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08578A -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578A
KR20130108578A KR1020137008903A KR20137008903A KR20130108578A KR 20130108578 A KR20130108578 A KR 20130108578A KR 1020137008903 A KR1020137008903 A KR 1020137008903A KR 20137008903 A KR20137008903 A KR 20137008903A KR 20130108578 A KR20130108578 A KR 20130108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iper
support
liquid supply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에스피나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3010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57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91Mounting of end caps with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4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rranged in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Ink Je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Kniv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와 지지체(4) 사이에 제공된 고정 장치(11)로서, 고정 장치는 지지체(4)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부분(12) 및 블레이드(1)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부분(13)을 포함하고,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은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제1 부분(12)은 와이퍼의 구성요소인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장치(6)를 막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METHOD FOR SECURING A BLADE ONTO A WIPER}
본 발명은 차량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윈치드스크린을 와이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통상 윈드스크린의 세정을 보장하고 그리고 운전자의 환경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종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전후 각운동을 수행하는 아암에 의해 구동되며, 탄성 재료로 제조된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길이가 긴 와이퍼를 포함한다. 이런 블레이드는 윈드스크린에 대해 러빙되며 운전자의 시계 외부로 벗어날 때 물을 방출한다. 종래의 와이퍼는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복수의 개별 위치에 유지시키는 관절식 스트럽 부재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최근에는 반강체 조립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보유시키는 반강체 조립체의 형태인 "플랫 블레이드"로 공지되어 있다. 양쪽 해결책에서, 와이퍼는 커넥터 및 어댑터로 구성된 조립체에 의해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회전 아암에 부착된다.
와이핑의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 와이핑 수단을 복원시킬 필요가 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 방법은 전체 와이퍼를 새 와이퍼로 교체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교체하지만 와이퍼의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크래퍼 블레이드에 접근하기 위해 와이퍼의 일 단부를 분해할 필요가 있는 두 번째 방법과 관련이 있다.
또한,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윈드스크린-세정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또한 갖추고 있으며, 윈드스크린-세정기 액체는 차량에 배치된 탱크로부터 이송되고 그리고 액체의 더 양호한 분배를 위해 윈드스크린 주위에 또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자체에 배치된 노즐에 의해 윈드스크린의 방향으로 분무된다.
스크래퍼 블레이드만이 교체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이런 두 번째 방법의 단점은 액체 공급 장치가 개방됨으로 인해 누출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상황에 있어서의 두 번째 방법의 다른 단점은 이런 종류의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블레이드의 교체를 위해 가능한 가장 인체 공학적인 해결책을 달성할 필요가 있으며, 처리 영역의 레벨에 액체가 존재함으로써 블레이드의 교체 및 만족스런 블레이드의 수리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액체 공급 장치 내부의 잔압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액체가 발사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공급 장치는 대부분 차단하지만 와이퍼의 지지체에 대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용이한 분해를 가능케 함으로써, 상술된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퍼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와 지지체 사이의 고정을 위한 장치로서, 지지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부분과, 블레이드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와이퍼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장치를 막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블레이드 및 지지체는 와이퍼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며, 액체 공급 장치는 지지체의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덕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덕트는 공기 편향기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부분은 액체 공급 장치의 단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단 수단은 액체 공급 장치를 막기 위해 액체 공급 장치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부분은 제1 부분을 지지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예컨대 블레이드가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블레이드와 통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제2 부분에 대한 단부에 또는 측방향으로, 본체에 형성되는 2개의 가요성 아암으로 구성되며, 제1 부분에 대한 보유 수단이 가요성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런 가요성 아암은 지지체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블레이드에 제공된 홀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부분은 각각의 보유 수단과 협력하는 2개의 측방향 변형부(lateral deforma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제2 부분에 제공된 리지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핑거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와이퍼로서, 블레이드는 상술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따른 장치에 의해 지지체에 고정되는, 와이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상세사항 및 이점은 예로서 제공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이점은 윈드스크린 세정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개방하지 않고도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교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요한 다른 이점은 블레이드에 연결된 제2 부분이 제1 부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어 이런 방식의 교체가 특히 용이하게 수행된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이런 추출을 복잡하게 할 수도 있는 액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블레이드는 건식 환경에서 교체됨으로써 블레이드의 설치 및 분해 시 사용자에게 물이 발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춘 와이퍼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와이퍼의 지지체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액체 공급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부분을 향해 제2 부분이 접근해가는 단계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부분 내에 제2 부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8은 제1 변형예에 따라 제2 부분을 제1 부분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제2 변형예에 따라 수행되는 제2 부분을 제1 부분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본 발명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더 양호하게 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와이퍼 시스템을 갖춘 와이퍼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와이퍼는 전방 윈드스크린에 설치되지만, 차량의 후방 윈도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퍼는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와이퍼는, 유리에 대한 마찰 영역(2) 및 와이퍼가 포함하는 지지체(4)와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는 부착 영역(3)으로 구성되는, 블레이드(1)를 포함한다.
