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2433A -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 Google Patents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433A
KR20130112433A KR1020120034814A KR20120034814A KR20130112433A KR 20130112433 A KR20130112433 A KR 20130112433A KR 1020120034814 A KR1020120034814 A KR 1020120034814A KR 20120034814 A KR20120034814 A KR 20120034814A KR 20130112433 A KR20130112433 A KR 2013011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glass fiber
cao
mg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봉기
이병원
이남수
허균용
정원식
주석재
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2003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433A/ko
Publication of KR2013011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3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06Glass-ceramic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phosphorus,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3/00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C2213/02Biodegradable glass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iO2, Al2O3, CaO, MgO, Na2O, K2O, B2O3 및 P2O5를 조절된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생분해성, 내수성, 가공성 등을 갖는 유리 섬유를 기존 로터리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A composition for preparing glass wool and a biosoluble glass wool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iO2, Al2O3, CaO, MgO, Na2O, K2O, B2O3 및 P2O5를 조절된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생분해성, 내수성, 가공성 등을 갖는 유리 섬유를 기존 로터리(rotary)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에 관한 것이다.
유리 섬유는 원료를 1400℃ 이상의 고온에서 용융하여 3~10㎛ 굵기의 섬유상으로 가공 처리하여 제조된 비정질의 인조 광물 무기질 섬유로서 보온, 단열, 보냉, 흡음, 방음 및 기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섬유 단열재는 혼합된 소다 석회 알루미나 붕규산 유리 섬유를 바인더로 결합하여 제조된다. 바인더로는 통상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나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이용된다. 유리 섬유는 고속 원심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속 원심법의 예로는 통상 스피너(spinner)라 불리우는 회전 장치로부터 섬유를 생산하는 로터리 공정(Rotary process)을 들 수 있다. 로터리 공정에 있어서, 제섬화하는 동안 유리 섬유가 스피너 내에서 결정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유리 섬유의 액상 온도(liquidus temperature)가 섬유 연신 점도 온도(또는, 섬유화 작업 온도라고도 함)(logη 3)보다 10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리 섬유가 인체의 질병과 관계 있다는 증거는 없으나, 파쇄되어 미세한 섬유로 호흡에 의하여 폐에 흡입되어 축적될 경우 인체에 해를 초래할 수도 있어, 최근에 생리학적 매질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켜 유해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섬유화가 가능하고, 사용 중에 충분한 내구성과 단열성을 가지는 유리 섬유 조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7010호).
특히, 하기 KI 값이 40 이상이면 유리 섬유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불식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KI = [Na2O+K2O+CaO+MgO+B2O3+BaO] 함량­ 2 × Al2O3 함량
여기서 각 산화물들의 함량은 유리 조성물 내의 해당 물질의 중량 퍼센트로 나타낸다.
상기 KI 값은 조성물 내 Na2O, K2O, CaO, MgO, B2O3, BaO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Al2O3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유리 용융점 및 제섬 온도의 감소로 제조 공정상의 이점은 있지만, 내열성 저하, 내수성저하, 제섬 시의 실투 현상, 제조 원료 단가의 상승, 및 섬유화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는 등의 역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KI 값이 40 미만이더라도 생분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유리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여전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비교적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내열성, 내수성, 단열성의 