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67750A -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750A
KR20140067750A KR1020120135403A KR20120135403A KR20140067750A KR 20140067750 A KR20140067750 A KR 20140067750A KR 1020120135403 A KR1020120135403 A KR 1020120135403A KR 20120135403 A KR20120135403 A KR 20120135403A KR 20140067750 A KR20140067750 A KR 2014006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unit
building
unit
in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조상은
강신애
김준모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750A/ko
Priority to EP13172054.2A priority patent/EP2735986A3/en
Priority to US14/072,110 priority patent/US9841207B2/en
Priority to CN201380008599.7A priority patent/CN104106070B/zh
Priority to PCT/KR2013/010815 priority patent/WO2014084579A1/en
Publication of KR2014006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7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4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에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건물의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종류 및 상기 실내기가 설치될 룸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설치대수를 추천하는 자동배치 표시부; 및 상기 자동배치 표시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 및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 표시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An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n air conditioner and a us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가 구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업용 공기 조화기의 경우, 대용량의 실외기가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건물 각 층의 다수의 공간에 실내기가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건물의 설계 단계부터 건물의 크기 및 구조, 건물의 수용인원등이 고려되어 적절한 수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가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건물이 설계되는 과정에서, 건물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를 선정하여야 하고, 냉매배관, 분지관 또는 드레인 배관의 배치 및 제어기의 구성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만, 종래에 공기 조화기를 건물에 설계하는 프로세스에 의하면, 건물의 설계도면과 공기 조화기의 설치도면이 서로 다른 워크 플로우(work flow)로 진행됨으로써, 위 복수의 도면이 서로 매칭이 되지 않아, 건물 설계 및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설치정보(건물정보 또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등)에 대한 당사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실제 필요한 수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가 설치되지 못하거나, 냉매배관등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가 건물에 적절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 공기 조화기의 사용 과정에서 냉방 또는 난방효율이 좋지 못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적절한 설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에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건물의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종류 및 상기 실내기가 설치될 룸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설치대수를 추천하는 자동배치 표시부; 및 상기 자동배치 표시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 및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 표시부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에는, 건물의 도면정보를 포함하는 도면 표시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 중, 실내기가 설치될 룸의 영역이 지정되는 단계; 상기 룸에 설치될 실내기의 종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설치대수 추천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결정된 실내기의 설치대수에 따라, 실내기가 상기 도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에 관한 실제 도면으로부터 건물의 설치환경을 저장하고, 저장된 설치환경에 맞는 공기 조화기의 선정 또는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건물의 환경에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공간정보 또는 사용정보(발생열량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냉난방 능력이 계산되고 사용되어야 할 실내기의 사용대수등이 결정 또는 추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설치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실의 면적 및 부하정보와, 선택된 종류의 실내기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가 자동배치 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설계 및 배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이 도면 프로그램으로 제공됨으로써, 설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상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치정보 및 제품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메인 메뉴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메뉴의 세부메뉴를 선택한 결과가 도면에서 확인될 수 있으므로, 설계 프로세스가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레벨 정보가 포함되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지정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평면도가 포함되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룸정보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자동배치된 도면 표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자동배치된 도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 및 룸에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 및 룸에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실내기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에는, 사용자에게 공기 조화기의 설치(배치설계)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미리 설정된 정보(일례로,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표시되며,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PC, 단말기, 서버 또는 제어기기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시스템의 속성정보와, 공기 조화기의 설치를 위한 프로젝트(설치 프로세스) 정보 및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에 관한 정보(일례로, 건물정보)가 포함되는 설치정보 표시부(100)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정보 표시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전체 영역 중 구획된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치정보 표시부(100)에는, 상기 시스템(10)의 속성정보가 표시되는 속성 표시부(110)가 포함된다. 상기 속성 표시부(110)에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도면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도면의 축척정보, 그래픽 정보 및 스케일 정보등이 포함된다.
