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41277A -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277A
KR20130141277A KR1020120064570A KR20120064570A KR20130141277A KR 20130141277 A KR20130141277 A KR 20130141277A KR 1020120064570 A KR1020120064570 A KR 1020120064570A KR 20120064570 A KR20120064570 A KR 20120064570A KR 20130141277 A KR20130141277 A KR 2013014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filiated
terminal
merchant
app
st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2006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277A/ko
Publication of KR2013014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27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은, 제1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도록 내 가맹점에 배치되는 제1 가맹점 단말; 제2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제1 가맹점이 친구맺기를 하여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을 제2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제2 가맹점 단말; 제3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제1 가맹점과 친구맺기를 하여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제3 가맹점 단말;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제1 내지 제3 가맹점을 관리하고, 가맹점간 친구맺기 설정을 허용하고, 등록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 및 가맹점 관리 서버로부터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각각 친구맺기를 통해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연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CONNECTING PUBLIC RELATIONS OF MEMBER STORE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맹점의 홍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상호간에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도록 서로 허용함으로써 각각 자신의 가맹점을 홍보할 수 있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상점, 특히, 소상인들이 운영하는 상점들의 주된 고객들은 주로 상점 주변에서 거주(또는 일)하거나 상점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많다. 또는, 그 상점들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만족하여 지속적으로 찾아오는 단골손님들이다. 소규모의 오프라인 상점들도 할인 행사나 사은품 행사 등을 자주 열어, 재고도 줄이면서 고객에게 홍보도 하는 이벤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식품점이나 음식점, 유행에 민감한 패션 상점 등 재고관리가 필요한 상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벤트를 통한 마케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벤트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은 효과적이지만, 그 이벤트를 고객에게 알리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상점의 광고를 실은 광고 전단지를 상점 주변에서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나누어주거나, 지역 광고지에 광고 또는 이벤트를 게재하는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벤트는 일정한 기간 내에 치르기 때문에, 신속성이 떨어지는 광고 전단지나 지역 광고지 등의 광고 방식은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통신망의 발달 및 보급이 확대되면서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지역 광고도 발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상점주가 자신만의 전용 웹사이트를 직접 개설하여 홍보하거나, 포털 사이트 등의 지역정보 서비스에 자신의 상점을 등록하여 홍보하고 있다. 전자는 상점주가 자신만의 광고나 이벤트를 원하는 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구축비용이 많이 들고 방문자가 적어 효과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는 포털 사이트의 방문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만의 광고나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기에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위치기반 기술이 발달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 환경이 어느 때보다 잘 갖추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온라인상의 소셜 네트워크 기술 및 위치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지역에 기반을 둔 오프라인 상점에 적합한 광고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특히, 대기업의 할인매장이나 체인점 등에 의해 위축되고 있는 소상인의 오프라인 상점에게는 이러한 오프라인 상점에 적합한 광고 또는 이벤트 홍보 기술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1-106187호에는 "가맹점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맹점 홍보 시스템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맹점 홍보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 가맹점 관리 서버(20), 이동통신 단말(30) 및 가맹점 단말(40)을 포함하며, 이때, 가맹점 관리 서버(20)는 웹 서버(21), 메일 서버(22), 데이터베이스 서버(23)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24)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맹점 홍보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가맹점의 할인행사 및 이벤트에 대한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접수받아 회원들이 카드를 이용할 경우, 할인 또는 경품 등이 제공될 수 있도록 카드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행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여 가맹점을 홍보해 줄 수 있는 가맹점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맹점 홍보 시스템에 따르면, 먼저 가맹점으로부터 소득수준, 학력, 소재지역, 개인관심사항 해당 회원들의 차별화 된 회원정보를 바탕으로 선정된 대상 고객군에 대한 할인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난 후, 가맹점의 할인 및 이벤트 정보를 가지는 가맹점 홍보 웹 페이지 및 전자우편,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2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해 오면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76008호에는 "제휴서비스 제공 서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 인증 모듈(50)이 탑재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30), 복수의 가맹점 단말(40), SMS/MMS 서버(61), 제휴서비스 제공 서버(62), 가맹점 관리 서버(63), 고객 관리 서버(64),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동하는 이동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관 가맹점들 간의 제휴 마케팅을 지원하고, 쿠폰 사용 거래나 광고 등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휴서비스 정보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40)이 설치되어 있는 가맹점들과 관련된 요율 데이터, 또는 부가 컨텐츠일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고객을 효율적으로 공유하여 연관 가맹점들 간의 제휴 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가맹점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쿠폰 사용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방문 가능한 가맹점에 대한 광고, 또는 할인/적립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45549호에는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각각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서비스 장치(70),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80) 및 가맹점 단말(40) 등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10)이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70)에 접속하여 가맹점 정보를 요청한다(S11).
