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23878A - 비원형 딤플 골프 볼 - Google Patents

비원형 딤플 골프 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878A
KR20140023878A KR1020137015204A KR20137015204A KR20140023878A KR 20140023878 A KR20140023878 A KR 20140023878A KR 1020137015204 A KR1020137015204 A KR 1020137015204A KR 20137015204 A KR20137015204 A KR 20137015204A KR 20140023878 A KR20140023878 A KR 20140023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dimples
dimple
circular
polyhed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115B1 (ko
Inventor
스나오 우메무라
미쓰히로 사소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카이샤 하나비
스나오 우메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카이샤 하나비, 스나오 우메무라 filed Critical 카부시키카이샤 하나비
Publication of KR2014002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63B37/0008Ellipt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원형 딤플 골프 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골프 볼은, 구체 표면을 랜드부로 해, 그 랜드부에 복수의 딤플을 형성한 골프 볼에 있어서, 랜드부를 형성하는 구체에 내접 하는 다면체를 가상해, 해당 가상 내접 다면체의 각면을 투영 한 랜드부에, 폭 1.5mm이상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비원형 딤플을 복수개 형성해, 인접하는 딤플로부터 유출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다른 두개이상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설한 비타원형 딤플 골프 볼에 있어, 원형 딤플에 비해 박리 경계를 후퇴 시켜 저항력을 저감 시키는 것이다. 다면체는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 십이면체, 이십면체로부터 실질적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비원형 딤플 골프 볼{NON-CIRCULAR DIMPLE GOLF BALL}
이 발명은, 골프 볼의 공기 역학 특성을 개선하는 딤플을 비원형으로 한 골프 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골프 볼에 있어서 20∼70m/sec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비행하기 때문에, 이 속도 영역에서는 딤플이 없는 것보다 주위 테두리가 원형(이하 원형이라고 한다)인 딤플을 가지는 것이 저항력이 작고, 같은 초속도에 긴 비행거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저속에서는 큰 원형 딤플이 바람직하고, 고속에서는 작은 원형 딤플이 바람직한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근년, 골프 볼의 비행거리에 영향을 주는 양항비(양력/저항력)를 크게 하는 것을 염두에 두어 딤플의 형상, 딤플의 단면 형상이 여러 가지로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딤플이 아닌 딤플의 주위 테두리를 삼각형으로 형성해, 소정의 간격을 두어 분산 배치한 것(특허 문헌 1), 딤플의 표면 형상을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단면 형상을 역 원추형으로 한 것(특허 문헌 2), 딤플의 표면 형상을 다각형으로 하고, 인접하는 딤플의 경계에 릿지 형상을 형성한 것(특허 문헌 3)이 제안되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 볼에 있어서 양항비(양력/저항력)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딤플은 필수적인 것이고, 즉 인접하는 딤플간에는 소정의 평면 또는 릿지부가 필요하다라고하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한편, 골프 볼에는 중량, 사이즈, 초속도, 대칭성등에 기준을 마련해 이것에 적합한 볼을 공인하는 제도(R&A Rules)가 있어, 비행거리를 지배하는 초속도에 영향을 주는 반발 계수는 일정한 범위에 제한되고 있다. 그래서, 소정의 반발 계수의 범위에서 골프 볼의 비행거리를 증대시키는 기술로서 3 피스, 4 피스 볼 및 재질의 개발이 여러 가지로 행해지고 있다.
미국 특허 제 4, 830, 378호 명세서 일본 특허 특개평 06-190082호 공보 일본 특허 특개 2005-185341호 공보
본건 발명자들은 반발 계수에 제한이 있는 볼의 개선에 있어서, 원형 딤플이 형성된 이래, 딤플의 개수, 치수의 개선과 함께 3 피스, 4 피스등의 볼의 층수의 검토는 하고 있지만, 실제의 공기 역학적 특성으로부터의 개선 검토가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을 감안해, 공기 역학적 관점으로부터 열심히 검토한 결과, 원형 딤플이 최선이다라고 하는 종래의 상식을 깨는 지견을 얻기에 이르렀다. 즉, 골프 볼의 표면에 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것은 양력을 올리고 저항력를 감소시키기에는 필요하지만, 박리 경계층을 후퇴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을 찾아내, 원인을 탐구하면, 원형 딤플내에서 발생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결과, 원형 딤플내에 소용돌이가 잔류하기 때문이고, 최대로 105도, 볼의 회전 속도를 고려해도 윗쪽에서 110도, 아래 쪽에서 105도가 한도로 된다는 인식에 이르렀다.
