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17974A -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 Google Patents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74A
KR20140017974A KR1020120085086A KR20120085086A KR20140017974A KR 20140017974 A KR20140017974 A KR 20140017974A KR 1020120085086 A KR1020120085086 A KR 1020120085086A KR 20120085086 A KR20120085086 A KR 20120085086A KR 20140017974 A KR20140017974 A KR 2014001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ending
bending passage
container
in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395B1 (ko
Inventor
고석규
Original Assignee
고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규 filed Critical 고석규
Priority to KR102012008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용기 덮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용기덮개부(20)는 덮개표지(20a)와; 덮개내지(20c) 사이에 같은 형상으로 적층되는 0.3mm두께의 폴리스티렌재질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1/3지점까지의 4th절곡유로(24d)와; 4th절곡유로(24d)의 끝점에서 좌우편에 각각 28°각도로 3rd절곡유로(24c) 및 5th절곡유로(24e)와;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1/5지점의 라인에 직교하는 6th절곡유로(24f;24f')와; 상기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끝점에서 양편으로 직교방향으로 1th절곡유로(24a)와 2th절곡유로(24b)와;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2/3지점에서 덮개속지(20b)테두리까지 직교되는 개봉한계절곡유로(23)를 형성하되, 상기 6th절곡유로(24f;24f')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는 폭 1mm,길이 6mm의 제3 접이박판(22c)을; 상기 용기테두리(11)와 상기 개봉한계절곡유로(23)가 교차대접되는 양편 2지점의 덮개속지(20b)에 폭 1mm,길이 6mm의 제1접이박판(22a)와 제2접이박판(22b)이 각각 매입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로 일정한 패턴으로 접어 이용하는 보조트레이와 온수를 붓고 익는 동안 개방이 잘되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the structure cover for a bowel of cup noddles}
본 발명은 컵라면용기 덮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기존 컵라면용기의 덮개를 개선해 개봉후 일정한 패턴으로 접어 보조트레이로 이용 및 개봉 온수를 붓고 익는 동안 개방이 잘되지 않도록 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은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된 용기에 내용물을 넣고, 덮개는 엷은 판지(板紙) 내부에 은박이 코팅된 폴리에틸렌재 덮개를 용기테두리에 접착유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컵라면 덮개는 테두리 일측에 돌출된 뜯는 손잡이가 일체로 제공되며, 소비자는 표면에 표시된 일정절취선까지 덮개를 일부 뜯어내고, 라면과 함께 제공된 스프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붓고 덮개를 덮은 후 3분 후 저어 취식하는 편이다.
그런데 덮개를 덮는 보통 수단은 덮개 테두리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를 용기 테두리 아래로 한번 더 접어 덮는 편이나, 덮개가 들떠 재차 무거운 책이나 다른 물건으로 눌러 놓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편이다.
한편, 컵라면을 야외에서 취식하는 경우, 김치 등 반찬과 함께 별도의 반찬그릇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뜨거운 컵라면을 식혀 먹기 위한 별도의 트레이가 필요해 덮개를 아예 뜯어내고 트레이로 사용하는 번거로움도 많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 외에도 다음과 같은 종전기술들을 알아본다.
일부 구간 뜯어낸 컵라면 덮개가 잘 들뜨지 않게 하는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20-0418975호에서는 용기와 덮개에 각각 수납리브와 삽입돌기를 형성한 베이스가 형성되는 방식;공개번호 10-2008-0037885호에서는 덮개에 돌출된 뜯어내는 부분에 점선 실선으로 칼집을 내 뚜껑에 칼집을 낸 부분이 용기 테두리에 끼워지게 한 방식; 또, 공개특허 10-2011-0131333호는 컵라면뚜껑 고정 양면테이프방식으로 컵라면 덮개의 뜯어내는 면이 용기테두리 아래 대접 되는 부분에 접착한 양면테이프로 고정하는 방식과; 역시 유사하게 컵라면 뚜껑에 스티커를 부착해 용기테두리면에 점착하도록 하는 방식; 등록실용신안 제20-0376733호에서는 컵라면뚜껑의 개봉손잡이 좌우 일정구간에 접착테이프를 구비하는 방식; 등록실용신안 제20-0271837호는 컵라면 덮개의 기존 뜯어내는 손잡이 양편에 각각 1개씩 더 추가 형성하는 방식과;
국내공개특허 10-2008-0025268호에서는 컵라면 뚜껑 안쪽면의 테두리 일부에 두께 있는 재질을 부착 형성해 용기내부테에 끼게 하는 방식들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부 구간 뜯어낸 컵라면 덮개가 잘 들뜨지 않게 하는 방식들중 일부는 컵라면 용기까지 구조를 변경하는데 따른 원가상승이 따르며, 컵라면 덮개에 구비된 뜯어내는 손잡이를 좌우로 추가하는 방식이나, 컵라면 덮개의 뜯어내는 부분에 칼집을 내어 용기 테두리에 걸리게 하는 방식은 현행 은박이 코팅된 폴리에틸렌재 덮개에 적용하기에는 지탱력이 약해 여전히 들뜸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며, 또한 스티커나 양면접착테이프를 덮개 또는 용기를 점착해 부착하는 방식은 저비용이기는 하지만 상품유통상 외관에 영향을 미치며 요철이 형성된 용기표면에는 점착력이 취약하다.