다음으로, 서비스 장치(70)는 LBS 서버(80)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12). 예를 들면, 서비스 장치(70)는 사용자 단말(10)에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 기능이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10)로부터 GPS 기능에 의한 현재 위치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장치(7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부근에 위치하는 가맹점들 중 소비품목을 취급하는 가맹점을 추출한다(S13).
다음으로, 서비스 장치(70)는 추출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40)로 고객유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4).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40)은 고객유치정보를 서비스 장치(70)로 전송한다(S15). 따라서 서비스 장치(70)는 각 가맹점에 대한 고객유치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장치(70)는 가맹점 단말(50)로부터 획득한 고객유치정보에 근거해 현재 이용객 숫자가 적어 수용 가능성이 높은 가맹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가맹점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S16).
다음으로, 서비스 장치(70)는 생성한 가맹점 추천 정보를 통신망(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17). 이때, 서비스 장치(70)는 생성한 가맹점 추천 정보를 SMS, MMS 등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맹점 정보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위치 정보에 근거한 가맹점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거나, 해당 가맹점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제공하는 할인이나 마일리지 이용 등에 대한 정보와 현재 이용객 숫자가 낮은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방문할 가맹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거나, 근방의 다수의 가맹점 중 최적의 가맹점을 추천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고객 입장에서는 현재 위치에서 고객과 함께 있는 사람들을 수용할 만한 가맹점을 쉽게 찾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고객은 동행하는 사람들을 수용할 만한 가맹점들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다. 아울러, 가맹점 입장에서는 현재 고객들이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수용 가능한 고객들을 더 확보할 수 있어 고객들에게 보다 편리하게 빠른 시간내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가맹점들 상호간, 특히 이종 업종의 가맹점들 간에 광고 또는 이벤트를 서로 연계시키지 못함으로써 가맹점들의 홍보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1-106187호(공개일: 2001년 11월 29일), 발명의 명칭: "가맹점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79726호(출원일: 2001년 9월 19일), 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할인쿠폰 가맹점의 온라인 홍보와 쿠폰사용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76008호(공개일: 2009년 7월 13일), 발명의 명칭: "제휴서비스 제공 서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4)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57814호(공개일: 2011년 6월 1일), 발명의 명칭: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5)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111727호(공개일: 2011년 10월 12일), 발명의 명칭: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거래 및 광고 방법" 6)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36254호(출원일: 2007년 3월 14일), 발명의 명칭: "상황인식 기반 광고 쿠폰 발행시스템" 7)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45549호(공개일: 2012년 5월 9일), 발명의 명칭: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이나 이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에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도록 허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자신의 가맹점을 홍보할 수 있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객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기반-광고를 진행함으로써, 가맹점 스스로 친구를 맺어 협업할 수 있고,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가맹점간에 친구맺기를 통하여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은, 제1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도록 내 가맹점에 배치되는 제1 가맹점 단말; 제2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상기 제1 가맹점이 친구맺기를 하여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을 상기 제2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맹점 단말; 제3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상기 제1 가맹점과 친구맺기를 하여 상기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가맹점 단말;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을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간 친구맺기 설정을 허용하고, 상기 등록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 및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로부터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앱(APP)을 실행시키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각각 상기 친구맺기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웹(WEB)에 접속할 경우,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웹 서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가 종료되어 등록된 회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가맹점 홍보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친구맺기 연계의 설정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하는 가맹점 관리부;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의 상호간 친구맺기 연계를 설정하도록 허용하는 가맹점간 연계 설정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시키는 가맹점 