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155B1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Google Patents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155B1 KR101426155B1 KR1020120130622A KR20120130622A KR101426155B1 KR 101426155 B1 KR101426155 B1 KR 101426155B1 KR 1020120130622 A KR1020120130622 A KR 1020120130622A KR 20120130622 A KR20120130622 A KR 20120130622A KR 101426155 B1 KR101426155 B1 KR 101426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girder
- steel
- horizontal member
- vertical member
- gir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767 ru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69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강재거더의 도입을 통한 수평재의 경량화로 장스팬 구조의 실현이 가능하면서도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연결방법 때문에 활성화 되지 못했던 강재거더를 사용한 라멘구조물의 강재거더 연결방법에 효율성을 부가하여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라멘구조물의 수평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재거더를 수평재 그 자체이거나 또는 수평재 속에 완전히 매입되거나 또는 수평재 속에 부분적으로 매입되거나 또는 수평재 외부에 접합된 형태이거나 또는 이들이 혼용된 형태로 배치한 후 수직재와의 연결 및 체결을 통해 라멘구조물을 조립하도록 구성하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접합면은 접합면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더 앞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여 강재 거더와 수직재를 연결 및 체결하여 라멘구조물을 조립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강재거더에 상향의 솟음변형이 생기는 휨모멘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연결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수평재의 적용가능 지간 확대를 통한 라멘구조물의 적용범위 확장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공성, 효율성 및 경제성 확보를 실현하고 더 나아가 프리캐스트 방식의 조립식 라멘구조물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품질관리성, 경제성 향상도 이룩하는 등 다양한 발명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2a는 본 발명의 대표도로써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믈의 개념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2b는 도2a에 끼움쇠(Shim)의 설치가 추가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의 개념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의 조립이 완료되어 강재거더에 솟음변형이 발생된 모습을 표현한 모식도이다.
도3a는 수직재와 강재거더의 접합부를 상세하게 표현한 상세도이다.
도3b는 도3a에 끼움쇠(Shim)의 설치가 추가된 접합부 상세도이다.
도4는 슬래브 형상의 수평재 아래에 강재거더가 접합된 형식으로 배치된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의 개념도이다.
도5는 박스구조물의 상부슬래브에 강재거더가 완전히 매립된 채 배치된 박스구조물의 개념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6은 수직재와 강재거더를 연결 및 체결할 때 발생되는 프리스트레스력를 극대화 하기 위해 강재거더에 브라켓을 장착한 모습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7은 강재거더와 연결되는 수직재의 연결부 일부분이 수평재 쪽으로 돌출된 형상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8은 라멘구조의 공간구조물, 즉 뼈대구조물에 대한 모식도이다.
Claims (12)
- 수직재(2)와 수평재로 구성되는 라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재거더(1)가 수평재 그 자체이거나 또는 수평재 속에 완전히 매입되거나 또는 수평재 속에 부분적으로 매입되거나 또는 수평재 외부에 접합된 형태이거나 또는 이들이 혼용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강재거더(1)와 상기 수직재(2)의 접합면 사이에 간극 채움재인 끼움쇠(30,31)(shim)가 접합면 상단부(40) 또는 접합면 하단부(41) 또는 접합면 상단부와 하단부 양쪽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끼움쇠(30,31)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적층으로 쌓아서 구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쇠(30,31)를 포함한 접합면 선단부 끝부분은 접합면 하단부(41)가 접합면 상단부(40)보다 더 앞으로 돌출되어 있어;
강재거더(1)와 수직재(2)를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앞으로 돌출된 접합면 하단부(41)가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상단부(40)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됨에 따라;
상기 강재거더(1)와 상기 수직재(2)를 연결 및 체결하는 라멘구조물 조립과정 중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상단부 접합면이 간격이 좁아지거나 폐합되면서 자동적으로 강재거더(1)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멘구조물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재(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재로 구성되는 단경간 라멘구조물 또는 다경간 라멘구조물 또는 라멘구조의 공간구조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멘구조물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재(2)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재 아랫부분의 기초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구조물 완성 시 전체 구조물의 형상이 일련 또는 다련박스 구조물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1)의 수직재(2)와 접합되는 접합면 아래쪽 또는 위쪽 또는 양쪽 모두에 브라켓(60)을 설치함으로써 라멘구조물 조립과정을 통해 강재거더(1)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2)의 상기 수평재와 접합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이 수평재 쪽으로 돌출(70)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2)로 교량의 교대가 적용되었거나 또는 상기 수직재(2)로 교량의 교각이 적용되었거나 또는 상기 수직재(2)로 교량의 교대와 교각이 혼용되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2)를 강재 또는 콘크리트 또는 강재와 콘크리트를 합성한 재료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하고 가설위치에 운반 및 설치한 후 수평재와의 조립을 통하여 구조물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구조물. - 삭제
- 삭제
