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979A - 접점 장치 - Google Patents
접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979A KR20140005979A KR1020137021751A KR20137021751A KR20140005979A KR 20140005979 A KR20140005979 A KR 20140005979A KR 1020137021751 A KR1020137021751 A KR 1020137021751A KR 20137021751 A KR20137021751 A KR 20137021751A KR 20140005979 A KR20140005979 A KR 201400059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movable
- fixed
- spring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32—Self-align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1/00—Contacts
- H01H2201/008—Both contacts mov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3점의 모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는 구조의 접점 장치를 제공한다. 고정 접점(35)을 가지는 고정 단자(37)와, 고정 단자(37)에 대하여 접리하고, 고정 접점(35)에 접촉하는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가지는 가동 단자(28)와, 가동 단자(28)를 압압(押壓)하여 고정 접점(35)과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소정의 접압력(接壓力)으로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33)을 구비한다.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을 향해 이동하고,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도통(conduction)이 행해지는 접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점 장치는 전자 계전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 2011-23332호 공보에는 전자(電磁) 계전기에 적용되는 접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접점 장치는, 2개 한쌍의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단자와, 고정 단자에 접리(接離)하는 2개 한쌍의 가동 접점을 가지는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고정 단자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접압(接壓) 스프링과, 이들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는 가동 접촉자를 삽통(揷通)하는 축체(軸體)와, 축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가동 접촉자의 고정 단자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요크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가동 접촉자에는 제2 요크판이 가동 접점의 반대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접점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축체가 고정 단자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요크판도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므로, 접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가 고정 단자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도통한다. 이 도통에 의해, 가동 접촉자의 주위에 자장이 발생하여 제1 요크판과 제2 요크판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자기 흡인력이 접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을 상쇄하기 때문에, 접점 사이에 있어서의 접압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접점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이 2개 한쌍으로 되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고, 접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동 접점이 2개 한쌍으로 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전류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이나 외부 진동의 작용에 의해 가동 접촉자가 진동함으로써,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으로의 접촉이 불안정해진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에게 3개의 가동 접점을 설치하고,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점과 3개의 영역에서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가동 접촉자를 3개의 영역에서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로의 작용력이 편재한 경우에 3점의 가동 접점 모두를 3개의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어려워져, 안정된 도통을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동 접촉자를 3개의 영역에서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접점 장치에 있어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을 대응하는 고정 접점에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접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점 장치는,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접리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3개의 가동 접점을 가지는 가동 단자와,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을 구비한 접점 장치로서,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내의 위치에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므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을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안정된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접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중 적어도 2변에 내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중 적어도 2변에 내접하므로, 모든 가동 접점을 대응하는 고정 접점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 접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中點)과 다른 1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점의 가동 접점을 대응하는 고정 접점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들 접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을 받는 스프링 받이부가 설치되고, 스프링 받이부로부터 가동 접촉자에 작용하는 힘의 하중 중심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는 구조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압 스프링을 받는 스프링 받이부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3점의 가동 접점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가동 접점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점 장치는,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맞닿는 가동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와,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을 구비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촉 영역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접촉 영역 중 어느 2개의 접촉 영역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중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접촉 영역 중 어느 2개의 접촉 영역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중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접압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압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3개의 접촉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게 되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3개의 접촉 영역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점 장치는,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맞닿는 가동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와,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을 구비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촉 영역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접촉 영역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접촉 영역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접압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압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3개의 접촉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게 되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3개의 접촉 영역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접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溝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선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홈부 내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이 맞닿는 접촉면을 가지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접촉면은, 상기 선분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상기 선분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라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와 접압 스프링과의 접촉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단자가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단자가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와 접압 스프링과의 접촉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단자가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단자가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가동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 및 첨부 도면에 따라 더 한층 잘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복수의 실시예에는, 동일한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접점 장치(1)를 나타낸다. 도 2는, 가동 접점(31, 31, 31)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동 접촉자(28)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1)는, 전자 계전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접점 장치(1)는 도 1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접점부(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구동부(2) 및 접점부(3)가 케이스(5)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5)는, 접점부(3) 측이 개구된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와, 이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의 개구 측을 폐색하는 접점부 수납 케이스부(9)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5)는, 도 1의 상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는, 하벽(7a)과, 하벽(7a)의 주위둘레로부터 접점부(3) 측을 향해 상승하는 측벽(7b)을 구비하고 있고, 접점부(3) 측이 개구된 컵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접점부 수납 케이스부(9)는, 상벽(9a)과, 상벽(9a)의 주위둘레로부터 구동부(2) 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9b)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부(2) 측이 개구된 컵형을 이루고 있다.
구동부(2)는, 코일 보빈(11)에 권취된 코일(13)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보빈(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貫通孔)(11a) 내에는, 고정 부재인 고정 철심(鐵心)(15)이 구동부 케이스(7)의 하벽(7a) 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 부재인 가동 철심(17)이 하벽(7a)과 반대의 개구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13)과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의 사이에는, 계철(繼鐵)(19)이 배치되어 있다. 계철(19)은, 하벽(7a)에 대향하는 바닥벽(19a)과, 바닥벽(19a)의 주위둘레로부터 상승 코일(13)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측벽(7b)에 대향하는 통부(筒部)(19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철(19)의 접점부(3) 측의 개구의 코일(13)에 대응하는 부위를 덮도록 계철 상판(21)이 배치되어 있다. 계철 상판(21)은, 외주 에지부가 계철(19)의 통부(19b)의 단부(端部)에 고정되어 있고, 내주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통부(21a)가, 가동 철심(17)과 코일 보빈(11)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 보빈(11)은, 계철 상판(21)의 통부(21a)를 삽입한 접점부(3) 측의 일부가, 하부의 다른 부위보다 관통공(11a)의 내경이 커져 있다.
고정 철심(15)은, 계철(19)의 바닥벽(19a)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맞춤공(19c)에, 돌기부(15a)를 끼워맞춤으로써 계철(19)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고정 철심(15)의 접점부(3) 측에 위치하는 가동 철심(17)은, 코일 보빈(11)의 관통공(11a) 내에서 고정 철심(15)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철심(15) 및 가동 철심(17)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는, 오목부(15b) 및 오목부(17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오목부(15b, 17a) 상호간에 복귀 스프링(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23)은, 가동 철심(17)을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도 1의 상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가동 철심(17)의 고정 철심(15)과의 반대측에는, 샤프트(25)가 가동 철심(17)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샤프트(25)는 가동 철심(17)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체로서 형성되어, 가동 철심(17)에 고정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샤프트(25)의 선단(先端)에는, 보스부(27)를 통하여 가동 단자(28)가 장착되어 있다.
