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8456A -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 Google Patents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456A
KR20130118456A KR1020120041323A KR20120041323A KR20130118456A KR 20130118456 A KR20130118456 A KR 20130118456A KR 1020120041323 A KR1020120041323 A KR 1020120041323A KR 20120041323 A KR20120041323 A KR 20120041323A KR 20130118456 A KR20130118456 A KR 2013011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mixer
unit mixing
ozone contact
ozone
mix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훈
임운천
문세호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456A/ko
Publication of KR2013011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5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the baffles being deformed flat pieces of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 내측에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믹싱 엘리먼트는, 제 1 길이를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절개선을 따라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폴딩 되는 제 2 길이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4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OZONE CONTACTOR WITH STATIC MIXER}
본 발명은 정방향 엘리먼트와 역방향 엘리먼트를 교번 배치한 정적 믹서(static mixer)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어장이나 산소 용해용도로 사용중인 정적 믹서(static mixer)는, 서로 다른 종류를 갖는 혼합유체, 예컨대 해수와 산소를 도관 내로 유입하여 통과시키면서 별도로 구동되는 교반수단 없이 해수와 산소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해수 속에 산소를 용해시켜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선형 정적 믹서(linear static mixer)로는 싱글형 정적 믹서가 많이 사용된다. 싱글형 정적 믹서는, 도관 내에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180°의 비틀림을 갖는 복수개의 나선형 믹싱 엘리먼트(mixing element)가 비틀림 방향이 서로 다른 것끼리 이웃하면서, 그 인접하는 끝단이 90°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싱글형 정적 믹서의 도관을 유체가 통과하면서 이송되면, 이동하는 유체는 연속적으로 유동분할(division of flow), 방사상 혼합(radial mixing) 및 유동전도(flow reversal)의 3가지 작용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액체, 기체 또는 분체 등이 혼합된다.
싱글형 정적 믹서를 통과하는 유체는 각각의 믹싱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마다 2등분된다. 따라서 2번째 믹싱 엘리먼트 통과시 4등분, 3번째 믹싱 엘리먼트 통과시 8등분되는 등, 믹싱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등분되므로, 만일 20개의 믹싱 엘리먼트를 유체가 통과할 경우, 통과하는 유체는 대략 100만 등분으로 분할된다. 즉, 믹싱 엘리먼트의 단수를 n이라 할 때, 유동 분할수(V)=2n 인 관계가 성립하고, 분할된 유체의 면적(a)= A/V (A: 정적 믹서의 단면적) 인 관계가 성립하므로 믹싱 엘리먼트의 단수를 늘릴수록 유체는 미세한 입자로 나누어진다.
또한, 교차되는 믹싱 엘리먼트의 연결구조 때문에 믹서 도관 내의 중심부를 통과하던 유체는 믹싱 엘리먼트 곡면을 따라 믹서의 벽면으로 이동되고, 믹서 벽면을 통과하던 유체는 다시 믹싱 엘리먼트 곡면을 따라 믹서 도관의 중심으로 이동되어 유체의 혼합성이 높아진다.
한편, 기상(氣象)으로 생성된 오존의 수중 용해는 난용성(難溶性) 기체의 용해로서 헨리의 법칙에 따라 용해도가 결정된다. 이때 오존의 용해속도는 분압과 기액(氣液) 계면의 크기에 따라 용해 속도가 비례하여 증감한다. 또한 오존은 수중 반감기(半減期)가 10여분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단시간에 용해되지 못하면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이 곤란하므로, 인라인 정적 믹서(in-line static mixer) 방식을 이용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인라인 정적 믹서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100)는 유체 이송과 동시에 좌우 회전 유도와 방향 전환을 하는 구성으로, 오존을 수중 용해에 양호한 효과를 가지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제품가격이 매우 높으며, 재질의 선정과 유지 보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존의 용해 후, 미반응 가스는 이미 농도가 저하되어, 재이용이 곤란 하기 때문에 배기 처리 과정을 거쳐 배출되어야 하므로, 기액 분리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장치 내에서 단시간 내에 오전의 용해 및 혼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 내측에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믹싱 엘리먼트는, 제 1 길이를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절개선을 따라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폴딩 되는 제 2 길이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4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양 끝단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1 및 제 4 날개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폴딩되고, 제 2 및 제 3 날개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폴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와 제 1 내지 제 4 날개에 다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날개 폴딩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된 각각의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날개와, 제 3 및 제 4 날개의 각도는 55 내지 65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의 2 내지 3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믹싱 엘리먼트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경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방향 엘리먼트와 역방향 엘리먼트를 교번 배치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하여, 고용해도, 고효율의 특징을 갖는 오존 접촉용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존 가스의 용해에 적용되는 인라인 정적 믹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 가스의 용해에 적용되는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을 이용한 이액유체(二液流體, two fluid)의 이동경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구성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구성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으로,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날개 배치구조를 다르게 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으로,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배치를 90도씩 돌려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 가스의 용해에 적용되는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을 이용한 이액유체(二液流體, two fluid)의 이동경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구성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적 믹서를 구성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으로,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날개 배치구조를 다르게 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의 구성으로,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배치를 90도씩 돌려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정적 믹서(200)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구성하여 파이프에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와, 제 1 내지 제 4 날개부(311~3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310)와 제 1 내지 제 4 날개부(311~314)는 한 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호(arc)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유체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내지 제 4 날개부(311~314)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몸체(310)의 대략 중앙 부근에 형성된 절개선으로 분할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측과 하측으로 접어져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날개(311)와 제 4 날개(314)는 유체 흐름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접히고, 제 2 날개(312)와 제 3 날개(313)은 그 반대 방향인 유체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접히는 것이 좋다.
이때, 제 1 및 제 2 날개(311)(312) 사이의 각도와 제 3 및 제 4 날개(313)(314)의 각도는 55~65도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60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파이프(P)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날개(311)(3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길이 A와 제 1 내지 제 4 날개(311~314)의 길이는 일정 비율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날개(311~314)의 길이가 상기 몸체(310)의 길이의 2배 내지 3배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위 믹싱 엘리먼트(4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와, 제 1 내지 제 4 날개부(411~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410)와 제 1 내지 제 4 날개부(411~414)는 한 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위 믹싱 엘리먼트(400)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되되, 추가적으로 관통공(420)이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400)는 배열 방법에 따라,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400)을 동일하게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1에 참조부호 5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400)를 교번하여, 배치할 수도 있으며, 도 12에 참조부호 6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믹싱 엘리먼트(300)(400)들을 90도씩 회전시키면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믹싱 엘리멘트(300)(400)를 프레스 가공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폴딩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정적 믹서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단위 믹싱 엘리멘트(300)(400)를 교번 배치하는 구성을 통해, 기존의 트위스트 구조를 가지는 믹싱 엘리멘트(100)를 대체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종래기술에 따른 믹싱 엘리먼트
200; 정적 믹서 300, 400; 단위 엘리먼트
310, 410; 몸체 311, 411; 제 1 날개
312, 412; 제 2 날개 313, 413; 제 3 날개
314, 414; 제 4 날개 420; 통공

