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887A - 채널상태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 기기, 그리고 채널상태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채널상태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 기기, 그리고 채널상태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8887A KR20140068887A KR20147004523A KR20147004523A KR20140068887A KR 20140068887 A KR20140068887 A KR 20140068887A KR 20147004523 A KR20147004523 A KR 20147004523A KR 20147004523 A KR20147004523 A KR 20147004523A KR 20140068887 A KR20140068887 A KR 201400688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state
- state information
- base station
- transmiss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01150071746 Pbsn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4 stimulated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사용자기기가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협력 전송을 지원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기간(Machine-to-Machine, M2M) 통신과,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장치 및 기술이 출현 및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셀룰러 망에서 처리될 것이 요구되는 데이터 양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빠르게 증가하는 데이터 처리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기술,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기술 등과, 한정된 주파수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높이기 위한 다중 안테나 기술, 다중 기지국 협력 기술 등이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협력 다중 송수신(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기법이 제안되었다. CoMP 기법은 셀 경계에 위치한 UE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평균 섹터 스루풋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CoMP 기법이 적용되더라도 여전히 셀 경계에 위치한 UE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 ICI)이 존재하며, 이는 CoMP 기법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UE의 채널 추정에 대한 이슈로 이어진다.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과 같은 송수신 기법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사용자기기 간에 형성된 채널 상태를 정확히 추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협력 다중 송수신 기법을 서비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이 정의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사용자기기가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period) 내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모두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빙 기지국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이 상기 이웃 기지국으로 변경되면, 상기 변경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에 대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사용자기기로서,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period) 내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모두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기지국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부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이 상기 이웃 기지국으로 변경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을 통해 상기 변경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에 대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반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반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oMP 기법의 전환 등으로 인한 서빙 기지국의 변경시에 변경 이후 초기 기간 동안 사용자기기가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부가되는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부가되는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법(technique) 및 장치,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3GPP LTE(-A)에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초로 설명되더라도, 3GPP LTE(-A)에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기기(UE: User Equipment)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BS와 통신하여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각종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각종 기기들이 이에 속한다. UE는 단말(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일반적으로 UE 및/또는 다른 BS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UE 및 타 BS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BS는 ABS(Advanced Base Station), NB(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PS(Processing Server)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CFI(Control Format Indicator)/하향링크 ACK/NACK(ACKnowlegement/Negative ACK)/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모음(set) 혹은 자원요소의 모음을 의미한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상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모음 혹은 자원요소의 모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에 할당되거나 이에 속한 시간-주파수 자원 혹은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각각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 RE 또는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 자원이라고 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기기가 PUCCH/PUS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각각, PUSCH/PUCCH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BS가 PDCCH/PCFICH/PHICH/PDS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각각, PDCCH/PCFICH/PHICH/PDSCH 상에서 하향링크 데이터/제어정보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시간-주파수 자원(혹은 RE)은 각각 CRS/DMRS/CSI-RS에 할당 혹은 이용가능한 RE 혹은 CRS/DMRS/CSI-RS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혹은 RE)를 의미한다. 또한, CRS/DMRS/CSI-RS RE를 포함하는 부반송파를 CRS/DMRS/CSI-RS 부반송파라 칭하며, CRS/DMRS/CSI-RS RE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을 CRS/DMRS/CSI-RS 심볼이라 칭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SRS 시간-주파수 자원(혹은 RE)은 UE에서 BS로 전송되어 BS가 상기 UE와 상기 BS 사이에 형성된 상향링크 채널 상태의 측정에 이용하는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혹은 RE)를 의미한다.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라 함은 UE와 BS가 서로 알고 있는 기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며, 파일럿이라고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셀이라 함은 일 BS, 노드(들) 혹은 안테나 포트(들)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정 지리적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특정 셀과 통신한다고 함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노드 혹은 안테나 포트와 통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셀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노드 혹은 안테나 포트로부터의/로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특정 셀의 채널 상태/품질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 노드 혹은 안테나 포트와 UE 사이에 형성된 채널 혹은 통신 링크의 채널 상태/품질을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a)는 3GPP LTE(-A)에서 FDD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도 1(b)는 3GPP LTE(-A)에서 TDD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LTE(-A)에서 사용되는 무선프레임은 10ms(30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 10개의 서브프레임에는 각각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2048*15kHz)로 표시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에서 20개의 슬롯들은 0부터 19까지 순차적으로 넘버링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의 길이를 가진다. 일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전송시간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로 정의된다. 시간 자원은 무선프레임 번호(혹은 무선 프레임 인덱스라고도 함)와 서브프레임 번호(혹은 서브프레임 번호라고도 함), 슬롯 번호(혹은 슬롯 인덱스)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은 듀플렉스(duplex) 모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모드에서, 하향링크(DL) 전송 및 상향링크(UL) 전송은 주파수에 의해 구분되므로, 무선 프레임은 소정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UL 서브프레임 중 하나만을 포함한다. TDD 모드에서 DL 전송 및 UL 전송은 시간에 의해 구분되므로, 소정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무선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을 모두 포함한다.