가동 단자(28)는, 보스부(27)에 장착된 평판형의 가동 접촉자(29)와, 가동 접촉자(29)의 구동부(2) 측의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3개의 가동 접점(31(31 a), 31(31b), 31(31c))(도 2 참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가동 접점(31a, 31b, 31c)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가동 접점(31a, 31b, 31c)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가동 접점(31)의 구동부(2) 측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 접점(35)이 상면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구동부(2) 측의 면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3개의 고정 접점(35, 35, 35)이 상면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는, 2개의 고정 단자(37, 37)를 구비하고 있다. 각 고정 접점(35)은, 2개의 고정 단자(37, 37) 중 어느 한쪽 상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단자(37, 37)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 유지부(41, 4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단자(37)의 단부는, 케이스(5)의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 부하나 외부 전원 등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단자로 되어 있다.
즉, 고정 접점(35)은 가동 접촉자(29)의 가동 접점(31)에 대응한 위치 및 개수로 되도록, 고정 단자(37)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31)(31a, 31b, 31c)이 3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 접점(35, 35, 35)도 고정 단자(37, 37)에 3점이 설치된다. 각각의 고정 접점(35, 35, 35)에는, 가동 접촉자(29)의 대응한 가동 접점(31a, 31b, 31c)이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고정 접점(35)과 대응하는 가동 접점(31)이 도통한다. 이로써, 2개의 고정 단자(37, 37) 사이가 가동 접촉자(29)를 통하여 도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좌측의 고정 단자(37)(제1 고정 단자)에 1개의 고정 접점(35)이 설치되고, 도 1의 우측의 고정 단자(37)(제2 고정 단자)에 2개의 고정 접점(35, 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고정 단자(37)(제1 고정 단자)에 설치된 1개의 고정 접점(35)(도 1의 좌측의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a)에 접촉(당접)하고, 우측의 고정 단자(37)(제2 고정 단자)에 설치된 2개의 고정 접점(35, 35)(도 1의 우측의 2개의 고정 접점(35, 35))이, 가동 접점(31b) 및 가동 접점(31c)에 각각 접촉(당접)한다. 이 접촉에 의해 고정 접점(35)과 대응하는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도통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접점(35)은 반드시 3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우측의 고정 단자(37)(제2 고정 단자)에, 2개의 가동 접점(31b, 31c)의 양쪽을 덮는 크기의 하나의 고정 접점(35)을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동 접촉자(29)와 접점부 수납 케이스부(9) 상벽(9a)의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29)를 구동부(2) 측(하방)으로 압압하는 접압 스프링(33)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접압 스프링(33)이 가동 접촉자(29)를 압압함으로써, 각각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에 소정의 접압력(接壓力)으로 접촉한다. 이 접압 스프링(33)은, 전술한 복귀 스프링(23)보다 스프링 하중이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13)이 통전되지 않고 가동 철심(17)에 구동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이겨서, 가동 철심(17)은 가동 접촉자(29)와 함께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의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29)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31)은 서로 이격된 3점 위치로 되도록 가동 접촉자(29)의 하면(29b)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31a", "31b", "31c"는 가동 접촉자(29)에 대하여 3점 위치로 되도록 설치된 3개의 각각의 가동 접점을 나타낸다.
접압 스프링(33)은, 이러한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설치된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 일단측이 맞닿는 것에 의해, 가동 접촉자(29)를 고정 단자(37)를 향해 압압한다.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측이 맞닿은 위치에 있어서의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이 된다(도 2 참조). 즉,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은,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은 코일 스프링이므로, 접압 스프링(33)의 축심(접압 스프링(33)의 작용선)과 가동 접촉자(29)와의 교점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 및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로 하고 있다. 이이 따라,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3점의 각각의 고정 접점(35, 35, 35)에 접촉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가동 접촉자(29)의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가상적인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대하여, 이들을 접속하는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을 그렸을 경우,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가상적인 삼각형(67)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는,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이, 이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어떤 2개의 가동 접점(31, 31)(제1 가동 접점과 제2 가동 접점)에 대한 내측 접선은, 하기와 같이 규정된다.
먼저, 가동 접촉자(29)의 면 상에 있어서, 제1 가동 접점 및 제2 가동 접점의 양쪽에 대하여 각각 1점만으로 접하는 직선을 구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가동 접점(31, 31)이 서로 이격된 원형의 경우에는, 이 직선은, 이 2개의 원의 4개의 공통 접선(2개의 공통 외접선과 2개의 공통 내접선)이다.
그리고, 이들 직선 중에서, 제1 가동 접점 및 제2 가동 접점의 양쪽을 포함하는 영역과, 제3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직선을, 제1 가동 접점과 제2 가동 접점에 대한 내측 접선으로 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가동 접점(31, 31, 31)의 평면 형상이 각각 원형이다. 이 경우에, 내측 접선은, 2개의 가동 접점(31, 31)의 공통 외접선 중, 다른 가동 접점(31) 측에 형성되는 접선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는,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을 위치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접압 스프링(33)에 의해 고정 접점(35) 측으로 확실하게 압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한다. 이로써,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의 각각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 접점(31)(31a, 31b, 31c) 및 고정 접점(35)을 안정된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2개의 가동 접점을 연결하는 선을 축으로 하여 가동 단자(28)가 회전할 우려가 작다. 따라서, 접점 장치(1)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점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코일(13)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도 1의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이겨,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으로부터 이반된 도 1의 상태가 되어, 접점 장치(1)가 오프(OFF)로 된다.
이 오프 상태로부터 코일(13)이 통전되면, 가동 철심(17)이 전자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15)에 흡인되도록 하여 고정 철심(15)에 접근 이동한다. 이로써, 각 가동 접점(31)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접촉하여, 이들 각 접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접점 장치(1)가 온(ON)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상하 방향이,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가동 접촉자(29)의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하므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각각의 고정 접점(35, 35, 35)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 접점(31)(31a, 31b, 31c) 및 고정 접점(35)을 안정된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단자(28)의 회동(回動)이 억제되므로, 접점 장치(1)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접점 장치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29)에 대하여, 스프링 받이부(69)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69)는 접압 스프링(33)을 받는 부재이며,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으로부터 입설(立設)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69)에는,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측이 맞닿는다.