또, 컵라면 뚜껑 안쪽 일부 구간에 또는 전체에 두께 있는 재질이거나 속이 빈 방식과 모양은 규칙 또는 불규칙으로 한개 또는 여러개를 가하거나, 부착하는 방식으로 뚜껑의 요홈면에 반찬등을 올리는 공간으로도 이용하고자 하고, 또 달리는 덮개를 열리지 않고자 한 것으로 그 구조를 보면 덮개 전체에 거쳐 두께 있는 부분을 형성한 경우에는 용기로부터 덮개를 뜯어 한쪽부터 테두리가 일어나면서 벗겨지는 것이 덮개재질를 박판지로 사용함이 보편적임을 감안할때 두께 있는 부분이 포함되어 테두리가 부착된 상태로 덮개를 벗겨내는 동작이 용이하지 않다.
기타, 용기테두리의 형태를 요홈이나 요철형태를 취하고 이에 대응하는 용기덮개를 취하는 실시예는, 덮개를 들뜨지 않게 하려는 목적에 비해 제조원가가 대폭 상승하며, 외관의 돌출구조로 인한 제품의 미감이 반감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또 다른 방식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07477호는 컵라면 테두리 상부반원주위에 고무자석띠를 접착시키고, 이에 대접된 용기에는 철선을 접착하여 밀봉력을 개선한 구조이나, 컵라면제조원가의 많은 부분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기타, 공개특허 10-2010-0133588호의 경우에는 컵라면 뚜껑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분할이 가능하며, 용기내부에 파티션을 구비해 음식물을 담도록 하며, 뚜겅형 용기를 컵라면 뚜껑으로 대체하는 방식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이나, 밀폐기능이나, 보조 트레이로 사용되는 편리는 있으나, 컵라면 용기가 대부분 일회용사용후 폐기되는 입장에서 컵라면제조원가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문헌 1] KR 20-0418975 Y1 (2006.06.08) [문헌 2] KR 10-2008-0037885 A(2008.05.02) [문헌 3] KR 10-2011-0131333 A(2011.12.07) [문헌 4] KR 10-2011-0033340 A(2011.03.31) [문헌 5] KR 20-0376733 Y1(2005.02.15) [문헌 6] KR 20-0271837 Y1(2002.03.30) [문헌 7] KR 10-2008-0025268 A(2008.03.20) [문헌 8] KR 20-0307477 Y1(2003.03.04) [문헌 9] 10-2010-0133588 A(2010.12.22)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 컵라면용기의 덮개를 저비용으로 개선해, 조리동안 덮개가 들뜨지 않도록 유지하며, 또한 보온 밀봉력을 향상시켜 컵라면 조리시 스팀이 잘 빠지지 않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정구간 뜯어낸 컵라면 덮개 내면에 형성한 절곡유로를 따라 손쉽게 접을수 있도록 하여, 컵라면 취식시 유용한 반찬 트레이로 이용토록 하는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덮개부(20)는 덮개표지(20a)와; 덮개내지(20c) 사이에 같은 형상으로 적층되는 0.3mm두께의 폴리스티렌재질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1/3지점까지의 4th절곡유로(24d)와; 4th절곡유로(24d)의 끝점에서 좌우편에 각각 28°각도로 3rd절곡유로(24c) 및 5th절곡유로(24e)와;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1/5지점의 라인에 직교하는 6th절곡유로(24f;24f')와; 상기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끝점에서 양편으로 직교방향으로 1th절곡유로(24a)와 2th절곡유로(24b)와;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2/3지점에서 덮개속지(20b)테두리까지 직교되는 개봉한계절곡유로(23)를 형성하되, 상기 6th절곡유로(24f;24f')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는 폭 1mm,길이 6mm의 제3 접이박판(22c)을; 상기 용기테두리(11)와 상기 개봉한계절곡유로(23)가 교차대접되는 양편 2지점의 덮개속지(20b)에 폭 1mm,길이 6mm의 제1접이박판(22a)와 제2접이박판(22b)이 각각 매입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로 일정한 패턴으로 접어 보조트레이로 이용하고 온수를 붓고 익는 동안 개방이 잘되지 않도록 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구조에 따른 컵라면용기의 덮개는 조리 동안에는 용기덮개부(20)의 뜯는손잡이(21)에 매립된 제3접이박판(22c)에 의해서 로킹(locking)되며, 개봉한계절곡유로(23) 좌우의 제1접이박판(22a),제2접이박판(22b)에 의해서 접어 완성된 보조트레이를 컵라면 용기부의 용기테두리 상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하며, 또한 폴리스티렌재질 덮개속지에 의하여, 보온 밀봉력을 향상시켜 컵라면 조리시 스팀이 잘 빠지지 않도록 되며, 덮개 내면에 형성한 각 절곡유로를 따라 손쉽게 접을수 있도록 하여, 컵라면 취식시 반찬이나, 컵라면 면발을 올려놓고 시식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전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 