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9266A -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266A
KR20140089266A KR1020130001333A KR20130001333A KR20140089266A KR 20140089266 A KR20140089266 A KR 20140089266A KR 1020130001333 A KR1020130001333 A KR 1020130001333A KR 20130001333 A KR20130001333 A KR 20130001333A KR 20140089266 A KR20140089266 A KR 2014008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agent
present
fragr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걸
이새롬
이새솔
Original Assignee
이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걸 filed Critical 이종걸
Priority to KR102013000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266A/ko
Publication of KR2014008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2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부한 인삼추출물과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손, 발 등에 영양을 공급,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고, 피부에 윤기를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장기간 보습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용제, 스킨 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점도 증강제, 보습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착색제 및 착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의 보습작용으로 효과적으로 피부의 탄력을 회복할 수 있고, 비타민 성분으로 피부, 손, 발 등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며, 피부 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피부, 손, 발 등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가 자생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노화 방지와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NOURISHING CREAM COMPOSITION FOR SKIN BEAUTY}
본 발명은 영양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풍부한 인삼추출물과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손, 발 등에 영양을 공급,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고, 피부, 손, 발 등에 윤기를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장기간 보습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기본적인 신진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막아주는 일차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장벽기능을 통한 보호작용, 체온조절작용, 감각작용, 분비 및 배설작용, 흡수작용, 저장작용, 재생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가장 손상을 받기 쉽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배기가스, 황사, 환경오염물, 중금속, 온도변화, 미생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통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함으로써, 항산화 방어체계를 붕괴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야기하게 된다.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인하여 공해와 환경오염 등을 통하여 여러 가지 피부손상요인이 발생하였고, 특히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오염물질이 피부에 착상됨으로 인한 체질 변화로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청결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비누로 세안을 하거나 잡티 및 노화방지를 위하여 여러 가지 화장품 등을 통하여 피부관리를 실행하였던 바, 상기와 같은 피부관리용 화장품들은 세안시 피부 모공에 담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세안제 및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마사지용품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피부세안제 및 마사지용품 등은 주로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으로 피부의 체질개선을 할 수 없을 뿐더러 오히려 피부를 산성화 시킴으로 피부에 악영향을 가져왔고, 피부체질이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자연에서 생산된 식물을 이용한 피부세안제나 마사지 용품 등이 개발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였으나, 이 또한, 자연식물은 화학적인 반응을 통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함으로써 근본적인 해결을 가질 수 없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적정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어야 외견상 부드럽고 유연하고 건강하게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수분 증발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표피의 상층부가 거칠고 건조하며 유연성이 저하된다. 피부의 건조 상태가 심화되면 각질이 과도하게 탈리되거나 갈라지기도 하며, 심각한 영우에는 아예 피부질환으로 분류된다. 또한, 건조한 피부에서는 각질 세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지질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며, 각질의 수분 보유력이 감소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건조한 피부는 단순히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피부에 LQN 보습제를 지속적으로 발라주면 피부의 건조 정도가 개선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피부 보습재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습하여 수분 함유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가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이나, 건조하기 쉽고 수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9138호(2006. 12. 19.공고)에서는 유효성분으로 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퍼옥시즘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피부보습인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이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 및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7296 호(2006. 06. 20.공개)에서는 자일리톨과 베타-글루칸을 동시에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일리톨과 베타-글루칸을 조합하여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 및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부한 인삼추출물과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손, 발 등에 영양을 공급,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고, 피부에 윤기를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 손, 발에 수분을 공급하여 장기간 보습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인삼의 보습작용으로 효과적으로 피부, 손, 발 등에 탄력을 회복할 수 있고, 비타민 성분으로 피부, 손, 발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며, 피부 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부, 손, 발 등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 등이 자생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피부 등의 노화 방지와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부 세포에 생성된 유해한 라디컬의 소거능이 탁월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세포내 항산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 조성물은, 용제, 스킨 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점도 증강제, 보습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착색제 및 착향료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는 쉐어버터, 토코페릴아세이트, 디메치콘, 미네랄오일, 윈터체리꽃 추출물, 인삼추출물, 너도밤나무싹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산자나무수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고, 상기 점도 증강제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보머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며,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고, 상기 킬레이트제(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 이디티에이를 포함하며, 상기 방부제는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Colorant)는 적색 227호(Cl 17200)를 포함하며, 상기 착향료는 향료(Fragrance)를 포함한다.