표 1은 TDD 모드에서, 무선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들의 DL-UL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DL-UL configuration | 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 | Subframe number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0 | 5ms | D | S | U | U | U | D | S | U | U | U |
1 | 5ms | D | S | U | U | D | D | S | U | U | D |
2 | 5ms | D | S | U | D | D | D | S | U | D | D |
3 | 10ms | D | S | U | U | U | D | D | D | D | D |
4 | 10ms | D | S | U | U | D | D | D | D | D | D |
5 | 10ms | D | S | U | D | D | D | D | D | D | D |
6 | 5ms | D | S | U | U | U | D | S | U | U | D |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U는 UL 서브프레임을, S는 특이(specia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특이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Slot)의 3개 필드를 포함한다. DwPTS는 DL 전송용으로 유보되는 시간 구간이며, UpPTS는 UL 전송용으로 유보되는 시간 구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2는 3GPP LTE/LTE-A 시스템의 자원격자(resource grid)의 구조를 나타낸다. 안테나 포트당 1개의 자원격자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일 심볼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격자(resource gri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은 UL 슬롯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와 은 DL 전송 대역폭과 UL 전송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은 하향링크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며, 은 UL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는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 심볼, SC-FDM(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개수의 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OFDM 심볼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부반송파의 유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부반송파,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전송 위한 참조신호 부반송파, 가드 밴드(guard band) 및 직류(Direct Current, DC) 성분을 위한 널(null) 부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DC 성분을 위한 널 부반송파는 미사용인 채 남겨지는 부반송파로서, OFDM 신호 생성 과정 혹은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f0)로 맵핑(mapping)된다. 반송파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라고도 한다.
일 RB는 시간 도메인에서 개(예를 들어, 7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로서 정의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개(예를 들어, 12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에 의해 정의된다. 참고로,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자원을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 혹은 톤(tone)이라고 한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개의 자원요소로 구성된다. 자원격자 내 각 자원요소는 일 슬롯 내 인덱스 쌍 (k, 1)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다. 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0부터 * -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며, l은 시간 도메인에서 0부터 -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다.
일 서브프레임에서 개의 연속하는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2개의 슬롯 각각에 1개씩 위치하는 2개의 RB를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쌍(pair)이라고 한다. PRB 쌍을 구성하는 2개의 RB는 동일한 PRB 번호(혹은, PRB 인덱스(index)라고도 함)를 갖는다. VRB는 자원할당을 위해 도입된 일종의 논리적 자원할당 단위이다. VRB는 PR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VRB를 PRB로 맵핑하는 방식에 따라, VRB는 로컬라이즈(localized) 타입의 VRB와 분산(distributed) 타입의 VRB로 구분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은 PRB들에 바로 맵핑되어, VRB 번호(VRB 인덱스라고도 함)가 PRB 번호에 바로 대응된다. 즉, nPRB=nVRB가 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에는 0부터 NDL VRB-1 순으로 번호가 부여되며, NDL VRB=NDL RB이다. 따라서, 로컬라이즈 맵핑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VRB가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동일 PRB 번호의 PRB에 맵핑된다. 반면, 분산 타입의 VRB는 인터리빙을 거쳐 PRB에 맵핑된다. 따라서,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분산 타입의 VRB는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서로 다른 번호의 PRB에 맵핑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에 1개씩 위치하며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2개의 PRB를 VRB 쌍이라 칭한다.
도 3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혹은 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에 대응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C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영역을 PDCCH 영역이라 칭한다. 제어영역으로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이 아닌 남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에 해당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S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영역을 PDSCH 영역이라 칭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DL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UL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한다. DCI는 UE 또는 UE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CI는 DL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UL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UE 그룹 내의 개별 UE들에 대한 Tx 파워 제어 명령 세트, Tx 파워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지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PDCCH가 나르는 DCI는 DCI 포맷에 따라서 그 크기와 용도가 다르며, 부호화율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DL 서브프레임의 PDCCH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UE는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BS는 UE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DCI 포맷을 결정하고, DCI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마스킹(또는 스크램블)된다. 예를 들어, PDCCH가 특정 UE을 위한 것일 경우, 해당 UE의 식별자(예, cell-RNTI (C-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일 경우, 페이징 식별자(예, paging-RNTI (P-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를 위한 것일 경우,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랜덤 접속 응답을 위한 것일 경우,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CRC 마스킹(또는 스크램블)은 예를 들어 비트 레벨에서 CRC와 RNTI를 XOR 연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성(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CCE는 9개의 REG에 대응되고 하나의 REG는 4개의 RE에 대응한다. 4개의 QPSK 심볼이 각각의 REG에 맵핑된다. 참조신호(RS)에 의해 점유된 자원요소(RE)는 REG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OFDM 심볼 내에서 REG의 개수는 RS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REG 개념은 다른 DL 제어채널(즉, PCFICH 및 PHICH)에도 사용된다. DCI 포맷 및 DCI 비트의 개수는 CCE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CCE들은 번호가 매겨져 연속적으로 사용되고, 복호 프로세스를 간단히 하기 위해, n개 CCE들로 구성된 포맷을 가지는 PDCCH는 n의 배수에 해당하는 번호를 가지는 CCE에서만 시작될 수 있다. 특정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CCE의 개수, 다시 말해, CCE 집성 레벨은 채널 상태에 따라 BS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좋은 DL 채널을 가지는 UE(예, BS에 인접함)를 위한 PDCCH의 경우 하나의 CCE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열악한 채널을 가지는 UE(예, 셀 경계에 근처에 존재)를 위한 PDCCH의 경우 충분한 로버스트(robustness)를 얻기 위해서는 8개의 CCE가 요구될 수 있다.
