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338A -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338A KR20140065338A KR1020130139538A KR20130139538A KR20140065338A KR 20140065338 A KR20140065338 A KR 20140065338A KR 1020130139538 A KR1020130139538 A KR 1020130139538A KR 20130139538 A KR20130139538 A KR 20130139538A KR 20140065338 A KR20140065338 A KR 20140065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steel
- girder
- concrete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8 ed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거더의 경량화 및 연속화를 통한 장스팬 구조가 가능하면서도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연결방법 때문에 활성화 되지 못했던 하이브리드 빔거더의 연결방법에 효율성을 부가하여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지점부 부모멘트 구간에는 콘크리트 블록을, 지간부 정모멘트 구간에는 강재블록을 배열하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를 구성하되, 거더 조립 시 블록끼리의 접합면 아래부분이 먼저 닿도록한 후 접합면 윗부분이 완전히 닿을 때까지 연결용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 거더를 조립함으로써 거더조립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거더에 상향의 솟음변형이 생기는 휨모멘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거더에 자동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연결방법을 개선하며 콘크리트 블록에 블록연결용 강재조각을 매립하여 제작하는 방식으로 거더의 현장조립을 강재끼리의 연결만으로도 가능하도록 하여,
주로 전단력과 부모멘트에 저항하는 지점부는 콘크리트를 재료로, 주로 정모멘트에 저항하는 지간부는 강재를 재료로 하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빔거더의 경제적인 실용화를 달성함으로써 기존의 빔거더를 대체하는 구조형식으로 적용하거나, 또는 빔거더의 장지간화에 활용하거나 또는 경량구조라는 장점을 통해 하부구조물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고 노후된 빔거더를 교체시공하는데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발명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1b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거더의 콘크리트 블록들이 지점부에서 교각과 일체로 시공된 채 교각에 거치되어 있는 단계에 대한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교의 일반적인 개념도이다.
도1c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거더들이 교각 위에 거치되어 있는 단계에 대한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교의 일반적인 개념도 중에서 신축이음부가 있는 최외측 경간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강재블록의 모습과 최외측 지점에 있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콘크리트 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교의 일반적인 개념도이다.
도1d는 도1c에서 최외측 지점에 있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콘크리트 블록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길게 제작하여 빔거더 여러 개를 일체화 한 것이 추가된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교의 일반적인 개념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대표도로써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의 개념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2b는 도2a에서 끼움쇠의 사용이 추가된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의 조립도이다.
도2c는 도2a에서 강재블록끼리의 연결부가 추가된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의 조립도이며, 강재블록끼리의 연결부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결방법을 도입하거나 또는 도입하지 않거나 어떠한 방법을 써도 무방하다.
도2d는 본 발명의 실용예의 하나로서 3경간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의 개념을 나타내는 조립도인데, 콘크리트 블록에는 현장연결용 강재조각이 매립되어 있어 연결판과 볼트를 이용한 강재블록과의 현장연결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며 최외측 신축이음이 있는 곳의 지점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최회측 경간 대부분이 강재블록으로 구성되게 하여 자중을 감소시킨 실시예이고 최외측 경간의 정모멘트가 내부경간의 정모멘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연속지간 거더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외측 경간에 있는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의 현장연결 1개소에만 본 발명이 고안한 거더의 조립을 통해 자동적으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연결방법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한 조립도이다.
도3a는 도2a의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의 연결부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한 상세도이다.
도3b는 도2b의 끼움쇠를 사용한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의 연결부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한 상세도이다.
도3c는 강재블록끼리의 연결부에 대한 상세인 동시에 블록들의 접합면 하단부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3d는 강재블록과의 현장연결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 블록 속에 매립하는 강재조각(500)의 매립상세도이며 강재블록과의 볼트연결을 위해 필요한 볼트홀(540)이 가공된 강재조각의 일부분을 외부로 돌출시킨채 콘트리트 블록 속에 매립시키고 일체거동을 보장하기 위해 정착판(510)을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3e는 도3d에서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조각의 일체거동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정착판(510)에 전단연결재인 스터드(101)을 추가로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이다.
도3f는 도3d에서 정착판(510)을 사용하는 대신에 전단연결재인 스터드(100)를 강재조각(500)에 직접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3g는 도3f에서 스터드(100)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단연결재로 천공홀이 가공된 강판(110)을 강재조각(500)에 직접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이다.
