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467A -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2467A KR20140042467A KR1020120109263A KR20120109263A KR20140042467A KR 20140042467 A KR20140042467 A KR 20140042467A KR 1020120109263 A KR1020120109263 A KR 1020120109263A KR 20120109263 A KR20120109263 A KR 20120109263A KR 20140042467 A KR20140042467 A KR 20140042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on
- shortcut button
- setting
- item
- vari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4—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list of graphical elements, e.g. icons or icon ba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7—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menu li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35—Multi-level menu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e.g. using next and previous butt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72—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a pop-up win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3—Customising to a particular machine or model, machine function or appl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8—Abbreviated dialing, e.g. one-touch dia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64—Multi-address calling
- H04N1/32069—Multi-address calling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e.g. multi-ca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을 사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을 사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 설정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 설정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을 사용하여 기능 수행시 옵션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 설정시 가변 옵션 항목을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 선택시 가변 옵션 항목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120: 제어부 121: 옵션 설정 판단부
122: 단축버튼 정보 관리부 123: 가변 옵션 판단부
130: 저장부 140: 작업 수행부
Claims (20)
-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각 화상형성장치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단축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 및 상기 기능 수행과 관련된 옵션에 대한 정보인 단축버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부; 및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단축버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축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작업 수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한다면 옵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옵션 설정 판단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단축버튼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옵션 설정 판단부의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옵션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단축버튼 정보를 갱신하는 단축버튼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데 옵션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설정 판단부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화면 이동 또는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이 화상형성작업의 수행이라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고 옵션이 설정되었다면 설정된 옵션 항목 중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한다면 상기 가변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변 옵션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옵션 판단부의 판단 결과 가변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 변경 요청이 있다면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옵션 판단부는 상기 단축버튼이 터치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설정 변경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단축버튼의 설정시에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 중 가변 옵션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단축버튼 정보 관리부는 지정된 가변 옵션 항목을 포함하는 단축버튼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옵션 항목은 상기 설정이 필요한 옵션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고 옵션이 설정되었다면 상기 단축버튼이 터치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이라면 상기 설정된 옵션 항목 중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변 옵션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옵션 판단부의 판단 결과 가변 옵션 항목이 있다면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화상형성장치에서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 화상형성장치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단축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옵션 설정 입력을 수신하였다면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한다면 옵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데 옵션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화면 이동 또는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이 화상형성작업의 수행이라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옵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을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한 기본값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한다면 옵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고 옵션이 설정되었다면, 설정된 옵션 항목 중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한다면 상기 가변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설정 변경 요청이 있다면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버튼이 터치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설정 변경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옵션 항목은 상기 단축버튼의 설정시에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옵션 항목은 상기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단축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한다면 옵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설정이 필요한 옵션 항목이 존재하고 옵션이 설정되었다면, 상기 단축버튼이 터치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이라면 상기 설정된 옵션 항목 중 가변 옵션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가변 옵션 항목이 있다면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버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현된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263A KR20140042467A (ko) | 2012-09-28 | 2012-09-28 |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US13/912,452 US10048846B2 (en) | 2012-09-28 | 2013-06-07 | Method of setting option when function is performed by using shortcu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
EP13175187.7A EP2713595A3 (en) | 2012-09-28 | 2013-07-04 | Method of setting options for a function when th function is performed by using shortcu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CN201310392865.2A CN103716485B (zh) | 2012-09-28 | 2013-09-02 | 设置选项的方法和成像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263A KR20140042467A (ko) | 2012-09-28 | 2012-09-28 |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2467A true KR20140042467A (ko) | 2014-04-07 |
Family
ID=4878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9263A Ceased KR20140042467A (ko) | 2012-09-28 | 2012-09-28 |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048846B2 (ko) |
EP (1) | EP2713595A3 (ko) |
KR (1) | KR20140042467A (ko) |