도 4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L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나르기 위해, 상기 제어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해,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은 PUCCH 영역과 PUSCH 영역으로 각각 불리기도 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할당될 수도 있다. SRS는 시간 도메인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OFDM 심볼,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상기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전송 대역, 즉, 데이터영역 상에서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전송/수신되는 여러 UE들의 SRS들은 주파수 위치/시퀀스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UE가 UL 전송에 SC-FDMA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3GPP LTE 릴리즈(release) 8 혹은 릴리즈 9 시스템에서는, 일 반송파 상에서는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 3GPP LTE 릴리즈 10 시스템에서는,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 지원 여부가 상위 계층에서 지시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에서는 DC(Direct Current)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거리가 먼 부반송파들이 제어영역으로 활용된다. 다시 말해, UL 전송 대역폭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이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된다. DC 부반송파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성분으로,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 f0로 맵핑된다. 일 UE에 대한 PUCCH는 일 서브프레임에서, 일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자원들에 속한 RB 쌍에 할당되며, 상기 RB 쌍에 속한 RB들은 두 개의 슬롯에서 각각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할당되는 PUCCH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된다고 표현한다. 다만,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RB 쌍이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일 PUCCH가 나르는 UCI는 PUCCH 포맷에 따라서 그 크기와 용도가 다르며, 부호화율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PUCCH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PUCCH format | Modulation scheme | Number of bits per subframe | Usage | Etc. |
1 | N/A | N/A (exist or absent) | SR (Scheduling Request) | |
1a | BPSK | 1 | ACK/NACK or SR + ACK/NACK |
One codeword |
1b | QPSK | 2 | ACK/NACK or SR + ACK/NACK |
Two codeword |
2 | QPSK | 20 | CQI/PMI/RI | Joint coding ACK/NACK (extended CP) |
2a | QPSK+BPSK | 21 | CQI/PMI/RI + ACK/NACK | Normal CP only |
2b | QPSK+QPSK | 22 | CQI/PMI/RI + ACK/NACK | Normal CP only |
3 | QPSK | 48 | ACK/NACK or SR + ACK/NACK or CQI/PMI/RI + ACK/NACK |
표 2를 참조하면, PUCCH 포맷 1 계열과 PUCCH 포맷 3 계열은 주로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PUCCH 포맷 2 계열은 주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PMI(precoding matrix index)/RI(rank index) 등의 채널상태정보를 나르는 데 사용된다.
도 5는 협력 다중 송수신(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기법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다. 도시된 세 개의 BS(eNB1, eNB2, eNB3)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수의 BS가 참여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복수 개의 BS들로 이루어진 협력 다중 송수신 집합(set)을 CoMP 집합이라고 한다. CoMP 집단에 속한 BS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채널상태에 따라 UE에 대한 CoMP에 참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BS들은 복수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기기(UE) 주변에 복수의 BS들이 배치되어 있고, 그 중에서 상기 UE는 제 1 BS(eNB1), 제 2 BS(eNB2), 제 3 BS(eNB3),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BS들의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E는 이러한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즉, UE는 상기 UE가 접속한 BS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UE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채널상태정보라 함은 UE와 안테나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채널(혹은 링크라고도 함)의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채널품질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랭크 인덱스(rank index, RI), 프리코딩행렬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간섭 신호의 완화, BS와 UE 간의 채널상태의 추정, BS와 UE 사이에 전송된 신호의 복조 등을 위하여 다양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가 BS와 UE간에 전송된다. 참조신호라 함은 BS로부터 UE로 혹은 UE로부터 BS로 전송하는, BS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며, 파일럿(pilot)이라고도 불린다. 3GPP LTE 릴리즈 8(이하, Rel-8)에는 CQI 피드백을 위한 채널 측정과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복조(demodulation)를 목적으로 셀 특정적 참조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3GPP LTE 릴리즈 10(이하, Rel-10)에서부터는 Rel-8의 CRS와 별도로 Rel-10에 따라 CSI 피드백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제안되었다.