상기 설치정보 표시부(100)에는, 건물의 바닥설계 및 천장설계에 관한 정보와,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선택할 수 있는 프로젝트 표시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에는, 건물의 바닥설계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입력할 수 있는 표시부(이하, 바닥설계 표시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건물이 2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설계 표시부에는, "1층 바닥", "2층 바닥", "머리높이" 및 "어깨높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에는, 건물의 천장설계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입력할 수 있는 표시부(이하, 천장설계 표시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건물이 2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천장설계 표시부에는, 1층 천장구조(ceiling mech) 및 2층 천장구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2층 천장구조에는, "덕트레벨(높이)" 및 "옥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에는,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입력할 수 있는 표시부(이하, 건물높이 표시부)가 포함된다. 상기 건물높이 표시부에는, 보여지는 방향에 따라 건물의 높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부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선택부에는, 동쪽 구조(East-Mech), 서쪽 구조 및 북쪽 구조 선택부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에 관한 정보, 일례로 건물의 층 정보, 또는 룸(room) 정보가 도시되거나, 상기 건물에 설치될 공기 조화기의 세부장치(장비)들의 배치정보가 표시되는 도면 표시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룸 정보는, 건물의 각 층에 있어서 구획된 방(room)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도면에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면 표시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전체 영역 중 구획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에 관한 구조가 입체적 또는 3차원(3 Dimensions)으로 표시되는 건물 사시도(2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에는, 다수의 건물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건물 중 어느 하나의 건물을 불러오면, 도 1과 같이 특정 건물의 구조가 사시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상기 건물 사시도(210)의 보여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뷰어 조절부(290)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뷰어 조절부(290)를 선택한 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건물 사시도(210)의 보여지는 각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건물의 각 층, 또는 각 실에 배치될 공기 조화기의 세부구성(장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품정보 표시부(300)가 포함된다. 상기 제품정보 표시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전체 영역 중 구획된 또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영역에는 상기 설치정보 표시부(100), 도면 표시부(200) 및 제품정보 표시부(300)가 표시된다. 상기 설치정보 표시부(100) 및 제품정보 표시부(300)는, 공기조화기를 상기 도면표시부(200)에 배치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들을 표시하는 점에서, 이들을 합하여 "가이드 표시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레벨 정보가 포함되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지정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의 정면도(211) 및 상기 정면도(211)에 기초한 건물의 바닥 및 층에 대한 높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도면 및 높이 정보는 상기 시스템(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의 건물높이 표시부가 선택되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의 정면도(211) 중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정면도(211)로부터 이격되어 건물의 바닥으로부터 천장 또는 옥상까지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건물이 2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정면도(211)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위치 표시부(217)가 표시된다. 상기 위치 표시부(217)에는, 최하부의 "1층 바닥"으로부터 최상부의 "옥상"까지 건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위치가 세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즉, 건물의 정면도(211)에 표시되는 건물의 각 구성부분에 대응하여, 높이 방향으로 위치 표시부(217)가 표시된다. 상기 위치 표시부(217)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1층 바닥", "1층 천장", "덕트 레벨", "2층 바닥", "어깨 높이", "머리 높이", "2층 천장", "옥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표시부(217)에는, 건물의 각 구성부분에 대한 높이(레벨)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 바닥은 0, 1층 천장은 3,000mm, 덕트 레벨은 3,400mm, 2층 바닥은 4,000mm, 어깨 높이는 5,500mm, 머리 높이는 6,000mm, 2층 천장은 7,000mm, 옥상은 8,000mm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깨 높이와 머리 높이는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는 기준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깨 높이와 머리 높이는 건물에 구비되는 창의 높이 또는 공기 조화기의 공기 토출구의 위치등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상기 정면도(211)로부터 상기 위치 표시부(217)까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벨 표시선(218)이 표시된다. 상기 레벨 표시선(218)은, 건물의 각 구성부분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표시선(218)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정면도(211)에 도시되는 건물의 각 구성부분과 위치 표시부(217)에 기재되는 각 구성부분의 이름을 쉽게 매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면 표시부(200)에 건물의 각 구성부분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에는, 높이지정 표시부(220)가 도시된다. 상기 높이지정 표시부(220)는 상기 도면 표시부(200)의 일 영역을 선택하면 팝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은 일례로, 상기 건물의 정면도(211), 위치 표시부(217) 및 레벨 표시부(218)가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PC, 단말기, 서버 또는 제어기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 일례로 마우스의 클릭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시스템(10)에 구비되는 특정 입력부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높이지정 표시부(220)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높이지정 표시부(220)에는, 건물의 각 구성부분과, 상기 구성부분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높이지정 표시부(220)에 포함되는 정보는, 도 2의 위치 표시부(217)에 포함되는 레벨에 관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스템(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평면도가 포함되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룸정보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의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 평면도(212)가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의 바닥설계 표시부를 선택하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의 각 층에 대한 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는, 상기 바닥설계 표시부 중 "2층바닥"을 선택한 경우, 건물 2층의 룸 정보가 포함된 건물 평면도(212)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건물 평면도(212)가 표시된 내부 영역을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룸정보 표시부(230)가 팝업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시스템(10)에 구비되는 특정 입력부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룸정보 표시부(230)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룸정보 표시부(230)에는, 건물의 각 층에 설정된 룸에 관한 정보, 일례로 룸 면적, 냉난방 부하 또는 실내기 능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10)에는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룸에 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능력을 가지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자동배치된 도면 표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10)에 구비되는 특정 입력부를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240)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240)에는, 배치를 원하는 실내기의 타입 및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모델 표시부(241), 상기 모델 표시부(241)에서 선택된 모델의 실내기 형상이 표시되는 형상 표시부(241a) 및 선택된 모델의 실내기에 관한 배치정보가 표시되는 배치정보 표시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배치정보 표시부(242)에는, 실내기의 배치위치, 즉 실내기가 룸의 중앙 또는 벽면에 배치할 지 여부가 선택될 수 있는 배치구분 표시부(243)와, 실내기가 배치될 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룸정보 표시부(244) 및 실내기의 배치간격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배열설정 표시부(245)가 포함된다.
