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333A -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3333A KR20140083333A KR1020120152948A KR20120152948A KR20140083333A KR 20140083333 A KR20140083333 A KR 20140083333A KR 1020120152948 A KR1020120152948 A KR 1020120152948A KR 20120152948 A KR20120152948 A KR 20120152948A KR 20140083333 A KR20140083333 A KR 20140083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pedal
- spring
- bol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60K2023/025—Adjusting of clutch ped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의 답력 및 턴오버 스트로크를 운전자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에는 페달을 전방으로 강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pedal apparatus for a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edal force and turnover stroke to suit a driver, and when a crash or collision occurs, the pedal can be forcibly rotated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s injuries as much a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작으로 답력 조절 및 턴오버 스트로크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peda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clutch pedal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pedal pressure and controlling a turnover strok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preventing a pedestrian injury caused by a pedal .
일반적으로 차량의 클러치페달은 변속기측 클러치 유압계와 연결되어 변속시 차량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기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의 차체패널(대시패널)에 페달멤버(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달멤버(1)에 클러치페달(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설치된다.Generally, a clutch pedal of a vehicle is connected to a transmission-side clutch hydraulic system to shut off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shifting. As shown in Fig. 1, the pedal member 1 is fixed to a vehicle body panel (dash panel) And a clutch pedal (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dal member (1).
상기 클러치페달(2)에는 운전자에게 답력을 제공하고 페달의 리턴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페달스프링(3)이 연결 설치되고, 또한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실린더(4)가 로드(5)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The clutch pedal 2 is provided with a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러치페달 장치는 국가별로 정해진 안전법규에 맞도록 탄성계수가 미리 정해진 페달스프링(3)을 사용하는 구성이기에, 페달스프링(3)을 새것으로 교체하지 않는 한 페달의 답력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lutch pedal device uses the
특히 최근에는 차량의 출력이 높아짐에 따라 탄성계수가 큰 페달스프링(3)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와 같이 페달스프링(3)의 탄성계수가 커지면 페달을 조작하는 조작력도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발목 피로도는 더욱 가중된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as the output of a vehicle increases, the use of a
따라서,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답력 및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구성이 필요하다.Therefore, as a means for reducing the driver's fatigue, a configuration is needed to adjust the legibility and stroke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driver.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 필요시 간편한 작업으로 페달의 답력 및 턴오버 스트로크를 운전자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달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도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충돌 및 추돌사고 시에는 페달을 전방으로 강제 회전시켜서 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al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pedaling force and tur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clutch peda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driver's injury caused by a pedal by forcibly rotating a pedal forward in a collision or a collision accident.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는, 페달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축과 일체로 결합된 레버브라켓; 상기 레버브라켓의 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조절모듈; 상기 레버조절모듈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페달스프링; 및 상기 페달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달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페달스프링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프링시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clutch pedal device including: a lever bracket integrally coupled to a pedal shaft rotatably mounted on a pedal member; A lever adjusting module mov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lever bracke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pedal spring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ever adjusting module; And a spring seat modu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edal member, the spring seat module varying the length of the pedal spring b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pedal spring.
상기 레버브라켓은 페달축과 결합되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조절모듈이 결합되는 제1단부 및 레버핀이 결합된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소정 각도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ever bracket has a first end to which the lever adjusting module is coupled and a second end to which the lever pin is coupled with reference to an intermediate portion coupled to the pedal shaft; The first and second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레버브라켓의 위쪽에서 페달멤버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사고시 발생한 충돌에너지에 의해 상기 페달멤버가 실내로 밀려들어 올 때에 카울브라켓과 접촉하는 상부돌기 및 상기 레버핀과 접촉하는 하부돌기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역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dal membe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pedal memb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bracket. The upper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cowl bracket when the pedal member is pushed into the room, And a reverse rotation lever formed to have a projection.
