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9562A -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562A
KR20140089562A KR1020147014918A KR20147014918A KR20140089562A KR 20140089562 A KR20140089562 A KR 20140089562A KR 1020147014918 A KR1020147014918 A KR 1020147014918A KR 20147014918 A KR20147014918 A KR 20147014918A KR 20140089562 A KR20140089562 A KR 2014008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ourea
formula
aralkyl
formaldehyde
ar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075B1 (ko
Inventor
필립 우치엘
Original Assignee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8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4/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 C08G14/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 C08G14/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G14/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with phenols and monomer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4/08Ureas; Thio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57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having nitrogen in addition to sulfur
    • C08G18/3859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having nitrogen in addition to sulfur containing -N-C=S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54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32Urea, thiourea or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s; Urea-inclusion compounds; Dicyanamides; Carbodiimides; Guanidines, e.g. dicyandi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23Amino-aldehyde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23Amino-aldehyde resins
    • D06M15/429Amino-aldehyde resins modified by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ulfur in the main chain, e.g. polysulf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4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the form of a fo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6Condensation products or precondensation products prepared with aldehy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9Compounds containing carbonamide, thiocarbonamide or gua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염색 후의 상기 섬유재를,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비스페놀 축합물 또는 티오우레아/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METHOD OF INCREASING CHLORINE FASTNESS OF FIBER MATERIALS}
본 발명은, 염색된 천연 또는 합성 섬유재, 특히 폴리아미드(PA)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특정 티오우레아 유도체로 처리함으로써 증가시키는 방법, 및 당해 방법에서 보조제로서 이용 가능한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비스페놀 축합 생성물 및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에 관한 것이다.
염료를 사용하여 수득된 염색물 및 날염물은 흔히 각각 염소 및 차아염소산염에 대한 높은 수준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산성 염료는 염소에 의해 현저하게 열화되어 이들의 흡수 특성 및 이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초래된다. PA 직물,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직물 카펫에 대한 산성 염료에 기초한 그레이 삼색 염색의 색조는,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염의 작용에 의해 빠르게 황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결점은 일반적으로, 염색된 폴리아미드 섬유재를 천연 또는 합성 탄닌산 유도체로 처리함으로써 대처한다. 그러나, 염소에 대한 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상기 공지된 조성물들은, 예를 들면, 이들 대부분이 염색물의 색조를 강하게 변화시키고 광 견뢰도를 감소시키는 결점을 갖는다. 