내면의 절곡유로 표시 참고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부재 적층제작 참고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의 절곡유로에 의한 보조트레이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컵라면 용기덮개의 보조트레이 완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참고사시도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전 사용상태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를 뜯어내기 전에는 외견상 일반 컵라면과 대동소이한 형태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 내면의 절곡유로 표시 참고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부재 적층제작 참고 사시도와 같이,
통상의 컵라면 용기부(10)에 마련된 용기 테두리(11)에 점착밀봉되는 뜯는 손잡이(21)가 마련된 용기덮개부(20)는 덮개표지(20a)와; 덮개표지와 같은 형상으로 은박지 재질의 덮개내지(20c) 사이에 덮개표지 및 덮개내지와 같은 형상으로 0.3mm두께의 폴리스티렌재질 덮개속지(20b)를 일체로 적층 형성하되, 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1/3지점까지의 4th절곡유로(24d)와; 4th절곡유로(24d)의 끝점에서 좌우편에 각각 28°각도로 3rd절곡유로(24c) 및 5th절곡유로(24e)와;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1/5지점의 라인에 직교하는 6th절곡유로(24f;24f')와; 상기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끝점에서 양편으로 직교방향으로 1th절곡유로(24a)와 2th절곡유로(24b)와;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2/3지점에서 덮개속지(20b)테두리까지 직교되는 개봉한계절곡유로(23)를 형성하되, 상기 6th절곡유로(24f;24f')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는 폭 1mm,길이 6mm의 제3 접이박판(22c)을; 상기 용기테두리(11)와 상기 개봉한계절곡유로(23)가 교차대접되는 양편 2지점의 덮개속지(20b)에 폭 1mm,길이 6mm의 제1접이박판(22a)와 제2접이박판(22b)이 각각 매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이박판(22a),제2접이박판(22b), 제3접이박판(22c)의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0.1mm박판중 선택되는 소재로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알루미늄 박판의 1mm폭은 폭 5mm인 용기테두리(11)에 점착밀봉되는 용기덮개부(20)의 점착폭을 감안하여 공정상의 편의와 유통과정상에 삐져나오는 우려를 감안하여, 좌우로 2mm의 여유 폭을 감안하여 결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접이박판(22a),제2접이박판(22b), 제3접이박판(22c)의 박판두께는 각 절곡유로를 따라 접어지는 용기덮개부(20)의 들뜸 반력이 생기지 않는 최소의 두께로 제조원가와 매입시키는 작업성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스티렌재질의 덮개속지(20b)에 형성되는 각각의 절곡유로는 칼날에 의해 별개로 커팅되어 형성되는 절곡라인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속지(20b)에 형성된 각각의 절곡유로는 외부에서는 덮개표지(20a)에 의하여, 내부에서는 덮개내지(20c)에 의하여 표시 나지 않는 것으로, 덮개표지에 표시된 각종 문구의 인쇄면이 고르며, 컵라면 용기부(10)의 용기테두리 (11)에 점착되는 덮개내지(20c) 와의 밀봉 영향은 반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속지(20b)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컵라면 조리시 보온력이 좋으나, 자체 시험에 따르면 덮개속지의 두께가 0.3mm 이상일 때는 용기덮개부(20)의 절곡유로를 이용해 접어 형성되는 보조트레이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또한 0.1mm 두께로 채택된 제1접이박판(22a), 제2접이박판(22b), 제3접이박판(22c)의 비가역성에도 지장이 생겨 접이박판의 두께를 늘려야 하는 문제를 감안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절곡유로의 위치 한정은 수차례의 반복시험에 따라 용기덮개부(20)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1/3지점에 형성되는 4th절곡유로(24d)와 2/3지점에 형성되는 개봉한계절곡유로(23)와 같이 3등분 선상에 배분하는 것이, 용기덮개부(20)를 접어 형성되는 보조트레이로 사용되는 바닥면이 용기테두리(11) 좌우에 안착 되어 지지력이 안정된 상태이지만, 보조트레이로 사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개봉한계절곡유로(23)를 3/4등분 선상에 위치시킨다면 바닥면의 대부분이 용기테두리 외곽에 위치되어 지지력이 떨어지는 한계선이다.