홍보물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의사소통을 허용하고, 다수의 고객 단말의 앱(APP)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들 간의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SNS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은 각각, 회원 인증 정보 및 친구맺기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상기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각각 업로드하기 위한 홍보물 업로드부; 및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시 상기 고객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고객 단말 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은, a)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를 위한 친구맺기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는 단계; d)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앱(APP)을 실행시키는 단계; e) 상기 고객 앱(APP)에 가맹점 상호간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는 단계; f)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을 선택하는 단계; 및 g)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의 상세내용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은 내 가맹점 단말이고, 상기 제2 가맹점 단말은 내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이며,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제1 가맹점 단말은 웹(WEB) 또는 앱(APP) 상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면, 상기 제2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인 제3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은 상기 고객이 소지한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에서 고객 단말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에 쿠폰을 전송하여 예약하기를 수행하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예약 고객 정보를 제1 가맹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SNS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이나 이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에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도록 허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자신의 가맹점을 홍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기반-광고를 진행함으로써, 가맹점 스스로 친구를 맺어 협업할 수 있고,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가맹점간에 친구맺기를 통하여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맹점 홍보 시스템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휴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각각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 상호간 친구맺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의 APP 실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고객들의 소셜 네트워킹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은, 제1 가맹점 단말(110), 제2 가맹점 단말(120), 제3 가맹점 단말(130), 가맹점 관리 서버(140) 및 고객 단말(150)을 포함한다.
제1 가맹점 단말(110)은 내 가맹점인 제1 가맹점에 배치된 단말이고, 제2 가맹점 단말(120)은 내가 친구를 맺은 가맹점인 제2 가맹점에 배치된 단말이며, 제3 가맹점 단말(130)은 나와 친구를 맺은 가맹점인 제3 가맹점에 배치된 단말로서, PC,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편의상, 제1 가맹점 및 제1 가맹점 단말은 동일한 도면부호 110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제2 가맹점 및 제2 가맹점 단말은 동일한 도면부호 120을 사용하여 설명하며, 제3 가맹점 및 제3 가맹점 단말은 동일한 도면부호 130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 가맹점인 제1 가맹점 단말(110)이 제2 가맹점 단말(120)과 친구를 맺는 경우, 제2 가맹점 단말(120)을 친구로 등록한다. 또한, 제1 가맹점 단말(110)이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홍보물을 등록하는 경우, 제2 가맹점 단말(12)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제1 가맹점 단말(110)의 광고가 실행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일 수 있다.
또한, 제3 가맹점(130)이 친구를 맺은 제1 가맹점(110)에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여 상기 제1 가맹점 단말(110)의 가맹점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3 가맹점 단말(130) 가맹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110, 120, 130)의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을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간 친구맺기 설정을 허용하고, 상기 등록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한다.
고객 단말(150)은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에 웹(WEB) 접속하여, 앱(APP)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고객 단말(150)은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로부터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110, 130)에 방문하여 상기 앱(APP)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은, 동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이나 이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에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도록 허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자신의 가맹점을 홍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 상호간 친구맺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은, 제1 가맹점 단말(110), 제2 가맹점 단말(120), 제3 가맹점 단말(130), 가맹점 관리 서버(140) 및 고객 단말(150)을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웹(WEB) 서버(141), 어플리케이션 서버(142), 가맹점 관리부(143), 가맹점 DB(144), 가맹점간 연계 설정부(145), 가맹점 홍보물 등록부(146)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관리부(147)를 포함한다.