Claims (10)

  1.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 내측에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믹싱 엘리먼트는,
    제 1 길이를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절개선을 따라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폴딩 되는 제 2 길이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4 날개;를 포함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 끝단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4 날개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폴딩되고,
    제 2 및 제 3 날개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폴딩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제 1 내지 제 4 날개에 다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믹싱 엘리먼트의 날개 폴딩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된 각각의 단위 믹싱 엘리먼트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날개와, 제 3 및 제 4 날개의 각도는 55 내지 65도인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의 2 내지 3배인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믹싱 엘리먼트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경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KR1020120041323A 2012-04-20 2012-04-20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KR20130118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23A KR20130118456A (ko) 2012-04-20 2012-04-20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23A KR20130118456A (ko) 2012-04-20 2012-04-20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56A true KR20130118456A (ko) 2013-10-30

Family

ID=4963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323A KR20130118456A (ko) 2012-04-20 2012-04-20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4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486A (ko) 2014-06-19 2015-12-30 (주)삼천 혼합효율이 개선된 스태틱 믹서
KR20210094803A (ko)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057A (en) * 1978-06-16 1979-12-27 Ereko Kk Fluid mixer
JP3003581B2 (ja) * 1995-12-22 2000-01-31 東陶機器株式会社 光半導体の光励起に応じて親水性を呈する部材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057A (en) * 1978-06-16 1979-12-27 Ereko Kk Fluid mixer
JP3003581B2 (ja) * 1995-12-22 2000-01-31 東陶機器株式会社 光半導体の光励起に応じて親水性を呈する部材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486A (ko) 2014-06-19 2015-12-30 (주)삼천 혼합효율이 개선된 스태틱 믹서
KR20210094803A (ko)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503B2 (en) Static mixer
US5826981A (en) Apparatus for mixing laminar and turbulent flow streams
US3664638A (en) Mixing device
US20120106290A1 (en) Static mixer comprising a static mixing element, method of mixing a fluid in a conduit and a formula for designing such a static mixing element
CN103111212B (zh) 一种文丘里混合器的多点引入结构和流量控制方式
JP2017514679A (ja)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
US7874721B2 (en) Mixing element
CN105664749B (zh) 三角形管壁叶片式静态混合器
CA2417273C (en) Static mixer element and method for mixing two fluids
KR20130118456A (ko) 정적 믹서를 이용한 오존 접촉 용해 장치
JP2009241001A (ja) マイクロミキサ
JP2011121038A (ja)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
KR101194771B1 (ko) 유체의 혼합, 분산을 위한 인라인 믹서장치
JP2015144993A (ja) 多機能型混合装置
CN110947329A (zh) 一种锯齿型被动式微混合器
KR101988833B1 (ko) 이종 유체의 혼합용 믹서장치
FI20055206L (fi) Menetelmä nestevirtausten sekoittamiseksi toisiinsa ja sekoitin
CN204602021U (zh) 一种开槽式静态混合管
CN110479153B (zh) 一种可连续性工作的搅拌装置
CN106861480B (zh) 静态混合器
JP7476098B2 (ja) 改善されたミキサー・ダクト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プロセス
US987829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blending crude oils
JP6077741B2 (ja) 温度ばらつき低減用流体撹拌装置
US9839883B2 (en) Channel mixing apparatus
CN201959733U (zh) 一种开缝式静态混合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