laminate
CN116348077B (zh) 2020-07-31 2024-12-13 宝洁公司 包括具有良好芯吸特性的弹性层合体的可穿着制品
CN115867239A (zh) * 2020-07-31 2023-03-28 宝洁公司 包括具有亲水内部纤维网和外部纤维网的弹性带层合体的可穿着制品
CN111938917A (zh) * 2020-08-13 2020-11-17 晋江海纳机械有限公司 一种纸尿裤生产方法及生产系统
CN113017991A (zh) * 2021-03-03 2021-06-25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弹性腰围无纺布及其成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7824U (en) 1996-05-07 1999-08-21 Uni Charm Cor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of pants type
US7625829B1 (en) 1999-08-30 2009-12-01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ear resistant elastic laminate and method of forming
JP3914673B2 (ja) 1999-12-27 2007-05-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JP3875507B2 (ja) * 2001-04-06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40102757A1 (en) 2002-11-21 200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n elastic waistband and easy tear side seams
JP4652724B2 (ja) * 2003-08-19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569039B2 (en) 2003-11-19 2009-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7322967B2 (en) * 2004-02-10 2008-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disposable garment
EP1774936B1 (en) 2004-07-30 2011-06-29 Kao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l diaper
JP4519022B2 (ja) 2004-07-30 2010-08-04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8057455B2 (en) 2004-11-30 2011-11-15 Daio Paper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KR101255592B1 (ko) 2005-05-09 2013-04-16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WO2006134918A1 (ja) 2005-06-16 2006-12-21 Daio Paper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4346596B2 (ja) 2005-09-30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744579B2 (en) 2005-06-29 2010-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roviding a better fit and more comfort to a wearer
JP4833646B2 (ja) 2005-11-28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26641B2 (ja) 2006-01-25 2011-07-2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8308706B2 (en) * 2007-02-28 2012-11-13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118909B2 (ja) 2007-07-13 2013-01-16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144229B2 (ja) 2007-11-19 2013-02-13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144228B2 (ja) * 2007-11-19 2013-02-13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306689B2 (ja) 2008-03-31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1795651B (zh) 2008-03-31 2013-12-25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尿布
JP2009285196A (ja) 2008-05-29 2009-12-10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253064B2 (ja) 2008-09-18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612275B2 (ja) 2009-05-29 2014-10-2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GB2474587B (en) * 2010-11-05 2011-10-05 Unicharm Corp Disposable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6482A (zh) 2013-09-16
EP2799053B1 (en) 2017-05-10
MY167655A (en) 2018-09-21
US20140358110A1 (en) 2014-12-04
HK1197172A1 (en) 2015-01-09
JP5996555B2 (ja) 2016-09-21
DK2799053T3 (en) 2017-07-31
PH12014501463B1 (en) 2018-04-20
KR101574683B1 (ko) 2015-12-04
CN104023688B (zh) 2015-08-19
EP2799053A1 (en) 2014-11-05
JPWO2013099510A1 (ja) 2015-04-30
CN104023688A (zh) 2014-09-03
AU2012359507B2 (en) 2015-01-22
EP2799053A4 (en) 2015-09-09
CA2861230A1 (en) 2013-07-04
PH12014501463A1 (en) 2014-10-08
AU2012359507A1 (en) 2014-07-24
WO2013099510A1 (ja) 2013-07-04
TWI466664B (zh) 2015-01-01
CA2861230C (en) 2016-11-29
SG11201403453SA (en) 2014-10-30
US10064763B2 (en)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683B1 (ko) 흡수성 물품
EP2590606B1 (en) Disposable diaper
CA2713635C (en) Absorbent product
KR101579186B1 (ko) 흡수성 물품
EP2593060B1 (en) Disposable diaper
JP6112981B2 (ja) 吸収性物品
JP707115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051789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HK1197172B (en) Absorptive article
HK1177676B (en) Disposabl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