거기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종래의 원형 딤플보다 뛰어난, 저항력이 낮은 골프 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한 결과, 공기 역학 실험 및 그 고찰로부터 종래의 생각이 반드시 올바른 것이 아닌 것을 알았다. 즉, 회전하면서 비행하는 골프 볼은 도1(A)에 나타내듯이, 그 최대지름 부근에 박리 경계가 존재해, 그 박리 경계로부터 골프 볼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의 영향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그 박리 경계의 상하폭인 박리폭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 때문에, 종래의 생각은, 원형 딤플의 형성에 의해 이 박리 위치를 보다 후방에 이동시켜, 박리폭을 축소시켜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딤플에 의한 골프 볼의 상하 공기류속차에 의해 양력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고, 원형 딤플의 형성은 필수이다고 하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그렇지만, 회전하면서 비행하는 골프 볼과 주위 공기와의 사이에는 딤플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의 발생은 피할 수 없지만, 딤플을 폭 1.5mm이상으로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의 비원형으로 형성하면, 딤플내에 소용돌이가 잔류 하기 어렵고, 게다가 그 세로 소용돌이의 방향이 다르면 인접한 딤플에서 발생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후방에 흘러, 볼 후방에서 형성되는 박리 경계가 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골프 볼의 새로운 공기 역학적 지견에 근거해 된 것으로, 구체 표면을 랜드부로 해, 그 랜드부에 복수의 딤플을 형성해 된 골프 볼에 있어서, 랜드부를 형성하는 구체에 내접 하는 다면체를 가상해, 해당 가상 내접 다면체의 각 면을 투영 한 랜드부에 폭 1.5mm이상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비원형 딤플을 복수개 형성하고, 인접하는 딤플로부터 유출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다른 두개이상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딤플을 가지는 골프 볼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원형 딤플은, 폭 1.5mm이상 길이가 폭의 2배 이상 이면, 그 주위 테두리에 있어서 형성되는 세로 소용돌이는 원형 딤플과 달리 딤플의 주위 테두리에서 형성되는 소용돌이가 시간적차이를 가져 형성되어, 발생한 소용돌이가 비원형 딤플의 주위 테두리를 따라 흐르는 결과, 도1(B)에 나타내듯이, 박리 경계층은 표준적 상태에 있어서 대략 5도전후 후퇴해,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것 이라고 생각되어 같은 초속도(같은 반발 계수)라도 비행거리가 향상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현상은 딤플의 주위 테두리에서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세로 소용돌이의 발생은 피할 수 없지만, 인접하는 비원형 딤플에서는 딤플의 주위 테두리가 적어도 다른 두개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원형 딤플과 달리 볼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원형 딤플에서는 그 주위 테두리와 공기의 접촉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주위 테두리에서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가 딤플의 주위 테두리에 머물지 않고, 주위 테두리를 따라 흘러 딤플내에서의 소용돌이 잔류가 극히 적게 된다. 본 발명은 기능상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딤플은 볼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정다면체를 내접시켜, 그 각 면체를 투영한 랜드부에 그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다면체의 각 면을 투영한 랜드부에, 그 중심으로부터 구면을 따라 적어도 구면에 내접 하는 각 정점으로 향하여, 구면을 따라 늘어나는 한 쌍의 원호 또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꽃잎 형상의 비원형 딤플을 복수개 방사상으로 형성한 골프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원형 딤플의 면적은 인접하는 전기 꽃잎 형상의 비원형 딤플간에 보조 딤플을 배설하는 것으로써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정다면체로서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중의 하나이면 되고, 전기 구체에 내접 하는 가상 다면체로서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중의 하나의 각 정점을 수평으로 절단 한 절단 다면체로 할 수가 있다. 절단에 의해 형성된 면은 절단폭이 작은 경우로부터 큰 경우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작은 경우에는 투영 랜드부에 보조 딤플을 형성하고, 큰 경우는 통상의 딤플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비원형 딤플의 깊이는 원형 딤플과 같게, 볼 주위의 공기류를 받아 난류를 발생시키기에 필요한 깊이가 필요하고, 통상 0.2에서 0.5mm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요컨데, 본 발명에서는 구체에 내접 하는 다면체를 가상해, 이것을 기준으로 그 각 내접면을 내접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폭 1.5mm이상으로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의 비원형으로 한 딤플을 복수개 형성하면, 비원형 딤플내에서는 소용돌이를 잔류시키지 않고, 게다가 딤플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세로 소용돌이가 발생해, 흐름 방향이 다르면 인접하는 딤플에서 발생하는 세로 소용돌이와 서로 간섭해 후방에 흐르기 쉽고, 볼 후방에서 형성되는 박리 경계를 보다 후방에 이동시키는 것을 기초로, 종래의 원형 딤플에 대체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고,비원형 딤플의 랜드부(구체 표면)에서의 차지하는 면적이 작고, 양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남은 랜드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 딤플을 형성해 양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래의 원형 딤플에서는 주위 테두리에서 형성되는 소용돌이가 체류 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볼 표면의 딤플을 비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써 딤플 주위 테두리에서 형성되는 소용돌이는 시간적차이를 갖고 형성되는 결과, 타원형 주위 테두리를 따라 흘러 체류 하지 않는다. 게다가 인접하는 딤플로부터 유출하는 세로 소용돌이는 서로 협력해 볼의 후방으로 박리 경계를 밀어 내므로, 박리 경계층은 원형 딤플의 경우 보다 더 후방 으로 이동해,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딤플과 본 발명의 비원형 딤플의 박리 경계층의 형성 상태를 비교하는 작용 비교도이다.