즉,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에서는,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 접압 스프링(33)의 일단(하단)을 받는 스프링 받이부(69)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69)는,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맞닿는 원판부(69a)와, 원판부(69a)의 외주 에지에 설치된 칼라부(69b)와,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 입설된 지지부(69c)를 가진다. 원판부(69a)는, 접압 스프링(33)의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의 동심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부(69a)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칼라부(69b)는, 원판부(69a)와 동심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69b)는, 접압 스프링(33)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 지지부(69c)는, 원판부(69a)와 동심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69c)는, 원판부(69a)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은, 스프링 받이부(69)의 칼라부(69b)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로써, 접압 스프링(33)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29)에 대하여 3점의 가동 접점(31(31a), 31(31b), 31(31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은,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1 실시예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하므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의 각각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가동 접점(31)(31a, 31b, 31c) 및 고정 접점(35)을 안정된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을 받는 스프링 받이부(69)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3점의 가동 접점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가동 접점(31)(31a, 31b, 31c)을 크게 할 수 있다. 가동 접점(31)(31a, 31b, 31c)이 커짐으로써, 전기적인 부하를 부여했을 때의 접점 마모 특성이 향상되어 수명 향상이 도모된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접점 장치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동 단자(28)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29)에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설치되고, 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를 연결하는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삼각형(67)이 형성된다. 접압 스프링(33)은 가동 접촉자(29)를 압압하고 있고, 접압 스프링(33)은, 작용점(63)이, 내측 접선(64, 65, 66)이 형성하는 삼각형(67)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상기 삼각형(67)의 2변에 내접하도록, 가동 접점(31a, 31b, 31c) 및 접압 스프링(33)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작용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가동 접점(31a 및 31b)을 연결하는 내측 접선(64)과, 가동 접점(31c 및 31a)을 연결하는 내측 접선(66)에 내접하도록 접압 스프링(33)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내측 접선(64, 65) 또는 내측 접선(65, 66)에 내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압 스프링(33)의 일단 측의 원환(圓環)(원호)형의 단부가, 삼각형(67)에 내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2변에 내접하도록, 접압 스프링(33)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확실하게 대응하는 고정 접점(35)과 접촉할 수 있고,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과 각각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접점 장치(1A)를 나타내며,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의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 단자(28)가 도 1의 제1 실시예와는 반대 방향, 즉 도 5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각 가동 접점(31)에 대응한 고정 접점(35)은, 가동 단자(28)의 이동 방향의 전방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15)과 가동 철심(17)의 위치 관계는, 도 1과 반대이며, 가동 철심(17)은, 구동부 케이스(7)의 하벽(7a) 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15)은, 가동 철심(17)의 상부에 배치되고, 계철 상판(21)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15)의 중심에는, 가동 철심(17)의 이동 방향을 향해 관통하는 관통공(15c)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철심(17)에 나사(5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5)가, 이 관통공(15c)에 삽입되어 있다. 관통공(15c)에는, 가동 철심(17)을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23)이 수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23)의 상단은, 계철 상판(21)의 상면에 고정된 가압판(49)에 맞닿아 있다. 가압판(49)의 더욱 상부에는, 스프링 받이부(51)가 배치되고, 이 스프링 받이부(51)와 가동 접촉자(29)의 사이에 접압 스프링(33)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9), 가압판(49) 및 스프링 받이부(51)에는, 샤프트(25)를 삽입하는 관통공(29a, 49a 및 5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5)의 상단에는, 관통공(29a)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반대로, 가동 접점(31, 31, 31)이, 가동 접촉자(29)에 있어서의 구동부(2)와는 반대측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는, 2개의 고정 단자(37, 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31, 31, 31) 각각에 대향하여, 3개의 고정 접점(35, 35, 35)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 접점(35)은, 고정 단자(37, 37)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단자(37)는, 접점부 케이스(9)의 상벽(9a)에 설치된 고정 접점 유지부(41)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는, 거리를 가지고(서로 이격된 위치로 되도록) 3개의 가동 접점(31(31a), 31(31b), 31(31c))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점의 가동 접점(31(31a), 31(31b), 31(31c))을 3개의 정점으로 하고, 이 정점을 선분으로 접속함으로써, 가상적인 삼각형(67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중심을 3개의 정점으로 하고, 이 정점을 선분으로 접속함으로써, 삼각형(67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이 삼각형(67A)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심 위치는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삼각형(67A)의 중력의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삼각형(67A)의 중심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삼각형(67A)의 중력의 중심에 작용한다. 이로써,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촉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하여,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확실하게 고정 접점(35, 35, 35)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가동 접촉자(29)의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는 삼각형(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것 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29)에 있어서의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에 대응한 부위를 두껍게 하고 있다. 부호 "71"은 이 두꺼운 부분을 나타낸다. 이 두꺼운 부분(71)은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정점으로 한 삼각형(67A)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을 작용점(63)(중심 위치)에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을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보다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접점 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코일(13)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도 5의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이겨,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으로부터 이반된 도 5의 상태로 되어, 접점 장치(1A)가 오프로 된다.
이 오프 상태로부터 코일(13)이 통전되면, 가동 철심(17)이 전자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15)에 흡인되도록 하여 고정 철심(15)에 접근 이동한다. 이로써, 플랜지부(25a) 및 가동 접촉자(29)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각 가동 접점(31)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접촉하여, 이들 각 접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접점 장치(1A)가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상하 방향이,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형성하는 삼각형(67A)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확실하게 고정 접점(35, 35, 35)과 접촉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접점 장치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28) 및 접압 스프링(33, 33, 33)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가동 단자(28) 및 접압 스프링(33, 33, 33)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접점 장치(1A)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는, 관통공(29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29)의 3점에 설치된 가동 접점(31a, 31b, 31c)에 대응하여, 접압 스프링(33, 33, 33)이 3개 설치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31a)에 대응하여 접압 스프링(33a)이 설치되고, 가동 접점(31b)에 대응하여 접압 스프링(33b)이 설치되고, 가동 접점(31c)에 대응하여 접압 스프링(33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은 대응한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가동 접촉자(29)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은, 가동 접촉자(29)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배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8, 9 참조). 각각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은, 가동 접촉자(29)가 고정 접점(35)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접촉자(29)를 가압하고 있다.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은, 서로 같은 방향(도 8의 상 방향)으로 가동 단자(28)를 가압하고 있다.