상기 배치구분 표시부(243)에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배치구분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배치구분에는, 선택된 실내기가 해당 룸의 중앙을 기준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중앙배치"와, 선택된 실내기가 4방향의 벽을 기준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벽면배치" 및 사용자가 실내기의 배치기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지정배치"가 포함된다.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룸의 면적 및 부하정보(실부하 정보)와, 실내기의 능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델 표시부(241)를 통하여 실내기의 일 모델이 선택되면 선택된 모델(실내기)에 관한 능력정보와, 룸에 관한 면적정보 및 부하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실내기가 해당 룸에 몇 대 설치되는 것이 최적인지 여부가 추천될 수 있다. 즉,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선택된 실내기의 "추천대수"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기의 능력, 실면적 및 부하정보등에 따라, 실내기를 몇 대를 배치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배열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고민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배치될 실내기의 행렬에 관한 정보, 즉 행의 수(W) 및 열의 수(C)에 관한 정보가 입력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추천대수에 따라, 상기 행의 수(W) 및 열의 수(C)는 소정의 값으로 미리 결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설치대수 및 행렬에 관한 정보(W,C)는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상기 행렬에 관한 정보를 수정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상기 추천대수 및 행렬의 수(W,C)에 따라 실내기의 배치모습을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배치도(244a)가 포함된다.
실내기의 행렬에 관한 정보, 즉 W*C 값은 배치될 실내기의 대수로 이해된다. 상기 추천대수와 입력된 실내기의 대수(W*C)는 일치할 수도 있고,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추천대수와 실내기의 대수(W*C)가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기의 대수(W*C) 및 행렬정보에 따라 실내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10)에서 추천하여 준 설치대수 및 행렬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 또는 수정한 정보가 다를 경우, 상기 평면 배치도(244a)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실내기의 설치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열설정 표시부(245)에는, 입력된 대수(W*C)의 실내기를 어떻게 배열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즉 배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정보에는, 상기 행렬에 관한 정보와 관련하여 행을 이루는 일 실내기와 타 실내기간의 간격(이하, 행 간격)과, 열을 이루는 일 실내기와 타 실내기간의 간격(이하, 열 간격) 및 룸의 벽면에 대하여 실내기의 행렬이 이루는 각도(이하, 배열 각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행 간격, 열 간격 및 배열 각도에 관한 정보는 입력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열설정 표시부(245)에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들은 해당 실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열 각도에 관한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배열각도를 수정하여 실내기의 배치가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배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자동배치 시스템에 의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실내기의 타입 및 모델이 선택되면 지정된 룸에 실내기가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실내기를 도면표시부(200)에 배치시킬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240)의 입력과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건물 평면도(212)에서 실내기를 배치하고자 하는 하나의 룸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방법은, 마우스 등으로 룸의 경계영역, 즉 외곽 경계선을 따라 소정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룸 중 Room 1을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델 표시부(241)에 표시된 "실외기 형식"에서 하나의 실외기 타입을 선택하고, 선택된 실외기와 매칭될 수 있는 "실내기 형식" 중 하나의 타입을 선택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 형식"에서는 "Multi V Super II"를 선택하고, 상기 "실내기 형식"에서는 "Cassette 4Way"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 형식"에서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면, 선택된 타입에 속하는 다수의 실내기 모델이 표시된다. 상기 다수의 실내기 모델 중 하나의 모델을 선택하면, 상기 형상 표시부(241a)에는 선택된 모델의 실내기 형상이 그려진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실내기의 모델은 룸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배치구분 표시부(243)에서 원하는 배치구분을 선택할 수 있다(도 6에서는 중앙 배치).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선택된 Room 1에 관한 정보, 즉 룸 면적 및 룸 부하와, 선택된 실내기의 능력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룸정보 표시부(244)에는, 상기 Room 1에 관한 정보 및 실내기의 능력에 기초하여, 적절한 실내기의 설치대수가 추천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6에서는 2대). 추천된 실내기의 대수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기의 행렬을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배열설정 표시부(245)에는, 설정된 실내기 대수 및 룸 면적에 따라, 특정한 행 간격, 열 간격 및 배열 각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이러한 행렬 간격 및 배열 각도에 관한 정보를 수정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24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 또는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평면도(212)의 해당 룸에는, 실내기가 자동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서 상기 Room 1에 해당하는 영역(실내기의 설치영역)을 다시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om 1에는 2대의 실내기가 룸의 천장 중앙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Room 1의 내부에는, 실내기를 나타내는 실내기 표시부(213)가 2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실내기가 자동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트 표시부(150)의 건물높이 표시부를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건물의 각 구성부분의 레벨 표시와 함께, 천장형 실내기가 배치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상세히, 도 8에는, 실내기 표시부(213)가 1층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7,000mm 