각각의 BS는 복수 개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UE로 채널 측정을 위한 CSI-RS를 전송하며, 각각의 UE는 그에 응답하여 CSI-RS에 기반하여 채널상태정보를 계산하여 각각의 BS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a)는 CoMP 집단으로부터 UE가 결합 전송(joint transmission; JT) 서비스를 받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의 (a)에서, UE는 CoMP 집단에 속한 모든 BS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UE는 상기 CoMP 집단에 속한 모든 BS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b)는 CoMP 집단으로부터 UE가 협력 스케줄링(coordinated scheduling; CS)/협력 빔형성(coordinated beamforming; CB) 또는 동적 포인트 선택(dynamic point selection; DPS) 기법에 의한 서비스를 받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CS/CB 기법이 적용된 경우, 제 1 BS는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BS 및 제 3 BS는 상기 UE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나, 그들의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간섭을 상기 UE에게 줄 수 있다. 따라서, 제 2 BS 및 제 3 BS는 상기 UE에게 주는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프리코딩 기법 등을 선택하며, 이를 위해 상기 UE는 제 1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제 2 BS 및 제 3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도 제 1 BS로 피드백할 수 있다. DPS 기법이 적용된 경우, 상기 UE는 상기 CoMP 집단 내에서 가장 전송 성능이 우수한 1개의 BS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UE는 DPS 기법에 의해 선택된 제 1 BS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동안, 상기 제 1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상기 제 1 BS로 피드백할 수 있다. 한편, 제 2 BS 및 제 3 BS는 상기 UE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이 때 상기 UE는 상기 제 2 BS 및 제 3 BS에 대해서는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일정 시간 후에, DPS 기법에 의해 새로운 BS로서 제 2 BS가 선택되면, 상기 UE는 상기 제 2 BS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제 2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채널상태정보는 반드시 한 CoMP 집단의 하나의 BS로 전송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각각의 BS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CoMP 기법에 따라 필요한 채널상태정보가 달라지며, 따라서 각 CoMP 기법을 지원하는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도 달라진다. 그러나, CoMP 기법에 참여하는 BS들 중 일부 BS들에 대해서만 직접 또는 간접적인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루프가 지원된다고 가정하면, UE의 환경 변화에 따라 CoMP 기법을 변경하는 등의 CoMP 운용에서 현재까지 전송받은 채널상태정보만으로는 곧바로 수행할 수 없는 동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루프가 존재하지 않았던 BS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가 요구되는 CoMP 기법으로 변경된 경우, 해당 CoMP 기법에 필요한 채널상태정보가 모두 확보된 이후에 변경된 CoMP 기법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PS 기법이 적용된 CoMP 집단을 가정하면, DPS 기법에 따라 UE는 선택된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며, 이때 선택되지 않은 CoMP 집단 내 다른 BS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UE에 대한 CoMP 기법이 DPS 기법에서 JT 기법 또는 CS/CB 기법으로 전환될 때, DPS 기법 수행 과정에서 선택되지 않은 BS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확보하기까지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UE가 상기 BS에 대한 CoMP에 실제로 참여하고 있지 않아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루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BS(들)에 대한 예비(supplemental)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DPS 기법을 운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새로운 BS를 선정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후술할 도 6은 이러한 예비 채널상태정보 전송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력 다중 송수신(CoMP)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a)는 DPS 기법에 의해 UE가 BS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DPS 기법에서 전송 포인트(TP)로 선택된 제 1 BS는 상기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UE는 상기 제 1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제 1 BS로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CoMP 집단의 나머지 BS들(제 2 BS 및 제 3 BS)은 상기 UE에게 간섭을 주고 있다. 이러한 DPS 기법에서 JT 기법으로 CoMP 기법이 전환된다면, 상기 전환 후 초기 시점의 경우 상기 CoMP 집단에 참여하지만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루프를 가지고 있지 않은 BS들, 즉 제 2 및 제 3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CoMP 기법이 온전하게 서비스될때까지 시간 지연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시간 지연을 없애기 위해 DPS와 같은 CoMP 기법이 운용되는 경우에도 CoMP 집단에 속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TP가 아닌 나머지 TP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을 제안하고자 한다. 후술하는 도 6의 (b)는 이를 도시한다.