상기 레버조절모듈은 상기 페달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프링블록; 상기 스프링블록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절개된 타원형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을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레버볼트를 매개로 상기 레버브라켓의 제1단부와 결합되는 레버블록; 상기 레버블록의 상하부를 관통해서 각각의 선단이 상기 레버볼트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레버볼트를 가이드구멍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상부조정볼트 및 하부조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ever adjusting module comprises: a spring block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pedal spring; A lever block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block and having an elliptical guide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engaged with a first end of the lever bracket through a lever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hole and being movable up and down; And an upper adjusting bolt and a lower adjusting bolt, which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ver block so that the leading ends of the lever blocks are in contact with the lever bolt and force the lever bolt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상기 스프링시트모듈은 상기 페달멤버에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단차진 돌기홈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 하부시트; 및 상기 페달스프링의 타단이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돌기홈으로 삽입되는 시트돌기가 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상부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pring seat module comprises: a lower seat rotatably mounted on the pedal member via a hinge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groove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upper sheet having a pedestal spring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and a seat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roove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rear side.
상기 하부시트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홈은 홈의 깊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projecting grooves formed in the lower sheet are form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grooves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에 의하면, 페달의 답력 및 턴오버 스트로크를 운전자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페달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도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에 페달을 전방으로 강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 보호성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lutch peda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al force and turnover stroke of the pedal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suit the driver,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driver's fatigu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edal.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cibly rotate the pedal forward in the event of occurre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s injury caused by the pedal to the utmost,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driver's protection performance.
도 1은 종래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의 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vehicular clutch pedal device,
2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clutch peda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vehicle clutch ped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의 차체패널(대시패널)에 고정 설치된 페달멤버(10); 상기 페달멤버(10)에 페달축(2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20); 상기 페달축(21)에 일체로 결합된 레버브라켓(30); 상기 레버브라켓(30)의 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조절모듈(40); 상기 레버조절모듈(40)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페달스프링(50); 및 상기 페달멤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달스프링(50)의 타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페달스프링(5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프링시트모듈(60);을 포함한다.The vehicular clutch ped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레버브라켓(30)은 페달축(21)과 일체로 결합되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조절모듈(40)이 결합되는 제1단부(31) 및 레버핀(32)이 결합된 제2단부(33)를 구비한 구성이다.The
여기서, 상기 제1,2단부(31,33)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소정 각도로 이격 형성된 구조이다.Here, 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버브라켓(30)의 위쪽에서 페달멤버(10)에 회전축(8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사고시 발생한 충돌에너지에 의해 상기 페달멤버(10)가 실내로 밀려들어 올 때에 카울브라켓(82)과 접촉하는 상부돌기(71) 및 상기 레버핀(32)과 접촉하는 하부돌기(72)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역회전레버(70);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돌기(71)와 하부돌기(72)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분리되어서 회전축(81)에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 될 수도 있다.The