높이에 위치한 2층 천장에 위치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다수의 레벨 표시선(218) 및 위치 표시부(217)가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자동배치된 도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다수의 룸에 실내기를 자동배치 한 경우,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다수의 실내기 표시부(213)가 포함되는 건물 사시도(2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상기 건물 사시도(210)의 외측 영역에 실외기 표시부(214)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 표시부(214)는 자동배치된 실내기에 대응되는 실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의 배치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내기의 자동배치 이후 또는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하고자 하는 실외기의 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 소정 영역(설치위치 영역)을 설정하면, 상기 도면 표시부(200)의 상기 소정 영역에는 상기 실외기 표시부(21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물 사시도(210)의 일측에는 뷰어 조절부(290)가 배치된다. 상기 뷰어 조절부(290)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건물 사시도(210)는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보여지는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뷰어 조절부(290)를 조절함으로써, 건물에서의 실내기 및 실외기 배치모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 및 룸에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실내기(400)가 상기 시스템(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천장형 실내기 외에도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실내기(40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는, 도 6에서 설명한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240)의 모델 표시부(241)에서 선택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의 모델이 선택되고 상기 배치정보 표시부(242)를 통하여 배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가 실내기 표시부로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건물 평면도, 레벨 표시도면 및 건물 사시도에 벽걸이형 실내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는 미리 설정된 설치조건에 따라, 자동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는 건물의 룸(410) 내에서 4개의 벽면(411,412,413,414)에 대하여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룸(410)은 상기 4개의 벽면(411,412,413,414)에 의하여 그 내부 공간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는 제 1 벽면(411)에 대하여 H5만큼 이격되고, 제 2 벽면(412)에 대하여 H4만큼 이격되고, 제 3 벽면(413)에 대하여 H3만큼 이격되고, 제 4 벽면(414)에 대하여 H6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3,H4,H5 및 H6은 각각 20mm 이상, 100mm 이상, 1000mm 이상 및 100mm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형 실내기(400)는 바닥면(415)에 세워진 상태에서, 천장(416)에 대하여 H7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7은 175mm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결국, 도 6에서 결정된, 소정 대수의 스탠드형 실내기(400)가 룸(410)내에서 설정 배열 또는 간격으로 자동 배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설치조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실내기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표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천장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및 스탠드형 실내기가 룸을 달리하여 배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천장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제 1 실내기 표시부(213)는 제 1 룸(500)의 레벨 A(4,000mm)에 설치되고, 벽걸이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제 2 실내기 표시부(313)는 제 2 룸(600)의 레벨 B(2,000mm)에 설치되며, 스탠드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제 3 실내기 표시부(413)는 제 3 룸(700)의 레벨 C(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각 실내기는 특정 룸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내기들이 모두 배치된 후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는 다수의 실내기들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2는 실내기의 레벨을 쉽게 알 수 있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건물 구조에 대하여 실내기들의 배치를 쉽게 알 수 있는 사시도로서 이해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의 모델을 선택하면, 실내기의 용량(능력)과, 룸의 부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설치대수 및 배열에 관한 정보가 추천될 수 있고, 추천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수정한 정보에 따라 실내기가 자동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설치를 위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이드 시스템(10)에는, 공기조화기의 배치설계를 위한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부(21)와,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공간에 관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3)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치설계를 위한 과정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5)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21)는 컴퓨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설치가이드 시스템(10)에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입력부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메모리부(23)에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건물정보, 층정보 및 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가 포함된 도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정보는 고객(건물주, 건물설계사)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10)에 저장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배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도면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 일례로 도면 표시부(20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정보와 함께, 위에서 설명한 내용에 따라, 상기 천장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또는 스탠드형 실내기가 상기 도면 표시부(200)에 표시될 수 있다.