도 6의 (b)에서 UE는 DPS 기법에 의해 제 1 BS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제 1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제 2 BS와 제 3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도 상기 제 1 BS로 전송할 수 있다. CoMP 기법에 의해 상기 UE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상기 제 2 BS와 상기 제 3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본 명세서에서 "예비 채널상태정보"라 칭하고, 해당 UE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TP 또는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와 구별한다. 따라서, 상기 DPS 기법에서 상기 UE가 TP로 지정된 제 1 BS 뿐만아니라 다른 이웃 기지국(제 2 및 제 3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DPS 기법에서 JT 기법으로 CoMP 기법이 전환되더라도, 상기 전환 이전에 예비 채널상태정보로서 전송된 제 2 및 제 3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JT 기법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채널상태가 추정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자원은 기존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중 일부를 선택하여 할당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현재 CoMP 기법에 활용되지 않는 정보이므로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전송 주기와 제한된 채널정보가 적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CoMP 기법들의 유연한 전환을 지원하는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또는 시간-주파수 자원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CoMP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라 함은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를 지칭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는 DPS 기법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DPS 기법이 적용된 CoMP 집단에서 선택되지 않는 TP들에 대한 추가적인 채널상태정보가 요구되는 환경에 대하여 제안하는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A) 시스템의 PUCCH 기반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를 가정하며,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에 적용가능 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PS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TP 지표(index)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3GPP LTE(-A) 시스템의 PUCCH 기반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는 크게 PMI 및 CQI을 전송하는 자원과 RI를 전송하는 자원으로 구분된다. 이때 RI는 시간 변화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에 PMI 및 CQI을 전송하는 주기의 배수가 되는 전송 주기를 토대로 전송되며, PMI 및 CQI에 대한 서브프레임(subframe) 오프셋(offset)과 RI에 대한 서브프레임 오프셋이 다른 값을 가져 서로 구별되는 자원에서 전송된다.
일례로 광대역(wideband)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할 때, PMI 및 CQI를 전송하는 시점과 RI를 전송하는 시점에 대한 수식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nf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의미하고, ns는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번호를 의미하며, NOFFSET , RI와 NOFFSET , CQI는 각각 PMI 및 CQI와 RI에 대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의미하고, NP와 NP·MRI는 각각 PMI 및 CQI와 RI의 전송 주기를 의미한다. 도 7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시점에서 단일 TP로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를 도시화한 것이다.
그러나 DPS 기법에 따라 채널상태가 우수한 TP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구조를 고려할 때,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서로 다른 TP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DPS 기법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전송 구조에서는 현재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가 어떤 TP를 대상으로 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RI의 전송 주기를 토대로 DPS 기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고려하며, 이때 RI에 TP 지표(index)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도 8은 육각형의 셀 구조에서 3개의 TP가 DPS 기법을 지원할 때, RI에 2비트의 정보를 추가하여 어떤 TP로 채널상태정보가 전송되는지 알려주는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2비트의 지표 정보는 일 예이며, 더 많은 수의 비트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TP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DCCH 중 CIF와 같은 일부 자원을 이용하여 DPS 기법에 의해 선택되어 PUCCH 기반 CSI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전송 포인트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9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상태정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PS 기법을 위한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에서 RI 전송 주기의 최소값을 PMI 및 CQI 전송 구조에 따라 TP 전환 주기를 결정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GPP LTE(-A) 시스템에서 PMI 및 CQI는 다양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CQI의 경우 광대역 또는 부대역(subband) 채널에 대해 전송이 가능하며, 도 9의 (a)는 부대역 CQI를 전송할 때의 PMI 및 CQI 전송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의 (b)는 8-포트 안테나 구조에서 PTI(precoding type indicator)가 0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1차 PMI와 광대역 CQI 및 2차 PMI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H와 H'는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며, 상위계층으로부터 결정되는 변수를 의미한다. 이때, DPS 기법이 적용된 시스템 상에서 상기 광대역 채널상태정보 전송 주기(예컨대, NPH, NPH')보다 짧은 시간 단위에서 새로운 TP로 전환되면,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채널상태정보 피드백에 관한 동작이 완전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I의 전송 주기를 기준으로, DPS의 TP가 전환될 수 있는 DPS 운용 구조를 제안하며, 이를 위해서 RI의 전송 주기는 상기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주기보다 큰 값을 갖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에서 DPS 기법의 TP를 선택하는 시간 단위는 RI의 전송 주기를 기준으로 결정하되, 바람직하게는 RI의 전송 주기의 배수에 해당하는 주기로 상기 DPS 기법의 TP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상태정보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를 빌려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존 자원" 또는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자원" 등이라 함은 예비 채널상태정보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CoMP 기법에 참여하지만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 루프를 갖고 있지 않는 TP들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도 7과 같이 할당되는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자원 중 일부를 차용함으로써 할당될 수 있다. 