도3h는 도3e에서 정착판(510)에 스터드(100)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단연결재로 천공홀(532)이 가공된 강판(530)을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3i는 도3h에서 천공홀(532)이 가공된 강판(530)을 사용하는 대신에 전단연결재인 스터드(102)가 부착된 강판(531)을 부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4a, 도4b, 도5a, 도5b는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의 연결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에 배치되는 전단연결용 철근과 강재블록에 배치되는 전단연결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4a는 콘크리트 블록에서 철근을 연장시킨 모습, 도4b는 콘크리트 블록에 철근커플러를 매립해둔 모습, 도5a는 강재블록에 스터드를 부착한 모습, 도5b는 강재블록에 천공홀이 가공된 강판을 부착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6, 도7b은 바닥판과의 구조적 합성을 위해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 상면에 배치된 전단연결재에 대한 실시예를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7a는 강재블록의 상부플랜지의 압축보강을 위해 시공되는 압축력보강용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를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8은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의 접합부에 현장타설 콘트리트를 시공한 후의 모습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9a, 도9b, 도9c는 가벤트를 사용하여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를 거치, 조립 및 시공하는 절차에 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10a, 도10b, 도10c, 도10d는 거더 가설용 장비를 사용하여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를 거치, 조립 및 시공하는 절차에 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11은 강재거더에 발생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 강재거더 아래 위로 브라켓을 설치하여 긴장재의 모멘트 팔길이를 최대화한 실시예이다.
도12a, 도12b, 도12c, 도12d, 도12e, 도12f는 콘크리트 블록 속에 매립된 강재조각(500)을 이용하여 블록간의 현장연결을 강재끼리의 볼트연결만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을 경우 블록들의 연결 과정을 통해 자동적으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며, 차례로 도12a는 연결을 위해 콘크리트 블록(2b)과 강재블록(1c)이 정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접합면 상단(32)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하단(33)의 이격거리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고, 도12b는 도12a에서 접합면 하단부에 간격유지용 임시끼움쇠(560)를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2c는 도12b에서 더 떨어져 있는 접합면 상단부의 이격거리를 좁혀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접합면 상단부를 서로 끌어당기기 위한 긴장재(570), 긴장재 정착장치(571) 및 정착구보강재(572)를 추가로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2d는 상기 접합면 상단부(32)에 장착된 긴장력 도입장치를 이용하여 거더에 계획된 프리스트레스력이 도입될 때까지 서로 끌어당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2e는 도1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시끼움쇠(560)와 긴장재(570), 긴장재 정착장치(571) 및 정착구보강재(572)에 의해서 접합면이 정열된 상태에서 연결판(550)과 볼트(551)를 이용하여 블록들의 연결을 완료한 상태에 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2f는 도12e에서 접합면 상단부(32)의 긴장재(570), 긴장재 정착장치(571) 및 정착구보강재(572)와 접합면 하단부(33)의 간격유지용 임시끼움쇠(560)를 제거하여 블록들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 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3)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에 있어서,
내부지점(3)부 부멘트 구간 및 단부지점부(3a)에는 콘크리트 블록(2,2a,2b)을 구비하고 지간부 정모멘트 구간에는 강재블록(1,1c,1d)을 구비한 후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간의 거더를 구성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과 상기 강재블록(1,1c,1d)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 접합면(30,31)은 접합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이 접합면 하단부(31)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보다 더 가깝게 되어 있어;
블록들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가까운 접합면 하단부(31)가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접합면 상단부(30)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과 상기 강재블록(1,1c,1d)을 연결 및 체결하는 거더 조립과정 중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거나 폐합되면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블록(1,1c,1d)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의 접합면(30,31)의 강재블록(1,1c,1d)과 콘크리트 블록(2,2a,2b) 사이에 간극 채움재인 끼움쇠(20,21)(Shim)가 접합면 상단부(30) 또는 접합면 하단부(31) 또는 접합면 상단부(30)와 하단부(31) 양쪽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끼움쇠(20,21)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적층으로 쌓아서 구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쇠(20,21)를 포함한 접합면 선단부 끝부분은 접합면 선단부 끝부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 선단부 끝부분이 접합면 하단부(31)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보다 더 가깝게 되어 있어;
상기 강재블록(1,1c,1d)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가까운 접합면 하단부(31)가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접합면 상단부(30)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됨에 따라;
상기 강재블록(1,1c,1d)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을 연결 및 체결하는 거더 조립과정 중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접합면 상단부 접합면(3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거나 폐합되면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지점(3)부 부모멘트 구간에 구비되는 블록이 강재블록이거나 또는 단부지점부에 구비되는 블록이 강재블록이거나 또는 이들 모두가 강재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간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2,2a,2b)이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블록(1,1b,1c)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재블록(1,1b,1c)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강재블록(1a,1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2a,2b)이 양 끝단부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끝단부 모두에 매립된 강재조각(500)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강재조각(500)은 일부분이 콘크리트 블록(2a,2b)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콘크리트 블록(2a,2b) 속에 매립되어 있어;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의 연결이 강재조각(500)과 강재블록(1c,1d) 사이의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여;