추가의 문제는, 염소 내성이 PA 6.6 편물에 대해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지만, 염색된 카펫의 경우에는 이들 화합물의 성능이 본질적으로 감소되어 요구사항들이 명백하게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를 특히 산성 염료로 처리하는 경우, 언급된 결점들을 갖지 않는 염소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이르러, 폴리아미드 섬유재 상의 염색물의 염소 견뢰도가, 상기 섬유재를 특별한 티오우레아 유도체들로 처리함으로써 기타 견뢰도 특성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약간 악영향을 미치면서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이러한 티오우레아 유도체들 중의 일부는 추가로 오염 차단제로서 작용하며; 즉, 이들은 처리된 섬유가 통상의 식품 착색제로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은,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염색 후의 상기 섬유재를,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 또는 화학식 1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헥사메틸렌 또는 화학식 2a, 2b, 2c, 2d 또는 2e:
화학식 2a
Figure pct00002
화학식 2b
Figure pct00003
화학식 2c
Figure pct00004
화학식 2d
Figure pct00005
화학식 2e
Figure pct00006
의 라디칼이고,
R1은 수소, -CO-NR2R3, -CO-O-N=CR4R5, -COOR6 또는 -CO-NH-CS-NH2이고,
여기서, R2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3은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4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5는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6은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다.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은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문헌[참조: H.S. Nalwa et al., Mat. Res. Bull., 18, 897-902 (198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티오우레아를 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로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합물의 분자량은 출발 물질들의 비율 및 반응 조건에 의존한다.
흔히, 올리고머성 축합물, 즉 2개 분자의 티오우레아와 2개 또는 3개 분자의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물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적용하기에 유용한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은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이다. 이들 축합 생성물의 제조에 적합한 비스페놀은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4,4'-디하이드록시디 페닐 에테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및, 특히, 비스페놀 S(4,4'-디하이드록시디 페닐 설폰)이다.
이들 화합물은 신규하며,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상기 축합 반응은 승온에서 알칼리 수용액에서 추출물들을 반응시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790,34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은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비스페놀 S 및 페놀-4-설폰산으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아민 축합물들 중에서, 테트라하이드로-5-n-부틸-(S)-트리아진티온 및 테트라하이드로-5-푸르푸릴-5-(S)-트리아진티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허청구된 방법에 적용 가능한 추가의 티오우레아 유도체는 티오우레아/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승온에서 유기 용매 중에서 티오우레아와 반응시키고, 경우에 따라, 후속적 가수분해 또는 아민 또는 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티오우레아의 반응 이전에,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일부를 차단제와 먼저 반응시켜,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상기 분자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생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트를 위한 차단제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페놀, 옥심, 락탐, 알코올, 아미드, 2급 및 장애 아민, 말론산 에스트레 유도체, 피라졸, 1,2,4-트리아졸, 중아황산염 부가물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한 차단제는 옥심, 특히 부타논 옥심이다.
바람직하게는, 1mol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0.5 내지 2.5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2mol의 티오우레아로부터 제조된 부가물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적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신규하며,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1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헥사메틸렌 또는 화학식 2a, 2b, 2c, 2d 또는 2e:
화학식 2a
Figure pct00008
화학식 2b
Figure pct00009
화학식 2c
Figure pct00010
화학식 2d
Figure pct00011
화학식 2e
Figure pct00012
의 라디칼이고,
