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42385A -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385A
KR20130142385A KR1020120065567A KR20120065567A KR20130142385A KR 20130142385 A KR20130142385 A KR 20130142385A KR 1020120065567 A KR1020120065567 A KR 1020120065567A KR 20120065567 A KR20120065567 A KR 20120065567A KR 20130142385 A KR20130142385 A KR 2013014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frame
door
outdoor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to KR102012006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385A/ko
Publication of KR2013014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38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뭉치를 문틀이나 문짝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잠글 수 있게 하고, 키삽입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실내측 문틀을 따라 옆으로 이동되며 둘레에는 문짝틀이 구비된 미닫이문짝과, 상기 실내측 문틀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상기 미닫이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문짝의 실외측 둘레를 막는 실외측 문틀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문틀의 타측문틀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타측문틀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와; 상기 미닫이문짝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Sliding door having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뭉치를 문틀이나 문짝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잠글 수 있게 하고, 키삽입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문을 말한다. 아울러 미닫이문은 교실 등에서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미닫이 출입문과 채광을 위해 설치되는 미닫이 창문이 있다.
그리고 미닫이문에는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열수 없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는 빗장타입이나 자물쇠로 채우는 걸고리타입 널리 사용된다.
먼저 상기 빗장타입은, 실내에서 미닫이문을 잠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에서는 미닫이문을 잠글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대로 상기 걸고리타입은 미닫이문의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잠을 수 있으나, 걸고리와 자물쇠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침입자가 걸고리나 자물쇠를 손상시켜 침입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걸고리 타입은 걸고리와 자물쇠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미관상 보기도 좋지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21692호, 발명의 명칭: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등록일: 200년 2월 25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뭉치를 문틀이나 문짝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잠글 수 있게 하고, 키삽입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쪽으로 개방되는 이중 미닫이문중 실외측 미닫이문짝에 키뭉치를 장착할 경우에, 직각틀체를 사용하여 키뭉치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실내측 문틀을 따라 옆으로 이동되며 둘레에는 문짝틀이 구비된 미닫이문짝과, 상기 실내측 문틀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상기 미닫이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문짝의 실외측 둘레를 막는 실외측 문틀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문틀의 타측문틀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타측문틀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와; 상기 미닫이문짝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닫이문짝은,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문틀에 형성된 이중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호 교차되게 열리거나 닫히는 실내측 미닫이문짝과 실외측 미닫이문짝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의 일측문짝틀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일측문짝틀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와;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과 실외측 미닫이문짝은,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뭉치가 실외측 미닫이문짝의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의 일측문짝틀의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문짝틀의 일측과 실내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방부와 키뭉치를 감싸는 수직방향의 직각틀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각틀체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면서 부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실내측 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키뭉치의 돌출부분을 감싸게 구비되며, 키뭉치 장착홀이 형성된 직각 절곡판과; 상기 직각 절곡판의 타측 단부에서 실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는 타측판과; 상기 타측판의 실외측 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문짝틀의 실내측면에 부착되는 부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과 직각 절곡판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직각으로 형성된 직각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직각 절곡판의 실내측면의 일측에는 밀착 브러쉬가 장착되는 브러쉬 장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의 실외측판의 내부에는 수직의 내부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타측면에는 상기 내부 걸림홈에 삽입되는 수직방향의 직각 걸림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키뭉치를 문틀이나 문짝틀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잠글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키삽입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침입범죄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으며, 미닫이문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쪽으로 개방되는 이중 미닫이문중 실외측 미닫이문짝에 키뭉치를 장착할 경우에 직각틀체를 사용하여 키뭉치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을 외부에서 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을 외부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실내측 문틀(1)을 따라 옆으로 이동되며 둘레에는 문짝틀이 구비된 미닫이문짝(2)과, 상기 실내측 문틀(1)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상기 미닫이문짝(2)이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문짝(2)의 실외측 둘레를 막는 실외측 문틀(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상기 실외측 문틀(3)의 타측문틀(31)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41)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타측문틀(31)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42)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4)와; 상기 미닫이문짝(2)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21)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4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2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실외측 문틀(3)의 타측에는 상기 실내측 문틀(1)의 외측을 막는 벽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4)는, 상기 실외측 문틀(3)을 구성하는 타측문틀(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문틀(31)의 실내측판에는 키뭉치 장착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문틀(31)의 일측판에는 상기 키삽입부(42)가 관통되는 키삽입부 관통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키뭉치(4)는 키뭉치 장착홀(311)에 삽입되어 타측문틀(31)의 내부에 장착되고, 키뭉치(4)의 실내측 상,하부는 볼트를 통해 타측문틀(3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뭉치(4)를 구성하는 키삽입부(42)는 상기 키삽입부 관통홀(312)에 관통되어 상기 타측문틀(31) 일측판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뭉치(4)는, 키삽입부(42)에 키를 꽂아 돌리게 되면 실내측 단부에서 잠금축(41)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키뭉치(4)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서 키뭉치(4)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짝(2)은, 판형으로 막혀있는 문짝이나 빛이 투과되는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유리창을 가진 창문을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을 외부에서 잠글 경우에는, 먼저 상기 미닫이문짝(2)을 닫는다.