도 2는 정사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로부터 (f)는 형성 방법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정육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로부터 (h)는 형성 방법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정팔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로부터 (f)는 형성 방법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정십이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로부터 (h)는 형성 방법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정이십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로부터 (f)는 형성 방법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내접 정십이면체의 투영 랜드부에 꽃잎 모양의 딤플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정점간의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한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로, 내접 정십이면체의 투영 랜드부에는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하지만, 각 정점간의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은 형성하지 않는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변형예로, 정십이면체의 정각의 일부를 수평으로 절단 하고, 투영 랜드부에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하는 한편, 각 정점의 절단면에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함과 함께 중심에 원형 딤플을 형성한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비원형 딤플이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경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비원형 딤플이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경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면체의 투영 랜드부에 형성되는 대표적인 변형 딤플의 형상 (a) (b) (c)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예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로부터 도 6은 각종 내접 다면체로부터 골프 볼의 각종 딤플을 제조하는 실례를 나타낸다. 각 도에 있어서, 원형은 구체를 이루는 골프 볼을 나타내며, 내접 하는 다각형은 구체에 내접 하는 다각형이고 가상된 것이다. 딤플은 다각형의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해, 그 랜드부에 딤플이 형성된다. 볼의 치수는 기준 치수이며, 비원형 딤플 2는 공기류가 길이 방향에 유도되어 유출시에 주위 테두리에서 세로 소용돌이가 형성되도록, 0.2∼0.5mm의 범위에서 주위 테두리로부터 중심부로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세로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한, 딤플의 깊이는 균일해도 좋다.
도 2로부터 도 6은 구체에 내접 하는 정다면체를 가상해, 각면이 투영되는 랜드부에 도시의 형상의 딤플이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2는 정사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사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3분의1 을 잘라 각면에 정육면체를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 (d)는 정사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5분의 1 정도 잘라 각면에 변형6면체를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e)과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f)를 나타낸다.
도 3은 정육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육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5분의 1을 제거해 각면에 변형 팔각형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d)과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e) 경우, (f)는 정육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2분의 1 정도 잘라 각면에 정방형면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h)과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g)를 나타낸다.
도 4는 정팔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팔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3 분의1을 잘라 각면에 정육각형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d)는 정팔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4 분의1 정도 잘라 각면에 변형 육각형면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e)함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f)를 나타낸다.
도 5는 정십이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십이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4 분의1을 잘라 각면에 변형 십각형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d)과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e) 경우, (f)는 정십이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2분의 1 정도 잘라 각면에 정5각형면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g)과 동시에 절단면의 삼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방사상 꽃잎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h)를 나타낸다.