한편, 상기 레버조절모듈(40)은 상기 페달스프링(50)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프링블록(41); 상기 스프링블록(4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절개된 타원형의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을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레버볼트(43)를 매개로 상기 레버브라켓(30)의 제1단부(31)와 결합되는 레버블록(44); 상기 레버블록(44)의 상하부를 관통해서 각각의 선단이 상기 레버볼트(43)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레버볼트(43)를 가이드구멍(42)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상부조정볼트(45) 및 하부조정볼트(46)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스프링시트모듈(60)은 상기 페달멤버(10)에 힌지축(61)을 매개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단차진 돌기홈(62)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 하부시트(63); 및 상기 페달스프링(50)의 타단이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돌기홈(62)으로 삽입되는 시트돌기(64)가 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상부시트(65)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하부시트(63)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홈(62)은 홈의 깊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plurality of projecting
이하, 본 발명 클러치페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페달(20)의 답력은 상부시트(65)의 회전조작으로 페달스프링(50)의 길이조절을 통해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pedaling force of the
즉, 공구를 이용해서 상부시트(65)를 회전시켜주면 시트돌기(64)는 도 5의 (A) 또는 (B)의 상태와 같이 돌기홈(62) 중에서 제1홈(62a) 내지 제3홈(62c)중 어느 하나의 홈속에 위치하게 된다.That is, if the
도 5의 (A)와 같이 시트돌기(64)는 제1홈(62a)속에 위치하면 페달스프링(50)의 길이는 길어지게 조절되므로 페달(20)의 답력은 경감되고, 도 5의 (B)와 같이 시트돌기(64)는 제2홈(62b)속에 위치하면 페달스프링(50)의 길이는 도 5의 (A)상태보다 짧아지게 되므로 페달(20)의 답력은 증가되며, 시트돌기(64)는 제3홈(62c)속에 위치하면 답력은 최대로 증가된다.5 (A), when the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시트(65)의 간단한 회전 조작을 통해 페달(20)의 답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pedaling force of the
또한, 페달의 답력은 상부조정볼트(45)와 하부조정볼트(46)의 조작을 통해서도 조절되며, 상,하부조정볼트(45,46)의 조작시에는 페달(20)의 답력과 턴오버 스트로크(turnover stroke)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adjusting
즉, 도 6에서 P1의 상태는 페달스프링(50)의 하중이 페달(20)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서, 이때의 페달(20) 답력은 제로(zero) 상태가 되고, 이의 상태를 기준 상태로 정의한다.6, the state of P1 is a state in which the load of the
P2의 상태는 상기 기준 상태(P1)에서 작업자가 상,하부조정볼트(45,46)를 조작해서 레버브라켓(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서, 이때에는 페달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페달(20)은 운전자쪽으로 회전하려는 하중을 받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운전자의 답력은 기준 상태보다 증가된다.The state of P2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the upper and lower adjusting
P3의 상태는 상기 기준 상태(P1)에서 작업자가 상,하부조정볼트(45,46)를 조작해서 레버브라켓(3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서, 이때에는 페달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페달(20)은 차량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하중을 받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운전자의 답력은 기준 상태보다 경감된다.P3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upper and lower adjusting
그리고, P4의 상태는 레버브라켓(30)이 상기 P3의 상태보다 더 많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P3 상태일 때보다 운전자의 답력은 더 많이 경감된다.The state of P4 is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브라켓(30)의 상하 이동을 통해 페달(20)의 답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edaling force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부조정볼트(45,46)를 조작해서 레버브라켓(30)의 상하 위치를 변경시켜 주면, 페달스프링(50)의 셋팅 각을 변화시켜 줄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페달(20)의 답력과 턴오버 스트로크(turnover stroke)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한편, 충돌 및 추돌 사고시 이때 발생한 충돌에너지에 의해 페달멤버(10)가 도 7과 같이 실내측(도시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밀려들어오면, 역회전레버(70)의 상부돌기(71)는 카울브라켓(82)과 접촉하고, 역회전레버(70)는 회전축(8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역회전레버(70)의 하부돌기(72)는 레버브라켓(30)의 레버핀(32)과 접촉하게 된다.7, the
그러면, 레버브라켓(30)은 역회전레버(70)의 회전력을 레버핀(32)을 통해 전달받아서 페달축(21)과 함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페달(20)은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전방(도시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강제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사고가 발생했을 때 페달(20)이 전방으로 강제 회전하면, 페달(20)이 운전자쪽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페달의 하부가 운전자쪽으로 들어올려지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로 인해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정강이 부위가 가격 당하거나 또는 운전자의 발목이 뒤로 젖혀지면서 꺾이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페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에도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above-described pedal device can be applied to a brake pedal.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페달멤버 20 - 페달
21 - 페달축 30 - 레버브라켓
40 - 레버조절모듈 50 - 페달스프링
60 - 스프링시트모듈 70 - 역회전레버10 - Pedal member 20 - Pedal
21 - Pedal shaft 30 - Lever bracket
40 - Lever adjustment module 50 - Pedal spring
60 - Spring Seat Module 70 - Reverse lever
Claims (6)
상기 레버브라켓(30)의 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조절모듈(40);
상기 레버조절모듈(40)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페달스프링(50); 및
상기 페달멤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페달스프링(50)의 타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페달스프링(5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프링시트모듈(60);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A lever bracket 30 integrally coupled to a pedal shaft 21 rotatably mounted on the pedal member 10;
A lever adjusting module 40 mov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lever bracket 3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pedal spring 5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ever adjusting module 40; And
And a spring seat module (60) rotatably installed on the pedal member (10) and varying the length of the pedal spring (50) b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pedal spring (50) .