다음 미닫이문짝(2)이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문틀(3)을 구성하는 타측문틀(31)의 일측에 돌출된 키삽입부(42)에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키를 잠금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키뭉치(4)의 실내측 단부에서 잠금축(41)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축(41)은 상기 닫혀있는 미닫이문짝(2)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21)에 형성된 잠금홀(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미닫이문짝(2)을 잠그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미닫이문은, 키뭉치(4)를 실외측 문틀(3)의 타측문틀(3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미닫이문을 간단히 잠글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삽입부(42)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에 따라 침입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미닫이문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문틀(5)에 형성된 이중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호 교차되게 열리거나 닫히는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91)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92)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9)와;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61)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9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6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키뭉치(9)는,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내부에 장착하고 키삽입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9)는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일측에는 개방부(711)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일측과 실내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방부(711)와 키뭉치(9)를 감싸는 수직방향의 직각틀체(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직각틀체(8)는, 상기 전,후방의 폭이 긴 키뭉치(9)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직각틀체(8)는, 상기 측판(81)의 실내측 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키뭉치(9)의 돌출부분을 감싸게 구비되며, 키뭉치 장착홀(821)이 형성된 직각 절곡판(82)과; 상기 직각 절곡판(82)의 타측 단부에서 실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는 타측판(83)과; 상기 타측판(83)의 실외측 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실내측면에 부착되는 부착판(8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81)과 직각 절곡판(82)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직각으로 형성된 직각 보강리브(85)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직각틀체(8)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각 절곡판(82)의 실내측면의 일측에는 밀착 브러쉬(861)가 장착되는 브러쉬 장착홈(86)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방부(711)의 실외측판의 내부에는 수직의 내부 걸림홈(7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판(81)의 타측면에는 상기 내부 걸림홈(712)에 삽입되는 수직방향의 직각 걸림턱(87)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직각틀체(8)를 상기 일측문짝틀(71)의 타측 단부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직각틀체(8)를 사용하여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에 키뭉치(9)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9)는,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문짝틀(71)의 일측으로 돌출된 키삽입부(92)에 키를 꽂아 돌리게 되면 실내측 단부에서 잠금축(91)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키뭉치(9)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서 키뭉치(9)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은, 판형으로 막혀있는 문짝이나 빛이 투과되는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유리창을 가진 창문을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을 외부에서 잠글 경우에는, 먼저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닫는다.