저하 없이 생분해성이 크게 향상된 유리 섬유를 기존의 로터리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SiO2 62~65중량%, Al2O3 0.2~2중량%, CaO 6.5~8.5 중량%, MgO 2.5~4.5 중량%, Na2O+K2O 15.5~18.7중량%, B2O3 4~7중량% 및 P2O5 0.2~2중량%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의 KI 지수가 40미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내의 CaO/MgO가 1.6~2.5이며, MgO+CaO가 9.2~12.5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내의 B2O3/P2O5 가 3~7이며, B2O3+P2O5가 5.5~8.6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내열성, 내수성, 단열성의 저하 없이 생분해성이 크게 향상된 유리 섬유를 기존의 로터리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섬유화 생산시 용융 및 섬유화시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SiO2는 유리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망목구조 형성제(Network Former)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SiO2가 62~65중량%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3.5 내지 64.5 중량% 포함된다. 조성물 내의 SiO2 함량이 62중량% 미만이면 제조된 섬유의 내열성, 내수성 등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며, 상대적으로 알칼리 토금속산화물이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증가로 원재료비가 상승한다. 반대로, 그 함량이 65중량%를 초과하면 용융 조성물의 용융온도 및 섬유화 작업 온도가 증가하여 섬유화에 어려움이 있고, 제조된 섬유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l2O3 는 중간 산화물(Intermediate oxide)로서 액상선 근처의 유리용융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유리의 결정화를 제어하고, 섬유의 내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Al2O3 가 0.2~2중량%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 포함된다. 조성물 내의 Al2O3 함량이 0.2중량% 미만이면 조성물 점도 조절효과 및 유리 섬유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면 생분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aO와 MgO는 수식 산화물(Modifier oxide)로서 제조된 유리 섬유의 생분해성을 높여주며 유리 용융액의 점도를 감소시켜 섬유화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칼리 금속 산화물 도입에 의해 저하되는 화학적 내구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MgO는 결정화가 발생하는 온도를 감소시키며, CaO보다 생분해성에 더 많은 기여를 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CaO가 6.5~8.5 중량%, MgO가 2.5~4.5 중량%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aO가 7.0 내지 7.5 중량%, MgO가 3.5 내지 4.0 중량% 포함된다. 조성물 내의 CaO 및 MgO 각각의 함량이 상기한 수준에 못 미치면 용융온도가 상승하여 용융에 필요한 열량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초과하면 섬유화시 결정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MgO+CaO는 9.2~1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내지 1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 내 MgO와 CaO의 합계량이 9.2중량% 미만에서는 용융점도가 올라가거나 생분해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1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리용융물 결정화도가 높아져서 섬유화 공정시 공정트러블을 초래하거나 섬유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내의 CaO/MgO는 1.6~2.5인 것이 바람직하고, 1.75 내지 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 비율이 1.6에 못 미치면 제조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고, 2.5를 초과하면 섬유화시 결정화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aO+MgO 양의 변화 없이 CaO/MgO의 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유리 섬유의 생체용해도 및 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또 다른 수식 산화물로서 Na2O 및 K2O가 포함된다. 이들은 유리의 비가교산소를 생성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용융 시 용융을 원활히 진행시키는 용융제로서 작용하며, 섬유의 생분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Na2O+K2O의 합계량으로 15.5~18.7중량%가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a2O+K2O가 16.0 내지 17.0 중량% 포함된다. Na2O 및 K2O 각각의 함량은 상기한 합계량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Na2O 및 K2O 각각의 함량은 0 내지 18.7중량%(예컨대, 0.1 내지 18.6 중량%) 범위 내일 수 있으나, 그 합계량은 상기와 같다.