CN (1) | CN10371648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7460A (ko) | 2015-09-25 | 2017-04-04 |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 버튼 기반 네트워크 정책 설정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28620S1 (en) * | 2012-11-16 | 2015-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
USD732076S1 (en) * | 2013-01-04 | 2015-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con |
AU349473S (en) * | 2013-01-18 | 2013-06-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ic oven with image display |
AU349474S (en) * | 2013-01-18 | 2013-06-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ic oven with image display |
AU349469S (en) * | 2013-01-18 | 2013-06-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front-loading washer with image display |
USD757802S1 (en) * | 2013-12-30 | 2016-05-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
JP6308521B2 (ja) | 2014-02-03 | 2018-04-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330485B2 (ja) * | 2014-05-29 | 2018-05-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表示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
TWD175824S (zh) * | 2014-06-06 | 2016-05-21 | 樂視網信息技術(北京)股份有限公司; | 顯示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
JP6287632B2 (ja) * | 2014-06-27 | 2018-03-07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および操作画面表示プログラム |
US20170205878A1 (en) * | 2014-07-08 | 2017-07-20 | Tandem Interface Pty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user-actuated controller device for use with a standard computer operat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re-existing applications |
JP6314914B2 (ja) * | 2015-06-04 | 2018-04-2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操作画面制御方法 |
JP6805526B2 (ja) * | 2016-03-31 | 2020-12-2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処理実行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JP2018158529A (ja) * | 2017-03-23 | 2018-10-1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7151851B2 (ja) * | 2017-03-23 | 2022-10-12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7009899B2 (ja) * | 2017-10-10 | 2022-01-26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制御装置、ショートカットアイコン登録方法及びショートカットアイコン登録制御プログラム |
JP6894964B2 (ja) * | 2018-03-07 | 2021-06-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リンタ、プリン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7614861B2 (ja) * | 2021-01-29 | 2025-01-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46333B2 (ja) | 1999-04-16 | 2002-11-18 | 村田機械株式会社 | 操作装置 |
US6785487B2 (en) | 2001-03-21 | 2004-08-31 | Kyocera Mita Corporation | Image forming device with function selecting keys and at least one shortcut key |
US20050240756A1 (en) | 2003-01-12 | 2005-10-27 | Yaron Mayer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
US7231229B1 (en) * | 2003-03-16 | 2007-06-12 | Palm, Inc. |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
US7340686B2 (en) | 2005-03-22 | 2008-03-04 | Microsoft Corporation | Operating system program launch menu search |
JP4636980B2 (ja) | 2005-09-16 | 2011-02-23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
US20070139386A1 (en) | 2005-12-16 | 2007-06-21 | Xerox Corporation |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digital reprographic device with pop-up menu display |
JP2009009234A (ja) | 2007-06-26 | 2009-01-15 | Kyocera Mita Corp | 画像処理装置 |
JP5371305B2 (ja) | 2008-07-18 | 2013-12-1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101324191B1 (ko) * | 2008-09-26 | 2013-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입력방법 |
KR20100082895A (ko) * | 2009-01-12 | 2010-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
JP2010226304A (ja) | 2009-03-23 | 2010-10-07 | Seiko Epson Corp | ファクシミリ装置 |
KR20110036222A (ko) * | 2009-10-01 | 2011-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작업수행방법 |
US8326859B2 (en) | 2009-11-02 | 2012-12-04 | Microsoft Corporation | Task prediction |
KR20120075839A (ko) | 2010-12-29 | 2012-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마우스 우 클릭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JP5691605B2 (ja) | 2011-02-17 | 2015-04-01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処理装置、画面制御方法、画面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JP5514772B2 (ja) * | 2011-06-29 | 2014-06-0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
-
2012
- 2012-09-28 KR KR1020120109263A patent/KR20140042467A/ko not_active Ceased
-
2013
- 2013-06-07 US US13/912,452 patent/US10048846B2/en active Active
- 2013-07-04 EP EP13175187.7A patent/EP2713595A3/en not_active Ceased
- 2013-09-02 CN CN201310392865.2A patent/CN10371648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7460A (ko) | 2015-09-25 | 2017-04-04 |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 버튼 기반 네트워크 정책 설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716485A (zh) | 2014-04-09 |
EP2713595A3 (en) | 2015-01-14 |
CN103716485B (zh) | 2016-08-10 |
EP2713595A2 (en) | 2014-04-02 |
US10048846B2 (en) | 2018-08-14 |
US20140096086A1 (en) | 2014-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2467A (ko) |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
JP5728562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の保安性管理方法及びその電子装置 | |
KR20130080179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 |
US20180329605A1 (en) | Arranging graphic elements within a user interface for single handed user touch selections | |
JP6053332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353218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0039841A (ja) | 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を支援するための開発ツールキットとしての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インストールした画像形成装置 | |
JP2003241876A (ja) | 遠隔操作機器表示装置及び遠隔操作機器表示方法 | |
EP3582132A1 (en) | Row-level and column-level policy service | |
JP2013222393A (ja)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8074272A (ja)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US2014016501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1004488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 |
JP2021064832A (ja) |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988081B2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354736B2 (ja) |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方法 | |
JP2015204046A (ja) | オブジェクトを管理する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20120089122A (ko) | 화상형성장치의 메뉴 위치 변경 방법 및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상형성장치 | |
JP7167661B2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 |
JP6406269B2 (ja) | 表示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9003696A (ja) | 表示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03713811B (zh) | 信息显示设备及信息显示方法 | |
JP7673441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JP2023136291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CN110333858A (zh) | 显示方法、显示系统及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