역시, 보조트레이의 외곽벽으로 작용되는 1st절곡유로 및 2th절곡유로와 6th절곡유로(24f;24f')와의 위치 한정 역시 보조트레이로 접어 사용시 1st절곡유로 및 2th절곡유로가 용기테두리 상에 위치된 가장 좋은 상태로 지지력이 감안한 것이다.
또한, 6th절곡유로(24f;24f')가 3th절곡유로와 5th절곡유로상에서의 위치 한정은 후술하는 보조트레이 역활을 하는 용기덮개부(20)가 뜯는손잡이(21)에 매립된 제3접이박판(22c)에 의해서 최종 접음단계에서 로커(locker)로 작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제3접이박판(22c)의 규격을 최소로 함이 가장 좋은 위치이며,용기테두리 위치에서 접음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보조트레이로 사용되는 유효 면적이 가장 적합한 위치에 따라 채택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의 일실시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덮개의 절곡유로에 의한 보조트레이 조립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컵라면 용기덮개의 보조트레이 완성도로서, 첨부도면에 따르면,
도 1와 같은 상태로 컵라면용기부(10)의 용기테두리(11)에 점착밀봉되어 제공되는 용기덮개부(20)에 마련된 뜯는손잡이(21)를 잡고 개봉한계절곡유로(23)까지 뜯어내, 뒤로 젖히면 용기테두리(11)와 상기 개봉한계절곡유로(23)가 교차대접되는 양편 2지점의 덮개속지(20b)에 형성한 폭 1mm,길이 6mm의 제1접이박판(22a)와 제2접이박판(22b)에 의해서 들뜨지 않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용기덮개부(20)를 개봉한계절곡유로(23)까지 뜯어내도록 하는 별도의 지시선을 덮개표지(20a) 또는 덮개내지(20c)에 표기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동작으로 1st절곡유로(24a)와 2th절곡유로(24b)를 개봉한계절곡유로(23쪽으로 연차적으로 접게 되면, 4th절곡유로(24d)를 중심으로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가 자연스럽게 절곡될때, 4th절곡유로(24d)를 중심으로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가 대접되도록 손으로 매만져 좌측 또는 우측으로 4th절곡유로(24d)를 밀착시킨 상태로 손으로 매만지면서 6th절곡유로(24f;24f')를 동시에 용기덮개부(20)외곽으로 접고 6th절곡유로(24f;24f')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는 폭 1mm,길이 6mm의 제3접이박판(22c)의 꺽임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접음단계에서 로커(locker)로 작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라면용기부(10)에 부착된 상태로 용기덮개부(20)가 보조트레이로 이용되어, 도 6과 같이 컵라면을 시식시 반찬이나, 컵라면 면발을 올려 놓고 식혀 먹는데 유용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는 컵라면 용기부에만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닌 일반 컵밥, 즉석떡볶이, 기타의 인스턴스식품 용기의 용기덮개부로 이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구성수단을 감안한, 기술적 범주내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컵라면 용기부 11:용기 테두리
20:용기덮개부 20a:덮개표지
20b:덮개속지 20c:덮개내지
21:뜯는 손잡이
22a:제1 접이박판 22b:제2 접이박판
22c:제3 접이박판
23:개봉한계절곡유로
24a:1st 절곡유로 24b:2th 절곡유로
24c:3rd 절곡유로 24d:4th 절곡유로
24e:5th 절곡유로 24f;24f':6th 절곡유로

Claims (3)

  1. 통상의 컵라면 용기부(10)에 마련된 용기 테두리(11)에 점착밀봉되는 뜯는 손잡이(21)가 마련된 용기덮개부(20)는 덮개표지(20a)와; 덮개표지와 같은 형상으로 은박지 재질의 덮개내지(20c) 사이에 덮개표지 및 덮개내지와 같은 형상으로 0.3mm두께의 폴리스티렌재질 덮개속지(20b)를 일체로 적층 형성하되, 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1/3지점까지의 4th절곡유로(24d)와; 4th절곡유로(24d)의 끝점에서 좌우편에 각각 28°각도로 3rd절곡유로(24c) 및 5th절곡유로(24e)와;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1/5지점의 라인에 직교하는 6th절곡유로(24f;24f')와; 상기 상기 덮개속지(20b)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3rd절곡유로(24c)와 5th절곡유로(24e)의 끝점에서 양편으로 직교방향으로 1th절곡유로(24a)와 2th절곡유로(24b)와;상기 덮개속지(20b)에 마련된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서 2/3지점에서 덮개속지(20b)테두리까지 직교되는 개봉한계절곡유로(23)를 