제1 가맹점 단말(110)은 제1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도록 내 가맹점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맹점 단말(110)은 이벤트 1을 제공한다.
제2 가맹점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가맹점이 친구맺기를 하여 상기 제1 가맹점 단말(110)의 제1 가맹점 홍보물, 예를 들면, 이벤트 1을 상기 제2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제2 가맹점 단말(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a 내지 제2n 가맹점 단말(121, 122, 123)일 수 있다.
제3 가맹점 단말(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제3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상기 제1 가맹점과 친구맺기를 함으로써, 상기 제1 가맹점 단말(110)에서 상기 제3 가맹점 홍보물, 예를 들면, 이벤트 3a, 3b 및 3m을 각각 상기 제1 가맹점 홍보물, 예를 들면, 이벤트 1과 함께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가맹점 단말(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a 내지 제3m 가맹점 단말(131, 132, 133)일 수 있고, 각각 이벤트 3a, 3b 및 3m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웹(WEB)과 앱(APP)에 대응하여 가맹점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를 구성한다. 즉,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들(110~130)이 웹(WEB)과 앱(APP)을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140)에 등록한 경우, 고유한 가맹점 인증번호를 발송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110~130)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광고를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내 가맹점인 제1 가맹점 단말(110)이 제2 가맹점 단말(120)과 친구를 맺는 경우, 제2 가맹점 단말(120)의 제2a~제2n 가맹점 단말(121~123)을 친구로 등록한다. 또한, 제1 가맹점 단말(110)이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홍보물을 등록하는 경우, 제2a~제2n 가맹점 단말(121~123)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제1 가맹점 단말(110)의 광고가 실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 가맹점의 제3a~제3m 가맹점 단말(131~133)이 친구를 맺은 제1 가맹점(110)에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여 상기 제1 가맹점 단말(110)의 가맹점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3a~제3m 가맹점 단말(131~133) 가맹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 내의 웹(WEB) 서버(141)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웹(WEB)에 접속할 경우,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가맹점 단말(110, 120, 130)이 PC인 경우, WEB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하고, 가맹점 단말(110, 120, 130)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인 경우, 앱(APP)을 다운로드한 후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이때, 회원 가입시, 가맹점 단말(110, 120, 130)이 아이디(ID), 패스워드(PW), 성명, 휴대폰 번호, 상호, 업종, 주소 등을 입력하면,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상기 가맹점 단말(110, 120, 130)에게 가맹점 인증번호를 발급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42)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가 종료되어 등록된 회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가맹점 홍보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가맹점 관리부(143)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친구맺기 연계의 설정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한다.
가맹점 DB(144)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가맹점간 연계 설정부(14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의 상호간 친구맺기 연계를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이때, 가맹점 친구맺기 수행시, 지도에서 찾기(GPS), 가맹점 인증번호로 찾기, 또는 상호 또는 업종으로 찾기에 의해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맹점 단말(110)인 내 가맹점으로 올 가능성이 있는 제2 가맹점을 친구로 등록한다. 즉, 제2 가맹점 단말(120)인 제2 가맹점에 내가 친구맺기를 한다.
가맹점 홍보물 등록부(146)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 예를 들면, 광고/이벤트/쿠폰 등을 등록시킨다. 즉, 등록된 제1 가맹점 단말(110)은 웹(WEB) 또는 앱(APP) 상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가맹점 홍보물, 예를 들면,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가맹점 단말(120), 즉, 제2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제1 가맹점 단말(110), 즉 내 가맹점의 홍보물, 예를 들면,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내 가맹점인 제1 가맹점 단말(110)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제3 가맹점 단말(130), 즉,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의 홍보물, 예를 들면,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 등이 노출될 수 있다.
SNS 관리부(147)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의사소통을 허용하고, 다수의 고객 단말의 앱(APP)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들 간의 의사소통을 허용한다.