강재끼리의 연결만으로도 블록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조각(500)이 콘크리트 블록(2a,2b)과 일체거동을 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보조재로 정착판(510) 또는 정착판(510)과 정착판(510)에 부착되는 스터드(101) 또는 강재조각(500)에 직접 부착되는 스터드(100) 또는 강재조각에 직접 부착되는 천공홀이 가공된 강판(110) 또는 정착판(510)과 정착판(510)에 부착되는 천공홀(532)이 가공된 강판(530) 또는 정착판(510)과 정착판(510)에 부착되는 스터드(102)가 부착된 강판(531) 또는 정착판(510)과 이에 정착되는 긴장재 및 정착장치 또는 이들이 혼용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교량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블록(2,2a,2b)을 현장에서 교각 또는 교대를 시공할 때 교각 또는 교대와 일체로 같이 제작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별도의 블록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공장에서 별도의 블록으로 제작하는 단계;
강재블록(1,1c,1d)을 현장에서 별도의 블록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공장에서 별도의 블록으로 제작하는 단계;
콘크리트 블록(2,2a,2b)을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 별도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2,2a,2b)을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설치하는 단계;
별도로 제작된 강재블록(1,1c,1d)을 교각 또는 교대와 일체로 제작되어 구비되었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2,2a,2b)과의 연결 및 체결을 위하여 나열하되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의 연결부 접합면(30,31)은 접합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이 접합면 하단부(31)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 보다 더 가깝게 되도록 하여 접합면 하단부(31)는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접합면 상단부(30)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도록 하는 단계;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접합면 상단부의 접합면(30)이 간격이 좁아지거나 폐합되면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재블록(1,1c,1d)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을 연결, 체결 및 조립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2,2a,2b)과 상기 강재블록(1,1c,1d)의 접합면의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 사이에 끼움쇠(20,21)(Shim)를 삽입하되 끼움쇠(20,21)(Shim)를 포함한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의 연결부 접합면(30,31)은 접합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이 접합면 하단부(31)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 보다 더 가깝게 되도록 하여 접합면 하단부(31)는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접합면 상단부(30)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에 있어서 블록사이의 연결이 강재끼리의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재조각(500)이 매립된 콘크리트 블록(2a,2b)과 강재블록(1c,1d)을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블록 연결방법으로서,
강재조각(500)이 매립된 콘크리트 블록(2a,2b)과 강재블록(1c,1d)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블록(2a,2b)과 강재블록(1c,1d)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되 연결부 접합면의 하단부(33) 이격거리가 상단부(32)의 이격거리 보다 더 좁도록 나열하는 단계;
접합면의 하단부(33)에는 이격된 이격거리에 알맞는 임시끼움쇠(Temporary Shim)(560)를 끼우고 접합면의 상단부(32)에는 이격된 이격거리를 줄이기 위한 힘을 도입하는데 사용할 긴장시스템(570,571,572) 또는 힘도입 장치를 구비하는 단계;
접합면 상단부(32)에 구비된 긴장시스템(570,571,572) 또는 힘도입 장치를 이용하여 접합면 상단부(32)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의 프리스트레스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볼트연결 또는 용접연결 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2a,2b)에 매립되어 있는 강재조각(500)과 강재블록(1c,1d)을 연결하는 단계;
접합면 상단부(32)에 설치된 긴장시스템(570,571,572) 또는 힘도입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접합면 하단부(33)에 인입된 임시끼움쇠(560)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사이의 연결이 강재끼리의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재조각(500)이 매립된 콘트리트 블록(2a,2b)과 강재블록(1c,1d)을 연결하면서 그 연결과정을 통해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블록 연결방법.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에 있어서 블록들을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의 하나로,
접합면 상단부(30)를 임시연결재로 묶어 블록들이 서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 후 접합면 하단부(31)에 기구(40)를 장착하여 접합면 하단부(31)를 필요한 만큼 밀어냄으로써;
접합면 하단부(31)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거더에 솟음 변형 형태의 프리플렉션이 발생하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
접합면(30,31)의 블록(2)과 블록(1)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끼움쇠(20)로 채워 고정함으로써;
블록들을 연결하여 거더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거더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에 있어서,
내부지점(3)부 부멘트 구간 및 단부지점부(3a)에는 콘크리트 블록(2,2a,2b)을 구비하고 지간부 정모멘트 구간에는 강재블록(1,1c,1d)을 구비한 후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간의 거더를 구성하되;
상기 강재블록(1,1c,1d)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재블록의 구성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강재블록(1a,1b)으로 되어 있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강재블록(1a,1b)끼리의 접합면이 존재하며;
상기 강재블록(1a,1b)끼리의 접합면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합면이 접합면 하단부(31)의 이격거리가 접합면 상단부(30)의 이격거리보다 더 가깝게 되어 있어;