지지체는 추골부(vertebra)로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와이퍼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기계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예로서, 와이퍼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 금속 로드로 구성되며 정지 상태에서 윈드스크린에 대해 볼록 곡률을 갖는다. 로드는 특유한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와이퍼가 윈드스크린에 적용될 때 변형되어 와이퍼를 따라 분배되는 힘을 유발시킨다.
부착 영역(3)은 부착 영역(3)의 측방향 패널에 제공되는 2개의 홈(5a, 5b)을 포함한다. 이런 2개의 홈은 지지체(4)와 통합되거나 지지체(4)로부터 형성되는 (도시 안 된)클로(claw)와 협력하는데, 이런 클로는 블레이드를 지지체에 대해 보유시키면서 지지체(4)에 대한 블레이드(1)의 병진 운동을 가능케 한다.
와이퍼는, 예컨대 클립 결합에 의해, 접착에 의해 또는 통상적으로는 협력 형태로 지지체(4)와 통합되는 액체 공급 장치(6)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액체 공급 장치는 와이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덕트(7, 8)의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7, 8)는 지지체(4)의 측부에 그리고 지지체(4)가 연장되는 평면의 연장부에 배열된다. 액체 공급 장치(6)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액체 공급 장치(6)는 공기 편향기(9)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공기역학적 효과를 이용하여 윈드스크린에 대한 와이퍼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편향기(9) 및 액체 공급 장치(6)와, 특히 2개의 덕트(7, 8)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단일의 가요성 재료로 성형된다. 따라서, 공기 편향기(9) 및 액체 공급 장치(6)는 단일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
블레이드(1)와 지지체(4) 사이의 고정을 위한 장치(11)가 와이퍼의 단부(10)에 설치된다. 이 경우 고정 장치는 지지체(4)에 대한 블레이드(1)의 병진 운동을 차단시키는 수단을 나타낸다. 따라서, 고정 장치가 적소에 위치되면, 블레이드의 임의의 병진 운동이 방지됨으로써, 와이퍼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블레이드의 완벽한 부착이 보장된다.
고정 장치(11)는 부착 또는 고정을 위해 제거가능한 수단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은 지지체(4)의 단면, 액체 공급 장치(6)의 단면 및 공기 편향기(9)의 단면과 대체로 상보적인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3개의 구성요소는 제1 부분(12)에 제공된 리셉터클(14)에 삽입된다.