또한, 고객 단말(150)은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로부터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앱(APP)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맹점 단말(110), 즉 제1 가맹점에 방문하여 앱(APP)을 실행시킬 경우, 제1 가맹점(110)의 가맹점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제3 가맹점 단말(130), 즉,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130)의 홍보물, 예를 들면,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 등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150)이 제3 가맹점 단말(130)을 클릭하면, 상기 제3 가맹점(130)의 상세 내용(예를 들면, 지도, 전화번호, 홍보물 등) 보여주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50)은 제3 가맹점 단말(130)에 쿠폰을 전송하여 예약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객 단말(150)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130)에 쿠폰을 전송하여 예약하기를 수행하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130)은 예약 고객 정보를 제1 가맹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의 측정을 위해 제2 가맹점 단말(120)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150)을 소지한 고객이 제2a~제2n 가맹점(121~123)을 방문하여 그중 하나를 클릭하는 경우(쿠폰을 전송받은 경우를 포함한다), 제1 가맹점 단말(110)에게 예약 고객의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이 어디에서(제2a~제2n 가맹점(121~123) 중 하나) 예약을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1 가맹점 단말(110)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각각 상기 친구맺기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연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들(110~130)이 웹(WEB)과 앱(APP)을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140)에 등록한 경우, 고유한 가맹점 인증번호를 발송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110~130)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광고를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내 가맹점인 제1 가맹점 단말(110)이 제2 가맹점 단말(120)과 친구를 맺는 경우, 제2 가맹점 단말(120)을 친구로 등록한다. 또한, 제1 가맹점 단말(110)이 광고, 이벤트, 쿠폰 등의 홍보물을 등록하는 경우, 제2 가맹점 단말(120)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제1 가맹점 단말(110)의 광고가 실행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제1 가맹점 단말(110)에서 등록한 광고가 친구를 맺은 제2 가맹점(120)을 방문한 고객 단말(150)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고객 단말(150)의 앱(APP)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앱(APP)은 가맹점을 등록할 수 있도록 ID, PW, 성명, 상호, 업종, 주소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앱(APP)에서 홍보물 내용(광고/이벤트/쿠폰)을 쉽게 업로드(Upload)할 수 있게 구성하며, 제1 가맹점(110)이 친구를 맺은 제2 가맹점(120)과 상기 제1 가맹점(110)과 친구를 맺은 제3 가맹점(130)의 광고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가맹점들(110, 120, 130)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토론방을 개설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의 APP 실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제1 가맹점 단말(110)은 각각, 정보 입력부(111), 홍보물 업로드부(112), 고객 단말 인식모듈(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3 가맹점 단말(120, 130) 또한, 정보 입력부, 홍보물 업로드부, 고객 단말 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111)는 회원 인증 정보 및 친구맺기 설정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가맹점이 가맹점 관리 서버(140)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경우, 가맹점 관리 서버(140)는 인증번호를 가맹점에게 전송하고 이러한 가맹점 인증번호를 가맹점의 식별번호로 사용한다. 이때, 고객이 가맹점을 방문하여 앱(APP)을 실행하여 가맹점 인증번호(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가맹점과 친구를 맺은 가맹점의 광고가 고객의 앱(APP)에 노출되도록 한다.
홍보물 업로드부(112)는 상기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각각 업로드한다.