R1은 수소, -CO-NR2R3, -CO-O-N=CR4R5 또는 -CO-NH-CS-NH2이고,
여기서, R2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3은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4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5는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다.
라디칼 R2, R3, R4 또는 R5로서의 C1-C6알킬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3급-부틸, n-펜틸, 네오펜틸 또는 n-헥실일 수 있다.
R2, R3, R4 또는 R5를 지정하는 아릴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적합한 아릴 그룹의 예는 페닐, 톨릴, 메시틸, 이시틸, 2-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2-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2,6-디클로로페닐, 2-아미노페닐, 3-아미노페닐, 4-아미노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나프틸 및 페난트릴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아르알킬"은 카보사이클릭 방향족 환을 함유하는 아르알킬 그룹, 및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환을 함유하는 아르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R2, R3, R4 또는 R5로서 카보사이클릭 방향족 환을 함유하는 아르알킬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특히 7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적합한 아르알킬 그룹의 예는 벤질, 2-페닐에틸, 톨릴메틸, 메시틸메틸 및 4-클로로페닐메틸이다.
R2, R3, R4 또는 R5로서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환을 함유하는 아르알킬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환에 4개 또는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그룹 O, S 및 N으로부터의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상기 헤테로방향족 잔기는, 예를 들면, 피롤릴, 푸릴, 티오페닐, 옥사졸릴, 티아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인돌릴, 푸리닐 또는 퀴놀릴일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환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아르알킬 그룹은 푸르푸릴이다.
R1이 수소, -CONH-푸르푸릴, -CO-N=C(CH3)(C2H5) 또는 -CO-NH-CS-NH2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예는 화학식 101 내지 107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101]
Figure pct00013
[화학식 102]
Figure pct00014
[화학식 103]
Figure pct00015
[화학식 104]
Figure pct00016
[화학식 105]
Figure pct00017
[화학식 106]
Figure pct00018
[화학식 107]
Figure pct00019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사용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는 유리하게는 카펫에 20 내지 200g/l,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g/l, 특히 30 내지 90g/l의 양으로 사용되고 PA 직물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g/l, 특히 10 내지 50g/l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폴리아미드 섬유재는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 또는 폴리아미드-6.6, 및 섬유 혼방물,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셀룰로스 섬유 혼방물, 폴리아미드/울 섬유 혼방물 또는 폴리아미드/엘라스탄 섬유 혼방물을 포함한다.
텍스타일 재료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섬유, 얀, 직물 또는 편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티오우레아 유도체들에 의한 폴리아미드 섬유재의 처리는, 흡진 공정(exhaust process) 및 패딩 공정(padding process)과 같은, 텍스타일 재료의 염색, 전처리 또는 마무리 공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특별한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의 염색 장치, 예를 들면, 개방 욕(open bath), 윈치 벡스(winch becks), 지그(jig) 또는 패들(paddle), 제트(jet) 또는 순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재는 패드 건조 열고착 공정(pad-dry thermofix peocess) 또는 포움 공정(foam peocess)에 따라 처리된다.
상기 포움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카펫 처리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처리가 포움 또는 패드 건조 열고착 공정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절차는 유리하게는 8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60℃, 특히 1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열고착 시간은, 예를 들면, 0.5 내지 15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분일 수 있다. 상기 액의 pH는 일반적으로 2 내지 7,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특히 3.5 내지 4.5이다.