조성물 내의 Na2O+K2O 합계량이 15.5중량% 미만이면 유리의 점도를 증가시켜 섬유화에 어려움을 주고 생분해성을 감소시키며, 18.7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나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B2O3는 제조된 유리 섬유의 생분해성 향상에 기여하며, 유리 용융시 융제로서 유리 용융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또한 B2O3는 유리 섬유의 탄성을 좋게 하여 섬유 제품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첨가로 인하여 발생가능한 섬유의 부스러짐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B2O3가 4~7중량%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중량% 포함된다. 조성물 내의 B2O3 함량이 4중량% 미만이면 유리 섬유의 생분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7 중량%를 초과하면 용융불안정이 야기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P2O5는 B2O3와 더불어 섬유의 생분해성 향상에 기여하며, 특히 B2O3의 사용으로 인한 용융불안정성과 원료 고단가의 문제점을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P2O5가 0.2~2중량%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포함된다. 조성물 내의 P2O5 함량이 0.2중량% 미만이면 유리 섬유의 생분해성이 저하될 수 있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리 섬유의 결정화도를 증가시켜 공정 트러블과 섬유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에는 아주 긍정적이지만 용융과정에서 휘발성이 강해 용융불안정을 야기하는 B2O3 양을 줄이는 대신, P2O5 를 첨가하여 생분해성 및 용융안정성 모두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내의 B2O3+P2O5는 5.5~8.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 내 B2O3와 P2O5의 합계량이 5.5중량% 미만이면 생분해성 저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불안정과 제조원가 상승 또는 내열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내의 B2O3/P2O5 는 3~7인 것이 바람직하고, 3.7 내지 6.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 비율이 3에 못 미치면 유리섬유의 섬유화시 결정화도 증가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을 초과하면 B2O3 과량에 의한 용융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조성물 내 B2O3와 P2O5의 합계량 및 B2O3/P2O5의 비가 상기한 수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용융 안정성과 원료 단가적인 면에서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P2O5와 B2O3의 총합은 7중량%인데, 그 중에서 P2O5 는 1중량%이고 B2O3는 6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에는,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TiO2, Fe2O3, BaO 등과 같은 성분들이 불순물로서 포함될 수 있으나, 그 총량을 전체 조성물 중에 2 중량%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하면, 그로 인해 섬유의 물성이 저하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의 하기 KI 지수가 40미만이다.
KI = [Na2O+K2O+CaO+MgO+B2O3+BaO] 함량­ 2 × Al2O3 함량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상기한 성분들을 상기 함량범위로 사용하여 통상의 유리 섬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가능하다. 예컨대 전기 용융공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네랄울 섬유 제조용 조성물을 섬유화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로터리 공정(즉, 스피닝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화 방법을 이용하는데 있어 섬유화 작업시 요구되는 조성물의 점도는 logη 3 즉, 1000 포아즈 (poise) 점도 부근이 바람직하다. 용융물의 점도는 온도와 해당 조성의 함수로서, 동일 조성을 가지는 용융물의 점도는 온도에 의존하게 된다. 섬유화시 용융액의 온도가 높을 경우 점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섬유화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섬유화에 영향을 준다. 만일, 섬유화 온도에서 섬유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생성된 섬유의 길이가 짧고 가늘 뿐만 아니라 미세한 미섬유 물질(shot)이 많이 생성되어 섬유화 수율이 낮아지고, 또한 너무 높을 경우에도 섬유의 직경이 큰 섬유가 형성되고 굵은 미섬유 물질(shot)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1) 300 ng/㎠ㆍ hr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ng/㎠ㆍhr 이상의, 인공체액에 대한 용해속도상수, 2) 1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이하의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 3) 액상온도 대비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높은 섬유화 작업 온도(logη 3), 4)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이하의, 내수성 테스트(100℃/5시간 유지)시 감량율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만족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셋 이상을,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의 바람직한 섬유평균입경은 3~10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제품이 제공된다. 단열재 제품의 구체적인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판상, 보드, 블랭킷, 파이프 커버,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
삼상 전극봉을 이용한 전기 통전 방식의 용융공법으로 하기 표 1(실시예) 및 표 2(비교예)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갖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기존의 유리 제조용 로터리 공정(용융물을 원심회전하는 디스크 형태의 스피너 표면에 떨어뜨려 섬유를 인장시키고, 동시에 후면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섬유를 세섬유화시키는 방식)으로 유리 섬유를 제조하였다(섬유경: 약 4~8㎛). 각 성분의 함량 분석에는 EDS 및 ICP 분석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유리 섬유들에 대하여 인공체액에 대한 용해속도상수(Kdis) 값,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 섬유화 작업 온도(logη 3), 및 내수성 테스트시 감량율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 내지 계산하여, 하기 표 1(실시예) 및 표 2(비교예)에 나타내었다.
인공체액 용해속도상수( Kdis )
제조된 섬유의 생체용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인공체액에 대한 용해도를 구하였다. 세라믹 섬유의 체내 생분해성은 인공체액에 대한 섬유의 용해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상기 용해도를 기준으로 한 체내 잔류시간을 비교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용해속도상수(Kdis)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d0는 초기 평균섬유입경(㎛), ρ는 섬유의 초기밀도(g/cm3), M0는 초기 섬유의 질량(mg), M은 용해되고 남은 섬유의 질량(mg), 그리고 t는 실험시간(hr)을 나타낸다.