3개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은, 이들 스프링을 종합한 종합 작용점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합 작용점은, 3개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점으로서 규정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대하여, 이들을 접속하는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을 그림으로써,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삼각형(6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의 종합 작용점(73)이, 이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합 작용점(73)이,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규정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3개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3개의 접압 스프링(33)의 종합 작용점(73)이 위치함으로써, 3개의 접압 스프링(33a, 33b, 33c)을 종합한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 35)의 각각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고, 가동 접점(31)(31a, 31b, 31c) 및 고정 접점(35)을 안정된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접점 장치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가동 단자(28)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접점 장치(1A)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도, 관통공(29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29)에 대하여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대략 정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접압 스프링(33)은 가동 접촉자(29)에 대하여 1개가 배치되어 가동 접촉자(29)를 가압하고 있다. 접압 스프링(33)은,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형성하는 삼각형(67)에 내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하는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삼각형(67)이 형성되고, 접압 스프링(33)은, 그 작용점(63)(스프링 하중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내측 접선(64, 65, 66)이 형성하는 삼각형(67)에 내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작용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은, 각각의 내측 접선(64, 65, 66)에 내접하고 있다. 그리고, 접압 스프링(33)의 일단 측의, 원환(원호)형의 단부가, 삼각형(67)의 3변에 내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원(63A)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형성하는 삼각형(67)에 내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접압 스프링(33)의 가압력이 3점의 가동 접촉자(31a, 31b, 31c)에 확실하게 작용하므로,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확실하게 고정 접점(35, 35, 35)과 접촉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접점 장치(1B)를 나타낸다. 도 12∼18은, 본 실시예의 가동 단자(28)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B)는, 도 5에 나타내는 접점 장치(1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가동 단자(28)의 구성 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1B)는, 전자 계전기에 적용된다. 접점 장치(1B)는 도 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접점부(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구동부(2) 및 접점부(3)가 케이스(5)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5)는, 접점부(3) 측이 개구된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와, 이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의 개구 측을 폐색하는 접점부 수납 케이스부(9)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5)는, 도 11의 상하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시에서 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는, 하벽(7a)과, 하벽(7a)의 주위둘레로부터 접점부(3) 측을 향해 상승하는 측벽(7b)을 구비하고 있고, 접점부(3) 측이 개구된 컵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접점부 수납 케이스부(9)는, 상벽(9a)과, 상벽(9a)의 주위둘레로부터 구동부(2) 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9b)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부(2) 측이 개구된 컵형을 이루고 있다.
구동부(2)는, 코일 보빈(11)에 권취된 코일(13)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보빈(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1a) 내에는, 고정 부재인 고정 철심(15)이, 구동부 케이스(7)의 개구 측에 배치되고, 가동 부재인 가동 철심(17)이, 개구와 반대의 하벽(7a)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13)과 구동부 수납 케이스부(7)의 사이에는 계철(19)이 배치되어 있다. 계철(19)은, 하벽(7a)에 대향하는 바닥벽(19a)과, 바닥벽(19a)의 주위둘레로부터 상승 코일(13)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하여 형성되어 측벽(7b)에 대향하는 통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철(19)의 접점부(3) 측의 개구의 코일(13)에 대응하는 부위를 덮도록 계철 상판(21)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15)은, 계철 상판(21)의 관통공(21a) 및 코일 보빈(11)의 관통공(11a)에 돌기부(15a)를 끼워맞추고, 계철 상판(21)의 상부에 형성된 좌면(座面)(21b)에 플랜지부(15b)를 탑재함으로써, 계철 상판(21) 및 코일 보빈(1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고정 철심(15)의 하벽(7a) 측에 위치하는 가동 철심(17)은, 코일 보빈(11)의 관통공(11a) 내에서 고정 철심(15)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철심(15) 및 가동 철심(17)에는, 관통공(15c) 및 관통공(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고정 철심(15)과 가동 철심(17)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23)은, 스프링 받이부(52)를 통하여, 가동 철심(17)을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도 11의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복귀 스프링(23)의 상단은, 계철 상판(2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압판(49)에 맞닿아 있다. 가압판(49)의 더욱 상부에는, 스프링 받이부(51)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받이부(51)와 후술하는 가동 접촉자(29)의 사이에 접압 스프링(3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철심(17)에는, 샤프트(25)가 가동 철심(17)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25)의 상단 측에는 가동 단자(28)가 배치된다. 가동 단자(28)에는 관통공(29a)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25)가 관통공(29a)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 단자(28)는, 평판형의 가동 접촉자(29)와,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3개의 가동 접점(31(31a), 31(31b), 31(31c))(도 12 참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은,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 서로 거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25)의 일단(하단)에는, 나사(55)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상단)에는, 플랜지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판(49), 스프링 받이부(51, 52) 및 가동 접촉자(29)에는, 샤프트(25)가 삽입되는 관통공(49a), 관통공(51a, 52a) 및 관통공(2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와 같이 하여, 샤프트(25)의 상단 측에, 가동 단자(28)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가동 철심(17), 스프링 받이부(52), 복귀 스프링(23), 가압판(49), 스프링 받이부(51), 접압 스프링(33), 가동 단자(28)의 차례로 배치된다. 이 때, 복귀 스프링(23)은, 계철 상판(21)의 관통공(21a) 및 코일 보빈(11)의 관통공(11a)에 돌기부(15a)를 끼워맞춘 고정 철심(15)의 관통공(15c)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25)의 나사(55) 측을, 가동 단자(28)의 위쪽으로부터 각각의 관통공(29a, 51a, 49a) 및 접압 스프링(33), 복귀 스프링(23)에 삽입시키고, 가동 철심(17)에 나사(55)에 의해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샤프트(25)의 상단 측에 가동 단자(2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접촉자(29)의 하면 측에, 원환형의 홈부(29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29b) 내에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단자(28)는, 접압 스프링(33)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과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고정 접점(35, 35)이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B)는, 2개의 고정 단자(37, 37)를 구비하고 있다.
