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15900A -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900A
KR20140015900A KR1020120082054A KR20120082054A KR20140015900A KR 20140015900 A KR20140015900 A KR 20140015900A KR 1020120082054 A KR1020120082054 A KR 1020120082054A KR 20120082054 A KR20120082054 A KR 20120082054A KR 20140015900 A KR20140015900 A KR 2014001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a server
client
dlna
sha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창
Original Assignee
모어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어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어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900A/ko
Publication of KR2014001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90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DLNA 시스템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3) 상기 전송받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4) 상기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상기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미디어 서버가 선정한 콘텐츠를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무작위로 공유되지 않고,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클라이언트와 제한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선택된 클라이언트에 콘텐츠 정지 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CONTENTS SHARING METHOD BASED ON DLNA CONTROLED BY MEDIA SERVER}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세계 홈 네트워크 상용화를 선도해 나갈 새로운 공식적 협력체로서, 2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를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을 두어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업계 간 컨버전스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제조업체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P, HTTP, UPnP, Wi-Fi 등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DLNA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후지쓰, 게이트웨이, HP, 인텔, IBM, 켄우드, 레노보, 마이크로소프트, NEC, 노키아, 파나소닉, 마쓰시타, 필립스, 샤프, 소니, ST마이크로, 톰슨 등 DHWG 창립 17개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140개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종래의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가져오는 방식, 즉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할 경우,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무작위로 공유되게 된다. 따라서 여러 클라이언트에 콘텐츠 정보가 공개되고,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가져가게 되므로, 정보가 과도하게 공개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미디어 서버가 선정한 콘텐츠를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무작위로 공유되지 않고,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클라이언트와 제한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선택된 클라이언트에 콘텐츠 정지 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DLNA 시스템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3) 상기 전송받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4) 상기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상기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동보통신 메시지(broadcast message) 형식으로 상기 서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클라이언트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는,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전송받은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상태 및 정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 이후에는,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클라이언트에 상기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 및 콘텐츠 정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가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정지 정보는,
상기 재생이 정지된 위치 및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재생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미디어 서버가 선정한 콘텐츠를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무작위로 공유되지 않고,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클라이언트와 제한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선택된 클라이언트에 콘텐츠 정지 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재생 중 정지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DLN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단계 S200이 수행되는 미디어 서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단계 S300이 수행되는 미디어 서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콘텐츠가 공유되는 DLNA 시스템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공유하는 콘텐츠의 정지 및 재생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DLN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DLNA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DLNA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100)가 클라이언트(200)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하여,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미디어 서버(100)가 선정한 콘텐츠를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콘텐츠 및 클라이언트(200)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클라이언트(200)에 콘텐츠를 전송하기 때문에,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에 무작위로 공유되지 않고, 선택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제한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LNA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가 동일한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DLNA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흐름에 따라 동일한 디바이스가 미디어 서버(100) 역할을 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2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상황에 따라 하나의 디바이스가 미디어 서버(100) 역할을 할 수 있고, 상황이 변경되면 클라이언트(2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DLNA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미디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00)는 컴퓨터, 노트북 등 콘텐츠 저장이 가능한 각종 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노트, 스마트 카메라 등 콘텐츠 저장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200)에 콘텐츠를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 서버(100)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으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 의한 콘텐츠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200)는 컴퓨터, 노트북 등 콘텐츠의 수신 및 재생이 가능한 각종 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노트, 스마트 TV 등 콘텐츠의 수신 및 재생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2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LNA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고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물론, DLNA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미디어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는 DLNA 기능이 지원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DLNA 시스템에 포함되는 미디어 서버(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는, DLNA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클라이언트(200)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0),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S200),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하는 단계(S300) 및 콘텐츠를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단계 S400은 특정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45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00)는 서버 정보를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하고(S100),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S200). 클라이언트(200)는 전송받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S300).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접속을 시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 중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콘텐츠를 전송하여 콘텐츠가 클라이언트(20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0). 클라이언트(20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면, 클라이언트(200)는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미디어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450).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에 서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정보는 클라이언트(200)가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IP, Port, 기기명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이용하여 동보통신 메시지(broadcast message) 형식으로 서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인 경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계 S100을 처리함으로써, 서버 정보를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종래의 DLNA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200)가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 목록을 확인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단계 S200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100)가 직접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공유 대상 콘텐츠를 직접 선정함으로써 콘텐츠 공유의 주체가 될 수 있고, 무작위적인 콘텐츠의 공유를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단계 S200이 수행되는 미디어 서버(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가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 목록을 열람하고,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00에서 선정하는 공유 대상 콘텐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한편, 공유 대상 콘텐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일 수 있으나, 이미지, 음향,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형태일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전송받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200)가 단계 S100에서 전송한 서버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접속을 시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 중 단계 S200에서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공유할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할 수 있다.