상기 액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제 이외에도, 추가의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전해질,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 분산제 및 ?윤제, pH 조절제 및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허청구된 방법은 카펫의 처리에 특히 편리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섬유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처리된 재료의 내오염성(strain resistance)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염색 후의 상기 카펫을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염색 후의 상기 카펫을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및 폴리카복실산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다르게 구체화되지 않는 한, 온도는 섭씨로 제공되고, 부는 중량부이고, 퍼센티지는 중량%를 의미한다. 중량부는 kg 대 l와 같이 동일한 비율로 용적부와 관련된다.
I. 제조예
I.1. 티오우레아 ,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의 제조
32g(0.184mol)의 페놀설폰산(수 중의 65% 용액)을 40g의 물로 희석하고, 41g의 4N NaOH를 사용하여 pH 7.5로 중화시킨다. 상기 중화된 페놀설폰산 분산액을, 170g의 물 중의 52g(0.216mol)의 비스페놀 S 및 21.6g의 30% NaOH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14.6g(0.192mol)의 티오우레아를 첨가한 후에, 플라스크를 85℃로 가열한다. 이어서, 42.1g(0.519mol)의 37% 포름알데히드를 85℃에서 30분 이내에 도입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완만한 환류로 가열한다. 상기 생성물을 물로 희석시켜, 고형분 함량 25%의 투명한 황색 내지 담갈색 용액을 수득한다.
I.2. 티오우레아 ,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의 제조
32g(0.184mol)의 페놀설폰산(수 중의 65% 용액)을 40g의 물로 희석하고, 41g의 4N NaOH를 사용하여 pH 7.5로 중화시킨다. 상기 중화된 페놀설폰산 분산액을, 가압 반응기에 위치된 170g의 물 중의 52g(0.216mol)의 비스페놀 S 및 21.6g의 30% NaOH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14.6g(0.192mol)의 티오우레아를 첨가한 후에, 플라스크를 85℃로 가열한다. 이어서, 42.1g(0.519mol)의 37% 포름알데히드를 85℃에서 30분 이내에 도입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4시간 동안 120℃로 가열한다. 상기 생성물을 물로 희석시켜, 고형분 함량 25%의 투명한 황색 내지 담갈색 용액을 수득한다.
I.3. 티오우레아 , 포름알데히드, 비스페놀 S 및 4- 페놀설폰산의 축합 생성물의 제조
44.8g(0.257mol)의 페놀설폰산(수 중의 65% 용액)을 70g의 물로 희석하고, 54g의 4N NaOH를 사용하여 pH 7.5로 중화시킨다. 상기 중화된 페놀설폰산 분산액을, 가압 반응기에 위치된 170g의 물 중의 104g(0.431mol)의 비스페놀 S 및 42g의 30% NaOH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29.2g(0.394mol)의 티오우레아를 첨가한 후에, 플라스크를 85℃로 가열한다. 이어서, 70.5g(0.869mol)의 37% 포름알데히드를 85℃에서 30분 이내에 도입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4시간 동안 120℃로 가열한다. 상기 생성물을 물로 희석시켜, 고형분 함량 25%의 투명한 담갈색 용액을 수득한다.
I.4. 티오우레아 ,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
8.5g의 폴리메타크릴산 용액(ACUMER® 1850, 롬 앤 하스(Rohm and Haas)에 의해 공급됨)을 교반하에 실시예 I.3에서 제조된 90g의 생성물에 서서히 첨가한다. 흐린 용액을 수득한다.
I.5. 티오우레아 ,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
15g의 스티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용액(SMA® 1000 HNa, 사토머(SARTOMER)에 의해 공급됨, Mn = 2000, Mw = 5500)을 교반하에 실시예 I.3에서 제조된 85g의 생성물에 서서히 첨가한다. 투명한 용액을 수득한다.
I.6. 화학식 101의 티오우레아 /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139.2g(0.8mol)의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410ml의 2-부타논에 용해시킨다. 122.4g(1.6mol)의 티오우레아를 25 내지 30℃에서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기간 동안, 백색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80℃로 가열한다. 900ml의 물을 첨가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백색 분산액을 Baykanol® S(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바이엘(Bayer)에 의해 공급됨)의 존재하에 입자 크기 1㎛로 분쇄한다. 물을 첨가한 후에, 고형분 함량 23%의 점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I.7. 화학식 102/103의 티오우레아 /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87g(0.5mol)의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200㎖의 2-부타논에 용해시킨다. 