각 고정 접점(35)은, 2개의 고정 단자(37, 37) 중 어느 한쪽 상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단자(37, 37)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 유지부(41, 4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단자(37)의 단부는, 케이스(5)의 외부에 인출되어 외부 부하나 외부 전원 등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단자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단자(37, 37)에 맞추어 2개(복수개)의 고정 접점(35, 35)이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쪽 고정 단자(37)에 1개의(제1) 고정 접점(35)이 설치되고, 다른 쪽 고정 단자(37)에 1개의(제2) 고정 접점(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고정 접점(35)(도 11의 좌측의 고정 접점(35): 제1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a)에 접촉(당접)하고, 다른 쪽 고정 접점(35)(도 11의 우측의 고정 접점(35): 제2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b) 및 가동 접점(31c)에 접촉(당접)한다. 이 접촉에 의해 고정 접점(35)과 대응하는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도통하게 된다.
이 때, 접압 스프링(33)이 가동 접촉자(29)를 압압함으로써, 각각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소정의 접압력으로 접촉한다. 이 접압 스프링(33)은, 전술한 복귀 스프링(23)보다 스프링 하중이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일(13)이 통전되지 않고 가동 철심(17)에 구동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이겨, 가동 철심(17)은 가동 접촉자(29)와 함께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11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11의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접점 장치(1B)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코일(13)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도 11의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이겨,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으로부터 이반된 도 11의 상태로 되어, 접점 장치(1B)가 오프로 된다.
이 오프 상태로부터 코일(13)이 통전되면, 가동 철심(17)이 전자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15)에 흡인되도록 하여 고정 철심(15)으로 접근 이동한다. 이로써, 각 가동 접점(31)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접촉하여 이들 각 접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접점 장치(1B)가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상하 방향이,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상적인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도록, 접압 스프링(33)에 의한 가동 단자(28)의 가압부 위를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단자(28)의 가동 접촉자(29)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가동 접촉자(29) 상에서 서로 이격된 3점 위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일단측(도 12의 좌측: 가동 접촉자(29)의 단변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도 12의 상하 방향) 중앙부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위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가동 접점(31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타단측(도 12의 우측: 가동 접촉자(29)의 장변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 단부를, 대략 5각형으로 위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대략 5각형의 가동 접점(31b, 31c)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가동 단자(28)를 도 12의 우측으로부터 볼 때의 측면도이다.
또한,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중앙부, 즉 일방측의 가동 접점(31a)과 타방측의 가동 접점(31b, 31c)의 사이에는, 전술한 샤프트(25)가 삽입되는 관통공(2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29)의 하면에는, 관통공(29a)과 대략 동심형으로 되도록, 원환형의 홈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환형의 홈부(29b)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아래쪽을 향해 볼록한 돌기부(접촉부)(29c, 29c)가 설치되어 있고(도 12, 13 참조), 홈부(29b)에 수용된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은, 이 돌기부(접촉부)(29c, 29c)에만 맞닿도록 하고 있다. 즉, 홈부(29b)의 내면 중 돌기부(접촉부)(29c, 29c)가 형성된 부위 이외에, 접압 스프링(33)이 맞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는, 2개의 돌기부(접촉부)(29c, 29c)의 중간부, 즉 홈부(29b)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고정 접점(35)은, 대략 원기둥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의 고정 접점(35)(도 11의 좌측의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a)에 맞닿고,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타단측의 고정 접점(35)(도 11의 우측의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b, 31c)에 각각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하 방향(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가동 단자(28)에는,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의 접촉 영역(R1, R2, R3)가 3개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 영역(R1, R2, R3)은, 가동 단자(28)가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볼 때,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이 오버랩하는 영역(도 17의 사선 부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영역(R1, R2, R3)의 각각의 중심(G1, G2, G3)을 연결함으로써 삼각형 T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도 17에 있어서의 선분 L2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선분 L2는, 하기와 같이 하여 작도(作圖)되는 선분이다.
먼저,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 중 어느 2개(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고정 접점(35)에 맞닿는 접촉 영역(R2, R3))의 접촉 영역(R2, R3)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을 선분 L1으로 한다. 그리고, 선분 L1의 중점을 중점 M1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1개의 접촉 영역(R1)에 있어서의 중점 M1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을 점 P1으로 한다. 그리고, 중점 M1과 점 P1을 연결함으로써 선분 L2가 작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도되는 선분 L2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단자(28)는, 선분 L2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삼각형 T1은 이등변 삼각형이 되고, 선분 L2는, 삼각형 T1의 중심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의 위치의 설정은, 하기와 같이 행해진다.
먼저,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선분 L2를 포함하는 직선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도록 홈부(29b)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분 L2를 포함하는 직선이 중심을 통과하도록 원환형의 홈부(29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선분 L2에 의해 홈부(29b)가 2분할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선분 L2를 포함하는 영역, 또한 홈부(29b) 내에,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맞닿는 돌기부(접촉부)(29c, 29c)를 형성한다.