도 2는 제1 부분(12)이 지지체(4)에 부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제1 부분(12)은 제1 부분(12)을 지지체(4)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런 체결 수단은 지지체(4)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동(17)의 주변부에 제공된 설부(16)의 형태이다. 공동(17)은 제1 부분(12)의 내부 체적부(volume)에 형성되며, 지지체를 형성하는 로드 또는 추골부의 단부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다. 실제로, 이런 공동은 지지체의 단부가 내부에서 활주하는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설부(16)는 제1 부분(12)과 일체로 형성되며, 공동(17)과 교차하는 평면에 따라 연장된다. 즉, 설부의 단부(18)는 공동(17)에 의해 한정되는 체적부로 연장된다. 설부(16)는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지지체(4)의 단부가 공동(17)에 삽입될 때 지지체(4)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설부(16)는 지지체의 단부의 측부에 제공된 노치(19)와 협력한다. 설부(16)가 노치(19) 내의 적소에 위치되면, 단부(18)는 제1 부분(12)이 지지체(4)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노치의 일부분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 부분(12)은 블레이드 수용 영역(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런 수용 영역(20)은 블레이드의 홈(5a, 5b)의 통과 영역을 형성하는 2개의 편평부(21a, 21b)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부분(12) 및 액체 공급 장치(6)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2개의 덕트(7, 8) 및 공기 편향기(9)의 조립을 위한 부분은 지지체에 대한 보유를 위해 2개의 에지(21, 22)를 갖는다. 각각의 보유 에지는 이런 조립을 위한 부분과 지지체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체(4)를 파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유 에지(들)(21, 22)는 동일한 재료로 성형되고 그리고 액체 공급 장치(6) 및 공기 편향기(9)와 함께 성형된다. 보유 에지(21, 2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체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런 보유 에지는 각각의 덕트(7, 8)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제1 부분(12)은 제1 부분의 외부 벽에 의해 형성되는 리셉터클(1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7)은 액체 공급 장치의 삽입을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기부(23)를 갖는다. 공동(17) 및 수용 영역(20)은 이런 기부(23)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수단(24)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차단 수단(24)은 액체 공급 장치(6)를 막거나(plug) 중단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1 부분은 각각의 덕트(7, 8)에 대향하는 스터드(25, 26)를 포함한다. 이런 스터드는, 와이퍼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고 그리고 해당 덕트가 연장되는 축과 일치하는, 축을 따라 연장되는 관형 돌출부이다. 이런 스터드의 외경은 각각의 덕트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크다. 덕트(7, 8)를 구성하는 재료는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덕트(7, 8)는 스터드(25 또는 26)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변형됨으로써 액체에 대한 밀봉을 보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스터드(25, 26)의 자유단은 덕트 내로의 스터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챔퍼(chamfer)를 갖는다.
차단 수단(24)이 와이퍼의 단부에서의 액체 공급 장치의 밀봉을 보장한다면, 차단 수단(24)은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차단 수단은 기부(23)를 향하는 덕트(7 또는 8)의 단부에 대한 편평 지지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부분(12)의 저면을 도시한다. 블레이드 수용 영역(20)은, 측방향 패널(28 또는 29)에 의해 각각의 측부의 에지가 형성되는, 벽(27)에 의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벽(27) 및 측방향 패널(28, 29)은, 블레이드가 수용 영역(20)에 결합될 때, 블레이드의 측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제1 부분(12)의 하부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제2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구역으로서 기능하는 컷아웃(29)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2 부분은 제1 부분(12)의 체적부 내에 통합되어 제1 부분(12)으로부터 연장되지 않도록 컷아웃(29)에 삽입된다.
컷아웃(29)은, 제1 부분(12)에 대한 병진 운동이 차단되도록 제2 부분과 협력하는, 2개의 측방향 변형부(30, 31)를 포함한다.
도 5는 제2 부분(13)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2 부분(13)은 본체(32)를 포함하며, 블레이드(1)는 본체(32)에 또는 본체(32) 내에 결합되거나 끼워 맞춰진다. 이런 기계적 연결은, 블레이드(1)의 홈(5a 또는 5b)과 각각 협력하는 2개의 리브에 의해 측방향 에지가 형성되며 본체(12)에 제공되는, 리세스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리세스의 형태는 블레이드(1)의 부착 영역(3)과 상보적이다.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이 제2 부분(13)에 형성된다. 이런 부착 수단은 제1 부분(12)에 대한 제2 부분(13)의 부착 또는 추출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거가능한 것으로 칭해진다. 이런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본체(12)에 대해 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가요성 아암(34, 35)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런 아암은 지지체(4)가 연장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아암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6)과,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에 연결된 제2 부분(37)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부분(37)은 제1 부분(36)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아암(34, 25)의 자유단은 리지(38)를 갖는 보유 수단(37)을 포함한다. 각각의 보유 수단(37)은 장치의 제1 부분에 제공된 측방향 변형부(30 또는 31)와 협력한다. 따라서, 리지(38)는 제2 부분이 제1 부분과 통합되도록 제2 부분(13)을 제1 부분(12)에 대해 보유시키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아암(34 또는 35)의 단부는 블레이드에 제공된 홀(40)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39)를 포함한다. 예컨대, 돌출부(39)는 보유 수단(37)에 형성되는 편평부에 의해 형성된다. 편평부는 지지체의 연장부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며 홀(40) 내로 삽입된다. 홀(40)은 2개의 홈(5a, 5b)의 평면에 제공된다. 돌출부(39)와 홀(40) 사이의 이런 협력은 제2 부분(13)을 블레이드(1)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6은 블레이드(1)의 와이퍼에 대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12)에 대한 삽입 또는 추출의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부분(13)을 갖춘 블레이드(1)는 제1 부분(12)의 수용 영역(20) 내로 활주된다. 이 단계에서, 블레이드(1)는 와이퍼와 통합되지 않으며, 블레이드(1)와 제1 부분(12) 사이의 병진 운동은 자유롭다.