상기 레버브라켓(30)은 페달축(21)과 결합되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조절모듈(40)이 결합되는 제1단부(31) 및 레버핀(32)이 결합된 제2단부(33)를 구비하고;
상기 제1,2단부(31,32)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소정 각도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r bracket 30 includes a first end portion 31 to which the lever control module 40 is coupled and a second end portion 33 to which the lever pin 32 is coupled based on an intermediate portion coupled to the pedal shaft 21, ;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31,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레버브라켓(30)의 위쪽에서 페달멤버(10)에 회전축(8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사고시 발생한 충돌에너지에 의해 상기 페달멤버(10)가 실내로 밀려들어 올 때에 카울브라켓(82)과 접촉하는 상부돌기(71) 및 상기 레버핀(32)과 접촉하는 하부돌기(72)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역회전레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pedal member 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pedal member 10 from above the lever bracket 30 via a rotary shaft 81. When the pedal member 10 is pushed into the room by the impact energy generate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Further comprising a top projection (71) in contact with said lever pin (82) and a reverse rotation lever (70) configured to have a bottom projection (72) in contact with said lever pin (32).
상기 레버조절모듈(40)은 상기 페달스프링(50)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프링블록(41);
상기 스프링블록(4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절개된 타원형의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42)을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레버볼트(43)를 매개로 상기 레버브라켓(30)의 제1단부(31)와 결합되는 레버블록(44);
상기 레버블록(44)의 상하부를 관통해서 각각의 선단이 상기 레버볼트(43)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레버볼트(43)를 가이드구멍(42)을 따라 강제 이동시키는 상부조정볼트(45) 및 하부조정볼트(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lever control module 40 includes a spring block 41 to which one end of the pedal spring 50 is supported;
An elliptical guide hole 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ring block 41 and having an upper and a lower cutout is formed and the lever bracket 43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42 and movable up and down A lever block (44) coupled with a first end (31) of the first end (30);
An upper adjustment bolt 45 for passing the lever bolt 43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ver block 44 and forcing the lever bolt 43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42 so that the tip ends of the lever bolt 43 are in contact with the lever bolt 43, And a lower adjusting bolt (46).
상기 스프링시트모듈(60)은 상기 페달멤버(10)에 힌지축(61)을 매개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단차진 돌기홈(62)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형성된 하부시트(63); 및
상기 페달스프링(50)의 타단이 전면에 지지되고 상기 돌기홈(62)으로 삽입되는 시트돌기(64)가 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상부시트(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seat module 6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pedal member 10 via a hinge shaft 61 and has a plurality of stepped grooves 62 continuous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ower sheet 63; And
And an upper seat (65) having the other end of the pedal spring (50) suppor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eat projection (64)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roove (62) .