그리고, 돌기부(접촉부)(29c)의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맞닿는 접촉면(29d)의 형상을, 선분 L2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선분 L2를 포함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분 L2를 축으로 하는 원기둥의 일부가 돌기부(접촉부)(29c)가 되도록 하고 있다(도 15, 16 참조: 도 15는, 도 1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부(접촉부)(29c)의 접촉면(29d)에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맞닿을 때, 2개의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의 가압 방향이 모두 선분 L2를 통과하게 되어(도 16 참조),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선분 L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 중 어느 2개의 접촉 영역(R2, R3)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 L1의 중점 M1과, 다른 1개의 접촉 영역(R1)에 있어서의 중점 M1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 P1을 연결하는 선분 L2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의 위치를 선분 L2 상에 설정하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삼각형 T1 외에 위치하고 있으면, 가동 접점(31a, 31b, 31c)을 고정 접점(35, 35)에 접촉시켰을 때, 접압 스프링(33)에 의한 가동 단자(28)의 압압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3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동 단자(28)가 회동한다. 그러므로,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 모두 고정 접점(35)과 접촉하는 것이 어려워져, 안정된 도통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동 단자(28)의 회동에 의해, 접점 장치(1B)를 온으로 했을 때, 가동 단자(28)의 진동이 커져서, 소음이 커지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를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접압 스프링(33)에 의해 고정 접점(35) 측으로 압압시킬 수 있게 되어,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의해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을,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 단자(28)의 회동이 억제되므로, 접점 장치(1B)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의 위치를 선분 L2 상에 설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단자(28)가 위치가 어긋난(회동) 상태에서, 고정 접점(35, 35)에 접촉(당접)한 경우라도,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를 삼각형 T1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단자(28)의 위치 어긋남 허용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이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를 삼각형 T1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 한층 확실하게,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고정 접점(35, 35)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단자(28)에는,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5)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선분 L2 중 적어도 일부가 홈부(29b)에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홈부(29b) 내에, 접압 스프링(33)이 맞닿는 접촉면(29d)을 가지는 돌기부(접촉부)(29c, 29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접촉부)(29c)의 접촉면(29d)을, 선분 L2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선분 L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접촉부)(29c)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면(29d)의 어느 부위에 접압 스프링(33)이 맞닿더라도,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의 가압 방향이 선분 L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33)이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접촉면(29d)에 맞닿는 것에 의한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의 위치 어긋남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더 한층 확실하게,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고정 접점(35, 35)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제8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1C)는,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 계전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C)는, 도 19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접점부(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구동부(2) 및 접점부(3)가 케이스(5)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케이스(5) 및 구동부(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가동 단자(28)는, 상기 제7 실시예의 가동 단자(28)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동 단자(28)는, 샤프트(25)의 선단에, 보스부(27)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가동 단자(28)는, 보스부(27)에 장착된 평판형의 가동 접촉자(29)와, 가동 접촉자(29)의 구동부(2) 측의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3개의 가동 접점(31(31a), 31(31b), 31(31c))(도 12 참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29a)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동 단자(28)를 상기 제7 실시예와는 반대로, 홈부(29b)가 형성되는 측이 상면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보스부(27)에 장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구동부(2) 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고정 접점(35, 35)이 상면에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C)는, 2개의 고정 단자(37, 37)를 구비하고 있다. 각 고정 접점(35)은, 2개의 고정 단자(37, 37) 중 어느 한쪽 상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단자(37, 37)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 유지부(41, 4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단자(37)의 단부는, 케이스(5)의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 부하나 외부 전원 등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단자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 단자(37, 37)에 맞추어 2개(복수개)의 고정 접점(35, 35)이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쪽 고정 단자(37)에 1개의(제1) 고정 접점(35)이 설치되고, 다른 쪽 고정 단자(37)에 1개의(제2) 고정 접점(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고정 접점(35)(도 19의 좌측의 고정 접점(35): 제1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a)에 접촉(당접)하고, 다른 쪽 고정 접점(35)(도 19의 우측의 고정 접점(35): 제2 고정 접점(35))이, 가동 접점(31b) 및 가동 접점(31c)에 접촉(당접)한다. 이 접촉에 의해 고정 접점(35)과 대응하는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도통하게 된다.
이 때, 접압 스프링(33)이 가동 접촉자(29)를 압압함으로써, 각각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소정의 접압력으로 접촉한다. 이 접압 스프링(33)은, 전술한 복귀 스프링(23)보다 스프링 하중이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일(13)이 통전되지 않고 가동 철심(17)에 구동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이겨, 가동 철심(17)은 가동 접촉자(29)와 함께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19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도 19의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접점 장치(1C)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코일(13)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도 19의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이겨,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고정 접점(35, 35)으로부터 이반된 도 19의 상태로 되어, 접점 장치(1C)가 오프로 된다.
이 오프 상태로부터 코일(13)이 통전되면, 가동 철심(17)이 전자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15)에 흡인되도록 하여 고정 철심(15)으로 접근 이동한다. 이로써, 각 가동 접점(31)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접촉하여 이들 각 접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접점 장치(1C)가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의 상하 방향이,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도록, 접압 스프링(33)에 의한 가동 단자(28)의 가압 부위를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단자(28)의 가동 접촉자(29)는, 상기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가동 접촉자(29) 상에서 서로 이격된 3점 위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일단측(도 12의 좌측: 가동 접촉자(29)의 단변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도 12의 상하 방향) 중앙부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가동 접점(31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타단측(도 12의 우측: 가동 접촉자(29)의 장변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 단부를, 대략 5각형으로 아래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대략 5각형의 가동 접점(31b, 3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29)의 상면에는, 원환형의 홈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7 실시예와는 달리, 가동 접촉자(29)에 관통공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원환형의 홈부(29b)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29)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위쪽을 향해 볼록한 돌기부(접촉부)(29c, 29c)가 설치되어 있고, 홈부(29b)에 수용된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은, 이 돌기부(접촉부)(29c, 29c)에만 맞닿도록 하고 있다. 즉, 홈부(29b)의 내면 중 돌기부(접촉부)(29c, 29c)가 형성된 부위 이외에, 접압 스프링(33)이 맞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는, 2개의 돌기부(접촉부)(29c, 29c)의 중간부, 즉 홈부(29b)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고정 접점(35)은, 대략 원기둥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하 방향(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가동 단자(28)에는,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과의 접촉 영역(R1, R2, R3)이 3개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 영역(R1, R2, R3)의 각각의 중심(G1, G2, G3)을 연결함으로써 삼각형 T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도 17 참조).