도 7은 제2 부분(13)이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에 의해 제1 부분(12)과 통합되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다. 각각의 아암(34, 35)에 형성된 보유 수단(37)은 제1 부분(12)의 측부에 형성된 측방향 변형부(30 또는 31)와 협력한다. 아암(34, 35)은 보유 수단(37)의 변위를 가능케 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보유 수단(37)은 제2 부분(13)을 제1 부분(12)에 삽입하는 동안 블레이드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측방향 변형부(30, 31)는 보유 수단(37)의 운동을 가능케 하도록 지지체의 평면에 그리고 블레이드(1)의 방향으로 유격 공간을 제공한다. 아암에 관한 한, 아암(34, 35)은 컷아웃(29) 내에 통합적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제2 부분(13)은 대체로 제1 부분(12)에 의해 은폐된다.
사용자가 블레이드(1)를 교체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2개의 보유 수단(37)을 블레이드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해당 측방향 변형부(30 또는 31)의 리지(38)를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부분(12)에 대한 제2 부분(13)의 병진 운동이 가능해지며 블레이드의 추출 운동이 제2 부분(13)을 잡아당김으로써 개시될 수 있는데, 제2 부분(13)은 홀(40)과 돌출부(39)의 협력으로 인해 블레이드(1)와 함께 인출된다.
도 8은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사이의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제1 부분(12)에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핑거(41)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은 2개의 가요성 핑거(41)를 포함한다. 이런 가요성 핑거는 지지체(4)의 평면 상에서 그리고 액체 공급 장치를 수용하는 리셉터클(14)에 대향하는 제1 부분의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런 핑거의 가요성은, 가요성 성질을 부여하는 핑거의 두께와 더불어, 제1 부분(12)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핑거(41)의 자유단에는 보유 수단(37)이 제공되는데, 이 예에서 보유 수단은 예컨대 반원의 형태이다. 제2 부분(13)은 가요성 핑거(41)를 각각 수용하는 2개의 단부 변형부(42)를 포함한다. 보유 수단(37)의 반원 형태는 정지부를 형성하며, 각각의 단부 변형부(42)를 한정하는 견부를 형성하는 리지(43)와 보유 수단(37) 사이의 협력에 의해 제1 부분(12)을 제2 부분(13)에 대해 폐쇄시킨다.
도 9는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의 변형예에 비해,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본체(12)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에 의해 형성되며,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은 이 예에서 본체(32)의 폭부(width)에 포함되거나 수용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가요성 수단은 지지체의 평면에 따라 본체(12)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은 2개의 가요성 아암(44, 45)을 포함하는데, 아암(44, 45)의 단부에는 반원 형태인 보유 수단(37)이 제공된다. 2개의 아암(44, 45)은 제1 부분(12)의 하부 벽에 형성된 차단 수단(46)을 파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런 차단 수단은 제2 부분(13)을 제1 부분(12)에 삽입하는 동안 가요성 아암(44, 45)을 서로 이격시키려고 하는 2개의 비스듬한 패싯(47, 48; facet)을 포함한다.