상기 하부시트(63)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홈(62)은 홈의 깊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페달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projecting grooves (62) formed in the lower seat (63) are form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grooves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2948A KR101438964B1 (en) | 2012-12-26 | 2012-12-26 |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2948A KR101438964B1 (en) | 2012-12-26 | 2012-12-26 |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333A true KR20140083333A (en) | 2014-07-04 |
KR101438964B1 KR101438964B1 (en) | 2014-09-11 |
Family
ID=5173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2948A KR101438964B1 (en) | 2012-12-26 | 2012-12-26 |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964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4007B1 (en) * | 2014-11-07 | 2016-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operating apparatus of vehicle |
KR101628576B1 (en) * | 2014-12-24 | 2016-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effort adjusting apparatus |
CN108099596A (en) * | 2017-12-15 | 2018-06-01 | 吴仁渭 | Clutch pedal |
CN112124070A (en) * | 2019-06-24 | 2020-12-25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Clutch pedal device for electronic clutch system |
CN112406531A (en) * | 2019-08-22 | 2021-02-26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Clutch pedal suction sensing device, clutch pedal assembly and automobile |
KR20210029484A (en) * | 2019-09-06 | 2021-03-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apparatus for electronic clutch |
CN114148167A (en) * | 2021-12-09 | 2022-03-0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A booster adjustable clutch ped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0227B1 (en) | 2014-12-03 | 2016-05-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operating apparatus of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9701A (en) * | 2003-03-10 | 2004-09-1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brake pedal emulator |
KR100530136B1 (en) * | 2003-09-29 | 2005-11-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Pedal effort-adjusting apparatus of accelerator pedal |
KR100851322B1 (en) | 2007-05-15 | 2008-08-08 | 주식회사 동희산업 | Pedal device with pedaling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2948A patent/KR10143896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4007B1 (en) * | 2014-11-07 | 2016-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operating apparatus of vehicle |
KR101628576B1 (en) * | 2014-12-24 | 2016-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effort adjusting apparatus |
US9527383B2 (en) | 2014-12-24 | 2016-12-27 | Hyundai Motor Company | Pedal effort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s |
CN108099596A (en) * | 2017-12-15 | 2018-06-01 | 吴仁渭 | Clutch pedal |
CN108099596B (en) * | 2017-12-15 | 2023-06-09 | 吴仁渭 | Clutch pedal |
CN112124070A (en) * | 2019-06-24 | 2020-12-25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Clutch pedal device for electronic clutch system |
CN112124070B (en) * | 2019-06-24 | 2024-05-10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Clutch pedal device for electronic clutch system |
CN112406531A (en) * | 2019-08-22 | 2021-02-26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Clutch pedal suction sensing device, clutch pedal assembly and automobile |
KR20210029484A (en) * | 2019-09-06 | 2021-03-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edal apparatus for electronic clutch |
CN114148167A (en) * | 2021-12-09 | 2022-03-0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A booster adjustable clutch ped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8964B1 (en) | 2014-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8964B1 (en) | Clutch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
JP4502660B2 (en) | Automobile operation pedal device | |
CN103640479B (en) | A kind of mistake step on accelerator of vehicle safety guard | |
KR100656616B1 (en) | Brake Pedal Shock Absorber | |
CN104842977A (en) | Variable ratio brake pedal | |
EP3124340B1 (en) | Brake peda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 |
KR101406644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injury caused by pedal | |
CN103129534A (en) | Protective device of automobile driver | |
KR100892923B1 (en) | Automotive accelerator and brake pedal device | |
JP2005153603A (en) | Operation pedal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s | |
KR101620227B1 (en) | Pedal operating apparatus of vehicle | |
CN101780792A (en) | Vehicle pedal regulating device | |
EP1512596B1 (en) | Vehicle with a pedal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n anti-collision safety mechanism | |
CN105667469B (en) | Brake pedal apparatus with variable pedal ratio | |
JP7362328B2 (en) | Accelerator pedal safety device and automobile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FR2919845B1 (en) | CABLE CONTROL SYSTEM FOR A TILT CABIN HEAVY DUTY GEARBOX | |
AT507309A1 (en) | BRAKE | |
JP2002046584A (en) | Leg-power type pedal device for vehicle | |
CN204279392U (en) | Brake treadle mechanism and the automobile with it | |
JP3237571U (en) | Safety pedal device | |
KR20050121985A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wound by brake pedal of vehicles | |
KR100489079B1 (en) | Brake Pedal for Vehicle | |
KR20080028207A (en) | Brake pedal pusher for vehicle in case of collision | |
KR100511857B1 (en) | brake pedal system of car | |
KR101449858B1 (en) | collision sensitive connection lever type safety pedal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