38g(0.5mol)의 티오우레아를 25 내지 30℃에서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교반한 후 40℃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기간 동안, 백색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500㎖의 물을 첨가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이 후, 백색 분산액을 Baykanol® S의 존재하에 입자 크기 1㎛로 분쇄한다. 물을 첨가한 후에, 고형분 함량 20%의 점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I.8. 화학식 104/105의 티오우레아 /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130.5g(0.75mol)의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300ml의 2-부타논에 용해시킨다. 57g(0.75mol)의 티오우레아를 25 내지 30℃에서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교반시킨 후, 1시간 동안 40℃로 교반한다. 이 기간 동안, 백색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48.6g(0.5mol)의 푸르푸릴아민을 서서히 첨가하고(발열 반응),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80℃로 가열한다. 600ml의 물을 첨가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그 후, 백색 분산액을 Baykanol® S의 존재하에 입자 크기 1㎛로 분쇄한다. 물을 첨가한 후에, 고형분 함량 22%의 점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I.9. 화학식 106/107의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티오우레아 /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87g(0.5mol)의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250ml의 2-부타논에 용해시킨다. 17.4g(0.2mol)의 부타논 옥심을 25 내지 30℃에서 60분 이내에 첨가한다. 첨가 말기에, 상기 혼합물을 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60.8g(0.8mol)의 티오우레아를 40℃에서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이어서 80℃로 15시간 교반시킨다. 500㎖의 물을 백색 분산액에 첨가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그 후, 백색 분산액을 Baykanol® S의 존재하에 입자 크기 1㎛로 분쇄한다. 물을 첨가한 후에, 고형분 함량 22%의 점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II. 적용 실시예
II.1. PA 6 상의 착색 차단
PA 6 카펫 조각을 pH 6에서 0.069% TECTILON® 옐로우 MP-R(산성 염료, 헌츠만(HUNTSMAN) 공급), 0.041% TECTILON® 레드 2B(산성 염료, 헌츠만 공급) 및 0.081%의 TECTILON® 블루 4R-01(산성 염료, 헌츠만 공급)을 함유하는 염료 혼합물을 사용하여 염색한다. 그레이 컬러 카펫을 수득한다.
실시예 I.1 내지 I.5에서 제조된 70g/l의 생성물을 100%의 수율을 갖는 패드-건조-열고착 공정(건조 단계: 20분/80℃, 열고착 단계: 5분/150℃)에 따라 예비-염색된 PA 6 카펫 조각에 pH 4에서 적용한다.
이렇게 처리된 시험편을 AATCC 175-2003에 따르는 내오염성 시험 및 약간 변형된 AATCC 175-2003 시험에 따르는 염소 견뢰도 시험에 적용하고, 여기서, 10% Chlorox® 용액(약 6000ppm 활성 염소)을 염료 용액 대신 적용한다. 결과는 표 1에 요약한다.
내오염성 염소 견뢰도
처리되지 않음 1 1
실시예 I.1의 생성물로 처리됨 7 3
실시예 I.2의 생성물로 처리됨 7 3
실시예 I.3의 생성물로 처리됨 6 4 내지 5
실시예 I.4의 생성물로 처리됨 8 내지 9 4
실시예 I.5의 생성물로 처리됨 9 내지 10 3 내지 4
착색 시험 등급: 1 내지 10, 최고 등급: 10
염소 시험 등급: 1 내지 5, 최고 등급: 5
실시예 I.1 내지 I.5의 생성물을, 포움을 제조하기 위한 5g/l 디크릴란 포우머(Dicrylan Foamer) HP를 사용하는 포움 공정에 따라 염색된 카펫에 적용하고, 50℃에서 30분 건조시키고, 150℃에서 5분 경화시킨 경우에 유사한 결과들이 얻어졌다.
II.2. PA 6 상의 염소 견뢰도
실시예 I.6 내지 I.9의 생성물을, 예비-염색된 그레이 PA 6 카펫(실시예 II.1 참조)에 pH 4에서, 100%의 픽 업(pick up)을 갖는 패드-건조-열고착 공정(건조 단계: 20분/80℃, 열고착 단계: 5분/150℃)에 따라 적용한다.
이렇게 처리된 시험편을 실시예 II.1과 동일한 방법에 따르는 염소 견뢰도 시험에 적용한다. 결과는 표 2에 요약한다.
사용된 양[g/l] 염소 견뢰도
처리되지 않음 1
실시예 I.6의 생성물로 처리됨 60 4
실시예 I.7의 생성물로 처리됨 60 3
실시예 I.8의 생성물로 처리됨 60 3
실시예 I.9의 생성물로 처리됨 60 4
염소 견뢰도 시험 등급: 1 내지 5, 최고 등급: 5
II.3 PA 6.6 편물 상의 염소 견뢰도
PA 6.6 편물을 0.13% ERIONYL® 옐로우 A-3G(산성 염료, 헌츠만 공급) 및 0.089% ERIONYL® 블루 A-4G(산성 염료, 헌츠만 공급)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흡진 공정에 따라 염색한다.
상기 직물을 패드-건조-열고착 공정(건조 단계: 3분/110℃, 열고착 단계: 0.5분/180℃)에 따라 실시예 I.3, I.6 및 I.9에서 수득된 다수의 생성물로 처리한다. 염소 견뢰도는 ISO 105E03에 따라 측정하고, 결과는 표 3에 요약한다.
양[g/l] 염소 견뢰도 색조 변화[dE] 광 견뢰도
처리되지 않음 1 2.5
ERIONAL® CL로 처리됨 50 4.5 1.3 2.5
ERIONAL® CL로 처리됨 80 4.5 2.3 2
실시예 I.3의 생성물로 처리됨 50 4.5 0.8 3
실시예 I.3의 생성물로 처리됨 80 4.5 0.8 3
실시예 I.6의 생성물로 처리됨 50 4.5 0.8 3
실시예 I.6의 생성물로 처리됨 80 4 0.8 2.5
실시예 I.9의 생성물로 처리됨 50 4.5 0.8 3
실시예 I.9의 생성물로 처리됨 80 4.5 0.9 3
염소 견뢰도 시험 등급: 1 내지 5, 최고 등급: 5
광 견뢰도 시험 등급: 1 내지 5, 최고 등급: 5
ERIONAL® CL: 텍스타일 보조제(헌츠만 공급)