도 6은 정이십면체(a)를 구체에 내접 시키고(b), 각면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비원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이십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3 분의1을 잘라 각면에 정육각형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과 함께 절단면의 5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원형, 방사상 꽃잎형, 각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하는(도시하지 않음) 경우, (d)는 정이십면체의 정점을 수평으로 능선의 5분의 1 정도 잘라 각면에 변형 육각형면을 형성해, 각면을 구체에 투영 한 랜드부에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꽃잎모양의(비원형) 딤플을 형성함(e)과 동시에 절단면의 5각형의 투영 랜드부에, 방사상 꽃잎형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f)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다면체를 중심으로 딤플의 주위 테두리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타원형 또는 비원형으로 해, 주위 테두리에서 난류를 시간적차이를 갖고 발생시켜, 형성되는 소용돌이를 원호로부터 되는 주위 테두리를 따라 흐르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잇으며, 당업자이면, 그 요지를 이탈하는 일 없이, 변형 및 수정을 더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딤플은 주위 테두리에서 발생하는 세로 소용돌이를 유출시키기 쉽게 해, 골프 볼의 후방에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길이 방향에는 딤플폭의 2배장(4mm)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지만, 2배장을 넘을 경우는 중간부에 분할벽W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분할벽W1은,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역원호형상 W2로 형성할 수도 있다(도 11 참조). 딤플의 길이 방향 말단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양다리 형상, 역원호, 직선, 지그재그, 역삼각의 여러 가지의 형상을 지장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딤플은 방사상 꽃잎 형태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다면체의 투영 랜드부에 있어 적어도 다른 두 방향의 세로 소용돌이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卍형상, 한 쌍의 직선으로 길이 방향이 둘러싸인 사각형 형태에 가까운 딤플, 환상 딤플과 원형 딤플의 조합등 딤플폭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폭의 2배장의 딤플장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볼의 커버 형상에 관한 것으로, 골프 볼은 2 피스, 3 피스 뿐만이 아니고, 4 피스등 여러 가지 내부 구조의 골프 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7로부터 도 9는 실제로 제조된 본 발명의 비원형 딤플을 가지는 골프 볼의 실제형의 구체 바깥둘레와 그 랜드부에 형성된 딤플의 주위 테두리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은 내접 정십이면체의 투영 랜드부에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함과 함께, 각 정점간의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한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로, 내접 정십이면체의 투영 랜드부에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하지만, 각 정점간의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은 형성하지 않은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변형예로, 정십이면체의 정각의 일부를 수평으로 절단 해, 투영 랜드부에 꽃잎모양의 딤플을 형성하는 한편, 각 정점의 절단면에 능선에 따라 한 쌍의 원호로 둘러싸인 딤플을 형성함과 함께 중심에 원형 딤플을 형성한 실제의 골프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1, 11, 21 구체로된 골프 볼
2, 12, 22 타원형 딤플

Claims (10)

  1. 구체 표면을 랜드부로 하고, 그 랜드부에 복수의 딤플을 형성한 골프 볼에 있어서,
    랜드부를 형성하는 구체에 내접 하는 다면체를 가상해, 해당 가상 내접 다면체의 각면을 투영 한 랜드부에, 폭 1.5mm이상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비원형인 딤플을 복수개 형성해, 인접하는 딤플로부터 유출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다른 두개이상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원형 딤플을 가지는 골프 볼.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다면체의 각면을 투영 한 랜드부에, 그 중심으로부터 구면을 따라 적어도 구면에 내접 하는 각 정점으로 향하여, 구면을 따라 늘어나는 한 쌍의 원호 또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꽃잎 형상의 비원형 딤플을 복수개 방사상으로 형성한 골프 볼.
  3. 제 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기 꽃잎 형상의 비원형 딤플간에 보조 딤플을 배설하는 골프 볼.
  4. 제 1항에 있어서,
    랜드를 형성하는 구체에 내접 하는 다면체가 정다면체의 각 정점을 수평으로 잘라내 되는 절단 다면체이며, 적어도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제외한 각면을 투영 한 랜드부에 폭 1.5mm이상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비원형 딤플을 복수개 형성해, 인접하는 딤플로부터 유출하는 세로 소용돌이가 다른 두개이상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설한 골프 볼.
  5. 제 4항에 있어서,
    전기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면의 투영 랜드부에 보조 딤플을 형성한 골프 볼.
  6. 제 1항에 있어서,
    각면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딤플은,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딤플폭이 커지는 골프 볼.
  7.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딤플의 짧은 축(최대폭)이 1.5∼2.5mm, 긴 축(최대 길이)이 3.5∼4.5mm인 골프 볼.
  8. 제 1항에 있어서,
    딤플의 긴 축이 3mm이상이고, 짧은 축의 2배장을 넘는 중간 영역에 트리핑 벽(tripping wall)을 가지는 골프 볼.
  9. 제 2항에 있어서,
    전기 구체에 내접 하는 가상 다면체가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중의 한개인 골프 볼.
  10. 전기 구체에 내접 하는 가상 다면체가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중의 한개이고, 각 정점을 수평으로 절단 한 절단 다면체인 골프 볼.