고객 단말 인식모듈(113)은 상기 고객 단말(150)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시 상기 고객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객 단말(150)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즉, 이러한 인증번호 방식 이외에도 상기 가맹점에 블루투스나 WIFI 등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객이 가맹점에 입장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고객의 앱(APP)에 가맹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 고객들의 소셜 네트워킹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에서, 고객 단말(150)은 제1 내지 제n 고객 단말(151, 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n 고객 단말(151, 152)에 각각 설치되어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앱(APP)은 가맹점이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가맹점에서 가맹점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자신이 방문하는 가맹점과 연계된 가맹점의 이벤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때, 고객 자신이 방문한 가맹점에서 연계된 가맹점의 이벤트를 확인하고, 이를 클릭함으로써 예약하도록 할 수 있게 쿠폰 발송 기능을 넣음으로써, 예약 가맹점으로 이동시에 예약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된 가맹점에서 예약한 쿠폰이 실효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가맹점에 다녀온 불특정 다수의 고객과 의사소통을 위한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을 할 수 있도록 SNS 서비스로서 토론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은, 먼저,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S110).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은 내 가맹점 단말이고, 상기 제2 가맹점 단말은 내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이며,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를 위한 친구맺기를 수행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한다(S130).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록된 제1 가맹점 단말은 웹(WEB) 또는 앱(APP) 상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면, 상기 제2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인 제3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앱(APP)을 실행시킨다(S140). 이때, 상기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은 상기 고객이 소지한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객 앱(APP)에 가맹점 상호간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킨다(S150).
다음으로,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을 선택한다(S160). 이때,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에 쿠폰을 전송하여 예약하기를 수행하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예약 고객 정보를 제1 가맹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의 상세내용을 노출시킬 수 있다(S170).
후속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SNS 의사소통을 허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종 업종 가맹점 상호간, 특히, 이종 업종 가맹점 싱호간 광고를 노출시키도록 허용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자신의 가맹점을 홍보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기반-광고를 진행함으로써, 가맹점 스스로 친구를 맺어 협업할 수 있고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가맹점간에 친구맺기를 통하여 매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110: 제1 가맹점(내 가맹점)
120, 121, 122, 123: 제2 가맹점(내가 친구맺기한 가맹점)
130, 131, 132, 133: 제3 가맹점(나와 친구맺기된 가맹점)
140: 가맹점 관리 서버
150: 고객 단말(PC/휴대폰/스마트폰)
111: 정보 입력부
112: 홍보물 업로드부
113: 고객 단말 인식모듈
141: 웹(WEB) 서버
142: 어플리케이션 서버
143: 가맹점 관리부
144: 가맹점 DB
145: 가맹점간 연계 설정부(친구맺기)
146: 가맹점 홍보물 등록부(광고/이벤트/쿠폰)
147: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관리부

Claims (14)

  1. 제1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도록 내 가맹점에 배치되는 제1 가맹점 단말;
    제2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상기 제1 가맹점이 친구맺기를 하여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을 상기 제2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맹점 단말;
    제3 가맹점 홍보물을 각각 등록하고, 상기 제1 가맹점과 친구맺기를 하여 상기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제1 가맹점 홍보물과 함께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가맹점 단말;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을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간 친구맺기 설정을 허용하고, 상기 등록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 및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로부터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앱(APP)을 실행시키는 고객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각각 상기 친구맺기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웹(WEB)에 접속할 경우,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웹 서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회원 인증 절차가 종료되어 등록된 회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가맹점 홍보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의 친구맺기 연계의 설정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의 등록을 관리하는 가맹점 관리부;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의 상호간 친구맺기 연계를 설정하도록 허용하는 가맹점간 연계 설정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시키는 가맹점 홍보물 등록부
    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의사소통을 허용하고, 다수의 고객 단말의 앱(APP)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들 간의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SNS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은 각각,
    회원 인증 정보 및 친구맺기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상기 가맹점 홍보물에 대한 정보를 각각 업로드하기 위한 홍보물 업로드부; 및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시 상기 고객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고객 단말 인식모듈
    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7. a)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가맹점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를 위한 친구맺기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이 각각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는 단계;
    d)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하여 앱(APP)을 실행시키는 단계;
    e) 상기 고객 앱(APP)에 가맹점 상호간 가맹점 홍보물을 노출시키는 단계;
    f)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을 선택하는 단계; 및
    g) 나와 친구맺기한 가맹점의 상세내용을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은 내 가맹점 단말이고, 상기 제2 가맹점 단말은 내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이며,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홍보물은 광고, 이벤트 또는 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은 동종 업종의 가맹점이거나 다른 업종의 가맹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제1 가맹점 단말은 웹(WEB) 또는 앱(APP) 상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가맹점 홍보물을 등록하면, 상기 제2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가맹점 단말을 방문한 고객이 앱(APP)을 실행하는 경우, 나와 친구맺기를 한 가맹점인 제3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 홍보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고객이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에 방문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은 상기 고객이 소지한 단말이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고객 단말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에 쿠폰을 전송하여 예약하기를 수행하면, 상기 제3 가맹점 단말은 예약 고객 정보를 제1 가맹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단말이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들 상호간 SNS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방법.