상기 기존 자원은 BS에 의해 할당될 수 있으며, UE는 이러한 기존 자원의 할당정보를 상기 B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도 상기 BS에 의해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UE는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B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자원을 차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특정한 패턴에 따라 자원을 빌려오는 준-정적(semi-static) 방식과 특정한 조건을 충족할 때 자원을 빌려오는 임계 값(threshold) 방식을 고려한다. 준-정적 방식의 예로써 도 10과 같이 매 L번째 기존 RI 자원을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RI 자원으로 빌려온 뒤, 해당 RI의 전송 주기 내에서 기존 PMI 및 CQI 자원의 일부를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PMI 및 CQI 자원으로 빌려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자원을 차용하는 과정에서 상위계층에 의해 결정되는 LRI와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기존 RI 자원 중 매 LRI번째 자원을 선택하여 예비 RI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은 주기적인 전송을 위한 것이므로,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 역시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예비 RI 자원으로 할당된 매 LRI번째 자원이 속한 전송 기간 또는 상기 전송 기간에 해당하는 자원 구조를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할당 또는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전송 기간 내에서 기존 PMI 및 CQI 자원 중 매 LCQI번째 자원을 예비 PMI 및 CQI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준-정적 방식 외의 다른 방식으로, CoMP 기법 중 DPS 기법이 선택된 경우, CoMP 집단 중 하나의 BS가 TP로 M번 이상 선택되었을 때, M+1번째 RI 전송 자원을 기준으로 도 10과 같이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때 네트워크 운영 방식에 따라 기존 채널상태정보 전송 횟수에 대한 임계값 이외의 조건을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함으로 인해 기존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이 지연되어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상의 손실에 대한 임계값을 추가로 설정하여, M+1번째 전송 시점에서 채널 변화가 충분히 느린 경우에는 기존 채널상태정보 대신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래대로 DPS 기법에 의해 선택된 기존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RI, LCQI, M은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BS(들)로부터 사용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채널 변화의 속도(느림 또는 빠름 등)는 UE로부터의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 보고를 통해 B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S는 M-1번째 수신된 채널상태정보와 M번째 수신된 채널상태정보 간의 차이를 검출하여, 상기 채널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채널 변화는 CQI에 따른 채널 크기의 차이 또는 PMI에 따른 채널 방향의 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채널 변화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BS는 UE로 하여금 채널상태정보 전송의 M+1번째 기간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상기 채널 변화량을 상기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채널 변화량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채널상태정보 전송의 M+1번째 기간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BS도 채널상태정보의 보고를 통해 상기 채널 변화량을 알고 있기 때문에, 상기 BS는 상기 UE가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가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기본적으로 DPS 기법을 위한 전송 포인트(TP)로 결정된 Pi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위해 할당된다. 이런 상황에서, CoMP 기법의 전환을 대비하여 상기 CoMP 집합에 속한 다른 TP들, 예컨대 Pj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j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는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해당하며, 이러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0에 표시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이 상기 Pj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period)에 해당하며, 첫번째(왼쪽) 해칭된 박스는 예비 채널상태정보 중 RI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나타내고, 두번째(오른쪽) 해칭된 박스는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 중 PMI/CQI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 내에서 Pi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와 상기 Pj에 대한 채널상태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구간에서 전송되는 채널정보를 기존 채널상태정보 및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구별 없이 장기(long-term) 채널정보 및 광대역 채널정보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현재 CoMP 기법에서의 활용보다는 추후 CoMP 기법 전환에 필요한 정보로 채널상태정보를 위해 할당된 자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해 전송 가능한 채널 정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RI 전송 주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기존 PMI 및 CQI 자원이 도 9의 (a) 또는 (b)와 같이 서로 동등하지 않은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자원을 빌려올 때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구조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9의 (a)를 참조하면, UE는 하나의 BS(또는 전송 포인트)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보고를 위해 광대역 CQI/PMI, 부대역 CQI, 광대역 제 1 PMI, 및 광대역 CQI/제 2 PMI를 모두 전송해야 하나, 앞에서 열거한 채널상태정보를 위해 할당된 자원을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자원으로 재할당하는 경우 해당 BS는 채널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한 가지 방법으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간에서는 기존 채널상태정보 및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구별없이 RI와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도 11은 DPS에 의해 선택된 P1에 대한 부대역 CQI 전송을 지원할 때, P2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간(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위한 전송 주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채널상태정보 및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모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로 전송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점선 박스로 표시해놓은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에서 P1을 위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와 P2를 위한 광대역 예비 채널상태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4-포트 이하(즉, 1, 2 또는 4-포트)의 안테나 구조 및 8-포트 안테나 구조에서 PMI 및 CQI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가능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로 제한한 구성을 나타낸다.