측정 대상 섬유를 플라스틱 필터 지지대로 고정된 0.2 ㎛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 필터(polycarbonate membrane filter) 사이의 얇은 층 사이에 놓고 이 필터 사이로 인공체액을 여과시켜 용해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하여 인공체액의 온도를 37 ℃, 유량을 135 mL/일로 조절하고, CO2/N2(5%/95%) 가스를 이용하여 pH를 7.4±0.1로 유지시켰다.
장시간 동안 일어나는 섬유의 용해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섬유를 21일간 침출(leaching)시키면서, 특정 간격(1, 4, 7, 11, 14, 21일)으로 여과된 인공체액을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석법(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을 이용해서 용해된 이온들을 분석한 후 이 결과를 이용해서 상기 수학식으로 용해속도 상수(Kdis)를 구하였다.
섬유의 용해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인공체액(갬블 용액) 1 L에 들어 있는 조성성분의 함량(g)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pat00002
액상온도( liquidus temperature )
액상온도는 유리 섬유 내에 결정이 생성될 수 있는 최대 온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ASTM C829-81에 따라 측정하였다.
섬유화 작업 온도( logη 3)
섬유화 작업 온도란 유리 용융물의 점도가 대략 1000poise가 되는 온도로서, 이 온도 근처에서 섬유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섬유화 작업 온도는 백금 Bushing에서 유리 조성물을 용융하면서 온도 제어하에 백금 Spindle로 점도측정을 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유리산업 및 유리섬유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감량율 (내수성 테스트)
DGG(Deutchen Glastechnischen Gesellschaftev) 무게감량 방법을 사용하였다. 10g 정도의 유리 섬유(길이: 360~400㎛)를 100ml 증류수에서 5시간동안 끊인 후, 급속 냉각시켜 필터링하였다. 그 후 필터 채로 150℃에서 건조시킨 뒤 초기 중량대비 감량된 중량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1]
Figure pat00004

[표 2]
Figure pat00005

상기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리 섬유의 경우 Kdis값 300 ng/cm2h 이상의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우수한 내수성(즉, 낮은 감량율)을 나타내었으며, 섬유화 작업 온도(logη3)와 액상온도의 차이도 100℃ 이상을 나타내어 섬유화시 스피너에서의 결정화 생성 등 공정상 문제가 없이 안전하게 섬유를 생산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종래의 일반 유리 섬유 제품과 유사한 조성으로 생체용해도가 매우 열악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내수성이 취약하여 단열재에의 적용이 불가능하였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액상온도가 높아 에너지 비용이 상승하였고, 액상온도와 섬유화 작업 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 섬유화 공정시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섬유품질이 떨어졌다.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액상온도와 섬유화 작업 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 섬유화 공정시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섬유품질이 떨어졌다.

Claims (9)

  1. SiO2 62~65중량%, Al2O3 0.2~2중량%, CaO 6.5~8.5 중량%, MgO 2.5~4.5 중량%, Na2O+K2O 15.5~18.7중량%, B2O3 4~7중량% 및 P2O5 0.2~2중량%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KI 지수가 4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CaO/MgO가 1.6~2.5이며 MgO+CaO가 9.2~1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B2O3/P2O5 가 3~7이며 B2O3+P2O5가 5.5~8.6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6. 제5항에 있어서, 다음 1) 내지 4) 중 하나 이상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1) 300 ng/㎠ㆍhr 이상의, 인공체액에 대한 용해속도상수
    2) 1000℃ 이하의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
    3) 액상온도 대비 100℃ 이상 높은 섬유화 작업 온도(logη 3)
    4) 3% 이하의, 내수성 테스트(100℃/5시간 유지)시 감량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4)의 물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8. 제5항에 따른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판상, 보드, 블랭킷 또는 파이프 커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제품.