Claims (11)

  1.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색 후의 상기 섬유재를,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 또는 화학식 1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하는,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00020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헥사메틸렌 또는 화학식 2a, 2b, 2c, 2d 또는 2e:
    화학식 2a
    Figure pct00021

    화학식 2b
    Figure pct00022

    화학식 2c
    Figure pct00023

    화학식 2d
    Figure pct00024

    화학식 2e
    Figure pct00025

    의 라디칼이고,
    R1은 수소, -CO-NR2R3, -CO-O-N=CR4R5, -COOR6 또는 -CO-NH-CS-NH2이고,
    여기서, R2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3은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4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5는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6은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액이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을 함유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액이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을 함유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액이 화학식 1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함유하는, 방법.
  5.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 S의 축합 생성물.
  6.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비스페놀 S 및 페놀-4-설폰산의 축합 생성물.
  7. 화학식 1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6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헥사메틸렌 또는 화학식 2a, 2b, 2c, 2d 또는 2e:
    화학식 2a
    Figure pct00027

    화학식 2b
    Figure pct00028

    화학식 2c
    Figure pct00029

    화학식 2d
    Figure pct00030

    화학식 2e
    Figure pct00031

    의 라디칼이고,
    R1은 수소, -CO-NR2R3, -CO-O-N=CR4R5 또는 -CO-NH-CS-NH2이고,
    여기서, R2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3은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4는 수소,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고,
    R5는 C1-C6알킬, C6-C30아릴 또는 C7-C36아르알킬이다.
  8. 화학식 101 내지 107의 티오우레아/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학식 101]
    Figure pct00032

    [화학식 102]
    Figure pct00033

    [화학식 103]
    Figure pct00034

    [화학식 104]
    Figure pct00035

    [화학식 105]
    Figure pct00036

    [화학식 106]
    Figure pct00037

    [화학식 107]
    Figure pct00038
  9.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재가 패드-건조 열고착 공정(pad-dry thermofix peocess)에 따라 또는 포움 공정(foam peocess)에 따라 처리되는, 방법.
  10.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strain resistance)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색 후의 상기 카펫을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하는,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11.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색 후의 상기 카펫을 티오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및 비스페놀의 축합 생성물 및 폴리카복실산을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하는, 염색된 합성 폴리아미드 카펫의 내오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47014918A 2011-11-07 2012-10-16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Active KR101968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8092 2011-11-07
EP11188092.8 2011-11-07
PCT/EP2012/070475 WO2013068207A2 (en) 2011-11-07 2012-10-16 Method of increasing chlorine fast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562A true KR20140089562A (ko) 2014-07-15
KR101968075B1 KR101968075B1 (ko) 2019-08-13