Antenna configuration | channel state information |
1, 2, 4 port | Wideband-CQI + PMI |
8 port | Wideband CQI + 1st PMI + 2nd PMI |
여기서 4-포트 이하의 안테나 구조에서는 RI만을 전송하는 방법과 RI를 전송하는 동시에 광대역 CQI 및 PMI를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하며, 8-포트 안테나 구조에서는 RI만을 전송하는 방법과 RI를 전송하는 동시에 1회의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기간에서 1/2차 PMI 및 광대역 CQI를 모두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여기서 광대역 CQI 및 PMI가 예비 채널상태정보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RI를 1로 가정하고 생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상태정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 CoMP 기법에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대상 TP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루프가 요구되는 다른 CoMP 기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고려한 초기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일 예로 DSP 기법에서 TP가 아닌 TP에 해당하는 BS를 포함하는 CoMP 집합에 대한 JT 기법으로 기법 전환된 경우, 상기 전환 이후의 초기 구간에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가 광대역 CSI(예컨대, PMI, CQI)를 포함할 때, CoMP 기법 전환 후의 초기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에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즉, CoMP 기법 전환 후에 일정 기간 동안은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전송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가 유효하므로, 곧바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도 12와 같이 초기 광대역 채널상태정보 피드백이 제외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는 전송장치(10) 및 수신장치(2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송장치(10) 및 수신장치(2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나르는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유닛(13, 23)과,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 22), 상기 RF 유닛(13, 23) 및 메모리(12, 22)등의 구성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해당 장치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메모리(12, 22) 및/또는 RF 유닛(13,2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 21)를 각각 포함한다.
메모리(12, 22)는 프로세서(11, 2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 22)가 버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통상적으로 전송장치 또는 수신장치 내 각종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 21)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1, 2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1, 21)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2, 2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 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송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상기 프로세서(11) 또는 상기 프로세서(11)와 연결된 스케줄러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RF 유닛(13)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열을 역다중화 및 채널 부호화, 스크램블링, 변조과정 등을 거쳐 K개의 레이어로 변환한다. 부호화된 데이터 열은 코드워드로 지칭되기도 하며,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이 제공하는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과 등가이다. 일 전송블록(transport block, TB)는 일 코드워드로 부호화되며, 각 코드워드는 하나 이상의 계층의 형태로 수신장치에 전송되게 된다. 주파수 상향 변환을 위해 RF 유닛(13)은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13)은 Nt개(Nt는 양의 정수)의 전송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장치(20)의 신호 처리 과정은 전송장치(10)의 신호 처리 과정의 역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의 제어 하에, 수신장치(20)의 RF 유닛(23)은 전송장치(10)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유닛(23)은 Nr개(Nr은 양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 유닛(23)은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각각을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frequency down-convert) 기저대역 신호로 복원한다. RF 유닛(23)은 주파수 하향 변환을 위해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하여, 전송장치(10)가 본래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F 유닛(13, 2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안테나는, 프로세서(11, 21)의 제어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유닛(13, 23)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RF 유닛(13, 2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는 안테나 포트로 불리기도 한다. 각 안테나는 하나의 물리 안테나에 해당하거나 하나보다 많은 물리 안테나 요소(element)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각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수신장치(20)에 의해 더 이상 분해될 수 없다. 해당 안테나에 대응하여 전송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는 수신장치(20)의 관점에서 본 안테나를 정의하며, 채널이 일 물리 안테나로부터의 단일(single) 무선 채널인지 혹은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 요소(element)들로부터의 합성(composite) 채널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수신장치(20)로 하여금 상기 안테나에 대한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상의 심볼을 전달하는 채널이 상기 동일 안테나 상의 다른 심볼이 전달되는 상기 채널로부터 도출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능을 지원하는 RF 유닛의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UE 또는 릴레이는 상향링크에서는 전송장치(10)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BS는 상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전송장치(10)로 동작한다.
이하, BS에 구비된 프로세서, 메모리, RF 유닛을 BS 프로세서, BS 메모리, BS RF 유닛이라 각각 칭하고, UE에 구비된 프로세서, 메모리, RF 유닛을 UE 프로세서, UE 메모리, UE RF 유닛이라 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BS 프로세서는 BS에 위치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BS와 케이블 혹은 전용 회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BS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BS 컨트롤러일 수도 있다.