블록들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가까운 접합면 하단부(31)가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접합면 상단부는 접합면(30)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됨에 따라;
상기 강재블록(1a,1b)들을 연결 및 체결하는 거더 조립과정 중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접합면 상단부 접합면(3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거나 폐합되면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 - 콘크리트 블록(2,2a,2b)과 강재블록(1,1c,1d)으로 구성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내부지점(3)부 부멘트 구간 및 단부지점부(3a)에는 콘크리트 블록(2,2a,2b)을 구비하고 지간부 정모멘트 구간에는 강재블록(1,1c,1d)을 구비한 후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간의 거더를 구성하되;
상기 강재블록(1,1c,1d)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재블록의 구성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강재블록(1a,1b)으로 되어있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강재블록(1a,1b)끼리의 접합면이 존재하도록 하고;
상기 강재블록(1a,1b)끼리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합면을 접합면 상단부(30)를 임시연결재로 묶어 블록들이 서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 후 접합면 하단부(31)에 기구(40)를 장착하여 접합면 하단부(31)를 필요한 만큼 밀어냄으로써;
접합면 하단부(31)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거더에 솟음 변형 형태의 프리플렉션이 발생하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
접합면의 강재블록(1a,1b)들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끼움쇠(20)로 채워 고정함으로써;
블록들을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거더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거더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132326 | 2012-11-21 | ||
KR1020120132326 | 2012-11-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338A true KR20140065338A (ko) | 2014-05-29 |
KR101583401B1 KR101583401B1 (ko) | 2016-01-07 |
Family
ID=5089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9538A KR101583401B1 (ko) | 2012-11-21 | 2013-11-18 |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4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77163A (zh) * | 2017-07-19 | 2019-04-05 | 孟美丽 | 桥梁安装设备 |
CN109944150A (zh) * | 2017-07-19 | 2019-06-28 | 邓美强 | 桥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4963B1 (ko) * | 2017-06-29 | 2018-02-05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6170A (ko) * | 2002-11-26 | 2004-06-05 | (주)스틸엔콘크리트 |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
KR100915921B1 (ko) * | 2008-05-20 | 2009-09-07 | 노윤근 | 하이브리드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2013
- 2013-11-18 KR KR1020130139538A patent/KR1015834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6170A (ko) * | 2002-11-26 | 2004-06-05 | (주)스틸엔콘크리트 |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
KR100915921B1 (ko) * | 2008-05-20 | 2009-09-07 | 노윤근 | 하이브리드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77163A (zh) * | 2017-07-19 | 2019-04-05 | 孟美丽 | 桥梁安装设备 |
CN109944150A (zh) * | 2017-07-19 | 2019-06-28 | 邓美强 | 桥梁 |
CN109944150B (zh) * | 2017-07-19 | 2021-05-18 | 临铺兄弟(三亚)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 桥梁 |
CN109577163B (zh) * | 2017-07-19 | 2021-09-07 | 赵书江 | 桥梁安装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3401B1 (ko)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5672B1 (ko) | 파형 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씨에프티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87993B1 (ko) |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JP4059909B2 (ja) |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 |
JP3908642B2 (ja) |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 |
KR101652664B1 (ko) | 프리캐스트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209674B1 (ko) |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의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 | |
KR101691378B1 (ko) | 외적 프리스트레싱 긴장정착 메커니즘을 이용한 스페이스트러스복합거더 시공방법 | |
JP2012077471A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継手構造と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部材 | |
KR20140144035A (ko) | 외적 프리스트레싱 긴장정착 메커니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복합거더 구조체 시공방법 | |
KR101582599B1 (ko) |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 |
JP2003268719A (ja) | 鋼・コンクリート複合桁及びその架設方法 | |
JP2005256341A (ja) |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 |
KR20040006564A (ko) |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 |
CN110878513B (zh) | 一种预制预应力混凝土梁与钢混组合梁拼接桥及施工方法 | |
KR101583401B1 (ko) |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 |
JP4585614B1 (ja)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
JP2009221714A (ja) | Pc鋼コンクリート合成桁橋及びその架設方法 | |
JP5217428B2 (ja) | 橋梁の柱頭部または桁端部の複合中空構造 | |
JP2006316580A (ja) |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 |
KR101426155B1 (ko)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
JP2000017613A (ja) | 波形鋼板ウエブ桁の接続方法 | |
JP4728453B1 (ja) | 主桁の連続化構造 | |
US4742591A (en) | Cable stayed bridge having box edge beam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426161B1 (ko) |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의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 및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의 연속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