제2 부분(13)이 제1 부분(12)에 적소에 고정될 때, 보유 수단(37)은, 비스듬한 패싯에 인접하고 그리고 차단 수단(46)을 한정하는, 리지에 대해 지지된다.
상술된 변형예에서, 제1 부분(12)은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유닛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2 부분(13)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제2 부분(13)은 단일 부재의 부품을 형성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1 : 블레이드 2 : 마찰 영역
3 : 부착 영역 4 : 지지체
5a, 5b : 홈 6 : 액체 공급 장치
7, 8 : 덕트 9 : 공기 편향기
10 : 와이퍼의 단부 11 : 고정 장치
12 : 제1 부분 13 : 제2 부분
14 : 리셉터클

Claims (11)

  1. 와이퍼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와 지지체(4) 사이의 고정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지지체(4)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부분(12)과,
    상기 블레이드(1)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부분(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은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은 와이퍼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장치(6)를 막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 및 지지체(4)는 와이퍼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액체 공급 장치(6)는 지지체(4)의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덕트(7, 8)로 구성되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7, 8)는 공기 편향기(9)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은 액체 공급 장치(6)의 단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14)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24)은 액체 공급 장치(6)를 막기 위해 액체 공급 장치(6) 내부에 삽입되는 스터드(25, 26)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은 제1 부분(12)을 지지체(4)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15)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3)은 블레이드(1)와 통합되는 본체(12)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은 본체(32)에 형성되는 2개의 가요성 아암(34, 35)으로 구성되며, 제1 부분(12)에 대한 보유 수단(37)이 가요성 아암(34, 35)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34, 35)은 블레이드(1)에 제공된 홀(40)에 수용되는 돌출부(39)를 갖는, 고정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은 각각의 보유 수단(37)과 협력하는 2개의 변형부(30, 31, 42)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33)은, 제1 부분(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제2 부분(13)에 제공된 리지(43)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핑거(41)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장치.
  11. 블레이드(1) 및 지지체(4)를 포함하는 와이퍼이며,
    상기 블레이드(1)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에 의해 지지체(4)에 고정되는, 와이퍼.
KR1020137008903A 2010-09-09 2011-08-03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 Withdrawn KR20130108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3596 2010-09-09
FR1003596A FR2964618B1 (fr) 2010-09-09 2010-09-09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d'une lampe sur un balai d'essuyage
PCT/EP2011/063396 WO2012031838A1 (fr) 2010-09-09 2011-08-03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d'une lame sur un balai d'essuy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578A true KR20130108578A (ko) 2013-10-04

Family

ID=4380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903A Withdrawn KR20130108578A (ko) 2010-09-09 2011-08-03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98052B2 (ko)
EP (1) EP2613976B1 (ko)
JP (1) JP6038793B2 (ko)
KR (1) KR20130108578A (ko)
CN (1) CN103209869B (ko)
BR (1) BR112013005459A2 (ko)
CA (1) CA2810076A1 (ko)
FR (1) FR2964618B1 (ko)
MX (1) MX2013002710A (ko)
WO (1) WO2012031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FR3023810B1 (fr)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EP3002167A1 (en) * 2014-10-02 2016-04-06 Valeo Systèmes d'Essuyage Device for a vehicle window wiper ar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FR3036675B1 (fr) * 2015-06-01 2018-10-26 Valeo Systemes D'essuyage Embout d’extremite prevu pour etre monte sur un support flexible et balai d’essuyage comprenant l’embout d’extremite et le support flexible
DE102015109342A1 (de) * 2015-06-11 2016-12-15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FR3037892A1 (fr) 2015-06-29 2016-12-30 Valeo Systemes Dessuyage Embout d'extremite prevu pour etre monte sur un support flexible et balai d'essuyage comprenant l'embout d'extremite et le support flexible.