KR1020137015204A 2010-12-15 2011-12-14 비원형 딤플 골프 볼 Active KR101894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9934A JP5988418B2 (ja) 2010-12-15 2010-12-15 非円形ディンプルゴルフボール
JPJP-P-2010-279934 2010-12-15
PCT/JP2011/078854 WO2012081594A1 (ja) 2010-12-15 2011-12-14 非円形ディンプルゴルフボ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78A true KR20140023878A (ko) 2014-02-27
KR101894115B1 KR101894115B1 (ko) 2018-08-31

Family

ID=4624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204A Active KR101894115B1 (ko) 2010-12-15 2011-12-14 비원형 딤플 골프 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1423B2 (ko)
JP (1) JP5988418B2 (ko)
KR (1) KR101894115B1 (ko)
CN (1) CN103313761B (ko)
WO (1) WO2012081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8972S1 (en) * 2014-06-02 2015-09-15 Wilson Sporting Goods Co. Practice ball
USD831135S1 (en) * 2015-12-31 2018-10-16 Eye On Ball, Inc. Sports ball
US10894188B2 (en) 2018-07-25 2021-01-19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atterns including stars and stripes and color
KR102245207B1 (ko) * 2020-06-30 2021-04-28 주식회사 볼빅 조합 딤플들이 형성된 구면을 갖는 골프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982A (en) * 1986-11-19 1989-01-12 Bridgestone Corp Golf ball
JPS6425874A (en) * 1987-04-02 1989-01-27 Bridgestone Corp Golf ball
US4830378A (en) 1987-01-28 1989-05-16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with uniform land configuration
JPH06190082A (ja) 1992-12-25 1994-07-1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ボール
JP2005185341A (ja) 2003-12-24 2005-07-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ボール、ゴルフボールの設計方法およびゴルフボール製造用金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2363B (en) * 1990-03-27 1994-07-13 Dunlop Ltd Golf balls with isodiametrical dimples
US5503398A (en) * 1994-09-20 1996-04-02 Lu; Clive S. Golf ball
JPH08191905A (ja) * 1995-01-13 1996-07-30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
US6475105B1 (en) * 1997-06-05 2002-11-05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Progressive depth oblong dimples
JP2003169861A (ja) * 2001-12-06 2003-06-17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
US8808113B2 (en) * 2002-02-15 2014-08-19 Acushnet Company Golf ball surface patterns comprising a channel system
US7198578B2 (en) * 2004-04-07 2007-04-03 Callaway Golf Company Aerodynamic surface geometry for a golf ball
US7390272B2 (en) * 2006-06-30 2008-06-24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7559857B2 (en) * 2007-10-31 2009-07-14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JP3157248U (ja) * 2009-06-09 2010-02-04 友彦 佐藤 楕円形ディンプルゴルフボール
EP2808062A4 (en) * 2012-01-23 2015-10-21 Yoshihiro Kishishita GOLF BA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982A (en) * 1986-11-19 1989-01-12 Bridgestone Corp Golf ball
US4830378A (en) 1987-01-28 1989-05-16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with uniform land configuration
JPS6425874A (en) * 1987-04-02 1989-01-27 Bridgestone Corp Golf ball
JPH06190082A (ja) 1992-12-25 1994-07-1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ボール
JP2005185341A (ja) 2003-12-24 2005-07-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ボール、ゴルフボールの設計方法およびゴルフボール製造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3761A (zh) 2013-09-18
US9421423B2 (en) 2016-08-23
HK1187013A1 (zh) 2014-03-28
JP5988418B2 (ja) 2016-09-07
CN103313761B (zh) 2016-04-27
JP2012125425A (ja) 2012-07-05
WO2012081594A1 (ja) 2012-06-21
US20130267349A1 (en) 2013-10-10
KR101894115B1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792B1 (ko) 둘레가 원호인 비원형 딤플 골프 볼
EP1233818B1 (en) A golf ball having a tubular lattice pattern
US8403775B2 (en) Golf ball with polygonal dimple groupings
US7625303B2 (en) Dimples composed of letters or symbols inset into cover
KR20140023878A (ko) 비원형 딤플 골프 볼
US11033779B2 (en) Golf ball with symmetric dimple arrangement of spherical quasi-octahedron structure
KR101197666B1 (ko) 동일 중심의 방사상 요면이 형성된 원형 딤플을 갖는 골프공
US20200139196A1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00075781A1 (en) Dimples composed of letters or symbols inset into cover
US10195485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532250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210197029A1 (en) Polyhedra golf ball with lower drag coefficient
KR102245207B1 (ko) 조합 딤플들이 형성된 구면을 갖는 골프공
US9782629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567595B1 (ko) 삼각 요면 섹터들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JP4582357B2 (ja) ゴルフボール
US11058920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s and small circles
KR101938854B1 (ko) 골프공
KR101810629B1 (ko) 골프공의 구체 표면의 분할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20160271455A1 (en) Golf ball having comma-shaped dimples
KR101558488B1 (ko) 불연속 환상 딤플을 구비한 골프공
HK1187013B (en) Non-circular dimple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