KR1020120064570A 2012-06-15 2012-06-15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Ceased KR20130141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70A KR20130141277A (ko) 2012-06-15 2012-06-15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70A KR20130141277A (ko) 2012-06-15 2012-06-15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277A true KR20130141277A (ko) 2013-12-26

Family

ID=4998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570A Ceased KR20130141277A (ko) 2012-06-15 2012-06-15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27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78B1 (ko) * 2014-02-25 2014-09-18 (주)프리코어 쿠폰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682647B1 (ko) * 2016-05-27 2016-12-05 조현수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방법
CN110782325A (zh) * 2019-10-31 2020-02-11 深圳市云积分科技有限公司 一种会员信息的推荐方法和装置
KR102282287B1 (ko) 2021-02-22 2021-07-27 티미드링크 주식회사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47829A (ko) * 2020-05-29 2021-12-07 김일현 지역화폐와 상점 간 연계를 활용한 중복할인 및 수익 공유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20037209A (ko) * 2020-09-17 2022-03-24 (주)콘텐츠버스 전자브로셔를 이용한 교차 마케팅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78B1 (ko) * 2014-02-25 2014-09-18 (주)프리코어 쿠폰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682647B1 (ko) * 2016-05-27 2016-12-05 조현수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방법
CN110782325A (zh) * 2019-10-31 2020-02-11 深圳市云积分科技有限公司 一种会员信息的推荐方法和装置
CN110782325B (zh) * 2019-10-31 2023-04-07 深圳市云积分科技有限公司 一种会员信息的推荐方法和装置
KR20210147829A (ko) * 2020-05-29 2021-12-07 김일현 지역화폐와 상점 간 연계를 활용한 중복할인 및 수익 공유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20037209A (ko) * 2020-09-17 2022-03-24 (주)콘텐츠버스 전자브로셔를 이용한 교차 마케팅 시스템
KR102282287B1 (ko) 2021-02-22 2021-07-27 티미드링크 주식회사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9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presenting content using an interface for setting conditional network destinations
US9998906B2 (en) Close proximity notification system
US9324091B2 (en) Location based mobile user selected time, location, and number limited automatic location based reserve and redeem discounts on products or services with automatic security and feedback features
US20140279014A1 (en) Push notifications for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40136312A1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20095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securely redeeming location-specific promotions
US20160098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JP2016174394A (ja) 小売店内で識別子を送信して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810616A (zh) 使用唯一代码方式进行电子和移动市场推广和营销的方法和系统
WO2013188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hopping experience
JP6580499B2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方法、およ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US201600488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transferring data corresponding to a benefit from a web page to a mobile application by using a web-based marker
KR20130141277A (ko)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US201503024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notifications of incentives offered by funding sources
WO2014032039A1 (en) Systems for mobile devices
KR20130012209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시스템 및 포인트 적립 방법
KR20200055835A (ko) 빅데이터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KR20140039101A (ko) 전자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3963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광고에 따른 보상 제공방법와, 이를 위한 광고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0566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출입통제/관리, 회원관리 및 마케팅 시스템
US20150356644A1 (en) Consumer Feedback and Incentive Method and System
KR10154257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추천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Lee et al. An NFC-based O2O service model in exhibition-space
WO2013130835A1 (en) Offering merchant deals and rewarding consumer loyalty
KR102130623B1 (ko) 포스 기반 고객 방문 유도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