다음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이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구성하는 일측문짝틀(71)의 일측으로 돌출된 키삽입부(92)에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키를 잠금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키뭉치(9)의 실내측 단부에서 잠금축(91)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축(91)은 상기 닫혀있는 실내측 미닫이문짝(6)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61)에 형성된 잠금홀(6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동시에 잠그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은, 키뭉치(9)를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구성하는 일측문짝틀(71)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키의 잠금 회전을 통해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동시에 잠글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삽입부(92)만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침입자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에 따라 침입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미닫이문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실내측 문틀
2 : 미닫이문짝
21 : 타측문짝틀
22 : 잠금홀
3 : 실외측 문틀
31 : 타측문틀
311 : 키뭉치 장착홀, 312 : 키삽입부 관통홀
4 : 키뭉치
41 : 잠금축
42 : 키삽입부
5 : 문틀
6 : 실내측 미닫이문짝
61 : 타측문짝틀
62 : 잠금홀
7 : 실외측 미닫이문짝
71 : 일측문짝틀
711 : 개방부, 712 : 내부 걸림홈
8 : 직각틀체
81 : 측판
82 : 직각 절곡판
821 : 키뭉치 장착홀
83 : 타측판
84 : 부착판
85 : 직각 보강리브
86 : 브러쉬 장착홈
861 : 밀착 브러쉬
87 : 직각 걸림턱
9 : 키뭉치
91 : 잠금축
92 : 키삽입부

Claims (8)

  1. 실내측 문틀(1)을 따라 옆으로 이동되며 둘레에는 문짝틀이 구비된 미닫이문짝(2)과, 상기 실내측 문틀(1)의 일측 외부에 구비되어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상기 미닫이문짝(2)이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문짝(2)의 실외측 둘레를 막는 실외측 문틀(3)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문틀(3)의 타측문틀(31)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41)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타측문틀(31)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42)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4)와;
    상기 미닫이문짝(2)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21)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4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짝(2)은,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3. 문틀(5)에 형성된 이중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호 교차되게 열리거나 닫히는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내부에 실내측으로 잠금축(91)이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일측판의 외부로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부(92)가 돌출되게 장착된 키뭉치(9)와;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을 구성하는 타측문짝틀(61)의 실외측에 상기 잠금축(9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미닫이문짝(6)과 실외측 미닫이문짝(7)은, 유리창을 가진 창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9)가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실외측 미닫이문짝(7)의 일측문짝틀(71)의 일측에는 개방부(711)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일측과 실내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방부(711)와 키뭉치(9)를 감싸는 수직방향의 직각틀체(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틀체(8)는,
    상기 개방부(711)를 커버하면서 부착되는 측판(81)과;
    상기 측판(81)의 실내측 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키뭉치(9)의 돌출부분을 감싸게 구비되며, 키뭉치 장착홀(821)이 형성된 직각 절곡판(82)과;
    상기 직각 절곡판(82)의 타측 단부에서 실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는 타측판(83)과;
    상기 타측판(83)의 실외측 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문짝틀(71)의 실내측면에 부착되는 부착판(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81)과 직각 절곡판(82)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직각으로 형성된 직각 보강리브(8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직각 절곡판(82)의 실내측면의 일측에는 밀착 브러쉬(861)가 장착되는 브러쉬 장착홈(86)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711)의 실외측판의 내부에는 수직의 내부 걸림홈(7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판(81)의 타측면에는 상기 내부 걸림홈(712)에 삽입되는 수직방향의 직각 걸림턱(8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KR1020120065567A 2012-06-19 2012-06-19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Abandoned KR20130142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567A KR20130142385A (ko) 2012-06-19 2012-06-19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567A KR20130142385A (ko) 2012-06-19 2012-06-19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385A true KR20130142385A (ko) 2013-12-30

Family

ID=4998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567A Abandoned KR20130142385A (ko) 2012-06-19 2012-06-19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3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7070A (zh) * 2017-02-08 2018-08-14 河北奥润顺达窗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五金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7070A (zh) * 2017-02-08 2018-08-14 河北奥润顺达窗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五金系统
CN108397070B (zh) * 2017-02-08 2024-04-26 河北奥润顺达窗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五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KR102095390B1 (ko) 프로젝트 창호
US10253525B2 (en) Lock plate for spring lock
KR20130142385A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JP6795395B2 (ja) 戸車及び建具
JP6647928B2 (ja) 建具
KR101579526B1 (ko) 창호용 손잡이
KR101701439B1 (ko) 창호 시스템의 도어록 설치구조
CA2896945C (en) Recessed handle for sliding window and door
KR20130111689A (ko) 시야 확보 및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JP6749833B2 (ja) 建具
JP7002984B2 (ja) 建具
KR20150056969A (ko)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JP6710632B2 (ja) 建具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JP6810560B2 (ja) 建具
JP6675034B2 (ja) 建具
KR101733112B1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KR20200086515A (ko)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
KR101414046B1 (ko) 일체형 방범창
JP5969930B2 (ja) 化粧部材の取付構造及び建具
JP4595876B2 (ja) 防犯サッシ
JP6710631B2 (ja) 建具
KR200373254Y1 (ko) 미닫이창용 자동잠금장치
JP3100084U (ja) 窓締め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