상기 UE 프로세서는 상기 UE의 서빙 BS로부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 또는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반복되는 또는 주기적인 시간-주파수 자원 구조에서 상기 반복 또는 상기 주기의 기초가 되는 단위 자원 구조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UE 프로세서는 상기 UE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자원 구조는 하나의 전송 기간에 대응하며,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상기 BS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상기 서빙 BS로부터 상기 UE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E 프로세서는 상기 UE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period) 내에서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BS로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모두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일 수 있다. 또한, CoMP 기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 대상이 둘 이상의 BS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대상 BS에 대한 정보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UE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BS 또는 상기 이웃 BS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또는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부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CoMP 기법의 전환 후, 서빙 BS에 대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는 CoMP 기법 전환 이전에 전송된 상기 광대역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의해 제공되었으므로, 일정 기간 동안은 상기 서빙 BS에 대한 광대역 채널상태정보는 전송하지 않아도 괜찮다. 따라서, 상기 CoMP 기법의 전환 후, 예컨대 상기 UE의 서빙 BS가 상기 이웃 BS로 변경되면, 상기 UE 프로세서는 상기 UE RF 유닛을 통해 상기 변경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변경된 서빙 BS에 대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S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S 프로세서는 상기 UE로부터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반한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상기 UE로 전송되며, 상기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서빙 BS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CoMP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기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가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으로서 할당되어, 서빙 BS 외에 다른 이웃 BS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CoMP 기법의 전환 등으로 인한 서빙 BS의 변경시에 변경 이후 초기 기간 동안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자원이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채널상태정보의 보고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사용자기기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사용자기기가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period) 내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모두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인,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이 상기 이웃 기지국으로 변경되면, 상기 변경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에 대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사용자기기로서,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사용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간(period) 내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기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및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는 모두 광대역 채널상태정보인, 사용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위계층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기지국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 또는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에 부가하도록 구성된, 사용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의 서빙 기지국이 상기 이웃 기지국으로 변경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을 통해 상기 변경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에 대한 부대역 채널상태정보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기기.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사용자기기로부터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반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인, 채널상태정보 수신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사용자기기로부터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유닛으로 하여금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자원할당정보에 기반한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이웃 기지국에 대한 예비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일부인,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541086P | 2011-09-30 | 2011-09-30 | |
US61/541,086 | 2011-09-30 | ||
PCT/KR2012/007694 WO2013048079A1 (en) | 2011-09-30 | 2012-09-25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8887A true KR20140068887A (ko) | 2014-06-09 |
Family
ID=4799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7004523A Withdrawn KR20140068887A (ko) | 2011-09-30 | 2012-09-25 | 채널상태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 기기, 그리고 채널상태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313005B2 (ko) |
EP (1) | EP2761775B1 (ko) |
KR (1) | KR20140068887A (ko) |
CN (1) | CN103843260B (ko) |
WO (1) | WO20130480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09483B (zh) * | 2012-01-12 | 2015-09-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
JP6142920B2 (ja) * | 2013-05-10 | 2017-06-07 | 富士通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
US9531512B2 (en) * | 2013-11-25 | 2016-12-27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mmunications using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
US10004050B2 (en) | 2014-05-22 | 2018-06-1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nd propagating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downlink/uplink |
CN105451339B (zh) * | 2014-08-07 | 2019-01-08 |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CoMP状态报告的方法、装置与系统 |
WO2017041211A1 (zh) * | 2015-09-07 | 2017-03-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
CN106850162B (zh) * | 2015-12-03 | 2019-11-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的传输方法和基站以及用户设备 |
KR102355817B1 (ko) * | 2017-01-17 | 2022-01-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속적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
WO2019095303A1 (zh) * | 2017-11-17 | 2019-05-23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传输上行业务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6334B2 (ja) | 2000-12-22 | 2006-08-30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基地局 |
US8036672B2 (en) * | 2006-07-14 | 2011-10-11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KR101494002B1 (ko) | 2007-06-11 | 2015-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및 그에 따른 수신 장치 및방법 |
KR20090062435A (ko) * | 2007-12-13 | 2009-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및 시스템 |
CN104468068B (zh) * | 2009-07-21 | 2019-06-18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信道状态信息的装置和方法 |
CN101998497B (zh) | 2009-08-19 | 2013-03-2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非周期上报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装置 |
US8588801B2 (en) * | 2009-08-21 | 2013-11-19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point equalization framewor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
2012
- 2012-09-25 KR KR20147004523A patent/KR2014006888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09-25 CN CN201280047603.6A patent/CN10384326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25 EP EP12836544.2A patent/EP2761775B1/en active Active
- 2012-09-25 WO PCT/KR2012/007694 patent/WO201304807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25 US US14/241,815 patent/US931300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843260A (zh) | 2014-06-04 |
US9313005B2 (en) | 2016-04-12 |
US20140219238A1 (en) | 2014-08-07 |
EP2761775B1 (en) | 2020-03-25 |
EP2761775A4 (en) | 2015-06-03 |
EP2761775A1 (en) | 2014-08-06 |
WO2013048079A1 (en) | 2013-04-04 |
CN103843260B (zh) | 201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071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22595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31432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19631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20175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9680577B2 (en) | Method for remov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 |
KR10220812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프로세싱 시간 또는 복수의 전송 시간 간격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97985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 시간 간격,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시간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8923253B2 (en) |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nd apparatuses thereof | |
KR2019003419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9003895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11201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40036247A (ko) | 채널상태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 기기, 그리고 채널상태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 |
KR10199746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15044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9003361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7012821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7011549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09956A (ko) |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8004123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70093107A (ko) |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EP2761775B1 (en)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 |
US2014013342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cei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40131919A (ko) | 하향링크 신호 수신 또는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13123A (ko) |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이들을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