상기 용제는 상기 정제수를 82.30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는 상기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Shear Butter))를 0.05 중량%, 상기 토코페릴아세이트(Tocopheryl Acetate)를 0.001 중량%, 상기 디메치콘(Dimethicone)을 0.5 중량%, 상기 미네랄오일(Mineral Oil)을 6 중량%, 상기 윈터체리꽃 추출물(Withania Somnifera Flower Extract)을 0.01 중량%, 상기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을 0.01 중량%, 상기 너도밤나무싹 추출물(Fagus Sylvatica Bud Extract)을 0.001 중량%,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0.001 중량%, 상기 판테놀(Panthenol)을 0.001 중량%, 상기 산자나무수(Hippophae Rhamnoides Water)를 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상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를 0.1 중량%,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를 0.05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을 2.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을 1.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를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증강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는 상기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를 0.03 중량%, 상기 카보머(Carbomer)를 0.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Humectant)는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을 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는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을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상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0.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상기 디소듐 이디티에이(Disidium EDTA)를 0.0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Preservative)는 상기 메칠파라벤(Methylparaben)을 0.2 중량%, 상기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을 0.1 중량%,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Colorant)는 상기 적색 227호(Cl 17200)를 0.0000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향료(Fragrance)는 상기 향료(Fragrance)를 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풍부한 인삼추출물과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손, 발에 영양을 공급,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고, 피부, 손, 발 등에 윤기를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장기간 보습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인삼의 보습작용으로 효과적으로 피부의 탄력을 회복할 수 있고, 비타민 성분으로 피부, 손, 발 등, 특히, 손톱과 발톱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며, 피부 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피부, 손, 발 등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가 자생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노화 방지와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생성된 유해한 라디컬의 소거능이 탁월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세포내 항산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용제(Solvent),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계면활성제(Surfactant), 점도 증강제(Viscosity-Increasing Agent), 보습제(Humectant),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 pH 조절제(pH Adjuster),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방부제(Preservative), 착색제(Colorant) 및 착향료(Fragrance)를 포함한다.
상기 용제(Solvent)는 정제수를 채용한다. 상기 정제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되어 순수한 상태로 정제된 물을 의미한다. 상기 정제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이 변질되거나 부패,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소량의 금속이온은 영양크림 성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데, 상기 영양크림 성분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 속의 금속이온을 걸러낸 순도높은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온 교환법, 역삼투 방식 등이 있는데, 상기 정제수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사실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제수는 피부에 대한 침투력을 향상시키고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영양크림 조성물을 각질층에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82.306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피부에 보호피막을 형성시켜 미세먼지나 공해 및 매연 등과 같은 유해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피부속으로 유분을 침투시켜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해줌과 동시에 탄력있고 윤기있는 피부로 가꾸어 주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면역력 강화와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향상력을 높여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Shear Butter)), 토코페릴아세이트(Tocopheryl Acetate), 디메치콘(Dimethicone), 미네랄오일(Mineral Oil), 윈터체리꽃 추출물(Withania Somnifera Flower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너도밤나무싹 추출물(Fagus Sylvatica Bud Extract),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판테놀(Panthenol), 산자나무수(Hippophae Rhamnoides Water)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효능을 보면, 혈행 개선, 조혈작용, 심장 강하, 노화 방지, 혈압 정상화, 저하된 간기능 정상화, 위장병치료, 당뇨병 치료, 암의 예방 및 치유 증진, 항피로, 스트레스 해소, 알레르기성 체질 개선, 냉증 치료, 갱년기 장애 해소, 류머티즘 치료, 정력 강화, 두뇌 활동 촉진, 시력 개선, 피부미용 및 모발 개선, 알콜중독 해독 및 면역 기능 강화 등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 한편, 사포닌 성분은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성분이다(약 750 여종 식물). 상기 사포닌이란 수용액에서 비누처럼 미세한 거품을 내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상기 사포닌 성분은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므로 쉽게 거품을 내고 용혈작용을 나타낸다. 