Family

ID=470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918A Active KR101968075B1 (ko) 2011-11-07 2012-10-16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56423B2 (ko)
EP (1) EP2788543B1 (ko)
KR (1) KR101968075B1 (ko)
CN (1) CN103958767B (ko)
BR (1) BR112014010736B8 (ko)
ES (1) ES2655015T3 (ko)
PT (1) PT2788543T (ko)
TR (1) TR201802306T4 (ko)
WO (1) WO20130682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061A1 (en) * 2014-05-09 2015-11-12 Annecto Inc. System and method for geolocalized social networking
CN106400534A (zh) * 2016-08-31 2017-02-15 常熟市裕茗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珊瑚绒织物的染色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607A (en) * 1965-02-12 1969-02-18 Ciba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inely divided,insoluble and infusible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9823A (fr) 1969-12-03 1971-05-17 Bayer Ag Agents ameliorant la solidite au mouille
DE1964961B2 (de) 1969-12-24 1975-08-14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 polykondensaten
JPS511799A (en) * 1974-06-28 1976-01-08 Toyo Boseki Tennen mataha goseihoriamidoseniseihinno kaishitsukakoho
JPS63309682A (ja) * 1987-06-10 1988-12-16 東海染工株式会社 セルロ−ス系繊維含有構造体の塩素処理水に対する染色堅牢度向上法
US5252375A (en) * 1990-03-22 1993-10-12 Interface, Inc. Permanent stain resistant treatment for polyamide fibers
DE4014977A1 (de) * 1990-05-10 1991-11-14 Basf Ag Kondensationsprodukte aus phenolmonosulfonsaeuren, dihydroxydiphenylsulfonen, harnstoff und formaldehyd
JPH05171569A (ja) * 1991-12-24 1993-07-09 Asahi Chem Ind Co Ltd 変色に対する耐久性を有するポリアミド繊維製品
GB9409465D0 (en) * 1994-05-12 1994-06-29 Ciba Geigy Ag Protective use
JPH10131060A (ja) * 1996-11-01 1998-05-19 Konishi Kagaku Kogyo Kk ポリアミド系合成繊維の染料固着剤及びこの染料固着剤による被染色布の処理方法
EP0964096A2 (de) * 1998-06-11 1999-12-15 Ciba SC Holding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photochemischen und thermischen Stabilität von Färbungen und Drucken auf Polyesterfasermaterialien
US7329367B2 (en) * 2004-09-20 2008-02-12 Trichromatic Carpet Inc. Enhancement of durable soil release and soil resist, stain resist water and oil repellency and the softness of fibrous substrates, the substrates so treated and the treating composition
CN101629384B (zh) * 2008-07-18 2011-11-23 上海华峰超纤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浮色助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607A (en) * 1965-02-12 1969-02-18 Ciba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inely divided,insoluble and infusible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8767B (zh) 2017-05-17
BR112014010736B8 (pt) 2023-05-16
BR112014010736B1 (pt) 2021-05-04
CN103958767A (zh) 2014-07-30
WO2013068207A3 (en) 2013-07-11
BR112014010736A2 (pt) 2017-05-02
US20140259455A1 (en) 2014-09-18
PT2788543T (pt) 2018-02-26
ES2655015T3 (es) 2018-02-16
KR101968075B1 (ko) 2019-08-13
EP2788543A2 (en) 2014-10-15
WO2013068207A2 (en) 2013-05-16
US8956423B2 (en) 2015-02-17
EP2788543B1 (en) 2017-11-22
TR201802306T4 (tr)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68947B (no) Modifisert polymert sulfonert fenol-formaldehydkondensasjonsprodukt,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dette og anvendelse av dette
KR101968075B1 (ko) 섬유재의 염소 견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DE68920293T2 (de) Heterocyclische Dispersionsfarbstoffverbindung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m Färben oder Bedrucken hydrophober Fasern.
US5352372A (en) Textile resins with reduced free formaldehyde
EP2867402B1 (en)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dyeing or finishing fibrous materials
DE1965562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s- oder Imprägniermassen und ihre Verwendung
US5998306A (en) Methods of finishing textile materials
KR101276995B1 (ko) 플루오르화 화합물로 처리된 피혁
US6306958B1 (en) Aqueous dispersions for textile finishing
EP2483472B1 (en) Dyeing auxiliary
JPH07196631A (ja) 非染色及び染色又は捺染したポリエステル繊維材料を光化学的及び熱的に安定化する方法
AU3498899A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photo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of dyeings and prints on polyester fibre materials
KR101157417B1 (ko) 열안정성의 개선방법
US20070004849A1 (en) Method for the preliminary treatment of cellulose-containing textile
CN112724353A (zh) 一种超稳定聚氨酯防水剂及其制备方法
EP1670986B1 (de) Verfahren zur vorbehandlung von zellulosehaltigem textil
KR101565697B1 (ko) 파라아라미드 섬유의 염색성 향상을 위한 음이온화제 처리방법
EP1096058A2 (en) Formaldehyde condensate and fiber treatment agent containing it
CA2131431A1 (en) Polyisocyanate addition compounds containing cyanamide groups and their use
DE763183C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Echtheitseigenschaften von Direktfaerbungen
CN1942624A (zh) 纤维结构物的疏水化方法
WO2024012662A1 (en) Extender compounds for durable water repellence
TW202402861A (zh) 用於紡織物持久拒水性之非反應性增效劑化合物
DE1619630A1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geformten Gebilden auf der Grundlage von Polyolefinen
DE1694381A1 (de) Emulgiermittel fuer Silik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