구체적으로는,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 중 어느 2개의 접촉 영역(R2, R3)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 L1의 중점 M1과, 다른 1개의 접촉 영역(R1)에 있어서의 중점 M1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 P1을 연결하는 선분 L2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기부(접촉부)(29c)의 접촉면(29d)을, 선분 L2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선분 L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7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1D)는, 상기 제8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접점 장치(1D)나, 도 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접점부(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구동부(2) 및 접점부(3)가 케이스(5) 내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부(2)는, 코일 보빈(11)에 권취된 코일(13)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보빈(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1a) 내에는, 고정 부재인 고정 철심(15)이 구동부 케이스(7)의 하벽(7a) 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 부재인 가동 철심(17)이 하벽(7a)과 반대의 개구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20의 상하 방향이,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점 장치(1D)에서는, 가동 단자(28)에 3개 설치된 가동 접점(31a, 31b, 31c)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3개의 고정 접점(35, 35, 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28)의 고정 단자(37)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가동 단자(28)에는,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 35)의 접촉 영역이 3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접점(31a, 31b, 31c)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3개의 고정 접점(35, 35, 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31a, 31b, 31c)이 각각 원형의 접촉 영역(R1, R2, R3)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영역(R1, R2, R3)의 내측 접선(2개의 접촉 영역에 형성되는 공통 외접선 중 다른 접촉 영역 측에 형성되는 접선)(L3, L4, L5)에서 형성되는 가상적인 삼각형 T2 내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가동 접점(31a, 31b, 31c)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31a, 31b, 31c)의 3개의 내측 접선과 접촉 영역(R1, R2, R3)의 3개의 내측 접선(L3, L4, L5)은, 각각 일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T2 내의, 선분 L7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의 내측 접선(L3, L4, L5)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을 삼각형 T2로 한다. 그리고, 삼각형 T2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도 21의 아래쪽의 정점)(P2, P3)을 연결하는 선분을 선분 L6로 한다. 그리고, 선분 L6의 중점 M2와, 삼각형 T2의 다른 1개의 정점 P4를 연결하는 선분을, 선분 L7으로 하고, 상기 선분 L7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 단자(28)의 윤곽 형상은, 상기 제7 및 제8 실시예의 가동 단자(28)의 윤곽 형상과 동일하며, 선분 L7을 포함하는 직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삼각형 T2는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의 내측 접선(L3, L4, L5)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T2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P2, P3)을 연결하는 선분 L6의 중점 M2와, 다른 1개의 정점 P4를 연결하는 선분 L7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의 위치를 선분 L7 상에 설정하면,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중심(中心)(重心)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접압 스프링(33)에 의해 고정 접점(35) 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게 되어, 3점의 모든 가동 접점(31a, 31b, 31c)을 대응하는 고정 접점(35)에 의해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 35, 35)을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 단자(28)의 회동이 억제되므로, 접점 장치(1)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단자(28)에 홈부를 설치하지 않고,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을 가동 단자(28)의 상면에 맞닿게 한 것을 예시했지만, 상기 제7 및 제8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홈부를 설치하여, 홈부 내에 접압 스프링(33)의 일단을 수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홈부 내에 돌기부(접촉부)를 설치하고, 접촉면이, 선분 L7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선분 L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29)에, 실시예 2의 스프링 받이부(69)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동 단자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9 실시예에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중심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T1이 이등변 삼각형이 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중심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T1이 직각 삼각형이 되도록,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개의 접촉 영역(R1, R2, R3)의 내측 접선(L3, L4, L5)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T2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P2, P3)을 연결하는 선분 L6의 중점 M2와 다른 1개의 정점 P4를 연결하는 선분 L7 상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가 위치하도록 하면,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중심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형 T1 내에 접압 스프링(33)의 스프링 하중 중심 x를 배치시킬 수 있다.
즉,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배치를 도 22에 나타내는 배치로 해도, 상기 제9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7 및 제8 실시예에 있어서나, 3개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배치 위치를, 삼각형 T1가 직각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일수정 실시예의 접점 장치에서는, 제1∼제9 실시예에 있어서, 접압 스프링(33)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선(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63)을 지나고, 접압 스프링(33)의 신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가동 단자(28)의 중심이 위치하고 있다.
즉, 제1∼6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선 상에 가동 접촉자(29)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접압 스프링(33)을 배치하고, 가동 단자(28)의 중심이 3개의 내측 접선(64, 65, 66)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6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배치(및 고정 접점(35, 35, 35)의 배치)가 설정된다. 이 경우에, 접압 스프링(33)의 작용점 및 가동 단자(28)의 중심의 양쪽이, 3점의 가동 접점(31a, 31b, 31c)의 내측 접선(64, 65, 66)으로 형성되는 삼각형(67)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단자(28)에 있어서는, 접압 스프링(33)의 탄성력과 중력의 양쪽이 중심에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 단자(28)의 회동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접점 장치(1)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접점(31a, 31b, 31c)과 고정 접점(35)이 3개의 영역에서 접촉하는 접점 장치에 있어서, 3개의 영역 모두에서 확실하게 가동 접점(31)과 고정 접점(35)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단자(28)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어, 접점 장치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도 5에 나타내는 접점 장치(1A)에 적용할 수도 있고, 도 6 및 도 7, 도 8 및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가동 단자(28)의 구성을, 도 1에 나타내는 접점 장치(1)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7, 8에서는, 돌기부(29c)의 형상이 원기둥의 일부가 되도록 한 것을 예시했지만, 돌기부(29c)의 형상을 구(球)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7∼제9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가동 접점의 배치 위치는, 이등변 삼각형이나 직각 삼각형뿐만 아니라 다른 삼각형이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단자나 고정 단자, 그 외에 세부의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을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 즉 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접리(接離)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3점의 가동 접점을 가지는 가동 단자; 및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接壓) 스프링
을 포함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하는 구조인, 접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중 적어도 2변에 내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점의 가동 접점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中點)과 다른 1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한, 접점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을 받는 스프링 받이부가 접압 스프링의 일단 측의 상기 가동 단자로의 접촉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 장치. -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
상기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맞닿는 가동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 및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
을 포함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촉 영역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접촉 영역 중 어느 2개의 접촉 영역 사이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중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한, 접점 장치. - 고정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 단자;
상기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맞닿는 가동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 및
상기 가동 단자를 압압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시키는 접압 스프링