형성하되, 상기 6th절곡유로(24f;24f')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의 뜯는 손잡이(21) 중심에서 시작되는 라인에는 폭 1mm,길이 6mm의 제3 접이박판(22c)을; 상기 용기테두리(11)와 상기 개봉한계절곡유로(23)가 교차대접되는 양편 2지점의 덮개속지(20b)에 폭 1mm,길이 6mm의 제1접이박판(22a)와 제2접이박판(22b)이 각각 매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제1접이박판(22a),제2접이박판(22b), 제3접이박판(22c)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0.1mm 박판중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3. 제1항에 따른 덮개속지(20b)에 형성되는 각각의 절곡유로는 칼날에 의해 별개로 커팅되어 형성되는 절곡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KR1020120085086A 2012-08-03 2012-08-03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86A KR101366395B1 (ko) 2012-08-03 2012-08-03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86A KR101366395B1 (ko) 2012-08-03 2012-08-03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74A true KR20140017974A (ko) 2014-02-12
KR101366395B1 KR101366395B1 (ko) 2014-02-24

Family

ID=5026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395B1 (ko) 2012-08-03 2012-08-03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826B1 (ko) * 2015-03-11 2016-07-21 강연호 라면용기
KR200490281Y1 (ko) * 2018-07-26 2019-10-22 양동우 컵라면용기 커버
KR20230148665A (ko) * 2022-04-18 2023-10-25 임현정 보조용기로 활용 가능한 컵라면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39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0764027B1 (ko) 2006-09-19 2007-10-10 황보의 인스턴트 용기
KR20080027433A (ko) * 2006-09-23 2008-03-27 황보의 인스턴트 용기
KR20080083750A (ko) * 2007-03-13 2008-09-19 조성대 라면 및 내용물이 내장된 용기의 덮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826B1 (ko) * 2015-03-11 2016-07-21 강연호 라면용기
KR200490281Y1 (ko) * 2018-07-26 2019-10-22 양동우 컵라면용기 커버
KR20230148665A (ko) * 2022-04-18 2023-10-25 임현정 보조용기로 활용 가능한 컵라면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395B1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100900B4 (en) Package
US20140021206A1 (en) Food container with cup recess
US20170283148A1 (en) Packaging for storing and/or cooking a food product and cover therefor
KR20160019413A (ko) 포장 컨테이너
KR101366395B1 (ko)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US10016080B2 (en) Container having a tearable opening
JP2011046450A (ja) 即席食品容器
EP1831085B1 (en) Utensil shaped container
US9884707B2 (en) Pop-out constructible utensil
JP4917856B2 (ja) 包装用容器
JP4824725B2 (ja) 即席食品用包装容器の食後の容器と食べ残しの分別処理方法
JP2011168314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JP3159738U (ja) 弁当容器
WO2004056674A1 (en) Package for cooking food in a microwave oven
JP2015020776A (ja) 断熱容器
JP6003111B2 (ja) 蓋材及び包装容器
JP5247921B1 (ja) 納豆容器
WO2010130259A1 (en) Pizza packaging
JP2010018330A (ja) カップ容器
JP4307361B2 (ja) 即席食品用包装容器の食後の容器と食べ残しの分別処理方法
JP3178224U (ja) 食品容器
TWM651802U (zh) 結合餐具之盒蓋
JP4138376B2 (ja) シート状蓋体
KR101239069B1 (ko) 간편식 포장용기
JP2009035271A (ja) 蓋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