10 : 설치가이드 시스템 20 : 디스플레이부
21 : 입력부 23 : 메모리부
100 : 설치정보 표시부 150 : 프로젝트 표시부
200 : 도면표시부 210 : 건물 사시도
211 : 건물 정면도 212 : 건물 평면도
220 : 높이지정 표시부 230 : 룸정보 표시부
240 : 실내기 자동배치 표시부 300 : 제품정보 표시부

Claims (14)

  1.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건물의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종류 및 상기 실내기가 설치될 룸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설치대수를 추천하는 자동배치 표시부; 및
    상기 자동배치 표시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 및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 표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룸에서 실내기가 설치될 높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에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층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대한 높이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실내기가 설치될 높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층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대한 높이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치 표시부에는,
    상기 실내기의 추천대수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배열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 표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추천대수 및 실내기의 배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 가이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표시부에는 상기 실내기가 설치될 룸을 포함하는 건물의 도면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룸의 경계영역을 설정하면, 상기 자동배치 표시부를 통하여 실내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 가이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내기에는, 천장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및 스탠드형 실내기 중 적어도 2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실내기는 상기 도면 표시부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 가이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표시부에는,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가 보여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뷰어 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 가이드 시스템.
  9. 건물의 도면정보를 포함하는 도면 표시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건물의 도면정보 중, 실내기가 설치될 룸의 영역이 지정되는 단계;
    상기 룸에 설치될 실내기의 종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설치대수 추천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결정된 실내기의 설치대수에 따라, 실내기가 상기 도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된 실내기의 설치대수에 따라, 실내기의 배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배열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실내기가 배치될 행에 관한 정보 및 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추천대수 및 배열에 관한 정보는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가 상기 도면 표시부에 배치되는 단계에는,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정면도에서,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표시되어 배치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가 상기 도면 표시부에 배치되는 단계에는,
    건물을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건물 사시도에서, 상기 실내기가 바닥, 벽면 및 천장 중 하나의 위치에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KR1020120135403A 2012-11-27 2012-11-27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eased KR2014006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03A KR20140067750A (ko) 2012-11-27 2012-11-27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EP13172054.2A EP2735986A3 (en) 2012-11-27 2013-06-14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using method thereof
US14/072,110 US9841207B2 (en) 2012-11-27 2013-11-05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1380008599.7A CN104106070B (zh) 2012-11-27 2013-11-26 用于空调的安装引导系统及其使用方法
PCT/KR2013/010815 WO2014084579A1 (en) 2012-11-27 2013-11-26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u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03A KR20140067750A (ko) 2012-11-27 2012-11-27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750A true KR20140067750A (ko) 2014-06-05

Family

ID=4860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403A Ceased KR20140067750A (ko) 2012-11-27 2012-11-27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41207B2 (ko)
EP (1) EP2735986A3 (ko)
KR (1) KR20140067750A (ko)
CN (1) CN104106070B (ko)
WO (1) WO2014084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3850A (zh) * 2015-10-29 2016-03-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推荐空调安装位置的装置、方法和系统
MX2021004189A (es) * 2018-10-10 2021-10-13 Lutron Tech Co Llc Herramienta de configuración de sistema de control de carga.