FR3039112B1 (fr) * 2015-07-24 2019-01-25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lame d'un balai d'essuyage
FR3065691B1 (fr) * 2017-04-28 2019-06-21 Valeo Systemes D'essuyage Embout d'extremite destine a un balai d'essuyage
FR3086617B1 (fr) * 2018-09-28 2021-01-2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a projection de liquide pour vit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erfectionnent de l'etancheite de ce balai
DE102018251713A1 (de) * 2018-12-27 2020-07-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8251742A1 (de) * 2018-12-27 2020-07-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22213624A1 (de) * 2022-12-14 2024-06-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9862A1 (de) *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Wischblatte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an einem Kraftfahrzeug geführten, angetriebenen Wischerarm
US5933910A (en) * 1997-09-24 1999-08-10 Acd Tridon Inc. Retainer clip for windshield wiper refill
DE10000373B4 (de) * 2000-01-07 2015-09-10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an Fahrzeugen
DE10259478A1 (de) * 2002-12-19 2004-07-01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KR100633643B1 (ko) * 2004-11-24 200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버 교체가 가능한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 클립
ES2303182T3 (es) * 2005-01-25 2008-08-01 Federal-Mogul S.A.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FR2893290B1 (fr) * 2005-09-13 2009-05-0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verrouillage entre une lame d'essuyage et un porte-balai d'essuie-glace
JP4594249B2 (ja) * 2006-02-14 2010-12-08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FR2905650B1 (fr) * 2006-09-11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avec verrou de balai.
FR2920729B1 (fr) * 2007-09-10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yage a projection de liquide pour vitres de vehicule
EP2106979B1 (en) * 2008-04-04 2011-05-1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FR2933932B1 (fr) * 2008-07-15 2013-08-23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2168823B1 (en) * 2008-09-25 2012-01-04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US8544139B2 (en) * 2009-03-24 2013-10-01 Unipoint Electric Mfg, Co., Ltd Windshield wiper blad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09869A (zh) 2013-07-17
JP6038793B2 (ja) 2016-12-07
EP2613976A1 (fr) 2013-07-17
US9598052B2 (en) 2017-03-21
US20130205531A1 (en) 2013-08-15
EP2613976B1 (fr) 2017-11-29
BR112013005459A2 (pt) 2016-05-03
FR2964618A1 (fr) 2012-03-16
MX2013002710A (es) 2013-05-22
CN103209869B (zh) 2016-08-03
JP2013537132A (ja) 2013-09-30
WO2012031838A1 (fr) 2012-03-15
CA2810076A1 (fr) 2012-03-15
FR2964618B1 (fr)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578A (ko) 블레이드를 와이퍼에 고정시키는 방법
CN104228770B (zh) 挡风玻璃雨刮器、雨刮系统及雨刮系统组件
US20140115807A1 (en) Assembly of an end fitting and a device for spraying a liquid, wiper comprising such an assembly, method for mounting a device for spraying a liquid on an end fitting
CN107031573B (zh) 用于将风挡擦拭器叶片保持器连接到驱动臂的系统的元件
US10589725B2 (en) Window-wiper spray nozzle for a vehicle
US10137864B2 (en) Primary part and secondary part of an end fitting for a wiper
CN107054301B (zh) 用于机动车辆风挡擦拭器的适配器
US20170297534A1 (en) System for wiping a windscreen of a vehicle
CN106364458B (zh) 安装在刮雨片的柔性支架上的端部接头
US9545898B2 (en) Connector or adaptor for a windscreen wiping system,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CN110072743B (zh) 用于将擦拭器刮片连接到车辆驱动臂的连接装置
US10518753B2 (en) Adapter for a motor vehicle windscreen wiper
US9630591B2 (en) Device for a vehicle window wiper arm
US10189447B2 (en) End-piece intended to be mounted on a flexible support and wiper including the end-piece and the flexible support
CN104691510B (zh) 用于将流体循环管紧固至车辆风挡擦拭器的驱动臂的夹具
CN106809174B (zh) 用于机动车辆风挡擦拭器的适配器
JP6441156B2 (ja) ワイパ装置
CN106394510A (zh) 用于将擦拭器刮片连接至至多个擦拭器臂的系统的构件
CN105416239A (zh) 用于连接刮片到风挡擦拭器臂的系统的设备
JP2019051852A (ja) ワイパブレード
CN108791200B (zh) 用于擦拭系统的适配器
US20230356695A1 (en) Wind deflector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of a motor vehicle
TWM499348U (zh) 刮水片用轉接器及其刮水片組件
US10246057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