그런데, 인삼의 사포닌은 약성이 온화하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용혈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화학구조가 전혀 다르며, 인삼의 사포닌을 타 식물계 사포닌과 구별하기 위해 인삼(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부노화 방지, 주름개선 및 보습작용으로 효과적으로 피부의 탄력을 회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인삼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는 미량 함유되는 경우에는 보호피막의 형성효과가 미비하고, 일정량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의 건조감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Shear Butter))는 0.05 중량%, 상기 토코페릴아세이트(Tocopheryl Acetate)는 0.001 중량%, 상기 디메치콘(Dimethicone)은 0.5 중량%, 상기 미네랄오일(Mineral Oil)은 6 중량%, 상기 윈터체리꽃 추출물(Withania Somnifera Flower Extract)은 0.01 중량%, 상기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은 0.01 중량%, 상기 너도밤나무싹 추출물(Fagus Sylvatica Bud Extract)은 0.001 중량%,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0.001 중량%, 상기 판테놀(Panthenol)은 0.001 중량%, 상기 산자나무수(Hippophae Rhamnoides Water)는 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종래에는 상기한 성질 때문에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미셀(micelle)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미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미셀 온도(critical micelle temperature, 또는 Kraft 온도) 이상에서 형성된다. 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가 서로 맞닿은 경계면이다. 계면활성제란 이런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계면이 가지고 있던 표면장력은 약해진다. 하나의 분자내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진 화학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제용도에 많이 사용되는 것외에도 식품과, 화장품의 유화제, 보습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약간의 화학구조를 변형시킨 것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져 종류도 다양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해리되었을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특수계면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0.1 중량%,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0.05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2.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1.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증강제(Viscosity-Increasing Agent)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 조성물의 점도를 올려주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용도에 따라 수용성과 유용성이 있고, 성부의 기원에 따라 천연, 반합성 및 합성 점도 증강제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도 증강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카보머(Carbomer)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03 중량%, 상기 카보머(Carbomer) 0.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Humectant)는 피부의 보습작용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수분을 고정하는 보습 작용이 매우 탁월하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영양크림 그 자체의 수분보유제로서 작용하여, 계의 안정성의 유지에도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습제(Humectant)는 글리세린(Glyceri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유지가 가수 분해를 할 때 지방산과 함께 생성되거나 또는 석유로부터 합성되는 액체로서, 무색투명하고 점도가 높고 수분을 고정하는 보습 작용이 매우 탁월하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글리세린은 의약품, 폭약, 화장품 등의 원료나 기계류의 윤활제로 대량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미량 포함되는 경우에는 보습효과가 미비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풍성이 저하되어 땀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고 얼굴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는 난용성 물질을 용해도 이상으로 용해하는 물질로, 수상층에 오일을 가열하지 않고도 용해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용화제는 약간의 끈적임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는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안정화나 피부 안전성을 위해 사용되는 산(acid), 알칼리(alkail) 및 완충용액(buffer solution)을 의미한다.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 조성물에서 pH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0.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또는, 금속이온 봉쇄제)는 크림 형태로 제조되는 영양크림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또는, 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 이디티에이(Disidium EDT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또는, 금속이온 봉쇄제)는 미량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능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고, 일정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도 증강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또는 카보머(Carbomer)의 점도형성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소듐 이디티에이(Disidium EDTA)를 0.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Preservative)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이 장기간 변질됨이 없이 효능과 작용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미생물에 의해 영양크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보조제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부제(Preservative)로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Preservative)는 미량 함유된 경우에는 영양크림의 성분이 보관중에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거나 각화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0.2 중량%, 상기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1 중량%,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Colorant)는 영양크림의 외관이나 피부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용성, 유용성 색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색제(Colorant)로 적색 227호(Cl 172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색 227호(Cl 17200)는 0.00006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향료(Fragrance)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의 향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향료(Fragrance)는 향료(Fragran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향료(Fragrance)는 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용제, 스킨 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점도 증강제, 보습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착색제 및 착향료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는 쉐어버터, 토코페릴아세이트, 디메치콘, 미네랄오일, 윈터체리꽃 추출물, 인삼추출물, 너도밤나무싹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산자나무수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고,
    상기 점도 증강제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보머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며,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고,