JP6972388B2 (ja) * 2018-12-19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149320B2 (ja) * 2020-12-21 2022-10-06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表示方法、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6538634B (zh) * 2023-05-11 2024-02-02 宁波安得智联科技有限公司 空调器的安装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810B1 (en) 1982-07-28 1995-09-05 Technology Inc Const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uct work for producing patterns for conduit sections in the designated duct work
US5557537A (en) 1990-07-12 1996-09-17 Normann; Linda M.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nd editing a distribution system for a building
JPH0894150A (ja) * 1994-09-28 1996-04-12 Tadashi Yamamoto 自動空調設計装置
KR20020002894A (ko) 2000-06-30 2002-01-10 구자홍 다수 분류의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이시스템의 운영 방법
US7353188B2 (en) * 2000-06-30 2008-04-01 Lg Electronics Product sel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90076779A1 (en) 2000-10-12 2009-03-19 Simmons Joseph V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US8050521B2 (en) 2002-07-27 2011-11-01 Archaio, Ll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viewing, coordinating, manipulating and interpret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digital images of structures for providing true scale measurements and permitting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KR100626444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7606683B2 (en) 2004-01-27 2009-10-2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design simulator
CA2605012A1 (en) * 2005-04-29 2006-11-16 Industrial Planning Technology, Inc. Hybrid 3d path router
US8823751B2 (en) 2006-01-26 2014-09-02 Autodesk, Inc. Size based display of piping systems
US20070219764A1 (en) 2006-03-15 2007-09-20 Autodesk, Inc. Synchronized Physical and Analytical Flow System Models
US7792662B2 (en) 2006-04-28 2010-09-07 Caterpillar Inc Automatic hose and harness routing method and system
US20070288207A1 (en) 2006-06-12 2007-12-13 Autodesk, Inc. Displaying characteristics of a system of interconnected components at different system locations
US8260581B2 (en) 2006-11-27 2012-09-04 Designin Corporation Joining and disjoining individual rooms in a floor plan
EP1939813B1 (en) 2006-12-22 2019-07-31 Honeywell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a HVAC-system or the like
US8249841B1 (en) * 2007-01-29 2012-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ized tool for assessing conditions in a room
AU2008248197B2 (en) 2007-05-01 2011-12-01 M.E.P. Cad,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a conflict in a CAD drawing
US8441502B2 (en) 2007-05-01 2013-05-14 M.E.P. Cad,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olving a CAD drawing conflict with an arm around
US8773425B2 (en) 2007-05-01 2014-07-08 M.E.P. CAD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posing resolutions to conflicts in a CAD drawing with reflections
CN101067315B (zh) 2007-05-30 2010-09-15 肖文昭 一种太阳能建材和建筑一体化太阳能利用
US7925479B2 (en) 2007-07-20 2011-04-12 Honda Motor Co., Ltd. Efficient process for evaluating engine cooling airflow performance
US7702421B2 (en) * 2007-08-27 2010-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 HVAC control with building floor plan tool
US20090307255A1 (en) * 2008-06-06 2009-12-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Graphical management of building devices
JP5532352B2 (ja) 2009-02-20 2014-06-25 サンパワ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ソーラーコレクタ設置を設計する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381359B2 (ja) 2009-06-10 2014-01-08 富士通株式会社 機器配置案内装置、機器配置案内方法及び機器配置案内プログラム
ES2813351T3 (es) 2009-06-12 2021-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Aparato de diagnóstico de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CA2785327A1 (en) 2009-12-23 2011-06-30 AEA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building services design
US20120072181A1 (en) 2010-09-22 2012-03-22 Behzad Imani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hvac systems in buildings
CN102033992A (zh) 2010-11-24 2011-04-2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安装位置计算方法
JP5542970B2 (ja) * 2011-01-26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8957A1 (en) 2014-05-29
CN104106070A (zh) 2014-10-15
US9841207B2 (en) 2017-12-12
WO2014084579A1 (en) 2014-06-05
EP2735986A3 (en) 2017-12-27
CN104106070B (zh) 2018-03-30
EP2735986A2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324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KR20140067750A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EP2982911B1 (en)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air-conditioning device
US20140380221A1 (en)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20170659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er, and machine learning device
KR101642540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642541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285019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US11486587B2 (en) Multi-zone flexi-positioning air-conditioning system
US20160305679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1204893B1 (ko) 교육용 시뮬레이션 공기조화 장치
JP2021032478A (ja) 学習用データ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械学習方法
KR101319625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264559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JP2009299965A (ja) 空調システム
KR101319802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JP732327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9032065A (ja) 空調機配置支援システム
JP6943695B2 (ja) 設計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