KR1020120034814A 2012-04-04 2012-04-04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Ceased KR20130112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14A KR20130112433A (ko) 2012-04-04 2012-04-04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14A KR20130112433A (ko) 2012-04-04 2012-04-04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33A true KR20130112433A (ko) 2013-10-14

Family

ID=4963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14A Ceased KR20130112433A (ko) 2012-04-04 2012-04-04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43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8558A1 (en) * 2017-11-28 2019-06-06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US10647962B2 (en) 2016-05-27 2020-05-12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aluminoborate glasses
US10857259B2 (en) 2017-11-28 2020-12-08 Corning Incorporated Chemically strengthened bioactive glass-ceramics
US11198638B2 (en) 2017-11-28 2021-12-14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borate glass and methods thereof
KR20220026745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세라믹 섬유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세라믹 섬유
US11274059B2 (en) 2017-11-28 2022-03-15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compositions and dentin hypersensitivity remediation
US11814649B2 (en) 2016-05-27 2023-11-14 Corning Incorporated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3546434B1 (en) 2016-09-16 2024-01-24 Saint-Gobain Isover Glass wool, and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using s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7962B2 (en) 2016-05-27 2020-05-12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aluminoborate glasses
US11814649B2 (en) 2016-05-27 2023-11-14 Corning Incorporated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3546434B1 (en) 2016-09-16 2024-01-24 Saint-Gobain Isover Glass wool, and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using same
WO2019108558A1 (en) * 2017-11-28 2019-06-06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US10857259B2 (en) 2017-11-28 2020-12-08 Corning Incorporated Chemically strengthened bioactive glass-ceramics
US11198638B2 (en) 2017-11-28 2021-12-14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borate glass and methods thereof
US11274059B2 (en) 2017-11-28 2022-03-15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compositions and dentin hypersensitivity remediation
US11384009B2 (en) 2017-11-28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US11446410B2 (en) 2017-11-28 2022-09-20 Corning Incorporated Chemically strengthened bioactive glass-ceramics
US20220298058A1 (en) * 2017-11-28 2022-09-22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US11999653B2 (en) 2017-11-28 2024-06-04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KR20220026745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세라믹 섬유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세라믹 섬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902B2 (en) Glass fibre compositions
KR20130112433A (ko)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EP2462069B1 (en) Improved modulus, lithium free glass
AU692712B2 (en) Boron-free glass fibers
JP5606677B2 (ja) 耐火物を被覆した溶融装置における高性能ガラス繊維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る繊維
JPS5824385B2 (ja) 繊維ガラス組成物
CA2888470C (en) Glass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fibers and process
KR101223675B1 (ko) 염용해성 세라믹 섬유 조성물
CN101687691A (zh) 适用于增强有机/无机材料的玻璃丝
CA2790090C (en) A composition for preparing ceramic fiber and a biosoluble ceramic fiber prepared therefrom for heat insulating material at high temperature
US6794321B2 (en) Glass compositions for ultrafine fiber information
JP5890515B2 (ja) 生溶解性ミネラルウール繊維組成物およびミネラルウール繊維
US6828264B2 (en) Glass compositions for ultrafine fiber formation
KR100789469B1 (ko) 생분해성 유리 섬유 조성물
WO2014171561A1 (ko)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AU2014246689B2 (en) Ceramic Fiber Composition Which is Soluble in Salt
CA2223603C (en) Boron-free glass fibers
HK1233612A1 (en) A composition for preparing ceramic fiber and a biosoluble ceramic fiber prepared therefrom for heat insulating material at high temperature
HK1176345A (en) A composition for preparing ceramic fiber and a biosoluble ceramic fiber prepared therefrom for heat insulating material at high temperature
PL195611B1 (pl) Włókno szklane ulegające rozpadowi biologicznemu,kompozycja szkła do jego wytwarzania, sposób wytwarzania włókna szklanego i zastosowanie włókna szklanego
HK1174324B (en) Ceramic fiber composition which is soluble in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