을 포함하는 접점 장치로서,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촉 영역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접촉 영역의 내측 접선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에 있어서의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과 다른 1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상기 접압 스프링의 작용점이 위치하도록 한, 접점 장치. -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溝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단자의 상기 고정 단자에 대한 상대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선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홈부 내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이 맞닿는 접촉면을 가지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접촉면은, 상기 선분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상기 선분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인, 접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63368 | 2011-03-22 | ||
JP2011063368 | 2011-03-22 | ||
JP2011232451A JP5914872B2 (ja) | 2011-10-24 | 2011-10-24 | 接点装置 |
JPJP-P-2011-232451 | 2011-10-24 | ||
PCT/JP2012/056087 WO2012128072A1 (ja) | 2011-03-22 | 2012-03-09 | 接点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979A true KR20140005979A (ko) | 2014-01-15 |
Family
ID=4687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1751A Withdrawn KR20140005979A (ko) | 2011-03-22 | 2012-03-09 | 접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9064664B2 (ko) |
EP (1) | EP2690642B1 (ko) |
KR (1) | KR20140005979A (ko) |
CN (1) | CN103443897B (ko) |
WO (1) | WO201212807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359A (ko) * | 2015-04-23 | 2016-11-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기 |
US20220122798A1 (en) * | 2019-07-03 | 2022-04-21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Electrical switch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3005900T5 (de) * | 2012-12-10 | 2015-09-10 | Tesla Motors, Inc. |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mit stabilem beweglichem Kontakt |
JP6064223B2 (ja) * | 2012-12-28 | 2017-01-2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
JP6358442B2 (ja) | 2013-06-28 | 2018-07-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
WO2016088402A1 (ja) * | 2014-12-05 | 2016-06-09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16110843A (ja) | 2014-12-05 | 2016-06-20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414453B2 (ja) | 2014-12-05 | 2018-10-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EP3048629A1 (de) * | 2015-01-23 | 2016-07-27 | Jozef Smrkolj | Leitungsschutzschalter |
HUE035440T2 (en) * | 2015-04-22 | 2018-05-02 | Ellenberger & Poensgen | Power relay for vehicle |
KR101943365B1 (ko) * | 2015-10-14 | 2019-01-2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직류 릴레이 |
US20170149379A1 (en) * | 2015-11-20 | 2017-05-25 | Enphase Energy, Inc. | Interconnect device for use in islanding a microgrid |
CN105810462B (zh) * | 2016-05-05 | 2018-05-25 | 许继(厦门)智能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耐压工装接触头连接结构 |
US10134551B2 (en) * | 2016-09-21 | 2018-11-20 | Astronics Advanced Electronic Systems Corp. | Galvanically isolated hybrid contactor |
JP6836241B2 (ja) * | 2016-12-27 | 2021-02-2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DE102017220503B3 (de) * | 2017-11-16 | 2019-01-17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Doppelt unterbrechender Schalter |
US10699865B2 (en) | 2018-04-24 | 2020-06-30 | Te Connectivity Corporation | Electromechanical switch having a movable contact and stationary contacts |
JP7293598B2 (ja) * | 2018-10-10 | 2023-06-20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347Y2 (ko) * | 1977-06-30 | 1982-03-24 | ||
FR2486303A1 (fr) * | 1980-03-21 | 1982-01-08 | Bernier Et Cie Ets | Relais electromagnetique a armature pivotante a aimant permanent |
JP2518672Y2 (ja) * | 1991-06-27 | 1996-11-27 | 株式会社ユーシン | 3接点式スイッチの可動接触板取付構造 |
JP3321963B2 (ja) * | 1994-02-22 | 2002-09-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
US5805039A (en) * | 1995-08-07 | 1998-09-08 |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
JP3593774B2 (ja) * | 1996-01-09 | 2004-11-24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US5892194A (en) * | 1996-03-26 | 1999-04-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ealed contact device with contact gap adjustment capability |
DE19834215B4 (de) * | 1998-07-29 | 2004-07-15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Elektromagnetisches Relais |
WO2003046940A1 (en) * | 2001-11-29 | 2003-06-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lec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
JP3989928B2 (ja) * | 2004-11-02 | 2007-10-10 |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 電磁リレー |
US7859373B2 (en) * | 2005-03-28 | 2010-12-28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Contact device |
JP4116022B2 (ja) * | 2005-07-11 | 2008-07-09 |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 電磁リレー |
JP4810937B2 (ja) * | 2005-09-06 | 2011-11-09 | オムロン株式会社 | 開閉装置 |
EP1953784B1 (en) * | 2005-11-25 | 2010-10-20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DE102006053423B4 (de) * | 2006-11-13 | 2010-04-22 | Siemens Ag | Relais und Relaisanordnung |
CN201126795Y (zh) * | 2007-11-30 | 2008-10-01 | 苏州苏继电气有限公司 | 汽车起动电机中间继电器 |
CN103258689B (zh) * | 2008-03-19 | 2015-08-05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接点装置 |
JP2010192416A (ja) * | 2009-01-21 | 2010-09-02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封止接点装置 |
JP2010257923A (ja) * | 2009-02-19 | 2010-11-11 | Anden | 電磁継電器 |
JP5524599B2 (ja) * | 2009-06-19 | 2014-06-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接点装置 |
JP5521852B2 (ja) | 2010-03-30 | 2014-06-18 | アンデ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566172B2 (ja) * | 2010-04-16 | 2014-08-06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585550B2 (ja) * | 2011-07-18 | 2014-09-10 | アンデン株式会社 | 継電器 |
-
2012
- 2012-03-09 CN CN201280014134.8A patent/CN103443897B/zh active Active
- 2012-03-09 WO PCT/JP2012/056087 patent/WO201212807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3-09 KR KR1020137021751A patent/KR2014000597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03-09 US US14/004,865 patent/US9064664B2/en active Active
- 2012-03-09 EP EP12760418.9A patent/EP2690642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22 US US14/720,730 patent/US9443685B2/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359A (ko) * | 2015-04-23 | 2016-11-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개폐기 |
US20220122798A1 (en) * | 2019-07-03 | 2022-04-21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Electrical switching system |
US11817283B2 (en) * | 2019-07-03 | 2023-11-14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Electrical switch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90642B1 (en) | 2016-12-07 |
US9064664B2 (en) | 2015-06-23 |
US9443685B2 (en) | 2016-09-13 |
CN103443897B (zh) | 2015-12-23 |
CN103443897A (zh) | 2013-12-11 |
EP2690642A1 (en) | 2014-01-29 |
US20130342293A1 (en) | 2013-12-26 |
WO2012128072A1 (ja) | 2012-09-27 |
EP2690642A4 (en) | 2014-12-24 |
US20150279601A1 (en) | 2015-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05979A (ko) | 접점 장치 | |
CN102024625B (zh) | 电磁继电器 | |
JP6028991B2 (ja) | 接点装置 | |
EP2442328B1 (en) |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 |
US20200136459A1 (en) | Motor | |
US11158476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6922534B2 (ja) | 電磁継電器 | |
US11323011B2 (en) | Motor | |
JP6485465B2 (ja) |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 |
JP5914872B2 (ja) | 接点装置 | |
CN113557586A (zh) | 电磁继电器 | |
JP2019117809A (ja) |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 |
WO2019026947A1 (ja) | 電磁継電器 | |
CN100349234C (zh) | 接触装置 | |
JP2019032948A (ja) | 電磁継電器 | |
WO2020080019A1 (ja) | 電磁継電器 | |
KR102371816B1 (ko) | 차량용 경음기 커넥터 | |
JP5525672B2 (ja) | 電磁リレーのヨークの構造 | |
CN119965049A (zh) | 接触器电磁驱动模块和接触器 | |
CN112582219A (zh) | 继电器 | |
JP2021144916A (ja) | 電磁継電器 | |
JP5835510B1 (ja) | リレー | |
JP2012199151A (ja) | 接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