    상기 킬레이트제(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 이디티에이를 포함하며,
    상기 방부제는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Colorant)는 적색 227호(Cl 17200)를 포함하며,
    상기 착향료는 향료(Fragrance)를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상기 정제수를 82.306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는 상기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Shear Butter))를 0.05 중량%, 상기 토코페릴아세이트(Tocopheryl Acetate)를 0.001 중량%, 상기 디메치콘(Dimethicone)을 0.5 중량%, 상기 미네랄오일(Mineral Oil)을 6 중량%, 상기 윈터체리꽃 추출물(Withania Somnifera Flower Extract)을 0.01 중량%, 상기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을 0.01 중량%, 상기 너도밤나무싹 추출물(Fagus Sylvatica Bud Extract)을 0.001 중량%,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0.001 중량%, 상기 판테놀(Panthenol)을 0.001 중량%, 상기 산자나무수(Hippophae Rhamnoides Water)를 0.1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상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를 0.1 중량%,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를 0.05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을 2.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을 1.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를 1.5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증강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는 상기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를 0.03 중량%, 상기 카보머(Carbomer)를 0.12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Humectant)는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을 4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는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을 1.0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상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0.3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상기 디소듐 이디티에이(Disidium EDTA)를 0.02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Preservative)는 상기 메칠파라벤(Methylparaben)을 0.2 중량%, 상기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을 0.1 중량%,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3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Colorant)는 상기 적색 227호(Cl 17200)를 0.00006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향료(Fragrance)는 상기 향료(Fragrance)를 0.1 중량% 포함하는 영양크림 조성물.
KR1020130001333A 2013-01-04 2013-01-04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Ceased KR2014008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33A KR20140089266A (ko) 2013-01-04 2013-01-04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33A KR20140089266A (ko) 2013-01-04 2013-01-04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266A true KR20140089266A (ko) 2014-07-14

Family

ID=5173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33A Ceased KR20140089266A (ko) 2013-01-04 2013-01-04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2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31A1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비타민 10가지 성분을 함유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8236539A1 (en) * 2017-06-20 2018-12-27 Whitehill Life Sciences, Llc SYNERGIS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TAINING HOMEOSTASIS IN MAMMALIAN SYSTEMS
CN111407695A (zh) * 2020-03-27 2020-07-14 陕西海天制药有限公司 一种沙棘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43319A (ko)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20210043318A (ko)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31A1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비타민 10가지 성분을 함유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8236539A1 (en) * 2017-06-20 2018-12-27 Whitehill Life Sciences, Llc SYNERGIS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TAINING HOMEOSTASIS IN MAMMALIAN SYSTEMS
KR20210043319A (ko)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20210043318A (ko)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CN111407695A (zh) * 2020-03-27 2020-07-14 陕西海天制药有限公司 一种沙棘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07695B (zh) * 2020-03-27 2022-09-30 陕西海天制药有限公司 一种沙棘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1598T3 (es) Utilización de sustancias activas naturales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terapéuticas
CA2749750C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785498B1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WO2009127057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and use thereof
US20230390182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queous extract of lavender,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and their cosmetic uses
KR102006952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GB2451224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foliant, astringent, antioxidant and moisturiser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9266A (ko)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CN111840157B (zh) 一种山茶花复方组合物
US20110135772A1 (en) Skin care agent and compositions thereof
KR20210001045A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120069198A (ko) 5-아미노레블린산 및 비타민씨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DE102005030864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r Hautfeuchtigkeit
JP5313524B2 (ja) 抗炎症剤及び抗炎症用皮膚外用剤
CN111374903A (zh) 一种含有植物螯合肽的化妆用组合物
JP2003113066A (ja) 化粧料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40225986A9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240555A (ja) 美肌用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