- 교대 또는 교각 또는 벽체 또는 기둥 또는 옹벽과 같은 고정구조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고정구조물의 접합면 사이에 간극 채움재인 끼움쇠(Shim)를 접합면 상단부 또는 접합면 하단부 또는 접합면 상단부와 하단부 양쪽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끼움쇠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적층으로 쌓아서 구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끼움쇠를 포함한 접합면 선단부 끝부분은 접합면 하단부가 접합면 상단부보다 더 앞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고정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앞으로 돌출된 접합면 하단부가 서로 먼저 닿아서 접촉되고 상단부는 접합면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함으로써;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고정구조물을 연결 및 체결하는 조립과정 중에 상단부 접합면의 떨어진 간격이 폐합됨에 따라 강재 거더에 솟음 변형 형태의 프리플렉션이 발생하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강재거더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 삭제
- 교대 또는 교각 또는 벽체 또는 기둥 또는 옹벽과 같은 고정구조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강재거더가 상기 고정구조물과 접합되는 접합면을 접합면 하단부가 접합면 상단부보다 더 앞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강재거더와 상기 고정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 나열하였을 때 더 앞으로 돌출된 접합면 하단부와 고정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접합면 상단부와 고정구조물 사이의 간격보다 더 가까도록 하고;
접합면 상단부를 연결재로 서로 묶어 고정한 후 접합면 하단부를 필요한 만큼 밀어넣음으로써;
접합면 하단부의 간격이 더 벌어짐에 따라 강재거더에 솟음 변형 형태의 프리플렉션이 발생하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
접합면 하단부의 고정구조물과 강재거더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끼움쇠로 채워 이들을 연결 및 체결하는 조립과정 중에 자동적으로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강재거더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22A KR101426155B1 (ko) | 2012-11-18 | 2012-11-18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22A KR101426155B1 (ko) | 2012-11-18 | 2012-11-18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920A KR20140063920A (ko) | 2014-05-28 |
KR101426155B1 true KR101426155B1 (ko) | 2014-08-01 |
Family
ID=5089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622A Active KR101426155B1 (ko) | 2012-11-18 | 2012-11-18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15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5100B1 (ko) * | 2020-08-11 | 2022-02-21 | (주)씨앤피동양 | Pc기둥과 장스팬pc거더의 강접합 구조 및 이를 위한 확장pc브라켓 공법 |
KR20240035060A (ko) * | 2022-09-08 | 2024-03-15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싱 철골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35997B (zh) * | 2017-03-21 | 2019-02-01 | 中国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钢箱梁吊装临时精确定位装置及定位方法 |
CN107100081B (zh) * | 2017-06-15 | 2023-04-28 |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一种索塔横梁安装支撑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2723A (ko) * | 2004-12-23 | 2006-06-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형강 연속교 |
KR20120066926A (ko) * | 2010-12-15 | 2012-06-25 | 진승영 | 교량의 시공방법 |
-
2012
- 2012-11-18 KR KR1020120130622A patent/KR1014261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2723A (ko) * | 2004-12-23 | 2006-06-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형강 연속교 |
KR20120066926A (ko) * | 2010-12-15 | 2012-06-25 | 진승영 | 교량의 시공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5100B1 (ko) * | 2020-08-11 | 2022-02-21 | (주)씨앤피동양 | Pc기둥과 장스팬pc거더의 강접합 구조 및 이를 위한 확장pc브라켓 공법 |
KR20240035060A (ko) * | 2022-09-08 | 2024-03-15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싱 철골 시스템 |
KR102726204B1 (ko) | 2022-09-08 | 2024-11-04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싱 철골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920A (ko) | 201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246120B2 (en) |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 |
KR100797194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JP4059909B2 (ja) |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 |
KR101186062B1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797988B1 (ko) | 트러스 하로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07708B1 (ko) |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46940B1 (ko) |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 |
KR20140144035A (ko) | 외적 프리스트레싱 긴장정착 메커니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복합거더 구조체 시공방법 | |
KR101209674B1 (ko) |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의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 | |
KR20130090709A (ko)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426155B1 (ko)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
JP2004285738A (ja) |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2005256341A (ja) |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 |
JP2003253621A (ja) |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 |
JP2007023714A (ja) | 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及び、その施工方法 | |
JP4585614B1 (ja)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
KR101998822B1 (ko) |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KR101583401B1 (ko) |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JP4508293B2 (ja) | 連続i桁橋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2244029B1 (ko) |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JP5029271B2 (ja) | 連続i桁橋およびその中間支点近傍のi桁の構造 | |
KR100694763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