종래의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접속을 시도하는 모든 클라이언트(200)에서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열람하고 무작위로 공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단계 S300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미디어 서버(100)가 선택하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콘텐츠가 공유되고 미디어 서버(100)에 의하여 콘텐츠의 공유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클라이언트(200)를 특정 클라이언트(200)로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재생이 가능한 콘텐츠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음향, 동영상,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모두 가능한 클라이언트(200)가 있을 수 있으나, 이미지의 재생만 가능한 클라이언트(200)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00에서는, 단계 S200에서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이언트(200)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할 때, 재생 가능한 콘텐츠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단계 S300이 수행되는 미디어 서버(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가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목록을 확인하고, 목록에서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하여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계 S300에서 선택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단계 S200에서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전송하고,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종래와 같이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200)가 콘텐츠를 가져와서 재생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디어 서버(100)가 선택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공유 대상 콘텐츠를 보내주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0에서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을 통해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미디어 서버(100)가 제어할 수 있다. 즉, 특정 클라이언트(200)의 메모리에 직접 저장하도록 파일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실시간으로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콘텐츠가 공유되는 DLNA 시스템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100)가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200)에는 서로 다른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으며, 각 클라이언트(200)가 수신하는 공유 대상 콘텐츠는 클라이언트(200)가 아닌 미디어 서버(100)가 선정한 것일 수 있다. 즉, 미디어 서버(100)가 선택한 바에 따라, 콘텐츠 A는 DLNA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하나인 스마트 TV에서, 콘텐츠 B는 태블릿 PC에서, 콘텐츠 C는 노트북에서 각각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서버(100)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100)에 의하여 콘텐츠 공유가 제어되므로 과도한 콘텐츠 정보의 공개를 막을 수 있다.
단계 S45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특정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S400은 단계 S450을 포함함으로써,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클라이언트(200)의 공유 대상 콘텐츠 재생 및 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데에 재생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단계 S450을 처리함으로서 특정 클라이언트(200)가 공유 대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미디어 서버(100)가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일시정지, 정지, 음량조절 등 각종 재생 및 정지 상태 등을 제어하고, 미디어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재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 공유하는 콘텐츠의 정지 및 재생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클라이언트(20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S500), 클라이언트(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600) 및 클라이언트(200)에 콘텐츠를 전송하여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공유하는 콘텐츠를 정지하고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서버(100)가 단계 S400에 의하여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단계 S300에서 특정 클라이언트(200)를 선택하는 것과 유사하게,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클라이언트(200)는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단계 S500에서 정지된 특정 클라이언트(200)일 수 있으며, 다른 클라이언트(200)일 수도 있다.
단계 S70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선택된 클라이언트(200)에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 및 콘텐츠 정지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가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정지 정보는, 재생이 정지된 위치 및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재생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600에서 선택된 클라이언트(200)에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전송하여,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재생 중 정지한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미디어 서버 200: 클라이언트
S100: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200: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S300: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S400: 콘텐츠를 특정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S450: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S500: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
S600: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S700: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여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DLNA 시스템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서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3) 상기 전송받은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4) 상기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를 상기 선택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동보통신 메시지(broadcast message) 형식으로 상기 서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선정한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클라이언트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공유 대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전송받은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 상태 및 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 이후에는,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클라이언트에 상기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 및 콘텐츠 정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이 정지된 공유 대상 콘텐츠가 정지된 위치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지 정보는,
    상기 재생이 정지된 위치 및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재생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LNA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0120082054A 2012-07-26 2012-07-26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Ceased KR20140015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54A KR20140015900A (ko) 2012-07-26 2012-07-26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54A KR20140015900A (ko) 2012-07-26 2012-07-26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00A true KR20140015900A (ko) 2014-02-07

Family

ID=5026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054A Ceased KR20140015900A (ko) 2012-07-26 2012-07-26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58B1 (ko) * 2014-04-15 2015-02-27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58B1 (ko) * 2014-04-15 2015-02-27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15160077A1 (ko) * 2014-04-15 2015-10-22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512B2 (ja) 適応ビデオ通信用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847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110393B2 (en) Protocol switching over multi-network interface
KR20140016265A (ko) 매체 렌더링 디바이스 상의 인터넷으로부터의 컨텐츠 출력
EP2740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video communications
CN105323628B (zh) 基于dlna跨屏播放的方法及系统、浏览器端装置和播放装置
WO2017096851A1 (zh) 一种推送视频文件的方法、系统和服务器
JP5552171B2 (ja) ライブ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時間シフト
KR101231821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WI431994B (zh) 多媒體檔案的播放方法、系統及其使用之電腦程式產品
KR20170092560A (ko) 컨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9507511A (ja) 複数のメディアタイトルを再生する方法、適合メディアソース装置、メディアプレーヤ装置、メディア委譲装置、及び構成可能且つ適合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15900A (ko) 미디어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엘엔에이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101329668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EP3461135A1 (fr) Procédé de gestion du droit d'accès à un contenu numérique
WO2015169005A1 (zh) 共享屏幕和操作控制的方法、系统和主共享端
CN113918108A (zh) 投屏方法和相应电子设备及系统
TWI484819B (zh) 串流媒體播放系統及其播放方法
US9924448B2 (en) Devic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dapted to provide access to a remote service
CN105224673B (zh) 一种媒体文件传送方法及装置
JP5752550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554559A (zh) 一种基于http的媒体投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